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129B1 -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6129B1 KR102206129B1 KR1020200077104A KR20200077104A KR102206129B1 KR 102206129 B1 KR102206129 B1 KR 102206129B1 KR 1020200077104 A KR1020200077104 A KR 1020200077104A KR 20200077104 A KR20200077104 A KR 20200077104A KR 102206129 B1 KR102206129 B1 KR 1022061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voice
- radio wave
- information processor
- wave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정보처리기(information processor)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성유도기(audio guiding device)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처리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기가 사용자단말기(user terminal)로부터 음성정보 호출신호(audio information call signal)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기초로 자신이 마스터(master)인지 판단하는 판단과정; 마스터로 판단된 정보처리기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audio guiding device control signal)를 생성하는 생성과정; 마스터로 판단된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radio wave generator)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제1 송신과정;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제2 송신과정; 및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전파발생기가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하는 전파발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정보처리기(information processor)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성유도기(audio guiding device)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처리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기가 사용자단말기(user terminal)로부터 음성정보 호출신호(audio information call signal)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기초로 자신이 마스터(master)인지 판단하는 판단과정; 마스터로 판단된 정보처리기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audio guiding device control signal)를 생성하는 생성과정; 마스터로 판단된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radio wave generator)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제1 송신과정;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제2 송신과정; 및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전파발생기가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하는 전파발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음성유도기(audio guiding device)는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길과 장소의 위치를 안내하는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시철도 역사의 경우 화장실, 엘리베이터 등 주요한 위치에 음성유도기가 설치되어 해당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음성유도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직접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면, 리모컨에서 일정한 주파수의 전파를 발생시키고, 음성유도기는 리모컨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면 사전에 녹음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여러 대의 음성유도기가 해당 리모컨의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 동시에 여러 음성이 출력됨에 따라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리모컨이 발생하는 전파의 도달 범위는 전파의 세기와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전파의 세기가 셀수록 전파의 도달 범위는 넓어진다. 따라서 리모컨이 발생하는 전파의 세기가 셀수록 여러 대의 음성유도기가 동시에 음성을 출력하는 중복 출력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반면, 리모컨이 발생하는 전파의 세기가 약할수록 전파의 도달 범위가 좁아지므로 중복 출력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작아진다. 하지만, 리모컨이 발생하는 전파의 도달 범위가 좁아지면 전파 도달범위 내에 음성유도기가 하나도 위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더라도 아무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리모컨 등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단말기가 발생시키는 전파의 도달 범위 내에 여러 대의 음성유도기가 있는 경우, 음성 중복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대의 음성유도기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는,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리모컨 등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단말기가 발생시키는 전파의 도달 범위 밖에 음성유도기가 있는 경우에도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정보처리기(information processor)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성유도기(audio guiding device)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처리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기가 사용자단말기(user terminal)로부터 음성정보 호출신호(audio information call signal)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기초로 자신이 마스터(master)인지 판단하는 판단과정; 마스터로 판단된 정보처리기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audio guiding device control signal)를 생성하는 생성과정; 마스터로 판단된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radio wave generator)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제1 송신과정;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제2 송신과정; 및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전파발생기가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하는 전파발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유도기(audio guiding device)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정보 호출신호(audio information call signal)를 송신하는 사용자단말기(user terminal);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송신하는 복수의 정보처리기(information processor);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파발생기(radio wave generator); 및 상기 전파를 수신하면, 안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유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컨 등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단말기가 발생시키는 전파의 도달 범위 내에 여러 대의 음성유도기가 있는 경우, 음성유도기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음성 중복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컨 등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단말기가 발생시키는 전파의 도달 범위 밖에 음성유도기가 있는 경우에도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공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 및 전파발생기의 데이터 구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에게 순차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에서 복수의 정보처리기를 이용하여 음성유도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 및 전파발생기의 데이터 구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에게 순차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에서 복수의 정보처리기를 이용하여 음성유도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10)은 사용자단말기(user terminal, 100), 복수의 정보처리기(information processor, 110a 내지 100d), 적어도 하나의 전파발생기(radio wave generator, 120a 내지 120d), 및 적어도 하나의 음성유도기(audio guiding device, 130a 내지 130d)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은 정보처리기(110) 및 전파발생기(120)를 독립된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전파발생기(120)의 기능이 정보처리기(110)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4개의 정보처리기(100), 3개의 전파발생기(120), 및 3개의 음성유도기(13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10)에 포함된 구성의 개수와 배치 형태는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는, 예를 들어 스마트리모컨(smart remote controller),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음성정보 호출 요청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송출한다. 사용자단말기(100)가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송출하면, 사용자단말기(100)의 신호 도달범위(101) 내에 위치한 정보처리기(110)가 해당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음성정보 호출신호는 호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호출 식별정보는 사용자단말기(100)가 송출하는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00)가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생성한 시간 등과 같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정보처리기(110)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또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송신하는 장치이다. 사용자단말기가 송출하는 신호의 도달범위(101) 내에 위치한 정보처리기(110) 중 하나의 정보처리기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 및/또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다른 정보처리기(110)는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 및/또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란, 정보처리기(110)와 일대일 연결이 확립되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기(110) 또는 정보처리기(110)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신호의 도달범위 내에 위치한 정보처리기(110)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란, 정보처리기(110)와 일대일 연결이 확립되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파발생기(120) 또는 정보처리기(110)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신호의 도달범위 내에 위치한 전파발생기(120)를 의미한다.
정보처리기(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전파발생기(120)는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전파발생기(120)는 복수의 정보처리기(110) 중 전부 또는 일부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10)에 포함된 전파발생기(120)의 개수는 정보처리기(110)의 개수와 같거나 작다. 각 전파발생기(120a 내지 120d)는 하나의 음성유도기(130a 내지 130d)만을 동작시키도록, 발생시키는 전파의 도달범위(121a 내지 121d)를 설정할 수 있다.
전파발생기(1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음성유도기(130)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면 기 녹음되어 있는 안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음성유도기(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파발생기(120)와 각각 연결되며, 하나의 전파발생기(120)의 전파 도달범위 내에는 하나의 음성유도기(130)만 위치한다.
음성유도기(130)는 전파발생기(120)로부터 음성출력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음성의 출력크기를 조절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하듯이, 정보처리기(110)는 수신부(reception unit, 200), 판단부(determination unit, 210), 마스터 송신부(master transmission unit, 220), 슬레이브 송신부(slave transmission unit, 230), 및 제어부(control unit, 24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정보처리기(1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의 (a)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처리기(1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도 2의 (a)의 경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110)의 제어정보 송수신을 위한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정보처리기(110)는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수신부(2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정보 호출신호 및/또는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200)는 수신한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판단부(210)에게 전송한다.
수신부(200)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판단부(210) 및 슬레이브 송신부에게 전송한다.
판단부(21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성정보 호출신호 또는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정보처리기(110) 자신이 마스터(master)인지, 아니면 슬레이브(slave)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마스터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성정보 호출신호에 따라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직접 생성하는 정보처리기를 의미하고, 슬레이브란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로부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처리기를 의미한다.
도 2의 (b)에 도시하듯이, 판단부(210)는 RSSI 측정부(212), RSSI 통신부(214), 및 RSSI 비교부(216)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판단부(2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의 (b)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판단부(2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도 2의 (b)의 경우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210)가 음성정보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마스터 정보처리기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판단부(210)는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 정보처리기를 판단하기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RSSI 측정부(212)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성정보 호출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측정한다.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세기와의 구별을 위해, 정보처리기(110)가 자신의 RSSI 측정부(212)에서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를 제1 수신 신호세기라 한다.
RSSI 통신부(214)는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에게 제1 수신 신호세기를 송신하고,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가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를 수신한다. 이때,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세기를 제2 수신 신호세기라 한다.
RSSI 비교부(216)는 제1 수신 신호세기와 제2 수신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정보처리기(110) 자신이 마스터 정보처리기인지, 아니면 슬레이브(slave) 정보처리기인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RSSI 비교부(216)는 제1 수신 신호세기가 제2 수신 신호세기보다 큰 경우, 정보처리기(110) 자신이 마스터인것으로 판단한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사용자단말기(100)의 신호 도달범위(101) 내에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B(110b)가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100)가 송출하는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B(110b)가 수신한다.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B(110b)에 각각 구비된 RSSI 측정부(212)는 자신이 수신한 음성정보 호출신호의 수신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보처리기 A(110a)가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를 RSSI-A라 하고, 정보처리기 B(110b)가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를 RSSI-B라 한다.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B(110b)는 각자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RSSI 통신부(214)를 이용하여 각자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를 송수신한다. 즉, 정보처리기 A(110a)는 정보처리기 B(110b)에게 RSSI-A를 송신하고, 정보처리기 B(110b)로부터 RSSI-B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정보처리기 B(110b)는 정보처리기 A(110a)에게 RSSI-B를 송신하고, 정보처리기 A(110a)로부터 RSSI-A를 수신한다. 정보처리기 A(110a)의 RSSI 비교부는, RSSI-A 및 RSSI-B를 비교하여, RSSI-A가 큰 경우 정보처리기 A(110a) 자신이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정보처리기 B(110b)의 RSSI 비교부(216)는, RSSI-B 및 RSSI-A를 비교하여, RSSI-B가 큰 경우 정보처리기 B(110b) 자신이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도 1은 사용자단말기(100)의 신호 도달범위(101) 내에 두 개의 정보처리기가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정보처리기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정보처리기가 3 개 이상인 경우, RSSI 비교부(216)는 제1 수신 신호세기와 복수의 제2 수신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제1 수신 신호세기가 가장 큰 경우 정보처리기(110) 자신이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RSSI 비교부(216)는 판단결과를 마스터 송신부(220) 및 슬레이브 송신부(230)에게 전달한다.
한편, 판단부(210)가 수신부(200)로부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경우, 판단부(210)는 정보처리기 자신이 슬레이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스터 송신부(220)는 판단부(210)의 판단 결과, 정보처리기(110) 자신이 마스터로 판단된 경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송출한다. 이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는 음성정보 호출신호로부터 추출한 호출식별정보 및 동작시킬 전파발생기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 음성출력크기, 음성출력시간을 포함한다.
도 2의 (c)에 도시하듯이, 마스터 송신부(220)는 제어정보 DB(222) 및 제어정보 관리부(224)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2의 (c)에 도시된 마스터 송신부(22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의 (c)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터 송신부(22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도 2의 (c)의 경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송신부(220)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마스터 송신부(220)는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제어정보 DB(222)는 정보처리기(110)가 마스터로 판단된 경우 동작시킬 전파발생기(120)의 개별 제어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 DB이다. 여기서, 개별 제어정보는 전파발생기 식별정보 및 음성출력시간과 음성출력크기가 매칭되어 저장된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음성출력시간은 전파발생기(120)가 동작시킬 음성유도기(130)에 기 녹음된 음성의 재생시간을 의미한다. 음성유도기 출력크기는 전파발생기가 동작시킬 음성유도기가 출력할 음성의 크기로, 전파발생기(120)와 정보처리기(110)간 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정보처리기 A(110a)의 제어정보 DB(222)는 전파발생기 A(120a), 전파발생기 B(120b), 및 전파발생기 D(120d)를 동작시키기 위해 표 1과 같은 개별 제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파발생기 A(120a)가 정보처리기 A(110a)와 가장 가까우므로 음성출력크기 값이 '1'이고, 전파발생기 D(120d)가 정보처리기 A(110a)와 가장 멀리 있으므로 음성출력크기 값이 '4'로 설정되어 있다.
전파발생기 식별정보 | 음성출력시간 | 음성출력크기 |
A | 120 | 1 |
B | 100 | 2 |
D | 90 | 4 |
이와 같이, 전파발생기(120)와 정보처리기(110)간 거리에 따라 음성출력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제어정보 DB(222)에 저장함으로써, 원거리의 음성유도기가 출력하는 음성을 명료하게 청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어정보 DB(222)에 저장되는 개별 제어정보의 형식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단부(210)의 판단 결과 정보처리기(110) 자신이 마스터로 판단된 경우, 제어정보 관리부(224)는 제어정보 DB(222)로부터 추출한 개별 제어정보들과 음성정보 호출신호로부터 추출한 호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슬레이브 송신부(230)는 판단부(210)의 판단 결과 정보처리기(110) 자신이 슬레이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다른 정보처리기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출한다.
이때, 정보처리기(110)가 기 송출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재송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레이브 송신부(230)는 송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도 2의 (d)에 도시하듯이, 슬레이브 송신부(230)는 호출식별정보 DB(232) 및 호출식별정보 관리부(234)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2의 (d)에 도시된 슬레이브 송신부(2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의 (d)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송신부(23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도 2의 (d)의 경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송신부(230)가 동일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 재송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슬레이브 송신부(230)는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호출식별정보 DB(232)는 마스터 송신부 및/또는 슬레이브 송신부가 송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를 저장한다.
호출식별정보 관리부(234)는 판단부(210)의 판단 결과 정보처리기(110) 자신이 슬레이브 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다른 정보처리기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호출식별정보 DB에 없는 경우에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정보처리기 A(110a)가 자신이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음성유도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송출한 후, 음성유도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를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한다. 정보처리기 A(110a)가 송출하는 신호의 도달범위 내에 위치한, 즉 정보처리기 A(110a)와 연결된 정보처리기 B(110b)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정보처리기 B(110b)는 자신이 슬레이브인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출한다. 이때, 정보처리기 A(110a) 역시 정보처리기 B(110b)가 송출하는 신호의 도달범위 내에 위치하므로, 정보처리기 B(110b)로부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정보처리기 A(110a)가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와 동일한 호출식별정보가 정보처리기 A(110a)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정보처리기 A(110a)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다시 송출하지 않는다.
제어부(240)는 마스터 송신부(220) 및/또는 슬레이브 송신부(230)가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와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에게 순차적으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마스터 송신부(220) 및/또는 슬레이브 송신부(230)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에게 먼저 송신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서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음성출력시간을 의미한다. 즉,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가 동작시키는 음성유도기(130)에 기 녹음된 음성의 재생시간이 경과한 후에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에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이를 위해, 기 구현된 제어정보 DB(222)에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식별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마스터 송신부(220) 및/또는 슬레이브 송신부(230)가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에게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일대일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송신부(220) 및/또는 슬레이브 송신부(230)는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와 BLE(Bluetooth Low Energy) 연결모드(Connection Mode)로 통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40)는 마스터 송신부(220) 및/또는 슬레이브 송신부(230)가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 또는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다른 복수의 정보처리기(110)에게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음성유도기 제어정보 중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BLE 방송모드(Broadcasting Mode)로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가 정보처리기(110)가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해당 신호가 전파발생기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개별제어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는 음성유도기(130)를 동작시키는 전파를 발생하지 않는다.
마스터 송신부 및/또는 슬레이브 송신부(230)가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 또는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와 통신하는 방식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에게 순차적으로 음성유도기를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음성유도기간 음성 중복 출력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신부(200), 마스터 송신부(220), 슬레이브 송신부(230), 및 RSSI 통신부(214)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정보 호출신호, 음성유도기 제어정보, 및 RSSI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수신부(200), 마스터 송신부(220), 슬레이브 송신부(230), 및 RSSI 통신부(214)를 독립된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각 구성의 통신과 관련한 기능이 통신부(미도시)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하듯이, 전파발생기(120)는 전파발생기 DB(300), 검색부(310), 및 발생부(32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정보처리기(1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전파발생기(12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도 3의 경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발생기(120)가 전파발생기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전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전파발생기(120)는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전파발생기 DB(300)는 전파발생기(120) 자신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확인부(310)는 정보처리기(110)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전파발생기 자신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가 있는지 검색한다.
발생부(320)는 검색부(310)의 검색 결과,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전파발생기 자신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개별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부(320)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로부터 전파발생기 자신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를 추출한다. 발생부(320)는 추출한 개별 제어정보로부터 전파발생기(120)가 동작시킬 음성유도기의 음성출력시간 및 음성출력크기를 확인한다. 발생부(320)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음성출력시간 동안 전파를 발생시킨다. 발생부(320)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음성출력크기를 이용하여 음성유도기(130)의 음성출력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음성출력크기 정보를 전파에 실어 송출할 수 있다.
발생부(320)는 음성유도기(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시키는 RF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 및 전파발생기의 데이터 구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하듯이, 데이터 구축시스템은 정보처리기(110), 전파발생기(120), 관리서버(400), 및 관리자단말기(41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한편,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110)의 제어정보 DB(222) 및/또는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DB(300)의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정보처리기(110) 및 전파발생기(120)의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된 형태로 도시하였다.
데이터 구축시스템은 정보처리기(110) 및/또는 전파발생기(120)의 초기 설치시 또는 데이터 갱신(update)이 필요한 경우, 정보처리기(110)의 제어정보 DB(222) 및/또는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DB(300)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시스템이다.
관리서버(400)는 모든 정보처리기(110), 전파발생기(120), 및 음성유도기(130)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관리서버(400)에는 정보처리기(110), 전파발생기(120), 및 음성유도기(130)의 식별정보 및 관리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관리정보는 정보처리기(110), 전파발생기(120), 및 음성유도기(130)의 설치 위치 및 음성유도기에 기녹음된 음성 재생시간 등을 포함한다.
관리자단말기(410)는 관리 S/W(412)를 탑재하여 관리서버(400) 및 정보처리기(110)의 제어정보 DB(222) 및/또는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DB(300)와 연동한다.
관리자단말기(410)는 정보처리기(110) 및/또는 전파발생기(120)의 초기 설치시와 같이 데이터 구축이 필요한 경우 탑재된 관리 S/W(412)를 통해 정보처리기(110) 또는 전파발생기(120)와 접속한다. 관리자단말기(410)는 접속된 정보처리기(110) 또는 전파발생기(120)에 부여할 식별정보 및 관리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을수 있다. 한편, 관리자단말기(410)는 관리자로부터 식별정보만을 입력받고 관리서버(400)로부터 해당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관리정보를 받아올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410)는 식별정보 및 관리정보를 정보처리기(110)의 제어정보 DB(222) 또는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DB(30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단말기(100)가 호출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정보 호출신호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송출하면, 사용자단말기(100)의 신호 도달범위(101) 내에 위치하는 정보처리기(110)가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한다(S500).
정보처리기(110)는 수신한 음성정보 호출신호의 수신 신호세기(이하, 제1 RSSI)를 측정한다(S510).
정보처리기(110)는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로부터 다른 정보처리기(110)가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이하, 제2 RSSI)를 수신한다(S520).
정보처리기(110)는, 제1 RSSI 및 제2 RSSI의 크기를 비교한다(S530).
제1 RSSI가 제2 RSSI보다 큰 경우, 정보처리기(110)는 수신한 호출식별정보 및 기 구축된 제어정보 DB를 이용하여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한다(S540). 정보처리기(110)는 생성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출한다(S550). 정보처리기(110)는 송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를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한다(S560).
제1 RSSI가 제2 RSSI보다 작은 경우, 정보처리기(110)는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가 송출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정보처리기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580).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정보처리기(110)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출한다(S550).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정보처리기(110)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출하지 않고 동작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에게 순차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정보처리기(110)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하거나,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로부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다(S600).
정보처리기(110)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있는지 확인한다(S610). 이를 위해, 정보처리기(110)는 제어정보 DB(222)에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식별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있는 경우, 정보처리기(110)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에게 송신한다(S620). 정보처리기(110)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에게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BLE 연결모드와 같은 일대일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처리기(110)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에서 전파발생기 식별정보와 매칭된 음성출력시간을 획득한다(S630).
정보처리기(110)는 획득한 음성출력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대기한다(S640).
정보처리기(110)는 획득한 음성출력시간이 경과한 이후,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에게 송신한다(S650). 이때, 정보처리기(110)는 자신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기(110)에게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음성유도기 제어정보 중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BLE 방송모드로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처리기(110)가 송출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전파발생기(120)가 수신하더라도, 해당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는 해당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제어정보가 없으므로, 전파발생기(120)는 음성유도기(130)를 동작시키는 전파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정보처리기(110)가 자신과 연결된 다른 정보처리기(110)에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정보처리기(110)가 생성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 또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정보처리기(110)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120)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가 없는 경우, 정보처리기(110)는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110)에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한다(S650). 이때, 정보처리기(110)는 생성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 또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그대로 BLE 방송모드로 송출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에서 복수의 정보처리기를 이용하여 음성유도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단말기(100)가 음성정보 호출요청을 입력을 입력받으면, 사용자단말기(100)는 호출식별정보를 생성한다(S700).
사용자단말기(100)가 호출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송출하면, 사용자단말기(100)의 신호 도달범위(101) 내에 위치하는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B(110b)가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한다(S702).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B(110b)는 각각 자신이 수신한 음성정보 호출신호의 수신 신호세기를 측정한다(S704).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보처리기 A(110a)가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를 RSSI-A라 하고, 정보처리기 B(110b)가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를 RSSI-B라 한다.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B(110b)는 각자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를 송출한다(S706 및 S708). 즉, 정보처리기 A(110a)가 RSSI-A를 송출하면, 정보처리기 A(110a)의 신호도달 범위에 위치한 정보처리기 B(110b)가 RSSI-A를 수신한다. 한편, 정보처리기 B(110b)가 RSSI-B를 송출하면, 정보처리기 B(110b)의 신호도달 범위에 위치한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C(110c)가 RSSI-B를 수신한다.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B(110b)는 각자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 및 다른 정보처리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자신이 마스터인지 판단한다(S710). 즉, 정보처리기 A(110a)는, RSSI-A 및 RSSI-B를 비교하여, RSSI-A가 큰 경우 정보처리기 A(110a) 자신이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정보처리기 B(110b)는, RSSI-B 및 RSSI-A를 비교하여, RSSI-B가 큰 경우 정보처리기 B(110b) 자신이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정보처리기 C(110c)는 정보처리기 B(110b)로부터 RSSI-B를 수신하였지만,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성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지 못했으므로 S710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하, 정보처리기 A(110a)가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정보처리기 A(110a)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한다(S712). 이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는 호출 식별 정보 및 동작시킬 전파발생기(120a 및 120b) 각각의 개별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개별 제어정보는 전파발생기 식별정보, 음성출력크기, 음성출력시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음성출력시간이란 전파발생기(120a 및 120b) 각각이 동작시키는 음성유도기(130a 및 1330b)에 기녹음되어 있는 음성의 재생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보처리기 A는 {0123, (A, 1, 120), (B, 2, 100), (D, 4, 90)}과 같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0123'은 호출식별정보, 'A', 'B', 'D'는 전파발생기 식별정보, '1', '2', '4'는 음성출력크기, '120', '100', '90'은 음성출력시간(초, second)이다.
정보처리기 A(110a)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 A(120a)에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한다(S714).
전파발생기 A(120a)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 A(130a)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시킨다(S716). 즉, 전파발생기 A(120a)는 음성유도기 A(130a)를 음성출력크기 '1'로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120' 초 동안 발생시킨다. 음성유도기 A(130a)는 전파발생기 A(120a)의 전파를 수신하면, 기 녹음되어 있는 음성안내정보를 음성출력크기 '1'로 출력한다.
정보처리기 A(110a)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 A(120a)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와 매칭된 음성출력시간 이후에,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에게 송신한다(S718). 이는 음성유도기의 음성 중복출력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정보처리기 A(110a)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전파발생기 A(120a)에게 송신한 시점으로부터 '120초'가 경과한 후에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정보처리기 B(110b)에게 송신한다.
정보처리기 A(110a)는 송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를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한다(S719). 즉, 정보처리기 A(110a)의 호출식별정보 DB(232a)에 '0123'을 저장한다.
정보처리기 B(110b)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b)에 저장되어 있는지 조회한다(S720).
정보처리기 B(110b)의 호출식별정보 DB(232b)에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정보처리기 B(110b)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 B(120b)에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한다(S722).
전파발생기 B(120b)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 B(130b)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시킨다(S724). 즉, 전파발생기 B(120b)는 음성유도기 B(130b)를 음성출력크기 '2'로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100' 초 동안 발생시킨다. 음성유도기 B(130b)는 전파발생기 B(120b)의 전파를 수신하면, 기 녹음되어 있는 음성안내정보를 음성출력크기 '2'로 출력한다.
정보처리기 B(110b)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 B(120b)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와 매칭된 음성출력시간 이후에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에게 송신한다(S726). 예를 들어, 정보처리기 B(110b)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전파발생기 B(120b)에게 송신한 시점으로부터 '100초'가 경과한 후에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C(110c)에게 송신한다.
정보처리기 B(110b)는 송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를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한다(S727). 즉, 정보처리기 B(110b)의 호출식별정보 DB(232b)에 '0123'을 저장한다.
정보처리기 A(110a) 및 정보처리기 C(110c)는 정보처리기 B(110b)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되어 있는지 조회한다(S728). 정보처리기 A(110a)의 호출식별정보 DB(232a)에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 '0123'이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정보처리기 A(110a)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다시 송신하지 않는다.
정보처리기 C(110c)의 호출식별정보 DB(232c)에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정보처리기 C(110c)는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B(110b) 및 정보처리기 D(110d)에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한다(S730). 이때, 정보처리기 C(110c)에는 연결된 전파발생기가 없으므로 전파발생기 식별정보와 매칭된 음성출력시간 동안 송신을 대기하는 과정은 수행하지 않는다.
정보처리기 C(110c)는 송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를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한다(S731). 즉, 정보처리기 C(110c)의 호출식별정보 DB(232c)에 '0123'을 저장한다.
정보처리기 B(110b) 및 정보처리기 D(110d)는 정보처리기 C(110c)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저장되어 있는지 조회한다(S732). 정보처리기 B(110b)의 호출식별정보 DB(232b)에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 '0123'이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정보처리기 B(110b)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다시 송신하지 않는다.
정보처리기 D(110d)의 호출식별정보 DB(232d)에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정보처리기 D(110d)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 D(120d)에게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한다(S734).
전파발생기 D(120d)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 D(130d)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시킨다(S736). 즉, 전파발생기 D(120d)는 음성유도기 D(130d)를 음성출력크기 '4'로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90' 초 동안 발생시킨다. 음성유도기 D(130d)는 전파발생기 D(120d)의 전파를 수신하면, 기 녹음되어 있는 음성안내정보를 음성출력크기 '4'로 출력한다.
정보처리기 D(110d)는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 D(120d)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와 매칭된 음성출력시간 이후에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에게 송신한다(S738). 예를 들어, 정보처리기 D(110d)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전파발생기 D(120d)에게 송신한 시점으로부터 '90초'가 경과한 후에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정보처리기 C(110c)에게 송신한다.
정보처리기 D(110d)는 송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를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d)에 저장한다(S739). 즉, 정보처리기 D(110d)의 호출식별정보 DB(232)에 '0123'을 저장한다.
정보처리기 C(110c)는 정보처리기 D(110d)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232c)에 저장되어 있는지 조회한다(S740). 정보처리기 C(110c)의 호출식별정보 DB(232c)에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 '0123'이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정보처리기 C(110c)는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다시 송신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모든 정보처리기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 전송 과정을 수행하면, 음성유도기 제어과정이 종료된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 내지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 내지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110) 및 전파발생기(120)의 동작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기(110) 및 전파발생기(120)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음성유도기 제어 시스템 100: 사용자단말기
110: 정보처리기 120: 전파발생기
130: 음성유도기 200: 수신부
210: 판단부 212: RSSI 측정부
214: RSSI 통신부 216: RSSI 비교부
220: 마스터 송신부 222: 제어정보 DB
224: 제어정보 관리부 230: 슬레이브 송신부
232: 호출식별정보 DB 234: 호출정봐 관리부
240: 제어부 300: 전파발생기 DB
310: 확인부 320: 발생부
110: 정보처리기 120: 전파발생기
130: 음성유도기 200: 수신부
210: 판단부 212: RSSI 측정부
214: RSSI 통신부 216: RSSI 비교부
220: 마스터 송신부 222: 제어정보 DB
224: 제어정보 관리부 230: 슬레이브 송신부
232: 호출식별정보 DB 234: 호출정봐 관리부
240: 제어부 300: 전파발생기 DB
310: 확인부 320: 발생부
Claims (15)
- 복수의 정보처리기(information processor)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성유도기(audio guiding device)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처리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기가 사용자단말기(user terminal)로부터 음성정보 호출신호(audio information call signal)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기초로 자신이 마스터(master)인지 판단하는 판단과정;
마스터로 판단된 정보처리기가, 음성유도기 제어정보(audio guiding device control signal)를 생성하는 생성과정;
마스터로 판단된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radio wave generator)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제1 송신과정;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제2 송신과정; 및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전파발생기가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하는 전파발생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은,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에 대한 제1 수신 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로부터 제2 수신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수신 신호세기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수신 신호세기가 상기 제2 수신 신호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자신이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정보처리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송출하는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의 신호 도달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는, 호출식별정보(call ID)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과정은, 상기 정보처리기가 상기 호출식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개별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개별 제어정보는, 전파발생기 식별정보(radio wave generator ID), 음성출력크기, 및 음성출력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발생과정은,
상기 전파발생기가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자신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가 있는지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개별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과정은,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정보처리기가,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호출식별정보가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에 없는 경우에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호출식별정보를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의 호출식별정보 DB에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과정 및 상기 제2 송신과정은,
상기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정보처리기가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서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음성출력시간을 획득하는 과정; 및
획득한 음성출력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정보처리기가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에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유도기(audio guiding device)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정보 호출신호(audio information call signal)를 송신하는 사용자단말기(user terminal);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송신하는 복수의 정보처리기(information processor);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파발생기(radio wave generator); 및
상기 전파를 수신하면, 안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유도기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처리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성정보 호출신호 또는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로부터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처리기를 마스터(master) 또는 슬레이브(slave)로 판단하는 판단부(determination unit);
상기 판단 결과, 자신이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송신하는 마스터 송신부(master transmission unit); 및
상기 판단 결과, 자신이 슬레이브인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 및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송신하는 슬레이브 송신부(slave transmission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성정보 호출신호에 대한 제1 수신 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측정하는 RSSI 측정부(RSSI measurement unit);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로부터 제2 수신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RSSI 통신부(RSSI communication unit); 및
상기 제1 수신 신호세기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수신 신호세기가 상기 제2 수신 신호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정보처리기를 마스터로 판단하는 RSSI 비교부(RSSI comparison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처리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송출하는 음성정보 호출신호의 신호 도달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 호출신호는, 호출식별정보(call ID)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송신부는, 상기 판단 결과 자신이 마스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호출식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개별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개별 제어정보는, 전파발생기 식별정보(radio wave generator ID), 음성출력크기, 및 음성출력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발생기는,
상기 전파발생기 자신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전파발생기 DB(radio wave generator database);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상기 전파발생기 자신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가 있는지 검색하는 검색부(search unit); 및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전파발생기 자신의 전파발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개별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유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발생시키는 발생부(generation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는,
상기 마스터 송신부 또는 슬레이브 송신부가 송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호출식별정보 DB(call ID database); 및
수신한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호출식별정보가 상기 호출식별정보 DB에 없는 경우에만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호출식별정보 검색부(call ID search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기는,
상기 마스터 송신부 또는 슬레이브 송신부가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에게 먼저 송신하고,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에서 자신과 연결된 전파발생기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음성출력시간을 획득하여, 상기 음성출력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음성유도기 제어정보를 상기 정보처리기 자신과 연결된 정보처리기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유도기 제어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104A KR102206129B1 (ko) | 2020-06-24 | 2020-06-24 |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104A KR102206129B1 (ko) | 2020-06-24 | 2020-06-24 |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6129B1 true KR102206129B1 (ko) | 2021-01-22 |
KR102206129B9 KR102206129B9 (ko) | 2022-03-15 |
Family
ID=7430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7104A KR102206129B1 (ko) | 2020-06-24 | 2020-06-24 |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612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4273B1 (ko) * | 2021-06-11 | 2022-06-29 | (주)블루모바일 | 음성유도기 및 음향신호기를 위한 스마트 액세스 포인트 및 스마트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2891A (ja) * | 1990-05-29 | 1992-02-04 | Hitachi Seiki Co Ltd | 視覚障害者誘導案内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2003015574A (ja) * | 2001-06-29 | 2003-01-17 | Honda Denshi Giken:Kk | 音声案内システム |
JP2006153711A (ja) * | 2004-11-30 | 2006-06-15 | Towa Kk | 携帯端末を用いた案内情報報知システム |
KR100702139B1 (ko) * | 2005-10-04 | 2007-03-30 | (주)휴먼케어 | 음성 유도 장치 및 제어 방법 |
KR20150011196A (ko) * | 2013-07-22 | 2015-01-30 |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 시각 장애인 음성유도기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
2020
- 2020-06-24 KR KR1020200077104A patent/KR1022061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2891A (ja) * | 1990-05-29 | 1992-02-04 | Hitachi Seiki Co Ltd | 視覚障害者誘導案内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2003015574A (ja) * | 2001-06-29 | 2003-01-17 | Honda Denshi Giken:Kk | 音声案内システム |
JP2006153711A (ja) * | 2004-11-30 | 2006-06-15 | Towa Kk | 携帯端末を用いた案内情報報知システム |
KR100702139B1 (ko) * | 2005-10-04 | 2007-03-30 | (주)휴먼케어 | 음성 유도 장치 및 제어 방법 |
KR20150011196A (ko) * | 2013-07-22 | 2015-01-30 |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 시각 장애인 음성유도기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4273B1 (ko) * | 2021-06-11 | 2022-06-29 | (주)블루모바일 | 음성유도기 및 음향신호기를 위한 스마트 액세스 포인트 및 스마트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6129B9 (ko) | 2022-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0335B2 (en) |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 |
JP7527339B2 (ja) | 無線電力送信システムにおいて通信を行う装置及び方法 | |
CN107534322A (zh) | 基于网络的无线电力控制方法及无线电力控制设备和系统 | |
CN102369645A (zh) | 用于可充电装置的无线电力传送 | |
CN107534323A (zh) | 基于网络的无线电力控制方法及无线电力控制设备和系统 | |
US2021018451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CN102257750A (zh) | 使用副rf链路的声音抑制 | |
JPS6412132B2 (ko) | ||
US11108281B2 (en) |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power using the same | |
US1188191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KR102206129B1 (ko) | 음성유도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 |
US12095280B2 (en) | Device and method enabling out-band communication in wireless charging device, method and system | |
CN111225365A (zh) | 传输功率动态改变的近场磁感应无线通信系统 | |
WO2019146362A1 (ja) | 電子機器、送電装置、及び送電方法 | |
KR101653604B1 (ko) | 휴대 단말기와 유무선 충전과 음향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스피커 및 그 방법 | |
KR20160028402A (ko) | 휴대 단말기와 무선 충전 및 스피커 기능을 탑재한 핸즈프리 및 그 방법 | |
US12081042B2 (en) |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messages between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data transmission stream | |
KR101232687B1 (ko) | 음성유도장치 | |
US20100029206A1 (en) | Communication device, storage medium that records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
US6950653B2 (en) | Scanning tone remote adapter for land-mobile radio dispatch for use with dispersed dispatch stations | |
US10756562B2 (en) |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and non contact power-supply system | |
KR101818419B1 (ko) | 무선 마이크 채널 간섭을 피하는 통신거리 조절 제어 장치와 그 방법 | |
KR102132628B1 (ko) | 휴대 단말기와 무선 충전 및 스피커 기능을 탑재한 핸즈프리 및 그 방법 | |
KR102642115B1 (ko) | 긴급 호출 통화 기능을 구비한 전관 방송 시스템 | |
WO2022130675A1 (ja) | 位置推定システム及び移動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