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924B1 - 신속 분리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갖춘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속 분리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갖춘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924B1
KR102205924B1 KR1020187031931A KR20187031931A KR102205924B1 KR 102205924 B1 KR102205924 B1 KR 102205924B1 KR 1020187031931 A KR1020187031931 A KR 1020187031931A KR 20187031931 A KR20187031931 A KR 20187031931A KR 102205924 B1 KR102205924 B1 KR 10220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lug
connection system
receptacle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143A (ko
Inventor
아우구스투 반조
Original Assignee
라디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디알 filed Critical 라디알
Publication of KR2018012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연결 시스템으로서: 플러그 및 수용부를 형성하는 2개의 시스템 요소,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록킹 장치는 · 플러그 또는 수용부 주위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장착되는 록킹 너트, · 록킹 너트 내로 배열되는 록킹 핀을 포함하고, 록킹 핀은, 플러그와 수용부가 상호 연결될 때 플러그를 수용부에 기계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해서 플러그와 수용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 운동 및 록킹 너트의 회전에 의해서, 수용부 또는 플러그 내에 제공된 록킹 램프 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호 연결의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록킹 너트의 활주 부분에 인가되는 당김력이 록킹 핀을 록킹 램프로부터 결합-해제시켜, 플러그가 수용부로부터 록킹-해제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록킹 핀이 배열된다.

Description

신속 분리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갖춘 연결 시스템
본 발명은, 플러그 및 수용부가 상호 연결 구성에 있을 때 플러그를 수용부에 기계적으로 록킹하기에 적합한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갖춘, 플러그 및 수용부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적용예는, 전형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전기 및/또는 광학적 연결에 따라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인, 복수의 독립적인 콘택 또는 콘택의 연결 모듈, 많은 수의 4 또는 7개의 콘택, 또는 콘택의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전기 연결 시스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유일하지 않게, 고전류 및/또는 고전력이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에 의해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적으로, 특히 철도 및 롤링 차량(rolling vehicle)을 위한 그리고 항공 또는 군사 또는 로봇 적용예를 위한, 실외 적용예에서의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특히,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가 당기는 외부 힘의 특이적(unique) 실시로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는 연결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호 연결되는 플러그 및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시스템 분야에서, 플러그와 수용부가 상호 연결될 때 플러그를 수용부에 기계적으로 록킹시킬 수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록킹 장치 중에서, 베이요넷-유형의 장치가 널리 퍼져 있는데, 이는 그러한 장치가 효과적이며, 용이하고 신속한 수동 록킹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품을 주어진 방향, 일반적으로 시계 방향을 따른 나선형 이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록킹 핀이 록킹 나선형 램프(locking helical ramp)(슬롯) 내로 결합된다.
플러그를 수용부로부터 언커플링(uncoupling)시키기 위해서, 그러한 부품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결 시스템을 언커플링시키는 이러한 방식은, 사람이 개입하든 하지 않든 간에, 연결 시스템의 신속 분리가 요구되는 적용예에서, 예를 들어 비상의 경우에 적절하지 않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하나의 축방향으로 인가된 외부의 힘에만 의존하는 신속 해제 메커니즘이 이미 제안되었다. 게다가, 사용자는, 신속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서 축방향으로 지향된 외부의 힘을 인가하기 위해서 연결 시스템의 플러그에 부착된 케이블 또는 끈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가장 오래된 신속 분리 시스템의 주요 단점은, 메커니즘이 복잡한 설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US 4702537 특허는 베이요넷 록킹 장치와 양립될 수 있는 신속 분리를 위한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모든 구성요소가 높은 정밀도로 제조될 것을 요구하고, 제1 커플링 링 내로 장착되는 램프 스프링 요소와 같은, 중요한 많은 수의 특정 단편들을 조립하는 것이 복잡하며, 이는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그에 따라, 플러그와 수용부 사이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리를 허용하기 위해서, 특히 설계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게, 그리고 제조 비용이 감소되게,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을 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길이방향 축(X)의 연결 시스템이며, 그러한 연결 시스템은:
- 플러그를 형성하는 제1 시스템 요소 및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2 시스템 요소,
- 플러그 및 수용부 중 하나의 주위에 적어도 자유롭게 회전되게 장착된 록킹 너트, 록킹 너트 내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을 포함하는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은, 플러그와 수용부가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상호 연결될 때 플러그를 수용부에 기계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해서 록킹 너트를 병진운동 및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용부 및 플러그 중 하나 내에 제공된 록킹 램프 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길이방향 축(X)을 따른 상호 연결의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록킹 너트의 활주 부분에 인가되는 당김력(P)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을 록킹 램프로부터 결합-해제시키도록 하여, 그에 의해서 플러그가 수용부로부터 록킹-해제될 수 있게 하고, 이어서 상호 분리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이 배열된다.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핀(스터드)과 램프(슬롯)의 협력에 의해서 작용하고, 손으로 록킹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도구를 이용할 어떠한 필요성도 없이 수동으로 구현될 수 있는 록킹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베이요넷 록킹 장치는 통상 신속 록킹 장치로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로, 록킹 너트의 활주 부분 상에 인가된 당김 외부 힘의 특이적 영향 하에서 상응하는 록킹 램프(들)로부터 탄성적으로 결합-해제될 수 있는 록킹 핀(들)을 규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US 4702537 특허에 따른 분리 메커니즘과 달리, 본 발명은, 록킹 핀을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특허의 주변 램프 스프링 요소와 같은, 중간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이요넷 록킹 장치는, US 4702537 특허에 따른 분리 시스템에 비해서, 제조 및 조립이 더 단순하다.
유리한 변형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의 하부 부분의 단면은 절두원추형 형상이고, 록킹 램프의 단면의 절두원추형 형상에 상보적이다.
바람직하게, 연결 시스템은 록킹 너트의 주변부에서 서로에 대해 120°로 분포된 3개의 록킹 핀을 포함하고, 플러그 및 수용부 중 하나의 본체는 서로에 대해서 120°로 분포된 동일한 형상의 3개의 록킹 램프를 포함하고, 록킹 핀들 중 임의의 록킹 핀은 램프들 중 임의의 램프와 협력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록킹 너트는 내부 쉘(shell), 및 미리 결정된 경로 상에서 내부 쉘 주위에 활주 장착되는 외부 쉘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은 내부 쉘의 개구부 내로 장착되고 가요성 스트립의 자유 단부에 부착되며, 가요성 스트립의 타 단부는 내부 쉘에 부착되며, 그들의 상호 연결 및 록킹 구성에서, 외부 쉘은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을 둘러싼다.
유리한 변형예에서, 시스템은, 내부 쉘 내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핀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핀은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각각의 가요성 스트립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스트립은, 본 발명에 따른 당김력의 인가 중에 록킹 핀의 어떠한 측방향 이동도 방지한다.
다른 유리한 변형예에서, 시스템은 내부 쉘과 외부 쉘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형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요소는, 당김력이 상기 외부 쉘에 인가되지 않을 때,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을 둘러싸는 외부 쉘의 위치로 외부 쉘을 도로 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링 요소는, 당김력이 싱기 외부 쉘에 인가되지 않을 때,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을 둘러싸는 외부 쉘의 위치로 외부 쉘을 도로 밀 수 있게 한다. 스프링 형성 요소는 바람직하게, 매우 효율적이고 내부 쉘과 외부 쉘 사이의 컴팩트한(compact) 배열을 허용하는 압축 나선 스프링일 수 있다.
유리한 변형예에 따라, 시스템은, 록킹 너트의 활주 부분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플랜지, 및 부착 플랜지에 부착되고 연결 시스템의 외측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도록 록킹 너트의 외측에 배열된 당김 요소를 포함하고, 연결 시스템은 2개의 부착 플랜지 및, 케이블과 같은, 가요성 당김 요소를 포함하며, 가요성 당김 요소의 각각의 단부는 하나의 부착 플랜지에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록킹 너트는 플러그의 본체 주위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한편, 록킹 램프(들)는 수용부의 본체 주변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적용예에서, 시스템은 플러그 및 수용부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을 구성하고, 플러그 및 수용부 각각은, 전기적 또는 광학적 콘택 또는 콘택 모듈을 위한 하우징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삽입체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연결 시스템을 신속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방법은:
- 외부 쉘을 미리 결정된 경로 상에서 내부 쉘을 따라 활주되게 하여, 그에 의해서 첫 번째로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의 상단으로부터 외부 쉘이 결합-해제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그 이후에 플러그 및 수용부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에 의해서 상기 핀이 록킹 램프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게 하는, 미리 결정된 경로 상에서 외부 쉘에 후방으로 당김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이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시스템의 플러그 및 수용부의 각각의 사시도이며, 플러그 및 수용부는 상호 연결 및 록킹 구성에 있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시스템의 준(semi)-길이방향 단면도이며, 플러그 및 수용부는 상호 연결 및 록킹 구성에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의 록킹 핀과 록킹 램프 사이의 협력을 보여주는 도 2의 상세도이다.
도 3a는 연결 시스템의 길이방향 축(X)을 따른 상호 연결 전의, 도 1의 플러그 및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길이방향 축(X)을 따른 플러그 및 수용부의 상호 연결이 달성된 후의 그리고 시계 방향을 따른 록킹 너트의 회전으로 인한 그들의 록킹 구성이 달성되기 전의, 도 1의 플러그 및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길이방향 축(X)을 따른 상호 연결 및 록킹 구성에서의, 도 1의 시스템의 플러그 및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그들의 상호 연결에서의 그리고 반시계 방향을 따른 록킹 너트의 회전으로 인한 그들의 록킹-해제 구성이 달성되기 전의, 도 1의 플러그 및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그들의 상호 연결에서의 그리고 외부 당김 요소를 매개로 하여 록킹 너트에 인가되는 당김력으로 인한 그들의 신속 록킹-해제 구성이 달성되기 전의, 도 1의 플러그 및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첫 번째로 신속 록킹-해제 단계 및 이어지는 록킹 너트에 인가된 당김력으로 인한 분리 단계와 함께, 플러그 및 수용부 사이의 신속 커플링-해제의 상이한 단계들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시스템의 준-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원형 단면의 연결 시스템을 참조하여 그리고 예로서 그리고 예시로서 베이요넷-유형의 신속 록킹 장치로 설명된다.
이러한 연결 시스템은 특히 실외 적용예를 위한 것이고, 특히 철도 및 롤링 차량 그리고 항공 또는 군사 적용예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전기 및/또는 광학적 연결에 따라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인, 복수의 독립적인 콘택, 또는 콘택의 연결 모듈, 많은 수의 콘택의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전류 및/또는 많은 전기가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시스템은 또한 고속 전기 네트워크 적용예를 위한, 특히 100M bit/s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 IEEE 1394, Fibre Channel, quadrax …와 같은 전형적인 네트워크 적용예를 위한, 콘택 또는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콘택 또는 콘택의 모듈은, 이미 차폐되고 그 스트레인 제거(strain relief)가 완료되었을 때 별개로 조립될 수 있는, 연결 시스템 내측의 하나의 독립적 연결부로서 간주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시스템은 임의 유형의 전기 및/또는 광학 연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단면의 연결 시스템(1)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연결 시스템(1)은 플러그(2), 수용부(3), 및 플러그 및 수용부가 상호 연결 구성에 있을 때 플러그(2)를 수용부(3)에 기계적으로 록킹시키기에 적합한 수동 록킹 장치(4)를 각각 포함한다.
플러그(2)는, 전방 관통 슬롯(21)을 포함하는 원통형 본체(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슬롯(21)은 플러그(2)와 수용부(3) 사이의 분극화 시스템(polarizing system)의 암놈형 부분을 형성한다. 원통형 본체(20)는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나, 절연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플러그(2)는 또한 삽입체(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삽입체(22)는 절연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나, 또한 예를 들어 광학적 콘택 또는 차폐된 quadrax 콘택의 경우에 금속성일 수 있다. 삽입체(22)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셀(23)을 포함하고, 각각의 셀은, 도시되지 않은, 전기 또는 광학적 연결 모듈 또는 콘택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한다. 각각의 셀은 삽입체(22) 위의 적절한 마킹에 의해서 코딩 및 식별될 수 있다. 정확하고 신뢰 가능한 배치를 위해서, 각각의 모듈 또는 콘택이 그 자체의 안내 시스템을 삽입체(22) 내측에 가질 수 있다.
수용부(3)는, 전방 리브(31)을 포함하는 원통형 본체(30)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리브(3)는 관통 슬롯(21)과 상보적이고, 그에 따라 플러그(2)와 수용부(3) 사이의 분극화 시스템의 숫놈형 부분을 형성한다. 원통형 본체(30)는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나, 절연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원통형 본체(30)는 그 원형 단면의 주변부에서 플랜지 부분(30a)을 가지며, 그러한 플랜지 부분은 수용부(3)가 기구의 제어 패널과 같은 패널 상에 또는 조립체의 다른 벽 상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수용부(3)는 또한 전기적 삽입체(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삽입체(32)는 절연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나, 또한 예를 들어 광학적 콘택 또는 차폐된 quadrax 콘택의 경우에 금속일 수 있다. 삽입체(32)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셀(33)을 포함하고, 각각의 셀은, 플러그(2)의 셀(23) 내에 수용된 하나의 모듈 또는 콘택에 상보적인, 도시되지 않은, 전기적 또는 광학적 콘택 또는 모듈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한다. 플러그(2)에서와 같이, 각각의 셀은 삽입체(32) 위의 적절한 마킹에 의해서 코딩 및 식별될 수 있고, 셀은 그 자체의 안내 시스템을 삽입체(32) 내측에 가질 수 있다.
본체(30)의 주변부는 하나 이상의 록킹 경사 나선형 홈 또는 램프(34)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3개의 동일한 램프(34)가 서로에 대해서 120°로 분포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플러그 및 수용부가 상호 연결의 구성에 있을 때 플러그(2)를 수용부(3)에 록킹하기 위한 수동 록킹 장치(4)가 베이요넷-유형의 장치이다.
장치(4)는 첫 번째로 2개의 협력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록킹 너트, 내부 쉘(40) 및 외부 쉘(41)을 포함한다. 너트는 플러그(2)의 본체(20) 주위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장착된다. 외부 쉘(41)은 상기 본체(20)를 따라 병진운동으로 그러나 제한된 경로 상에서만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록킹 너트는 플러그(2)의 원통형 본체(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원통형 쉘(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쉘(40)은 하나 이상의 록킹 핀(42)을 포함하고, 각각의 록킹 핀은 쉘(40) 내로 만들어진 개구부(43)를 통해서 내향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3개의 록킹 핀(42)이 서로에 대해서 120°로 분포된다.
각각의 록킹 핀(42)은, 일 단부가 록킹 핀(42)에 고정되는 반면 타 단부는 내부 쉘(40) 내로 나사체결된 나사(45)에 의해서 보유되는, 판 가요성 밴드(plate flexible band) 또는 가요성 스트립(44)을 매개로 하여 내부 쉘(40)에 고정된다. 가요성 스트립(44)의 각각이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 도시된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내부 쉘(40) 내로 장착되는 보조 핀(46)은, 록킹 핀(42) 상에 어떠한 힘이 인가되든지 간에, 각각의 가요성 스트립(44)이 플러그(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유지 핀(46)은,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당김력이 록킹 너트의 외부 쉘(41)에 인가될 때, 스트립(44)이 플러그(2)의 길이방향 축과 관련하여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외부 쉘(41)은 내부 쉘(40) 주위에 장착되고, 수동적 파지에 적합한 파지 구역(41a)을 포함한다.
부착 플랜지(47)가 외부 쉘(41)의 내측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47)는 플러그(2)의 길이방향 축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원형 판일 수 있다.
기능이 구체적으로 후술된, 당김 요소(5)가 플러그(2)의 외측에 배열되고 부착 플랜지(47)에 부착된다. 당김 요소(5)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고 끈 또는 케이블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바(bar) 또는 막대 또는 코드 또는 임의의 강성 단편의 형태일 때 강성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당김 요소(5)는, 양 단부가 부착 요소(47)에 부착된 특이적 단편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부착 요소(47)에 모두 부착되는 2개의 스트랜드로 분할될 수 있다. 수동 파지를 돕기 위해서 핸들이 당김 요소(5)에 배열될 수 있다.
외부 쉘(41)은 미리 결정된 경로 상에서 내부 쉘(40) 주위에 활주되게 장착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장착은, 내부 쉘(40)의 전방 부분 내에 제공된 안내 홈(49) 내로 활주될 수 있는, 외부 쉘(41)의 전방 내에 부착된 안내 핀(48)에 의해서 달성된다.
활주 장착은:
- 내부 쉘(40)이 차단되어 있는 동안, 당김력이 연결 방향(C)에 반대되는 방향(P)으로 외부 쉘(41)에 인가될 때, 즉 플러그(2)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후방 부분을 향해서 힘이 인가될 때, 외부 쉘(41)은 내부 쉘(40) 위에서 활주될 수 있도록;
- 당김력이 외부 쉘(41)에 인가되지 않을 때, 2개의 쉘(40, 41)이 기계적으로 커플링되어, 그에 따라 상기 외부 쉘(41)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내부 쉘(40)을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록킹 핀(42) 및 상보적 록킹 램프(34)의 형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견인력이 플러그(2)에 가해질 때 핀(42)이 램프(34)로부터 횡방향으로 결합-해제될 수 있게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변형예는, 절두원추형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42)의 하부 부분(42a)의 단면으로 구성되고, 록킹 램프(34)의 단면의 절두원추형 형상에 상보적이다.
유리하게,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형성 요소(6)가 내부 쉘(40)과 외부 쉘(41)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스프링 요소(6)는, 당김력이 상기 외부 쉘(41)에 인가되지 않을 때,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42)을 둘러싸는 외부 쉘의 위치로 외부 쉘(41)을 밀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형성 요소(6)는, 하나의 자유 단부가 외부 쉘(41)의 내부 전방 부분에 대해서 접경되고 다른 자유 단부가 내부 쉘(40)의 외부 후방 부분에 대해서 접경되는, 압축 나선형 스프링이다. 스프링 형성 요소(6)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록킹 베이요넷-유형의 장치(4)를 갖는 연결 시스템(1)의 상이한 수동 동작 단계를 이제 도 3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플러그(2)와 수용부(3) 사이의 상호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T)를 따른 병진운동 힘으로 플러그(2)를 수용부(3)를 향해서 접근시키는 것에 의해서 플러그와 수용부가 함께 결합된다. 이러한 단계 중에, 각각의 록킹 핀(42)이 수용부(3)의 록킹 램프(34)를 따라 활주된다.
플러그(2)가 수용부(3)에 수동으로 연결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동작은, 제한 정지부에 도달되어 완전한 록킹을 생성할 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즉 화살표(Rc)를 따라, 축(X)을 중심으로 수용부(3)의 본체(30) 주위로 록킹 너트(40, 4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록킹 너트(40, 41)의 이러한 회전 중에, 록킹 핀(42)의 각각은 수용부(3)의 록킹 램프(34)의 극단부에서 활주되고, 이는 플러그(2)와 수용부(3) 사이의 기계적 록킹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플러그(2)와 수용부(3) 사이에서 얻어진 상호 연결 및 록킹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정상 조건, 즉 신속 록킹-해제가 요구되지 않는 조건에서의 록킹-해제 동작을 도시한다. 이러한 정상 록킹-해제는, 록킹 램프(34) 내의 록킹 핀(42)이 이러한 램프(34)를 빠져 나갈 때까지 활주되는 것으로 인해서 너트(40, 41)가 수용부(3)의 본체(30)로부터 기계적으로 결합-해제될 때까지, 화살표(RU)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록킹 너트(40, 4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신속 록킹-해제 동작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당김력이 화살표(P)를 따라 케이블 또는 끈(5)에 인가되고, 이는, 부착 플랜지(47)와의 연계로 인해서, 록킹 너트의 외부 쉘(41)이 후방으로, 즉 플러그(2)의 후방 부분을 향해서 활주되게 한다.
화살표(P)를 따른 당김력의 시작시에, 후방으로 활주되는 외부 쉘(41)은 록킹 핀(42)의 상단을 해제할 것이다(도 7a).
외부 쉘(41)에 의해서 달성되는 이러한 외부 기계적 장벽의 박탈에 의해, 록킹 핀(42)은 램프(34)로부터 결합-해제되는데, 이는 당김력의 작용 하의 수용부(3)의 본체(30)와 플러그(2)의 내부 쉘(40)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운동 때문이다.
사실상, 당김력은 첫 번째로 외부 쉘(41)의 후방 활주를 생성하고, 이어서 내부 쉘(40)에 전달되고 그로부터 플러그(2)에 전달된다.
플러그(2)에 인가되는 힘은 플러그를 수용부(3)로부터 분리하는 경향을 갖는다. 각각의 핀(42)은 그에 저항하나, 절두원추형 형상으로 인해서, 램프(34)로부터 결합-해제될 때까지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해서, 핀(42)의 결합-해제는, 핀(42) 및 램프(34) 모두의 절두원추형 형상에 의해서 촉진된다(도 7b).
당김력을 계속 인가하면, 이는, 록킹 핀(2)이 임의의 램프(34)로부터 완전히 결합-해제될 수 있게 하여 플러그(2)가 수용부(3)로부터 록킹-해제되게 하며, 그 후에 플러그와 수용부가 완전 분리되게 한다(도 7c).
완전 분리가 달성되고 이어서 플러그(2)가 수용부(3)로부터 멀어질 때, 당김력은 외부 쉘(41)에 인가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링 요소(6)의 스프링력은 외부 쉘(41)을, 내부 쉘(40)의 상응 개구부(43) 내에 수용된 록킹 핀(42)을 둘러싸는, 그 원래의 위치로 다시 보낸다.
그에 따라, 플러그(2)는, 다시 한번 수용부(3)와 함께 연결 및 록킹되도록 준비된다.
가요성 스트립(44)은, 당김 단계 중에 록킹 핀(42)이 록킹 램프(34)로부터 결합-해제되게 허용하도록, 그리고 당김 단계의 마지막에 내부 쉘(40)의 상응 개구부(43) 내에 록킹 핀(42)이 재배치되게 허용하도록 설계된 홀더로서 작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록킹 너트(40, 41)가 플러그(2) 주위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장착된다면, 수용부(3) 주위의 이러한 장착을 달성하기 위해서, 록킹 램프(34)가 플러그(2)의 본체(20)의 주변부 주위에 제공되는 것을 또한 예상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된 실시예에서, 록킹 핀(42) 및 램프(34)의 형상이 절두원추형 형상이지만, 램프(34)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핀(42)을 결합-해제하는 것을 보장하는 임의의 외측으로 펼쳐진 형상이 예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변형예 및 개선예가 제공될 수 있다.
달리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는 한, "포함하는"이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과 동의어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길이방향 축(X)의 연결 시스템(1)으로서:
    - 플러그(2)를 형성하는 제1 시스템 요소 및 수용부(3)를 형성하는 제2 시스템 요소,
    -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4)
    를 포함하고,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4)는
    · 플러그 및 수용부 중 하나의 주위에 적어도 자유롭게 회전되게 장착된 록킹 너트(40, 41),
    · 록킹 너트 내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42)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은, 플러그(2)와 수용부(3)가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상호 연결될 때 플러그를 수용부에 기계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해서 플러그와 수용부 사이의 상대적인 병진 운동 및 록킹 너트의 회전에 의해서, 수용부 및 플러그 중 하나 내에 제공된 록킹 램프(34) 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 축(X)을 따른 상기 플러그(2)와 상기 수용부(3) 사이의 상호 연결의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록킹 너트의 활주 부분(41)에 인가되는 당김력(P)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을 록킹 램프로부터 결합-해제시키도록 하여, 그에 의해서 플러그가 수용부로부터 록킹-해제될 수 있게 하고, 이어서 상호 분리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이 배열되고,
    록킹 너트가 내부 쉘(40), 및 미리 결정된 경로 상에서 내부 쉘(40) 주위에 활주 장착되는 외부 쉘(41)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42)은 내부 쉘(40)의 개구부 내로 장착되고 가요성 스트립(44)의 자유 단부에 부착되며, 가요성 스트립(44)의 타 단부는 내부 쉘(40)에 부착되며, 상기 플러그(2)와 상기 수용부(3) 사이의 상호 연결 및 록킹 구성에서, 외부 쉘(41)은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을 둘러싸는, 연결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42)의 하부 부분(42a)의 단면이 절두원추형 형상이고, 록킹 램프(34)의 단면의 절두원추형 형상에 상보적인, 연결 시스템(1).
  3. 제1항에 있어서,
    록킹 너트(40, 41)의 주변부에서 서로에 대해 120°로 분포된 3개의 록킹 핀(42)을 포함하고, 플러그 및 수용부 중 하나의 본체는 서로에 대해서 120°로 분포된 동일한 형상의 3개의 록킹 램프(34)를 포함하고, 록킹 핀들 중 임의의 록킹 핀이 램프들 중 임의의 램프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연결 시스템(1).
  4.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쉘(40) 내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핀(46)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핀(46)은 플러그(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각각의 가요성 스트립(44)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시스템(1).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쉘(40)과 외부 쉘(41)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형성 요소(6)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형성 요소(6)는, 당김력이 상기 외부 쉘(41)에 인가되지 않을 때,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42)을 둘러싸는 외부 쉘의 위치로 도로 외부 쉘(41)을 밀도록 구성되는, 연결 시스템(1).
  6. 제5항에 있어서,
    스프링 형성 요소(6)가 압축 나선형 스프링인, 연결 시스템(1).
  7. 제1항에 있어서,
    록킹 너트의 활주 부분(4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플랜지(47), 및 부착 플랜지(47)에 부착되고 연결 시스템의 외측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도록 록킹 너트의 외측에 배열된 당김 요소(5)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1).
  8.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부착 플랜지(47) 및, 케이블과 같은, 가요성 당김 요소(5)를 포함하며, 가요성 당김 요소의 각각의 단부가 하나의 부착 플랜지에 부착되는, 연결 시스템(1).
  9. 제1항에 있어서,
    록킹 너트가 플러그(2)의 본체(20) 주위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한편, 록킹 램프(들)(34)는 수용부의 본체(30) 주변에 제공되는, 연결 시스템(1).
  10.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2) 및 수용부(3)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을 구성하고, 플러그 및 수용부 각각은, 전기적 또는 광학적 콘택 또는 콘택 모듈을 위한 하우징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셀(23, 33)을 포함하는 삽입체(22, 32)를 가지는, 연결 시스템(1).
  11. 제1항에 따른 연결 시스템(1)을 신속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외부 쉘(41)을 미리 결정된 경로 상에서 내부 쉘(40)을 따라 활주되게 하여, 그에 의해서 첫 번째로 적어도 하나의 록킹 핀(42)의 상단으로부터 외부 쉘이 결합-해제될 수 있게 하고, 그 이후에 플러그(2) 및 수용부(3)의 상대적인 병진운동에 의해서 상기 핀이 록킹 램프(34)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게 하는, 미리 결정된 경로 상에서 외부 쉘(41)에 후방으로 당김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삭제
KR1020187031931A 2016-04-04 2016-04-04 신속 분리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갖춘 연결 시스템 KR102205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T2016/000081 WO2017175248A1 (en) 2016-04-04 2016-04-04 A connection system with a bayonet-type locking device adapted to allow a quick disconnecting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143A KR20180124143A (ko) 2018-11-20
KR102205924B1 true KR102205924B1 (ko) 2021-01-21

Family

ID=5608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931A KR102205924B1 (ko) 2016-04-04 2016-04-04 신속 분리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갖춘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15539B1 (ko)
EP (1) EP3440747B1 (ko)
KR (1) KR102205924B1 (ko)
CN (1) CN109314344B (ko)
WO (1) WO2017175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3246B2 (en) * 2007-01-31 2010-07-13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instrument with replaceable loading unit
EP3826118A1 (en) * 2019-11-19 2021-05-26 TE Connectivity Industrial GmbH Coupling half for an electric plug comprising a multi-part, rotatable sleeve, as well as electric plug and method
TWI728578B (zh) * 2019-11-28 2021-05-21 劉達民 具有迫緊與旋轉鎖定/解鎖之快速接頭結構
FR3107997B1 (fr) * 2020-03-09 2022-02-18 Radiall Sa Connecteur à pièce d’interface montée en rotation dans le boitier et actionnable par outil pour le coulissement d’un capot de verrouillage à un connecteur complémentaire.
USD979610S1 (en) * 2021-03-29 2023-02-28 Mark A. Kelley Outer sonde tube timed cap
KR200494857Y1 (ko) * 2021-05-13 2022-01-11 초이스테크닉스 주식회사 잠금 장치를 구비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KR200496125Y1 (ko) * 2022-01-05 2022-11-09 초이스테크닉스 주식회사 잠금 장치를 구비한 스크류 결합형의 전기 커넥터 장치
KR200496124Y1 (ko) * 2022-01-05 2022-11-09 초이스테크닉스 주식회사 잠금장치를 구비한 베이요넷 결합형의 전기 커넥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05923A (en) * 1981-07-07 1983-03-30 Bendix Corp Two part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8743A (en) * 1964-06-22 1967-06-27 Northrop Corp Quick disconnect-electrical
US3430184A (en) * 1965-02-23 1969-02-25 Northrop Corp Quick disconnect electrical plug
US3452316A (en) * 1965-03-22 1969-06-24 Itt Peripheral threaded tang quick-disconnect umbilical connector
US4307924A (en) * 1979-11-29 1981-12-29 Belden Corporation Electrical plug having integral finger pull and cord grip
US4447103A (en) * 1981-12-28 1984-05-08 The Bendix Corporation Moisture seal for a separable electrical connection
EP0157542A3 (en) * 1984-03-26 1987-01-14 AB Electronic Component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s
GB2165402B (en) * 1984-10-03 1988-05-25 Cannon Electric Electrical connector
US4778400A (en) * 1984-11-29 1988-10-18 Jacobs Ray T Remote electrical connector
US4702537A (en) * 1985-05-03 1987-10-27 Matrix Science Corporation Quick-disconnect electrical connector coupling assembly for use with bayonet pin coupling system
US4695109A (en) * 1986-08-28 1987-09-22 Allied Corporation Quick release connector
GB2382733B (en) * 2002-12-17 2004-02-04 Mbm Technology Ltd Electrical connnector
WO2004093261A1 (ja) * 2003-04-17 2004-10-28 Canare Electric Co., Ltd. コネクタ及び雌プラグ
JP2014241265A (ja) * 2013-06-12 2014-12-2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係合方式を選択可能な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電動機
US9570848B1 (en) * 2015-12-29 2017-02-14 Jose Suarez Electrical plug and cord kit for hair clipp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05923A (en) * 1981-07-07 1983-03-30 Bendix Corp Two part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0747B1 (en) 2022-07-06
KR20180124143A (ko) 2018-11-20
US10615539B1 (en) 2020-04-07
WO2017175248A1 (en) 2017-10-12
CN109314344A (zh) 2019-02-05
EP3440747A1 (en) 2019-02-13
CN109314344B (zh) 2021-05-11
US20200099167A1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924B1 (ko) 신속 분리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갖춘 연결 시스템
CN109256645A (zh) 快速锁定同轴连接器
US6361348B1 (en) Right angle, snap o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N102904107B (zh) 带缆线夹箝部的电连接器
US9365125B2 (en) Plug connector
US20140227900A1 (en) Connector having coupling mechanism
WO2010005494A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CN102474021A (zh) 同轴连接器及其组装方法
US10355406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5846242A (zh) 手柄式高压连接器
EP1432082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1409843A (zh) 一种任务设备连接机构
CN101436735B (zh) 推拉锁紧连接器及其插头、插座
US9666982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 release collar
CN103872522A (zh) 车辆高压电缆自锁插接副
CN202094415U (zh) 插头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2002090577A (ja)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組立体の保護装置
US9595788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lexible latch actuated by a ramp on a release collar
US4453793A (en) Locking mechanism for rectangular electrical connector
US7066757B1 (en) Enveloping pin electrical contact system
CN203774545U (zh) 一种电缆自锁插接副
KR101713179B1 (ko) 동축 커넥터 및 이를 어셈블링하는 방법
CN213366946U (zh) 一种自锁连接器
CN212099372U (zh) 一种任务设备连接机构
US20140227903A1 (en) Connector having coupl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