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271B1 - Great depth undergraound station - Google Patents

Great depth undergraound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271B1
KR102206271B1 KR1020200056551A KR20200056551A KR102206271B1 KR 102206271 B1 KR102206271 B1 KR 102206271B1 KR 1020200056551 A KR1020200056551 A KR 1020200056551A KR 20200056551 A KR20200056551 A KR 20200056551A KR 102206271 B1 KR102206271 B1 KR 102206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platform
escalator
ground
waiting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철수
Original Assignee
(주)선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선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5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2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at-depth underground station in which a platform of a subway or a wide area railway is installed at a great depth under the ground. The great-depth underground station includes: a waiting room connected to an entrance on the ground; a vertical structu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great-depth from the waiting room; a multi-layer tunnel connected to one side of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tructure, providing an escalator transfer path, and provided with a main line and the platform on a lower portion of the multi-layer tunnel; and a single-layer tunnel which is connected to the multi-layer tunnel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tructure and in which the main line and the platform are installed by being extended. Also, the great-depth underground st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scalators are installed such that a walking line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platform from the entrance on the ground.

Description

지하 대심도 역사{GREAT DEPTH UNDERGRAOUND STATION}Deep underground history{GREAT DEPTH UNDERGRAOUND STATION}

본 발명은 대심도 지하에 건설되는 역사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storic structure built underground in a large depth.

지하철 노선이 증가함에 따라 노선이 교차하고 경유역이 많아지고 있으며, 결국 지하철이나 광역철도 등은 점점 더 깊은 깊이로 굴착되어 건설된다. 이를 대심도 지하철 또는 대심도 광역철도라 부른다.As subway lines increase, lines intersect and transit stations are increasing, and eventually, subways and metropolitan railways are built by excavating deeper and deeper depths. This is called the large-depth subway or the large-depth metro.

대심도 지하철이나 광역철도의 경우 기존 지하철 및 철도 노선 등과의 간섭 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a deep subway or a wide-area railroad, it should be designe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existing subways and railroad lines.

정거장 계획 단계에서부터 지중 지장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심도 터널 정거장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 단계에서 승강장 및 대합실 등의 배치, 기계 전기실 등의 기능실 배치, 환승계획 등이 철저히 점검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하철의 승강장이 대심도 내에 구축됨에 따라, 대심도까지 연결되는 환기 시스템 및 비상 탈출로에 대한 대비책도 필요하다. 즉, 승강장이나 터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계획이 필요하다.From the station planning stage, a deep tunnel station plan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impact of underground obstacles, and at this stage, the arrangement of platforms and waiting rooms, the arrangement of functional rooms such as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rooms, and the transfer plan should be thoroughly checked. In addition, as the platform of the subway is built within the deep depth,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a ventilation system and emergency escape routes that are connected to the deep depth. In other words, a concrete and realistic plan is needed for disasters that may occur in platforms or tunnels.

나아가, 지중에 여러 구조물을 설치해야하고 특히 대심도에 승강장을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무척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지상에서부터 대심도 승강장까지 이동하기 위한 보행동선도 고려해야 한다. Furthermore, since several structures must be installed in the ground, and especially a platform must be constructed in a deep depth,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greatly increased. In addition, the pedestrian traffic line for the users to move from the ground to the high depth platform should be considered.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지하 대심도 역사 구조에 관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me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long period of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on the underground large-depth historic structure.

본 발명은 공사비가 높은 개착구조물의 심도 및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하 대심도 역사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ep underground station capable of minimizing the depth and range of open structures with high construction costs.

지상으로부터 승강장까지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보행동선을 제공하는 지하 대심도 역사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ep underground station that provides a pedestrian path through which users can efficiently move from the ground to the platform.

에스컬레이터 환승을 위한 복층터널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장 및 본선환기구를 단층터널로 형성하여 경제적으로 역사를 건설할 수 있는 지하 대심도 역사를 제공하고자 한다.Excluding the double-decker tunnel for escalator transfer, the rest of the platform and the main shuttle are formed as single-story tunnels to provide a deep underground station that can economically build a station.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Meanwhile, other objects not specifie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대심도에 지하철이나 광역철도 등의 승강장이 설치되는 지하대심도 역사에 있어서,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derground large-depth station where platforms such as subways or wide-area railways are installed in the large-depth,

지상의 출입구와 연결되는 대합실;A waiting room connected to an entrance on the ground;

상기 대합실로부터 대심도 승강장까지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구 구조물;A vertical sphere structure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waiting room to the high depth platform;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에스컬레이터 환승 통로를 제공하는 복층터널-상기 복층터널의 하부에는 본선과 승강장이 설치됨-; 및A double-story tunnel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structure and providing an escalator transfer passage-a main ship and a platform are installed under the double-story tunnel-; And

상기 복층터널 및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선과 승강장이 연장되어 설치되는 단층터널;을 포함하고,Including; a single-story tunnel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double-story tunnel and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structure, and installed by extending the main line and the platform,

보행동선이 상기 지상의 출입구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승강장까지 이어지도록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n escalator is installed so that the pedestrian movement line continuously extends from the entrance of the ground to the platform,

지하 대심도 역사를 제공한다.Provides a deep underground histo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대합실 하부에 기능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합실 및 상기 기능실은 개착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al room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iting room, and the waiting room and the functional room may be formed of an open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지상의 출입구로부터 상기 승강장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는,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scalator continuously connected from the entrance on the ground to the platform,

상기 지상의 출입구와 상기 대합실을 연결하는 제1 에스컬레이터;A first escalator connecting the entrance of the ground and the waiting room;

상기 대합실과 상기 복층터널을 연결하는 제2 에스컬레이터;A second escalator connecting the waiting room and the duplex tunnel;

상기 복층터널과 상기 승강장을 연결하는 제3 에스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third escalator connecting the double-decker tunnel and the plat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3 에스컬레이터는,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scalator,

상기 복층터널로부터 상기 승강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It may be formed in plurality from the double-decker tunnel to the plat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의 단층터널로부터 단층으로 연장된 추가터널; 및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tunnel extending from a fault tunnel to a fault at the end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platform; And

상기 추가터널에 설치되는 본선환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additional tun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의 단층터널에 연결된 피난안전구역; 및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cuation safety zone connected to a fault tunnel at an end of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 of the platform; And

상기 피난안전구역 및 지상을 서로 연결하는 비상대피통로-상기 비상대피통로는 소형 수직구 내에 형성됨-를 더 포함하고,An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connecting the evacuation safety zone and the ground to each other-the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is formed in a small vertical opening- further comprises,

상기 피난안전구역은 상기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의 단층터널과 상기 소형 수직구를 연결하는 횡갱 내에 형성될 수 있다.The evacuation safety zone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shaft connecting the single-level tunnel at the start and end of the platform and the small vertical sphe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피난안전구역은 재난시에 양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cuation safety zone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positive pressure state during a disaster.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지상에서 승강장까지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If the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user can mov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using an escalator that extends from the ground to the platform.

또한, 에스컬레이터 환승을 위한 복층터널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장 및 본선환기구를 단층터널로 형성하여 경제적으로 역사를 건설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build a station by forming a single-story tunnel with the rest of the platform and the main shuttle except for the double-decker tunnel for escalator transfer.

또한, 공사비가 높은 개착구조물의 심도 및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pth and range of the open structure with high construction cost.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an effect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it is added that the effect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its provisional effect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장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안전구역 및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종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횡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large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rge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tunnel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seungjang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vacuation safe zone and an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rge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known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underground large-depth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overlapped therewith.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횡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는 대합실(100), 수직구 구조물(200), 복층터널(300), 및 단층터널(400)을 포함하고, 지상으로부터 승강장까지 보행동선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2, the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iting room 100, a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a double-story tunnel 300, and a single-story tunnel 400, and walks from the ground to the plat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scalator is installed so that the traffic line is connected continuously.

본 발명은 지하 대심도 예를 들어 지하 30~40M 또는 지하 50M 이상의 대심도에 지하철 또는 광역철도를 의한 본선과 승강장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개착 및 복층터널(300) 구간을 최소화하고, 지상 외부로부터 지하 승강장까지 사용자의 보행동선이 에스컬레이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main line and platform by subway or metropolitan railway in a large underground depth, for example, 30 to 40M underground or 50M or more underground, minimizing the opening and double-decker tunnel 300 section, and The user's walking path to the platform is continuously connected by the escalator.

대합실(100)은 지중의 가장 상부에 배치되되 땅을 파내어 설치되는 개착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땅을 파내어 설치되는 개착구조물 형태는 공사비가 높다. 따라서 이러한 개착구조물의 깊이 및 범위를 최소화해야 한다. 대합실(100)은 이러한 개착구조물의 맨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지상과 외부출입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외부출입구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지상으로부터 대합실(100)로 연결될 수 있다. The waiting room 100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ground, bu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ut-off structure installed by digging out the ground.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in the form of a cut-off structure that is dug up and install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depth and extent of such an open structure. The waiting room 10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ut-off structure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ground and an external entrance. At this time, an escalator may be installed at the external entrance to be connected to the waiting room 100 from the ground.

한편 대합실(100)은 외부 지상과 엘리베이터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상의 사용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대합실(100)로 접근할 수 있다. 지상의 사용자는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대합실(100)에 접근한 다음, 이후 본선과 승강장이 있는 대심도까지 이동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비상계단, 또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iting room 1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ground by an elevator. That is, a user on the ground can access the waiting room 100 using an elevator. A user on the ground may access the waiting room 100 by using an escalator or an elevator, and then use an elevator, an emergency staircase, or an escalator to move to the depth of the main ship and the platform.

이를 위해 수직구 구조물(200)에는 비상계단 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To this end, an emergency staircase or elevator may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수직구 구조물(200)은 대합실(100)로부터 대심도의 승강장까지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구 구조물(200)에는 여러 시설물과 승객이 승하차하며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그리고 보행으로 이동가능한 비상계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may be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waiting room 100 to a platform having a large depth.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facilities, elevators, escalators, and emergency stairs that can be moved by walking.

이러한 수직구 구조물(200)은 대심도의 승강장의 중앙부위에 오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설명할 복층터널(300)이 수직구 구조물(2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이러한 복층터널(300)로부터 양측으로 승강장까지 에스컬레이터가 형성되는데, 이때 에스컬레이터는 승강장 양쪽의 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부위로부터 양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is design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atform of a large depth. A duplex tunnel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and an escalator is formed from the duplex tunnel 300 to the platform on both sides. At this time, the escalator is located in the center so that the passengers on both sides of the platform can move. This is becaus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from both sides.

대합실(100) 하부에는 기능실(110)이 형성될 수 있다. 기능실(110)에는 대심도 역사를 운영하기 위한 중앙제어장치 등의 다양한 기계 전기 장치를 포함하고, 역사의 근무자들을 위한 공간도 마련될 수 있다.A functional room 110 may be formed under the waiting room 100. The function room 110 includes vari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devices such as a central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 large-depth station, and a space for workers in the station may also be provided.

경우에 따라서는 대합실(100)과 기능실(110)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positions of the waiting room 100 and the function room 110 may be changed.

대합실(100)과 기능실(110)은 개착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땅을 파내고 대합실(100)과 구조실을 설치한 다음, 다시 땅을 덮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착구조물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개착구조물의 심도 및 범위를 최소화하고자 대합실(100)과 기능실(110)만을 개착구조물로 형성하는 것이다. The waiting room 100 and the functional room 110 may be formed of an open structure. That is, after digging the ground, installing the waiting room 100 and the rescue room, it can be made in a way to cover the ground again. Since such an open structure requires a lot of co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only the waiting room 100 and the functional room 110 as an open structure in order to minimize the depth and range of the open structure.

복층터널(300)은 수직구 구조물(2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구 구조물(200)의 좌측으로 복층터널(300)이 위치할 수 있다. 복층터널(300)은 에스컬레이터 환승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합실(100)로부터의 에스컬레이터가 복층터널(300)의 환승 통로까지 이어지고, 다시 복층터널(300)의 환승 통로에서 승강장으로 복수의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이용자에게 지상에서부터 승강장까지 연속적인 에스컬레이터 동선을 제공해준다.The double-level tunnel 300 is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As shown in FIG. 1, a multi-level tunnel 300 may be located to the left of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The duplex tunnel 300 is to provide an escalator transfer passage, and the escalator from the waiting room 100 leads to the transfer passage of the duplex tunnel 300, and a plurality of escalators are installed from the transfer passage of the duplex tunnel 300 to the platform. It provides users with a continuous escalator line from the ground to the platform.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층터널(300)에서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는 좌우 양측으로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승강장의 사용자가 양쪽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복층터널(300)의 환승 통로 공간으로 이동한 다음, 대합실(100)로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대합실(100)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escalator leading from the double-decker tunnel 300 to the platform may be formed one by on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 user of the platform may move to the transfer passage space of the double-floor tunnel 300 using both escalators, and then move to the waiting room 100 using an escalator leading to the waiting room 100.

복층터널(300)은 에스컬레이터 환승을 위하여 반드시 요구된다. 즉, 복층터널(300)에 에스컬레이터 환승을 위한 환승 통로가 제공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복층터널(300)은 단층터널(400)에 비하여 공사비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범위를 최소화하여 건설하게 된다.The double-decker tunnel 300 is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escalator transfer. That is, a transfer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escalator is provided in the double-decker tunnel 300. However, since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er than that of the single-story tunnel 400, the double-story tunnel 300 is constructed by minimizing the range.

복층터널(300)은 승강장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직구 구조물(200)의 하측에 형성된다. 승강장을 위하여 터널을 준공하는 것은 필수적인데, 수직구 구조물(200) 일측에 승강장을 따라서 복층터널(300)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복층터널(300)을 중심으로 수직구 구조물(200)의 반대측에는 단층터널(400)이 이어지게 된다.The double-story tunnel 300 is formed under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latform. It is essential to complete the tunnel for the platform, and to form a double-story tunnel 300 along the platform on one side of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In addition, a single-story tunnel 40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around the double-layer tunnel 300.

복층터널(300)의 하부에는 본선과 승강장이 설치되고, 이러한 본선과 승강장은 단층터널(400)에 설치되는 본선과 승강장과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된다.A main ship and a platform are installed below the double-decker tunnel 300, and the main ship and the platform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main ship and a platform installed in the single-story tunnel 400.

단층터널(400)은 승강장을 따라 복층터널(300)과 연결되거나 또는 승강장을 따라 수직구 구조물(200)의 하부에 연결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왼쪽으로부터 단층터널(400), 복층터널(300), 수직구 구조물(200), 그리고 다시 단층터널(400)이 승강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single-story tunnel 400 is connected to the double-story tunnel 300 along the platform, or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along the platform. As can be seen in FIG. 1, a single-story tunnel 400, a double-story tunnel 300, a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and a single-story tunnel 400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platform from the left.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터널구조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cost by minimizing the tunnel structure.

또한, 외부 지상의 출입구로부터 연속적으로 승강장까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상의 출입구로부터 승강장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는 크게 3개의 에스컬레이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n escalator may be installed from the entrance of the outside ground to the platform continuously. That is, the escalator continuously connected from the entrance on the ground to the platform may consist of three escalators.

다시말해, 지상의 출입구로부터 승강장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는 지상의 출입구와 대합실(100)을 연결하는 제1 에스컬레이터(510), 대합실(100)과 복층터널(300)을 연결하는 제2 에스컬레이터(520), 및 복층터널(300)과 승강장을 연결하는 제3 에스컬레이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scalator continuously connected from the entrance on the ground to the platform is the first escalator 510 connecting the entrance and the waiting room 100 on the ground, and the second escalator 520 connecting the waiting room 100 and the double-decker tunnel 300 ), and a third escalator 530 connecting the double-decker tunnel 300 and the platform.

이러한 3개의 에스컬레이터를 통하여 외부 지상으로부터 승강장까지 보행동선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ese three escalators, a pedestrian movement line can be made continuously from the outside ground to the platform.

이때 제3 에스컬레이터(530)는 복층터널(300)로부터 좌우 승강장으로 이어지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장의 승객들이 좌우 양측에서 제3 에스컬레이터(530)를 이용하여 복층터널(300)의 에스컬레이터 환승통로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제2 에스컬레이터(520)를 이용하여 대합실(100)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제1 에스컬레이터(510)를 이용하여 외부 지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third escalator 530 may be formed in plural so as to connect from the double-decker tunnel 300 to the left and right platforms. As described above, passengers of the platform may move to the escalator transfer passage of the double-decker tunnel 300 using the third escalator 530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after, the second escalator 520 is used to move to the waiting room 100, and finally, the first escalator 510 is used to move to the outside groun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층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장층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추가터널(600) 및 본선환기구(610)를 설명한다.3 is a plan view of a tunnel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seungjang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tunnel 600 and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6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는 추가터널(600) 및 본선환기구(610)를 포함한다. The underground large-depth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ditional tunnel 600 and a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610.

추가터널(600)은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의 단층터널(400)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추가터널(600)에 본선환기구(6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승강장 시종점을 넘어선 영역에 본선환기구(610)를 두어 외부로의 공기 순환을 돕는다. 이러한 본선환기구(610)는 소형 수직구(721) 내의 풍도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된다. The additional tunnel 600 is formed by extending the single-story tunnel 400 at the end of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 of the platform. And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610 is formed in the additional tunnel 600.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helps air circulation to the outside by placing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610 in the area beyond the starting point of the platform. In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610,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wind channel in the small vertical port 721 or air inside the platfor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선환기구(610)를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 외측으로 형성함으로써 승강장 내 구조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층터널(300) 및 수직구 구조물(200) 영역을 제외한 전 구간이 단층터널(400)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본선과 승강장의 대부분의 공간을 단층터널(400)로 구성함으로써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tructure in the platform by forming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610 outside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 end of the platform, and accordingly, all sections excluding the areas of the double-decker tunnel 300 and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are converted to the single-story tunnel 400. Can be done. In this way,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can be greatly reduced by configuring most of the space of the main line and the platform with the single-story tunnel 4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안전구역(710) 및 비상대피통로(7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피난안전구역(710) 및 비상대피통로(720)를 설명한다.5 is a view showing an evacuation safe zone 710 and an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7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cuation safety zone 710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7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의 단층터널(400)에는 피난안전구역(71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피난안전구역(710)은 재난시 승객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화재 등의 재난시에 양압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난안전구역(710)은 승강장의 양쪽 시종점 단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재난시 승강장의 승객들은 가까운 피난안전구역(710)으로 대피할 수 있다. An evacuation safety zone 710 may be connected to the single-story tunnel 400 at the end of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 of the platform. The evacuation safety zone 710 is a space in which passengers can evacuate in case of a disaster, and may be formed to maintain a positive pressure state in cas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These evacuation safe zones 710 are formed at the ends of both start and end points of the platform, so that in case of a disaster, passengers of the platform can evacuate to the nearest safe evacuation zone 710.

피난안전구역(710)은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 단층터널(400)과 소형 수직구(721)를 서로 연결하는 횡갱(711) 내에 위치하게 된다.The evacuation safety zone 710 is located in the horizontal shaft 711 connecting the fault tunnel 400 at the start and end of the platform and the small vertical sphere 721 to each other.

한편, 재난시 피난안전구역(710)이 양압으로 유지됨으로써 승강장으로부터 발생된 화재등이 차단될 수 있다. 즉, 피난안전구역(710)은 지상과 연결되는 비상대피통로(720)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비상대피통로(720)를 통하여 승객이 이동시 화재 등으로 인한 가스 등이 차단되어 승객을 따라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safety evacuation zone 710 is maintained at a positive pressure, so that a fire generated from the platform can be blocked. In other words, the evacuation safety zone 710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720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is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720, gas due to fire, etc. is blocked when the passenger moves, preventing the passengers from following. I can.

비상대피통로(720)는 피난안전구역(710)과 지상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비상대피통로(720)는 지상으로부터 대심도까지 이어지는 소형 수직구(721) 내에 형성된다. 소형 수직구(721)는 사람의 이동통로인 비상대피통로(720) 뿐만 아니라 공기가 이동하는 풍도를 제공하게 된다.The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720 connects the evacuation safety zone 710 and the ground. This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720 is formed in a small vertical sphere 721 extending from the ground to a great depth. The small vertical sphere 721 provides not only the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720, which is a movement passage for a person, but also a wind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종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횡단면도이다.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는 대합실(100)이 지상에 설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즉, 대합실(100)은 지상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대합실(100)로 이어지는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등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대합실(100)의 하부에 기능실(110)이 위치하는데, 이때 기능실(110)은 개착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개착을 더욱 최소화할 수도 있다. 즉, 대합실(100)은 지상에 위치하고 기능실(110)만 지중에 위치하게 되므로 개착의 양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6 and 7, the underground large depth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case where the waiting room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at is, the waiting room 100 is located on the ground, so that stairs or escalators leading from the outside to the waiting room 100 are un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 room 110 is located under the waiting room 100, and in this case, the function room 110 may be formed of an open structure. Cracking can be further minimized through this structure. That is, since the waiting room 100 is located on the ground and only the functional room 110 is located in the ground, the amount of cut-off is greatly reduced.

이때, 대합실(100)로부터 지중의 연결통로까지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510), 다시 연결통로에서 복층터널(300)까지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520) 및 복층터널(300)에서 승강장까지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530)을 통하여 지상의 대합실(100)에서 대심도의 승강장까지 보행동선이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ound through the escalator 510 leading from the waiting room 100 to the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the escalator 520 leading from the connection passage to the duplex tunnel 300, and the escalator 530 leading from the duplex tunnel 300 to the platform. In the waiting room 100, the pedestrian traffic line may be connected continuously to the platform of the great depth.

지중의 연결통로는 수직구 구조물(200) 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수직구 구조물(200)의 일측에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이 곳에 지중의 연결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or a separate spac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200 to form a connection passage of the underground there.

이외의 나머지 복층터널(300)의 구조, 단층터널(400)의 구조, 본선환기구(610) 및 소형 수직구(721)의 구조 등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여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 other double-layer tunnel 300, the structure of the single-layer tunnel 400, the structure of the main ring mechanism 610 and the small vertical sphere 721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의 횡단면도이다.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ep underground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대심도 역사는 승강장의 심도가 50M 이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대합실(100)에서 복층터널(300)의 에스컬레이터 환승 통로까지 하나의 에스컬레이터로 연결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지중의 공간에 연결통로를 마련하고 에스컬레이터를 추가로 더 설치할 수 있다.8 and 9, the underground high-depth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case where the depth of the platform is 50M or more. In this case, it is not easy to connect from the waiting room 100 to the escalator transfer passage of the double-decker tunnel 300 by one escalat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ion passage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additionally install an escalator.

즉, 지상으로부터 대합실(100)까지 에스컬레이터(510), 대합실(100)에서 지중의 연결통로까지 에스컬레이터(521), 지중의 연결통로에서 복층터널(300)까지 에스컬레이터(522) 및 복층터널(300)에서 승강장까지 에스컬레이터(530)가 각각 구성되어 지상에서 대합실(100)까지 승객에게 연속적인 보행동선을 제공하게 된다. That is, the escalator 510 from the ground to the waiting room 100, the escalator 521 from the waiting room 100 to the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the escalator 522 from the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to the double-decker tunnel 300, and the double-decker tunnel 300 Each escalator 530 is configured from the platform to the platform to provide a continuous pedestrian movement line to the passengers from the ground to the waiting room 100.

이외의 나머지 복층터널의 구조, 단층터널의 구조, 본선환기구 및 소형 수직구의 구조 등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여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 other double-layer tunnel, the structure of the single-story tunnel, the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and the structure of the small vertical sphere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00: 대합실
110: 기능실
200: 수직구 구조물
300: 복층터널
400: 단층터널
510: 제1 에스컬레이터
520: 제2 에스컬레이터
530: 제3 에스컬레이터
600: 추가터널
610: 본선환기구
710: 피난안전구역
711: 횡갱
720: 비상대피통로
721: 소형 수직구
100: waiting room
110: functional room
200: vertical sphere structure
300: double-decker tunnel
400: fault tunnel
510: first escalator
520: second escalator
530: third escalator
600: additional tunnel
610: main ventilation mechanism
710: evacuation safety zone
711: horizontal shaft
720: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721: small vertical ball

Claims (7)

지하 대심도에 지하철이나 광역철도 등의 승강장이 설치되는 지하 대심도 역사에 있어서,
지상의 출입구와 연결되는 대합실;
상기 대합실로부터 대심도 승강장까지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구 구조물;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에스컬레이터 환승 통로를 제공하는 복층터널-상기 복층터널의 하부에는 본선과 승강장이 설치됨-; 및
상기 복층터널 및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선과 승강장이 연장되어 설치되는 단층터널;을 포함하고-상기 본선 및 상기 승강장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단층터널, 상기 복층터널, 상기 수직구 구조물, 상기 단층터널이 연속적으로 설치됨-,
보행동선이 상기 지상의 출입구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승강장까지 이어지도록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지상의 출입구로부터 상기 승강장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지상의 출입구와 상기 대합실을 연결하는 제1 에스컬레이터;
상기 대합실과 상기 복층터널을 연결하는 제2 에스컬레이터;
상기 복층터널과 상기 승강장을 연결하는 제3 에스컬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대심도 역사.
In the underground large-depth underground station where platforms such as subways and metropolitan railways are installed,
A waiting room connected to an entrance on the ground;
A vertical sphere structure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waiting room to the high depth platform;
A duplex tunnel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structure and providing an escalator transfer passage-a main ship and a platform are installed under the duplex tunnel-; And
Including; a single-story tunnel connected to the other lower side of the double-decker tunnel and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and installed by extending the main line and the platform; and-The single-story tunnel, the double-layer tunnel, and the Vertical sphere structure, the single-story tunnel is continuously installed-,
An escalator is installed so that the pedestrian movement line extends from the entrance of the ground to the platform continuously,
The escalator continuously connected from the ground entrance to the platform,
A first escalator connecting the entrance of the ground and the waiting room;
A second escalator connecting the waiting room and the duplex tunn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escalator connecting the double-decker tunnel and the platform,
Deep underground hist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합실 하부에 기능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합실 및 상기 기능실은 개착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대심도 역사.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al room below the waiting r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waiting room and the functional room are formed of an open structure,
Deep underground histor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복층터널로부터 상기 승강장으로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지하 대심도 역사.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esca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plural from the double-decker tunnel to the platform,
Deep underground hist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의 단층터널로부터 단층으로 연장된 추가터널; 및
상기 추가터널에 설치되는 본선환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대심도 역사.
The method of claim 1,
An additional tunnel extending to a fault from a fault tunnel at an end of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 of the platform;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in line ventilat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additional tunnel,
Deep underground hist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의 단층터널에 연결된 피난안전구역; 및
상기 피난안전구역 및 지상을 서로 연결하는 비상대피통로-상기 비상대피통로는 소형 수직구 내에 형성됨-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난안전구역은 상기 승강장의 시종점 단부의 단층터널과 상기 소형 수직구를 연결하는 횡갱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대심도 역사.
The method of claim 1,
An evacuation safety zone connected to a fault tunnel at the end of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 of the platform; And
An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connecting the evacuation safety zone and the ground to each other-the emergency evacuation passage is formed in a small vertical opening- further comprises,
The evacuation safety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horizontal shaft connecting the single-level tunnel and the small vertical sphere at the start and end of the platform,
Deep underground histor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안전구역은 재난시에 양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대심도 역사.
The method of claim 6,
The evacuation safety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a positive pressure state during a disaster,
Deep underground history.
KR1020200056551A 2020-05-12 2020-05-12 Great depth undergraound station KR1022062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51A KR102206271B1 (en) 2020-05-12 2020-05-12 Great depth undergraound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51A KR102206271B1 (en) 2020-05-12 2020-05-12 Great depth undergraound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271B1 true KR102206271B1 (en) 2021-01-22

Family

ID=7430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551A KR102206271B1 (en) 2020-05-12 2020-05-12 Great depth undergraound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27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8801A (en) * 2022-05-16 2022-08-16 山东轨道交通勘察设计院有限公司 Subway station structure jointly built by wind pavilion and entrance and exit
CN114908801B (en) * 2022-05-16 2024-06-04 山东轨道交通勘察设计院有限公司 Subway station structure jointly built by wind pavilion and entr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95B1 (en) * 2016-01-22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Architecture and system for fire evacuation in metrorail station of deep underground space
KR20190062329A (en) * 2019-03-25 2019-06-05 임철수 Hybrid underground station construction method that combines parallel tunnel and open cut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95B1 (en) * 2016-01-22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Architecture and system for fire evacuation in metrorail station of deep underground space
KR20190062329A (en) * 2019-03-25 2019-06-05 임철수 Hybrid underground station construction method that combines parallel tunnel and open cut metho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TX-A 운정-동탄 GTX 킨텍스역 계획 *
광역급행철도 환경영향평가서 *
부산지하철 사상-하단 노선 502 정거장 조감도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8801A (en) * 2022-05-16 2022-08-16 山东轨道交通勘察设计院有限公司 Subway station structure jointly built by wind pavilion and entrance and exit
CN114908801B (en) * 2022-05-16 2024-06-04 山东轨道交通勘察设计院有限公司 Subway station structure jointly built by wind pavilion and entr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488B1 (en) Evacuation structure of metrorail of deep underground space
KR101772362B1 (en) A Great deep metro station structure
CN204055768U (en) A kind of subway station
RU2701762C1 (en) Single-vaulted subway station arranged in double-track main line tunnel
US7191873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WO2007038935A1 (en) Lifting systems for high-rise structures
KR101938293B1 (en) Metrorail station of deep underground space
CN106014442A (en) Method for forming escaping-rescuing transverse channel in road tunnel
KR102206271B1 (en) Great depth undergraound station
JP2010531400A (en) Multi-passage tunnel
KR101723995B1 (en) Architecture and system for fire evacuation in metrorail station of deep underground space
EA021287B1 (en) Double-level deep subway station complex
CN107745714B (en) Novel cross section pipeline synthesis and platform layer-by-layer high design of inter-city railway underground station
KR101737521B1 (en) Trench shield apparatus of excavating all surface, and rapid construction method for near-surface ground excavation using the same
Kuligowski et al. Design of occupant egress systems for tall buildings
RU2381982C2 (en) Device to evacuate people from high blocks in fire
CN104879161B (en) A kind of telescopic evacuation platform stair interval for subway tunnel
RU2734753C1 (en) Small underground metro station complex with single central entrance hall
KR20080112176A (en) The structure of tunnel in unban railway or monorail
CN110435913B (en) Boarding bridge, boarding bridge fixed end and control method of boarding bridge fixed end
CN113338946A (en) Comprehensive hidden excavation cable tunnel overhauls intercommunication shaft
RU2538565C2 (en) Device for forming of emergency escape from shallow mines
JP3760133B2 (en) How to add lifting equipment for dwelling unit access
CN212454433U (en) Double-deck subway station of small cross section side formula platform
RU2808273C1 (en) Subway line in deep urban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