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719B1 -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719B1
KR102207719B1 KR1020190092038A KR20190092038A KR102207719B1 KR 102207719 B1 KR102207719 B1 KR 102207719B1 KR 1020190092038 A KR1020190092038 A KR 1020190092038A KR 20190092038 A KR20190092038 A KR 20190092038A KR 102207719 B1 KR102207719 B1 KR 102207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ructive inspection
inspection data
unit
command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서원석
구승범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여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서 지정받은 특정 공간의 비파괴 검사 자료를 요청하여 전달받는 통신부;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서버로부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전달받기 위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서 디지털 지도 좌표상의 특정 공간을 지정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변환되어 표시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명령 입력부; 및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 및 디지털 지도를 불러와 현실 세상의 구조물 위에 겹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 및 디지털 지도를 독립적으로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UGMENTED REALITY DISPLAY APPARATUS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CONCRETE STRUCTUR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파괴 검사를 통해 생성된 자료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실 세상에 겹쳐 시각화하여 표시되게 함으로써, 비파괴 검사 자료를 현실 세상에서 쉽게 대조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통상 그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유지관리를 위해 투입되는 자원이 많고 한 번 점검할 때 긴 시간과 큰 노동력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아직 사용 중이므로 검사를 위해 구조물의 일부를 훼손하는 검사는 피해야 하며, 따라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래에는 발달한 로봇과 드론 기술을 이용해 사람의 손이 닿기 힘든 곳까지 검사하기가 수월해졌고 자동화를 통해 검사 속도 또한 매우 빨라졌지만, 여전히 비파괴 검사 자료를 검토하고 추가로 세밀한 확인이 필요한 부위가 있으면 직접 사람이 실제 위치(또는 현실 위치)를 찾아가 살펴야 한다.
그런데 교량과 같이 수 킬로미터까지 이르기도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직접 발로 밟으며 돌아다니면서, 점검이 필요한 부위를 특정하고, 해당하는 위치의 비파괴 검사 자료를 찾아 실제 위치(또는 현실 위치)와 대조하며, 정확한 위치(즉, 추가로 세밀한 확인이 필요한 부위의 위치)를 찾아 필요한 추가 정밀 조사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문가(예 : 비파괴 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실제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전문가)와 동행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정확한 위치(즉, 추가로 세밀한 확인이 필요하거나 보수가 필요한 부위의 위치)를 찾아 필요한 추가 정밀 조사를 수행하거나 보수가 필요한 해당 위치를 쉽게 찾아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0475호(2018.09.13. 등록, 증강현실 객체의 정합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비파괴 검사를 통해 생성된 자료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실 세상에 겹쳐 시각화하여 표시되게 함으로써, 비파괴 검사 자료를 현실 세상에서 쉽게 대조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여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서 지정받은 특정 공간의 비파괴 검사 자료를 요청하여 전달받는 통신부;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서버로부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전달받기 위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서 디지털 지도 좌표상의 특정 공간을 지정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변환되어 표시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명령 입력부; 및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 및 디지털 지도를 불러와 현실 세상의 구조물 위에 겹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 및 디지털 지도를 독립적으로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 비파괴 검사 자료 제공 서버,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업체의 서버, 및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비파괴 검사 자료, 디지털 지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비파괴 검사 자료를 시각화한 정보, 및 비파괴 검사 자료를 출력할 사용자 단말의 스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마우스, 버튼, 스위치, 및 조그다이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디스플레이 할 사용자 단말의 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포맷을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별물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 스마트 안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대응하는 지도 좌표상에서 사용자로부터 비파괴 검사 공간을 특정받고, 상기 특정받은 공간의 비파괴 검사 자료를 서버에 요청하여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특정된 공간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전달받아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특정된 공간과 이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미리 지정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지정된 방식으로 시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지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석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처리하거나 조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된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의미하며,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의 크기를 조절하는 명령,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를 분류하는 단계를 조절하는 명령,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를 상부나 하부로 무빙시키는 명령,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가 지정된 단계 이상인 셀만 표시하는 명령, 및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를 나타내는 각 셀의 개수를 순차적인 숫자로 표시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정받은 공간의 비파괴 검사 자료를 서버에 요청하여 전달받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를 지원하여 비파괴 검사 공간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좌표 이미지 또는 좌표 블록을 겹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대응하는 지도 좌표상에서 사용자로부터 비파괴 검사 공간을 특정받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세 군데의 좌표를 지정받아 비파괴 검사 공간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전달받아 로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된 공간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저장부에 다운로드 받은 후 로딩하거나,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상기 저장부에 다운로드 하지 않고 상기 서버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지정된 방식으로 시각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의 시각화는,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에 따라 지정된 색상으로 시각화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파괴 검사를 통해 생성된 자료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실 세상에 겹쳐 시각화하여 표시되게 함으로써, 비파괴 검사 자료를 현실 세상에서 쉽게 대조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파괴 검사를 통해 생성된 자료를 사용자 단말에 접목하여 현실 세상에 겹쳐 표시되게 함으로써, 현실 세상에서 정밀 조사가 필요한 부분이나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겹쳐 표시하고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별도로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사용자 단말 중 HMD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부(110), 위치 검출부(120), 명령 입력부(130), 저장부(140), 출력 인터페이스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10)는 지정된 서버(200)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하여 지정된 특정 공간(또는 좌표)의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전달받는다.
예컨대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는, 충격반향기법(Impact Echo method, IE) 자료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자료(예 : Electrical Resistivity (ER), Half-Cell Potential (HCP), Ultrasound Pulse Echo (UPE), Ultrasound Surface Wave (USW) 등)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 비파괴 검사 자료 제공 서버,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업체의 서버, 및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140)는 비파괴 검사 자료, 디지털 지도(디지털 정밀 지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비파괴 검사 자료를 시각화한 정보, 및 비파괴 검사 자료를 출력할 사용자 단말의 스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검출부(120)는 사용자 단말(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의 위치를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위치 검출부(120)는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해서 현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으며,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부가 장치(예 : 지정된 위치에서 지정된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 입력부(130)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전달받기 위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서 특정 공간(또는 좌표)을 지정하거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변환되어 표시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상기 명령 입력부(130)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예 : 인체감지센서, 카메라 센서, 터치 감지 센서, 홍체 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마이크 등), 마우스, 버튼(스위치), 및 조그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디스플레이 할 사용자 단말(예 : HMD, 스마트 안경, 종류별 스마트 폰 등)의 특성(예 : 디스플레이의 개수, 해상도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포맷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출력할 상기 사용자 단말이 HMD(Head Mounted Display)인 경우 양쪽 눈에 맞는 좌,우 영상을 별도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다만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150)의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단지 물리적인 신호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의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예 :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 디지털 지도 등)를 불러와 현실 세상의 구조물 위에 겹쳐(즉, 좌표를 일치시켜 덧씌워)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정보(예 :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 디지털 지도 등)를 조작(예 : 색상이나 모양 조정, 표시 위치 조정 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실 세상의 구조물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카메라(미도시)를 통하지 않고 단지 투명한(또는 반투명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투과하여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예 :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 디지털 지도 등)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상기 현실 세상의 구조물과 함께 표시되거나, 현실 세상의 구조물을 단순히 투과시키는 투명한(또는 반투명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상에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예 : HMD, 스마트 폰, 스마트 안경 등)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별물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예 : 터치스크린, 투명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된 현실 세상의 구조물(예 : 도로, 다리, 벽 등)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비파괴 검사 공간(또는 좌표)을 특정한다(S101).
이때 사용자를 지원하여 비파괴 검사 공간(또는 좌표)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좌표 이미지(또는 좌표 블록)를 겹쳐(오버랩)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현실 세상의 구조물(예 : 도로, 다리, 벽 등)에 겹쳐 표시되는 좌표 이미지(또는 좌표 블록)을 참조하여 비파괴 검사 공간(또는 좌표)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네 군데(적어도 세 군데)의 좌표를 지정받아 비파괴 검사 공간(또는 좌표)을 특정 한다(도 4의 (a) 참조). 이때 상기 좌표는 디지털 지도(디지털 정밀 지도)상에서 현실 세상의 각 구조물에 대응하는 좌표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겹쳐 표시하고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별도로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때 세 군데의 좌표를 지정받더라도 나머지 한 군데는 자동으로 지정하여 사각형의 비파괴 검사 공간(또는 좌표)을 특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비파괴 검사 공간(또는 좌표)을 특정하기 위한 더 많은 위치를 지정받아 다각형으로 비파괴 검사 공간(또는 좌표)을 특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특정된 공간(좌표)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로딩한다(S102).
예컨대 상기 특정된 공간(좌표)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가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된 공간(좌표)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저장부(140)에 다운로드 받아 로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특정된 공간(좌표)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상기 저장부(140)에 다운로드 하지 않고 상기 서버(200)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로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특정된 공간(좌표)과 이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미리 지정된 단위(예 : 특정 형상의 셀 단위)로 가상 분할한다(S103).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가상 분할한 단위(예 :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즉, 비파괴 검사 결과)를 지정된 방식으로 시각화한다(S104).
예컨대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의 시각화는, 상기 가상 분할한 단위(예 :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에 따라 지정된 색상으로 시각화(예 : 정상-파란색, 주의-녹색, 경고-노란색, 위험-빨간색 등)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상기 가상 분할한 단위(예 :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한다(S105)(도 4의 (b) 참조).
이때 상기 가상 분할한 단위(예 : 특정 형상의 셀 단위)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 단말이 HMD(Head Mounted Display)인 경우 양쪽 눈에 맞는 좌,우 영상을 별도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도 5 참조).
도 5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사용자 단말 중 HMD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상기 가상 분할한 단위(예 :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한 상태(S201)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지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202).
예컨대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된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조작(예 : 색상이나 모양 조정, 표시 위치 조정 등)하기 위한 명령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202의 예),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분석한다(S203).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어떤 방식으로 조작하기 위한 명령인지 분석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가상 분할한 단위(예 : 특정 형상의 셀 단위)의 크기를 조절하는 명령,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를 분류하는 단계를 조절하는 명령,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를 상부나 하부로 무빙(이동)시키는 명령,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가 지정된 단계 이상인 셀만 표시하는 명령, 및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를 나타내는 각 셀의 개수를 순차적인 숫자로 표시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분석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처리(또는 조작) 한다(S204).
예컨대 상기 사용자 명령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를 상부로 무빙(이동)시키는 명령인 경우, 도 4의 (c)와 같이,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현실 세상의 구조물의 상부로 무빙(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는 가상 분할한 단위(예 :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독립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실 세상을 이동해 가며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처리(또는 조작)를 통해 필요에 따라 현실 세상과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손쉽게 대조하며 정확한 위치(즉, 추가로 세밀한 확인이 필요하거나 보수가 필요한 부위의 위치)를 쉽게 찾아 필요한 추가 정밀 조사나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지도화하고, 상기 지도화한 비파괴 검사 자료를 현실 세상의 구조물 위에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비파괴 검사 자료와 현실 세상의 구조물을 미리 지정된 단위로 분할한 다음, 상기 지정된 단위로 분할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시각화하여 상기 지정된 단위로 분할된 현실 세상의 구조물 위에 덧씌워 사용자 단말기(예 :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 등)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따라서 전문가(예 : 비파괴 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실제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전문가)와 동행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정확한 위치(즉, 추가로 세밀한 확인이 필요하거나 보수가 필요한 부위의 위치)를 쉽게 찾아 필요한 추가 정밀 조사나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통신부
120 : 위치 검출부
130 : 명령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출력 인터페이스부
160 : 제어부

Claims (14)

  1.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여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서 지정받은 특정 공간의 비파괴 검사 자료를 요청하여 전달받는 통신부;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서버로부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전달받기 위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서 디지털 지도 좌표상의 특정 공간을 지정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변환되어 표시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명령 입력부; 및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 및 디지털 지도를 불러와 현실 세상의 구조물 위에 겹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 및 디지털 지도를 독립적으로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현실 세상의 구조물 위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된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를 상부나 하부로 무빙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명령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를 상부로 무빙시키는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현실 세상의 구조물의 상부로 무빙시키되,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는 가상 분할한 단위별로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 비파괴 검사 자료 제공 서버,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업체의 서버, 및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비파괴 검사 자료, 디지털 지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비파괴 검사 자료를 시각화한 정보, 및 비파괴 검사 자료를 출력할 사용자 단말의 스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마우스, 버튼, 스위치, 및 조그다이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디스플레이 할 사용자 단말의 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포맷을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별물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 스마트 안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8.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대응하는 지도 좌표상에서 사용자로부터 비파괴 검사 공간을 특정받고, 상기 특정받은 공간의 비파괴 검사 자료를 서버에 요청하여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특정된 공간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전달받아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특정된 공간과 이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미리 지정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지정된 방식으로 시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지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석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처리하거나 조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현실 세상의 구조물 위에 덧씌워 디스플레이 된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를 상부나 하부로 무빙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명령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를 상부로 무빙시키는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를 현실 세상의 구조물의 상부로 무빙시키되, 상기 시각화된 비파괴 검사 자료의 표시 위치는 가상 분할한 단위별로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의 크기를 조절하는 명령,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를 분류하는 단계를 조절하는 명령,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가 지정된 단계 이상인 셀만 표시하는 명령, 및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를 나타내는 각 셀의 개수를 순차적인 숫자로 표시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받은 공간의 비파괴 검사 자료를 서버에 요청하여 전달받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를 지원하여 비파괴 검사 공간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좌표 이미지 또는 좌표 블록을 겹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현실 세상의 구조물에 대응하는 지도 좌표상에서 사용자로부터 비파괴 검사 공간을 특정받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세 군데의 좌표를 지정받아 비파괴 검사 공간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전달받아 로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된 공간에 대응하는 비파괴 검사 자료를 저장부에 다운로드 받은 후 로딩하거나,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상기 저장부에 다운로드 하지 않고 상기 서버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를 지정된 방식으로 시각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파괴 검사 자료의 시각화는,
    상기 가상 분할한 특정 형상의 셀 단위별로 콘크리트의 손상된 정도에 따라 지정된 색상으로 시각화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092038A 2019-07-29 2019-07-29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38A KR102207719B1 (ko) 2019-07-29 2019-07-29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38A KR102207719B1 (ko) 2019-07-29 2019-07-29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719B1 true KR102207719B1 (ko) 2021-01-27

Family

ID=7423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038A KR102207719B1 (ko) 2019-07-29 2019-07-29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7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411B1 (ko) * 2021-12-14 2022-03-24 (주) 다음기술단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관조사망도 작성 및 시각화 방법
US11836865B2 (en) * 2020-09-18 2023-12-05 Wichita State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visual inspec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202A (ko) * 2012-03-05 2013-09-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교량구조물의 증강현실 기반 안전진단 정보 가시화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6511857A (ja) * 2012-12-31 2016-04-21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非破壊試験システムの仮想制御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8020681A1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ニコン 設定方法、検査方法、欠陥評価装置および構造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202A (ko) * 2012-03-05 2013-09-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교량구조물의 증강현실 기반 안전진단 정보 가시화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6511857A (ja) * 2012-12-31 2016-04-21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非破壊試験システムの仮想制御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8020681A1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ニコン 設定方法、検査方法、欠陥評価装置および構造物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6865B2 (en) * 2020-09-18 2023-12-05 Wichita State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visual inspections
KR102378411B1 (ko) * 2021-12-14 2022-03-24 (주) 다음기술단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관조사망도 작성 및 시각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59295A (zh) 用于在移动设备上的真实环境的视图中表示兴趣点的方法以及用于此方法的移动设备
CN107402000A (zh) 用于相对于测量仪器参照显示装置的系统和方法
CN109584375B (zh) 一种物体信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KR10220771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비파괴 검사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26262B2 (en) Imaging support system, device and method, and imaging terminal
WO2006022184A1 (ja) 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及び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US9683833B2 (en) Surveying apparatus having a range camera
US20210263168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positioning in a virtual coordinate system
US20180204387A1 (en) Image generation device, image generation system, and image generation method
US107249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rea to be out of inspection target of inspection system
JP6332568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474653A (zh) 三维计测装置及其计测辅助处理方法
KR2013004976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8029030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system,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CN110442521A (zh) 控件单元检测方法及装置
CN111982305A (zh) 温度测量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9886208A (zh) 物体检测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6121268B2 (ja) 進捗管理端末、進捗管理システム、進捗管理方法、および、進捗管理プログラム
EP3482285A1 (en) Shake event detection system
CN113240745A (zh) 点云数据标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21060888A (ja) 設備工事の検査方法、および設備工事の検査システム
CN112965911B (zh) 界面异常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2985894B (zh) 第一响应和第二响应
JP2000251059A (ja) 地表面画像監視装置
JP2019002747A (ja) 目的地特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