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992B1 -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992B1
KR102205992B1 KR1020187029565A KR20187029565A KR102205992B1 KR 102205992 B1 KR102205992 B1 KR 102205992B1 KR 1020187029565 A KR1020187029565 A KR 1020187029565A KR 20187029565 A KR20187029565 A KR 20187029565A KR 102205992 B1 KR102205992 B1 KR 10220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lock synchronization
clock
path
network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688A (ko
Inventor
진춘 수
위안룽 쟝
헝쥔 주
셴 류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700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51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79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by determining clock distribution path in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2Centralise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4Distribute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4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an overlay rout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짐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요청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갱신되고, 클록 동기화 경로가 결정되어, 클록 동기화 경로의 배치 비용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본 출원은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METHOD FOR UPDATING CLOCK SYNCHRONIZATION TOPOLOGY, METHOD FOR DETERMINING CLOCK SYNCHRONIZATION PATH, AND DEVICE)"라는 명칭으로 2016년 3월 18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특허 출원번호 CN201610161046.0에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에서, 서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동기 클록을 가질 필요가 있다. 두 개의 네트워크 기기가 동기 클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두 개의 네트워크 기기는 동일한 주파수의 클록을 갖고, 구체적으로는 클록 신호 간의 위상차는 일정한 값이다.
(2) 두 개의 네트워크 기기는 동일한 위상의 클록을 갖고, 구체적으로는 클록 신호 간의 위상차가 항상 0이다.
모바일 베어러 네트워크(mobile bearer network)에서, 상이한 기지국이 동기 클록을 갖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동기 클록을 획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이한 네트워크 기기는 동일한 클록 소스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클록 신호를 획득하고,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클록 소스에 연결된 첫 번째 홉 네트워크 기기는 클록 소스에서 직접 클록 신호를 획득하고,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클록 신호를 네트워크 기기의 다음 홉(next-hop)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하고, 다음 홉 네트워크 기기는 그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다음 홉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한다. 즉, 다음 홉 네트워크 기기는 클록 소스로부터 클록 신호를 간접적으로 획득한다.
클록 소스로부터 클록 신호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획득하는 클록 소스에서 네트워크 기기까지의 클록 신호 송신 경로는 클록 소스에서 네트워크 기기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이다.
종래 기술에서, 클록 동기화 경로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계획되고 배치된다. 네트워크가 대규모인 경우에 클록 동기화 경로의 배치는 매우 복잡하다. 그 결과, 배치 효율성이 떨어지며, 배치에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미리 배치되는 주 클록 동기화 경로 및 보조 클록 동기화 경로에 모두 결함이 있는 경우, 네트워크 관리자는 일반적으로 시기 적절하게 클록 동기화 경로를 재배치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결함 노드의 다운스트림 클록 동기화 경로 노드의 클록의 정밀도가 저하되어, 서비스 송신에 영향을 미친다.
본 출원은 클록 동기화 경로를 배치하는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및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짐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클록 동기화 경로를 계산하기 위한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되므로, 클록 동기화 경로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록 동기화 경로를 배치하는 비용이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클록 동기화 경로는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사용함하여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해 자동으로 정확하게 계산되어, 동기화 경로를 배치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수신 유닛 및 갱신 유닛을 포함하는 경로 계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다.
상기 갱신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경로 계산 기기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로 계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작업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짐 -; 및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 제2 측면 및 제3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짐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클록 주입 노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클록 동기화 경로는, 제1 네트워크 요소가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경우에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해 자동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록 동기화 경로를 배치하는 비용 및 복잡도가 감소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수신 유닛 및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경로 계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다.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클록 주입 노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로 계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작업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짐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작업 -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클록 주입 노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함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 제5 측면 및 제6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상기 제1 패킷은 추가로, 상기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2 클록 동기화 경로는 상기 제1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 없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는, 제1 패킷에 실려 있는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는 결함이 있는 네트워크 요소 또는 포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발생한 후에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새로운 동기화 경로가 신속하게 획득되어, 서비스 송신에 미치는 클록 신호 열화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제7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경로를 계산하기 위한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함으로써 갱신되므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경로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경로를 배치하는 비용과 복잡도가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2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제2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은, 상기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수신 유닛 및 갱신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갱신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고,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저장 유닛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2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제2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9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는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작업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2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제2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 제8 측면 및 제9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이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 제8 측면 및 제9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제1 클록 주입 노드로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 및 제2 네트워크의 제2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업스트림 네트워크임 -; 및
상기 제2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클록 주입 노드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클록 주입 노드, 및 클록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클록 주입 노드의 클록 동기화 경로는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자동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록 동기화 경로를 배치하는 비용과 복잡도가 감소된다.
제11 측면에 따르면, 수신 유닛 및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결정 유닛은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제1 클록 주입 노드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 및 제2 네트워크의 제2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업스트림 네트워크이다.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2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클록 주입 노드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2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작업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제1 클록 주입 노드로서 결정하는 작업 - 상기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 및 제2 네트워크의 제2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업스트림 네트워크임 -; 및
상기 제2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클록 주입 노드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0 측면, 제11 측면 및 제12 측면에서,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제3 클록 주입 노드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클록 주입 노드와 상기 제1 클록 주입 노드는 상이한 에지 네트워크 기기이다. 제3 클록 주입 노드와 상이한 클록 주입 노드가 제1 패킷에 실려 있는 제3 클록 주입 노드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 클록 주입 노드가 클록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 새로운 클록 주입 노드가 제1 네트워크에 대해 고속으로 획득되므로, 클록 신호 열화가 서비스 송신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 내지 제12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상기 제1 패킷은 경로 계산 요소 프로토콜(Path Computation Element Protocol, PCEP) 패킷이다. 제1 패킷 내의 정보가 PCEP 패킷을 사용하여 실려 전달 될 때,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은 정보 교환을 위한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정의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방안을 구현하는 비용이 감소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일부이고 전부는 아니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 요소"는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요소"는 라우터, 스위치, 광 전송 네트워크(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기기, 패킷 전송 네트워크(packet transport network, PTN) 기기, 파장 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기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노드"는 네트워크 기기 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드"는 라우터, 스위치, OTN 기기, PTN 기기, WDM 기기 또는 서버 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기들 또는 노드들 간의 "연결(connection)" 관계는 "결합(coupling)" 관계 또는 "통신"관계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클록 신호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신되고,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2 네트워크 기기에 클록 신호가 전송되는 경로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제2 네트워크 기기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라고 한다.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 있는 두 개의 인접한 네트워크 기기에서, 클록 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이전 홉(previous-hop) 클록 동기화 경로 노드라고 하고, 클록 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다음 홉(next-hop) 클록 동기화 경로 노드라고 한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네트워크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들, 및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포트들 간의 연결 관계는 물리적 연결 관계 또는 논리적 연결 관계일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네트워크(100)는 네트워크 기기(101), 네트워크 기기(102), 네트워크 기기(103), 네트워크 기기(104), 네트워크 기기(105) 및 네트워크 기기(106)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라우터, 네트워크 스위치, 파장 분할 다중화 기기, 패킷 전송 네트워크 기기,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데이터 센터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캐리어 네트워크일 수 있고, 특히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모바일 베어러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캐리어 네트워크 내의 일부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0)는 보더 게이트웨이 프로토콜(Bborder Gateway Protocol, BGP)에 따라 정의된 자율 시스템(autonomous system, AS)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100)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수행된 분할을 통해 획득되는 네트워크 도메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0)는 액세스 링(access ring), 집성 링(aggregation ring) 또는 코어 링(core ring)일 수 있다.
네트워크(100) 내의 일부 네트워크 기기는 클록 소스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하여, 클록 소스와의 클록 동기화를 구현해야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106)는 기지국이고, 기지국들 간의 클록 동기화를 구현하기 위해 클록 소스와 기지국 사이에서 클록 동기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제1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과정에서, 제1 기지국의 클록이 제2 기지국의 클록과 동기화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호 드롭(call drop) 또는 단방향 오디오와 같은 이상(aonomaly)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6)을 포함하는 캐리어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은 클록 동기화를 구현하기 위해 동일한 클록 소스 또는 동기 클록 소스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06)은 네트워크 기기(105)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지국(106)은 네트워크 기기(105)를 이용하여 클록 소스로부터 클록 신호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필요가 있고, 하나 이상의 클록 동기화 경로가 클록 소스에서 네트워크 기기(105)까지 배치될 필요가 있다. 클록 소스로에서 네트워크 기기(105)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는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클록 소스는 네트워크 기기(105)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기지국(106)은 대안적으로 클록 소스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1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101)는 클록 소스(120)에 연결되어, 클록 소스(120)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클록 소스(120)는 빌딩 통합 타이밍 공급(building integrated timing supply, BITS) 기기일 수 있다. 클록 소스(120)는 네트워크(1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100) 내의 클록 소스(120)에 연결된 네트워크 기기가 없을 수도 있고,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는 다른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한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에서, 클록 소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101)는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이고, 네트워크 기기(101)는 네트워크(100) 내에 있고 클록 소스(120)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101)는 네트워크(100)의 클록 주입 노드라고 불린다. 물론, 네트워크 기기(101)는 클록 주입 노드로서 사용되고, 클록 소스에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네트워크의 에지 기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에지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 2의 설명을 참조한다.
네트워크의 클록 소스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로부터 클록 신호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클록 주입 노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가 복수일 때, 복수의 클록 주입 노드는 동일한 클록 소스 또는 동기 클록 소스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클록 주입 노드는 하나의 주 클록 주입 노드 및 하나 이상의 부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한다. 제1 클록 주입 노드에 결함이 있는 경우, 부 클록 주입 노드가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에 클록 신호를 제공한다. 또는, 복수의 클록 주입 노드는 서로 동기화될 수 있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에 클록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클록 주입 노드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해야 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복수의 클록 주입 노드 중 하나로부터만 클록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ㄸ또는 복수의 클록 주입 노드로부터 복수의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기기에 미리 구성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클록 신호를 선택하여,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클록 신호는 비교적 적은 수량의 홉을 통해 클록 주입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되는 클록 신호일 수 있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주로 네트워크 내에 하나의 클록 주입 노드가 있는 예를 설명한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방법이 복수의 클록 주입 노드가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100)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네트워크 기기(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105))까지의 하나 이상의 클록 동기화 경로가 있을 수 있다. 복수의 클록 동기화 경로가 있는 경우, 복수의 클록 동기화 경로는 하나의 주 클록 동기화 경로 및 하나 이상의 부 클록 동기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는 경우, 클록 신호는 부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서 네트워크 기기(105)에 전송된다. 또는, 클록 신호는 복수의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서 네트워크 기기(105)에 동시에 전송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05)는 기기에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경로들 중 하나상의 클록 신호를 선택하여, 네트워크 기기(105)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정책은, 네트워크 기기에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클록 신호를 선택하여,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클록 신호는 비교적 적은 수량의 홉을 통해 클록 주입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되는 클록 신호일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110)는 네트워크(100)에서 클록 동기화가 수행될 필요가 있는 각각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경로 계산 기기(110)는 네트워크(1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는 서버와 같은 독립된 물리적 기기일 수 있다. 또는, 경로 계산 기기는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 모듈일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는 네트워크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10)는 미리 설정된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경로 계산 기기(110)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클록 동기화 경로 계산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계산된 클록 동기화 경로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기기가 네트워크(100)에 액세스한 후에 네트워크(100) 내의 각각의 네트워크 기기와 경로 계산 기기(110) 사이에 연결이 확립된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 경로 계산 기기(110)와 네트워크(100)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만 연결이 확립된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10)와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101, 102, 103, 104, 105) 각각과의 사이에 연결이 설정된다. 연결은 경로 계산 요소 통신 프로토콜(Path Computation Element Communication Protocol, PCEP)에 따라 확딜뵐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10)는 경로 계산 요소(Path Computation Element, PCE)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01, 102, 103, 104, 105) 각각은 PCEP 모델에서 경로 계산 클라이언트(Path Computation Client, PCC)일 수 있다. PCE와 PCC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해서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Request For Comments) 4655를 참조한다.
예를 들어, 동기식 이더넷 기술은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하기 위해 클록 신호를 획득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 홉 클록 동기화 노드는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물리 계층 직렬 코드 스트림으로부터 클록 신호를 추출하여, 다음 홉 클록 동기화 노드의 시스템 클록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PLL)가 다음 홉 클록 동기화 노드의 인터페이스 회로에 통합되고,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클록 신호가 위상 고정 루프의 입력 신호로서 사용되어,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클록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시스템 클록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하기 위해 클록 신호를 획득하는 방법은,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으로부터 타임스탬프를 획득하고,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시스템 클록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전기 전자 엔지니어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표준 1588과 같은, 정밀 시간 프로토콜(precision time protocol, PTP)을 참조한다.
당업자라면, 위상 고정 루프를 사용함으로써 클록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한 다음, 그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검사하고,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에 의해 생성되는 클록 신호를 네트워크 기기의 다음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전송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클록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검사하고, 그 후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을 사용하여 새로운 타임스탬프를 생성하고, 새로운 타임스탬프를 네트워크 기기의 다음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타임스탬프를 싣고 있는, 네트워크 기기의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의 다음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직접 투명하게 송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다음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전송되는 클록 신호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처리되지 않고 직접 투명하게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클록 동기화 후에 획득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로컬 시스템 클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네트워크(100) 및 네트워크(200)는 네트워크 내의 두 개의 네트워크 도메인이다. 네트워크(100)는 캐리어 네트워크 또는 캐리어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100)는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또는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캐리어 네트워크 또는 캐리어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200)는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또는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네트워크(100) 및 네트워크(200)는 모두 캐리어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도메인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100) 및 네트워크(200)는 캐리어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도메인 및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도메인일 수 있다. 네트워크(100) 및 네트워크(200)는 모두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도메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0) 및 네트워크(200)는 보더 게이트웨이 프로토콜(BGP)에 따라 정의된 두 개의 자율 시스템(AS)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수행된 분할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110)는 네트워크(100) 내의 각각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능력 및 클록 동기화 요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계산한다. 경로 계산 기기(210)는 네트워크(200) 내의 각각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능력 및 클록 동기 요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2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네트워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100)일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110)는 네트워크(1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210)는 네트워크(2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110) 및 경로 계산 기기(210)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와 개별적으로 통신한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서버와 같은 독립적인 물리 기기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 모듈일 수 있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100) 또는 네트워크(2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100) 및 네트워크(200) 외부에 위치 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한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클록 주입 노드는 클록 신호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도 1과 유사하게, 클록 소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101)는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이고, 네트워크 기기(101)는 네트워크(200) 내의 네트워크 기기(203)로부터 클록 정보를 획득한다고 가정한다. 네트워크 기기(101)는 네트워크(100) 내에 있고 네트워크(200) 내의 기기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네트워크 기기(101)는 네트워크(100)의 클록 주입 노드라고 불린다. 물론, 당업자라면 분명히 하나의 에지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네트워크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클록 주입노드로 기능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클록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100) 내에 클록 소스가 없거나 클록 소스에 직접 연결되는 기기가 없다고 가정한다.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계산하기 전에, 경로 계산 기기(110)는 먼저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네트워크(100)에 대한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여야 하고, 그 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100)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네트워크(100) 내의 다른 네트워크 기기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계산한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복수의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 및 네트워크(2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저장한다. 네트워크(1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 및 네트워크(200) 내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경로 계산 기기(110) 및 경로 계산 기기(210)에 의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각각 전송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100) 및 네트워크(200)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 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 및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들 간의 연결 관계만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100)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100) 또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을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100)에 적용한 일례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제1 네트워크 요소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05)일 수 있고, 도 3에서의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01)일 수 있다.
도 3에 제공된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은 S301 및 S3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S301 및 S302는 도 1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301.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며, 여기서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진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지원되는 클록 동기화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네트워크 요소의 포트에 관한 정보 및 네트워크 요소의 각각의 포트에 의해 지원되는 클록 동기화 프로토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에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요소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05)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105)는 포트 A, 포트 B 및 포트 C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105)는 포트 A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02)와 통신하고, 포트 B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04)와 통신하고, 포트 C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03)와 통신한다. 제1 패킷에 실린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105)가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고, 포트 A 및 포트 B가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고, 포트 C가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제1 패킷이 단순히 포트 A 및 포트 B가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를 포함한다. 다시말해,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요소가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만을 싣을 수 있고, 포트의 동기화 능력 정보를 싣지 않는다. 제1 패킷을 수신한 후, 경로 계산 기기(110)는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모든 포트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패킷은 경로 계산 요소 통신 프로토콜(PCEP) 패킷이고,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PCEP 패킷에 실린다.
S302.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도 1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110)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가능한 예에서, 경로 계산 기기(110)는 S301 전에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획득하지 않으므로, 갱신 전에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요소는 네트워크(100)에 새롭게 추가된 네트워크 기기이고,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요소와 경로 계산 기기(110) 사이에 연결이 확립된 후에 제1 시간 동안에 제1 네트워크 요소가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보고할 때 전송되는 패킷이다.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서, 경로 계산 기기(110)는 제1 네트워크 요소, 제1 네트워크 요소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 및,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와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다른 네트워크 기기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 사이의 연결 관계를 추가한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 경로 계산 기기(110)는 갱신 전의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제1 네트워크 요소 및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클록 동기화 기능을 갖는 몇몇 포트를 추가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에서, 원래 클록 동기화 기능을 가진 일부 포트가 어떤 포트 결함으로 인해 클록 동기화 기능을 상실하거나, 원래 클록 동기화 기능이 없는 일부 포트가 서비스 요건으로 인해 클록 동기화 기능을 인에이블하면,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패킷을 경로 계산 기기(110)에 전송한다. 경로 계산 기기(110)는 제1 네트워크 요소가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10)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로부터,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더 이상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지지 않는 포트 및 그 포트와의 연결 관계를 삭제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원래 클록 동기화 기능을 갖지 않지만 클록 동기화 기능을 인에이블한 포트 및 그 포트와의 연결 관계를 추가한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 경로 계산 기기(110)는 갱신 전의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제1 네트워크 요소 및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클록 동기화 기능을 갖는 여러 포트를 추가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내의 원래 클록 동기화 기능을 갖는 포트가 어떤 이유로 인해 클록 동기화 기능을 상실하거나, 또는 원래 클록 동기화 기능을 갖는 포트가 서비스 요건으로 인해 클록 동기화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면,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패킷을 경로 계산 기기(110)에 전송한다. 경로 계산 기기(110)는 제1 네트워크 요소가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10)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로부터 제1 네트워크 요소를 삭제한다.
당업자라면 경로 계산 기기가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가 물리 링크를 포함하는 토폴로지인 경우, 경로 계산 기기는 제1 네트워크의 물리 토폴로지 정보를 더 획득할 필요가 있다. 물리 토폴로지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의 물리 포트 및 물리 포트와 다른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물리 포트 사이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가 논리 링크를 포함하는 토폴로지인 경우, 경로 계산 기기는 추가로 제1 네트워크의 논리 토폴로지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논리 토폴로지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의 논리 포트, 및 논리 포트와 다른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 확립된 논리 링크 사이의 관계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토폴로지 정보는 경로 계산 기기에 미리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경로 계산 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토폴로지 정보가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경로 계산 기기에 전송되는 경우, 토폴로지 정보는 제1 패킷에 실려 전달될 수 있거나, 다른 패킷에 실려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S303: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리지에 기초하여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S303은 네트워크(100) 내의 경로 계산 기기(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는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의 계산 정책을 결정한다. 계산 정책은 경로 계산 기기에 미리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경로 계산 기기에 전송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기에 의해 경로 계산 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 제어기는 도 2에서의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정책은 점대다점(point-to-multipoint, P2MP)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 라벨 스위치드 경로(traffic engineering label switched path, TE LSP)의 경로 계산 정책 또는 일반화된 멀티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G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 라벨 스위치는 경로(TE LSP)의 경로 계산 정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10)는 네트워크 기기(101)와 같은 네트워크(100)의 클록 주입 노드를 TE LSP의 입구 노드로서 사용하고, 네트워크 기기(105)와 같은 제1 네트워크 요소를 TE LSP의 출구 노드로서 사용하여, 경로 계산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경로 계산 방법에 대해서는 RFC 6006의 설명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정책은,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최단 경로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의 네트워크 기기(101, 102, 103, 104 105) 각각은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를 포함하고, 도 1에서 경로: 네트워크 기기(101) → 네트워크 기기(102) → 네트워크 기기(105)가 최단 경로이다. 따라서, 경로 계산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105)의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가 네트워크 기기(102)라고 결정하고, 네트워크 기기(105)는 포트 A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02)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한 후, 경로 계산 기기는 제1 명령 정보를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한다. 제1 명령 정보는 클록 동기화 경로상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하도록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경로 계산 기기는 추가로 제2 명령 정보를, 클록 동기화 경로상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명령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에 클록 신호를 전송하도록, 클록 동기화 경로상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100)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100) 또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을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100)에 적용한 예를 설명을 위해 사용한다. 도 4에서의 제1 네트워크 요소는 도 1에서의 네트워크 기기(105)일 수 있다. 도 4에서의 단계들은 도 1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은 S401 및 S402를 포함한다.
S401.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며, 여기서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패킷은 경로 계산 요소 프로토콜(PCEP) 패킷이다.
S402.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가 클록 주입 노드와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클록 주입 노드 및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 및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들 간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경로 계산 기기(110)에 미리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경로 계산 기기(110)가 도 3에 도시된 방식으로 네트워크(100)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획득한 후에 생성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지므로,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더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로부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경로 계산 정책은 도 3에서 S303의 경로 계산 정책과 동일할 수 있다.
가능한 예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는 S401 이전의 임의의 클록 동기화 경로 상에 없고,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계산하도록 경로 계산 기기(110)에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는 S401 전에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 있고, 제1 패킷은 추가로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상의 클록 주입 노드는 네트워크 기기(101)이고, 네트워크 기기(101)는 네트워크 기기(102)에 클록 신호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기기(102)는 네트워크 기기(105)의 포트 A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05)에 클록 신호를 전송한다.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다는 것은, 제1 네트워크 요소가 제2 클록 동기화 경로가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정확한 클록 신호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검출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요소가 로컬 시스템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신호이 열화되었다는 것을 검출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다는 것은,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상의 제1 네트워크 요소 이외의 네트워크 기기에 결합이 있거나, 두 네트워크 기기들 간 링크에 결함이 있거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포트 A에 결함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포트 A에 결함이 있다는 것은, 포트 A가 클록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거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포트 A가 클록 신호를 수신한 후에 포트 A의 보드가 클록 신호를 정상적으로 처리 할 수 없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401에서의 제1 패킷이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실고 있는 경우, S402에서 결정된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는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 없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10)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가 네트워크 기기(105)의 포트 B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기초하여, 제1 클록 동기화 경로가 동기화 경로: 네트워크 기기(101) → 네트워크 기기(103) → 네트워크 기기(104) → 네트워크 기기(105)의 포트 B인 것으로 결정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의 방법의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의 방법에서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는 도 2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110)일 수 있고, 도 5에서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는 도 2에서의 네트워크 기기(101)일 수 있다. 이 방법은 S501 및 S502를 포함한다.
S501.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며, 여기서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의 구체적인 유형은 도 2의 S301에서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동기화 능력 정보의 구체적인 유형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패킷은 경로 계산 요소 프로토콜(PCEP) 패킷이다.
가능한 예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이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10)는 제1 네트워크 내의 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만을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전송하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전송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10)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제1 네트워크 내의 모든 네트워크 기기 또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모든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전송한다.
S502.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저장될 수 있다.
가능한 예에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복수의 네트워크 각각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것이고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 및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들 간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복수의 네트워크 각각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 복수의 네트워크 각각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 클록 동기화 기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것이고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 및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들 간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예에서, S501 전에,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제1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획득하지 않으므로, 갱신 전의 네트워크 간 클록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 갱신 전의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거나, 제1 네트워크 내의 에지 네트워크 기기만을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가 변경되기 때문에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는 S501에서 제1 패킷을 전송한다.
당업자라면 경로 계산 기기가 추가로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가 물리 링크를 포함하는 토폴로지인 경우, 경로 계산 기기는 추가로 제1 네트워크의 물리 토폴로지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물리 토폴로지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의 물리 포트 및 물리 포트와 다른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물리 포트 사이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가 논리 링크를 포함하는 토폴로지인 경우, 경로 계산 기기는 추가로 제1 네트워크의 논리 토폴로지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논리 토폴로지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의 논리 포트 및 논리 포트와 다른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 확립된 논리 링크들 간의 관계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토폴로지 정보는 경로 계산 기기에 미리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경로 계산 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토폴로지 정보가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경로 계산 기기에 전송되는 경우, 토폴로지 정보는 제1 패킷에 실려 전달되거나, 다른 패킷에 실려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2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 및 제1 네트워크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제2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S503: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는 제2 에지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거나, 제1 네트워크의 다른 에지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가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 위치한 에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는 제2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이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2 에지 네트워크 기기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는 도 2에서의 네트워크(200)이고, 제1 네트워크는 도 2에서의 네트워크(100)이다. 제2 에지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101)이고, 제3 에지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203)이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가, 네트워크 기기(101)가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인 것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도 6에서의 구체적인 구현일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S601, S602 및 S603을 포함한다. 이 방법의 단계들은 도 2에서의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601.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며, 여기서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는 도 2에서의 네트워크(100)일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는 경로 계산 기기(110)일 수 있다. 네트워크(100) 내에 클록 소스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110)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제1 패킷을 전송하여,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에 대한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요청한다.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는 제1 네트워크 외부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킷은 경로 계산 요소 프로토콜(PCEP) 패킷이다.
S602.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제1 네트워크의 제1 클록 주입 노드로 결정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 및 제2 네트워크의 제2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의 업스트림 네트워크이다.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한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예: 네트워크(1))의 클록 주입 노드가 다른 네트워크 (예: 네트워크(2)) 내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하면, 네트워크(1)을 네트워크(2)의 다운스트림 네트워크라고 하고, 네트워크(2)를 네트워크(1)의 업스트림 네트워크라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한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는 경우, 먼저 업스트림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계산 한 다음, 다운스트림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계산한다. 일례에서, 네트워크들 간의 업스트림-다운스트림 관계는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서 미리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네트워크들 사이의 업스트림-다운스트림 관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계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의해 계산된다. 이 방법에서, 각각의 네트워크가 노드로서 사용되고, 클록 소스가 있는 네트워크가 클록 주입 노드로서 사용되며, 하나의 네트워크 내의 에지 네트워크 기기가 다른 네트워크 내의 에지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네트워크는 상호 연결된 노드로서 사용된다.
가능한 예에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복수의 네트워크 각각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것이고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 및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들 간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복수의 네트워크 각각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 복수의 네트워크 각각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것이고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 및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포트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들 간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클록 소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록 소스는 제2 네트워크에 위치할 수 있거나,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에 의해 결정되고 S602 전에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록될 수 있다.
S603. 제2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클록 주입 노드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한다.
가능한 예에서, S602에서 설명 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내의 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토폴로지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도 2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네트워크(200)의 클록 주입 노드, 즉 네트워크 기기(201), 및 네트워크(200) 내의 에지 네트워크 기기(202) 및 에지 네트워크 기기(203)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네트워크(100) 내의 에지 기기,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101) 및 네트워크 기기(102)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간 동기화 토폴로지에서, 네트워크 기기(101)는 네트워크 기기(203)에 연결되고, 네트워크 기기(102)는 네트워크 기기(202)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네트워크 내부에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200)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에지 네트워크 기기(202) 또는 에지 네트워크 기기(203)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직접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경로 계산 기기(210)에 조회 패킷을 전송하고, 네트워크 기기(201)로부터 네트워크 기기(202)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 또는 네트워크 기기(201)로부터 네트워크 기기(203)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가, 네트워크 기기(201)에서 네트워크 기기(202)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가 존재하고 네트워크 기기(201)에서 네트워크 기기(203)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 기기(101) 또는 네트워크 기기(102)를 네트워크(100)의 클록 주입 노드로서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 기기(101)와 네트워크 기기(102) 중에서, 네트워크 기기(201)까지 비교적 적은 수량의 홉을 갖는 네트워크 기기를 네트워크(100)의 클록 주입 노드로서 결정한다. 경로 계산 기기(210)가 네트워크 기기(201)로부터 네트워크 기기(202)로의 클록 동기화 경로가 없고, 네트워크 기기(201)로부터 네트워크 기기(203)로의 클록 동기화 경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 기기(203)에 연결된 네트워크 기기(101)를 네트워크(100)의 클록 주입 노드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의해 네트워크(100)의 제1 클록 주입 노드 (네트워크(101))에 대해 결정되는 클록 동기화 경로는 네트워크 기기(201)에서 네트워크 기기(203)까지 및 네트워크 기기(203)에서 네트워크 기기(101)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포함한다. 두 클록 동기화 경로는 모두 경로 계산 기기(210)에 의해 계산된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210)는 네트워크 기기(201)에서 네트워크 기기(203)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상의 구체적인 네트워크 기기를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보고할 수 있다. 또는 경로 계산 기기(210)는 네트워크 기기(201)에서 네트워크 기기(203)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 및 클록 동기화 경로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고, 클록 동기화 경로의 식별자만을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S60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내의 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토폴로지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내의 비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클록 토폴로지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는 전술한 예에서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 및 경로 계산 기기(210)에 의해 사용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S602 및 S603을 구현한다.
당업자라면 S602 및 S603이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는,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로서 결정한 후, 제1 명령 정보를 제1 경로 계산 기기에 전송한다. 제1 명령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에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제1 네트워크의 제1 클록 주입 노드로서 사용하도록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1 명령 정보는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의 이전 홉 클록 동기화 경로 노드의 네트워크 기기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는 제2 명령 정보를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한다. 제2 명령 정보는 이전 홉 클록 동기화 경로 노드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하도록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제3 클록 주입 노드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제3 클록 주입 노드와 제1 클록 주입 노드는 상이한 에지 네트워크 기기이다. 구체적으로, S601에서 제1 패킷은 추가로 제1 네트워크에 대한 제3 클록 주입 노드와 다른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로서 결정하도록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예에서,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는 제3 클록 주입 노드의 다운스트림 노드에 의해 보고되는 경보 정보를 수신하고, 제3 클록 주입 노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기기에 제공되는 클록 신호의 성능이 열화되거나, 제3 클록 주입 노드가 다른 네트워크 기기에 정확한 클록 신호를 제공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1 패킷을 전송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다시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는 제3 클록 주입 노드에 의해 보고되는 경보 정보를 수신하고, 제3 클록 주입 노드에 의해 제3 클록 주입 노드의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클록 신호의 성능이 열화되거나 비정상적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패킷을 전송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다시 결정하도록 요청한다.
또 다른 가능한 예에서,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 있고 제1 네트워크에 있는 네트워크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의 이전 홉 클록 동기화 노드에 결함이 있는 것을 검출하고, 동기화 경로를 다시 계산하도록 제1 네트워크의 경로 계산 기기에 요청한다.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는 제3 클록 주입 노드를 사용하여 재계산을 통해 새로운 동기화 경로를 획득할 수 없거나 새로운 동기화 경로가 과도한 홉을 갖는다고 결정한다. 따라서,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에 제1 패킷을 전송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재결정하거나 새로운 클록 주입 노드를 제1 네트워크에 추가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102)는 제3 클록 주입 노드이고, 네트워크 기기(105)는 포트 A로부터 클록 신호를 획득한다. 네트워크 기기(105)의 포트 A에는 결함이 있다. 경로 계산 기기(110)는 네트워크 기기(105)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재계산하도록 요청받는다. 네트워크 기기(102)가 클록 주입 노드로서 사용되는 경우, 경로 계산 기기(110)는 다른 가능한 클록 동기화 경로,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02) → 네트워크 기기(101) → 네트워크 기기(103) → 네트워크 기기(104) → 네트워크 기기(105)가 과도한 홉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에 제1 패킷을 전송한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는 네트워크(100)의 클록 주입 노드를 네트워크 기기(101)로 변경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계산 기기(700)는 수신 유닛(701) 및 갱신 유닛(702)를 포함한다.
수신 유닛(701)은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다. 수신 유닛(70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일 수 있다.
갱신 유닛(702)은 수신 유닛(701)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경로 계산 기기(700)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결정 유닛은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경로 계산 기기(7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적용되어, 경로 계산 기기(110) 또는 경로 계산 기기(210)의 기능을 구현한다. 경로 계산 기기(700)는 도 3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도 3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경로 계산 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다른 부가 기능 및 다른 기기와의 상호작용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3의 방법 실시예의 경로 계산 기기의 설명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계산 기기(8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 메모리(802) 및 프로세서(80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800)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또는 경로 계산 기기(800)는 라우터의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일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라우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는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FDDI) 또는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는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wireless local area)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메모리(802)는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802)로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및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803)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LD는 복잡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일반적인 어레이 로직(generic array logic, GA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2)는 프로세서(803)에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802) 및 프로세서(803)가 서로 독립적인 부품인 경우, 메모리(802)는 프로세서(803)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802)와 프로세서는 버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와 프로세서(803)는 버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는 프로세서(80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작업 - 여기서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짐 -; 및
메모리(802) 내의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 및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803)는 또한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800) 및 도 7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700)는 동일한 장치, 예를 들어 도 3의 방법의 실행 엔티티일 수 있다. 도 8은 물리적인 관점에서 경로 계산 기기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하고, 도 7은 논리적 관점에서 경로 계산 기기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수신 유닛(701)은 도 8에 도시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갱신 유닛(702)은 도 8에 도시된 메모리(802) 및 프로세서(8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계산 기기(900)는 수신 유닛(901) 및 결정 유닛(902)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901)은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다.
결정 유닛(902)은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클록 주입 노드 및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패킷은 또한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2 클록 동기화 경로는 제1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 없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경로 계산 기기(9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적용되어, 경로 계산 기기(11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900)는 도 4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도 4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다른 부가 기능 및 다른 기기와의 상호작용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4의 방법 실시예의 경로 계산 기기의 설명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계산 기기(10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 메모리(1002) 및 프로세서(100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000)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1000)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라우터의 하드웨어 모듈일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라우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는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FDDI) 또는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는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메모리(1002)로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003)는 중앙 처리 장치(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P), 주문형 반도체(ASIC)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LD는 복잡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C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일반적인 어레이 로직(GA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02)는 프로세서(1003)에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1002) 및 프로세서(1003)가 서로 독립적인 부품인 경우, 메모리(1002)는 프로세서(1003)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1002)와 프로세서(1003)는 버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와 프로세서(1003)는 버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는 프로세서(100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03)는 메모리(1002)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작업 - 여기서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짐 -; 및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작업 - 여기서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클록 주입 노드 및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함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패킷은 또한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2 클록 동기화 경로는 제1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 없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1000) 및 도 9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900)는 동일한 장치, 예를 들어 도 4의 방법의 실행 엔티티일 수 있다. 도 10은 물리적인 관점에서 경로 계산 기기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하고, 도 9은 논리적 관점에서 경로 계산 기기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수신 유닛(901)은 도 10에 도시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결정 유닛(902)은 도 10에 도시된 메모리(1002) 및 프로세서(10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100)는 수신 유닛(1101) 및 갱신 유닛(1102)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1101)은 제1 네트워크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갱신 유닛(1102)은 수신 유닛(1101)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이다.
선택적으로,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2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 및 제1 네트워크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제2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더 포함한다. 경로 계산 기기(1100)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결정 유닛은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100)는 도 2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적용되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110)는 도 5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어, 도 5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다른 부가 기능 및 다른 기기와의 상호 작용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5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설명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1), 메모리(1202) 및 프로세서(120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200)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경로 계산 기기(1200)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라우터의 하드웨어 모듈일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라우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1)는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FDDI) 또는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는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202)로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3)는 중앙 처리 장치(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P), 주문형 반도체(ASIC)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LD는 복잡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C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일반적인 어레이 로직(GA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2)는 프로세서(1203)에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1202) 및 프로세서(1203)가 서로 독립적인 부품인 경우, 메모리(1202)는 프로세서(1203)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2)와 프로세서(1203)는 버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1)와 프로세서(1203)는 버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1)는 프로세서(120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1)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 내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작업 -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함 -; 및
메모리(1201) 내의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 및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202)는 또한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이다.
선택적으로,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2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 및 제1 네트워크 내의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제2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1203)는 추가로, 갱신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1200) 및 도 11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1100)는 동일한 장치, 예를 들어 도 5의 방법의 실행 엔티티일 수 있다. 도 12은 물리적인 관점에서 경로 계산 기기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하고, 도 11은 논리적 관점에서 경로 계산 기기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수신 유닛(1101)은 도 12에 도시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결정 유닛(1102)은 도 12에 도시된 메모리(1202) 및 프로세서(12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300)는 수신 유닛(1301)과 결정 유닛(1302)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1301)은 제1 네트워크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결정 유닛(1302)은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제1 네트워크의 제1 클록 주입 노드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 및 제2 네트워크의 제2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의 업스트림 네트워크이다.
결정 유닛(1302)은 추가로, 제2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클록 주입 노드로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의 제3 클록 주입 노드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제3 클록 주입 노드와 제1 클록 주입 노드는 상이한 에지 네트워크 기기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300)는 도 2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적용되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23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300)는 도 6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어, 도 6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다른 부가 기능 및 다른 기기와의 상호 작용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6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설명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간 경로 계산 기기(14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1), 메모리(1402) 및 프로세서(140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경로 계산 기기(1400)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또는 경로 계산 기기(1400)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라우터의 하드웨어 모듈일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라우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1)는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FDDI) 또는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는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메모리(1402)는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402)로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403)는 중앙 처리 장치(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P), 주문형 반도체(ASIC)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LD는 복잡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C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일반적인 어레이 로직(GA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2)는 프로세서(1403)에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1402) 및 프로세서(1403)가 서로 독립적인 부품인 경우, 메모리(1402)는 프로세서(1403)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2)와 프로세서(1403)는 버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1)와 프로세서(1403)는 버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1)는 프로세서(140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1)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의 경로 계산 기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작업 - 여기서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를 제1 네트워크의 제1 클록 주입 노드로서 결정하는 작업 - 여기서 네트워크 간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제1 에지 네트워크 기기 및 제2 네트워크의 제2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의 업스트림 네트워크임 -; 및
제2 클록 주입 노드에서 제1 클록 주입 노드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패킷은 제1 네트워크의 제3 클록 주입 노드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제3 클록 주입 노드와 제1 클록 주입 노드는 상이한 에지 네트워크 기기이다.
도 14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1400) 및 도 13에 도시된 경로 계산 기기(1300)는 동일한 장치, 예를 들어 도 6에서의 방법의 실행 엔티티일 수 있다. 도 14는 물리적인 관점에서 경로 계산 기기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하고, 도 13은 논리적 관점에서 경로 계산 기기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수신 유닛(1301)은 도 14에 도시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결정 유닛(1302)은 도 14에 도시된 메모리(1402) 및 프로세서(14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는 모두 점진적으로 설명되었다. 실시예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들 실시예를 참조한다. 각각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시스템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에서의 부분 설명을 참조한다.
방법 실시예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 단계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방안에 여전히 수정을 가할 수 있거나 또는 그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동등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30)

  1.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짐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클록 주입 노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킷은 추가로, 상기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2 클록 동기화 경로는 상기 제1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 없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수신 유닛 및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경로 계산 기기로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가지며;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1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클록 주입 노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킷은 추가로, 상기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제2 클록 동기화 경로에 결함이 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2 클록 동기화 경로는 상기 제1 클록 동기화 경로상에 없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경로 계산 기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계산 기기는 갱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2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 내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갱신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클록 동기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경로 계산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클록 주입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갱신된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클록 주입 노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까지의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경로 계산 기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87029565A 2016-03-18 2017-02-28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KR10220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1440A KR102503516B1 (ko) 2016-03-18 2017-02-28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161046.0A CN107204928B (zh) 2016-03-18 2016-03-18 更新时钟同步拓扑的方法、确定时钟同步路径的方法及设备
CN201610161046.0 2016-03-18
PCT/CN2017/075252 WO2017157170A1 (zh) 2016-03-18 2017-02-28 更新时钟同步拓扑的方法、确定时钟同步路径的方法及设备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440A Division KR102503516B1 (ko) 2016-03-18 2017-02-28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688A KR20180122688A (ko) 2018-11-13
KR102205992B1 true KR102205992B1 (ko) 2021-01-20

Family

ID=598501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440A KR102503516B1 (ko) 2016-03-18 2017-02-28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KR1020187029565A KR102205992B1 (ko) 2016-03-18 2017-02-28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440A KR102503516B1 (ko) 2016-03-18 2017-02-28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2884B2 (ko)
EP (1) EP3419230B1 (ko)
JP (2) JP6750027B2 (ko)
KR (2) KR102503516B1 (ko)
CN (2) CN107204928B (ko)
WO (1) WO2017157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4928B (zh) * 2016-03-18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更新时钟同步拓扑的方法、确定时钟同步路径的方法及设备
JP7283069B2 (ja) * 2018-12-17 2023-05-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時刻同期経路選択装置、および、時刻同期経路選択方法
CN116193566A (zh) * 2019-04-30 2023-05-3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调度及信息发送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WO2020236164A1 (en) 2019-05-22 2020-11-26 Vit Tall Llc Multi-clock synchronization in power grids
US11070348B1 (en) * 2019-12-16 2021-07-20 Facebook, Inc. Time synchronization of a wireless network
CN114342489B (zh) * 2020-08-12 2023-03-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终端设备及用户面网元
CN114258125A (zh) * 2020-09-25 2022-03-29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时间同步故障的方法、装置及系统
CN113015236B (zh) * 2021-02-03 2023-05-05 北京方天鸿瑞科技有限公司 一种自下而上的时钟同步方法及装置
CN115767607A (zh) * 2021-09-02 2023-03-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间同步的监控方法
KR102372324B1 (ko) * 2021-11-23 2022-03-10 (주) 시스메이트 Ptp 동기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이종 ptp 동기 정보를 정밀하게 획득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구조와 클럭 동기화 방법
CN114448792B (zh) * 2022-01-04 2023-09-26 武汉烽火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配置变更自动维护时钟同步网的方法与装置
CN114938345B (zh) * 2022-06-07 2023-09-2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链路发现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2476A1 (zh) * 2014-05-16 2015-1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同步方法、控制器、同步节点及同步网络、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7423A (ja) * 1990-06-26 1992-02-25 Fujitsu Ltd クロックトポロジ−変更機能を有するデ−タ伝送ネットワ−ク
CA2091962A1 (en) * 1992-03-31 1993-10-01 Mark L. Witsaman Clock synchronization system
US6418151B1 (en) * 1997-03-05 2002-07-09 Lucent Technologies Inc. Automatic primary reference clock switching for synchronous networks
US6023769A (en) * 1998-09-17 2000-02-08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n imprecise time clock maintained by a computer system
US6311283B1 (en) * 1998-09-17 2001-10-30 Apple Computer, Inc. Need based synchronization of computer system time clock to reduce loading on network server
US6665316B1 (en) * 1998-09-29 2003-12-16 Agilent Technologies, Inc. Organization of time synchroniz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US6894975B1 (en) * 2000-01-15 2005-05-17 Andrzej Partyka Synchronization and access of the nod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711411B1 (en) * 2000-11-07 2004-03-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synchronization network
US6975653B2 (en) * 2001-06-12 2005-12-13 Agilent Technologies, Inc. Synchronizing clocks across sub-nets
AUPR863401A0 (en) * 2001-11-02 2001-11-29 Qx Corporation Pty Ltd A method & device for precision time-lock
US7613212B1 (en) * 2003-06-10 2009-11-03 Atrica Israel Ltd. Centralized clock synchronization for time division multiplexed traffic transported over Ethernet networks
CN1770701A (zh) * 2004-11-03 2006-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Mesh网中时钟跟踪的实现方法
US20070064851A1 (en) * 2005-09-02 2007-03-22 Sbc Knowledge Ventures Lp Method for synchronizing a customer edge router or customer premise equipment associated therewith
US20070177605A1 (en) * 2006-01-30 2007-08-02 Benco David S Method for utilizing a backup timing source when GPS becomes nonfunctional
US8125930B2 (en) * 2006-12-13 2012-02-28 Rockstar Bidco Lp Protocol for clock distribution and loop resolution
US7660333B2 (en) * 2007-03-12 2010-02-09 Tellabs Petalum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mpensating for jitter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923141B2 (en) * 2007-03-16 2014-12-30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clock synchronization in a network
CN101286835B (zh) * 2007-04-11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钟跟踪的方法、装置及网元设备
CN101309122B (zh) * 2007-05-17 2013-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时钟跟踪关系建立方法及时钟跟踪关系计算装置
US9467958B2 (en) * 2007-08-23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temporary loss of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136738A (zh) * 2007-10-08 2008-03-05 中控科技集团有限公司 网络时钟同步方法、装置及系统
CN101471853B (zh) * 2007-12-29 2012-0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路由计算方法、单元及系统
RU2511605C2 (ru) * 2008-03-12 2014-04-1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витирования состояния линии связ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цикливания
US8473638B2 (en) * 2008-05-02 2013-06-25 James Aweya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and frequency transfer in communication networks
EP2228926B1 (en) 2009-03-12 2017-08-30 Alcatel Lucent Method for synchronizing clocks by seperated transmissions of first and second data via at least one timing distribution protocol, and associated system and module
CN102714559B (zh) 2009-11-19 2018-01-1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同步网络的配置
CN102082652B (zh) * 2009-11-26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获取网络时钟拓扑结构的方法、装置和系统
EP2333993B1 (en) * 2009-12-09 2013-02-13 Alcatel Lucent Automatic management of timestamp-based synchronisation protocols
CN101820355B (zh) * 2010-01-20 2012-03-28 瑞斯康达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获取网络拓扑的方法和网元
EP2367309B1 (en) * 2010-02-10 2016-07-13 Alcatel Lucent Method for detecting a synchronization failure of a transparent clock and related protection schemes
CN102468898B (zh) * 2010-11-19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在时分复用网络中实现时间同步的方法、设备和系统
JP2015507404A (ja) * 2012-01-02 2015-03-05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少なくとも2つのドメインを横切ってデータを搬送する方法及び装置
CN103856360B (zh) * 2012-11-28 2019-0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同步链路故障检测方法及装置
WO2014169458A1 (en) * 2013-04-18 2014-10-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ode and method for selecting synchronization source
JP5826877B2 (ja) * 2014-03-14 2015-12-02 株式会社東芝 クロック同期管理装置、クロック同期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986049B2 (en) * 2014-06-27 2018-05-29 Agora L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on of a best server for real-time packet transmission
CN104092528B (zh) * 2014-07-14 2017-06-06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时钟同步方法和装置
CN105634714A (zh) 2014-10-28 2016-06-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跨域时钟同步方法、装置和系统
CN107204928B (zh) * 2016-03-18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更新时钟同步拓扑的方法、确定时钟同步路径的方法及设备
CN108023657B (zh) * 2016-11-01 2019-05-17 上海东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时钟同步方法及时钟同步的控制装置
EP3382918B1 (en) * 2017-03-30 2022-09-28 ADVA Optical Networking SE System and method of clock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2476A1 (zh) * 2014-05-16 2015-1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同步方法、控制器、同步节点及同步网络、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940A (ko) 2021-01-25
JP2020205593A (ja) 2020-12-24
US20190020463A1 (en) 2019-01-17
JP6750027B2 (ja) 2020-09-02
EP3419230A4 (en) 2019-05-01
CN113472669B (zh) 2022-09-16
KR102503516B1 (ko) 2023-02-23
CN107204928A (zh) 2017-09-26
JP2019508986A (ja) 2019-03-28
JP7051952B2 (ja) 2022-04-11
US10892884B2 (en) 2021-01-12
CN113472669A (zh) 2021-10-01
CN107204928B (zh) 2021-06-08
WO2017157170A1 (zh) 2017-09-21
EP3419230A1 (en) 2018-12-26
EP3419230B1 (en) 2023-04-05
KR20180122688A (ko)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992B1 (ko) 클록 동기화 토폴로지를 갱신하는 방법, 클록 동기화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기기
US10790921B2 (en) Configuration of synchronisation network
KR102606598B1 (ko)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플러딩 최소화
US10516478B2 (en) Controller based path estimation and path provisioning using optical impairment data
US9838246B1 (en) Micro-loop prevention using source packet routing
US9819541B2 (en) PTP over IP in a network topology with clock redundancy for better PTP accuracy and stability
US9998247B1 (en) Controller-based network device timing synchronization
JP5480977B2 (ja) 時刻同期および周波数同期のための同期トレイルを有する同期ネットワーク構成
EP3427448B1 (en) Pcep extension for pcecc support of distributed computing, multiple services, and inter-domain routing
US20080205294A1 (en) Synchronis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3295623B1 (en) Transport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zero configuration adjacency via packet snooping
EP3419228B1 (en) Service path establishment method, node device, and system
KR20220003611A (ko)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2174963A1 (zh) Ptp lsp的选取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