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106B1 - Mixing pyrolysis apparatus for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producing method for pyrolysis oil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Mixing pyrolysis apparatus for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producing method for pyrolysis oil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106B1
KR102206106B1 KR1020180139918A KR20180139918A KR102206106B1 KR 102206106 B1 KR102206106 B1 KR 102206106B1 KR 1020180139918 A KR1020180139918 A KR 1020180139918A KR 20180139918 A KR20180139918 A KR 20180139918A KR 102206106 B1 KR102206106 B1 KR 10220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yrolysis
reactor
biomas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6058A (en
Inventor
최항석
박훈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106B1/en
Publication of KR2020005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0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in combination with oil conversion- or refin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09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00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 C10G5/06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by cooling or com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11Biom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을 각각 열분해 반응시켜 열분해 오일을 제조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의 혼합 열분해 장치가 제공된다. 혼합 열분해 장치는,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을 각각의 반응기를 통해 최적의 열분해 반응 온도에서 급속 열분해 반응시켜 필터링 및 개질하여 취합한 후 응축시킴으로써,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 반응 효율을 높이면서 고품질의 열분해 오일에 대한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There is provided a mixed pyrolysis apparatus of biomass and polymer waste capable of producing pyrolysis oil by pyrolysis reaction of biomass and polymer waste, respectively. The mixed pyrolysis device is a high-quality product while increasing the pyrolysis reaction efficiency of biomass and polymer waste by rapidly pyrolysis reaction of biomass and polymer waste through each reactor at the optimum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filtering and reforming, collecting, and condensing. It can increase the production yield for pyrolysis oil.

Description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의 혼합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Mixing pyrolysis apparatus for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producing method for pyrolysis oil using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mixing pyrolysis apparatus for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producing method for pyrolysis oi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을 각각 최적의 급속열분해 반응 온도에서 열분해 반응시킬 수 있는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의 혼합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yrolysis apparatus, and in particular, to a mixture pyrolysis apparatus of biomass and polymer waste capable of pyrolysis reaction of biomass and polymer waste at an optimum rapid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pyrolysis oil using the same.

최근 신재생에너지로서 바이오매스 연료의 우수성이 새롭게 인식됨에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전환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현재 빠른 속도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as the excellence of biomass fuel as a new renewable energy has been newly recognized, research on energy conversion technology for biomass is actively progressing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accordingly, technology development is currently being made at a rapid pace.

이러한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전환기술 중 최근 주목받는 기술로서 급속열분해를 통한 열분해 오일 생산 기술이 있다. 열분해 오일은 목본계 및 초본계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한 오일로서, 석유연료나 석유화학제품의 원료가 되는 원유와 같이 화학제품의 원료물질이 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고체 원료에 비하여 에너지 밀도가 높아 운반 및 저장 비용이 적게 소모되고, 액체상이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여 난방용, 발전용 연료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장점이 있다.Among these technologies for energy conversion of biomass, there is a technology for producing pyrolysis oil through rapid pyrolysis as a technology attracting attention recently. Pyrolysis oil is oil produced from woody and herbaceous biomass, and can be a raw material for chemical products such as petroleum fuel or crude oil, which is a raw material for petrochemical products, and is transported with higher energy density compared to solid raw materials. And storage costs are low, and since it is in a liquid state, it is easy to handle, and thus it has an advantage of high utility value as a fuel for heating and power generation.

바이오매스로부터 열분해 오일을 생산하기 위해 급속열분해(fast pyrolysis)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응축가스의 반응기 체류시간을 짧게 하여 액상 생성물인 열분해 오일의 수율을 높이는 급속 열분해 공정이 발전하게 되었다. In order to produce pyrolysis oil from biomass, fast pyrolysis technology is mainly used. Among them, a rapid pyrolysis process has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 yield of pyrolysis oil as a liquid product by shortening the reactor residence time of condensed gas.

한편, 바이오매스는 자체 산소 함유량이 높기 때문에 급속 열분해 공정을 통해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되는 열분해 오일에서도 높은 산소 함유량을 보이며, 이는 오일의 화학적 불안정성과 낮은 발열량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탄소 또는 수소 함유량이 높은 물질, 예컨대 고분자 물질을 바이오매스와 혼합하여 급속 열분해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열분해 오일 내 산소 함유량 저감과 발열량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On the other hand, since biomass has a high oxygen content of itself, the pyrolysis oil produced from biomass through the rapid pyrolysis process shows a high oxygen content, which causes chemical instability and low calorific value of the oil. Accordingly,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oxygen content in the pyrolysis oil and improve the calorific value by performing a rapid pyrolysis process by mixing a material having a high carbon or hydrogen content, such as a polymer material with biomass.

그러나, 종래에는 시료 상태의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물질이 혼합된 상태에서 열분해 반응기에 공급됨으로써 급속 열분해 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물질의 최적 열분해 반응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종래의 급속 열분해 공정에서는 열분해 반응기 내의 코킹(coking) 또는 왁스(wax)가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바이오 오일의 품질 및 생산 수율이 저하되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a rapid pyrolysis process is performed by being supplied to a pyrolysis reactor in a state in which biomass and a polymer material in a sample state are mixed. At this time, since the optimal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of biomass and polymer material is different, the problem of generating coking or wax in the pyrolysis reactor occurs in the conventional rapid pyrolysis process, and thus the quality and production of bio-oil. The yield is decreasing.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을 각각 열분해 반응시켜 열분해 오일의 품질 및 수율을 높일 수 있는 혼합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xed pyrolysis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quality and yield of pyrolysis oil by pyrolysis reaction of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pyrolysis oil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열분해 장치는, 공급되는 바이오매스를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바이오매스를 급속 열분해 반응시키는 제1반응기; 공급되는 고분자 폐기물을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고분자 폐기물을 급속 열분해 반응시키는 제2반응기; 상기 제1반응기 및 제2반응기 각각의 타측 가스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고온가스를 여과하는 여과모듈; 및 상기 여과모듈을 통과한 고온가스를 응축하여 열분해 오일을 생산하는 응축모듈을 포함한다. A mixed pyro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actor for rapidly pyrolysis reaction of the biomass while transferring the supplied biomass to the other side; A second reactor for rapid pyrolysis reaction of the polymer waste while transferring the supplied polymer waste to the other side; A filtration module for filtering the hot gas discharged from the other gas outlets of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And a condensation module for condensing the hot gas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to produce pyrolysis oil.

여기서, 상기 제1반응기 및 제2반응기 각각의 내부에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바이오매스 및 고분자 폐기물을 타측으로 이송하는 스크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a screw is provided insid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to rotate in one direction to transfer the biomass and polymer waste to the other 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은, 제1반응기의 일측 주입구를 통해 공급된 바이오매스를 내부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급속 열분해 반응시켜 제1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 제2반응기의 일측 주입구를 통해 공급된 고분자 폐기물을 내부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급속 열분해 반응시켜 제2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고온가스와 상기 제2고온가스 각각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가스를 촉매 반응시켜 개질하는 단계; 및 필터링 및 개질된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 오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pyrolysis oil using a mixed pyro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ass supplied through the inlet on one side of the first reactor is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by rotating the screw inside, and the first high temperature gas Discharging; Discharging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by rapid pyrolysis reaction while rotating the screw inside the polymer waste supplied through the inlet of the second reactor to the other side; Filtering each of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and the second high-temperature gas, and reforming the filtered gas by catalytic reaction; And condensing the filtered and reformed gas to produce pyrolysis oil.

여기서, 상기 제1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는 병렬로 함께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ep of discharging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and the step of discharging the second high-temperature gas are performed together in parallel.

본 발명의 혼합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 제조방법에 따르면,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을 각각의 반응기를 통해 최적의 열분해 반응 온도에서 급속 열분해 반응시킴으로써, 바이오매스 및 고분자 폐기물 각각에 대한 열분해 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yrolysis oil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pyrolysis reaction efficiency of biomass and polymer waste is improved by rapidly pyrolysis reaction at the optimum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through each reactor. You can increase it.

또한, 바이오매스의 열분해에 의한 고온가스와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에 의한 고온가스를 적어도 2번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열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가스에서 고체입자, 금속입자 및 미세입자의 제거 효율을 높여 고품질의 열분해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individually or integrally filtering high-temperature gas due to pyrolysis of biomass and high-temperature gas due to pyrolysis of polymer waste at least twice, the efficiency of removing solid particles, metal particles, and fine particles from the gas generated through pyrolysis reaction High quality pyrolysis oil can be manufactured.

또한, 필터링 및 개질된 고온가스에 대해 적어도 2번의 응축 및 1번의 전기적 집진을 통해 열분해 오일을 회수함으로써, 고품질의 열분해 오일의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recovering the pyrolysis oil through at least two condensation and one electrical dust collection of the filtered and reformed hot ga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yield of high-quality pyrolysis o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열분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바이오매스 열분해 반응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바이오매스 열분해 반응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가스 응축 및 열분해 오일 제조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ixed pyro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iomass pyrolysis reactor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pyrolysis oil using a mixed pyro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biomass pyrolysis reaction step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gas condensation and pyrolysis oil manufacturing step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at the inventors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There may be modifications and example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열분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바이오매스 열분해 반응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ixed pyro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iomass pyrolysis reactor of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혼합 열분해 장치(100)는 제1반응기(110), 제2반응기(120), 여과모듈(131, 132, 133) 및 응축모듈(136)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reactor 110, a second reactor 120, a filtration module 131, 132, 133, and a condensation module 136. .

제1반응기(110) 및 제2반응기(120)는 각각에 공급되는 시료를 급속 열분해 반응시켜 기체 상태의 가스와 고체 상태의 부산물을 얻을 수 있다. 제1반응기(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바이오매스, 예컨대 임업 제품, 농산물, 동물성 재료, 우드 칩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매스(141)를 급속 열분해 반응시켜 기체 상태의 제1고온가스와 고체 상태의 바이오차(bio-char)를 얻을 수 있다. 제2반응기(1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분자 폐기물, 예컨대 폐타이어, 폐플라스틱, 폐수지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폐기물(151)을 급속 열분해 반응시켜 기체 상태의 제2고온가스와 고체 상태의 폴리머차(polymer-char)를 얻을 수 있다. 제1반응기(110)와 제2반응기(120)는 수평선 상에서 서로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반응기(1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제2반응기(12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second reactor 120 may rapidly pyrolyze a sample supplied to each of them to obtain a gaseous gas and a solid by-product. The first reactor 110 rapid pyrolysis reaction of biomass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biomass 141 including forest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s, animal materials, wood chips, etc. You can get bio-char. The second reactor 120 rapidly pyrolyzes the polymer wastes 151 including waste tires, waste plastics, waste resins, etc., suppli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gaseous second high temperature gas and the solid polymer (polymer-char) can be obtained.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second reactor 12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a horizontal line, and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reactor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is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reactor 120 in the same mann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반응기(110)는 몸체(101), 상기 몸체(101) 내부에 삽입되는 스크류(102), 상기 몸체(101)의 외면을 감싸는 하나 이상의 가열부재(106a, 106b), 상기 스크류(102)를 회전시키는 모터(107), 상기 가열부재(106a, 106b)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기(108) 및 상기 모터(107)와 가열기(10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first reactor 110 includes a body 101, a screw 102 inserted into the body 101, and at least one heating member 106a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1. , 106b), a motor 107 for rotating the screw 102, a heater 108 for supplying heat to the heating members 106a, 106b,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107 and the heater 108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9.

제1반응기(110)의 몸체(101)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몸체(101)의 일측 단부에는 시료 주입구(103)가 구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서로 대향되어 가스 배출구(104) 및 부산물 배출구(105)가 구성될 수 있다. The body 101 of the first reactor 11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A sample injection port 103 may be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body 101, and a gas discharge port 104 and a by-product discharge port 105 may be configured at the other end thereof to face each other.

스크류(102)는 축 형태로 구성되어 몸체(10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102)는 일측에 연결된 모터(107)의 회전에 따라 몸체(101)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스크류(102)의 몸체(101)의 시료 주입구(103)를 통해 시료, 즉 바이오매스(141)가 제공될 때 일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바이오매스(141)는 몸체(10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송될 수 있다. The screw 102 may be configured in a shaft shape and inserted into the body 101. The screw 102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inside the body 10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107 connected to one side. When a sample, that is, biomass 141 is provided through the sample inlet 103 of the body 101 of the screw 102, i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biomass 141 is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한편, 몸체(101) 내부에는 바이오매스(141)의 급속 열분해 반응을 보조하기 위한 충진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스크류(102)는 회전을 통해 주입구(103)를 통해 제공된 바이오매스(141)를 충진물과 교반시키며 몸체(10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side the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a filler (not shown) for assisting the rapid pyrolysis reaction of the biomass 141, the screw 102 is a biomass provided through the inlet 103 through rotation ( While stirring 141) with the filling, it can be transferred from one side of the body 101 to the other side.

하나 이상의 가열부재(106a, 106b)는 몸체(101)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고, 가열기(108)로부터 제공된 열에 의해 몸체(101)의 외주면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에, 스크류(102)에 의해 몸체(101) 내부에서 이송되는 바이오매스(141)는 몸체(101) 내부에서 급속 열분해 반응을 일으키며, 그에 따른 고온의 제1가스와 부산물인 바이오차(bio-char)를 생성할 수 있다. At least one heating member (106a, 106b)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1), it is possible to he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1) by the heat provided from the heater (108)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ccordingly, the biomass 141 transferr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1 by the screw 102 causes a rapid pyrolysis reaction inside the body 101, and accordingly, the high-temperature first gas and bio-char as a by-product ) Can be created.

모터(107)는 스크류(102)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제어부(109)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속도로 스크류(102)를 일 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The motor 107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crew 102 and may rotate the screw 102 in o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9.

가열기(108), 즉 히터는 외부, 예컨대 후술될 부산물 연소기(137)로부터 몸체(101)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열부재(106a, 106b) 및 몸체(101)의 내부에 삽입된 스크류(102) 각각에 소정 온도의 열을 공급하여 몸체(101) 내부에서 이송되는 바이오매스(141)에서 급속 열분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가열기(108)는 제어부(109)의 제어에 따라 가열부재(106a, 106b) 및 스크류(102)에 공급되는 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heater 108, that is, the heater is external, for example, heating members 106a, 106b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1 from the by-product combustor 137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crew 102 inserted into the body 101, respectively By supplying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the body 101, a rapid pyrolysis reaction may occur in the biomass 141 transferred inside the body 101. The heater 108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heat supplied to the heating members 106a and 106b and the screw 10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9.

제어부(109)는 몸체(101) 내부에서 바이오매스(141)의 급속 열분해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모터(107) 및 가열기(10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모터(107)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모터제어기(109b) 및 가열기(108)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기(109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107 and the heater 108 so that the rapid pyrolysis reaction of the biomass 141 within the body 101 is smoothly performed. The control unit 109 may include a motor controller 109b that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07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109a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of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108.

제1반응기(110)에 의한 바이오매스(141)의 급속 열분해 공정을 통해 생성된 제1고온가스는 몸체(101)의 타측 단부에 구성된 가스 배출구(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바이오매스(141)의 급속 열분해 공정을 통해 생성된 바이오차는 몸체(101)의 타측 단부에 구성된 부산물 배출구(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 배출구(104)와 부산물 배출구(105)는 몸체(101)의 타측에서 서로 대향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high temperature gas generated through the rapid pyrolysis process of the biomass 141 by the first reactor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gas outlet 104 configur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01. In addition, the biocar generated through the rapid pyrolysis process of the biomass 14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y-product outlet 105 configur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01. Here, the gas outlet 104 and the by-product outlet 105 may b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반응기(110)는 중공형의 몸체(101)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102)를 소정 속도로 일 방향 회전시킴으로써 바이오매스(141)를 몸체(101)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기(108)를 통해 몸체(101)의 외주면 및 스크류(102)를 소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몸체(101) 내부에서 바이오매스(141)가 급속 열분해 반응을 일으키도록 하여 그 결과물, 즉 제1고온가스 및 바이오차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eacto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the screw 102 provided in the hollow body 101 in o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thereby rotating the biomass 141 inside the body 101. It can be transported in one direction. And, by he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1 and the screw 102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rough the heater 108, the biomass 141 in the body 101 causes a rapid pyrolysis reaction, and the result, that is, the first It is possible to obtain hot gas and bio tea.

이때, 본 실시예의 제1반응기(110)는 스크류(102)의 회전 속도 제어를 통한 바이오매스의 반응기 내 체류시간 및 반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바이오매스(141)의 급속 열분해 공정에서 발생되는 코킹(coking) 및 왁스(wax)를 방지하여 급속 열분해 반응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반응기(110)는 몸체(101)의 외주면과 스크류(102)를 함께 가열함으로써, 바이오매스(141)가 최적의 온도, 예컨대 450~550℃에서 열분해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reactor 110 of this embodiment controls the residence time and reaction time of the biomass in the reactor through the rotational speed control of the screw 102, thereby coking generated in the rapid pyrolysis process of the biomass 141. ) And wax (wax) can be preven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apid pyrolysis reaction. In addition, the first reactor 110 hea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1 and the screw 102 together, so that the biomass 141 can cause a pyrolysis reaction at an optimum temperature, for example, 450 to 550°C. .

한편, 도 1의 제2반응기(120)도 전술된 제1반응기(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반응기(1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분자 폐기물(151)의 급속 열분해 공정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1반응기(110)에서와 달리 스크류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제2반응기(120)의 몸체 및 스크류가 400~450℃에서 함께 가열되도록 제어하여 고분자 폐기물(151)이 최적 열분해 반응 온도에서 급속 열분해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reactor 120 of FIG. 1 may als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reactor 110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econd reactor 120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crew unlike the first reactor 110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apid pyrolysis process of the polymer waste 151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lso the second reactor (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body and the screw of 120) are heated together at 400 to 450°C so that the polymer waste 151 can be rapidly pyrolyzed at the optimum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또한, 제1반응기(110)와 제2반응기(120)는 후술될 여과모듈(131, 132, 133) 등의 최적 배치를 위하여 각 반응기의 가스 배출구(104)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second reactor 120 be disposed so that the gas outlets 104 of each reactor face each other for optimal arrangement of the filtration modules 131, 132, 133, et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 ca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혼합 열분해 장치(100)는 제1공급기(140), 제2공급기(150) 및 부산물 연소기(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lier 140, a second supplier 150, and a by-product combustor 137.

제1공급기(140)는 내부에 구비된 바이오매스(141)를 제1반응기(110)의 주입구(103)로 공급할 수 있다. 제2공급기(150)는 내부에 구비된 고분자 폐기물(151)을 제2반응기(120)의 주입구(103)로 공급할 수 있다. The first supplier 140 may supply the biomass 141 provided therein to the inlet 103 of the first reactor 110. The second feeder 150 may supply the polymer waste 151 provided therein to the inlet 103 of the second reactor 120.

부산물 연소기(137)는 제1반응기(110)의 타단 부산물 배출구(105) 및 제2반응기(120)의 타단 부산물 배출구(105)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각 부산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급속 열분해 반응 부산물, 즉 바이오차와 폴리머차를 연소시킬 수 있다. 부산물 연소기(137)는 부산물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열원, 즉 고온의 연소 배가스를 각 반응기의 가열기(108) 열원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by-product combustor 137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by-product outlet 105 of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other end by-product outlet 105 of the second reactor 120, and is a rapid pyrolysis reaction by-product discharged through each by-product outlet. In other words, it can burn bio and polymer cars. The by-product combustor 137 may provide a heat source generated by combustion of a by-product, that is, a high-temperature combustion exhaust gas as a heat source of the heater 108 of each reactor.

또한, 혼합 열분해 장치(100)는 제1반응기(110) 및 제2반응기(120) 내부, 즉 각 반응기의 몸체(101) 내부의 무산소 상태 유지 및 각 반응기에서 발생된 고온가스가 제1공급기(140) 및 제2공급기(15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캐리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공급기는 제1공급기(140) 및 제2공급기(150) 내부에 질소(N)를 공급함으로써, 제1공급기(140) 및 제2공급기(150) 각각에서 시료, 즉 바이오매스(141) 및 고분자 폐기물(151)과 함께 질소가 각 반응기 내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100 maintains an oxygen-free state inside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second reactor 120, that is, the inside of the body 101 of each reactor, and the high-temperature gas generated in each reactor is supplied to the first supplier ( 140) and a gas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a carrier gas for preventing reverse flow to the second supply unit 15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gas supplier supplies nitrogen (N) to the inside of the first supplier 140 and the second supplier 150, so that samples, that is, the biomass 141 and the second supplier 150, respectively, Along with the polymer waste 151, nitrogen may be supplied into each reactor.

여과모듈(131, 132, 133)은 각 반응기(110, 120)의 가스 배출구(104) 각각에 인접되어 배치된 제1여과기(131) 및 제2여과기(132)와, 후술될 촉매(134, 135)의 후단에 배치된 제3여과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ing modules 131, 132, and 133 include a first filter 131 and a second filter 132 disposed adjacent to each of the gas outlets 104 of each reactor 110, 120, and a catalyst 1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include a third filter 133 disposed at the rear end of 135).

제1여과기(131)는 제1반응기(110)의 가스 배출구(104)를 통해 배출되는 제1고온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다. 제1여과기(131)는 제1고온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체 입자, 예컨대 바이오차 및 알칼리 금속입자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여과기(132)는 제2반응기(120)의 가스 배출구(104)를 통해 배출되는 제2고온가스 내에서 고체 입자, 즉 폴리머차와 알칼리 금속입자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131 may filter the first high temperature gas discharged through the gas outlet 104 of the first reactor 110. The first filter 131 may collect and remove solid particles, such as biocar and alkali metal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high temperature gas. 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132 may collect and remove solid particles, that is, polymer particles and alkali metal particles, in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discharged through the gas outlet 104 of the second reactor 120.

제1여과기(131) 및 제2여과기(132)는 사이클론(cyclone) 집진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고체 입자의 필터링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각 여과기는 2대의 사이클론 집진기를 직렬로 배치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열분해 반응기에서 생성된 응축가스의 제1여과기(131) 및 제2여과기(132)에서의 응축 방지를 위하여 각 여과기의 외부에 전기히터(미도시)를 부착하여 여과기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The first filter 131 and the second filter 132 may be composed of a cyclone dust collector, and each filt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cyclone dust collectors are arranged in series in order to increase the filtering performance of solid particles. .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condensation of the 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reactor in the first filter 131 and the second filter 132, an electric heater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each filter to maintain the filter at high temperature. .

제3여과기(133)는 취합가스, 예컨대 제1고온가스와 제2고온가스의 취합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다. 제3여과기(133)는 제1촉매(134)와 제2촉매(135) 각각의 후단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제1촉매(134) 및 제2촉매(135) 각각을 통과한 제1고온가스 및 제2고온가스를 취합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제3여과기(133)는 취합가스 내의 미세 입자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The third filter 133 may filter a combined gas, for example, a combined gas of the first high temperature gas and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The third filter 133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each of the first catalyst 134 and the second catalyst 135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catalyst 134 and the second catalyst 135, respectively, and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can be collected and provided. The third filter 133 may collect and remove fine particles in the collecting gas.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여과모듈(131, 132, 133)은 복수의 여과기, 즉 제1여과기(131) 내지 제3여과기(1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여과기(131) 및 제2여과기(132)를 통해 각 반응기에서 배출된 고온가스 내의 고체 입자를 1차 여과한 후, 이들 고온가스를 취합한 취합가스로부터 미세입자를 2차 여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될 응축모듈(136)의 응축 공정 전에 고온가스 내에 포함된 고체 입자 및 미세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고온가스의 응축 효율 및 열분해 오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 modules 131, 132, 133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that is, the first filter 131 to the third filter 133, and the first filter 131 and the second filter After first filtering the solid particles in the hot gas discharged from each reactor through (132), the fine particles may be secondarily filtered from the collected gas obtained by collecting these hot gases. Accordingly, by removing solid particles and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hot gas before the condensation process of the condensation module 136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densation efficiency of the hot gas and the quality of the pyrolysis oil can be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의 다른 예로, 제3여과기(133)는 제1여과기(131) 및 제2여과기(132)의 후단에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filter 133 may be arranged to be commonly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first filter 131 and the second filter 132.

촉매는 제1고온가스를 개질하는 제1촉매(134) 및 제2고온가스를 개질하는 제2촉매(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촉매(134)는 제1여과기(131) 후단에 배치되고, 제1여과기(131)를 통과한 제1고온가스를 대기압 하에서 촉매 반응시켜 개질할 수 있다. 제2촉매(135)는 제2여과기(132) 후단에 배치되고, 제2여과기(132)를 통과한 제2고온가스를 대기압 하에서 촉매 반응시켜 개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촉매(134) 및 제2촉매(135)의 촉매 반응에 따라 각 고온가스 내의 수분 함량이 저하될 수 있다. The catalyst may include a first catalyst 134 for reforming the first high temperature gas and a second catalyst 135 for reforming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The first catalyst 134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filter 131 and may be reformed by reacting the first high temperatur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131 under atmospheric pressure. The second catalyst 135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filter 132 and may be reformed by reacting the second high-temperatur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 132 under atmospheric pressure. According to the catalytic reaction of the first catalyst 134 and the second catalyst 135, the moisture content in each high-temperature gas may decrease.

응축모듈(136)은 여과모듈(131, 132, 133) 및 촉매를 통과한 고온가스를 응축하여 액체 상태의 오일로 회수하여 열분해 오일을 생산할 수 있다. 응축모듈(136)은 제1응축기(136a), 제2응축기(136b) 및 전기집진기(136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ensation module 136 may condense the high-temperatur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s 131, 132, 133 and the catalyst and recover it as a liquid oil to produce pyrolysis oil. The condensation module 136 may include a first condenser 136a, a second condenser 136b, and an electric precipitator 136c.

제1응축기(136a)는 여과모듈(131, 132, 133)의 제3여과기(133)를 통과한 가스를 응축하여 열분해 오일을 생산할 수 있다. 제2응축기(136b)는 제1응축기(136a)를 통과한 가스, 즉 제1응축기(136a)에서 응축되지 않은 가스를 응축하여 열분해 오일을 생산할 수 있다. The first condenser 136a may produce pyrolysis oil by condensing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filter 133 of the filtration modules 131, 132, 133. The second condenser 136b may produce pyrolysis oil by condensing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ondenser 136a, that is, the gas that has not been condensed in the first condenser 136a.

여기서, 제1응축기(136a) 및 제2응축기(136b)는 쉘앤튜브(shell and tube)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부의 저온의 유체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온가스를 간접 접촉시켜 고온가스의 응축을 통해 열분해 오일을 회수할 수 있다. 제1응축기(136a) 및 제2응축기(136b)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3여과기(133)로부터 제공된 고온가스의 응축기 내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condenser 136a and the second condenser 136b may have a shell and tube shape, and condensation of the hot gas by indirect contact with the low temperature fluid inside and the hot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yrolysis oil can be recovered. The first condenser 136a and the second condenser 136b may be connected in series, thereby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in the condenser of the high-temperature gas provided from the third filter 133 to increase condensation efficiency.

또한, 제1응축기(136a)와 제2응축기(136b)는 개별적으로 내부 온도가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온가스 중에서 바이오매스(141)의 열분해에 의한 제1고온가스와 고분자 폐기물(151)의 열분해에 의한 제2고온가스를 분리 응축하여 열분해 오일을 회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irst condenser 136a and the second condenser 136b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and accordingly,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and polymer waste 151 by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biomass 141 in the high-temperature gas. It is also possible to recover the pyrolysis oil by separating and condensing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by pyrolysis of.

전기집진기(136c)는 제2응축기(136b)를 통과한 열분해 오일 액적, 즉 제2응축기(136b)에서 응축되지 않은 열분해 오일 액적으로부터 추가적인 열분해 오일을 회수할 수 있다. 전기집진기(136c)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코로나 방전을 통한 고전압을 발생시켜 제2응축기(136b)를 통과한 열분해 오일 액적에 포함된 미세 열분해 오일 액적을 포집함으로써 액체 성분, 즉 열분해 오일을 회수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36c may recover additional pyrolysis oil from the pyrolysis oil drople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econd condenser 136b, that is, the pyrolysis oil droplets not condensed in the second condenser 136b.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36c generates a high voltage through corona discharg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collects the fine pyrolysis oil droplets contained in the pyrolysis oil drople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econd condenser 136b, thereby collecting a liquid component, that is, pyrolysis oil. Can be recovered.

전기집진기(136c)는 원통의 중앙에 파이프(미도시)가 위치하고 별 형태의 다수의 방전침(미도시)이 상기 파이프를 따라 축 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집진기(136c)는 제2응축기(136b)로부터 제공된 가스가 원통 형태의 파이프를 따라 상승되고, 이때 중심부의 방전침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됨으로써 가스 내의 오일 입자가 정전 응집 작용에 의해 전기집진기(136c)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이어, 내벽에 부착된 오일은 상기 내벽을 타고 하부로 흐르게 되어 열분해 오일로 회수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집진기(136c)는 외벽에 부착된 전기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히터에 의해 내벽이 가열되어 벽면에 부착된 오일의 점도가 감소되고, 이로 인해 열분해 오일의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electric precipitator 136c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ipe (not shown)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ylinder, and a plurality of star-shaped discharge needles (not shown) are attached along the pip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ipe. In such an electric precipitator 136c, the gas provided from the second condenser 136b is raised along a cylindrical pipe, and at this time,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needle in the center, so that the oil particles in the gas are electrostatically coagulated. 136c)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wall. Subsequently, the oil adhering to the inner wall may flow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thereby being recovered as pyrolysis oil. Here, the electric dust collector 136c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 heater (not shown) attached to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is heated by the electric heater to reduce the viscosity of the oil attached to the wall, thereby recovering pyrolysis oil. You can increase the efficiency.

또한, 본 실시예의 혼합 열분해 장치(100)는 송풍기(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38)는 전기집진기(136c)를 통과한 가스, 즉 비응축가스를 다시 제1반응기(110) 및 제2반응기(120)로 공급하여 상기 비응축가스가 열분해 오일의 제조 공정에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138. The blower 138 supplies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36c, that is, the non-condensed gas back to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second reactor 120, so that the non-condensed gas is recycl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yrolysis oil. Make it possibl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141)와 고분자 폐기물(151)을 혼합 열분해하여 열분해 오일을 제조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100)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열분해 장치(100)는 내부에서 바이오매스(141)를 이송하면서 급속 열분해 반응을 발생시키는 제1반응기(110)와 내부에서 고분자 폐기물(151)을 이송하면서 급속 열분해 반응을 발생시키는 제2반응기(120)를 구비함으로써, 바이오매스(141)와 고분자 폐기물(151) 각각을 최적의 열분해 반응 온도에서 급속 열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열분해 장치(100)는 바이오매스(141)의 열분해에 의한 고온가스와 고분자 폐기물(151)에 의한 고온가스를 각각 1차 필터링하고, 필터링 된 가스를 각각 촉매반응 시킨 후, 이들 각 가스를 취합한 취합가스를 다시 2차 필터링함으로써, 급속 열분해에 의해 발생된 고온가스 내의 고체입자 및 미세입자의 제거 효율을 높이고, 수분 함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혼합 열분해 장치(100)는 바이오매스(141)와 고분자 폐기물(151)의 급속 열분해 공정 효율을 높이면서 고품질의 열분해 오일의 생산 수율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100 for producing pyrolysis oil by mixing and pyrolysis of the biomass 141 and the polymer waste 1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actor 110 that generates a rapid pyrolysis reaction while transferring the biomass 141 from the inside, and a first reactor 110 that generates a rapid pyrolysis reaction while transferring the polymer waste 151 from the inside. By providing the two reactor 120, each of the biomass 141 and the polymer waste 151 can be rapidly pyrolyzed at an optimum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In addition,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filters the high-temperature gas by the pyrolysis of the biomass 141 and the high-temperature gas by the polymer waste 151, respectively, and catalyzes the filtered gas, respectively, By secondary filtering the collected gas obtained by collecting each of these gases again, the removal efficiency of solid particles and fine particles in the high-temperature gas generated by rapid pyrolysis can be increased, and the moisture content can be decreased. Accordingly,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and quality of high-quality pyrolysis oil while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rapid pyrolysis process of the biomass 141 and the polymer waste 15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바이오매스 열분해 반응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열분해 오일 제조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pyrolysis oil using a mixed pyro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biomass pyrolysis reaction step of FIG. 3, and FIG. 5 is a pyrolysis of FIG. It is a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oil production step.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열분해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도 1 내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pyrolysis oil using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pyrolysis oil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describ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혼합 열분해 장치(100)의 제1반응기(110) 내부에 바이오매스(141)를 공급하여 급속 열분해 반응시키고, 그에 따른 제1고온가스 및 바이오차를 얻을 수 있다(S10). 이와 함께, 제2반응기(120) 내부에 고분자 폐기물(151)을 공급하여 급속 열분해 반응시키고, 그에 따른 제2고온가스 및 폴리머차를 얻을 수 있다(S20). 여기서, 바이오매스(141)의 급속 열분해 반응 단계와 고분자 폐기물(151)의 급속 열분해 반응 단계는 병렬로 함께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biomass 141 is supplied into the first reactor 110 of the mixed pyrolysis device 100 to allow rapid pyrolysis reaction, thereby obtaining a first high-temperature gas and a bio-tea (S10). . In addition, the polymer waste 151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reactor 120 for rapid pyrolysis reaction, thereby obtaining a second high temperature gas and a polymer difference (S20). Here, the rapid pyrolysis reaction step of the biomass 141 and the rapid pyrolysis reaction step of the polymer waste 151 may be performed together in parallel.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1공급기(140)에서 제1반응기(110)의 주입구(103)를 통해 바이오매스(141)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제어기(109b)에 의한 모터(107)의 회전에 따라 제1반응기(110) 내부의 스크류(10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바이오매스(141)를 이송시킬 수 있다(S110).Referring to FIG. 4, first, the biomass 141 may be supplied from the first feeder 140 through the inlet 103 of the first reactor 110. In addition, as the motor 107 rotates by the motor controller 109b, the screw 102 inside the first reactor 110 rotates in one direction to transfer the biomass 141 (S110).

여기서, 제1반응기(110) 내부에는 충진물이 구비될 수 있고, 스크류(102)는 바이오매스(141)와 충진물을 교반시키며 제1반응기(110)의 내부에서 바이오매스(141) 및 충진물을 이송할 수 있다. Here, a fill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screw 102 agitates the biomass 141 and the filler, and transfers the biomass 141 and the filler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reactor 110 can do.

이어, 가열기(108)에 의해 제1반응기(110)의 몸체(101) 외벽과 스크류(102)가 각각 가열될 수 있다(S120). 여기서, 가열기(108)는 바이오매스(141)의 최적 열분해 반응 온도, 즉 450~550℃의 범위 내에서 몸체(101)와 스크류(102)를 각각 가열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outer wall of the body 101 and the screw 102 of the first reactor 110 may be heated by the heater 108 (S120). Here, the heater 108 may heat the body 101 and the screw 102 within the optimum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of the biomass 141, that is, in the range of 450 to 550°C.

계속해서, 제1반응기(110) 내부에서 바이오매스(141)의 급속 열분해 반응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제1반응기(110)의 가스 배출구(104)를 통해 제1고온가스가 배출되며, 부산물 배출구(105)를 통해 부산물, 즉 바이오차가 배출될 수 있다(S130). Subsequently, a rapid pyrolysis reaction of the biomass 141 occurs inside the first reactor 110, and accordingly, the first hot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outlet 104 of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by-product outlet By-products, that is, bio-tea may be discharged through 105 (S130).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반응기(110)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바이오매스(141)를 이의 최적 열분해 반응 온도 범위 내에서 제1반응기(110) 및 스크류(102)를 가열함으로써, 바이오매스(141)의 급속 열분해 반응에 의한 제1고온가스와 바이오차가 생성되어 배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by heating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screw 102 within the optimal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range of the biomass 141 horizontally transferred inside the first reactor 110, the biomass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and bio-tea may be generated and discharged by the rapid pyrolysis reaction of the mass 141.

한편, 본 발명의 혼합 열분해 장치(100)에서는 제1반응기(110)와 제2반응기(120)의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4에 따른 바이오매스(141)의 급속 열분해 공정은 제2반응기(120)에 공급되는 고분자 폐기물(151)의 급속 열분해 공정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고분자 폐기물(151)은 그 최적 열분해 반응 온도가 400~450℃의 범위이므로, 이를 위해 제2반응기(120)의 가열기 및 모터를 제1반응기(110)와 다르게 적용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Meanwhile, in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second reactor 120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the rapid pyrolysis process of the biomass 141 according to FIG. 4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rapid pyrolysis process of the polymer waste 151 supplied to the second reactor 120. However, since the polymer waste 151 has an optimal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in the range of 400 to 450°C, it will be natural that the heater and motor of the second reactor 120 must be applied differently from the first reactor 110 for this purpose. .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여과기(131)를 이용하여 제1반응기(110)에서 배출되는 제1고온가스를 1차 필터링하고, 그에 따라 제1고온가스 내의 고체입자와 금속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여과기(132)를 이용하여 제2반응기(120)에서 배출되는 제2고온가스를 1차 필터링하여 그 내부의 고체입자와 금속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S40).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reactor 110 is first filtered using the first filter 131, thereby removing solid particles and metal particles in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I can. Likewise,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reactor 120 may be first filtered using the second filter 132 to remove solid particles and metal particles therein (S40).

이와 함께, 부산물 가열기(108)를 이용하여 제1반응기(110) 및 제2반응기(120) 각각에서 배출되는 부산물, 즉 바이오차 및 폴리머차를 연소시키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 배가스를 각 반응기의 가열기 열원으로 제공할 수 있다(S30).In addition, by-product heater 108 is used to burn by-products, that is, bio-car and polymer-ca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first reactor 110 and second reactor 120, and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exhaust gas generated accordingly is burned. It can be provided as a heater heat source of the reactor (S30).

계속해서, 제1촉매(134)를 이용하여 제1여과기(131)를 통과한 제1고온가스를 촉매 반응시켜 개질하고, 제2촉매(135)를 이용하여 제2여과기(132)를 통과한 제2고온가스를 촉매 반응시켜 개질할 수 있다(S50). 이러한 촉매 반응을 통해 각 고온가스 내에 포함된 수분 함량이 저감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131 is reformed by catalytic reaction using the first catalyst 134, and the second filter 132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catalyst 135.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may be subjected to a catalytic reaction to reform (S50). The moisture content contained in each high-temperature gas may be reduced through such a catalytic reaction.

이어, 각각 촉매 반응된 제1고온가스와 제2고온가스를 취합하고, 제3여과기(133)를 이용하여 취합된 가스를 2차 필터링하여 내부의 미세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S60).Subsequently, the catalytically reacted first high temperature gas and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are collected, and the collected gas is secondarily filtered using the third filter 133 to remove internal fine particles (S60).

그리고, 응축모듈(136)을 통해 2차 필터링 된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 오일을 생산할 수 있다(S70).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pyrolysis oil by condensing the secondary filtered gas through the condensation module 136 (S70).

도 5를 참조하면, 제3여과기(133)를 통과한 가스는 응축모듈(136)의 제1응축기(136a)로 제공되어 저온 응축될 수 있다(S210). 이에 따라, 제1응축기(136a)는 고온의 가스로부터 액체 상태의 열분해 오일을 회수할 수 있다(S240). Referring to FIG. 5,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filter 133 is supplied to the first condenser 136a of the condensation module 136 and may be condensed at a low temperature (S210). Accordingly, the first condenser 136a may recover the liquid pyrolysis oil from the hot gas (S240).

이어, 제1응축기(136a)에서 응축되지 않은 가스는 제2응축기(136b)로 제공되어 다시 한번 응축될 수 있다(S220). 이에 따라, 제2응축기(136b)는 고온의 가스로부터 액체 상태의 열분해 오일을 회수할 수 있다(S240). Subsequently, the gas that is not condensed in the first condenser 136a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condenser 136b to be condensed once again (S220). Accordingly, the second condenser 136b may recover the liquid pyrolysis oil from the hot gas (S240).

계속해서, 제2응축기(136b)에서 응축되지 않은 열분해 오일 액적은 전기집진기(136c)로 제공되고, 전기집진기(136c)의 코로나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가스로부터 열분해 오일이 회수될 수 있다(S230).Subsequently, the pyrolysis oil droplets not condensed in the second condenser 136b are provided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36c, and pyrolysis oil may be recovered from the gas using the corona discharge phenomen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36c (S230). ).

한편, 전기집진기(136c)에서 오일로 회수되지 않은 비응축가스는 송풍기(138)를 통해 다시 제1반응기(110) 및 제2반응기(120)의 내부로 제공되어 후속 열분해 공정에서 재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S250).On the other hand, the non-condensed gas that has not been recovered as oil from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36c) is provided back to the inside of the first reactor 110 and the second reactor 120 through the blower 138 so that it can be recycled in the subsequent pyrolysis process. Yes (S2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오일의 제조 방법은, 바이오매스(141)와 고분자 폐기물(151)을 각각의 반응기를 통해 최적의 열분해 반응 온도에서 급속 열분해 반응시킴으로써, 바이오매스(141) 및 고분자 폐기물(151) 각각에 대한 열분해 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for producing pyrolysis oi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iomass 141 and the polymer waste 151 are rapidly pyrolyzed at the optimum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through respective reactors, so that the biomass 141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yrolysis reaction efficiency for each of the polymer waste 151.

또한, 본 실시예의 열분해 오일 제조 방법은, 바이오매스(141)의 열분해에 의한 고온가스와 고분자 폐기물(151)의 열분해에 의한 고온가스를 적어도 2번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열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가스에서 고체입자, 금속입자 및 미세입자의 제거 효율을 높여 고품질의 열분해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열분해 오일 제조 방법은, 필터링 및 개질된 고온가스에 대해 적어도 2번의 응축 및 1번의 전기적 집진을 통해 열분해 오일을 회수함으로써, 고품질의 열분해 오일의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yrolysis oil production method of this embodiment is generated through a pyrolysis reaction by individually or integrally filtering high-temperature gas resulting from pyrolysis of biomass 141 and high-temperature gas due to pyrolysis of polymer waste 151 at least twice. High-quality pyrolysis oil can be manufactured by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solid particles, metal particles, and fine particles from the resulting gas. In addition, the pyrolysis oil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increase the production yield of high-quality pyrolysis oil by recovering the pyrolysis oil through at least two condensation and one electrical dust collection for the filtered and reformed hot gas.

100: 혼합 열분해 장치 110: 제1반응기
101: 몸체 102: 스크류
106a, 106b: 가열부재 107: 모터
108: 가열기 109: 제어부
120: 제2반응기 131: 제1여과기
132: 제2여과기 133: 제3여과기
134: 제1촉매 135: 제2촉매
136a: 제1응축기 136b: 제2응축기
136c: 전기집진기
100: mixed pyrolysis device 110: first reactor
101: body 102: screw
106a, 106b: heating member 107: motor
108: heater 109: control unit
120: second reactor 131: first filter
132: second filter 133: third filter
134: first catalyst 135: second catalyst
136a: first condenser 136b: second condenser
136c: Electric dust collector

Claims (15)

공급되는 바이오매스를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바이오매스를 급속 열분해 반응시키는 제1반응기;
공급되는 고분자 폐기물을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고분자 폐기물을 급속 열분해 반응시키는 제2반응기;
상기 제1반응기 및 제2반응기 각각의 타측 가스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고온가스를 여과하는 여과모듈; 및
상기 여과모듈을 통과한 고온가스를 응축하여 열분해 오일을 생산하는 응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반응기 및 제2반응기 각각의 내부에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바이오매스 및 고분자 폐기물을 타측으로 이송하는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제1반응기에서 배출되는 고온가스를 필터링 하는 제1여과기;
상기 제2반응기에서 배출되는 고온가스를 필터링하는 제2여과기; 및
상기 제1여과기 및 제2여과기 각각을 통과한 가스를 취합하여 필터링하는 제3여과기를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
A first reactor for rapid pyrolysis reaction of the biomass while transferring the supplied biomass to the other side;
A second reactor for rapid pyrolysis reaction of the polymer waste while transferring the supplied polymer waste to the other side;
A filtration module for filtering the hot gas discharged from the other gas outlets of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And
Condensation module for producing pyrolysis oil by condensing the high-temperatur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A screw is provided insid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to transfer the biomass and polymer waste to the other side by rotating in one direction,
The filtration module,
A first filter for filtering the hot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reactor;
A second filter for filtering the hot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reactor; And
A mixed pyrolysis apparatus comprising a third filter for collecting and filtering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each of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기 및 제2반응기 각각은,
내부에 상기 바이오매스 및 고분자 폐기물을 이송하는 상기 스크류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중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가열부재;
상기 바이오매스 및 고분자 폐기물 각각의 최적 열분해 반응온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재 및 상기 스크류 각각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기;
상기 스크류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모터제어기와 상기 가열기의 발생 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기가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A hollow body into which the screw for transferring the biomass and polymer waste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At least one heating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 heater for providing heat to each of the heating member and the screw based on the optimum pyrolysis reaction temperature range of the biomass and polymer waste;
A motor rotating the screw in one direction; And
A mixed pyrolysis apparatus comprising a mot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a controller including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enerated heat temperature of the heat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기 및 제2여과기 각각은,
적어도 2개가 직렬 연결되어 배치되는 사이클론 집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A mixed pyrolysi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are cyclone dust collectors arranged in se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기와 상기 제3여과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여과기를 통과한 가스를 촉매 반응시켜 개질하는 제1촉매; 및
상기 제2여과기와 상기 제3여과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여과기를 통과한 가스를 촉매 반응시켜 개질하는 제2촉매를 더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atalyst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and the third filter to perform a catalytic reaction of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to be reformed; And
A mixed pyrolysis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atalyst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lter and the third filter to catalytically react and reform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모듈은,
상기 여과모듈을 통과한 고온가스를 응축하여 상기 열분해 오일을 생산하는 제1응축기;
상기 제1응축기를 통과한 가스를 응축하여 상기 열분해 오일을 생산하는 제2응축기; 및
상기 제2응축기를 통과한 가스를 코로나 방전을 통해 집진하여 상기 열분해 오일을 생산하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ensation module,
A first condenser for producing the pyrolysis oil by condensing the hot gas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A second condenser for producing the pyrolysis oil by condensing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ondenser; And
A mixed pyrolysis apparatus comprising an electric precipitator for producing the pyrolysis oil by collecting the gas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denser through corona dischar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의 외벽을 가열하여 상기 열분해 오일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전기히터를 더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Mixing pyrolysis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heater for reducing the viscosity of the pyrolysis oil by heating the outer wall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축기와 상기 제2응축기는 직렬 연결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mixed pyrolysi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denser and the second condenser are arranged in series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기의 주입구에 상기 바이오매스를 공급하는 제1공급기;
상기 제2반응기의 주입구에 상기 고분자 폐기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기;
상기 제1공급기 및 제2공급기 각각의 내부에 캐리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기;
상기 제1반응기 및 제2반응기 각각의 타측 부산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부산물을 연소시키는 부산물 연소기; 및
상기 응축모듈에서 배출되는 비응축가스를 상기 제1반응기 및 제2반응기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feeder for supplying the biomass to the inlet of the first reactor;
A second feeder for supplying the polymer waste to the inlet of the second reactor;
A gas supplier for supplying a carrier gas into each of the first supplier and the second supplier;
A by-product combustor for combusting by-products discharged from the other by-product outlet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And
Mixing pyrolysis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blower for supplying the non-condensed gas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ion module into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제1반응기의 일측 주입구를 통해 공급된 바이오매스를 내부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급속 열분해 반응시켜 제1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
제2반응기의 일측 주입구를 통해 공급된 고분자 폐기물을 내부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급속 열분해 반응시켜 제2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고온가스와 상기 제2고온가스 각각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가스를 촉매 반응시켜 개질하는 단계; 및
필터링 및 개질된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 오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는 병렬로 함께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
Discharging the first hot gas by rapid pyrolysis reaction while rotating the internal screw of the biomass supplied through the inlet of the first reactor and transferring it to the other side;
Discharging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by rapid pyrolysis reaction while rotating the screw inside the polymer waste supplied through the inlet of the second reactor to the other side;
Filtering each of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and the second high-temperature gas, and reforming the filtered gas by catalytic reaction; And
Condensing the filtered and reformed gas to produce pyrolysis oil,
The step of discharging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and the step of discharging the second high-temperature gas are performed together in paralle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반응기의 외면 및 스크류를 450~550℃의 범위 내에서 가열하여 상기 바이오매스를 열분해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discharging the first high temperature gas,
A method for producing pyrolysis oil using a mixed pyrolysis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yrolyzing the biomass by he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actor and the screw within a range of 450 to 550°C.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온가스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반응기의 외면 및 스크류를 400~450℃의 범위 내에서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폐기물을 열분해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discharging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A method for producing pyrolysis oil using a mixed pyrolysis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yrolyzing the polymer waste by heating the outer surface and the screw of the second reactor within a range of 400 to 450°C.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온가스와 상기 제2고온가스 각각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가스를 촉매 반응시켜 개질하는 단계는,
상기 제1고온가스 및 상기 제2고온가스 각각을 1차 필터링하는 단계;
1차 필터링 된 제1고온가스 및 제2고온가스 각각을 촉매 반응시켜 개질하는 단계; 및
개질된 제1고온가스 및 제2고온가스를 취합하여 2차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Filtering each of the first high-temperature gas and the second high-temperature gas, and reforming the filtered gas by catalytic reaction,
First filtering each of the first hot gas and the second hot gas;
Reforming by reacting each of the first filtered first high temperature gas and second high temperature gas into a catalytic reac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pyrolysis oil using a mixed pyrolysis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collecting the reformed first high temperature gas and the second high temperature gas and performing secondary filter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오일을 생산하는 단계는,
제1응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링 및 개질된 가스로부터 상기 열분해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
제2응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응축기를 통과한 가스로부터 상기 열분해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 및
전기집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응축기를 통과한 가스로부터 상기 열분해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producing the pyrolysis oil,
Recovering the pyrolysis oil from the filtered and reformed gas using a first condenser;
Recovering the pyrolysis oil from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ondenser using a second condenser; And
A method of producing pyrolysis oil using a mixed pyrolysis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recovering the pyrolysis oil from the gas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denser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제10항에 있어서,
캐리어 가스와 함께 상기 제1반응기 및 제2반응기 각각에 상기 바이오매스 및 고분자 폐기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 및 개질된 가스 중 응축되지 않은 비응축가스를 상기 제1반응기 및 제2반응기 각각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혼합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Supplying the biomass and polymer wast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together with a carrier gas;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pyrolysis oil using a mixed pyroly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supplying non-condensed non-condensed gas among the filtered and reformed gases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KR1020180139918A 2018-11-14 2018-11-14 Mixing pyrolysis apparatus for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producing method for pyrolysis oil using thereof KR102206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18A KR102206106B1 (en) 2018-11-14 2018-11-14 Mixing pyrolysis apparatus for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producing method for pyrolysis oil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18A KR102206106B1 (en) 2018-11-14 2018-11-14 Mixing pyrolysis apparatus for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producing method for pyrolysis oil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058A KR20200056058A (en) 2020-05-22
KR102206106B1 true KR102206106B1 (en) 2021-01-20

Family

ID=7091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918A KR102206106B1 (en) 2018-11-14 2018-11-14 Mixing pyrolysis apparatus for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producing method for pyrolysis oil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1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0988B (en) * 2020-11-24 2022-05-17 成都正升能源技术开发有限公司 Condensate valve for rapidly recovering oilfield associated gas
KR102608852B1 (en) * 2021-10-06 2023-12-05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Reforming system of pyrolysis-ga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05895A1 (en) * 2002-10-04 2004-04-07 Danieli Corus Technical Services BV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a material under pyrolytical conditions, and use thereof
KR20180031301A (en) * 2016-09-19 2018-03-28 이지영 Hybrid type recycle processing system for the waste imitation marble, acrylic resin and biomass using fluidized bed fast-pyrolysis technology,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058A (en)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79491B (en) A kind of method of mud and the blended gasification hydrogen-producing of biomass
CN101747943B (en) Method by utilizing livestock manure to produce hydrogenous gas and other products in a step-by-step thermal decomposition way and device
CN201567310U (en) Biomass spiral pyrolysis device
CN104560071B (en) Pyrolysis system and method for pyrolysis
CN103011072B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high-purity hydrogen from biomass
CN102977927A (en) Apparatus for preparing synthesis gas based on dual fluidized bed biomass gasific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206106B1 (en) Mixing pyrolysis apparatus for biomass and polymer waste and producing method for pyrolysis oil using thereof
CN101709224A (en) Biomass spiral pyrolysis device and pyrolysis process
JP20062829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biomass coke
CN11137851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synthesis gas by biomass pyrolysis and gasification
KR10159935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o-oil being able to recycle undecomposed biomass and the method thereof
CN108219852A (en) The gasification reactor apparatus and its producing gas method of microwave-heating biomass
CN105838460A (en) Coal pyrolysis and cracking gas production combine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JP4741686B2 (en) Gasification method, power generation method, gasification device, power generation device, wood chip, and liquid phase light oil that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and water in which water-soluble organic substances are dissolved
CN108913172B (e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oil by pyrolyzing seaweed
CN105925282A (en) Biomass thermal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carbon cycle
KR101376737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o-oil and bio-oil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same
CN108587662A (en) A kind of the two-part pyrolysis installation and method of solid fuel
CN111826201A (en) Process, system and application for flash pyrolysis gasification and tar removal of biomass
US20200157447A1 (en) Beneficiation of coal for storage, transportation, and gasification
KR101856475B1 (en) Asymmetric reactor for manufacturing bio-oil
CN111073672A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ycl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aste residues
Beneroso et al. Microwave technology for syngas production from renewable sources
CN103525445A (en) Household garbage treatment device and garbage treatment equipment
CN202824077U (en) Domestic rubbish disposal equipment and rubbish dispos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