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674B1 -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674B1
KR102205674B1 KR1020190112115A KR20190112115A KR102205674B1 KR 102205674 B1 KR102205674 B1 KR 102205674B1 KR 1020190112115 A KR1020190112115 A KR 1020190112115A KR 20190112115 A KR20190112115 A KR 20190112115A KR 102205674 B1 KR102205674 B1 KR 102205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alm cactus
composition
improving cognitive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미경
김주연
정정호
한은혜
이상호
윤수민
이소연
Original Assignee
고려은단주식회사
고려은단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은단주식회사, 고려은단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은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3Cactaceae (Cactus family), e.g. pricklypear or Cer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상승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신경세포 손상에 의한 인지기능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skills comprising the mixture of Aster glehni extract and Opuntia ficus-indica extract}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혼합하여 인지기능 개선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사람들은 각종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가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이다.
치매(dementia)는 뇌기능의 손상으로 인한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사고력 등의 지적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퇴화하는 질환으로, 현대사회에서 노인 인구의 비율이 급증함에 따라 환자의 비율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스트레스 및 수면부족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치매의 발병연령이 낮아지고 있다. 치매는 사회 경제적 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가족구성원의 붕괴를 야기하므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는 건강기능식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치매의 발병 원인으로 크게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혈관성 치매로 나누어진다. 전체 치매유형 중 70%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뇌의 특정 부위에 β-아밀로이드(β-amyloid, Aβ)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뇌의 광범위한 구조이상 및 콜린성 뉴런 파괴로 인한 기억력 감퇴가 주요 증상이다.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APP)이 세크레타제(secretase)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다.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을 분해하는 세크레타제는 α-세크레타제, β-세크레타제 및 γ-세크레타제가 있으며 정상상태에서는 α-세크레타제와 γ-세크레타제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을 분해하여 용해되어 배출되기 쉬운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생성되지만, 알츠하이머병에서는 β-세크레타제와 γ-세크레타제에 의하여 응집성이 강한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생성되어 세포 내에 축적하게 된다.
β-아밀로이드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만드는 대뇌 부분과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를 파괴하여 아세틸콜린의 활성 상태를 감소시키며,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하여 산화적 손상을 유발함으로써 신경세포 사멸을 일으키고 염증에 관련하는 기전이 뇌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정상적인 뇌기능을 할 수 없게 되고, 신경세포는 일단 손상되면 다시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체내에는 과잉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항산화 방어체계가 있으나, 이러한 항산화 방어체계가 잘 작동되지 않으면 노화가 가속되고 각종 질병이 발생하는 위험도는 증가하게 된다. 뇌는 산화 스트레스에 손상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DNA의 붕괴, 세포막 손상, 단백질 산화, 신경세포 사멸과 관련되는 신경 퇴행성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뇌세포를 보호하고 활동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를 원활하게 공급하여 신경세포의 손상을 일으키는 요인을 감소시키면 인지기능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울릉도의 대표적인 자생식물인 섬쑥부쟁이(Aster glehni)는 다년생 식물로 국화과 개미취속에 속하며 모양은 취나물과 유사하다. 줄기는 1m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온몸에 짧은 털이 붙어있어 껄껄한 촉감을 가진다. 잎은 어긋나게 자라고 잎꼭지가 있으며, 버들잎 모양 또는 넓은 버들잎 모양으로 밑부분은 좁고 끝이 날카로우며 가장자리에 성긴 톱니가 있고 잔털이 성기게 있다. 섬쑥부쟁이는 8월에서 9월에 걸쳐 하얀색의 꽃을 피우며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진다.
울릉도의 섬쑥부쟁이는 육지에서 나는 쑥부쟁이보다 잎이 더 크고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생산량이 많아 오래 전부터 나물로 식용하였으며 국내산 산채류 중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섬쑥부쟁이의 전초는 기침, 이뇨, 천식에 대한 약리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기의 열을 내리고 편도선염의 거담제 역할을 하는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특허공개 제10-2018-0120604호는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은 아메리카 남부가 원산지인 선인장과(Cact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예로부터 민간에서 화상, 부종, 소화불량, 종기 및 기관지 천식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손바닥선인장의 열매 및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은 진통 및 소염작용에 의한 위점막 보호효과, 혈당강하작용, 면역증강작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제주도에서 특용작물로 다량 경작되고 있으며, 건강보조식품과 비누와 같은 미용제품으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또한 손바닥선인장의 라디칼 소거활성,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억제활성, 항알레르기 활성 및 열매의 70% 메탄올 추출물의 신경손상 억제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특허공개 제10-2003-0035974호는 유효성분으로 손바닥선인장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질환, 허혈성 질환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공개 제10-2008-0029370호는 유효성분으로 손바닥선인장 부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신경 질환, 뇌혈관 질환 및 심혈관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공개 제10-2012-0010426호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또는 기억력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등록 제10-1787494호는 손바닥 선인장의 용매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하여 얻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 매개성 인지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12060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3597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2937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1042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87494호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지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은, 섬쑥부쟁이 추출물 200~600㎍에 대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25~100㎍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섬쑥부쟁이 추출물 200~400㎍에 대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25~50㎍를 혼합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섬쑥부쟁이를 절단 또는 조분쇄하는 단계; 상기 절단 또는 조분쇄한 섬쑥부쟁이에 섬쑥부쟁이 중량의 13~17배 부피(v/w)의 추출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섬쑥부쟁이와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70~80℃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14~16brix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여과액에 고형분중량 대비 0.8~1.2배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하는 단계; 부형제를 첨가한 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및 살균 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손바닥선인장을 절단 또는 조분쇄하는 단계; 상기 절단 또는 조분쇄한 손바닥선인장에 손바닥선인장 중량의 13~17배 부피(v/w)의 추출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손바닥선인장과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75~85℃에서 1.5~2.5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14~16brix로 농축하는 단계;농축된 여과액에 고형분중량 대비 0.8~1.2배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하는 단계; 부형제를 첨가한 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및 살균 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용매는 70% 에탄올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상승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는 용량을 높여도 최대 세포생존율이 90% 미만이었으나,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혼합 사용할 경우 세포생존율이 100% 이상으로 현저하게 높아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신경세포 손상에 의한 인지기능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제조
섬쑥부쟁이는 전초, 잎, 줄기, 꽃 및 뿌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한다. 섬쑥부쟁이의 지상부인 잎, 줄기 및 꽃을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쑥부쟁이는 채취하여 세척한 후 절단 또는 조분쇄하여 사용한다.
절단 또는 조분쇄한 섬쑥부쟁이에 섬쑥부쟁이 중량의 13~17배, 바람직하게는 14~16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 부피(v/w)의 추출용매를 혼합한다.
섬쑥부쟁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로는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다. 에탄올 수용액은 50~80%(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7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섬쑥부쟁이와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70~80℃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한다. 7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환류추출, 냉각추출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환류추출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은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14~16brix로 농축한다. 15brix로 농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농축된 여과액에 여과액의 고형분중량 대비 0.8~1.2배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한다. 부형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추출물이 주위의 수분을 흡수하여 단단하게 굳거나 엿처럼 변하는 현상을 막고 지속적으로 분말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여과액의 고형분 중량 대비 동일한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한다. 부형제로는 덱스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형제를 첨가한 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살균한다. 9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살균 후 분무건조하여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얻는다.
2.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제조
손바닥선인장은 채취하여 세척한 후 절단 또는 조분쇄하여 사용한다. 손바닥선인장은 줄기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 또는 조분쇄한 손바닥선인장에 손바닥선인장 중량의 13~17배, 바람직하게는 14~16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 부피(v/w)의 추출용매를 혼합한다.
손바닥선인장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로는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다. 에탄올 수용액은 50~80%(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7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손바닥선인장과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75~85℃에서 1.5~2.5시간 동안 추출한다. 8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환류추출, 냉각추출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환류추출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단계는 1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2회 이상 추출된 추출물 및 각 추출 후 얻어진 여과액을 혼합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14~16brix로 농축한다. 15brix로 농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농축된 여과액에 여과액의 고형분중량 대비 0.8~1.2배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한다. 부형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동일하게, 추출물이 주위의 수분을 흡수하여 단단하게 굳거나 엿처럼 변하는 현상을 막고 지속적으로 분말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여과액의 고형분 중량 대비 동일한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한다. 부형제로는 덱스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형제를 첨가한 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살균한다. 9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살균 후 분무건조하여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얻는다.
3.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섬쑥부쟁이 추출물 200~600㎍에 대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25~100㎍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섬쑥부쟁이 추출물 200~400㎍에 대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25~50㎍를 혼합한다. 이때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얻은 추물물을 증류수 등에 용해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증류수에 섬쑥부쟁이 추출물 200~600㎍/㎖,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25~100㎍/㎖ 농도로 용해시킨 것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은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한 세포생장저해를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다. 따라서,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은 신경세포의 손상에 의한 인지기능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기능관련 질환은 연령-관련 학습 및 기억 장애, 연령-관련 기억 상실, 혈관성 치매, 두부 외상, 뇌졸중, 뇌졸중 후 발생하는 치매(뇌졸중 후 치매), 외상 후 치매, 일반적인 집중력 장애, 학습 및 기억 문제가 있는 아동에서의 집중력 장애, 알츠하이머, 진행성 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선조체 흑질 변성(Striatonigral degeneration), 헌팅턴병,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피질 기저핵 변성(Cortico-basal ganlionic degeneration), 광범위 레비소체병(Diffuse Lewy body disease), 파킨슨-ALS-치매 복합증(Parkinson-ALS-dementia complex of Guam), 픽병(Pick's disease), 전두엽 변성을 동반한 치매, 파킨슨병, 시상 변성,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HIV 치매, 치매를 동반한 정신 분열증 및 코르사코프 정신병(Korsakoff's psychosis)과 관련된 인지 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제조
섬쑥부쟁이 지상부를 채취하여 조분쇄하였다. 조분쇄한 섬쑥부쟁이 지상부 185kg에 70% 에탄올 수용액 2,000ℓ를 투입하여 7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에 여과보조제를 첨가하여 필터프레스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15brix로 농축하고, 고형분 대비 동량의 덱스트린을 첨가하였다. 덱스트린을 첨가한 후 9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하였다. 살균 후 분무건조하여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제조
손바닥선인장 줄기를 채취하여 조분쇄하였다. 조분쇄한 손바닥선인장 줄기 160kg에 70% 에탄올 수용액 2,400ℓ를 투입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에 여과보조제를 첨가하여 필터프레스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15brix로 농축하고, 고형분 대비 동량의 덱스트린을 첨가하였다. 덱스트린을 첨가한 후 9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하였다. 살균 후 분무건조하여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증류수에 200㎍/㎖로 용해시키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증류수에 50㎍/㎖로 용해시킨 후, 이 둘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증류수에 400㎍/㎖로 용해시키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증류수에 50㎍/㎖로 용해시킨 후, 이 둘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증류수에 600㎍/㎖로 용해시키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증류수에 50㎍/㎖로 용해시킨 후, 이 둘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증류수에 50㎍/㎖로 용해시키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증류수에 50㎍/㎖로 용해시킨 후, 이 둘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증류수에 800㎍/㎖로 용해시키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증류수에 50㎍/㎖로 용해시킨 후, 이 둘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세포의 준비
신경세포사멸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로는 SH-SY5Y 세포(human neuroblastoma cells, 사람 신경아세포종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에 필요한 시약은 Gibco 제품을 사용하였다.
세포의 컨플루언시(confluency)가 80%일 때 계대배양하였다. 세포가 배양되고 있는 T75 플라스크의 배지(DMEM + 10% FBS +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를 석션(suction)한 후 DPBS 10㎖로 세척하였다. 세척 후 트립신-EDTA 3㎖를 넣고 CO2 인큐베이터(37℃, 5% CO2)에서 3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3,000rpm으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 펠렛을 1㎖ 배지에 풀어주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방법
SH-SY5Y 세포를 DMEM 배지(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첨가)를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104세포/웰로 접종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H-SY5Y 세포가 배양된 각 웰에 실험시료를 처리하고 1시간 후에 신경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물질인 β-아밀로이드(amyloid-beta25-35, Aβ)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Aβ를 처리하면 신경세포사멸이 유발된다.
Aβ를 처리하고 24시간 후,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활성으로 인해 생성된 포마잔(formazan)을 측정하는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즉, 5mg/㎖의 MTT 용액을 10㎕씩 넣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보라색 결정이 생성된 것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100㎕ DMSO로 포마잔 결정을 용해시켰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신경세포사멸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신경세포사멸 억제효과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세포(대조군)의 생존율과 비교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신경세포사멸 억제효과 확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섬쑥부쟁이 추출물(AG)을 0, 50, 100, 200, 400, 600 및 800㎍/㎖로 사용하여 신경세포사멸 억제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AG 농도(㎍/㎖) 세포생존율(%)


실험군
0 61.8
50 60.6
100 69.1
200 79.9
400 87.9
600 75.2
800 68.0
대조군 - 100.0
상기 표 1의 결과에서와 같이,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400㎍/㎖일 때 세포생존율이 가장 높았으며, 400㎍/㎖에서의 세포생존율도 87.9%로 정상세포인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400㎍/㎖ 보다 높은 용량에서는 오히려 생존율이 낮아졌다.
<실험예 2>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신경세포사멸 억제효과 확인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OF)을 0, 12.5, 25, 50 및 100㎍/㎖로 사용하여 신경세포사멸 억제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OF 농도(㎍/㎖) 세포생존율(%)


실험군
0 65.7
12.5 66.1
25 74.0
50 75.8
100 78.3
대조군 - 100.0
상기 표 2의 결과에서와 같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용량이 높아짐에 따라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으나, 25㎍/㎖, 75㎍/㎖, 100㎍/㎖에서 세포생존율이 각각 74.0, 75.8, 78.3으로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가장 높은 100㎍/㎖에서의 세포생존율도 78.3으로 정상세포인 대조군에 비해 많이 낮았다.
<실험예 3>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의 신경세포사멸 억제효과 확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섬쑥부쟁이 추출물(AG) 50, 100, 200, 400, 600 및 800㎍/㎖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OF) 50㎍/㎖를 각각 혼합하여 신경세포사멸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와 함께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혼합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의 증가량을 함께 나타내었다.
AG 농도
(㎍/㎖)
세포생존율(%) 세포생존율의 증가량
(%)
AG 단독 AG + OF



실험군
0 61.8
50 60.6 68.4 7.8
100 69.1 77.4 8.3
200 79.9 109.8 29.9
400 87.9 113.7 25.8
600 75.2 100.1 24.9
800 68.0 51.8 -16.2
대조군 - 100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최대 세포생존율이 87.9%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섬쑥부쟁이 추출물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50㎍/㎖를 혼합하였을 때에는 섬쑥부쟁이 추출물 200~600㎍/㎖에서 세포생존율이 100%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세포생존율의 증가량은 24.9~29.9%이었다. 세포생존율의 증가량은 혼합시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200㎍/㎖로 사용할 때 가장 높았고, 세포생존율은 400㎍/㎖로 사용할 때 113.7%로 가장 높았다. 혼합시 섬쑥부쟁이 추출물 50㎍/㎖와 100㎍/㎖에서는 세포생존율의 증가량이 크지 않았고, 800㎍/㎖에서는 오히려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섬쑥부쟁이 추출물 200~600㎍/㎖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50㎍/㎖를 혼합함으로써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세포생존율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섬쑥부쟁이 추출물이나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용량을 높여도 최대 세포생존율이 90% 미만으로 낮았으나,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세포생존율을 100% 이상으로 현저하게 높일 수 있었다.

Claims (6)

  1. 섬쑥부쟁이 추출물 200~600㎍에 대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25~100㎍의 비율로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사멸 억제에 의한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 200~400㎍에 대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2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사멸 억제에 의한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섬쑥부쟁이를 절단 또는 조분쇄하는 단계;
    상기 절단 또는 조분쇄한 섬쑥부쟁이에 섬쑥부쟁이 중량의 13~17배 부피(v/w)의 추출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섬쑥부쟁이와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70~80℃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14~16brix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여과액에 고형분중량 대비 0.8~1.2배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하는 단계;
    부형제를 첨가한 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및
    살균 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으로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사멸 억제에 의한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손바닥선인장을 절단 또는 조분쇄하는 단계;
    상기 절단 또는 조분쇄한 손바닥선인장에 손바닥선인장 중량의 13~17배 부피(v/w)의 추출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손바닥선인장과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75~85℃에서 1.5~2.5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14~16brix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여과액에 고형분중량 대비 0.8~1.2배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하는 단계;
    부형제를 첨가한 후 90~100℃에서 50~7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및
    살균 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으로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사멸 억제에 의한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70%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사멸 억제에 의한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190112115A 2019-09-10 2019-09-10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05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115A KR102205674B1 (ko) 2019-09-10 2019-09-10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115A KR102205674B1 (ko) 2019-09-10 2019-09-10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674B1 true KR102205674B1 (ko) 2021-01-21

Family

ID=7423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115A KR102205674B1 (ko) 2019-09-10 2019-09-10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6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974A (ko) 2001-10-29 2003-05-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080029370A (ko) 2006-09-29 2008-04-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120010426A (ko) 2010-07-26 2012-02-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학습 및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KR101787494B1 (ko) 2016-11-01 2017-10-18 고려은단주식회사 손바닥 선인장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0604A (ko) 2017-04-27 2018-11-06 고려은단주식회사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974A (ko) 2001-10-29 2003-05-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080029370A (ko) 2006-09-29 2008-04-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120010426A (ko) 2010-07-26 2012-02-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학습 및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KR101787494B1 (ko) 2016-11-01 2017-10-18 고려은단주식회사 손바닥 선인장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0604A (ko) 2017-04-27 2018-11-06 고려은단주식회사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5630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1655342B1 (ko) 초정 광천수를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DE60027481T2 (de)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chronischer venöser Insuffizienz mit einem Extrakt aus Blättern von roten Weinreben
KR20180133372A (ko) 미강발효된 유산균 발효액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2093A (ko)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5674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05677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비타민 b12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1164A (ko) 강황, 모과 및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EP2132994B1 (de) Fermentation von Granatapfelsaft-haltigen Lösungen durch Saccharomyces boulardii und Lactobacillen, daraus erhältliche Fermentationsprodukte und deren Verwendung
KR102261340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981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비타민 b 복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89344B1 (ko) 패각 용해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어진 오크라, 여주 및 노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8251B1 (ko) 바우히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491191A1 (de) Extrakte von Litchi sinensis enthaltend oligomere Proanthocyanidine
KR102440534B1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DE60316681T2 (de) Dampf-Fraktion von Glycine max (L.) merr. Samen und entsprechende Zusammensetzung
KR102342410B1 (ko) 비정제당 벌노랑이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그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5660A (ko)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EP1750735B1 (de) Verwendung eines extrakts von aloysia/verbena/lippia triphylla/citriodora zur herstellung eines medikaments zur behandlung chronischer und/oder entzündlicher erkrankungen
KR102480364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5509B1 (ko) 호랑가시나무 및 마전자나무를 효소 처리한 혼합 추출물의 녹내장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