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677B1 -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 Google Patents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677B1
KR102207677B1 KR1020190047867A KR20190047867A KR102207677B1 KR 102207677 B1 KR102207677 B1 KR 102207677B1 KR 1020190047867 A KR1020190047867 A KR 1020190047867A KR 20190047867 A KR20190047867 A KR 20190047867A KR 102207677 B1 KR102207677 B1 KR 10220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lectrode
disposed
pi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4489A (en
Inventor
주윤관
최병노
김건래
정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to KR102019004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677B1/en
Publication of KR2020012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4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6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732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안정적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극 단자가 구비된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로서, 피처리물이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전극과, 상기 내부 전극과 대향 배치되는 외부 전극과, 상기 외부 전극이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관과, 상기 내부 전극이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관이 형성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는 방전용기 및 상기 내부 전극과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플레이트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V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UV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provided with an electrode terminal capable of stably supplying power. For this purpose, as an ultraviolet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an inner electrode in which a target object is disposed inside, an outer electrode disposed opposite to the inner electrode, an outer tube having the outer electrode disposed outside, and the inner electrode are It may include a discharge container formed in a double tube structure with an inner tube provided inside,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tacting the inner electrode and a power plate supplied with power to each other.

Description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UV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안정적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극 단자가 구비된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V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UV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provided with an electrode terminal capable of stably supplying power.

최근 인공치아인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임플란트는 치골에 삽입되는 픽스쳐(Fixture)에 결합되어 치아 역할을 하는 것이다.Recently, the proportion of dental implants, which are artificial teeth, is increasing. The implant is attached to a fixture inserted into the pubis and serves as a tooth.

통상적으로 인공치아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는 Fixture(고정체-인공치근), Abutment(지대주), Crown(보철,인공치아)  3개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고, Fixture재질은 티타늄 및 티타늄합금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dental implant structure, which is an artificial tooth, consists of three structures: Fixture (fixture-artificial tooth root), Abutment (abutment), Crown (prosthesis, artificial tooth), and titanium and titanium alloy are common as the fixture material.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치골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Fixture 부위는 치골에 완전하게 식립될 필요가 있다.In an implant procedure, the implant fixture area inserted into the pubis needs to be completely placed in the pubis.

이를 위해 종래 기술로써, UV(자외선)광을 임플란트 표면, 특히 Fixture 부위에 조사하면 UV(자외선)광 빛에너지와 UV(자외선)광에 의해 생성된 오존으로 인한 임플란트 표면개질 현상이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뼈 형성 세포의 증식, 부착 기능을 촉진시켜 뛰어난 치료 결과를 얻게 해 주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크게 3가지 이유로 설명되어 진다.To this end, as a conventional technique, when UV (ultraviolet) light is irradiated on the surface of the implant, especially the fixture, the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phenomenon due to ozone generated by UV (ultraviolet) light energy and UV (ultraviolet) light is caused by implant placement. It is explained in detail for three reasons in detail as it promotes the proliferation and adhesion function of the bone-forming cells after obtaining excellent treatment results.

첫번째, UV(자외선)광 빛에너지와 UV(자외선)광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임플란트 표면에 붙어있는 탄소 분자를 분해, 증발시켜 뼈 형성세포가 임플란트 표면에 잘 부착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First, ozone generated by UV (ultraviolet) light energy and UV (ultraviolet) light decomposes and evaporates carbon molecules attached to the implant surface so that bone-forming cells can adhere to the implant surface well.

두번째, UV(자외선)광 빛에너지와 UV(자외선)광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임플란트 표면 전하를 마이너스 전하에서 플러스 전하로 변화시켜 마이너스 전하를 띠고 있는 인체 세포 및 그 세포의 부착과 기능을 돕는 단백질을 정전기적으로 임플란트 표면으로 끌어 당겨 밀접한 결합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Second, ozone generated by UV (ultraviolet) light energy and UV (ultraviolet) light changes the surface charge of the implant from negative to positive, thereby supporting negative-charged human cells and their adhesion and function. It electrostatically attracts to the implant surface so that it can be closely bonded.

세번째, UV(자외선)광 빛에너지와 UV(자외선)광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임플란트 표면의 친수성을 증가시켜 임플란트 표면에 혈액이 잘 젖게하면, 임플란트 표면에 잘 형성된 혈병은 이후 뼈 형성 세포가 임플란트 표면에 잘 부착될 수 있게 돕는 것이다.Third, if the ozone generated by UV (ultraviolet) light energy and UV (ultraviolet) light increases the hydrophilicity of the implant surface, so that blood is well wetted on the implant surface, blood clots that are well formed on the implant surface are then implanted with bone-forming cells. It helps them adhere well to the surface.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램프 내부에 배치된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복잡한 구조의 전원 공급 구조가 필요하며, 사용 과정에서 열 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안정적인 지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power supply structure having a complex structure is required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des disposed inside the lamp,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able support is difficult when thermal expansion occurs during use.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se are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 전극이 방전용기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V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capable of supplying power while an internal electr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discharge container.

또한, 내부 전극과 전원 플레이트가 상호 탄성 지지 가능한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ultraviolet lamp for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in which internal electrodes and power plates are mutually elastically support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로서, 피처리물이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전극과, 상기 내부 전극과 대향 배치되는 외부 전극과, 상기 외부 전극이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관과, 상기 내부 전극이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관이 형성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는 방전용기 및 상기 내부 전극과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플레이트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violet lamp for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of an implant, wherein an inner electrode in which a target object is disposed, an outer electrode disposed opposite to the inner electrode, and an outer tube having the outer electrode disposed outside And, a discharge container formed in a double tube structure having an inner tube having an inner electrode disposed therein,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tacting the inner electrode and a power plate to which power is supplied.

이때, 상기 연결 단자에는 상기 내부 전극에 결합되는 연결 베이스와,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외측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베이스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원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연결핀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base coupled to the internal electrode, and a connection pi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base along a radially outer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tainer to electrically contact the power plate.

이때, 상기 연결핀에는 상기 전원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elastic bent portion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ward the power plate may be formed on the connection pin.

이때, 상기 탄성 절곡부는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전원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 베이스와 상기 연결핀의 연결 부분에 형성된 제1 절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ben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ent point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base and the connection pin so that the connection pin is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power plate.

이때, 상기 탄성 절곡부는 상기 연결핀의 일 부분이 상기 전원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절곡점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형성된 제2 절곡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ben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ending point form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an the first bending point so tha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in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plate.

이때, 상기 탄성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점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절곡점 및 제3 절곡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점은 상기 연결핀이 하향 연장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절곡점은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전원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bent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bending point and a third bending point sequentially form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an the first bending point, and the second bending point is formed such that the connection pin extends downwardly. , The third bending poin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nnection pin is disposed parallel to the power plate.

이때, 상기 연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연결핀이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연결핀에는 상기 탄성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탄성 절곡부가 형성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연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connection pin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ase, the elastic bent portion is formed in at least two of the connection pins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nd the connection pin formed with the elastic bent portion is the connection base It can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perimeter of the

이때, 상기 연결 베이스에는 상기 내부 전극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 베이스의 둘레 중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internal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connection base,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nly in a partial area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ase.

이때, 상기 내부 전극에는 상기 내측관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전극 베이스와, 상기 방전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극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전극핀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ner electrode may include an electrode bas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an electrode pi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base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ase. I can.

이때, 상기 전극핀은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절곡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de pins may be bent and dispos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tainer.

이때, 상기 전극 베이스와 상기 전극핀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전극핀의 폭 방향 단면적이 감소하는 단면 감소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for reducing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electrode pin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lectrode base and the electrode pin.

이때, 상기 방전용기는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엑시머 램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vessel may be an excimer lamp that emits vacuum ultraviolet ray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는 내부 전극과 전원 플레이트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연결 단자가 구비되므로 연결 단자의 접촉 불량 시 내부 전극은 교체할 필요가 없고, 연결 단자만 교체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UV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tacting the internal electrode and the power plate with each other,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internal electrode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defective, and only the connection terminal Maintenance and repair is possible simply by replacing it.

또한, 연결 단자의 연결핀에 탄성 절곡부가 형성되어 전원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게 되므로 조립 및 사용 과정에서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an elastic bent portion is formed on the connection pin of the connection terminal to elastically support the power plat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during assembly and use.

또한, 사용 과정에서 내부 전극에 열팽창이 발생하더라도 탄성 절곡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이러한 변형을 최소화하게 되어 내부 전극과 내부관의 밀착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점등 시 일정한 조도를 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rmal expansion occurs in the inner electrode during use, the elastic bent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to minimize such deformation, thereby maintaining a close contact between the inner electrode and the inner tube, thereby enabling constant illumination when turned on.

또한, 내부 전극이 방전용기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전원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electrode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ower plate while the internal electr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power can be supplied with a simple structure.

아울러 전극핀에 단면 감소부가 형성되어 전극핀이 절곡되더라도 내부 전극과 내부관의 밀착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electrode pin, so that even if the electrode pin is bent,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inner electrode and the inner tube can be maintain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단자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전극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ultraviolet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perspective view.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onnection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n ultraviolet lamp for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of an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n internal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above",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Conversel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below"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below",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단자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전극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ultraviolet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nection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n ultraviolet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n internal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로서, 피처리물(10)이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전극(100)과, 내부 전극(100)과 대향 배치되는 외부 전극(200)과, 외부 전극(200)이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관(301)과, 내부 전극(100)이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관(302)이 형성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는 방전용기(300) 및 내부 전극(100)과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플레이트(20)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연결 단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s an ultraviolet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an internal electrode 100 in which the object 10 is disposed inside, an external electrode 200 disposed opposite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 The discharge vessel 300 and the inner electrode 100 formed in a double tube structure in which an outer tube 301 having an outer electrode 200 disposed on the outside, and an inner tube 302 having an inner electrode 100 disposed therein ) And the power plate 20 to which power is supplied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400 for electrically contacting each other.

내부 전극(100)의 형상은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 전극(100)은 외부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연결 단자(400)를 통해 전원 플레이트(2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The shape of the internal electrode 1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and the internal electrode 100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ower plate 20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400 so as to supply external power.

내부 전극(100)의 내측에는 임플란트 픽스쳐와 같은 피처리물(10)이 배치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피처리물(10)은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표면개질 처리가 이루어진다.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object 10, such as an implant fixture, is disposed is formed inside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object 10 is surface-modified by radiated ultraviolet rays.

내부 전극(10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와이어를 그물망 형태로 직조하여 다수의 투과홀(100a)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내부 전극(100)이 그물망 형태로 직조된 것은 하나의 예이며, 금속재 원통 구조의 면에 펀칭 등의 방법으로 다수의 투과홀(100a)을 형성하거나, 금속재 원통 구조의 면에 다수의 절결부를 형성하여 슬릿 형상의 광 투과부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6, the internal electrode 100 is formed by weaving a metal wire in a mesh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0a can be formed. It is an example that the internal electrode 100 is woven in a mesh form, and a plurality of penetration holes 100a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of a metal material by punching, or a plurality of cutout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of a met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structures such as forming a slit-shaped light transmitting part.

이러한 내부 전극(100), 외부 전극(200), 및 방전용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단면을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통형 구조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internal electrode 100, the external electrode 200, and the discharge vessel are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any cylindrical structure including a structur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can be applied. Do.

아울러 이러한 내부 전극(100)과 대향 배치되도록 원통형 외부 전극(20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cylindrical external electrode 200 is provided so as to be disposed opposite to the internal electrode 100.

방전용기(300)의 내부에는 자외선이 방사되도록 방전가스가 봉입되고, 방전용기(3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내부 전극(100)과 외부 전극(200) 사이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면 방전가스의 에너지 변화에 의해 자외선이 발생된다.Discharge gas is sealed so that ultraviolet rays are radiated inside the discharge container 300, and when electric energy is applied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external electrode 200 provid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300, respectively, discharge Ultraviolet rays are generated by changes in the energy of the gas.

방전용 가스로는 Xe (파장 172nm), ArF (파장 193nm), KrCl(파장 222 nm), KrF (파장 248nm), XeCl (파장 308nm), XeF (파장 351nm) 등의 엑시머 UV광을 발생하는 방전가스가 사용될 수 있으나, UVC파장대 (100nm~280nm)의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Discharge gases that generate excimer UV light such as Xe (wavelength 172 nm), ArF (wavelength 193 nm), KrCl (wavelength 222 nm), KrF (wavelength 248 nm), XeCl (wavelength 308 nm), and XeF (wavelength 351 nm) May be used, but a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ultraviolet rays in the UVC wavelength band (100 nm to 280 nm) may be used.

이러한 방전용기(300)는 외부 전극(200)이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관(301)과, 내부 전극(100)이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관(302)이 형성된 이중관 구조이며, 외측관(301)과 내측관(302) 사이에는 방전영역이 형성되어 전술한 방전가스가 봉입될 수 있다.The discharge vessel 300 has a double tube structure in which an outer tube 301 having an outer electrode 200 disposed on the outside and an inner tube 302 having the inner electrode 100 disposed therein are formed, and the outer tube 301 A discharge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and the inner tube 302 so that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gas may be sealed.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전극(100)과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플레이트(20)는 연결 단자(40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연결 단자(400)의 접촉 불량 시 내부 전극(100)은 교체할 필요가 없고, 연결 단자(400)만 교체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since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power plate 20 to which power is supplied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terminal 400, the internal electrode is The 100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and maintenance and repair are possible simply by replacing only the connection terminal 400.

이러한 연결 단자(400)에는 내부 전극(100)에 결합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연결 베이스(410)와, 방전용기(300)의 반경 외측 방향을 따라 연결 베이스(410)에서 연장 형성되어 전원 플레이트(2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연결핀(420)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400 has a plate-shaped connection base 410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base 410 along the radially outer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tainer 300. Thus, a connection pin 420 that is electrically contacted with the power plate 20 may be provided.

즉,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플레이트(20)는 방전용기(3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연결핀(420)을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하면 전원 플레이트(20)와 연결핀(4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power plate 20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outside is dispos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tainer 300, and if the connection pin 420 i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plate 20 and the connection pin 420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m increases, a stable power supply is possibl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420)에는 전원 플레이트(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절곡부(421)가 형성되며, 이러한 탄성 절곡부(421)는 연결핀(420)의 일부를 변형시켜서 형성하게 된다. 즉, 탄성 절곡부(421)가 형성됨에 따라 연결핀(420)이 전원 플레이트(20)를 탄성 지지하게 되므로 조립 및 사용 과정에서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connection pin 420 is formed with an elastic bent portion 421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ower plate 20, this elastic bent portion 421 is a connection pin ( It is formed by deforming a part of 420). That is, as the elastic bent portion 421 is formed, the connection pin 420 elastically supports the power plate 20, so that stable support is possible during the assembly and use process.

이하에서는 탄성 절곡부(42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lastic bent portion 4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절곡부(421)는 연결핀(420)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연결 베이스(410)와 연결핀(420)의 연결 부분에 형성된 제1 절곡점(421a)을 포함한다.3 and 4, the elastic bent portion 421 has a first bent point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base 410 and the connection pin 420 so that the connection pin 420 is dispos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 421a).

즉,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점(421a)은 연결핀(420)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핀(420)과 전원 플레이트(20)의 전기적인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a) to (c) of Fig. 4, the first bending point 421a is such that the connection pin 420 is dispos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ith the connection pin 420 The electrical contact area of the power plate 20 can be increased.

또한, 제1 절곡점(421a)에서 이러한 연결핀(420)의 끝단이 방전용기(30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h) 이격 배치될 수 있는 정도로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s of the connection pins 420 are bent only to the extent that they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discharge vessel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 at the first bending point 421a.

이와 같이 연결핀(420)의 끝단이 방전용기(30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전원 플레이트(20)를 조립하게 되면 연결핀(420)의 끝단이 방전용기(300)의 측면과 일정 거리 가까워지도록 눌리면서 탄성 변형된 상태로 조립된다. 즉, 연결핀(420)과 전원 플레이트(20)가 조립이 완료되면 연결핀(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핀(420)과 전원 플레이트(20)의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power plate 20 is assembled while the end of the connection pin 420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300, the end of the connection pin 420 i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300. It is assembled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while being pressed to get closer. That is, when the connection pin 420 and the power plate 20 are assembled,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onnection pin 420 and the power plate 20 can be stably maintai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nnection pin 420. .

이러한 탄성 절곡부(421)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420)의 일 부분이 전원 플레이트(20)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1 절곡점(421a)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형성된 제2 절곡점(42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Such an elastic bent portion 421 is radially outward from the first bent point 421a so tha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in 42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power plate 20, as shown in FIG. 4B. A second bending point 421b formed in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제2 절곡점(421b)을 기준으로 연결핀(420)의 반경 외측 부분에는 전원 플레이트(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기적인 접촉 부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절곡점(421b)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핀(420)의 끝단이 방전용기(30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h) 이격 배치될 수 있는 정도로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 플레이트(20)를 조립하게 되면 연결핀(420)의 끝단이 방전용기(300)의 측면과 일정 거리 가까워지도록 눌리면서 탄성 변형된 상태로 조립되고, 연결핀(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핀(420)과 전원 플레이트(20)의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power plate 20 is formed at a portion outside the radius of the connection pin 420 based on the second bending point 421b. Even when the second bending point 421b is formed in this way,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in 420 be bent only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vessel 300 by a certain distance h. And, when the power plate 20 is assembled in this state, the end of the connection pin 420 is assembled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while being pressed so th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in 420 becomes close to the side of the discharge vessel 300 by a certain distance, and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ion pin 420 This is because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onnection pin 420 and the power plate 20 can be stably maintained by the restoring force.

또한, 탄성 절곡부(421)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점(421a)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절곡점(421b) 및 제3 절곡점(421c)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즉, 제1 절곡점(421a)에서 연결핀(420)은 일정 각도 상향 연장되도록 절곡되고, 제2 절곡점(421b)에서는 이러한 연결핀(420)이 일정 각도 하향 연장되도록 절곡되며, 제3 절곡점(421c)에서는 연결핀(420)이 전원 플레이트(20)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절곡된다.In addition, the elastic bent portion 421 has a second bending point 421b and a third bending point formed sequentially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an the first bending point 421a, as shown in FIG. 4C. 421c)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at the first bending point 421a, the connection pin 420 is bent to extend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t the second bending point 421b, the connection pin 420 is bent to exten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third bending At the point 421c, the connection pin 420 is bent so as to be disposed parallel to the power plate 20.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 플레이트(20)를 조립하게 되면 연결핀(420)의 제2 절곡점(421b)은 전원 플레이트(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When the power plate 20 is assembled in this state, the second bending point 421b of the connection pin 420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ower plate 20.

이와 같이 제2 절곡점(421b) 및 제3 절곡점(421c)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핀(420)의 끝단이 방전용기(30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h) 이격 배치될 수 있는 정도로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 플레이트(20)를 조립하게 되면 연결핀(420)의 끝단이 방전용기(300)의 측면과 일정 거리 가까워지도록 눌리면서 탄성 변형된 상태로 조립되고, 연결핀(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핀(420)과 전원 플레이트(20)의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결핀(420)이 복수 회 절곡되면서 일정 각도가 형성됨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연결핀(420)이 완전히 눌려서 탄성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Even when the second bending point 421b and the third bending point 421c are formed in this way,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connection pin 420 is arranged a certain distance (h)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vessel 300 It is preferable to be bent only as much as possible, and when assembling the power plate 20 in this state, the end of the connection pin 420 is assembled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while being pressed so th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in 420 is close to the 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300 by a certain distance. This is becaus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onnection pin 420 and the power plate 20 can be stably maintai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nnection pin 420.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pin 420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to form a certain ang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in 420 from being completely pressed during use and thus deteriorating the elasticity.

이와 같이 연결핀(420)에 탄성 절곡부(421)가 형성되면 연결핀(420)이 전원 플레이트(20)를 탄성 지지하게 되므로 조립 및 사용 과정에서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When the elastic bent portion 421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in 42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ion pin 420 elastically supports the power plate 20,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during assembly and use.

또한, 사용 과정에서 내부 전극(100)에 열팽창이 발생하더라도 탄성 절곡부(421)가 탄성 변형되면서 이러한 변형을 최소화하게 되어 내부 전극(100)과 내측관(302)의 밀착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점등 시 일정한 조도를 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rmal expansion occurs in the internal electrode 100 during the use process, the elastic bent portion 421 is elastically deformed to minimize this deformation, thereby maintaining a close contact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inner tube 302, so that it is lit. It becomes possible to produce a certain illuminanc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베이스(4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연결핀(420)이 구비되고, 복수 개의 연결핀(42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연결핀(420)에는 전술한 탄성 절곡부(421)가 형성되되, 탄성 절곡부(421)가 형성된 연결핀(420)은 연결 베이스(410)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420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ase 410, and at least two connection pins 420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420 have the aforementioned elasticity. The bent portions 421 are formed, and the connection pins 420 on which the elastic bent portions 421 are formed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ase 410.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내부 전극(100)과 전원 플레이트(20)가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일한 탄성력을 받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power plate 20 are not biased to either side, and receive a uniform elastic force, thereby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이러한 연결 베이스(410)에는 내부 전극(100)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결합부는 연결 베이스(410)의 둘레 중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전극(100)과 연결 단자(400)를 결합하기 위해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connection base 4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ase 410. That is, in order to couple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00,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m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welding is formed, thereby enabling a stable coupling.

이때, 이러한 결합부는 연결 베이스(410)의 둘레 중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과정에서 내부 전극(100)과 연결 단자(400)에 열팽창이 발생하게 되는데, 내부 전극(100)과 연결 단자(400)의 열팽창율이 상이할 경우 내부 전극(100)과 연결 단자(400)의 열팽창 정도도 상이하게 된다. 만일 이러한 경우에 연결 베이스(410)의 모든 영역에 결합부가 형성되면 열팽창 정도가 상이함으로 인해 생성되는 응력이 결합부에 집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결합부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내부 전극(100)과 연결 단자(400)가 분리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베이스(410)의 일부 영역에만 결합부를 형성하면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내부 전극(100)과 연결 단자(400)가 상호 분리된 상태이므로 상대적인 열팽창이 가능하게 되어 결합부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coupling part is formed only in a partial area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ase 410. In the process of use, thermal expansion occurs in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00. When th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of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00 are different,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00 The degree of thermal expansion of is also different. In this case, if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ll regions of the connection base 410, the stress generated due to the different degree of thermal expansion may be concentrated on the coupling portion, and thus the durability of the coupling portion decreases, thereby connecting with the internal electrode 100.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terminal 400 is separated.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f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ly in a partial region of the connection base 410,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portion is not formed, so that relative thermal expansion is possible and the coupl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negative.

아울러 이러한 연결 베이스(410)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영역이 개방된 호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조립 및 사용 과정에서 눌림이나 열팽창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킬 있을 뿐만 아니라 방전용기(300) 내부에 방전가스 봉입을 위한 주입구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ase 410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but as shown in FIG. 3, a certain area is formed to have an open arc-shaped cross-section to distribute stress due to pressing or thermal expansion during assembly and 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with the injection port for filling the discharge gas inside the discharge container 30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단자(400)는 내부 전극(10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연결 단자(400)가 전원 플레이트(20)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terminal 400 may be coupled to the internal electrode 100,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onnection terminal 400 to be coupled to the power plate 20.

내부 전극(10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302)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전극 베이스(110)와 방전용기(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극 베이스(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연결 베이스(41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전극핀(120)이 구비된다.In the internal electrode 100,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electrode base 110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302 and the electrode base 1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vessel 300. An electrode pin 120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ase 410 is provided.

전극 베이스(110)는 내측관(302)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둥글게 말린 상태로 배치되며, 이때, 전극 베이스(110)가 내측관(302)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외선 방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electrode base 110 is arranged in a rolled state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302, and at this time, the electrode base 110 is configured to be closely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302 to discharge ultraviolet rays.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전극 베이스(110)의 둘레를 따라 전극핀(120)이 연장 형성되며, 이러한 전극핀(120)이 방전용기(30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연결 베이스(41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lectrode pins 120 are exten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lectrode base 110, and the electrode pins 120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vessel 300 so that they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ase 410. By configuring,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with a simple structure.

이러한 전극핀(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용기(300)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절곡 배치될 수 있다. 즉, 전극핀(120)이 방전용기(300)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 배치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electrode pins 120 may be bent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tainer 300. That is, the electrode pins 120 are bent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discharge vessel 300.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플레이트(20)는 내부 전극(1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전극핀(120)을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하면 연결 베이스(410)와 전극핀(1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The power plate 20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outside is dispos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ternal electrode 100, and if the electrode pins 120 are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base 410 and the electrode pin 120 As the contact area increases, a stable power supply becomes possibl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베이스(110)와 전극핀(120)의 연결 부분에는 전극핀(120)의 폭 방향 단면적이 감소하는 단면 감소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전극(100)은 전극 베이스(110)가 내측관(302)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둥글게 말린 상태로 배치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전극핀(120)이 방전용기(300)의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할 때 전극 베이스(110)의 곡률이 변하지 않도록 전극핀(120)을 절곡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 베이스(110)와 전극핀(120)의 연결 부분에 단면 감소부(122)를 형성하게 되면 전극 베이스(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전극핀(120)의 연결 길이가 감소하게 되므로 전극핀(120) 절곡 시에도 전극 베이스(110)의 곡률이 변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내부 전극과 내부관의 밀착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122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lectrode base 110 and the electrode pin 120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lectrode pin 120 in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ner electrode 100 is arranged in a rounded state so that the electrode base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302, the electrode pin 120 is outside the radius of the discharge container 300. It is important to bend the electrode pins 120 so that the curvature of the electrode base 110 does not change when bending toward th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122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lectrode base 110 and the electrode pin 120,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electrode pin 120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base 110 is reduced. Therefore, even when the electrode pin 120 is b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urvature of the electrode base 110 from changing, and thus,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inner electrode and the inner tube can be kept constant.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베이스(110)의 둘레 중에서 전극핀(120)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전용기(300) 내부에 방전가스 봉입을 위한 주입구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region in which the electrode pins 120 are not provided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base 110, thereby interfering with the inlet for filling the discharge gas into the discharge container 300. Thi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또한, 전술한 방전용기(300)는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엑시머(Excimer) 램프일 수 있다. 진공 자외선(Vacuum Ultraviolet, VUV)은 자외선 중에서도 X선에 가까운 100nm 내지 200nm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으로서, 가지고 있는 광자 에너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를 시험할 때 사용하는 표준 바이러스인 MS2 바이러스를 공기 중에 흘려 보낸 뒤 진공 자외선을 방사할 경우 대략 0.026초 정도이면 모든 바이러스가 제거될 수 있다. 즉, 엑시머 램프를 통해 공기 중에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게 되면 짧은 시간 내에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container 300 may be an excimer lamp that emits vacuum ultraviolet rays. Vacuum Ultraviolet (VUV) is 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of 100 nm to 200 nm close to X-rays among ultraviolet rays, and their photon energy is very high, so contaminants such as virus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If the MS2 virus, which is a standard virus used when testing air purifiers, is passed through the air and then irradiated with vacuum ultraviolet rays, all viruses can be removed in about 0.026 seconds. That is, if vacuum ultraviolet rays are radiated into the air through the excimer lamp, sterilization can be performed within a short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deletion, addition, and the like, but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피처리물 20 : 전원 플레이트
100 : 내부 전극 100a : 투과홀
110 : 전극 베이스 120 : 전극핀
121 : 단면 감소부 200 : 외부 전극
300 : 방전용기 301 : 외측관
302 : 내측관 400 : 연결 단자
410 : 연결 베이스 420 : 연결핀
421 : 탄성 절곡부 421a : 제1 절곡점
421b : 제2 절곡점 421c : 제3 절곡점
10: object to be processed 20: power plate
100: internal electrode 100a: through hole
110: electrode base 120: electrode pin
121: reduction section 200: external electrode
300: discharge vessel 301: outer tube
302: inner pipe 400: connection terminal
410: connection base 420: connection pin
421: elastic bent portion 421a: first bent point
421b: second bending point 421c: third bending point

Claims (12)

피처리물이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전극;
상기 내부 전극과 대향 배치되는 외부 전극;
상기 외부 전극이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관과, 상기 내부 전극이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관이 형성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는 방전용기; 및
상기 내부 전극과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플레이트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연결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단자에는 상기 내부 전극에 결합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연결 베이스와,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외측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베이스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원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연결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에는 상기 전원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베이스에는 상기 내부 전극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 베이스의 둘레 중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영역에서는 상기 연결 베이스가 상기 내부 전극과 분리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An internal electrode in which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disposed inside;
An external electrode disposed opposite to the internal electrode;
A discharge container formed in a double tube structure in which an outer tube having the external electrode disposed outside and an inner tube having the inner electrode disposed therein;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tacting the internal electrode and a power plate to which power is supplied;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plate-shaped connection base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ternal electrode, and a connection pi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base along a radially outer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tainer to electrically contact the power plate. Equipped,
An elastic bent part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ward the power plate is formed on the connection pin,
The connection base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internal electrode,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ase and the connection base is separated from the internal electrode in another region where the coupling portion is not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절곡부는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전원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 베이스와 상기 연결핀의 연결 부분에 형성된 제1 절곡점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bent portion is an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ultraviolet lamp including a first bending point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base and the connection pin so that the connection pin is bent and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power pl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절곡부는 상기 연결핀의 일 부분이 상기 전원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절곡점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형성된 제2 절곡점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The method of claim 4,
The elastic ben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bending point form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an the first bending point so tha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in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pl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점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절곡점 및 제3 절곡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점은 상기 연결핀이 하향 연장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절곡점은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전원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The method of claim 4,
The elastic bent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bending point and a third bending point sequentially form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an the first bending point,
The second bending point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pin extends downward,
The third bending point is a UV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formed such that the connection pin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연결핀이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연결핀에는 상기 탄성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탄성 절곡부가 형성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연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ase,
The elastic bent portion is formed in at least two of the connection pins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The connection pins on which the elastic bent part is formed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a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극에는 상기 내측관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전극 베이스와, 상기 방전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극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전극핀이 구비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nal electrode includes an electrode bas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an electrode pi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base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container and electrically contacting the connection base. UV lamp for modification treatm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핀은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절곡 배치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ctrode pin is a UV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disposed bent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of the discharge contain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베이스와 상기 전극핀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전극핀의 폭 방향 단면적이 감소하는 단면 감소부가 형성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The method of claim 10,
An ultraviolet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wherein a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lectrode base and the electrode pin to decrease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electrode pin in the width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용기는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엑시머 램프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vessel is an excimer lamp that emits vacuum ultraviolet rays, an ultraviolet lamp for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KR1020190047867A 2019-04-24 2019-04-24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KR1022076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67A KR102207677B1 (en) 2019-04-24 2019-04-24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67A KR102207677B1 (en) 2019-04-24 2019-04-24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489A KR20200124489A (en) 2020-11-03
KR102207677B1 true KR102207677B1 (en) 2021-01-26

Family

ID=7319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867A KR102207677B1 (en) 2019-04-24 2019-04-24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67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682A (en) * 2000-04-20 2001-11-02 Ushio Inc Dielectrics-barrier discharge lamp
JP2002251980A (en) 2002-02-26 2002-09-06 Ushio Inc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JP2005116242A (en) * 2003-10-03 2005-04-28 Hoya Candeo Optronics株式会社 Excimer lam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2482A (en) * 2011-06-22 2012-12-26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Power supply construction of discharge lamp, discharge lamp unit and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682A (en) * 2000-04-20 2001-11-02 Ushio Inc Dielectrics-barrier discharge lamp
JP2002251980A (en) 2002-02-26 2002-09-06 Ushio Inc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JP2005116242A (en) * 2003-10-03 2005-04-28 Hoya Candeo Optronics株式会社 Excimer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489A (en)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867B1 (en) Surface treatment device for implant
KR20120005104A (en) A method of surface treatment for dental implant
CN111067654A (en) Implant packaging container
JP2006324435A (en) Light-irradiator
KR102207677B1 (en)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KR102207676B1 (en)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Brask Reconstruction of the ossicular chain in the middle ear with glass ionomer cement
CN209847425U (en) Dental implant restoration system
KR102229631B1 (en)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KR102207678B1 (en)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KR102229630B1 (en) 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JP2004335213A (en) Excimer lamp
JP2009302218A (en) Light irradiation apparatus
WO1999049496A1 (en) Fluorescent lamp
JPH11288690A (en) Electrode having coil body and manufacture of electrode
JP2005227465A (en) Method of use of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JP2009302131A (en) Heat treatment apparatus
KR102214444B1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KR102269661B1 (en) Uv discharging lamp apparatus
CN117281685A (en) Light-emitting device for cornea local crosslin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WO2005117066A1 (en) Discharge tube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278439A1 (en) Lamp Tube having Bent Segments
JP2858563B2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KR20200038083A (en) Ultraviolet irradiation module
JP2011108497A (en) Discharge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charg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