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857Y1 - 잠금 장치를 구비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잠금 장치를 구비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57Y1
KR200494857Y1 KR2020210001516U KR20210001516U KR200494857Y1 KR 200494857 Y1 KR200494857 Y1 KR 200494857Y1 KR 2020210001516 U KR2020210001516 U KR 2020210001516U KR 20210001516 U KR20210001516 U KR 20210001516U KR 200494857 Y1 KR200494857 Y1 KR 200494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nnector
female
hole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명
최재동
Original Assignee
초이스테크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초이스테크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초이스테크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1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는 피메일커넥터, 메일커넥터, 및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잠금장치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정위치에서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을 잠그는 록킹볼트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는 커넥터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커넥터의 정상적 결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금 장치를 구비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Roun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a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잠금 장치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connector)는 전기 기구와 전선(케이블), 또는 전선(케이블)과 전선(케이블)을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 기구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사용 중에 사용자 외의 제3자가 부정한 의도로 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분리될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실용신안출원공개 제20-2009-0012198호는 풀림이 방지되고 잠금해제가 용이한 전기접속용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커넥터는 상호 대응하는 접속핀을 구비하는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가 플러그부에 설치되는 커플링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커넥터로서, 플러그부는 외주연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평기어 형태의 톱니와 톱니 일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걸림단이 구비되고 톱니의 타측으로 가이드링이 결착되는 몸체; 몸체의 톱니 대응위치에 하나 이상의 보올홀이 관통형성되며 몸체의 걸림단과 가이드링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되는 인서트링; 인서트링의 보올홀을 통하여 몸체의 톱니 사이에 걸쳐지는 보올; 보올을 몸체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인서트링이 후방 내측으로 결착 고정되는 커플링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용신안출원공개 제20-2009-0012198호
본 고안은 커넥터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는 푸쉬-풀(push-pull) 방식, 베이요넷(Bayonet) 방식, 또는 스크류(screw) 방식 등으로 1차적으로 결합하며,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를 사용해서 2차적으로 록킹(locking, 잠금)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는 피메일커넥터, 메일커넥터, 및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잠금장치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정위치에서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을 잠그는 록킹볼트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는,
피메일커넥터; 메일커넥터;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의 결합을 록킹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한쪽 선단에 피메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커넥터는 상기 피메일 결합부에 결합되는 메일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메일 결합부에 구비된 록킹 홀; 상기 피메일 결합부의 몸체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일 결합부가 상기 피메일 결합부의 결합 정위치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록킹 홀과 동축으로 정렬되는 나사 구멍;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록킹 홀에 진입하여 상호 결합된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를 록킹시키는 록킹 위치와,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를 언록킹시키는 언록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록킹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일 결합부는 몸체; 상기 몸체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선단에 내측 록킹홀이 관통형성된 내측 슬리브; 상기 내측 슬리브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결합 정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내측 록킹홀과 중심선 정렬되는 외측 록킹홀이 관통형성된 외측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홀은 내측 록킹홀과 외측 록킹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록킹 볼트는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 및 상기 록킹 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의 하단에서 동축방향으로 연장된 록핀 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핀 부가 상기 록킹 홀에 결합하였을 때 상단면이 나사 구멍이 형성된 피메일 결합부의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슬리브는 외측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선단에 걸림돌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후크 부재를 가지며,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메일 결합부가 상기 피메일 결합부에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피메일 결합부의 내측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외측 슬리브는 상기 후크 부재의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돌기를 돌출되게 통과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 슬리브가 전진하여 상기 관통홀이 후크 부재의 걸림돌기의 위치에 놓일 때, 후크 부재의 걸림돌기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외측 슬리브의 외측면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베이요넷 방식으로 결합하는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는 한쪽 선단에 피메일 결합부를 구비한 피메일커넥터; 한쪽에 상기 피메일 결합부와 결합하는 메일 결합부를 구비한 메일커넥터;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의 상호 결합을 록킹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피메일 결합부의 하우징 외주면에 돌출된 캠핀; 및 나사 구멍이 관통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캠핀이 결합되는 캠 트랙을 구비한 결합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피메일 결합부의 하우징에 구비된 록킹 홀; 상기 피메일 결합부의 몸체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일 결합부가 상기 결합 링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메일 결합부의 결합 정위치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록킹 홀과 동축으로 정렬되는 나사 구멍; 및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록킹 홀에 진입하여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의 결합을 록킹시키는 록킹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베이요넷 방식으로 결합하는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는 피메일커넥터; 메일커넥터;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의 상호 결합을 록킹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면에 돌출된 캠핀; 및 나사 구멍이 관통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캠핀이 결합되는 캠 트랙을 구비한 결합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커넥터 하우징에 구비된 록킹 홀; 커넥터 몸체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일커넥터가 상기 결합 링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메일커넥터의 결합 정위치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록킹 홀과 동축으로 정렬되는 나사 구멍; 및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록킹 홀에 진입하여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의 결합을 록킹시키는 록킹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하는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는 피메일커넥터; 메일커넥터;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의 결합을 록킹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 나사부; 및 내측면에 상기 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 나사부가 형성된 링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커넥터 하우징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록킹 홀; 상기 링 너트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메일커넥터가 상기 링 너트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결합 정위치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록킹 홀에 정렬되는 나사 구멍; 및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록킹 홀에 진입하여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의 결합을 록킹시키는 록킹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피메일커넥터 또는 메일커넥터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휴대용 충전기 또는 비상용 충전기에 구비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전기자동차 충전용 케이블에 구비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넥터의 특정한 위치에 특정한 형태의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커넥터가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넥터가 구비된 충전 케이블이나 어댑터 등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나 도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넥터의 정상적 결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잠금장치가 커넥터 장치에 매몰되어 커넥터 장치의 외부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지만, 정상적 결합이 아닌 경우에는 잠금장치가 커넥터 장치의 외부 표면 위로 돌출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푸쉬-풀(push-pull) 방식으로 결합하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a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는 록킹 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장치에서 메일커넥터가 결합 정위치에 도달하기 전 상태의 메일커넥터-피메일커넥터 결합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장치에서 메일커넥터가 결합 정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잠금장치가 록킹하기 전 상태의 메일커넥터-피메일커넥터 결합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록킹 위치로 이동시켜 메일커넥터- 피메일커넥터 결합체를 잠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커넥터가 베이요넷(Bayonet)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커넥터가 스크류(screw)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고안에서 '커넥터'란 전기 커넥터를 말하며, 커넥터 결합이란 메일커넥터(male connector)와 피메일커넥터(female connector)의 결합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단자'란 전기단자(electrical terminal)를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를 구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형태를 기준으로 한다. 즉, 커넥터 결합 시 피메일커넥터의 외곽 하우징 안에 메일커넥터 몸체를 끼워 넣는 형태로 된다. 피메일커넥터는 피메일 단자 또는 메일 단자를 가질 수 있으며, 메일커넥터는 메일 단자 또는 피메일 단자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를 푸쉬-풀(push-pull) 방식, 베이요넷(Bayonet) 방식, 스크류(screw) 방식 등으로 1차적으로 결합하고,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를 사용해서 2차적으로 록킹(locking, 잠금)을 한다.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록킹 볼트(locking bolt)를 포함하고 있으며, 록킹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서 커넥터를 잠금 상태로 하거나 잠금 해제 상태로 한다.
록킹볼트로서는 머리가 없는 무두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무두볼트는 몸체부와 그 하부의 핀부를 포함하고 있다. 몸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핀부는 그 횡단면 직경이 몸체부의 횡단면 직경보다 작으며, 핀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핀부의 하부 끝단은 모따기가 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모따기가 되어 있는 경우, 핀부가 위치할 홀과 핀의 위치가 어긋나 있더라도, 그 홀의 경계가 모따기의 경사면에 위치할 정도로 위치의 어긋남이 작은 경우에는 핀부가 핀홀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위치의 어긋남이 해소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록킹볼트는 그 상단부에 특수한 형태의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이 록킹볼트를 일반적인 벤치, 플라이어 등의 공구로 조이거나 풀 수 없고, 사용자가 갖고 있는 특수한 형상의 렌치로만 조이거나 풀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push-pull) 방식으로 결합하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100)는 피메일커넥터(10); 메일커넥터(20); 및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의 결합을 잠금(locking) 상태로 하기 위한 잠금장치(30)를 포함한다.
피메일커넥터(10)는 길이방향 한쪽 선단에 케이블(도시 생략)이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11)를 구비할 수 있고, 케이블 결합부(11)의 반대쪽에는 피메일 결합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피메일 결합부(12)는 원통형 하우징(13)과 원통형 하우징(13)의 내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암 단자(14)를 가지고 있다.
메일커넥터(20)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형이고, 메일 결합부(21)를 갖는다.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가 결합할 때, 피메일 결합부(12)와 메일결합부(21)가 결합한다. 메일 결합부(21)는 피메일커넥터(10)의 하우징(13) 안에 끼워져 피메일커넥터(10)에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결합부(21)는 원통형 몸체(24)를 구비하고, 몸체(24)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숫 단자(23)를 가질 수 있다. 메일 결합부(21)가 피메일 결합부(12)에 결합될 때, 숫 단자(23)는 암 단자(14)에 끼워져 접속된다.
본 고안에 따라 메일커넥터(20)와 피메일커넥터(10)를 결합할 때, 다양한 결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이하, 제1실시예라고 함)는 푸시-풀(push-pull) 방식의 결합이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베이요넷(Bayonet) 방식의 결합이고, 도 8의 실시예는 스크류(screw) 방식의 결합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보면, 메일 결합부(21)의 몸체(24) 외측에 내측 슬리브(26)가 끼워져 몸체(24)에 고정된다. 내측 슬리브(26)의 외측벽에는 선단에 걸림돌기(25a)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후크 부재(25)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된다. 메일 결합부(21)가 피메일 결합부(12)에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후크 부재(25)의 걸림돌기(25a)가 피메일 결합부(12)의 내측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15)에 걸려 고정된다.
내측 슬리브(26)의 외주면에는 외측 슬리브(27)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외측 슬리브(27)는 내측 슬리브(26)에 구비된 후크 부재(25)의 걸림돌기(25a)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돌기(25a)를 돌출되게 통과시키는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슬리브(27)가 전진하여 관통홀(28)이 후크 부재(25)의 걸림돌기(25a)의 위치에 놓일 때, 후크 부재(25)의 걸림돌기(25a)는 관통홀(28)을 통과하여 외측 슬리브(27)의 외측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결합부(21)를 피메일 결합부(12) 안으로 삽입하면, 숫 단자(23)는 피메일커넥터(10)의 암 단자(14)에 결합하고, 후크 부재(25)의 걸림돌기(25a)의 선단 경사면이 피메일커넥터(10)의 피메일 결합부(12)의 입구 벽면에 눌러져 메일커넥터(20)의 몸체(24)에 구비된 리세스(29) 안으로 후퇴하면서 걸림돌기(25a)가 외측 슬리브(27)의 외측면 안으로 후퇴하여, 걸림해제 상태로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결합부(21)를 피메일 결합부(12) 안으로 더 삽입하여, 걸림돌기(25a)가 피메일 결합부(12)의 내측벽에 구비된 걸림홈(15)에 걸리는 위치(이하, '결합 정위치'라 함)로 이동시키면, 외측 슬리브(27)가 걸림돌기(25a)에 작용하는 누름력이 제거되므로 후크 부재(25)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걸림돌기(25a)를 걸림홈(15)안으로 진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걸림돌기(25a)의 걸림턱이 걸림홈(15)에 걸려서 고정되므로, 메일 결합부(21)가 피메일 결합부(1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잠금장치(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결합부(21)와 피메일 결합부(12)의 결합(coupling)을 록킹(locking)할 수 있게 된다.
잠금장치(30)는 록킹 홀(31), 나사 구멍(32), 록킹 볼트(33)를 포함한다. 록킹 홀(31)은 메일 결합부(21)에 구비되어 있다. 나사 구멍(32)는 피메일 결합부(12)의 하우징(13)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게 구비되고, 메일 결합부(21)가 피메일 결합부(12)의 결합 정위치에 결합되었을 때 록킹 홀(31)과 동축으로 정렬된다. 록킹 볼트(33)는 나사 구멍(32)에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고, 그 하단의 록핀 부(35)가 록킹 홀(31)에 진입되었을 때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의 결합을 잠그는 록킹 위치(H1)에 있게 되고 그 잠금을 해제할 때는 언록킹 위치(H2)에 있게 된다.
록킹 볼트(33)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34)와 그 하부의 록핀부(35)를 포함하고 있다. 록킹 볼트(33)는 일정한 횡단면 형상을 가진 렌치(key)(도시 생략)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단면에 렌치가 결합되는 렌치 홈(36)을 가진다. 나사부(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 구멍(32)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록핀부(35)는 그 횡단면 직경이 나사부(34)의 횡단면 직경보다 작다. 록핀부(35)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록핀부(35)는 록킹 위치(H1)에서 록킹 홀(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록킹 홀(31)은 내측 슬리브(26)에 관통형성된 내측 록킹홀(31a)과 외측 슬리브(27)에 내측 록킹홀(31a)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직경으로 관통형성된 외측 록킹홀(31b)로 이루어진다.
외측 슬리브(27)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시켜 내측 록킹홀(31a)과 외측 록킹홀(31b)이 중심선 정렬되고, 이렇게 정렬된 관통홀(28)이 피메일 결합부(12)의 나사 구멍(32)과 중심선(P1)이 일치하는 위치, 즉 결합 정위치에 위치할 때(도 5에 도시된 상태), 록킹 볼트(33)가 도 5의 언록킹 위치(H2)에서 도 6의 록킹 위치(H1)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메일 결합부(21)가 결합 정위치에서 피메일 결합부(12)에 결합되고, 후크 부재(25)의 고정 작동에 의해 피메일 결합부(12)에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장치(30)의 록킹 볼트(33)의 록킹 작동에 의해 피메일 결합부(12)에 이중으로 록킹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볼트(33)가 언록킹 위치(H2)에 위치하여 언록킹 상태일 때에는, 록킹 볼트(33)의 상단면이 피메일 결합부(12)의 외주면보다 돌출되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볼트(33)가 록킹 위치(H1)에 위치하여 록킹 상태일 때에는, 록킹 볼트(33)의 상단면이 피메일 결합부(12)의 외주면과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록킹 볼트(33)의 상단의 돌출 여부의 확인만으로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의 록킹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커넥터가 베이요넷(Bayonet) 방식으로 결합된 제2실시예의 결합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7의 제2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13)에 단일의 록킹 홀(31)이 구비된다.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의 결합은 결합 링 부재(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커넥터 하우징(13)에는 베이요넷 결합을 위한 캠핀(41)이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된다. 결합 링 부재(40)는 내측면에 캠핀(41)이 결합되는 캠 트랙(42)을 구비하고, 록킹 볼트(33)가 나사결합되는 나사 구멍(3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캠핀(41)을 결합 링 부재(40)의 캠 트랙(42) 안으로 끼우면서 결합 링 부재(40)를 회전시켜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를 베이요넷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가 결합 정위치로 결합되면, 결합 링 부재(40)의 록킹 홀(31)과 나사 구멍(32)이 중심선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록킹 볼트(33)를 회전시켜 록킹 위치(H1)로 이동시키면, 록킹 볼트(33)의 하단의 록핀 부(35)가 록킹 홀(31) 안으로 진입하여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의 결합을 록킹하게 된다.
제2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록킹 볼트(33)가 언록킹 위치(H2)에 위치하여 언록킹 상태일 때에는, 록킹 볼트(33)의 상단면이 결합 링 부재(40)의 외주면 위로 돌출되게 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볼트(33)가 록킹 위치(H1)에 위치하여 록킹 상태일 때에는, 록킹 볼트(33)의 상단면이 결합 링 부재(40)에 함몰되게 된다. 따라서, 록킹 볼트(33)의 상단의 돌출 여부의 확인만으로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의 록킹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커넥터가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된 제3실시예의 결합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13)에 원주방향을 따라 단일의 환형 홈 형태의 록킹 홀(31)이 구비된다. 그리고,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의 결합은 링 너트(50)와 커넥터 하우징(13)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 나사부(18)의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커넥터 하우징(13)에는 스크류 결합을 위한 수 나사부(18)가 구비된다. 링 너트(50)는 내측면에 수 나사부(18)와 나사결합식으로 결합하는 암 나사부(51)가 형성되고, 록킹 볼트(33)가 나사결합되는 나사 구멍(3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링 너트(50)를 결합방향으로 회전시켜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가 결합 정위치에 결합되면, 링 너트(50)의 나사 구멍(32)과 커넥터 하우징(13)의 록킹 홀(31)이 중심선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록킹 볼트(33)를 회전시켜 록킹 위치(H1)로 이동시키면, 록킹 볼트(33)의 하단의 록핀 부(35)가 록킹 홀(31)안으로 진입하여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의 결합을 록킹하게 된다.
제3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록킹 볼트(33)가 언록킹 위치에 위치하여 언록킹 상태일 때에는, 록킹 볼트(33)의 상단면이 링 너트(5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볼트(33)가 록킹 위치(H1)에 위치하여 록킹 상태일 때에는, 록킹 볼트(33)의 상단면이 링 너트(50)에 외주면과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록킹 볼트(33)의 상단의 돌출 여부의 확인만으로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의 록킹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1: 록킹 위치 H2: 언록킹 위치
10: 피메일커넥터
11: 케이블 결합부 12: 피메일 결합부
13: 하우징 14: 암 단자
15: 걸림홈 18: 수 나사부
20: 메일커넥터 21: 메일 결합부
23: 숫 단자 24: 몸체
25: 후크 부재 25a: 걸림돌기
26: 내측 슬리브 27: 외측 슬리브
28: 관통홀 29: 리세스
30: 잠금장치 31: 록킹 홀
31a: 내측 록킹홀 31b: 외측 록킹홀
32: 나사 구멍 33: 록킹 볼트
34: 나사부 35: 록핀 부
36: 렌치 홈 40: 결합 링 부재
41: 캠핀 42: 캠 트랙
50: 링 너트 51: 암 나사부
100: 커넥터 장치

Claims (8)

  1. 피메일커넥터(10); 메일커넥터(20);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10)와 상기 메일커넥터(20)의 결합을 록킹하기 위한 잠금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10)는 한쪽 선단에 피메일 결합부(12)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커넥터(20)는 상기 피메일 결합부(12)에 결합되는 메일 결합부(21)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장치(30)는 상기 메일 결합부(21)에 구비된 록킹 홀(31); 상기 피메일 결합부(12)의 몸체(24)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일 결합부(21)가 상기 피메일 결합부(12)의 결합 정위치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록킹 홀(31)과 동축으로 정렬되는 나사 구멍(32); 상기 나사 구멍(32)에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록킹 홀(31)에 진입하여 상호 결합된 상기 피메일커넥터(10)와 상기 메일커넥터(20)를 록킹시키는 록킹 위치(H1)와, 상기 피메일커넥터(10)와 상기 메일커넥터(20)를 언록킹시키는 언록킹 위치(H2)로 이동할 수 있는 록킹 볼트(33)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결합부(21)는 몸체(24); 상기 몸체(24)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선단에 내측 록킹홀(31a)이 관통형성된 내측 슬리브(26); 상기 내측 슬리브(26)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결합 정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내측 록킹홀(31a)과 중심선 정렬되는 외측 록킹홀(31b)이 관통형성된 외측 슬리브(27)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홀(31)은 내측 록킹홀(31a)과 외측 록킹홀(31b)로 이루어지는,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볼트(33)는 상기 나사 구멍(3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34); 및 상기 록킹 홀(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34)의 하단에서 동축방향으로 연장된 록핀 부(35)를 포함하고,
    상기 록핀 부(35)가 상기 록킹 홀(31)에 결합하였을 때 상단면이 나사 구멍(32)이 형성된 피메일 결합부(12)의 하우징(13)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되는,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슬리브(26)는 외측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선단에 걸림돌기(25a)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후크 부재(25)를 가지며,
    상기 후크 부재(25)는, 상기 메일 결합부(21)가 상기 피메일 결합부(12)에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25a)가 상기 피메일 결합부(12)의 내측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15)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외측 슬리브(27)는 상기 후크 부재(25)의 걸림돌기(25a)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돌기(25a)를 돌출되게 통과시키는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 슬리브(27)가 전진하여 상기 관통홀(28)이 후크 부재(25)의 걸림돌기(25a)의 위치에 놓일 때, 후크 부재(25)의 걸림돌기(25a)는 상기 관통홀(28)을 통과하여 상기 외측 슬리브(27)의 외측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넥터(10) 또는 상기 메일커넥터(20)가 전기자동차 충전용 휴대용 충전기 또는 비상용 충전기에 구비되어 있는 것인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넥터(10) 또는 상기 메일커넥터(20)가 전기자동차 충전용 케이블에 구비되어 있는 것인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KR2020210001516U 2021-05-13 2021-05-13 잠금 장치를 구비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KR200494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16U KR200494857Y1 (ko) 2021-05-13 2021-05-13 잠금 장치를 구비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16U KR200494857Y1 (ko) 2021-05-13 2021-05-13 잠금 장치를 구비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57Y1 true KR200494857Y1 (ko) 2022-01-11

Family

ID=7934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516U KR200494857Y1 (ko) 2021-05-13 2021-05-13 잠금 장치를 구비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5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528A (ko) * 2000-03-22 2001-10-26 모승기 전자 기기용 커넥터
KR20060068122A (ko) * 2004-12-16 2006-06-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090012198U (ko) 2008-05-27 2009-12-02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풀림이 방지되고 잠금해제가 용이한 전기접속용 커넥터
JP2010272364A (ja) * 2009-05-21 2010-12-02 Sei Optifrontier Co Ltd 雌コネクタおよび雄コネクタ並びにコネクタ付き電気ケーブル
KR20180124143A (ko) * 2016-04-04 2018-11-20 라디알 신속 분리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갖춘 연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528A (ko) * 2000-03-22 2001-10-26 모승기 전자 기기용 커넥터
KR20060068122A (ko) * 2004-12-16 2006-06-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090012198U (ko) 2008-05-27 2009-12-02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풀림이 방지되고 잠금해제가 용이한 전기접속용 커넥터
JP2010272364A (ja) * 2009-05-21 2010-12-02 Sei Optifrontier Co Ltd 雌コネクタおよび雄コネクタ並びにコネクタ付き電気ケーブル
KR20180124143A (ko) * 2016-04-04 2018-11-20 라디알 신속 분리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요넷-유형의 록킹 장치를 갖춘 연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2066A (en) Safety locking means for industrial grade electrical connectors
CN101133521B (zh) 一种连接系统和用于连接到插口上的插塞
EP0449737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601277B1 (en) Puller tool for bolt seals and the like
DE102005001939B4 (de) Rundsteckverbinderanordnung
US5564938A (en) Lock device for use with coaxial cable connection
US20130109243A1 (en) Connector
GB2299460A (en) Vibration resistant locking coupling
GB2340571A (en) A connector for use in coupling pipe joints of risers
MX2009007716A (es) Espiga de fijacion.
US20190104714A1 (en) Twist Lock Outrigger Mount and Security Fastener
US6412315B1 (en) Box hitch receiver lock
CN109643876A (zh) 弯头连接器
PL193194B1 (pl) Urządzenie do zaciskania kabla w gniazdach lub wtykach elektrycznych
KR200494857Y1 (ko) 잠금 장치를 구비한 원형 전기 커넥터 장치
US4530559A (en) Locking means for a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
US4354723A (en) Electric plug
KR200496125Y1 (ko) 잠금 장치를 구비한 스크류 결합형의 전기 커넥터 장치
US20050208812A1 (en) Electronic plug with short-length screw locking
US20150368928A1 (en) Security lock with deformable latch
KR200496124Y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베이요넷 결합형의 전기 커넥터 장치
US5964598A (en) Electrical apparatus lockout device
CN209592504U (zh) 一种提供十六种防呆键位的双重锁紧电连接器
US9666978B2 (en) Cable clamping system for strain relief and grounding
CN210607849U (zh) 一种子母式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