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449B1 -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 Google Patents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449B1
KR102480449B1 KR1020220128952A KR20220128952A KR102480449B1 KR 102480449 B1 KR102480449 B1 KR 102480449B1 KR 1020220128952 A KR1020220128952 A KR 1020220128952A KR 20220128952 A KR20220128952 A KR 20220128952A KR 102480449 B1 KR102480449 B1 KR 102480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occurrence
sensors
spread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효근
안창원
박소아
Original Assignee
(주)바이브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브컴퍼니 filed Critical (주)바이브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128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based on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in which an information system analyzes, by deep learning, data collected from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which are of various types and which consist of multiple sensors, predicts signs of a disaster which may occur within a facility, and diagnoses whether the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which has occurred, the rate of spread, and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in stages.

Description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Disaster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based on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본 발명은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여러 가지 종류이며 각각의 종류마다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이기종 다중센서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정보시스템이 딥러닝 분석하여, 시설물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하고 재난 발생 여부와 발생한 재난의 종류, 확산속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system analyzes the data collected from heterogeneous multi-sensors, which are of various types and each type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nsors, by deep learning to predict signs of disasters that may occur within the facility, It is about the method of diagnosing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the rate of spread, and the situation that will develop in stages.

ICT 기술을 응용하여 재난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재난 안전 분야 산업은 미래융합산업이자 최근 들어 급성장 중인 고성장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재난 안전 분야에 ICT기술을 사용하면, 재난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초기에 대응 및 진압할 수 있어서 재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데, 일련의 재난대응 과정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재난대응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 및 장비도 개발되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트윈 기술과 융합된 다양한 솔루션과 서비스가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 따르면, 공공안전 및 재난안전 분야의 ICT 시장규모는 2022년 기준 각각 약 4,000억달러 및 600억달러로서, 연평균 성장률은 41.75% 및 10.9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Disaster safety industry, which uses ICT technology to prevent disasters and minimize damage, is a future convergence industry and one of the rapidly growing high-growth industries. If ICT technology is used in the field of disaster safety, disaster damage can be minimized by detecting and responding to and suppressing disasters at an early stag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olutions and equipment to implement the system will be developed and provided. In particular, various solutions and services converged with digital twin technology are expected to emerg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Planning and Evaluation Institute, the ICT market size in the public safety and disaster safety fields is expected to be approximately $400 billion and $60 billion, respectively, in 2022, with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41.75% and 10.95%.

재난관리는 대형 화재, 폭발사고, 홍수, 지진, 붕괴 등 대규모 재난사건이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회적 또는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응 프로세스를 의미하며 그 프로세스는 재난안전법상 재난 발생 시점이나 관리 시기를 기준으로 예방 - 대비 - 대응 - 복구의 4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재난관리는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의 단계로 구분하여 관리된다.Disaster management refers to a multifaceted response process to minimize social or physical impact in the event of a large-scale disaster event or accident, such as a large-scale fire, explosion, flood, earthquake, or collapse. Based on the timing, it is composed of four stages: prevention - preparedness - response - recovery. In addition, disaster management is managed by dividing into the stages of interest - caution - alert - serious.

재난을 예방하기 위한 활동 및 연구에 대하여는 국가는 물론 민간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기관을 비롯하여 기업체, 대학, 연구기관 등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예방을 위해, 재난예방 및 안전관리 분야에 기술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ICT 기술을 적용한 재난대응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고 운영하기 위해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는데, 최근 들어서는 재난의 예방, 예측, 대비, 대응, 복구의 전 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혁신성장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The government as well as the private sector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and research. Therefore, government agencies, businesse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etc. are making efforts to develop technology in the field of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for scientific and systematic disaster prevention. In particular,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pply, and operate disaster response technologies using ICT technology. We are building a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한편, 많은 인구가 모여 사는 도시, 특히 그중에서도 특별시, 광역시 등과 같은 메가시티에서는 주거 또는 사무용 빌딩이나 다중이용시설 등의 대형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 공동구, 터널, 교량, 변전소, 충전시설 등과 같이 도시의 필수 인프라시설들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도시 인프라 시설들은 대부분 무인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재난이나 사고에 대비하여 다양한 센서나 cctv 등의 감시설비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재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단 재난이 발생하면 인구 밀집 지역 내에 있기 때문에 그 피해 범위나 확산속도 등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cities with large populations, especially megacities such as special cities and metropolitan cities, not only are large buildings such as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nd multi-use facilities concentrated, but also underground utility tunnels, tunnels, bridges, substations, charging facilities, etc. Likewise, essential infrastructure facilities of the city are mixed. Most of these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are managed unmanned, and are equipped with monitoring facilities such as various sensors or cctv in preparation for disasters or accidents. However, disasters can occur due to various causes, and once a disaster occurs, the extent of damage and the speed of spread increase uncontrollably because it is located in a densely populated area.

이러한 시설물들은 각종 센서나 cctv 장비등 최첨단의 다양한 감시설비들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난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다양한 첨단 센서들이 장착되어 감시하는 시설물임에도 불구하고, 각종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들을 단편적으로만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재난 발생의 초기나 또는 재난이 발생하기 전의 징후 등을 미처 알아채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Although these facilities are equipped with various state-of-the-art monitoring facilities such as various sensors and cctv equipment, there is a possibility of disaster. It occurs because the early stage of a disaster or the signs before a disaster is not noticed because it is being analyzed.

따라서, 특정 공간이나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여러 유형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보완함으로써 재난의 발생 전에 그 징후를 발견해내고,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초기 단계에서 확산 방지 및 피해 최소화를 할 수 있는 효과적이며 유연한 재난대응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한 빠른 대처와 모델링을 통해 다양한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by analyzing various types of sensor data generated in a specific space or facility and supplementing them by running simulations, it is possible to find signs before a disaster occurs, and to prevent spread and minimize damage at an early stage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prepare a flexible disaster response plan, and to prepare a plan to prevent disasters and minimize damage at various national levels through quick response and modeling for disasters that may occur in these facilities.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07512호(2016.9.1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07512 (2016.9.19) 한국 등록특허 제10-2208152호(2021.1.2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08152 (2021.1.28) 한국 등록특허 제10-2440097호(2022.9.6)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440097 (2022.9.6) 한국 공개특허 10-2016-0085033(2016.7.15)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6-0085033 (2016.7.15)

이미숙, 정우석, 김은솔, “디지털 트윈 기반 지하공동구 재난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정보과학회지, 39(2), pp. 16-24(2021).Lee Mi-sook, Jung Woo-seok, Kim Eun-sol, “A Study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Methods for Digital Twin-Based Underground Utiliti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9(2), pp. 16-24(202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지하 공동구, 터널, 전력시설 등과 같은 도시공간 내 각종 인프라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형 재난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정보시스템이 재난의 징후를 알려주고,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이를 초기에 포착하여 알려주도록 하는 등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재난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 시에는 그 확산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disasters that may occur in various infrastructure facilities in urban space, such as underground utility tunnels, tunnels, power facilities, etc. The purpose of providing a metho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n advance and prevent its spread when it occurs by using an information system, such as notifying the symptoms of a disaster and capturing and notifying it at an early stag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do.

본 발명은 또한, 정보시스템이 이기종 다중센서를 통하여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의 발생 징후,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예상 장소를 예측하도록 하는 등 재난의 징후를 사전에 예측하도록 함으로써, 재난 징후 포착 시 감시활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여 시설물에서 재난이 발생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s the information system to predict signs of disasters in advance, such as predicting signs of occurrence of disasters, types of disasters with a risk of occurrence, and predicted places of occurrence by using various data collected through heterogeneous multi-sensors.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fundamentally prevent disasters from occurring in facilities by strengthening surveillance activities when detecting signs of disasters.

본 발명은 또한, 정보시스템이 이기종 다중센서를 통하여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장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초기에 신속하게 알 수 있고, 이에 따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enables the information system to analyze various data collected through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and place of the disaster, so that even if a disaster occurs, it can be quickly and init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for implementing an information system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caused by a disaster by being able to know and respond accordingly.

본 발명은 또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정보시스템이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의 확산속도 및 확산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by which,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an information system can analyz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to predict the spread speed and direction of the disaster.

본 발명은 또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정보시스템이 재난의 확산 예상범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추론하고 이에 따른 시설물 위험도를 예측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n information system to infer the expected spread range of the disaster and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in stag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to predict and inform the risk level of facilities accordingly.

본 발명은 또한 재난의 발생 징후 포착, 재난 발생 여부, 재난의 종류, 확산 범위, 위험도 등에 따라 재난 관리자 등이 상황에 따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판단자료를 적기에 제공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builds an information system that can provide timely judgment data that enables disaster managers to make decisio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such as capturing signs of a disaster,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the extent of spread, and the degree of risk. It aims to make it possib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종류이며 각각의 종류마다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이기종 다중센서들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를 정보시스템이 딥러닝 분석하여, 시설물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하고 재난 발생 여부와 발생한 재난의 종류, 확산속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재난징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1
의 데이터 중에서 재난 발생의 전조증상과 관련되는 센서 종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선별 및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 징후,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예상 장소를 예측하고 학습하는 재난징후 예측단계(S1); 재난유형 판단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2
의 데이터 중에서 상호 간의 변화 연관성을 수평적으로 클러스터링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장소를 판단하고 학습하되, -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에서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3
에 대한 상기 발생 징후를 예측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 중 제1모델을 이용하며, - 상기 발생 징후를 예측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 중 제2모델을 이용하는 재난발생 감지단계(S2);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재난확산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수직적 분석과 상기 변화 연관성에 대한 수평적 분석을 통하여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4
에서의 재난의 확산속도 및 확산방향을 예측하고 학습하는 재난확산 예측단계(S3);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발생한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장소, 상기 확산속도 및 상기 확산방향에 따른 재난의 확산 예상범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추론하고 이에 따른 시설물 위험도를 예측하고 학습하는 위험도 예측단계(S4); 및 상기 재난의 발생 징후, 상기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예상 장소,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상기 발생한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장소, 상기 확산속도, 상기 확산방향, 상기 확산 예상범위, 상기 전개될 상황 및/또는 상기 시설물 위험도를 포함하는 재난 이벤트를 관리시스템에 제공하는 재난 이벤트 전파단계(S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big data collected from heterogeneous multi-sensors, which are of various types and each type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nsors, by deep learning in an information system to prevent disasters that may occur in facilities. As a method of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diagnosing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the rate of spread, and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in stages, using a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detection intervals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1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of predicting and learning the signs of a disaster, the type of disaster with a risk of occurrence, and the expected place of occurrence by se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generated by the types of sensors related to the precursor symptoms of a disaster among the data. ; The detection section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using a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2
Among the data of, horizontally clust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disaster that has occurred, and learn, - Detection section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3
In the case of predicting the occurrence symptom for , the first model among the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s is used, and - in the case of not predicting the occurrence symptom,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using the second model among the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s (S2 );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a vertical analysis of time series changes for each of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and a horizont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s are performed using a disaster diffusion prediction model. Through the detection zone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4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of predicting and learning the spread speed and spread direction of disasters 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a risk prediction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spread of the disaste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the place of occurrence, the spread rate, and the spread direction, and the spread of the disaster in stages. A risk prediction step (S4) of inferring the situation to be and predicting and learning the risk of the facility accordingly; And the occurrence symptom of the disaster, the type of disaster with a risk of occurrence, the expected location, whether or not the disaster occurred, the type of the disaster, the place of occurrence, the spread rate, the spread direction, the expected spread range, A disaster event propagation step (S5) of providing a disaster event including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and/or the risk of the facility to the management system; desirable.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한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장소, 상기 확산속도, 상기 확산방향, 상기 확산 예상범위, 상기 전개될 상황 또는 상기 시설물 위험도에 따른 재난 상황별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상기 관리시스템에 제공하는 의사결정 정보제공 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으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시스템이, 상기 재난 이벤트를 디지털 트윈 모형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생성단계(S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uses an ontology-based disaster knowledge database to determine the type of disaster with the risk of occurrence,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the place of occurrence, the rate of spread, the direction of spread, and the expected spread. A decision-making information providing step (S6)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to the management system for each disaster situation according to the range,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or the risk level of the facility; A digital twin generation step (S7) in which the management system implements the disaster event as a digital twin model as a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or in addition thereto; And it is preferable to use it as a diagnostic method.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재난 이벤트 전파단계(S5) 및 상기 의사결정 정보제공 단계(S5)는,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 상기 재난확산 예측단계(S3) 또는 상기 위험도 예측단계(S4)에서 상기 재난 이벤트를 예측 또는 판단한 경우에 각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으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에서 상기 발생 징후를 예측한 경우에는, - 상기 재난 이벤트 전파단계(S5)에서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재난 발생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 또는 CCTV 화면을 상기 관리시스템에 전송하여 집중감시를 유도하며, -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5
에 대한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를 상기 제1모델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disaster event propagation step (S5) and the decision-making information providing step (S5) include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the A method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performed when the disaster event is predicted or determined in the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or the risk prediction step (S4), or in addition to the above In the case of predicting the occurrence symptom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 In the disaster event propagation step (S5), an alarm is gene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or CCTV screen for a place with a risk of disaster occurrence is managed. It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to induce intensive monitoring, - the detection section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5
It is preferable to use a method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model.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변화 연관성은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발생되는 데이터값의 변화 빈도의 연관성 및 상기 데이터값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변화량 또는 추세의 상호 연관성이며, 상기 재난유형 학습모델은, 상기 변화 연관성에 따라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상기 재난의 종류를 판별하고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으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재난확산 학습모델은, 상기 재난유형 학습모델이 클러스터링한 결과로 획득한 데이터에 대한 기울기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상기 재난의 확산속도와 상기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rrelation of the change frequency of the data value generated in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and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 amount or trend according to the rise or fall of the data value, and the disaster The type learning model is a method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disaster situations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disaster is discriminated and learned by clustering data genera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according to the change correlation, or In addition, the disaster diffusion learning model calculates the change in slope for data obtained as a result of clustering by the disaster type learning model to determine the spread rate of the disaster and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in each step, characterized in that, heterogeneous It is desirable to use a multi-sensor-based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모델은 상기 제2모델보다 상기 변화 연관성에 대한 판단기준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으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 이전에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통하여 정규화하는 데이터 정규화 단계(S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정규화 단계(S0)는, -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구조와 용어를 표준화하는 과정; 및 -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의 종류별로 차원 축소를 통한 이질적인 정수 또는 실수를 구분한 후, 가장 많은 타입을 가진 숫자 타입을 표준으로 정의하는 단위 표준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heterogeneous multi-sensor-based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first model has a lower criterion for the change correlation than the second model, or in addition to this A data normalization step (S0) of normalizing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through pre-processing before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determining the type of each of the multi-sensors and standardizing the structure and terms of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and - a unit standardization process of defining a number type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types as a standard after classifying heterogeneous integers or real numbers for each type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through dimension reduction. It is also desirable to use a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based on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보시스템이 딥러닝 학습모델인 재난징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이기종 다중센서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 중에서 재난 발생의 전조증상과 관련되는 센서 종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선별 및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 징후,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예상 장소를 예측하고 학습하는 재난징후 예측단계(S1)를 포함하기 때문에 시설물을 감지하는 센서들이 수집한 데이터의 조합 중에서 재난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의 조합이 전조증상으로 포착되는 경우 이를 재난의 징후로 알려줄 수 있어 재난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ystem uses a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which is a deep learning learning model, to select and detect data generated from sensor types related to precursor symptoms of disaster occurrence among various data collected from heterogeneous multi-sensors. Since it includes a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of analyzing and predicting and learning the signs of a disaster, the type of disaster with a risk of occurrence, and the expected place of occurrenc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disaster among the combinations of data collected by sensors that detect facilities If a combination of data with this is captured as a precursor symptom, it can be notified as a sign of a disaster, which has the effect of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본 발명은 또한, 정보시스템이 딥러닝 학습모델인 재난유형 판단모델을 이용하여 이기종 다중센서에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중에서 상호 간의 변화 연관성을 수평적으로 클러스터링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장소를 판단하고 학습하는 재난발생 감지단계(S2)를 포함하기 때문에 재난의 발생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재난 발생 시 초기에 신속하게 알려주고, 이에 따른 대응을 할 수 있으므로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ystem horizontally clusters the correlation of changes among data collected from each of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using a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 which is a deep learning learning model,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and Since it includes a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that determines and learns the place of occurrenc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quickly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so that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 is notified promptly in the early stage and responding accordingly.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it.

본 발명은 또한,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사용하는 재난유형 판단모델로서 두 개의 모델을 사용하는데, 재난징후 예측단계에서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한 경우에는 제1모델을 이용하며,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2모델을 이용하도록 하는 등 발생 징후의 유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모델을 사용하여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재난발생 판단의 정확도를 높임은 물론 재난의 발생 징후가 먼저 포착된 상태에서 재난유형 판단 시 수집된 데이터를 민감하게 판단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재난발생 판단의 정확도와 민감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uses two models as disaster type judgment models us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In the case where signs of occurrence are not predicted, the second model is used, and different models a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signs of occurrence, such a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judgment of disaster occurrence. When determining the type of disaster, collected data can be sensitively judged, an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ccuracy and sensitivity of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본 발명은 또한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재난확산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수직적 분석과 변화 연관성에 대한 수평적 분석을 통하여 재난의 확산속도 및 확산 방향을 예측하고 학습하는 재난확산 예측단계(S3)를 포함하기 때문에,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정보시스템이 재난의 확산속도 등을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진압인력의 출동 규모와 범위 등을 판단함에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isaster diffusion prediction model for vertical analysis of time series changes for each of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heterogeneous multi-sensors and horizontal analysis for change correlation Since it includes a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of predicting and learning the spread speed and direction of the disaster through enemy analys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the information system informs the manager of the spread speed of the disaster, so that the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quick and accurate decision-making in determining the size and scope of dispatch.

본 발명은 또한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발생 장소, 확산속도 및 확산 방향에 따른 재난의 확산 예상범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추론하고 이에 따른 시설물 위험도를 예측하고 학습하는 위험도 예측단계(S4)를 포함하기 때문에,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정보시스템이 재난의 확산 예상범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추론하고 이에 따른 시설물 위험도를 예측하여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재난관리자 등이 재난의 확산 예상범위 등을 감안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the expected range of the disaster spread according to the type, place of occurrence, spread speed and direction of the disaster using a risk prediction model and Since it includes a risk prediction step (S4) of inferring the situation and predicting and learning the risk of the facility 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the information system infers the expected spread of the disaster and the situation that will develop in stages, It has the effect of predicting and informing the risk level, and accordingly, the disaster manager, etc. can respond quickly in consideration of the expected scope of the spread of the disaster.

본 발명은 또한 온톨로지 기반의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발생 장소, 확산속도, 확산 방향, 확산 예상범위, 전개될 상황 또는 시설물 위험도 등에 따른 재난 상황별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관리시스템에 제공하는 의사결정 정보제공 단계(S6)를 포함하기 때문에 재난 발생 시 관리자 등이 매뉴얼에 의한 대응을 차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재난의 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uses an ontology-based disaster knowledge database to classify disaster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sters with risk of occurrence, types of disasters that have occurred, place of occurrence, spread rate, spread direction, expected range of spread, situation to be developed or risk of facilities, etc. Since the decision-making information provision step (S6) is includ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to the management system, managers, etc. can calmly respond to manuals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reby minimizing damage caused by a disaster. There are effects that can be done.

도 1은 다중 센서망를 이용한 기존의 재난감시체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이 수행되는 절차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재난의 종류별로 그 징후 예측에 사용되는 센서조합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의 학습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수행되는 절차도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온톨로지 기반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의 개념도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disaster monitoring system using a multi-sensor network.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amples of sensor combinations used for predicting symptoms for each type of disaster in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learning process of predicting and diagnosing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implemen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rocedure diagram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9 and 10 are conceptual diagrams of the ontology-based disaster knowledge databas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characteristics become clear,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mit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he term, not the name of.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Embodiments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and may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Her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a specific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the abov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or importance of corresponding components. The above express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시에는 많은 인구가 밀집되어 살고 있으며, 주거 또는 사무용 대형 건물은 물론 이들에 대한 전력, 에너지 공급이나 통신 등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인프라시설을 비롯하여 교량, 터널 등 대형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산재되어 있어 화재 등 대형 재난 발생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그리고 인구 증가와 도심의 밀집화 및 이에 따른 시설물의 복잡화, 다양화에 따라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점점 더 복잡해지고 대형화되어 피해가 커지는 추세일 뿐만 아니라 씽크홀, 건물 붕괴 또는 도심지의 산사태 등과 같이 예전에 나타나지 않던 새로운 유형의 재난까지도 발생하는 등 재난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large population lives in a densely populated city, and large structures such as bridges and tunnels, as well as various infrastructure facilities to provide power, energy supply, and communication to them, as well as large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 scattered in a complicated manner, resulting in fires and other hazards. The risk of a major disaster still exists. In addition, when disasters occur due to population growth, urban density, and consequent complexity and diversification of facilities, not only are disasters becoming more complex and larger, resulting in greater damage, but also disasters such as sinkholes, building collapses, or landslides in downtown areas. The types of disasters are also diversifying, such as new types of disasters that have not appeared before.

한편, 도심지 내 각종 건물이나 구조물, 각종 인프라는 물론 도로나 교량, 터널 등과 같은 각종 기반 시설물에는 이들을 관리하고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또는 방범이나 재난 발생 등 안전을 담보하기 위하여 그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각종 센서나 영상장비 등 감시장치들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이러한 기존의 감시장치들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연계를 통한 초연결 네트워크 환경,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분석 환경을 플랫폼 구조로 구성하여 재난에 대응하고자 하는 다양한 ICT 전략들이 제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infrastructures such as roads, bridges, tunnels, as well as various buildings, structures, and infrastructures in the downtown area are equipped with various infrastructures that can manage them and monitor their status for smooth operation or to ensure safety such as crime prevention or disaster occurrence. Many monitoring devices such as sensors and video equipment are installed. Therefore, in recent years, a hyper-connected network environment through linkage of data collected from these existing monitoring devices, Internet of Things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ve analysis environments are configured as a platform structure to respond to disasters. Strategies are presented.

그리고, 여러 유형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보완함으로써 훨씬 효과적이며 유연한 비상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절차 또한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가의 재난 안전관리 체계를 디지털 트윈으로 구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지하 공동구의 재난 안전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과 연구 등도 수행되고 있다. 이는 특정 공간에서 발생하는 국가 재난에 대한 빠른 대처와 모델링을 통해 다양한 국가 시설 및 재난과 연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트윈 재난 안전관리 플랫폼은 현장에서 수집되는 정보, 공간정보,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정보, 기관 매뉴얼 정보를 계층별로 표현하고 통합하는 절차를 적용하여 지하공동구 디지털 트윈 모형을 시각화 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재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디지털 트윈 모형으로 시공간을 관리하고 재난 안전관리를 위한 형상 관리를 플랫폼에 적용한다. In addition, a procedure that supports the establishment of a much more effective and flexible contingency plan by analyzing various types of data and running simulations to complement them is also being studied. For example, in an effort to configure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s a digital twin, digital twin platform construction and research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of underground utility conduits are also being conducted. This is because it can be linked with various national facilities and disasters through quick response and modeling of national disasters that occur in a specific space. The digital twin disaster safety management platform applies digital twin disaster prediction data to visualize the digital twin model of underground utility tunnels by applying a procedure that expresses and integrates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field, spatial information, modeling and simulation information, and agency manual information by hierarchy. generate Then, it manages time and space with the created digital twin model and applies shape management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to the platform.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시공간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많은 센서나 영상장비 등의 감시수단들이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수많은 감시수단이 수집한 데이터들은 통신망을 통하여 전문인력이 상주하는 통합관제센터 등에 제공하여 감시하도록 함과 아울러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하여 재난 발생을 자동으로 감시하게 된다. 그리고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진압인력이 출동할 수 있도록 소방서 등의 재난진압 관련 부서에 연락하고 필요한 경우 지능형 로봇 등을 출동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난대응 시스템들은 관련 센서나 영상장비 등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이용에 한계가 있어 감시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빅데이터 분석의 경우도 특정한 종류의 센서 데이터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그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as shown in FIG. 1, in urban space, numerous monitoring means such as sensors and video equipment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ata collected by the numerous monitoring means is integra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 experts reside. It is provided to the control center to be monitored, and disaster occurrence is automatically monitored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when it is judg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t contacts the department related to disaster suppression such as the fire department so that suppression personnel can be dispatched, and if necessary, intelligent robots are dispatched. However, these disaster response systems have limitations in the use of data collected from related sensors or video equipment, so they are highly dependent on surveillance personnel, and in the case of big data analysis, they analyze specific types of sensor data or video data. It is true that there are limit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하 공동구, 터널, 교량, 도로, 전력시설, 에너지 공급시설, 상하수도 시설 등 도시 등의 각종 시설물에 대하여 관리 또는 감시나 데이터획득 등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가능한 모든 종류의 센서나 감시장비를 통하여 수집되는 데이터를 모아서 이를 딥러닝 분석한 후 해당 시설물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하고 재난 발생 여부와 발생한 재난의 종류, 확산속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possible types of sensors or monitoring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management or monitoring or data acquisition of various facilities such as underground utility tunnels, tunnels, bridges, roads, power facilities, energy supply facilities, water supply and sewage facilities, etc. After collect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equipment and analyzing it by deep learning, predict the signs of a disaster that may occur within the facility and diagnose whether or not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the speed of spread, and how to diagnose the situation that will develop in stages. to provide.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시설물(10) 내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여러 가지 종류이며 각각의 종류마다 복수의 센서나 측정기”들로 이루어진 ‘이기종 다중센서(100)’들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를 정보시스템(300)이 딥러닝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는 예를 들어, 온도센서, 습도센서, 기압센서, 진동 센서, 동작센서, 소음센서 등의 각종 센서는 물론 전류계, 전압계, 고조파 측정기, 전자파측정기, 압력계, 유량계, 유속계, 누전측정기 등 다양한 측정기기도 포함되도록 하고 각각의 종류의 센서 또는 측정기는 복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from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composed of "various types and a plurality of sensors or measuring devices for each type" that collects data within each facility 10.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information system 300 analyze the collected big data by deep learning.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various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air pressure sensor, a vibra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d a noise sensor, as well as an ammeter, a voltmeter, a harmonic meter,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ens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a measuring instrument, a pressure gauge, a flowmeter, a current meter, and an earth leakage measuring instrument, and to configure a plurality of each type of sensor or measuring instrument.

예를 들어 무인변전소의 전력설비나 지하 공동구에 설치되는 전력케이블이나 연결장치, 차단장치 등 각종 전력공급 설비의 경우 전압, 전류량, 전력량, 역률, 누설전류 등 기본적인 전력공급 현황과 전력선이나 기기에서 이상이 발생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들을 복수로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및 진동 등의 지하 공동구나 변전소 내 기본적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를 포함하며, 화재감지, 가스 누출 등의 안전사고에 대비한 센서와 cctv 등 영상감시장비도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서 동작센서, 소음센서 및 출입문 개폐를 감시하는 센서 등 출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등도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설물 내에 설치된 이러한 모든 측정장치와 센서에서 측정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재난의 발생 징후와 발생 여부 등을 판단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라 함은 이같은 센서들과 측정장치 및 감시장치들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various power supply facilities such as power facilities of unmanned substations or power cables, connectors, and cutoff devices installed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s, the basic power supply status such as voltage, current amount, amount of power, power factor, and leakage current, and abnormalities in power lines or devices It not only includes a plurality of various instruments that can monitor whether or not this occurs, but also includes various sensors to measure basic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vibration in underground cavities or substations, and also includes fire detection, gas leak, etc. Video surveillance equipment such as sensors and cctv in preparation for safety accidents are also installed. In addition, sensors for detecting visitors, such as motion sensors, noise sensors, and sensors monitoring door opening and closing, are also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llect all the data measured by all these measuring devices and sensors installed in the facility and use them to determine signs and occurrences of disasters.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all of such sensors, measuring devices, and monitoring devices.

일반적으로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센서나 측정기의 종류별로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101)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101)들 모두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하나로 모을 수 있는 다중센서 게이트웨이(20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는 상기 센서나 측정기의 종류별로(100a, 100b, 100c) 수집된 데이터들이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101a, 101b, 101c)를 통하여 모아지며, 상기 다중센서 게이트웨이(200)는 상기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101a, 101b, 101c)가 모아서 보내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용 정보시스템(300)에 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in order to collect and utilize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each sensor network 101 for each type of sensor or measuring devic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ulti-sensor gateway 200 capable of collect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all of the respective sensor networks 101 into on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the data collected for each type of sensor or measuring device (100a, 100b, 100c) is collected through the respective sensor networks 101a, 101b, and 101c, and the multi-sensor gateway In step 200, it is preferable to collect data collected and sent by each of the sensor networks 101a, 101b, and 101c and send them to the information system 300 for big data analysis.

그리고 상기 정보시스템(300)은 수집된 데이터들에 대하여는 데이터 표준과 품질의 안정화를 위한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시스템(300)은, 데이터 전처리를 위해서 먼저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를 센서나 측정기의 유형에 따라 판단하고,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의 종류별로 보내는 데이터의 구조와 용어 표준화를 기준으로 정규화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데이터 전처리를 위한 정규화의 단위는, 차원 축소를 통한 이질적인 정수 또는 실수를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의 종류별로 구분하고 가장 많은 타입을 가진 숫자 타입을 표준으로 정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구조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유사성 또는 기능별로 표준화하여 이를 적용함으로써 데이터의 통일과 숫자 데이터를 정규화하는데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장 많은 숫자 타입의 변환된 숫자 데이터와 3차원 위치정보, 시간 등을 기준으로 품질을 보장하는 정규화가 수행된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ystem 300 preferably performs data pre-processing for stabilization of data standard and quality with respect to the collected data. The information system 300 first determines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according to the type of sensor or measuring device for data pre-processing, and standardizes the structure and terminology of data transmitted for each type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It is desirable to proceed with normalization based on the criterion. And, as for the unit of normalization for data preprocessing,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heterogeneous integers or real numbers through dimensionality redu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and to define the number type having the most types as a standard.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standardize terms used in data structures by similarity or function and apply them to unification of data and normalization of numeric data. Accordingly, normalization is performed to ensure quality based on converted numeric data of the most number types, 3D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또한, 상기 정보시스템(300)은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들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한 후, 표준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난의 징후가 있는지와 발생할 재난의 유형, 그리고 실제로 재난이 발생하였는지와 진행 정도를 예측하는 등 재난의 단계별로 빠르게 예측하게 된다. 즉 상기 정보시스템(300)은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들을 전처리한 후 전처리된 데이터들을 딥러닝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10)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하고, 재난의 발생 여부와 발생한 재난의 종류, 확산속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진단하여 관리시스템(4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system 300 performs preprocessing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ign of a disaster based on the standardized data, the type of disaster to occur, and the actual disaster It quickly predicts the stage of disaster, such as predicting whether it has occurred and the degree of progress. That is, the information system 300 pre-process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and then deep learning analyzes the pre-processed data to predict signs of occurrence of disasters that may occur within the facility 10, and It is desirable to diagnose whether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he type of disaster that occurred, the rate of spread, and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in stages ar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ystem 400.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종류이며 각각의 종류마다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들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를 상기 정보시스템(300)이 딥러닝 분석하여, 시설물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하고 재난 발생 여부와 발생한 재난의 종류, 확산속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3 is a flowchart of a process in which a method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ystem 300 analyzes the big data collected from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which are of various types and each type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nsors, by deep learning, It is about a method for predicting signs of occurrence of disaster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and diagnosing whether or not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the rate of spread, and the situation that will develop in stages.

이를 위하여 먼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들은 자신들이 각각 감지하거나 측정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센서 네트워크(101)를 통하여 상기 다중센서 게이트웨이(200)에 전송하면(s101), 상기 다중센서 게이트웨이(200)는 이를 수집하여 상기 정보시스템(300)에 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2). 그러면 상기 정보시스템(300)은 상기 다중센서 게이트웨이(200)에서 보내온 데이터들에 대하여 전처리를 통하여 정규화하는 데이터 정규화 단계(S0)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3). 상기 데이터 정규화 단계(S0)에서는,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구조와 용어를 표준화하는 과정을 수행한 다음에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의 종류별로 차원 축소를 통한 이질적인 정수 또는 실수를 구분한 후, 가장 많은 타입을 가진 숫자 타입을 표준으로 정의하는 단위 표준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o this end, first, as shown in FIG. 3, when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transmit various data they each sense or measure to the multi-sensor gateway 200 through the sensor network 101 (s101), Preferably, the multi-sensor gateway 200 collects and sends them to the information system 300 (s102). Then, the information system 300 preferably performs a data normalization step (S0) of normaliz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ulti-sensor gateway 200 through preprocessing (s103). In the data normalization step (S0), the type of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is determined, and a process of standardizing the structure and terms of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is performed, and then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are standardized. It is more preferable to perform a unit standardization process of defining a number type having the most types as a standard after distinguishing heterogeneous integers or real numbers through dimension reduction for each type of the multi-sensor 100 .

상기 데이터 정규화 단계(S0)를 수행한 상기 정보시스템(300)은, 재난징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s115),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서 수집되는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6
(i는 정수)의 데이터 중에서 재난 발생의 전조증상과 관련되는 센서 종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선별 및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 징후,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예상 장소를 예측하고 학습하는 재난징후 예측단계(S1)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10). 여기서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7
는 분석할 데이터를 재난발생 전조증상과의 연관성을 판단하기 위한 시계열 상의 탐지구간이다. 따라서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은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8
에서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9
또는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0
(n은 정수)의 데이터들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1
와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2
는 서로 겹치는 시간대가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fter performing the data normalization step (S0), the information system 300 uses a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s115) to detect detection intervals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6
Disaster sign that predicts and learns signs of occurrence of disasters, types of disasters with risk of occurrence, and predicted locations by selecting and analyzing data generated from sensor types related to precursor symptoms of disasters among data of (i is an intege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prediction step (S1) (s110). Here, the detection interval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7
is the detection interval on the time serie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data to be analyzed with the precursor symptoms of a disaster. Therefore,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is the detection interval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8
In the detection period,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Figure 112022106041460-pat00009
or detection interval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0
It is also possible to compare data of (n is an integer). And the detection period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1
and the detection interval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2
It is also possible to have time zones that overlap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은,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재난 발생의 전조증상과 관련되는 센서 종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선별 및 분석하여 재난의 징후를 예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는 재난 종류별로 그 징후 예측에 사용되는 센서와 감지되는 현상의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does not use all of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100, but rather selects and analyzes data generated from sensor types related to the precursor symptoms of disaster occurrence to prevent disasters. It is desirable to predict symptoms. 4 and 5 show examples of sensors used for predicting signs and detected phenomena for each type of disaster.

도 4에 제시된 사례를 예를 들면, 터널 내에서는 자동차들의 추돌 또는 충돌사고로 인하여 대형 화재 등의 재난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터널 내에서 자동차들의 추돌 또는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터널 내에서 화재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화재 재난의 한 징후로 예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을 이용하는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에서 상기 정보시스템(300)은, 터널 내에서 사고가 발생했다는 119 신고나 접수된 정보는 없지만,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중 소음감지 센서에서 충격음 또는 마찰음에 해당하는 이상 소음을 감지하고, 속도센서가 감지한 데이터 중 터널 밖 출구에서의 차량 속도는 정상인데 터널 내에서의 차량 속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면 터널 내에서 충격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차량 충돌로 화재 발생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므로 이를 재난의 발생 징후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shown in FIG. 4, collisions or collisions of cars in a tunnel often lead to disasters such as large-scale fires. Therefore, when a car collision or collision accident occurs in a tunnel, it is desirable to predict it as one sign of a fire disaster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fire disaster occurring in the tunnel. Therefore,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using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the information system 300 has no 119 report or received information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tunnel, but noise among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If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an abnormal noise corresponding to an impact or frictional sound, and the vehicle speed at the exit outside the tunnel is normal among the data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but the vehicle speed in the tunnel is rapidly decreasing, an impact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tunnel.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of a fire due to a vehicle collision, this can be predicted as a sign of a disaster.

이에 더하여 터널 입구에 부착된 cctv 화면을 분석했을 때, 위험물을 적재한 차량이 터널 내에 진입되어 있는 상태라면 화재 재난의 징후가 더욱 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차량 외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고로 인하여 사람들이 하차한 것이므로 이 또한 터널 내 재난의 발생 징후로 판단할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같이 터널 내 재난징후 포착을 위해서는, 터널 내에 장착된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중에서 터널 내 소음감지 센서, 터널의 입구 및 출구에 장착된 차량속도 측정기, 터널 입구에 장착된 cctv카메라 및 터널 내 동작감지 센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로 분석하여 재난의 징후 및 터널 내 화재사고의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analyzing the cctv screen attached to the tunnel entranc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igns of a fire disaster have increased if a vehicle loaded with dangerous goods has entered the tunnel. In addition, if a movement of a person other than a vehicle is detected, since people got off the vehicle due to an accident, this can also be used as data to be judged as a sign of a disaster in the tunnel. Therefore, in order to capture the signs of disaster in the tunnel, among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installed in the tunnel, a noise detection sensor in the tunnel, a vehicle speed measurer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unnel, a cctv camera installed at the tunnel entrance, and a tunnel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my motion detection sensor with the disaster sign prediction model, it will be possible to predict the signs of disaster and the risk of fire accidents in the tunnel.

또 다른 사례로서,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지하 공동구나 무인변전소 등에서는 전력설비로 인한 전기화재 발생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지하 공동구에 설치된 전력케이블이나 무인변전소 등의 전력설비에서는 아크방전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지하 공동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당히 광범위한 화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무인변전소나 주상 전력설비 등에서 화재 발생 시 산불 등의 대형 재난사고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 즉, 전력설비 내에서 접촉 불량이나 단선 등이 발생하면 그 부위에서 아크방전이 발생하게 되는데 아크방전은 불꽃이나 섬광 및 열을 수반한다. 다만, 대부분의 경우 아크방전이 발생하더라도 바로 화재로 이어지지는 않기 때문에 아크방전을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아크방전을 방치하게 되면 절연부의 열화와 이로 인한 발열 및 이로 인한 열 폭주 현상으로 이어지고 이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여 주변으로 번지고 결국 대형 화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re is a possibility of electrical fire due to power facilities in an underground utility or an unmanned substation. In particula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fire due to an arc discharge in power facilities such as power cables installed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s or unmanned substations, and if a fire breaks out in an underground utility tunnel,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develop into a fairly wide range of fire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develop into an unmanned substation or residential power facility. When a fire breaks out in the back,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develop into a large-scale disaster such as a forest fire. That is, when a contact defect or disconnection occurs in a power facility, an arc discharge occurs at that part, and the arc discharge is accompanied by sparks, flashes, and heat. However, in most cases, even if an arc discharge occurs,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arc discharge at an early stage because it does not immediately lead to a fire. However, if the arc discharge is left unattended, it leads to deterioration of the insulation part, heat generation caused by it, and thermal runaway phenomenon, which causes a fire to spread to the surroundings and eventually develop into a large-scale fire.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하는 재난징후 예측단계(S1)를 수행하게 되면, 화재가 발생하지는 않았더라도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아크방전의 징후를 찾아내어 초기에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즉 아크방전이 발생하면 고조파가 증가하면서 동시에 전자파까지 증가하게 되며, 아크방전은 열과 섬광을 수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의 데이터 중 고조파 측정기, 전자파 측정센서, 온도센서 및 조도센서 등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전력설비로 인한 화재의 징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조파가 증가하면서 동시에 전자파가 증가하면 이는 아크방전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외함이나 케이블의 표면 온도까지 상승하거나 조도의 변화까지 감지되면 이는 화재 발생의 직전 단계로 예측될 수가 있을 것이다.However, whe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of analyzing the data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is performed using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sibility of a fire occurring even if a fire does not occur is reduced. You can find out the signs of an arc discharge you have and take action at an early stage. That is, when arc discharge occurs, harmonics increase and electromagnetic waves increase at the same time, and since arc discharge can accompany heat and flash, among the data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the harmonics measurer, the electromagnetic wave measurer, the temperature sensor, the illuminance sensor, etc.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sign of a fire caused by a power facility by using the change value of the generated data. That is, if the harmonics increase and the electromagnetic waves increase at the same time, it is determined that an arc discharge occurs, and i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enclosure or cable rises or even a change in illumination is detected, this can be predicted as the immediately preceding stage of a fire.

이같이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서 예를 들은 것처럼 재난의 전조증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의 데이터들을 선별하여 조합하고 이를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으므로 재난의 발생 징후,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예상 장소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이 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학습을 함으로써 예측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 다음에 수행될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면, 실제 재난의 발생 여부까지도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이 학습할 수 있으므로 재난의 발생 징후,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예상 장소를 더욱 정교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d combines the data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that may occur as a precursor to a disaster,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and analyzes them using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symptoms of a disaster, the type of disaster with a risk of occurrence, and the expected place of occurrence. In addition to this, the prediction accuracy can be further increased by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learning using the prediction result. And if it is determined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subsequent disaster detection step (S2),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can learn whether or not an actual disaster has occurred. And it is possible to more elaborately predict the expected place of occurrence.

이 외에도, 지하 공동구 등과 같은 시설물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재난의 발생 징후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이 있다. 즉, 외부인의 침입으로 인한 방화 또는 실화, 전력설비의 과부하, 정전기, 방전, 뇌(벼락)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근무자 또는 외부인의 흡연이나 인화성 물질의 반입, 전열기나 전등의 과열, 공동구 내 보수작업 등에 따른 정전기, 용접, 유증기 발생 등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에 이러한 발생 징후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포함하고 학습시킴으로써 재난징후를 신속하고 정교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is,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can be signs of occurrence of fire disasters that may occur in facilities such as underground common pits. That is, arson or misfire due to intrusion by outsiders, overload of power facilities, static electricity, electrical discharge, brain (lightning), etc. can also be causes, and smoking or bringing in inflammable materials by workers or outsiders, overheating of electric heaters or lights, It may be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such as static electricity, welding, and oil vapor generation due to maintenance 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nd learning various possibilities of such occurrence symptoms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it will be possible to predict disaster symptoms quickly and precisely.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보시스템(300)은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를 수행하고 난 뒤에는, 재난유형 판단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서 수집되는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3
의 데이터 중에서 상호 간의 변화 연관성을 수평적으로 클러스터링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장소를 판단하고 학습하는 재난발생 감지단계(S2)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30, s131).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에서 적용되는 딥러닝 모델인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에서는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 수집되는 데이터 중에서 재난 발생의 전조증상과 관련되는 센서 종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만 선별하여 분석했으나,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 적용되는 딥러닝 모델인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에서는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 수집되는 데이터 모두를 사용하여 데이터들 상호 간의 변화 연관성을 수평적으로 클러스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after the information system 300 performs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the detection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is performed using a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 section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3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disaster detec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learning by horizontally clustering the correlation of changes among the data of (s130, s131).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which is a deep learning model applied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only data generated from sensor types related to precursor symptoms of disaster occurrence are selected from among the data collected by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However, in the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 which is a deep learning model applied to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all of the data collected by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100 is used to horizontally correlate changes between data It is preferable to cluster with .

여기서 상기 변화 연관성은 상기 이기종 다중 센서(100)들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값의 변화 빈도의 연관성 및 상기 데이터값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변화량 또는 추세의 상호 연관성이며, 상기 재난유형 학습모델은, 상기 변화 연관성에 따라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여 상기 재난의 종류를 판별하고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hange correlation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change of the data value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100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amount or trend according to the rise or fall of the data value, and the disaster type learning model It is preferable to discriminate and learn the type of disaster by clustering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according to change correlation.

상기 변화 연관성의 예를 들면, 지하 공동구 안에서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중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데이터값이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변화량 또는 추세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했을 때, 현시점으로부터 일정 시점 이전부터 온도가 상승하면서 습도는 낮아지는 추세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면, 화재로 인하여 온도가 올라가면서 그 열기로 인하여 습도가 낮아지는 것이므로 이는 지하 공동구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조도가 낮아진다면 화재로 인한 연기로 조도가 낮아지는 것일 수도 있으므로 더욱 확실한 화재 발생의 판단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스감지 또한 화재발생의 판단자료가 된다. 그리고 자동화재탐지설비에 의한 화재감지는 화재 발생 판단의 중요한 데이터가 될 것인데, 이와 더불어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데이터까지 추가된다면 지하 공동구 안에서의 화재 발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해 낼 수 있을 것이다. As an example of the change correlation, when the data values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among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in the underground utility tunnel are analyzed for the amount of change or the correlation of the trend according to the rise or fall, from before a certain point in time from the present point in time. If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humidity decreases,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fire and the humidity decreases due to the heat,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in the underground common port. In addition, if the illuminance is lowered, it may be that the illuminance is lowered due to the smoke caused by the fire, so it can be a more reliable basis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ddition, gas detection also serves as judgment data for fire occurrence. In addition, fire detection by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will be important data for determining fire occurrence. In addition, if data from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are added, it will be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underground common tunnel.

또한, 재난 발생 중 터널 내 화재를 예를 들면,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중 온도센서에서 온도값이 상승하고 가스센서에서 가스농도가 상승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인데, 이와 더불어 소음감지 센서에서 충격음 또는 마찰음에 해당하는 이상 소음을 감지했었고, 속도센서가 감지한 데이터 중 터널 밖 출구에서의 차량 속도는 정상인데 터널 내에서의 차량 속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면 터널 내에서 차량충돌 사고로 인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도센서에서 조도가 저하되고, 동작감지 센서에서 차량 외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화재사고로 인하여 사람들이 하차한 것이므로 이 또한 터널 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aking a fire in a tunnel during a disaster, 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value rises in the temperature sensor among the heterogeneous multiple sensors 100 and the gas concentration rises in the gas sensor, it will be able to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If the sensor detects an abnormal noise corresponding to an impact or frictional sound, and the vehicle speed at the exit outside the tunnel is normal among the data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but the vehicle speed in the tunnel is rapidly decreasing, it is due to a vehicle collision in the tunnel. It can be judg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addition, if the illuminance is lowe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movement of a person other than the vehicle is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this can also be used as data to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tunnel because people got off the vehicle due to a fire accident.

이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중에서 상호 간의 변화 연관성을 수평적으로 클러스터링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장소를 판단하고 학습하게 되는데,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에서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는 매우 다양할 것이다. 예를 들면, 진동, 온도, 풍속, 조도, 습도, 속도, 가속도, 강수, 강우, 강설, 누수, 탄성, 밀도, 기압, 마찰력, 미끄럼도, 거침도, 텐션, 힘, 거리, 칼라, 색온도, 접촉횟수, 저항, 탁도, 농도, 점도, 접착도, 수위, 유속, 유량, 풍량, 풍향, 전류, 전압, 전력, 전력량, 회전수, 건조도, 인장력, 장력, 압력, 결합력, 강도, 탄성력, 진공도, 기울기, 원심력, 구심력, 각도, 굴절률, 반사율, 염도 등,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는 이같이 상당히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은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들 상호 간의 연관성을 수평적으로 클러스터링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장소를 판단하고 학습하게 된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 among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horizontal clustering of correlations between changes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In this case, the data that can be collected from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100 will be very diverse. For example, vibration, temperature, wind speed, illuminance, humidity, speed, acceleration, precipitation, rainfall, snowfall, water leakage, elasticity, density, air pressure, frictional force, slippage, roughness, tension, force, distance, color, color temperature, Contact count, resistance, turbidity, concentration, viscosity, adhesiveness, water level, flow rate, flow rate, air volume, wind direction, current, voltage, power, wattage, number of revolutions, dryness, tensile force, tension, pressure, bonding force, strength, elasticity, The data that can be measured, such as vacuum, slope, centrifugal force, centripetal force, angle, refractive index, reflectance, and salinity, are quite divers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 horizontally clusters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ous data It determines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and the place where it occurred and learns.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적용하는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은 이전에 수행된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의 예측결과에 따라 유형이 다른 재난유형 판단모델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에서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4
에 대하여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 중 제1모델을 이용하도록 하고(s135),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에서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 중 제2모델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36). 여기서 상기 제1모델은 상기 제2모델보다 상기 변화 연관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낮게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제1모델은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에서 재난의 징후를 예측한 이후에 재난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어서 재난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므로 판단의 민감도를 더 높이기 위하여 그 판단에 있어서 다소 변화 연관성이 낮더라도 재난 발생으로 판단하게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the disaster type judgment model appli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uses a disaster type judgment model of a different type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 of the previously performed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It is desirable to apply That is, the detection interval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4
In the case of predicting a symptom of a disaster, the first model among the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s is used (s135), and if the symptom of a disaster is not predicted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among the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s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econd model (s136). He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model applies a lower criterion for the change correlation than the second model. That is, since the first model determines whether a disaster will occur after predicting the signs of a disaster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disaster is high.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judgment, the correlation of some changes in the judgment Even if it is low, it is judged as a disaster.

그리고,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에서 상기 발생 징후를 예측한 경우에는,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5
뿐만이 아니라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6
에 대한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도 상기 제1모델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에서 상기 발생 징후를 예측하였기 때문에 재난의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이므로 당분간 민감도를 높여서 감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And, when the occurrence symptom is predicted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the detection interval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5
In addition, the detection interval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6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for the disaster occurrence using the first model as well. Since the occurrence symptom is predicted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is high, so for the time being This is because it is desirable to monitor with increased sensitivity.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s140), 재난확산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수직적 분석과 상기 변화 연관성에 대한 수평적 분석을 통하여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7
에서의 재난의 확산속도 및 확산 방향을 예측하고 학습하는 재난확산 예측단계(S3)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40).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s140), using a disaster diffusion prediction model, each of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Detection interval through vertical analysis of time series change for and horizontal analysis of correlation of change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7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of predicting and learning the spread speed and spread direction of the disaster in (s140).

그리고 상기 재난확산 학습모델은, 상기 재난유형 학습모델이 클러스터링한 결과로 획득한 데이터에 대한 기울기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상기 재난의 확산속도와 상기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앞서 예를 들은 지하 공동구 내 화재의 경우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수직적 분석이라 함은 온도의 상승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등의 데이터값의 시계열적 변화이며, 이를 통하여 화재의 심각도가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변화 연관성에 대한 수평적 분석이라 함은, 서로 떨어져 있는 온도센서들 각각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의 차이 및 변화추이를 이용하여 화재가 확산되어 나아가는 물리적 범위와 방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aster diffusion learning model calculates a change in slope for data acquired as a result of clustering by the disaster type learning model to determine the spread rate of the disaster and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in each step.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fire in the underground utility tunnel mentioned above, the vertical analysis of the time-series change for each data is the time-series change of data values such as how fast the temperature rises, and through this, how quickly the severity of the fire You can predict what's going on. In addition, horizontal analysis of change correlation can predict the physical range and direction in which the fire spreads using the difference and change trend of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temperature sensor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이와 더불어서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s140), 위험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의 판단결과와 상기 재난확산 예측단계(S3)의 예측결과 및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100)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발생한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장소, 상기 확산속도 및 상기 확산방향에 따른 재난의 확산 예상범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추론하고 이에 따른 시설물 위험도를 예측하고 학습하는 위험도 예측단계(S4)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60).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s140), the judgment result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and the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using a risk prediction model ) and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0 are analyzed, and the expected range of disaster sprea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the place of occurrence, the spread speed, and the spread direction, and the It is desirable to infer the situation and to perform the risk prediction step (S4) of estimating and learning the risk of the facility accordingly (s160).

여기서 상기 시설물 위험도는 재난의 종류에 따라 확산되는 단계를 표현하도록 하고, 정부에서 정의한 재난 종류별 대응단계를 기준으로 기울기 변화 예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 위험도 단계를 정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설물 위험도 단계는 정량적 위험도 판단과 정성적 위험도 판단으로 구분하여 단계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정량적 위험도 판단은 정부에서 정의한 위험도 단계 범주를 입력값으로 하고, 수직적 이상 상황 예측에서 나온 기울기 변화 예측 데이터를 맵핑하여 위험도 단계를 수렴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성적 위험도 판단은 재난 종류별 표준 운영매뉴얼에 정의된 위험도 대응매뉴얼을 맵핑하여 위험도 단계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cility risk level expresses the level of diffu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and the facility risk level is defined using slope change prediction data based on the response level for each type of disaster defined by the government. It is preferable to define the steps by dividing the risk level of the facility into quantitative risk judgment and qualitative risk judgment. It is desirable to converge the risk level by mapping .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risk level by mapping the risk response manual defined in the standard operation manual for each type of disaster to determine the qualitative risk level.

그리고,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에서 상기 재난의 발생 징후, 상기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예상 장소를 예측한 경우에는 이러한 재난 이벤트를 관리시스템에 제공하는 재난 이벤트 전파단계(S5)를 수행하면서(s190)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재난 발생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 또는 CCTV 화면을 상기 관리시스템(400)에 전송하여 집중감시를 유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when the occurrence symptom of the disaster, the type of the disaster with the risk of occurrence, and the expected place of occurrence are predicted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the disaster event propagation step of providing the disaster event to the management system (S5 ) While performing (s190),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n alarm and simultaneousl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r CCTV screens for places with a risk of disaster to the management system 400 to induce intensive monitoring.

또한,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의 발생 여부, 발생한 재난의 종류, 재난의 발생 장소 등을 판단한 경우와 상기 재난확산 예측단계(S3)에서 재난의 확산속도, 재난의 확산 방향을 예측한 경우 또는 상기 위험도 예측단계(S4)에서 재난의 확산 예상범위, 향후 전개될 상황 및 시설물 위험도 등을 예측한 경우에도 이를 재난 이벤트로 하여 상기 관리시스템(400)에 제공하는 재난 이벤트 전파단계(S5)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90).In addition, whe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determines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predicts the spread speed of the disaster and the direction of the disaster Disaster event propagation step (S5 ) is preferably performed (s190).

그리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 상기 재난확산 예측단계(S3), 상기 위험도 예측단계(S4)에서 예측하거나 판단한 결과에 대하여 상기 관리시스템(400)의 확인이 있는 경우, 즉, 예측 및 판단결과에 대한 맞고 틀림이 확인된 경우에는(s200), 그 결과를 상기 재난징후 예측모델,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 상기 재난확산 예측모델 및 상기 위험도 예측모델에 피드백하여 학습시키는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s shown in FIG. 6, the results predicted or determined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the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and the risk prediction step (S4) are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confirm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400, that is, when the correctness and erroneousness of the prediction and judgment result is confirmed (s200), the result is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the disaster type judgment model, and the disaster spread prediction model. An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procedure for learning by feeding back to the risk prediction model.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본 실시예가 수행되는 절차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performing the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flow chart of a procedure by which this embodiment is performed.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한 구성에 온톨로지 기반의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50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보시스템(300)이 온톨로지 기반의 상기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500)를 이용하여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 상기 재난확산 예측단계(S3), 상기 위험도 예측단계(S4)에서 예측하거나 판단한 결과에 대하여 각각의 상황별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상기 관리시스템(400)에 제공하는 의사결정 정보제공 단계(S6)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10 ~ s320). As shown in FIG. 7, this embodiment is an embodiment further including an ontology-based disaster knowledge database 50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information system 300 uses the ontology-based disaster knowledge database 500 to perform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A decision-making information providing step (S6)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for each situation to the management system 400 with respect to the results predicted or judged in the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and the risk prediction step (S4).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s310 to s320).

이에 따라, 상기 정보시스템(300)은 온톨로지 기반의 상기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500)를 이용하여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발생 장소, 확산속도, 확산 방향, 확산 예상범위, 향후 전개될 상황 또는 상기 시설물 위험도에 따른 재난 상황별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상기 관리시스템(400)을 통하여 재난관리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information system 300 uses the ontology-based disaster knowledge database 500 to determine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a risk of occurrence,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the place of occurrence, the rate of spread, the direction of spread, the expected range of spread, and the future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for each disaster situ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or the risk level of the facility can be provided to the disaster manager through the management system 400 .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500)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난 상황에 판단과 예측된 정보를 단계별 제시를 위한 상기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500)는 재난의 상황별, 단계별, 예측 대응에 대한 지식정보를 온톨로지 체계로 구성하여 예측과 상황 판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상태에서 구조 및 복구 작업과 관리를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과 업무 수행을 책임지는 상황 분석과 지원 지식체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 작업자가 안전하지 못한 재난 현장에서 위험도가 높은 상황에서 빠른 상황 판단과 지식정보를 제공받아 위험을 최소화하는 온톨로지 명세로직 구성과 추론 관계를 정의하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and 10 show conceptual diagrams of the disaster knowledge database 5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disaster knowledge database 500 for determining the disaster situation and presenting predicted information step by step constructs knowledge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step, and predicted response of the disaster into an ontology system to predict and determine the situatio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This is because a situation analysis and supporting knowledge system that is responsible for the safety and job performance of workers performing rescue and recovery work and management in a state of high understanding of the site is requir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function of defining the ontology specification logic configuration and reasoning relationship that minimizes risk by providing quick situational judgment and knowledge information in a high-risk situation in an unsafe disaster site.

한편, OWL-DL은 행위의 표현을 추론하기 위해 구성요소에 대한 기호의 명칭을 부여하고 기본적인 계층적 관계를 포함하는 명세 로직을 구성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톨로지 재난 이상상황 추론 지식모델은 재난 현장의 이기종 다중센서의 데이터로부터 행위에 대한 분류를 위해 표준운영메뉴얼 기반의 서술 논리를 구성한 OWL-DL을 이용하여 세부적인 대응자 및 관련자에게 지식 정보를 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클래스는 앞에서 처리된 재난 이상상황을 평가한 수평적 이상상황 예측에 대한 연관관계를 판단하는 표현 범위를 가져야 하며, 인스턴스는 수직적 이상상황 예측에 대한 예측 분포를 시계열 분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WL-DL assigns symbolic names to components to infer the expression of actions and configures specification logic including basic hierarchical relationships. As shown in FIG. 10, the ontology disaster anomaly situation reasoning knowledge model uses OWL-DL, which configures standard operation manual-based description logic to classify actions from data of heterogeneous multi-sensors at disaster sites, to provide detailed responders and related persons. It is desirable to allow knowledge information to be inferred. At this time, the class should have an expression range for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abnormal situation prediction evaluated for the disaster anomaly situation processed above, and the instance preferably configures the prediction distribution for the vertical abnormal situation prediction as a time series distribution.

그리고, 본 발명에는 상기 관리시스템(400)이, 상기 재난 이벤트를 디지털 트윈 모형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생성단계(S7)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생산된 예측 데이터는 재난 종류별 확산이 예상되는 시간과 크기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디지털 트윈 모형으로 재난 종류에 따른 변화를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또한 생성되는 디지털 트윈 데이터는 이기종 다중 장치를 이용하여 현장 상황실과 스마트 단말로 연계되어 재난 안전 관리 기능을 3차원 디지털 트윈 모형으로 서비스하는 공간 데이터와 연계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스마트 단말을 활용하여 재난통신망(PS-LTE) 상에서 재난 현장에 있는 작업자의 개인 안전과 이상상황을 빠르게 판단이 가능하고 국가 재난안전관리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management system 400 further include a digital twin generation step (S7) of implementing the disaster event as a digital twin model. In this way, the predicted data produced can confirm the expected spread time and size for each type of disaster,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imulate chang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with a digital twin model.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generated digital twin data be linked to the on-site situation room and smart terminal using heterogeneous multiple devices to provide a service linked to spatial data that provides a 3D digital twin model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functions. Then, by using the smart terminal,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the personal safety and abnormal situation of workers at the disaster site o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PS-LTE), and it can be linked with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various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시설물
100 이기종 다중센서
101 센서 네트워크
200 다중센서 게이트웨이
300 정보시스템
400 관리시스템
500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
10 Facilities
100 Heterogeneous multi-sensors
101 sensor network
200 Multisensor Gateway
300 Information Systems
400 management system
500 Disaster Knowledge Database

Claims (9)

여러 가지 종류이며 각각의 종류마다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이기종 다중센서들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를 정보시스템이 딥러닝 분석하여, 시설물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발생 징후를 예측하고 재난 발생 여부와 발생한 재난의 종류, 확산속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재난징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8
의 데이터 중에서 재난 발생의 전조증상과 관련되는 센서 종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선별 및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 징후,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예상 장소를 예측하고 학습하는 재난징후 예측단계(S1);
재난유형 판단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9
의 데이터 중에서 상호 간의 변화 연관성을 수평적으로 클러스터링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발생 장소를 판단하고 학습하되,
-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에서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20
에 대한 상기 발생 징후를 예측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 중 제1모델을 이용하며,
- 상기 발생 징후를 예측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유형 판단모델 중 제2모델을 이용하는 재난발생 감지단계(S2);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재난확산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수직적 분석과 상기 변화 연관성에 대한 수평적 분석을 통하여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21
에서의 재난의 확산속도 및 확산방향을 예측하고 학습하는 재난확산 예측단계(S3);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발생한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장소, 상기 확산속도 및 상기 확산방향에 따른 재난의 확산 예상범위 및 단계별로 전개될 상황을 추론하고 이에 따른 시설물 위험도를 예측하고 학습하는 위험도 예측단계(S4); 및
상기 재난의 발생 징후, 상기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예상 장소,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상기 발생한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장소, 상기 확산속도, 상기 확산방향, 상기 확산 예상범위, 상기 전개될 상황 및/또는 상기 시설물 위험도를 포함하는 재난 이벤트를 관리시스템에 제공하는 재난 이벤트 전파단계(S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
The information system deep learning analyzes the big data collected from heterogeneous multi-sensors, which are of various types and each type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nsors, to predict signs of disasters that may occur within the facility, an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what occurred As a method of diagnosing the type of disaster, the rate of spread and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in stages,
Detection intervals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using a disaster symptom prediction model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8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of predicting and learning the signs of a disaster, the type of disaster with a risk of occurrence, and the expected place of occurrence by se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generated by the types of sensors related to the precursor symptoms of a disaster among the data. ;
The detection section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using a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
Figure 112022106041460-pat00019
By horizontally clustering the correlation of changes among the data of the data,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and the location of the occurrence are judged and learned,
- Detection section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Figure 112022106041460-pat00020
In the case of predicting the occurrence symptom for , the first model among the disaster type determination models is used,
- If the occurrence symptom is not predicted, a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using a second model among the disaster type judgment model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a vertical analysis of time series changes for each of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and a horizont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s are performed using a disaster diffusion prediction model. Through the detection zone
Figure 112022106041460-pat00021
A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of predicting and learning the spread speed and spread direction of disasters 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a risk prediction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spread of the disaste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the place of occurrence, the spread rate, and the spread direction, and the spread of the disaster in stages. A risk prediction step (S4) of inferring the situation to be and predicting and learning the risk of the facility accordingly; and
The symptom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the type of disaster with a risk of occurrence, the expected location, whether or not the disaster occurred, the type of the disaster, the place of occurrence, the spread rate, the spread direction, the expected spread range, the Disaster event propagation step (S5) of providing a disaster event including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and / or the risk of the facility to th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eterogeneous multi-sensor based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온톨로지 기반의 재난지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발생 위험이 있는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한 재난의 종류, 상기 발생 장소, 상기 확산속도, 상기 확산방향, 상기 확산 예상범위, 상기 전개될 상황 또는 상기 시설물 위험도에 따른 재난 상황별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상기 관리시스템에 제공하는 의사결정 정보제공 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1,
Using the ontology-based disaster knowledge database, the type of disaster with the risk of occurrence, the type of disaster that occurred, the place of occurrence, the spread rate, the spread direction, the expected range of spread, the situation to be developed, or the risk level of the facility A method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스템이, 상기 재난 이벤트를 디지털 트윈 모형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생성단계(S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a digital twin generation step (S7) of implementing the disaster event as a digital twin model; heterogeneous multi-sensor based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이벤트 전파단계(S5) 및 상기 의사결정 정보제공 단계(S5)는,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 상기 재난확산 예측단계(S3) 또는 상기 위험도 예측단계(S4)에서 상기 재난 이벤트를 예측 또는 판단한 경우에 각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disaster event propagation step (S5) and the decision-making information providing step (S5) include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step (S2), the disaster spread prediction step (S3) or the risk prediction step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performed when the disaster event is predicted or determined in step (S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에서 상기 발생 징후를 예측한 경우에는,
- 상기 재난 이벤트 전파단계(S5)에서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재난 발생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 또는 CCTV 화면을 상기 관리시스템에 전송하여 집중감시를 유도하며,
- 상기 탐지구간
Figure 112022106041460-pat00022
에 대한 상기 재난발생 감지단계(S2)를 상기 제1모델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n the occurrence symptom is predicted in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 At the same time as generating an alarm in the disaster event propagation step (S5), location information or CCTV screens for places with a risk of disaster occurrence ar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ystem to induce intensive monitoring,
- The above detection section
Figure 112022106041460-pat00022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aster detection step (S2) f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델은 상기 제2모델보다 상기 변화 연관성에 대한 판단기준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based on heterogeneous multi-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odel has a lower criterion for the change correlation than the second mode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징후 예측단계(S1) 이전에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통하여 정규화하는 데이터 정규화 단계(S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정규화 단계(S0)는,
-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구조와 용어를 표준화하는 과정; 및
- 상기 이기종 다중센서 각각의 종류별로 차원 축소를 통한 이질적인 정수 또는 실수를 구분한 후, 가장 많은 타입을 가진 숫자 타입을 표준으로 정의하는 단위 표준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다중센서 기반의 재난 상황 예측 및 진단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data normalization step (S0) of normalizing through pre-processing of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prior to the disaster symptom prediction step (S1); further comprising,
The data normalization step (S0),
- Determining the type of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and standardizing the structure and terms of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s; and
- A unit standardization process of defining a number type having the most types as a standard after classifying heterogeneous integers or real numbers through dimensionality reduction for each type of the heterogeneous multi-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terogeneous multi-sensor based Disaster situation prediction and diagnosis method
KR1020220128952A 2022-10-07 2022-10-07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KR102480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952A KR102480449B1 (en) 2022-10-07 2022-10-07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952A KR102480449B1 (en) 2022-10-07 2022-10-07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49B1 true KR102480449B1 (en) 2022-12-23

Family

ID=8453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952A KR102480449B1 (en) 2022-10-07 2022-10-07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4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058B1 (en) * 2023-10-19 2023-12-14 주식회사 알엠에이 AI deep learning-based risk detection system including heterogeneous big data compatible gateway
CN117422205A (en) * 2023-12-18 2024-01-19 天津电力工程监理有限公司 Digital twinning-based fabricated steel structure substatio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40016233A (en) * 2022-07-28 2024-02-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detects and responds to disaster situations in real time
CN118036997A (en) * 2024-03-15 2024-05-14 中关村科学城城市大脑股份有限公司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mediu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033A (en)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올젠케어 Learning type emergency detection system with multi-sensor and that method
KR20160107512A (en) 2015-03-04 2016-09-19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Intelligent 3D Disaster Simulation and Method based on Ontology and Slope
KR20180118979A (en) * 2017-04-24 2018-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isk detection, prediction, and its correspondence for public safety based on multiple complex information
KR102208152B1 (en) 2019-04-01 2021-01-28 주식회사 온품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KR20210133503A (en)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AI Type Total Security And Monitoring Service System
KR102440097B1 (en) 2020-06-15 2022-09-06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disaster for electric power faciliti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033A (en)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올젠케어 Learning type emergency detection system with multi-sensor and that method
KR20160107512A (en) 2015-03-04 2016-09-19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Intelligent 3D Disaster Simulation and Method based on Ontology and Slope
KR20180118979A (en) * 2017-04-24 2018-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isk detection, prediction, and its correspondence for public safety based on multiple complex information
KR102208152B1 (en) 2019-04-01 2021-01-28 주식회사 온품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KR20210133503A (en)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AI Type Total Security And Monitoring Service System
KR102440097B1 (en) 2020-06-15 2022-09-06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disaster for electric power faciliti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미숙, 정우석, 김은솔, "디지털 트윈 기반 지하공동구 재난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정보과학회지, 39(2), pp. 16-24(2021).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233A (en) * 2022-07-28 2024-02-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detects and responds to disaster situations in real time
KR102682184B1 (en) 2022-07-28 2024-07-04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detects and responds to disaster situations in real time
KR102613058B1 (en) * 2023-10-19 2023-12-14 주식회사 알엠에이 AI deep learning-based risk detection system including heterogeneous big data compatible gateway
CN117422205A (en) * 2023-12-18 2024-01-19 天津电力工程监理有限公司 Digital twinning-based fabricated steel structure substatio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7422205B (en) * 2023-12-18 2024-04-19 天津电力工程监理有限公司 Digital twinning-based fabricated steel structure substatio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8036997A (en) * 2024-03-15 2024-05-14 中关村科学城城市大脑股份有限公司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449B1 (en) Disast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KR102138340B1 (en) Autonomous Inspection and Failure Notification System for IoT-based Repair Facilities Using Intelligent Remote Terminal Device
KR101290824B1 (en) Infrastructu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businesssupport system
CN112464813B (en) Mountain fir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US20200363288A1 (en) Structural Monitoring System
KR102440097B1 (en) System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disaster for electric power faciliti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4450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alerting using the sameusing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KR20210051376A (en)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CN115393142A (en) Intelligent park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latform
CN111445671A (en) Power transmission line geological disast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optical fiber strain analysis
CN111178828A (en)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fire safety early warning
CN113344735B (en) Disaster prevention and reduction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of power grid equipment
CN112288320A (en) Subway operation risk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KR102238764B1 (en) Real-time accident prediction system using hazard assessment and method thereof
CN114118202A (en) Early warning method for abnormal events of urban underground comprehensive pipe gallery
CN116966468A (en) Intelligent fire-fighting equipment supervision system
CN112085075A (en) Pipeline corrosion leakage fire deduction system based on Bayesian network inference model
Finogeev et al. Collection and consolidation of big data for proactive monitoring of critical events at infrastructure facilities in an urban environment
KR20230102342A (en) Fi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ased on smart-housing platform
KR20220071880A (en) Digital twin disaster management system customized for underground public areas
CN117919641A (en) Fire control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6958900A (en) Visual fire data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US20230024104A1 (en) Identification of false transformer humming using machine learning
CN108650124A (en) A kind of communication system of power grids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WebGIS
CN114894340A (en) Power transmission cable multiplexing 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