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436B1 -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 - Google Patents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436B1
KR102207436B1 KR1020200087319A KR20200087319A KR102207436B1 KR 102207436 B1 KR102207436 B1 KR 102207436B1 KR 1020200087319 A KR1020200087319 A KR 1020200087319A KR 20200087319 A KR20200087319 A KR 20200087319A KR 102207436 B1 KR102207436 B1 KR 10220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covery
refueling
control uni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근호
Original Assignee
양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근호 filed Critical 양근호
Priority to KR102020008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76Vapour recovery systems
    • B67D7/0478Vapour recovery systems constructional features or components
    • B67D7/048Vapour flow control means, e.g. valves,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76Vapour recovery systems
    • B67D7/0478Vapour recovery systems constructional features or components
    • B67D7/049Vapour recovery methods, e.g. condensing the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저장탱크(120)와, 하나 이상의 주유기본체부(110)와, 상기 각 주유기본체부(110)를 지나 일측은 주유저장탱크(120)로 연장된 주유라인(131)과 회수라인(133)의 타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주유건(130)을 포함하고; 상기 주유기본체부(110)는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되며 주유모터(119-1)에 의하여 구동되어 주유저장탱크(120)의 연료를 주유건(130) 쪽으로 유동시키는 주유펌프(119)와, 상기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되어 주유라인(131)을 개폐하는 주유밸브(116)와, 상기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되어 주유라인(131)으로 유동하는 연료의 유량을 센싱하는 주유유량계(117)와, 상기 회수라인(133) 상에 설치되며 회수모터(112-1)에 의하여 구동되어 주유 중 발생하는 유증기를 주유저장탱크(120)로 유동시키는 회수펌프(112)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주유량을 입력하며 주유라인(131)을 통하여 차량에 공급되는 주유량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15)와, 주유제어부(113)를 포함하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A Gas Supply Unit Having Vapor Retrieving Monitering Function}
본 발명은 주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증기의 회수율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되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 등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에 유류를 주입할 때(스테이지 Ⅰ) 유류저장탱크 내의 유증기인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 Volatile Organic Compound)이 대기로 방출된다. 대기 중으로 방출된 유증기는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하여 햇빛의 작용으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고, 인체에 접촉되거나 흡입될 경우 각종 암을 유발한다. 또한,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키고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며 악취를 일으키기도 한다.
유증기는 차량에 주유할 때도 발생하므로(스테이지 Ⅱ), 주유건을 유증기가 회수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유류저장탱크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증기 회수 주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증기 회수 주유 장치는 지하탱크(1)로부터 주유건(2)까지 연결되어 주유노즐(2a)을 통해 유류를 공급하는 주유라인(3)과, 지하탱크(1)로부터 주유건(2)까지 연결되어 주유 중에 차량의 연료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주유건(2)의 주유노즐(2a)을 통해 회수하여 지하탱크(1)로 회수하는 가스라인(4)을 구비한다.
주유라인(3)에는 주유모터(5)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유류를 흡상하는 주유펌프(6)와, 주유펌프(6)에 의해 흡상된 유류를 계량하며 통과시키는 유량계(7)와, 중앙제어부(10)에 의해 유류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8)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계(7)는 펄스제너레이터(9)가 설치되어 통과된 유량의 기계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며, 펄스제너레이터(9)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중앙제어부(10)로 전달된다.
상기 가스라인(4)에는 유증기회수모터(11)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주유건(2)의 주유노즐(2a)을 통해 유증기를 흡입하는 유증기회수펌프(12)가 설치되어 있다. 유증기회수모터(11)는 중앙제어기(10)에 연결된 또 하나의 제어기인 유증기회수모터 제어기(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가스라인(4)과 주유라인(3)은 별개의 라인이나, 주유기의 외부로는 상기 두 라인을 함께 감싸는 외부호스(14)에 의해 하나의 라인으로서의 외양을 가지며(즉, 동축 케이블), 이러한 외부호스(14)와 주유건(2)을 제외한 기타 부분은 하우징(1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제어부(10)와 연결되는 프리셋유닛(16)이 주유기의 외부로 설치되어 있어 소비자가 원하는 주유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하탱크(1)에는 가스라인(4)과 주유라인(3) 외에도, 지하탱크(1)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경우 누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유증기를 내보내기 위한 벤트라인(17)이 연결되고, 벤트라인(17)의 단부에는 개폐동작되는 에어밸브(18)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증기 회수 주유 장치는 유증기를 회수할 뿐 어느 정도의 유증기가 회수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따라서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지 않고, 유증기가 공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22756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954829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905738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회수되는 유증기의 양을 제어하여 유증기가 적정량 범위 내에서 회수되어,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함은 물론 결과적으로 유증기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주유저장탱크와, 하나 이상의 주유기본체부와, 상기 각 주유기본체부를 지나 일측은 주유저장탱크로 연장된 주유라인과 회수라인의 타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주유건을 포함하고; 상기 주유기본체부는 주유라인 상에 설치되며 주유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주유저장탱크의 연료를 주유건 쪽으로 유동시키는 주유펌프와, 상기 주유라인 상에 설치되어 주유라인을 개폐하는 주유밸브와, 상기 주유라인 상에 설치되어 주유라인으로 유동하는 연료의 유량을 센싱하는 주유유량계와, 상기 회수라인 상에 설치되며 회수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주유 중 발생하는 유증기를 주유저장탱크로 유동시키는 회수펌프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주유량을 입력하며 주유라인을 통하여 차량에 공급되는 주유량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주유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와, 주유모터와, 회수모터와, 주유유량계와, 주유밸브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된 주유량이 주유되고 유증기가 회수되도록 주유모터와 회수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주유량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주유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며; 상기 회수라인에 구비되어 회수라인으로 유동하는 유증기의 유량을 센싱하는 회수유량계와, 상기 회수유량계에 연결되어 주유 유량에 대한 유증기 유량의 비인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는 회수연산제어부와, 상기 회수연산제어부에 연결되어 연산된 회수율이 표시되는 유증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회수연산제어부는 주유제어부에 연결되어 주유유량계에서 센싱된 유량값은 주유제어부를 경유하여 회수연산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회수연산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주유량이 주유 유량값으로 되거나, 주유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신호가 주유 유량값으로 되어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나 이상의 주유제어부에 연결되며, 주유량, 유종, 결재금액, 주유소 재고량, 매출액이 실시간으로 관리되는 POS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연산제어부는 POS시스템에 연결되어, POS시스템으로부터 주유 유량값을 전송받아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회수연산제어부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경고수단이 더 포함되며, 상기 경고수단은 회수연산제어부에서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이 설정값 범위를 벗어나면 회수연산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주유제어부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유량과 주유유량계에서 센싱된 주유 유량으로부터 주유시간이 연산되어 회수연산제어부로 전송되고, 단위 시간당 주유 유량에 대한 회수유량계로부터 전송되는 단위 시간당 회수 유량의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고,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이 주유제어부로 전송되어 회수 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회수연산제어부에서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유증기의 회수율이 연산되어 유증기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유증기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증기 회수 주유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증기 및 연료의 유동 방향에 따라 상류와 하류로 하여 설명한다. 주유라인(131)에 있어서 주유저장탱크(120) 쪽을 상류로 주유건(130) 쪽을 하류로 설명하며, 회수라인(133)에 있어는 주유저장탱크(120) 쪽을 하류로 주유건(130) 쪽을 상류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는 연료가 저장되는 주유저장탱크(120)와, 하나 이상의 주유기본체부(110)와, 상기 각 주유기본체부(110)를 지나 일측은 주유저장탱크(120)로 연장된 주유라인(131)과 회수라인(133)의 타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주유건(130)을 포함한다. 상기 주유기본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천정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유기본체부(110)는 중공체인 프레임인 본체하우징(111)을 가진다.
상기 주유기본체부(110)는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되며 주유모터(119-1)에 의하여 구동되어 주유저장탱크(120)의 연료를 주유건(130) 쪽으로 유동시키는 주유펌프(119)와, 상기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되어 주유라인(131)을 개폐하는 주유밸브(116)와, 상기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되어 주유라인(131)으로 유동하는 연료의 유량을 센싱하는 주유유량계(117)와, 상기 회수라인(133) 상에 설치되며 회수모터(112-1)에 의하여 구동되어 주유 중 발생하는 유증기를 주유저장탱크(120)로 유동시키는 회수펌프(112)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주유량을 입력하며 주유라인(131)을 통하여 차량에 공급되는 주유량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15)와, 주유제어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들은 본체하우징(111)에 설치된다.
상기 주유펌프(119)와, 주유유량계(117)와, 주유밸브(116)는 주유저장탱크(120)에서 주유건(130) 쪽으로 차례로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주유밸브(116)는 솔레노이브밸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는 상기 회수라인(133)에 구비되어 회수라인(133)으로 유동하는 유증기의 유량을 센싱하는 회수유량계(114)와, 상기 회수유량계(114)에 연결되어 주유 유량에 대한 유증기 유량의 비인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는 회수연산제어부(150)와,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에 연결되어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이 표시되는 유증기 표시부(15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증기 표시부(153)는 LCD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수유량계(114)와 회수펌프(112)는 주유저장탱크(120)에서 주유건(130) 쪽으로 차례로 회수라인(133) 상에 설치된다.
상기 주유유량계(117)에는 펄스제너레이터(117a)가 설치되어 통과된 유량의 기계적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며, 펄스제너레이터(117a)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주유제어기(113)로 전송된다.
상기 회수유량계(114)에는 펄스제너레이터(114-1)가 설치되어 통과된 유량의 기계적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며, 펄스제너레이터(114-1)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회수연산제어부(150)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는 회수연산제어부(15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경고수단(151)이 더 포함된다. 상기 경고수단(151)은 경고등이나 부저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고수단(151)은 회수연산제어부(150)에서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이 설정값 범위를 벗어나면 회수연산제어부(150)에 의하여 제어되어 작동된다. 상기 유증기 회수율은 (유증기 유량/주유 유량×100)으로 연산된다.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나 주유제어부(113)에는 유증기 회수율 설정값(예; 0.88∼1.2)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제어부(113)에 연결되어 주유유량계(117)에서 센싱된 유량값은 주유제어부(113)를 경유하여 회수연산제어부(150)로 전달된다.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5)에 연결되어 주유제어부(113)로부터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115)를 통하여 표시되는 신호가 주유 유량값으로 되어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5)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주유량이 주유 유량값으로 되어, 연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입력한 주유량이 주유 유량값이 되어 연산제어부(150)에서 연산되므로, 연산이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는 주유제어부(113)에 연결되며, 주유량, 유종, 결재금액, 주유소 재고량, 매출액이 실시간으로 관리되는 POS시스템(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연산제어부는 POS시스템에 연결되어, POS시스템(140)으로부터 주유 유량값을 전송받아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된다.
상기 주유제어부(113)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유량과 주유유량계(117)에서 센싱된 주유 유량으로부터 주유시간이 연산되어 회수연산제어부(150)로 전송되고, 단위 시간당 주유 유량에 대한 회수유량계(114)로부터 전송되는 단위 시간당 회수 유량의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될 수 있다. 연산된 단위 시간 당 유증기 회수율이 주유제어부(113)로 전송되어 회수모터(119-1)의 구동이 제어된다. 단위 시간 당 유증기 회수율은 회수유량계(114)로부터 전송되는 단위 시간당 회수 유량 정보가 주유제어부(113)로 전송되어, 주유제어부(113)에서 연산될 수도 있다. 단위 시간 당 유증기 회수율이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회수모터(119-1)의 회전 속도를 늦추고,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회수모터(119-1)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유증기 회수율이 설정값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제어되어 유증기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21은 주유저장탱크(120)에 설치된 벤트라인을 도시한 것이고, 123은 벤트라인(121)의 단부에 설치되어 주유저장탱크(120) 내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벤트밸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벤트밸브(121)의 예로 릴리프 밸브를 들 수 있다.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로부터의 유증기 회수율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르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가 설치된 주유소의 사무실 단말기(예, PC)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유증기 회수율 정보가 확인될 수 있고, 유증기 회수율 정보가 설정값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는 서버(160)에 연결되어, 회수연산제어부(150)에서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 정보가 관련 기관의 서버(160)로 전송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벤트밸브(123)에 벤트밸브(123)의 개폐가 감지되는 벤트밸브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고, 벤트밸브센서로부터 벤트밸브(123)의 개폐 정보가 회수연산제어부(150)로 전송되어, 유증기 회수율 정보와 함께 벤트밸브(123)의 개폐 정보가 유증기 회수율 정보와 함께 서버(160) 및/또는 사무실 단말기(예, PC)로 전송될 수 있다.
100: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 110: 주유기본체
111: 본체하우징 112: 회수펌프
113: 주유제어부 114: 회수유량계
115: 디스플레이부 117: 주유유량계
119: 주유펌프 120: 주유저장탱크
121: 벤트라인 123: 벤트밸브
130: 주유건 131: 주유라인
133: 회수라인 140: 회수연산제어부
151: 경고수단 153: 유증기 표시부
160: 서버

Claims (7)

  1. 주유저장탱크(120)와, 하나 이상의 주유기본체부(110)와, 상기 각 주유기본체부(110)를 지나 일측은 주유저장탱크(120)로 연장된 주유라인(131)과 회수라인(133)의 타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주유건(130)을 포함하고;
    상기 주유기본체부(110)는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되며 주유모터(119-1)에 의하여 구동되어 주유저장탱크(120)의 연료를 주유건(130) 쪽으로 유동시키는 주유펌프(119)와, 상기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되어 주유라인(131)을 개폐하는 주유밸브(116)와, 상기 주유라인(131) 상에 설치되어 주유라인(131)으로 유동하는 연료의 유량을 센싱하는 주유유량계(117)와, 상기 회수라인(133) 상에 설치되며 회수모터(112-1)에 의하여 구동되어 주유 중 발생하는 유증기를 주유저장탱크(120)로 유동시키는 회수펌프(112)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주유량을 입력하며 주유라인(131)을 통하여 차량에 공급되는 주유량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15)와, 주유제어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제어부(113)는 디스플레이부(115)와, 주유모터(119-1)와, 회수모터(112-1)와, 주유유량계(117)와, 주유밸브(116)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115)를 통하여 입력된 주유량이 주유되고 유증기가 회수되도록 주유모터(119-1)와 회수모터(112-1)의 동작을 제어하고, 주유량이 디스플레이부(115)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주유밸브(116)의 개폐를 제어하며;
    상기 회수라인(133)에 구비되어 회수라인(133)으로 유동하는 유증기의 유량을 센싱하는 회수유량계(114)와, 상기 회수유량계(114)에 연결되어 주유 유량에 대한 유증기 유량의 비인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는 회수연산제어부(150)와,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에 연결되어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이 표시되는 유증기 표시부(15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5)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주유량이 주유 유량값으로 되거나, 주유제어부(113)로부터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115)를 통하여 표시되는 신호가 주유 유량값으로 되어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는 주유제어부(113)에 연결되어 주유유량계(117)에서 센싱된 유량값은 주유제어부(113)를 경유하여 회수연산제어부(150)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유제어부(113)에 연결되며, 주유량, 유종, 결재금액, 주유소 재고량, 매출액이 실시간으로 관리되는 POS시스템(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연산제어부는 POS시스템에 연결되어, POS시스템(140)으로부터 주유 유량값을 전송받아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
  5. 제1 항, 제2 항 및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연산제어부(15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경고수단(151)이 더 포함되며, 상기 경고수단(151)은 회수연산제어부(150)에서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이 설정값 범위를 벗어나면 회수연산제어부(150)에 의하여 제어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
  6. 제1 항, 제2 항 및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유제어부(113)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유량과 주유유량계(117)에서 센싱된 주유 유량으로부터 주유시간이 연산되어 회수연산제어부(150)로 전송되고, 단위 시간당 주유 유량에 대한 회수유량계(114)로부터 전송되는 단위 시간당 회수 유량의 유증기 회수율이 연산되고,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이 주유제어부(113)로 전송되어 회수모터(119-1)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
  7. 제1 항, 제2 항 및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수연산제어부(150)에서 연산된 유증기 회수율 정보는 서버(16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100).
KR1020200087319A 2020-07-15 2020-07-15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 KR102207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319A KR102207436B1 (ko) 2020-07-15 2020-07-15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319A KR102207436B1 (ko) 2020-07-15 2020-07-15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436B1 true KR102207436B1 (ko) 2021-01-25

Family

ID=7423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319A KR102207436B1 (ko) 2020-07-15 2020-07-15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43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0A (ja) * 1996-06-17 1998-01-06 Tatsuno Co Ltd 給油装置
JPH101199A (ja) * 1996-06-17 1998-01-06 Tatsuno Co Ltd 給油装置
KR19980050660U (ko) * 1996-12-30 1998-10-07 이종수 휘발성 증기 회수형 주유기
JP2000043998A (ja) * 1998-07-31 2000-02-15 Tokico Ltd 給油装置
KR100905738B1 (ko) 2009-02-06 2009-07-01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유증기 회수장치
KR20100002917U (ko) * 2008-09-04 2010-03-12 손대원 전자식 유증기 회수장치
KR100954829B1 (ko) 2009-09-10 2010-04-27 엄장우 유증기 회수형 주유건
JP2012123504A (ja) * 2010-12-07 2012-06-28 Tatsuno Corp ガソリンベーパ回収装置投資システム
KR101222756B1 (ko) 2010-02-18 2013-01-16 김덕수 유증기를 회수하는 주유 노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0A (ja) * 1996-06-17 1998-01-06 Tatsuno Co Ltd 給油装置
JPH101199A (ja) * 1996-06-17 1998-01-06 Tatsuno Co Ltd 給油装置
KR19980050660U (ko) * 1996-12-30 1998-10-07 이종수 휘발성 증기 회수형 주유기
JP2000043998A (ja) * 1998-07-31 2000-02-15 Tokico Ltd 給油装置
KR20100002917U (ko) * 2008-09-04 2010-03-12 손대원 전자식 유증기 회수장치
KR100905738B1 (ko) 2009-02-06 2009-07-01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유증기 회수장치
KR100954829B1 (ko) 2009-09-10 2010-04-27 엄장우 유증기 회수형 주유건
KR101222756B1 (ko) 2010-02-18 2013-01-16 김덕수 유증기를 회수하는 주유 노즐
JP2012123504A (ja) * 2010-12-07 2012-06-28 Tatsuno Corp ガソリンベーパ回収装置投資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5238E (en) Vapor recovery system for fuel dispenser
US3905405A (en) Gasoline dispensing and vapor recovery system
KR102133734B1 (ko) 전자 펌프 모터 제어
JPH06100099A (ja) 燃料充填施設におけるシール部材なしで揮発蒸気回収を行うシステム
US4310033A (en) Liquid dispensing and uphill vapor recovery system
KR102207436B1 (ko) 유증기 회수 모니터링 주유 장치
US6899149B1 (en) Vapor recovery fuel dispenser for multiple hoses
US4991776A (en) High volume, low pressure spraying system
US6460579B2 (en) Vapor flow and hydrocarbon concentration sensor for improved vapor recovery in fuel dispensers
US5044557A (en) High volume, low pressure spraying system
WO1998035104A1 (en) Electrostatic water spray dust suppression system for mobile dust sources
KR101640438B1 (ko) 다수의 장거리 고압 분사형의 염수살포 설비에 대한 인터넷을 이용한 관할 지역별 구획 기반의 통합 관리 시스템
US6032407A (en) Combination aerosol generator and thermal fogger
US1351700A (en) Fire-engine
US6176275B1 (en) Vapor recovery system for mobile fuelers
US6324840B1 (en) Bulk fuel delivery system for operating a fluid driven power source at a constant speed
KR101927882B1 (ko) 차량 탑재형 연막소독기의 원격 제어장치
DE60108756D1 (de) Automatische ortsfeste feuerbekämpfungseinrichtung
EP0787638A2 (en) Device for spraying lubricating grease onto a side wall of railway tracks
US5305791A (en) Remote fluid flow controller
JPH101200A (ja) 給油装置
US20120024976A1 (en) Leak detector using atomized oil produced by a mechanical generating means
JP2003128199A (ja) 給油装置
CN117136932B (zh) 喷药机
JP5516559B2 (ja) 可搬式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