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081B1 -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081B1
KR102206081B1 KR1020190075630A KR20190075630A KR102206081B1 KR 102206081 B1 KR102206081 B1 KR 102206081B1 KR 1020190075630 A KR1020190075630 A KR 1020190075630A KR 20190075630 A KR20190075630 A KR 20190075630A KR 102206081 B1 KR102206081 B1 KR 10220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module
guide
processin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480A (ko
Inventor
송정한
이종섭
배기현
박남수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7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0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3/00Methods of pressing not special to the use of presses of an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분의 세방향이 관통되어, 제 1 관통부, 제 2 관통부 및 제 3 관통부로 둘러싸인 가공부를 형성하는 펀칭부와 노칭부가 형성되는 펀칭 모듈; 및 상기 가공부를 절곡하여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가압부가 형성되는 절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대상물의 절곡시 압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이 접촉하는 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곡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장치{Progressive mold and progressive mold apparatus for testing wear property}
본 발명은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마멸을 평가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을 이용한 양산 과정에서 소재를 프레스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분당 수에서 수십 개씩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변형이 심한 부위를 중심으로 금형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재의 성형성이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 크랙과 같은 결함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잦은 결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금형의 온도 상승은 고압으로 성형되는 공정의 특성으로 인해 금형 표면의 조기마멸로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금형의 마모성 평가하기 위하여 소재 재질로 디스크를 만들고 금형 재질로 핀을 제작하여, 미끄럼 거리에 따른 핀의 체적 변화를 측정하여 금형 재질의 마멸량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금형의 마모성을 평가한다.
종래의 금형의 평가 방법은 소재 재질을 디스크로 제작하는데 있어서 박판의 경우에는 평가를 위한 디스크 제작이 어려우며, 또는,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실제로 연속하여 작업함으로써 소재의 성형성, 결함 발생, 금형의 마모 정도를 파악해야 하는데, 실제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시험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시험에 필요한 소재의 비용에 대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어, 실제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금형의 마모성을 평가하는 것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마모를 가속할 수 있도록 금형의 일부분에 압력과 마찰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굽힘면를 형성하고, 굽힘면의 곡률을 각각 다르게 하여 한세트의 시험으로 다양한 곡률에 따른 굽힘면의 마찰력을 시험할 수 있어, 시험 시간 및 횟수를 단축하고 시편 소재를 절약할 수 있는 프로그래시브 금형 마모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은, 대상물에 제 1 관통부, 제 2 관통부 및 제 3 관통부로 둘러싸인 가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펀칭부와 노칭부가 형성되는 펀칭 모듈; 및 상기 가공부를 절곡하여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가압부가 형성되는 절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대상물의 절곡시 압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이 접촉하는 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곡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곡률부는, 상기 가공부가 상기 절곡 모듈에서 절곡시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상기 가공부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곡률부는, 상기 가공부가 상기 절곡 모듈에서 절곡시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상기 가공부가 접촉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곡 모듈은 프로그래시브 금형에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펀칭 모듈은, 상기 가공부의 일방향에 상기 제 1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관통하는 제 1 노칭부와 제 1 펀칭부로 형성되는 제 1 펀칭 모듈; 상기 가공부의 다른면인 상기 제 2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관통하는 제 2 노칭부와 제 2 펀칭부로 형성되는 제 2 펀칭 모듈; 및 상기 제 1 관통부와 상기 제 2 관통부를 연결하는 제 3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관통하는 제 3 노칭부와 제 3 펀칭부로 형성되는 제 3 펀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곡 모듈은, 상기 가공부가 상기 대상물의 가공 진행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가공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공부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절곡 시킬 수 있도록 하형 금형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펀칭 모듈은, 상기 대상물에 제 1 가공부 및 제 2 가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절곡 모듈은,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상기 제 1 가공부를 절곡하여 제 1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부와 제 1 가압부로 형성되는 제 1 절곡 모듈; 및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상기 제 2 가공부를 절곡하여 제 2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부와 제 2 가압부로 형성되는 제 2 절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상물을 절곡시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의 집중되는 압력이 상이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형성된 제 1 곡률부의 곡률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형성된 제 2 곡률부의 곡률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상물에서 상기 절곡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제 4 노칭부와 제 4 펀칭부로 형성되는 전단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른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는, 코일 형태로 권취된 대상물을 풀어주는 언코일러; 상기 언코일러에서 풀어진 상기 대상물을 일정길이로 공급하는 피더; 및 상기 피더에서 공급되는 상기 대상물을 압착할 수 있는 상형 금형과 하형 금형으로 형성되는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시브 금형은, 대상물에 제 1 관통부, 제 2 관통부 및 제 3 관통부로 둘러싸인 가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펀칭부와 노칭부가 형성되는 펀칭 모듈; 및 상기 가공부를 절곡하여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가압부가 형성되는 절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대상물의 절곡시 압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이 접촉하는 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곡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마모를 가속할 수 있도록 금형의 일부분에 압력과 마찰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굽힘부를 형성하고, 굽힘면의 곡률을 각각 다르게 하여 한세트의 시험으로 다양한 곡률에 따른 굽힘면의 마찰력을 시험하여, 시험 시간 및 시험 횟수를 단축하고 시편 소재를 절약할 수 있는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마모 평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절곡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으로 제작되는 대상물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각각의 가이드부에 형성된 곡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는,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 피더(2000) 및 언코일러(30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코일러(3000)는 코일 형태로 권취된 대상물(10)을 풀어주는 장치로서,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의 선단에 형성되어 코일링된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회전시킬 수 있으며, 안착된 코일에서 대상물이 언코일링 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서 공급되는 장치이다.
피더(2000)는, 언코일러(3000)에서 풀어진 대상물(1)을 일정 길이로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언코일링 된 대상물(1)을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에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이송 롤러 및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송 롤러는 모터에 의해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피더(2000)는 대상물(1)을 각 단계에 필요한 길이만큼 한 피치씩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연속적인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되고, 대상물(1)이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에서 정확한 위치 및 레벨에서 가공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가공성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언코일러(3000)에 형성된 롤러와 피더(2000)에 형성된 이송 롤러는 대상물(1)을 한 피치씩 동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서로 연동되어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은 상기 피더(2000)에서 공급되는 상기 대상물(1)을 압착할 수 있는 상형 금형(1100)과 하형 금형(1200)으로 형성되는 장치로서, 펀칭 모듈(100), 절곡 모듈(500) 및 전단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모듈(100)은 대상물(1)의 적어도 일부분의 세방향이 관통되어, 제 1 관통부(10), 제 2 관통부(20) 및 제 3 관통부(30)로 둘러싸인 가공부(40)를 형성하는 펀칭부(110)와 노칭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물(1)을 관통하기 위하여 상형 금형(1100)에는 펀칭부(1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형 금형(1200)에는 삽입부인 노칭부(120)가 삽입홈으로 형성된다. 상형 금형(1100)과 하형 금형(1200)이 합형시 상형 금형(1100)의 펀치부가 하형 금형(1200)의 삽입홈으로 대상물(1)을 관통하면서 합형되어 대상물(1)이 가공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에서 대상물(1)의 진행방향은 X축, 대상물(1)의 폭방향은 Y축,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이 합형하여 대상물(1)이 관통되는 방향은 Z축으로 한다.
펀칭 모듈(100)은 대상물(1)에 상기 X축 방향을 길게 형성된 제 1 관통부와 제 2 관통부 및 상기 제 1 관통부와 상기 제 2 관통부를 연결하는 제 3 관통부를 펀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형 금형(1100)에 ‘ㄷ’자 형상으로 대상물(1)을 관통하는 펀칭부(110)가 형성되고, 하형 금형(1200)에 ‘ㄷ’자 형상으로 펀칭부(110)와 대응되도록 노칭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모듈(500)은 가공부(40)를 절곡하여 절곡부(5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절곡부(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10)와 가압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510)는 가공부(40)가 대상물(1)의 가공 진행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가공부(40)를 가이드하고, 가압부(520)는 가공부(40)를 가이드부(510)를 따라 절곡 시킬 수 있도록 하형 금형(1200)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모듈(100)을 통과한 대상물(1)에 형성되는 가공부(40)를 절곡할 수 있도록, 상형 금형(1100)과 하형 금형(1200)이 합형 시, 하형 금형(1200)의 가압부(520)가 상형 금형(1100)의 가이드부(510)의 측면으로 가공부(40)를 밀어 절곡하여 대상물(1)에 절곡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510)는 대상물(1)의 절곡시 압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대상물(1)이 접촉하는 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곡률부(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가이드부(510, 51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부(P1)는 가공부(40)가 절곡 모듈(500)에서 절곡시 가이드부(510)에 형성되는 압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가공부(40)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10)에 형성된 곡률부(P1)는 가압부(520)에 의하여 대상물(1)이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의 성형공간에 삽입될 시,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과 대상물(1)의 접촉면에서 대상물(1)의 변형이 발생되는 구간에 대상물(1)과의 압력과 마착력이 집중되는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510)에 형성된 곡률부(P1)는 가압부(520)와 대상물(1)의 접촉면에서 대상물(1)이 상기 Z축 방향으로 절곡되어 변형이 시작되는 지점에서부터 대상물(1)의 변형이 끝나는 지점 사이에 상기 X축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굽힘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굽힘부를 따라서 절곡된 대상물(1)에 오목한 형상으로 굽힘부가 형성되며 절곡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곡률부(P1)의 곡률 반경도 변형 가능하다.
곡률부(P1)가 형성된 가이드부(510)는 곡률부(P1)에서 대상물(1)이 가압부(520)로 인하여 압력이 집중되어 금형에 대한 마모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부(P2)는 가공부(40)가 절곡 모듈(500)에서 절곡시 가이드부(510`)에 형성되는 압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가공부(40)가 접촉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510-1)에 형성된 곡률부(P2)는 가압부(520)와 대상물(1)의 접촉면에서 대상물(1)이 상기 Z축 방향으로 절곡되어 변형이 시작되는 지점에서부터 대상물(1)의 변형이 끝나는 지점 사이에 상기 X축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굽힘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굽힘부를 따라서 절곡된 대상물(1)이 볼록한 형상으로 굽힘부가 형성되며 절곡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곡률부(P1)의 곡률 반경도 변형 가능하다.
즉,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의 일측은 곡률부(P1, P2)가 형성된 가속 마모 금형에 대한 마모 특성 평가가 가능하여 시험 시간 및 횟수를 단축할 수 있고, 시편 소재의 절약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기존의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마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대상물을 5000회 성형하여 금형팁의 마멸을 평가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곡률부의 압력집중으로 3000회의 성형으로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마멸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험 시간 및 시험 횟수를 줄이며, 소재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의 절곡 모듈(5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절곡 모듈(500)은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에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횟수 이상으로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을 동작한 이후에,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의 마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물(1)과 접촉하는 면인 곡률부(P)를 형성하는 가이드부(510) 및 가압부(52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에 다양한 소재의 금형팁을 가이드부(510) 및 가압부(520)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에 조립하여 마모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마모성 평가가 수행되는데 있어서 곡률부를 형성하므로서 종래의 평가 장치보다 시험 시간 및 시험 횟수를 줄이며, 소재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모듈(600)은 대상물(1)에서 절곡부(5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제 4 노칭부(620)와 제 4 펀칭부(610)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대상물(1)의 폭방향인 상기 Y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의 제 4 펀칭부(610)와 하형 금형(1200)의 제 4 노칭부(620)가 합형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에 관통되어 대상물(1)로부터 제품을 분리할 수 있으며, 제 6 펀칭부(610)의 길이는 적어도 대상물(1)의 폭방향보다 길게 형성되어, 대상물(1)을 폭방향인 상기 Y축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모듈(100)은 제 1 펀칭 모듈(100-1), 제 2 펀칭 모듈(200-1) 및 제 3 펀칭 모듈(30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펀칭 모듈(100-1)은 가공부(40)의 일방향에 제 1 관통부(10-1)가 형성되도록 대상물(1)을 관통하는 제 1 노칭부(120-1)와 제 1 펀칭부(110-1)로 형성되고, 제 2 펀칭 모듈(200-1)은 가공부(40)의 다른방향에 제 2 관통부(20-1)가 형성되도록 대상물(1)을 관통하는 제 2 노칭부(220-1)와 제 2 펀칭부(210-1)로 형성되고, 제 3 펀칭 모듈(300-1)은 제 1 관통부(10-1)와 제 2 관통부(20-1)를 연결하는 제 3 관통부(30-1)가 형성되도록 대상물(1)을 관통하는 제 3 노칭부(320-1)와 제 3 펀칭부(310-1)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X축 방향의 중심선에서 대상물(1)의 진행방향의 우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1)의 제 1 펀칭부(110-1)와 하형 금형(1200)의 제 1 노칭부(120-1)가 합형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은 중심선(l)에서 우측으로 상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 1 관통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X축 방향의 중심선에서 대상물(1)의 진행방향의 좌측으로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1)의 제 2 펀칭부(210-1)와 하형 금형(1200)의 제 2 노칭부(220-1)가 합형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은 중심선(l)에서 좌측으로 상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 2 관통부(20-1)를 형성할 수 있다.
대상물(1)의 폭방향인 상기 Y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1)의 제 3 펀칭부(310-1)와 하형 금형(1200-1)의 제 3 노칭부(320-1)가 합형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1 관통부(10-1), 제 2 관통부(20-1)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 3 관통부(30-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펀칭 모듈(100-1), 제 2 펀칭 모듈(200-1), 제 3 펀칭 모듈(300-1)에 가공된 대상물(1)에는 가공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 모듈(500)에서는 가공부(40)를 절곡하여 절곡부(50)를 형성하고, 전단 모듈(600)에서는 절곡부(50)를 대상물(1)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특징과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펀칭 모듈(100)은, 대상물(1)에 제 1 가공부(41) 및 제 2 가공부(42)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절곡 모듈(500)은 대상물(1)에 형성된 제 1 가공부(41)를 절곡하여 제 1 절곡부(5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부(511)와 제 1 가압부(521)로 형성되는 제 1 절곡 모듈(510-1) 및 대상물(1)에 형성된 제 2 가공부(42)를 절곡하여 제 2 절곡부(5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부(513)와 제 2 가압부(523)로 형성되는 제 2 절곡 모듈(51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가공부(40)를 복수개 형성하여 각각의 가공부(40)를 복수개의 절곡 모듈로 절곡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프로그래시브 금형으로 제작되는 대상물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2)은, 제 1 펀칭 모듈(100-2), 제 2 펀칭 모듈(200-2), 제 3 펀칭 모듈(300-2), 제 1 절곡 모듈(500-1), 제 2 절곡 모듈(500-2) 및 전단 모듈(600-2)은 상형 금형(1100-2)과 하형 금형(1200-2)에 펀칭부와 삽입부로 형성되어 각각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펀칭 모듈(100-2)은 대상물(1)에 제 1 관통부(1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1 노칭부(120-2)와 제 1 펀칭부(110-1)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펀칭부(110-2)는 대상물(1)의 가공 진행방향의 중심선(l)에서 양측으로 제 1 거리(d1) 만큼 이격되어 소정 길이로 대상물(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형 금형(1100-2)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1 펀칭부(111) 및 제 1-2 펀칭부(112)를 포함하고, 제 1 노칭부(120-2)는 제 1 펀칭부(110-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1-1 펀칭부(111) 및 제 1-2 펀칭부(112)가 삽입되어 대상물(1)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형 금형(1200-1)에 삽입홈으로 형성되는 제 1-1 노칭부(121) 및 제 1-2 노칭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X축 방향의 중심선에서 대상물(1)의 진행방향의 우측으로 제 1 거리(d1)만큼 이격되고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2)의 제 1-1 펀칭부(111)와 하형 금형(1200-2)의 제 1-1 노칭부(121)가 합형되고, 상기 X축 방향의 중심선에서 대상물(1)의 진행방향의 좌측으로 제 1 거리(d1)만큼 이격되고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2)의 제 1-2 펀칭부(112)와 하형 금형(1200-2)의 제 1-2 노칭부(112)가 합형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은 중심선(l)에서 우측으로 제 1 거리(d1) 이격되어 제 1 길이(m)와 제 1 폭(n)을 가지는 제 1-1 관통부(11)와 중심선(l)에서 좌측으로 제 1 거리(d1) 이격되어 제 1 길이(m)와 제 1 폭(n)을 가지는 제 1-2 관통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펀칭 모듈(200-2)은 대상물(1)에 제 2 관통부(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2 노칭부(220-2)와 제 2 펀칭부(210-2)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펀칭부(210-2)는 대상물(1)의 가공 진행방향의 중심선(l)에서 소정 길이로 대상물(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형 금형(1100-2)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1 펀칭부(211) 및 중심선(l)에서 양측으로 제 2 거리(d2) 만큼 이격되어 소정 길이로 대상물(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형 금형(1100-2)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2 펀칭부(212) 및 제 2-3 펀칭부(213)를 포함하고, 제 2 노칭부(220-2)는 제 2 펀칭부(210-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2-1 펀칭부(211), 제 2-2 펀칭부(212) 및 제 2-3 펀칭부(213)가 삽입되어 대상물(1)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형 금형(1200-2)에 삽입홈으로 형성되는 제 2-1 노칭부(221), 제 2-2 노칭부(222) 및 제 2-3 노칭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X축 방향의 중심선에서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2)의 제 2-1 펀칭부(211)와 하형 금형(1200-2)의 제 2-1 노칭부(221)가 합형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은 중심선(l)에서 제 1 길이(m)와 제 1 폭(n)을 가지는 제 2-1 관통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X축 방향의 중심선에서 대상물(1)의 진행방향의 우측으로 제 2 거리(d2)만큼 이격되고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2)의 제 2-2 펀칭부(212)와 하형 금형(1200-2)의 제 2-2 노칭부(221)가 합형되고, 상기 X축 방향의 중심선에서 대상물(1)의 진행방향의 좌측으로 제 2 거리(d2)만큼 이격되고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2)의 제 2-3 펀칭부(213)와 하형 금형(1200)의 제 2-3 노칭부(223)가 합형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은 중심선(l)에서 우측으로 제 2 거리(d2) 이격되어 제 2 길이와 제 1 폭(n)을 가지는 제 2-2 관통부(22)와 중심선(l)에서 좌측으로 제 2 거리(d2) 이격되어 제 2 길이와 제 1 폭(n)을 가지는 제 2-3 관통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펀칭부(110-2), 제 2 펀칭부(210-2), 제 3 펀칭부(310-2)는 모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 1 노칭부(120-2), 제 2 노칭부(220-2), 제 3 노칭부(320-2)는 모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길이는 제 1 길이(m)과 동일할 수 있으며, 또한, 전단 모듈(600-2)에서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제 1 길이(m)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펀칭 모듈(300-2)은 대상물(1)에 제 1 관통부(10)와 제 2 관통부(20)를 연결하는 제 3 관통부(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3 노칭부(320-2)와 제 3 펀칭부(310-2)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3 펀칭부(310-2)는 제 1 관통부(10)와 제 2 관통부(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형 금형(1100-2)에 돌출되어 대상물(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 3 노칭부(320)는 제 3 펀칭부(3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3 펀칭부(310)가 삽입되어 대상물(1)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형 금형(1200-2)에 삽입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물(1)의 폭방향인 상기 Y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 상형 금형(1100-2)의 제 3 펀칭부(310-2)와 하형 금형(1200-2)의 제 3 노칭부(320-2)가 합형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1-1 관통부(11), 제 1-2 관통부(12), 제 2-1 관통부(21), 제 2-2 관통부(22), 제 2-3 관통부(23)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 3 관통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펀칭 모듈(100-2), 제 2 펀칭 모듈(200-2), 제 3 펀칭 모듈(300-2)을 통과한 대상물(1)은 제 1 가공부(41), 제 2 가공부(42), 제 3 가공부(43), 제 4 가공부(44)를 포함하는 가공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공부(41)는 제 2-2 관통부(22), 제 1-1 관통부(11) 및 제 3 관통부(30)로 둘러싸여 세방향은 상기 관통부들로 관통되고 한쪽 방향은 대상물(1)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 2 가공부(42)는 제 1-1 관통부(11), 제 2-1 관통부(21) 및 제 3 관통부(30)로 둘러싸여 세방향은 상기 관통부들로 관통되고 한쪽 방향은 대상물(1)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 3 가공부(43)는 제 2-1 관통부(21), 제 1-2 관통부(12) 및 제 3 관통부(30)로 둘러싸여 세방향은 상기 관통부들로 관통되고 한쪽 방향은 대상물(1)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 4 가공부(44)는 제 1-2 관통부(12), 제 2-3 관통부(23) 및 제 3 관통부(30)로 둘러싸여 세방향은 상기 관통부들로 관통되고 한쪽 방향은 대상물(1)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쪽 방향이 대상물(1)에 연결되고, 각각의 세방향이 관통되어 동일한 형상의 제 1 가공부(41), 제 2 가공부(42), 제 3 가공부(43) 및 제 4 가공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절곡 모듈(500-1)은 대상물(1)에서 제 1 관통부(10), 제 2 관통부(20) 및 제 3 관통부(30)로 둘러싸인 적어도 일부분을 절곡하여 제 1 절곡부(4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부(510)와 제 1 가압부(520)로 형성되고, 제 2 절곡 모듈(500-2)은, 대상물(1)에서 제 1 관통부(10), 제 2 관통부(20) 및 제 3 관통부(30)로 둘러싸인 다른부분를 절곡하여 제 2 절곡부(4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부(510-2)와 제 2 가압부(520-2)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이드부(510)는 대상물(1)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공 진행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대상물(1)을 가이드하는 제 1-1 가이드부(511) 및 제 1-2 가이드부(512)를 포함하고, 제 1 가압부(520)는 대상물(1)을 제 1-1 가이드부(511) 및 제 1-2 가이드부(512)를 따라 절곡 시킬 수 있도록 하형 금형(1200-2)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1 가압부(521) 및 제 1-2 가압부(522)를 포함하고, 제 2 가이드부(510-2)는 대상물(1)의 다른부분이 가공 진행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대상물(1)을 가이드하는 제 2-1 가이드부(513) 및 제 2-2 가이드부(514)를 포함하고, 제 2 가압부(520-2)는 대상물(1)을 제 2-1 가이드부(513) 및 제 2-2 가이드부(514)를 따라 절곡 시킬 수 있도록 하형 금형(1200-2)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1 가압부(523) 및 제 2-2 가압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펀칭 모듈(100-2), 제 2 펀칭 모듈(200-2), 제 3 펀칭 모듈(300-2)을 통과한 대상물(1)에 형성되는 제 1 가공부(41), 제 2 가공부(42), 제 3 가공부(43) 및 제 4 가공부(44)를 절곡할 수 있도록, 하형 금형(1200-2)의 제 1-1 가압부(521), 제 1-2 가압부(522), 제 2-1 가압부(523) 및 제 2-2 가압부(524)가 상형 금형(1100-2)의 제 1-1 가이드부(511), 제 1-2 가이드부(512), 제 2-1 가이드부(513) 및 제 2-2 가이드부(514)의 측면으로 각각 제 1 가공부(41), 제 2 가공부(42), 제 3 가공부(43) 및 제 4 가공부(44)를 밀어 절곡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절곡부(51), 제 2 절곡부(52), 제 3 절곡부(53) 및 제 4 절곡부(54)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 1-1 가이드부(511) 및 제 1-2 가이드부(512)와 제 2-1 가이드부(513) 및 상기 제 2-1 가이드부(514)는 각각 일정 간격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절곡 모듈(500-1)을 통하여 제 1 가공부(41), 제 3 가공부(43)를 먼저 절곡하고, 제 2 절곡 모듈(500-2)을 통하여 제 2 가공부(42), 제 4 가공부(44)를 밀어 순차적으로 절곡할 수 있다.
대상물(1)을 절곡시 제 1 절곡부(51)와 제 2 절곡부(52)의 집중되는 압력이 상이하도록, 제 1 가이드부(511)에 형성된 제 1 곡률부(R1)의 곡률과 제 2 가이드부(513)에 형성된 제 2 곡률부(R3)의 곡률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대상물(1)의 재료에 따라 제 1 가이드부(410)에 3mm,5.5mm, 10mm 등의 다양한 오목한 형상의 곡률부(P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각각의 가이드부에 형성된 곡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 금형(1100-2)에 형성된 제 1-1 가이드부(511), 제 1-2 가이드부(512), 제 2-1 가이드부(513) 및 제 2-2 가이드부(514)에는 각각 제 1 곡률(R1), 제 2 곡률(R2), 제 3 곡률(R3) 및 제 4 곡률(R4)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공부(41), 제 2 가공부(42), 제 3 가공부(43) 및 제 4 가공부(44)가 각각 다른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부로 가공되어, 서로 상이한 제 1 곡률(R1), 제 2 곡률(R2), 제 3 곡률(R3) 및 제 4 곡률(R4)을 가지는 제 1 절곡부(51), 제 2 절곡부(52), 제 3 절곡부(53) 및 제 4 절곡부(54)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마모를 가속할 수 있도록 금형의 일부분에 압력과 마찰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절곡부의 곡률인 제 1 곡률(R1), 제 2 곡률(R2), 제 3 곡률(R3) 및 제 4 곡률(R4)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한세트의 시험으로 다양한 곡률에 따른 굽힘면의 마찰력을 시험할 수 있어, 시험 시간 및 횟수를 단축하고 시편 소재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대상물(1)에 형성된 각각의 절곡부를 구분하기 위하여 대상물(1)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표시를 하는 마킹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킹 모듈을 통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의 가공부(40)가 형성되는 부분에 마킹되어, 각각의 가공부(40)의 골률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부는 대상물(1)이 제 1 절곡 모듈(500-1) 및 제 2 절곡 모듈(500-2)에서 절곡시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대상물(1)이 접촉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가이드부(510-1) 및 제 2 가이드부(510-2)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절곡 모듈(500-1)과 제 2 절곡 모듈(500-2)이 같은 라인에 형성되어 제 1 가이드부(510-1), 제 2 가이드부(510-2)에 형성된 펀칭부 및 노칭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한번의 공정으로 제 1 가공부(41), 제 2 가공부(42), 제 3 가공부(43) 및 제 4 가공부(44)를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가이드부(510-1) 및 제 2 가이드부(510-2)의 곡률부는 대상물(1)이 접촉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은 대상물(1)을 한 피치씩 연속적으로 이동시 정위치에 정렬하기 위한 대상물(1)에 정렬부를 형성하기 위한 피어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어싱 모듈은 제 1 펀칭 모듈(100)과 함께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 펀칭 모듈(100) 이전에 먼저 대상물(1)에 상기 정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피어싱 모듈, 제 1 펀칭 모듈(100), 제 2 펀칭 모듈(200), 제 3 펀칭 모듈(300), 제 1 절곡 모듈(500-1), 제 2 절곡 모듈(500-2) 및 전단 모듈(600)은 상형 금형(1100-2)과 하형 금형(1200-2)에 펀칭부와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가공 단계로서, 예컨대,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의 마모 평가 방법은 피어싱 단계, 제 1 펀칭 단계, 제 2 펀칭 단계, 제 3 펀칭 단계, 제 1 절곡 단계, 제 2 절곡 단계, 전단 단계, 평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링된 대상물은 언코일러(3000) 및 피더(2000)를 지나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2)에 진입된다.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2)에 진입된 대상물(1)은 상기 피어싱 단계에서 대상물(1)에 상기 정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펀칭 단계, 상기 제 2 펀칭 단계, 상기 제 3 펀칭 단계에서 제 1 가공부(41), 제 2 가공부(42), 제 3 가공부(43) 및 제 4 가공부(44)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곡 단계, 상기 제 2 절곡 단계에서 제 1 절곡부(51), 제 2 절곡부(52), 제 3 절곡부(53) 및 제 4 절곡부(54)를 형성하고, 상기 전단 단계에서 대상물(1)에서 제품(S)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에, 프로그래시브 금형(1000)의 일부분인 분리가능한 가이드부를 분리하여 금형의 마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대상물
10 : 제 1 관통부
20 : 제 2 관통부
30 : 제 3 관통부
40, 41, 42, 43, 44 : 가공부
50, 51, 52, 53, 54 : 절곡부
100, 100-1, 100-2 : 제 1 펀칭 모듈
110, 110-1, 110-2 : 제 1 펀칭부
120, 120-1, 120-2 : 제 1 노칭부
200, 200-1, 200-2 : 제 2 펀칭 모듈
210, 210-1, 210-2 : 제 2 펀칭부
220, 220-1, 220-2 : 제 2 노칭부
300, 300-1, 300-2 : 제 3 펀칭 모듈
310, 310-1, 310-2 : 제 3 펀칭부
320, 320-1, 320-2 : 제 3 노칭부
500-1 : 제 1 절곡 모듈
510-1 : 제 1 가이드부
520-1 : 제 1 가압부
500-2 : 제 2 절곡 모듈
510-2 : 제 2 가이드부
520-2 : 제 2 가압부
600 : 전단 모듈
610 : 제 6 펀칭부
620 : 제 4 노칭부
d1 : 제 1 거리
d2 : 제 2 거리
l : 중심선
m : 제 1 길이
n : 제 1 폭
P, P1, P2 : 곡률부
S : 제품
1000, 1000-1, 1000-2 : 프로그래시브 금형
2000 : 피더
3000 : 언코일러

Claims (10)

  1. 대상물에 제 1 관통부, 제 2 관통부 및 제 3 관통부로 둘러싸인 가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펀칭부와 노칭부가 형성되는 펀칭 모듈; 및
    상기 가공부를 절곡하여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가압부가 형성되는 절곡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대상물의 절곡시 압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이 접촉하는 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곡률부;
    를 포함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부는,
    상기 가공부가 상기 절곡 모듈에서 절곡시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상기 가공부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부는,
    상기 가공부가 상기 절곡 모듈에서 절곡시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상기 가공부가 접촉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모듈은 프로그래시브 금형에서 분리 및 결합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모듈은,
    상기 가공부의 일방향에 상기 제 1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관통하는 제 1 노칭부와 제 1 펀칭부로 형성되는 제 1 펀칭 모듈;
    상기 가공부의 다른방향에 상기 제 2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관통하는 제 2 노칭부와 제 2 펀칭부로 형성되는 제 2 펀칭 모듈; 및
    상기 제 1 관통부와 상기 제 2 관통부를 연결하는 제 3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관통하는 제 3 노칭부와 제 3 펀칭부로 형성되는 제 3 펀칭 모듈;
    을 포함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모듈은,
    상기 가공부가 상기 대상물의 가공 진행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가공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공부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절곡 시킬 수 있도록 하형 금형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압부;
    를 포함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모듈은, 상기 대상물에 제 1 가공부 및 제 2 가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절곡 모듈은,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상기 제 1 가공부를 절곡하여 제 1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부와 제 1 가압부로 형성되는 제 1 절곡 모듈; 및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상기 제 2 가공부를 절곡하여 제 2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부와 제 2 가압부로 형성되는 제 2 절곡 모듈;
    을 포함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을 절곡시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의 집중되는 압력이 상이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형성된 제 1 곡률부의 곡률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형성된 제 2 곡률부의 곡률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인,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서 상기 절곡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제 4 노칭부와 제 4 펀칭부로 형성되는 전단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10. 코일 형태로 권취된 대상물을 풀어주는 언코일러;
    상기 언코일러에서 풀어진 상기 대상물을 일정길이로 공급하는 피더; 및
    상기 피더에서 공급되는 상기 대상물을 압착할 수 있는 상형 금형과 하형 금형으로 형성되는 프로그래시브 금형;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시브 금형은,
    대상물에 제 1 관통부, 제 2 관통부 및 제 3 관통부로 둘러싸인 가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상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펀칭부와 노칭부가 형성되는 펀칭 모듈; 및
    상기 가공부를 절곡하여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가압부가 형성되는 절곡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대상물의 절곡시 압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이 접촉하는 면이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곡률부;
    를 포함하는,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
KR1020190075630A 2019-06-25 2019-06-25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장치 KR10220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30A KR102206081B1 (ko) 2019-06-25 2019-06-25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30A KR102206081B1 (ko) 2019-06-25 2019-06-25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80A KR20210000480A (ko) 2021-01-05
KR102206081B1 true KR102206081B1 (ko) 2021-01-22

Family

ID=7414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630A KR102206081B1 (ko) 2019-06-25 2019-06-25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1523A (zh) * 2021-03-16 2023-10-31 杰富意钢铁株式会社 冲压成型模具的损伤评价装置以及损伤评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908B2 (ja) * 1993-10-08 2002-03-25 株式会社アマダ 折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80A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260B1 (ko) 폐단면 구조체의 성형 방법 및 폐단면 구조체의 성형 장치
KR102206081B1 (ko) 마모 평가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장치
KR101642630B1 (ko) 폐단면 구조체의 성형 방법 및 폐단면 구조체의 성형 장치
CN105939794B (zh) 冲压成型品的制造方法、冲压成型品的制造装置、心轴以及冲压成型品
US20110023571A1 (en) Forming apparatus, shoe thereof and forming method
US11911816B2 (en) Method for identifying variation factor portion of springback amount
EP3263240A1 (en) Metal formed product including tubular part having sl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die used for same
US7228670B2 (en) Structural trus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202340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metal member
US432064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elements with profiled cross-section from sheet metal
HRP20110199T1 (hr) Lim od hladno valjanog materijala i postupak za njegovu proizvodnju
KR20110013406A (ko) 이형 단면조의 제조방법
JP7127797B2 (ja) チェーン
CN100377802C (zh) 通过测量棒校准精轧辊装置的装置和方法
US5501094A (en) Method for bending a metal thin plate
KR100219695B1 (ko) 클래드재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RU2344406C2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я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пружинение и предельные параметры при четырехугловой гибке с прижимом краев образца (варианты)
CN209840884U (zh) 一种抽屉导轨检测治具
JP3942157B2 (ja) 被加工材の曲げ加工方法
JP5556685B2 (ja) 打ち抜き加工装置
JP3543547B2 (ja) プレス型
WO2019101977A1 (en) Test specimen
CN208314056U (zh) 传感器弹性体的测试设备
US11511329B2 (en) Method for obtaining a three-dimensional curve in a tubular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lex-curvature tubular products
SU1581449A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коэффициента тр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