KR102208152B1 -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152B1
KR102208152B1 KR1020190037675A KR20190037675A KR102208152B1 KR 102208152 B1 KR102208152 B1 KR 102208152B1 KR 1020190037675 A KR1020190037675 A KR 1020190037675A KR 20190037675 A KR20190037675 A KR 20190037675A KR 102208152 B1 KR102208152 B1 KR 10220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6560A (en
Inventor
이승형
이재영
안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품
Priority to KR102019003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152B1/en
Publication of KR2020011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은, 임의의 산악 지역을 비행하면서,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이벤트 발생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이벤트 발생 위치 및 영상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 장치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기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피해 확산 방향 및 피해 범위를 예상하고, 예상 결과에 따라 재난 대피 정보를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제공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재난 대피 정보에 포함된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 비행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response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wherein the system for disaster response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obtains image information from a camera while flying in an arbitrary mountainous area, and By analyzing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transmits the event occurrence image information and the event location and image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weath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and the above It includes a control server that predicts the direction and extent of disaster damage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provides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in the evacuation route included in th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Follow guided flight.

Description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 상황 발생 시 미리 설정된 지역을 무인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재난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획득하여 재난 상황에 긴급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response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disaster occurs, by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unmanned a preset area to quickly and accurately acquire disaster information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response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enables it to respond.

우리나라 국토의 대부분은 산으로서 산불 및 산사태, 폭우에 의한 재난 발생시에 초기대응이 중요하지만 지형적 특성에 의해 재난 현장으로의 접근이 어렵고, 운영 전력공급 등의 한계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미비 등으로 실시간 재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 신속한 상황판단과 대응을 어렵게 하고 있다.Most of Korea's land is mountains, and initial response is important in the event of a disaster caused by forest fires, landslides, and heavy rain.However,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due to inadequate systematic system construction due to limitations in operating power supply, etc. As it is difficult to obtain, it is difficult to quickly judge the situation and respond.

또한, 산악 지역에 고립되어 있거나, 재난 방송의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시민에게 재난 방송 및 대피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워 시민에 대한 안전확보와 구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disaster broadcasting and evacuation information to citizens isolated in mountainous areas or located in the shadow areas of disaster broadcasting,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safety and rescue for citizen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변의 지형이나 실시간 기상 조건에 따라 재난 진행 방향, 재난 피해 범위 등을 예측하여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는 무인 비행체에 제공하는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edicts the direction of disaster progress, the extent of disaster damage, etc. according to surrounding topography or real-time weather conditions, and provides rapid response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minimizes damage. Provide disaster response systems and method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으로서, 임의의 산악 지역을 비행하면서,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이벤트 발생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이벤트 발생 위치 및 영상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장치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받으며, 수신받은 기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피해 확산 방향 및 피해 범위를 예상하고, 예상 결과에 따라 재난 대피 정보를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제공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은 재난 발생 및 재난 지역에 위치하는 구호자 발생을 포함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재난 대피 정보에 포함된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 비행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a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esented herein, while flying in an arbitrary mountainous area, obtaining image information from a camera, and obtained image informati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by analyzing the data and transmits the event occurrence image information; And receiving event location and video information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predicting the direction and extent of the disaster damage spread based on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and the video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It includes a control server that provides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event occurrence include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occurrence of a rescuer located in a disaster area,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based on an evacuation route included in th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Guide flight.

상기 외부장치는 기상 예경보 장치, 지진 방재관리 장치, 홍수 모니터링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상 정보는 풍향 및 풍속 정보, 강우정보, 직설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weather forecasting and warning device,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device, and a flood monitoring devic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r more of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rainfall information, and direct setting report.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산악 지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예상 결과에 따라 영역별로 긴급성 등급을 설정하여, 긴급성 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재난 경보 정보를 대응기관 및 경보장치에 제공한다. The control server divides the mountain area into a plurality of areas, sets an urgency level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and provides different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rgency level to a response agency and an alarm device.

상기 대응기관은 소방서, 구급센터, 경찰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장치는 산악 지역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재난 경보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The response agency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fire station, an emergency center, and a police station, and the alarm device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mountainous area, and the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상기 관제서버는 각각의 피해 예상 영역에 대하여, 피해 예상 영역에 가장 빨리 도착 가능한 대응기관을 미리 저장된 대응기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대응기관에 피해 예상 영역의 영상 정보, 위치정보, 긴급성 등급을 제공한다. For each predicted damage area, the control server searches for and selects the response agency that can arrive at the estimated damage area from the previously stored response agency database, and selects the imag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mergency damage prediction area to the selected response agency. Provides a gender rating.

상기 무인 비행체는 재난 대피 정보에 포함된 대피 요령 및 대피 경로를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구호자에게 출력한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utputs evacuation instructions and evacuation routes included in th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o a rescuer through a directional speaker.

상기 무인 비행체는 탑재된 구조용 장비를 구호자의 위치에 드랍시켜 구호자에게 제공한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provided to the rescuer by dropping the mounted rescue equipment at the location of the rescuer.

상기 구조용 장비는 구급품, 방복면, 구명튜브, 간이 소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The rescue equipment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first aid kit, a gas mask, a life-saving tube, and a simple fire extinguisher.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의 대응 방법은, 무인 비행체가 임의의 산악 지역을 비행하면서, 탑재된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무인 비행체가 획득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인 비행체가 이벤트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 및 영상 정보를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이벤트 발생 위치 및 영상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장치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수신받은 기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피해 확산 방향 및 피해 범위를 예상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예상 결과에 따라 재난 대피 정보를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재난 대피 정보에 포함된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 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은 재난 발생 및 재난 지역에 위치하는 구호자 발생을 포함한다. A method for responding to a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esented herein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image information from a mounted camera whi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lies in an arbitrary mountainous area;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occurs by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btaining,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f an event occurrence area,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to a control server; Receiving, by the control server, event occurrence location and image information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Estimating, by the control server, a direction and extent of a disaster damage spread based on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Providing, by the control server,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xpected result; And guided flight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vacuation route included in th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and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nclude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occurrence of a rescuer located in a disaster area.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산악 지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예상 결과에 따라 구획된 영역별로 긴급성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긴급성 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재난 경보 정보를 대응기관 및 경보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control server partitioning the mountain region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setting an urgency level for each partitioned region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And providing, by the control server, different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rgency level to a corresponding agency and an alarm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산악지역의 재난에 대한 긴급 대응 시스템은 산악 지역에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재난 진행 방향, 재난 피해 범위 등을 예측하여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a disaster in a mountainous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damage by predicting a disaster progress direction, a disaster damage range, etc. and responding quickly when a disaster occurs in a mountainous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 지역의 경보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에 대한 긴급 대응 시스템의 대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재난 피해 확산 방향 및 피해 범위 예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larm broadcasting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sponse method of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a disaster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dicting a disaster damage spread direction and a damage range of FIG. 5.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human meaning or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be understood. In addition,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defined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 of" or "includ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steps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elem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have a distinct meaning or role from each 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mak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음영지역의 경보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larm broadcasting system in a shaded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음영지역의 경보 방송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100), 원격제어장치(200), 관제서버(300), 경보장치(400) 및 대응기관의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alarm broadcasting system in the shaded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 remote control device 200, a control server 300, and an alarm device 400. And a terminal 500 of a corresponding institution.

무인 비행체(100)는 사람의 탑승없이 원격 조작에 의하여 조종 가능하게 형성된다. 무인 비행체(10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제어용 통신링크로 연결된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100)는 원격제어장치(200)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자신의 고유의 어드레스 예컨대 맥 어드레스를 갖는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formed to be maneuverable by remote operation without a person's board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communication link for control.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has its own address, for example a MAC addres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무인 비행체(100)는 카메라를 탑재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지역에 재난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cquires image information by mounting a camera, and determines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flight area by analyzing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인 비행체(100)의 맥 어드레스를 수신하여 임의의 무인항공기를 식별하고, 이를 통신링크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의 자율 주행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거나 무인 비행체(100)의 주행을 직접 제어한다.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receives the MAC addres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o identify an arbitrary unmanned aerial vehicle, and provides a moving path for autonomous driv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rough a communication link or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Directly control the driving.

관제서버(300)는 무인 비행체(100)와 통신망 등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며, 무인 비행체(100)의 위치 정보, 자세 정보 및 고도 정보 등의 실시간 비행 정보를 전달받으며, 필요 시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 통제에 관련된 작동 명령을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무인 비행체(100)로 전달되도록 한다. 비행 통제에 관련된 작동 명령은 방송 지점 설정, 비행 이동 경로 변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receives real-time flight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attitude inform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if necessar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o transmit the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the flight control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flight control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setting a broadcast point and changing a flight path.

즉, 관제서버(300)는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100)를 식별하고, 식별된 무인 비행체(100)의 현재 비행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관제서버(300)는 무인 비행체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며 비행 통제에 관련된 작동 명령을 전송한다. That is, the control server 300 identifi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 flight, and checks the current flight position of the identified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300 detects the movement path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alyz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flight control.

관제서버(30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된 수집 정보인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관제서버(300)는 무인 비행체(100)에게 직접 실시간 경보 방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경보 방송 정보는 예를 들어 LTE와 같은 이동통신 통신망을 통해 전달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 server 300 processes image data, audio data, and sensing data, which are collec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300 may directly transmit real-time alarm broadcasting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e real-time alarm broadcas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관제서버(300)는 재난 정보를 관리하는 중앙 관제소로부터 재난 정보를 수신하여, 무인 비행체(100)에 전송하거나, 관제서버(3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재난 방송 정보를 무인 비행체(1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300)는 재난 현장의 GIS정보(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기초하여 상기 산악 지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The control server 300 receives disaster information from a central control center that manages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s i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r transmits disaster broadcast information input in real time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control server 300. Can be sent to (100). The control server 300 divides the mountain area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of the disaster site.

또한, 관제서버(300)는 재난 발생 현장의 범위에 분산되어 설치된 하나 이상의 경보장치(400)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제서버(300)는 경보장치(400)가 경보장치 식별 ID, 설치된 위치 정보, 방송 송출 범위 등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300 may integrate and manage one or more alarm devices 400 distributed and installed over a range of a disaster occurrence site. To this end, the control server 300 stores the alarm device identification ID, installed location information, and broadcast transmission range in advance by the alarm device 400.

관제서버(300)는 기상 예경보 시스템, 홍수 모니터링 시스템, 댐 수위 모니터링 시스템 지진 방재관리 시스템과 연동되어, 시간 단위로 기상 정보를 포함한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한다. The control server 300 is interlocked with a weather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a flood monitoring system, a dam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and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and collects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meteorological information on an hourly basis.

관제서버(300)는 수집한 센싱 정보 및 영상 정보 등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 이미지, 동영상 등에 대한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복합적인 재난 정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온톨로지(ontology)기반의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수행하여 각 위치의 재난 상황, 지역 특성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재난 발생 현장의 범위를 정한다. 또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 면적, 확산 속도, 확산 방향을 예상하고, 재난 발생 영역별로 피해 확산의 긴급성에 대한 등급, 신속한 대응 기관의 이동 경로, 대피 경로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불길이 심한 곳이나 붕괴가 발생한 곳, 침수가 심한 곳 등을 피하여 대응 기관의 이동 경로, 구호자들의 대피 유도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300 may perform complex disaster information analysis through data mining on various data, images, videos, etc. including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In addition, ontology-based context awareness is performed to closely analyze the disaster situa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location to determine the scope of the disaster occurrence sit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area of the disaster occurrence, the rate of spread, and the direction of the spread are predicted, and the degree of the urgency of the spread of damage by disaster occurrence area, the moving path of the rapid response organization, and the evacuation path are analyz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oute of movement of the response organization and the route of evacuation of rescuers by avoiding the place with severe flames, the place where the collapse occurred, and the place with severe flooding.

관제서버(300)는 이렇게 산출된 대응 기관의 이동 경로는 대응기관의 단말(500)에 제공하고, 구호자들의 유도 경로를 포함한 신속한 대피 요령 및 대응 방안도 무인 비행기(100) 및 경보장치(400)를 통해 방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300 provides the calculated moving route of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 to the terminal 500 of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 and also provides quick evacuation tips and countermeasures including guidance routes of rescuer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he alarm device 400. ) Can be broadcast.

경보장치(400)는 산악 지역의 한 곳 이상에 마련되어, 관제서버(300)로부터 VHF 통신망을 통하여 재난 경보 방송을 수신받고, 이에 따른 재난 경보 방송을 방송 설비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방송 설비는 복수의 경보 사이렌 장치일 수 있다. The alarm device 400 is provided in one or more places in a mountainous area, receives a disaster alert broadcast from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VHF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disaster alert broadcast to the outside through a broadcast facility. The broadcast facility may be a plurality of alarm siren devices.

경보장치(400)는 예컨대 박스 형상의 함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장 메모리, 외장 메모리가 구비되고, UART(Serial) 연결용 단자, USB 연결용 단자, Digital I/O 등이 구성된다. 박스 형상의 함체 전면에는 장비 상태, 전송로 상태, 운영 상태, 앰프 출력 상태 등이 표시되는 LED가 구비되고, 마이크 절체 스위치 등 조작 스위치가 구비되고, A/S용 RS-232C 포트, USB 포트, 마이크 연결 단자, 외장 메모리 연결 단자, 마이크 볼륨 조절 단자, 모니터 스피커 볼륨 조절 단자 및 스피커 등이 구비된다.The alarm device 400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box-shaped enclosure, and includes an internal memory and an external memory, and includes a UART (Serial) connection terminal, a USB connection terminal, and a digital I/O. On the front of the box-shaped enclosure, LEDs that display equipment status, transmission path status, operation status, and amplifier output status are provided, operation switches such as microphone transfer switches are provided, and A/S RS-232C port, USB port, A microphone connection terminal, an external memory connection terminal, a microphone volume control terminal, a monitor speaker volume control terminal, and a speaker are provided.

박스 형상의 함체 후면에는 AC 전원 입력단자, On/Off 스위치, 스피커 출력 단자, 원격(REMOTE) VHF 안테나, 로컬(LOCAL) VHF 안테나, Digital I/O 단자, 오디오 LINE OUT 단자, LAN 케이블 단자, DC 출력 단자 등이 구비된다.On the back of the box-shaped enclosure, AC power input terminal, On/Off switch, speaker output terminal, remote (REMOTE) VHF antenna, local (LOCAL) VHF antenna, Digital I/O terminal, audio LINE OUT terminal, LAN cable terminal, DC An output terminal or the like is provided.

또한, 경보장치(400)는 앰프를 더 포함하여, 관제서버(300)에서 수신받은 재난 경보 방송의 오디오 출력을 증폭시켜 임의의 송출 범위에 오디오를 송출한다. 앰프는 아날로그 회로 없이 디지털 칩을 사용한 디지털 앰프일 수 있다. 디지털 앰프는 아날로그 앰프에 비하여 크기가 작으며 발열이 적다. In addition, the alarm device 400 further includes an amplifier to amplify the audio output of the disaster alert broadcast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300 to transmit audio to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range. The amplifier may be a digital amplifier using a digital chip without an analog circuit. Digital amplifiers are smaller than analog amplifiers and generate less heat.

대응기관의 단말(500)은 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300) 및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단말로서, 관제서버(300) 및 무인 비행체(100)로부터구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구조를 수행하는 소방관, 경찰관, 구급대원 등과 같은 재난구조요원에게 제공되거나, 소방소, 경찰소 등의 각 유관기관 상황실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응기관(500)이라 한다. The terminal 500 of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 is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server 300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rescu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server 300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Upon receipt, it may be provided to disaster relief personnel such as firefighters, police officers, and paramedics performing rescue, or may be provided in the situation room of each related organization such as a fire station or a police station.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it is referred to as a corresponding organization 500.

관제서버(300) 및 무인 비행체(100)은 대응기관(500)에게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대응기관(500)의 IP주소 또는 이동통신번호와 같은 연락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The control server 300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have previously stored contact information such as the IP address or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 500 in order to transmit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 500.

대응기관(500)은 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 500 may be,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 personal computer (PC), a tablet personal computer (PC), and a terminal of various types, such as a notebook.

통신망은 TCP/IP, LAN(Local Area Network), WIFI,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타 현재까지 알려졌거나 미래에 알려질 유선 통신, 무선 통신 방식, 기타 통신 방식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많은 통신이 망을 통해 수행되지만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망에 대한 언급을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is TCP/IP, LAN (Local Area Network), WIFI, LTE (Long Term Evolution),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ther known or future wired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other communication methods.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some. Although a lot of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network, in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a reference to the network is omitted for brevit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인 비행체(100)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110), 각종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0), 위치 신호를 수신받는 위치 수신부(130),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40), 메시지 생성부(150), 재난 상황에 대한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160), 데이터 저장부(190) 및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cludes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unit 1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 control unit 120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s, a position receiving unit 130 for receiving a position signal, an image capturing unit 140 for photographing an image, A message generating unit 150, an alarm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an alarm for a disaster situation, a data storage unit 190, and a power supply unit 180 for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may be included.

또한, 무인 비행체(100)는 재난 구호 장비를 장착하고 있는 그랩 모듈부(170) 및 지상으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 방지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 grab module unit 170 equipped with a disaster relief device and a fall prevention unit 175 for preventing a fall to the ground.

무선 송수신부(110)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관제서버(3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the control server 300.

무선 송수신부(110)는 촬영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를 관제서버(300)로 송신하고,관제서버(300)부터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 통제에 관련된 작동 명령을 수신 받는다. 무선 송수신부(110)는 수신 받은 정보는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The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unit 110 transmits the captured still image or video data, audio data, and sensing data to the control server 300, and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the flight contro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rom the control server 300 Receive. The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unit 110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20.

무인 비행체(100)는 원격제어장치(200)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송수신 모듈과 관제서버(300)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송수신 모듈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와의 통신은 2.1GHz 주파수를 이용하고, 관제서버(300)와의 통신은 108GHz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us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us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30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use a 2.1 GHz frequency, and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300 may use a 108 GHz frequency.

제어부(120)는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 시 관제서버(100)로부터 통제를 받기 위한 작동 명령의 송/수신 및 통제에 따른 처리에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모듈이다.The controller 120 is a module that controls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of operation commands for receiving control from the control server 100 and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ntrol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in flight.

또한, 제어부(120)는 무인 비행체(100)의 이착륙, 항법 등 비행 자세를 감지하고 중앙 관제소(100)로 비행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비행 제어를 위하여,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고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 중 고도, 자세 및 위치 정보 제공 등의 일련의 기능 수행 시 수행 과정의 제어를 담당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detects flight postures such as take-off and landing and navig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controls the fligh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tation 100. The controller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 altitude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the like for flight control. In this way, the controller 120 is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execution process when performing a series of functions such as providing altitude, posture, and location information during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위치 수신부(130)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하고, 무인 비행체(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GPS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The location receiving unit 130 include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nd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e GPS module calculates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a time at which the distance information is measured, and then applies a trigonometry to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for a point (object). Further,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also used.

위치 수신부(130)는 획득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영상 촬영부(140)에 의해 획득한 영상과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 저장부(19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location receiving unit 130 transmit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20. The control unit 120 may match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40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it in the data storage unit 190.

영상 촬영부(14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가시광선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초분광 센서,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AR(Synthetic Aperture Radar)를 포함하고, 마이크로폰(마이크)(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capture unit 140 includes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and includes a visible ray camera, a thermal imaging camera, a hyperspectral sensor, a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and a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nclud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microphone) 142.

가시광선 카메라는 가시광선 대역에서 검출될 수 있는 화염, 연기 감지, 침수지 감지 및 지표면 변화 감지 등에 사용되며,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취득하여 저장한다. Visible light cameras are used for detection of flames and smoke that can be detected in the visible light band, detection of submerged areas, and detection of changes in the surface of the earth. Still images and videos are acquired and stored.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 파장(0.9~14㎛)을 이용하여, 열을 추적, 탐지하여 화면으로 보여주는 장치이다. 열화상 카메라는 상대온도 또는 절대 온도 값을 흑백으로 표현하여 출력한다. Thermal imaging cameras are devices that track, detect, and display heat using infrared wavelengths (0.9-14㎛). Thermal imaging cameras display relative or absolute temperature values in black and white and output them.

영상 촬영부(140)는 영상 촬영과 분리하여 마이크로폰(마이크)만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40)는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20)에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영상 보정 등의 처리를 행한 후, 데이터 저장부(190)에 저장한다. The image capturing unit 140 may collect audio data using only a microphone (microphone) separated from image capturing. The image capturing unit 140 transfers the captured image to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20 performs processing such as image correction, and then stores it in the data storage unit 190.

영상 촬영부(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위치 수신부(130)에 의해 획득한 위치 정보 및 시각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40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osition receiving unit 130.

메시지 생성부(150)는 구호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미리 등록된 단말(500) 또는 관제서버(300)에 전송된다. The message generator 150 generates a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elper. The generate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500 or the control server 300 registe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120.

상기 메시지와 함께 구호자의 영상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Along with the message, image information of a rescuer may be transmitted together.

경보 출력부(160)는 미리 저장된 경보 등을 사이렌 또는 경광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고, 관제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재난 방송 및 재난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피커가 지향성 스피커이다. 지향성 스피커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 음을 실어 소리를 방사하여 기존의 일반 스피커보다 가청성이 좋다. The alarm output unit 160 may output a pre-stored alarm through a siren or a warning lamp, and may receive disaster broadcasting and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a control server and output through a speak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is a directional speaker. The directional speaker emits sound by putting sound in an inaudible frequency band, and has better audibility than conventional speakers.

전원부(180)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80)는 DC 전원(182)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모듈(184)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일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80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be a hybrid type including a DC power source 182 and a solar module 184 that generates power using sunlight.

제어부(120)는 전원부(180)의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한다. The controller 120 monitor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180.

그랩 모듈부(170)는 구급품, 방복면, 구명튜브, 간이 소화기 등 인명 구조용 장비를 탑재한다. The grab module unit 170 is equipped with equipment for life-saving, such as first aid supplies, gas masks, life-saving tubes, and simple fire extinguishers.

제어부(120)는 그랩 모듈부(170)를 제어하여 탑재된 구조용 장비를 구조자에게 제공한다.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grab module unit 170 to provide mounted rescue equipment to the rescuer.

낙하 방지부(175)는 헬륨 가스 등의 풍선이 펼쳐지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제어부(120)로부터 구동신호가 출력되면, 동작하도록 구현된다. The fall prevention unit 175 is provided to unfold a balloon such as helium gas, and is implemented to operate when a driv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아울러, 낙하 방지부(175)는 무인 비행체(100)의 추락 상황이 발생 시 낙하산 형태로 펴짐으로써, 무인 비행체(100)가 추락하여 지면에 닿았을 때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unit 175 is opened in the form of a parachute when a fall situ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ccurs, so that the impact is minimized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alls and touches the ground.

전원부(180)는 DC 전원(182)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모듈(184)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일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be a hybrid type including a DC power source 182 and a solar module 184 that generates power using sunlight.

데이터 저장부(190)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위치 정보 및/또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에 필요한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자동 비행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베터리 잔량 확인을 위한 프로그램, 메시지 생성 및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어, 정보 수신 단말의 연락처) 및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촬영에 의해 발생하는 영상 정보, 위치 획득 정보 등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19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an operation of analyzing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or image information, and may be divided into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The program area may store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omatic flight, a program for checking the remaining battery level, data necessary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message (eg, a contact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and a program. The data area is an area in which information generated by an operation is stored, and may store information generated by an operation, such as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photographing and loc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비행 제어모듈(122), 영상처리모듈(124), 메시지 생성 모듈(126) 및 경보 방송 모듈(128)로 구분할 수 있다. 각 모듈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능적으로 분류하였지만 하나의 모듈로 수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통합되어도 좋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20 may be divided into a flight control module 122, an image processing module 124, a message generating module 126, and an alarm broadcasting module 128. Each module is functionally classifi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may be performed as a single module or may be integrated in different ways.

비행 제어모듈(122)은 무인 비행체(100)의 이착륙, 항법 등 비행 자세를 감지하고 관제서버(300)로 비행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비행 제어를 위하여,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고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flight control module 122 detects flight attitudes such as take-off and landing and navig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controls the fligh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and for flight control,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 altitude senso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eomagnetic sensor or the like.

비행 제어모듈(122)은 후술되는 영상처리모듈(124)에 따라 구호자가 발견되면 구호자 발견 위치에서 속도를 줄이거나, 고도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flight control module 122 may control to reduce the speed or lower the altitude at the rescuer discovery position when a rescuer is found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24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비행 제어모듈(122)은 미리 설정된 복귀 장소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복귀 장소까지 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전력량을 산출하여, 배터리 잔량에서 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전력량을 제외한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문턱값 이하일 경우 일반 모드에서 배터리 절약 모드로 전환한다. In addition, the flight control module 122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preset return place,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to return to the return place, and a value excluding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to return from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a preset first threshold value. If it is below, it switches from normal mode to battery saving mode.

배터리 절약 모드는 카메라 동영상 촬영 중지, 영상 정보 전송 중지, 경보 방송 중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배터리 잔량에 따라, 카메라 동영상 촬영 중지, 영상 정보 전송 중지, 경보 방송 중지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battery saving mode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stopping camera video recording, stopping video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topping alarm broadcasting. Alternatively, depending o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camera video recording may be stopped,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may be stopped, and alarm broadcast may be stopped in sequence.

또한, 비행 제어모듈(122)은 배터리 잔량에서 복귀에 소요되는 에너지량을 제외한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문턱값 이하일 경우 낙하 방지부(180)를 구동하여, 무선 비행체(100)의 프로펠러의 작동이 중지되어도, 헬륨 가스가 채워지는 풍선의 부력으로 인해 무인 비행체(100)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flight control module 122 drives the fall prevention unit 180 when the value excluding the amount of energy required for return from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hreshold valu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of the wireless vehicle 100 is Even if stopped, it prevent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rom falling to the ground due to the buoyancy of the balloon filled with helium gas.

또한, 비행 제어모듈(122)은 그랩 모듈부(170)를 제어하여, 산불로 인해 고립된 구호자의 해당 위치로 비행하여 구급품, 방독면, 간이 소화기 등을 제공하여 줄 수 있고, 물로 인한 구호자의 해당 위치로 비행하여 구명튜브 등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flight control module 122 controls the grab module unit 170 to fly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rescuer isolated due to a forest fire and provide first aid kits, gas masks, and a simple fire extinguisher, etc. You can fly to that location and provide life-saving tubes.

영상처리모듈(124)은 카메라 및 코덱을 포함하고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원시 영상을 MJPEC, MPEG 및 HEVC 등의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인코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인코딩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 스케일 조정 등을 행하고, 왜곡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24 includes a camera and a codec, and may obtain an encoded image by encoding a raw image captured from the camera with a codec such as MJPEC, MPEG, and HEVC, removing noise from the obtained encoded image, and adjusting the scale. A pre-processing process such as performing a correction for distortion and the like is performed.

예를 들어, 카메라의 렌즈가 광각 렌즈인 경우, 광각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방사 왜곡 등을 보정한다. 왜곡이 발생하는 열화상 원시 영상에 미리 저장된 좌표계별 면적비에 기초하여 좌표의 온도값에 해당 좌표의 면적비를 곱하여, 용이하게 온도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저장된 좌표별 면적비를 적용하여 온도를 보정하는 것은 연산값이 크지 않으므로, 드론 자체 내에서 수행이 가능하다. 영상 보정도 이와 유사하게 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ens of the camera is a wide-angle lens, radiation distortion inevitably caused by the wide-angle is corrected. Temperature corre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multiplying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coordinates by the area ratio of the coordinates based on the area ratio for each coordinate system previously stored in the original image of the thermal image where distortion occurs. Compensating the temperature by applying the area ratio for each coordinate stored in advance in this way is not large, so it can be performed within the drone itself. Image correction can be similarly performed.

영상처리모듈(124)은 전처리 과정이 수행된 영상 정보로부터 영상 특징점 및 ROI(Region of Interest)를 검출 한 후 사람 감지, 재난 발생 등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사람 감지는, 영상처리모듈(124)은 촬영된 영상에서, 적외선을 포함한 영역과 포함하지 않은 영상, 영상을 통한 온도 분석 결과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람 및 화재를 식별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24 may detect an image feature point and a region of interest (ROI) from image information on which a pre-processing process has been performed, and then perform analysis such as detection of a person and occurrence of a disaster. Person detection,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24 is performed by a method of identifying a person and a fire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analysis result through the image and image that includes an infrared ray in the captured image with pre-stored reference data. I can.

재난 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의 판단은 기계 학습 기반 분석,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의 결합 분석 및 센싱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석 방법으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as to correspond to a disaster situation may analyze the image data by at least one analysis method among machine learning-based analysis, a combination analysis of a plurality of image data, and a linkage analysis with sensing data.

또한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위치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mage data may be analyzed using image data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and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may be determined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image data.

예를 들어, 영상 정보에서 롱텀 백그라운드 모델링 방식에 따라 전경감시 대상이 되는 객체(예컨대 불꽃, 연기 등)를 포함하는 전경 이미지와, 상기 전경 이미지를 제외한 배경 이미지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전경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미리 저장된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객체를 인식한다. 패턴 정보에 온도 범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면, 각 객체의 온도는 열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온도에 따른 밝기 정보를 근거로 객체가 구분된다. 따라서 전경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에서 연기에 대한 객체를 구름이나 안개와 같은 비슷한 이미지의 객체와 변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패턴정보에 포함된 온도 범위에 속하지 않은 객체는 배경처리함으로써 추후 연속되는 열화상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발생하는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image information, a foreground image including an object (eg, flame, smoke, etc.) to be monitored may be separated from a background image excluding the foreground image according to a long-term background modeling method. The object included in the separated foreground image is recognized by referring to previously stored pattern information. When information about a temperature range is set in the pattern information, the temperature of each object is classified based on brightn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cluded in the thermal image data. Therefore, among the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foreground imag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 object of smoke from an object of similar image such as cloud or fog. As described above, objects that do not belong to the temperature range included in the pattern information are subjected to background processing,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computation generated by subsequent analysis of continuous thermal image data.

한편, 상기 온도범위만을 고려하여 연기에 대한 객체를 추출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구름이나 안개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자동차의 온도가 상기 패턴 정보에 설정된 온도범위에 만족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도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패턴 정보에는 연기의 고유한 속성인 이동 방향 또는 확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기는 일반적으로 상방향 또는 상방향 대각선으로 이동하며, 확산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이를 패턴정보로 저장하여 더욱 상기 전경 이미지에 포함된 다른 객체들과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방향은 객체를 구성하는 픽셀의 이동벡터와 상기 확산을 픽셀수를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재난 피해 확산 방향(예를 들어, 불꽃의 이동 방향), 구호자의 이동방향을 추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extracting an object for smoke considering only the temperature range,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cloud or fog rises temporarily or the temperature of the car satisfies the temperature range set in the pattern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patter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movement direction or diffusion, which is an inherent property of smoke. That is, smoke generally moves upward or diagonally upwards, and has a characteristic of spreading, so that it can be stored as pattern information to further distinguish it from other objects included in the foreground image. In this case, the movement direc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pixels and the movement vector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objec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track the direction of the disaster damage spread (for exampl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lame)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cuer.

따라서, 연기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를 제외하기 위하여 패턴 정보를 근거로 객체를 트래킹하며, 추출된 객체마다 픽셀수 변화 또는 이동방향을 확인하여 패턴정보에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정보에서 원하는 객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n order to exclude other objects except smoke, an object is tracked based on pattern information, and an object that satisfies a condition set in the pattern information can be detected by checking a change in the number of pixels or a moving direction for each extracted objec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a desired object from the image information.

메시지 생성 모듈(126)은 영상처리모듈(124)의 분석 결과에 따라 구호자가 인식되는 지점을 확인하고 구호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위치 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단말 및 관제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전송한다. The message generation module 126 checks the point at which the rescuer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24 and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cuer, and stores a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btained in advance, and It transmits to at least one of the control servers.

경보방송모듈(128)은 영상처리모듈(124)의 결과에 따라, 미리 저장된 경보 방송을 출력한다. The alarm broadcasting module 128 outputs a pre-stored alarm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24.

예를 들어, 영상처리모듈(124)의 분석 결과 산불과 같은 재난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산불에 매칭되는 미리 저장된 경보 방송을 경보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such as a forest fire has occurred as a result of analysis by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24, a pre-stored alarm broadcast matching the forest fire is output through the alarm output unit 150.

또한, 경보방송모듈(128)은 관제서버(300)로부터 실시간 경보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 실시간 경보 방송을 우선적으로 경보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In addition, when a real-time alarm broadcast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300, the alarm broadcasting module 128 preferentially outputs the real-time alarm broadcast through the alarm output unit 150.

이외에도 무인 비행체(100)는 온도 및 습도, 풍향 및 풍속, 오염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를 탑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에 의해 주위의 공기 오염도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공기통 잔량을 더 측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be equipped with an environmental sensor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emperature and humidity,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pollution, and the like, and further measure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servoir by such a sensor. May be.

무인 비행체(100)는 센싱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90)에 저장하거나 관제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store the sensed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190 or transmit it to the control server 30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제서버(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30), 저장부(350), 방송송신부(370), 표시부(380) 및 입력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 control unit 330, a storage unit 350, a broadcast transmission unit 370, a display unit 380 and an input unit 390.

통신부(310)는 외부 장치(미도시) 및 무인 비행장치(10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정보는 제어부(330)에 전달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30.

제어부(330)는 재난 대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제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3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 server 300 in order to perform a disaster response method.

제어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받은 정보와 기저장된 분석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재난 상황을 분석한다. 제어부(330)는 분석된 재난 상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선택한다. 복수개의 대응메시지들은 저장부(350)에 기저장되어 있고, 분석결과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대응메시지가 선택된다. The control unit 330 analyzes the disaster situ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previously stored analysis-related database. The controller 330 selects different response messages for the analyzed disaster situation. A plurality of correspondence messages are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350, and an arbitrary correspondence message is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location information.

제어부(330)는 미리 저장된 산악 지역의 지형정보 및 구호자의 위치정보, 산불등 재난 발생 위치 등에 기초하여 유도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30 may calculate a guidance route based on pre-stored topographic information of a mountainous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a rescuer, and a location of a disaster such as a forest fire.

제어부(330)는 유도 경로, 재난 발생 경보, 및 대피 요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응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310)를 통해 무인 비행기(도 1의 100)에 전송한다. The control unit 330 generates a response message including one or more of an induction route, a disaster warning, and an evacuation method, and transmits i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 FIG.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저장부(35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제어부(330)에게 전달한다. 저장부(350)는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저장장치의 총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350)가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여러 장치의 총합으로 구현되는 경우 여러 장치들 사이의 통신이 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저장부(350)가 하나의 객체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다.The storage unit 350 stores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and transmits the requested data to the controller 330. The storage unit 350 may be implemented as a total of physically separated storage devices. When the storage unit 350 is implemented as a total of several devices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communication between several devices may be required. Here, for the sake of simplicity,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orage unit 350 is implemented as one object.

방송송신부(370)는 재난 발생 여부에 따른 재난 경보 방송을 VHF 통신망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방송한다. The broadcast transmission unit 370 broadcasts a disaster alert broadcast according to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or not through a VHF communication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표시부(380)는 제어부(330)의 지시에 따라 임의의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370)는 제어부(330)의 지시에 따라 수신기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80 serves to output arbitrar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33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70 may display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on a map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330.

표시부(38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일 수도 있고 관제서버(3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부(370)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 LED(발광 다이오드),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프로젝터, 기타 현재, 과거에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표시 장치들로써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380)는 예를 들어 정보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페이지나 정보 제공 결과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화면 출력 대신 음성 출력이나 진동 등 기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구성부가 표시부(380)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380 may be a separate display device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rol server 300. The display unit 37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projector, and other display devices that are possible in the present, in the past, or in the future. The display unit 380 may display, for example, an interface page for providing information or an information providing result pag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380 may be used instead of the display unit 380, instead of the display unit 380, using a component that uses a voice output, vibration, or other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user.

입력부(390)는 입력되는 정보를 제어부(3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390)는 키보드 또는 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90)는 관제서버(3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90)를 대응정보를 실시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무인 비행체(100)의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대응 정보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여 무인 비행체(1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390 serves to transmit inpu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30. The input unit 39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board and a microphone. The input unit 390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control server 300 or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component. The user can input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input unit 390. For example, the user may check image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 real time, input corresponding information through a microphone,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또한, 표시부(380)와 입력부(390)가 터치패드와 같은 일체형일 수도 있다. Also, the display unit 380 and the input unit 390 may be integrally formed such as a touch pa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에 대한 긴급 대응 시스템의 대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재난 피해 확산 방향 및 피해 범위 예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sponse method of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a disaster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dicting a disaster damage spread direction and damage range of FIG. 5 This is a flow ch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가 산악 지역을 비행하면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한다(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obtains an image from a camera while flying in a mountainous area (S100).

무인 비행체는 비행 이동 경로를 비행 이전 관제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비행 이동 경로는 비행 중에도 관제서버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receive and store a flight path from a control server prior to flight. In addition, the flight path can be changed or modified by the control server or remote control device even during flight.

무인 비행체가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1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S110).

여기서, 이벤트 발생은, 재난 발생 및 재난 지역에 위치하는 구호자 발생을 포함한다. 즉, 무인 비행체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이 발생하였는지 재난 지역에 구호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Her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nclude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occurrence of a rescuer located in the disaster area. That i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alyzes the imag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or whether a rescuer exists in the disaster area.

이와 같은 영상 정보에 기초한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에 대하여는 도 3의 영상처리모듈에 관한 설명을 참조한다.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occurs based on such image information,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image processing module of FIG. 3.

또한, 무인 비행체는 영상 정보 분석에 의해 재난 피해 확산 방향과, 구호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재난 지역에 위치하는 구호자를 추적 비행 할 수 있다. 구호자가 재난 지역을 벗어나면 추적 비행을 중지할 수 있다. 구호자가 복수인 경우, 설정에 따라 다수의 구호자 그룹 또는 소수의 구호자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을 선택하여 추적 비행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disaster damage spread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cuer through image information analysis, and can track and fly rescuers located in the disaster area. If the rescuer leaves the disaster area, the follow-up flight can be stopped. If there are multiple rescuers, it is possible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rescuers group or a small number of rescuers group to follow the flight.

단계 S110에서 무인 비행체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이벤트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 및 영상 정보를 관제서버에 전송한다(S120). In step S110, i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i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occurrence area, and transmit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S120).

단계 S110에서 무인 비행체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간다. If in step S11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etermines that no event has occurred, it returns to step S100.

다음 관제서버가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이벤트 발생 위치 및 영상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 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마다 기상 정보를 수신받는다(S130). 상기 외부장치는 기상청, 지진 방재관리처, 홍수 모니터링처와 같은 유관기관의 서버 및 단말일 수 있다. Next, the control server receives the event location and image information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receives weath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every predetermined time period (S130).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server and a terminal of a related institution such as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office, and the flood monitoring office.

관제서버는 이벤트 발생시 시간 주기를 평상시 시간 주기보다 짧게 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can make the time period shorter than the normal time period when an event occurs.

상기 기상 정보는 풍향, 풍속, 강우, 강설, 직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The weather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wind direction, wind speed, rainfall, snowfall, and direct snow.

상기 관제서버가 수신받은 기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피해 확산 방향 및 피해 범위를 예상한다(S140). The control server estimates the direction and extent of the disaster damage based on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S140).

재난 피해 확산 방향 및 피해 범위를 예상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관제서버가 상기 산악 지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예상 결과에 따라 영역별로 긴급성 등급을 설정한다(S142). 긴급성 등급은 재난 재난 발생의 시작이 되는 사고 지역, 긴급한 대피가 요구되는 긴급 대피 지역, 긴급한 대피를 요하지는 않으나 주의가 요구되는 주의 지역, 안전 지역 지역과 같이 복수개의 등급으로 나뉠 수 있다. An exemplary method for predicting a disaster damage spread direction and damage ran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First, the control server divides the mountain area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sets an urgency level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S142). The urgency class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lasses, such as an accident area where a disaster occurs, an emergency evacuation area that requires urgent evacuation, a state area that does not require urgent evacuation but requires attention, and a safety area area.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긴급성 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재난 경보 정보를 생성한다(S144). 재난 경보 정보는 대피 경로 및 대피 요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generates different disaster aler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rgency level (S144). Disaster alert information may include evacuation routes and evacuation tips.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관제서버가 확산 방향 및 피해 범위의 예상 결과에 따라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난 대피 정보를 감시장치 및 무인 비행체에 제공한다(S150).Referring back to FIG. 5, the control server generates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of the spread direction and damage range, and provides the generated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150).

관제서버는 수집된 영상 정보, 기상 정보, 지형 정보, 등에 대한 각 위치의 재난 상황, 구호자 상황, 구조자 상황 등을 상황 인지 분석에 의해 대피 경로 및 구조 경로를 분석해 낼 수 있다. 불길이 심한 곳이나 붕괴가 발생한 곳, 연기가 심하게 감지되는 곳, 붕괴 위험이 있는 곳, 홍수로 인한 침수가 심한 곳 등을 피해 안전 지역으로 유도하기 위한 대피 경로 및 구조 경로를 분석하고, 대피 경로는 무인 비행체 및 감시 장치에 전송한다. The control server can analyze the evacuation route and rescue route by analyzing the situational awareness of the disaster situation, the rescuer situation, and the rescuer situation at each location for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terrain information, etc. Analyze the evacuation route and rescue route to lead to a safe area to avoid places with severe flames, places where collapse has occurred, places where smoke is severely detected, places where there is a risk of collapse, places with severe flooding caused by floods, etc., and evacuation routes Transmits to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surveillance devices.

구조 경로는 대응기관에 전달되어 신속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Rescue paths are communicated to the response agency to enable rapid rescue.

대피 경로 및 구조 경로는 무인 비행체의 영상 정보에 기초한 관제서버의 실시간 상황 인지 분석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 evacuation route and the rescue route can be changed in real time by real-time situation recognition analysis of the control server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대피 경로 및 구조 경로가 변경되면 무인 비행체 및 감시 장치에 즉각적으로 전송하여, 구조자 및 구호자 모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Changes to evacuation routes and rescue routes are immediately transmitted to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surveillance devices, allowing both rescuers and rescuers to respond immediately.

무인 비행체는 상기 재난 대피 정보에 포함된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 비행하거나, 재난 대피 정보에 포함된 대피 요령 및 대피 경로를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구호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S16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guide flight according to an evacuation route included in th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or may output an evacuation method and an evacuation route included in th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o a rescuer through a directional speaker (S160).

여기서, 안내 비행은 구호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벗어나지 않고 대피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예컨대 1~3m 이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ere, guided flight refers to flying along an evacuation route without deviating from a preset distance from a rescuer. Here, the preset distance may be within 1 to 3 m,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감시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대피 요령 및 대피 경로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device can output an evacuation instruction and an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speaker through the speaker.

무인 비행체는 대피 경로의 안내 비행시 경광등을 온하여 구호자가 용이하게 무인 비행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한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urns on a beacon during a guided flight of an evacuation route so that a rescuer can easily move alo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전술한 방법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driven by a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through various known means.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각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면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될 경우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shown in each drawing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and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are familiar with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when combined, some elements may be interpreted as being omitted.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us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100 : 무인 비행체
110 : 무선 송수신부
120 : 제어부
121: 비행 제어 모듈
123 : 영상 처리 모듈
125 : 재난 정보 분석 모듈
127 : 메시지 생성 모듈
129 : 경보 방송 모듈
130 : 위치 수신부
140 : 영상 촬영부
150 : 메시지 생성부
160 : 경보 출력부
180 : 전원부
190 : 데이터 저장부
200 : 원격제어장치
300 : 관제서버
400 : 경보장치
500 : 대응기관의 단말
100: unmanned aerial vehicle
110: wireless transceiver
120: control unit
121: flight control module
123: image processing module
125: disaster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27: message generation module
129: alarm broadcasting module
130: position receiver
140: video recording unit
150: message generator
160: alarm output unit
180: power supply
190: data storage unit
200: remote control device
300: control server
400: alarm device
500: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

Claims (11)

임의의 산악 지역을 비행하면서,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이벤트 발생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이벤트 발생 위치 및 영상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장치로 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받으며, 수신받은 상기 기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온톨로지(ontology)기반의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수행하여 재난 발생 면적, 확산 속도, 확산 방향을 분석하여 구호자의 대피 경로 및 구조 경로를 포함하는 재난 대피 정보를 실시간으로 예상하고, 예상 결과에 따라 재난 대피 정보를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제공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은 재난 발생 및 재난 지역에 위치하는 구호자 발생을 포함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재난 대피 정보에 포함된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 비행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재난 현장의 GIS정보(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기초하여 상기 산악 지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예상 결과에 따라 영역별로 긴급성 등급을 설정하여, 긴급성 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재난 경보 정보를 대응기관의 단말 및 경보장치에 제공하고, 각각의 피해 예상 영역에 대하여 피해 예상 영역에 가장 빨리 도착 가능한 대응기관을 미리 저장된 대응기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대응기관의 단말에 피해 예상 영역의 영상 정보, 위치정보, 긴급성 등급을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obtains image information from a camera while flying in an arbitrary mountain region,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by analyzing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vent occurrence image information; And
Receive event location and image information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ceive weath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erform ontology-based context awareness based on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It includes a control server that analyzes the disaster occurrence area, spread rate, and direction of spread to predict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and rescue route of the rescuer in real time, and provides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and,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nclude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occurrence of a rescuer located in the disaster area,
The unmanned aerial vehicle guided flight according to the evacuation route included in th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server divides the mountain area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GIS inform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the disaster site, sets an urgency level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and sets different disaster levels according to the level of urgency. Aler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and alarm device of the response agency, and the response agency that can arrive at the estimated damage area at the earliest for each estimated damage area is searched and selected from the previously stored response agency database, and is then sent to the terminal of the selected response agency. Disaster response system in mountainous areas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provides video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urgency ratings of predicted damage are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재난 대피 정보에 포함된 대피 요령 및 대피 경로를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구호자에게 출력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a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outputs evacuation instructions and evacuation routes included in th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o a rescuer through a directional sp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기상 예경보 장치, 지진 방재관리 장치, 홍수 모니터링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상 정보는 풍향 및 풍속 정보, 강우정보, 직설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weather forecasting and warning device,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device, and a flood monitoring device,
The weather information is a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rainfall information, and direct setting repo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기관은 소방서, 구급센터, 경찰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장치는 산악 지역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재난 경보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ponse agency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fire station, an emergency center, and a police station,
The alarm system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mountainous area, and a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outputs disaster alert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탑재된 구조용 장비를 구호자의 위치에 드랍시켜 구호자에게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 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a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drops mounted rescue equipment at the location of a rescuer and provides the rescu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장비는 구급품, 방복면, 구명튜브, 간이 소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7, wherein the rescue equipment is a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a first aid kit, a protective mask, a life tube, and a simple fire extinguisher. 무인 비행체가 임의의 산악 지역을 비행하면서, 탑재된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무인 비행체가 획득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인 비행체가 이벤트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 및 영상 정보를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이벤트 발생 위치 및 영상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장치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수신받은 상기 기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온톨로지(ontology)기반의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수행하여 재난 발생 면적, 확산 속도, 확산 방향을 분석하여 구호자의 대피 경로 및 구조 경로를 포함하는 재난 대피 정보를 실시간으로 예상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예상 결과에 따라 재난 대피 경로 및 구조 경로를 포함하는 재난 대피 정보를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산악 지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예상 결과에 따라 구획된 영역별로 긴급성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가 각각의 피해 예상 영역에 대하여 피해 예상 영역에 가장 빨리 도착 가능한 대응기관을 미리 저장된 대응기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대응기관의 단말에 피해 예상 영역의 영상 정보, 위치정보, 긴급성 등급을 제공하고 상기 긴급성 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재난 경보 정보를 대응기관 및 경보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재난 대피 정보에 포함된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 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은 재난 발생 및 재난 지역에 위치하는 구호자 발생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의 재난 대응 방법.
Acquiring image information from the mounted camera whi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lies in an arbitrary mountain area;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occurs by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btaining,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f an event occurrence area,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to a control server;
Receiving, by the control server, event occurrence location and image information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video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ntrol server, an ontology-based context awareness is performed to analyze the disaster occurrence area, the spreading speed, and the spreading direction, and the evacuation route and the rescue route of the rescuer Predicting in real tim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comprising a;
Providing, by the control server,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disaster evacuation route and a rescue route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The control server partitioning the mountain region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setting an urgency level for each partitioned region according to the expected result; And
For each predicted damage area, the control server searches and selects the response agency that can arrive at the estimated damage area from the previously stored response agency database, and displays video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stimated damage area on the terminal of the selected response agency. Providing an urgency level and providing different disaster alert information to a corresponding agency and an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urgency level; And
Including the step of the unmanned flight guided flight according to the evacuation route included in the disaster evacuation information,
The event occurrence is a disaster response method of a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occurrence of a rescuer located in the disaster are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기상 예경보 장치, 지진 방재관리 장치, 홍수 모니터링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상 정보는 풍향 및 풍속 정보, 강우정보, 직설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의 재난 대응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xternal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weather forecasting and warning device,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device, and a flood monitoring device,
The weather information is a disaster response method of a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rainfall information, and direct setting report.
삭제delete
KR1020190037675A 2019-04-01 2019-04-01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KR102208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75A KR102208152B1 (en) 2019-04-01 2019-04-01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75A KR102208152B1 (en) 2019-04-01 2019-04-01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560A KR20200116560A (en) 2020-10-13
KR102208152B1 true KR102208152B1 (en) 2021-01-28

Family

ID=7288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75A KR102208152B1 (en) 2019-04-01 2019-04-01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1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449B1 (en) 2022-10-07 2022-12-23 (주)바이브컴퍼니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76B1 (en) * 2020-12-10 2021-12-07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web using drone
KR102322231B1 (en) * 2020-12-10 2021-11-08 대한민국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saster information using drone and mobile device
CN115830806B (en) * 2022-11-11 2024-05-03 河海大学 Natural disaster condition analysis system based on high-resolution remote sensing
KR102613983B1 (en) * 2022-12-26 2023-12-18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Real-time rescue request response method using unmanned mobile vehicle and device
CN117314704B (en) * 2023-09-28 2024-04-19 光谷技术有限公司 Emergency event managemen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7037396B (en) * 2023-10-10 2023-12-19 绵阳师范学院 Forest fire prevention early warn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880B1 (en) * 2015-08-24 2016-06-09 (주)유진테크시스템 Disaster Broadcasting System With Drone
KR101638500B1 (en) * 2015-10-16 2016-07-11 조승철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470A (en) * 2010-10-08 2012-04-18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Decision making system for a disasterwarning information and method
KR20180013425A (en)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에어테크미디어 Rescue system using drone and method thereof
KR101993603B1 (en) * 2017-08-29 2019-06-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Wide area autonomus search method and system using multi UAV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880B1 (en) * 2015-08-24 2016-06-09 (주)유진테크시스템 Disaster Broadcasting System With Drone
KR101638500B1 (en) * 2015-10-16 2016-07-11 조승철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449B1 (en) 2022-10-07 2022-12-23 (주)바이브컴퍼니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560A (en)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1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KR10216191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escue in mountain area using UAS
Yuan et al. Fire detection using infrared images for UAV-based forest fire surveillance
US11749074B2 (en) Rescue support in large-scale emergency situations
US11253736B2 (en) Dispatching UAVs for wildfire surveillance
KR101074279B1 (en) Monitering system using unmanned air vehicle with WiMAX communication
KR100929473B1 (en) Zigbee Wildfire Monitoring System Using GPS
KR201701015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ter monitoring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6719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osition of co-operated firemen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displaying a position of co-operated firefighter, and fire hat for performing the method
JPWO2010097921A1 (en) Moving body imaging system, moving body, ground station apparatus, and moving body imaging method
US11214369B2 (en) System, control device, and module
CN110647170A (en) Navigation mark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260019B1 (en) Determining the risk of fire situation system by analyzing fire record information on the fire situation and method thereof
CN210835732U (en) Beacon inspection device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RU181691U1 (en) UNMANNED AIRCRAFT FOR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Erdelj et al. Drones, smartphones and sensors to face natural disasters
KR20200115933A (en) Rescue System and method for Alarm Broadcasting in mountain area using UAS
US20210076186A1 (en) Devices, Systems and Processes for Providing Responders with Relevant Real-Time Information
US1111920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Perez-Mato et al. Real-time autonomous wildfire monitoring and georeferencing using rapidly deployable mobile units
KR20220001704A (en) An Air-route weather forecas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based on ADS-B data
KR1021619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arm Broadcasting in mountain area using UAS
US2022006957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ritical Event Monitoring, Capture, and Response Near Overhead Electrical Power Lines and Associated Equipment and Facilities
KR102503849B1 (en) Mobile Base St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Using Mobile Base Station
CN112731971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to land, 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