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515B1 - 비상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515B1
KR102205515B1 KR1020190051325A KR20190051325A KR102205515B1 KR 102205515 B1 KR102205515 B1 KR 102205515B1 KR 1020190051325 A KR1020190051325 A KR 1020190051325A KR 20190051325 A KR20190051325 A KR 20190051325A KR 102205515 B1 KR102205515 B1 KR 10220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hain
support
caterpillar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358A (ko
Inventor
한정권
Original Assignee
(주)디딤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딤돌 filed Critical (주)디딤돌
Priority to KR102019005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5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탈출 홀을 관통하여 한쪽 방향으로 편중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는 기어를 구비하고, 기어와 연결되어 프레임의 축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무한궤도; 및 기설정된 간격으로 무한궤도에 복수로 결합되어 무한궤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 무한궤도에 복수로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발판부를 통해서 해당 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연속해서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어 대피자의 피난을 위한 대기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화재시 주로 발생하는 질식사 등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비상탈출 장치{Emergency esca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 해당 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집합건물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시 대피할 수 있도록 완강기, 피난사다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피난시설을 구비하고 있거나, 또는 신속한 대피를 위해 복수의 비상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중에서 비상탈출장치로 많이 쓰이는 완강기는 고층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탈출 상황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외부로 통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로프장치로 서서히 내려올 수 있기 때문에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피난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다양한 시설에도 불구하고 일부의 건물에서는 화재시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행하지 못해 매년 많은 수의 사망자 및 부상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원인 중 하나는, 한 공간에 복수의 대피자가 존재하는 경우, 완강기는 한 명의 대피자가 완강수단을 이용하여 탈출을 완료한 후 다른 대피자가 다시 완강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완강수단의 하강 완료 후 안전벨트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나머지 다른 대피자들의 연속적이고 신속한 탈출을 유도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건물 또는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자의 이동을 안내하는 방법이 있으나, 화재 등으로 인해서 비상계단을 접근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질식에 의해 사망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715호, 2008년 9월 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 해당 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상하층 슬래브에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형성되는 비상탈출 홀을 따라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비상탈출 장치는 비상탈출 홀을 관통하여 한쪽 방향으로 편중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는 기어를 구비하고, 기어와 연결되어 프레임의 축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무한궤도; 및 기설정된 간격으로 무한궤도에 복수로 결합되어 무한궤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손잡이 사이에 배치되며, 무한궤도의 회전에 따라 손잡이와 동시에 회전하는 발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판부는 일단이 무한궤도의 서로 이웃하는 롤러체인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이 바깥으로 돌출되어 무한궤도와 함께 회전하는 지지구; 및 지지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무한궤도의 회전에 따라 지지구에서 회전하면서 기설정된 위치에서 지지구의 돌출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대피자의 발을 지지하는 회전발판;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구는 종단에서 회전구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회전발판은 기설정된 위치에서 돌출구에 지지되어 지지구의 돌출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기설정된 위치의 타측면에서 돌출구와 접촉이 해제되면서 지지구의 돌출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 장치는 건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 무한궤도에 복수로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발판부를 통해서 해당 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연속해서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어 대피자의 피난을 위한 대기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화재시 주로 발생하는 질식사 등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손잡이부가 롤러체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에 대피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발판이 접혀지는 구동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발판이 펼쳐지는 구동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손잡이부가 롤러체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에 대피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10)는 프레임(110), 무한궤도(120), 손잡이(130) 및 감속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10)은 건물의 상하층 슬래브(S1, S2)에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형성되는 비상탈출 홀(H1, H2)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상탈출 홀(H1, H2)을 관통하여 한쪽 방향으로 편중하여 배치된다. 비상탈출 홀(H1, H2)은 상하층에 배치되는 슬래브(S1, S2)의 각각에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대피자가 내려오는 도중에 하층으로 연속해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피난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한 쌍의 절개프레임(111a, 111b)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대략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110)은 절개프레임(111a, 111b)의 개방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결합되며, 대략적으로 중공의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무한궤도(120)가 배치된다. 절개프레임(111a, 111b)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때에, 서로 마주보는 면 각각에 안내프레임(112)이 결합된다.
안내프레임(112)은 단면이 'H'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프레임(111a, 111b)에 결합된다. 안내프레임(112)은 서로 이웃하는 면이 완전히 맞닿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간극(G)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며, 형성된 간극(G)은 무한궤도(120)에 연결된 손잡이(130)가 외부로 돌출되어 이동하는 안내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안내프레임(112)은 'H' 단면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서로 이웃하는 절개프레임(111a, 111b)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고, 형성된 공간을 따라 무한궤도(120)의 롤러체인(12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프레임(112)은 형성된 공간을 따라 무한궤도(120)의 안정적인 이동을 안내할 수 있어, 대피자가 손잡이(130)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흔들림 발생을 억제하여 대피자의 안전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무한궤도(120)는 프레임(1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는 기어(121)와 기어(121)에 연결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롤러체인(122)을 구비한다. 무한궤도(120)는 대피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대피자의 자중으로 기어(121)가 회전하면서 롤러체인(122)을 회전시키고, 각 롤러체인(122)에 연결된 복수의 손잡이(130)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롤러체인(122)은 서로 이웃하는 안내프레임(112)의 내측 공간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무한궤도(120)는 외부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대피자가 손잡이(130)를 파지하게 되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무한궤도(120)는 대파자의 몸무게를 활용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전력공급이 제한된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무한궤도(12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손잡이(130)를 잡기 위한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 노력할 필요가 없이 신속하면서 지속적으로 안전한 탑승을 유도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무한궤도(120)의 롤러체인(122)에 복수로 결합되어 무한궤도(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서, 제1 지지구(131) 및 파지부(132)를 구비한다.
제1 지지구(131)는 롤로체인(122)에 결합되어 간극(G) 사이로 돌출된다. 파지부(132)는 돌출된 제1 지지구(131)의 종단에 결합되어 대피자의 양손을 파지할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결합된다. 제1 지지구(131)는 롤러체인(122)의 스트립(122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31)는 롤러체인(122)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항상 수직으로 배치되어 대피자가 파지할 때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손잡이(130)는 무한궤도(140)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브레이크(미표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브레이크는 무한궤도(140)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무한궤도(140)의 구동의 정지가 필요할 때 일시적으로 무한궤도(140)를 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감속기(140)는 기어(121)와 결합되어 무한궤도(12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무한궤도(120)를 통해 피난자를 하방향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회전축(141), 밸트(142) 및 감속기어(143)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141)은 일단이 기어(121)에 연결되고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밸트(142)는 감속기어(143)와 연결된다.
감속기어(143)는 회전하는 기어(12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무한궤도(120)의 구동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한궤도(120)는 대피자의 자중에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속도가 다르게 형성된다. 대피자가 가벼운 경우라도, 무한궤도(120)에 탑승하게 되면 무한궤도(120)는 빠르게 회전하면서 탑승자를 자유낙하와 같은 속도로 추락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감속기(14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한궤도(120)가 회전할 때에, 그 속도를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대피자를 안전하게 하층으로 유도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발판이 접혀지는 구동을 나타내는 동작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발판이 펼쳐지는 구동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는 프레임(110), 무한궤도(120), 손잡이(130), 감속기(140) 및 발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프레임(110), 무한궤도(120), 손잡이(130) 및 감속기(14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발판(15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발판부(150)는 복수의 손잡이(130) 사이에 배치되어 무한궤도(120)의 회전에 따라 손잡이(130)와 동시에 회전한다. 발판부(150)는 무한궤도(120)와 동일한 갯수로 구비되어 각 손잡이(130)와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서, 제2 지지구(151) 및 회전발판(15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지구(151)는 일단이 서로 이웃하는 롤러체인(122)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이 바깥으로 돌출되어 무한궤도(120)와 함께 회전한다. 제2 지지구(151)는 롤러체인(122)의 스트립(12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구(151)는 롤러체인(122)의 스트립(1221)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트립(1221)에 대해서 항상 수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지지구(151)는 제1 지지구(131)와 다르게 종단에 돌출형성되는 돌출구(15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돌출구(1511)는 제2 지지구(151)의 종단에서 양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무한궤도(120)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발판(152)의 위치에 따라 회전발판(152)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발판(152)은 제2 지지구(1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무한궤도(120)의 회전에 따라 제2 지지구(151)에서 회전하면서 기설정된 위치에서 제2 지지구(151)의 돌출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대피자의 발을 지지하거나 평행하게 배치된다. 회전발판(152)은 기설정된 위치에서 돌출구(1511)에 지지되어 제2 지지구(151)의 돌출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기설정된 위치의 타측면에서 돌출구(1511)와 접촉이 해제되면서 제2 지지구(151)의 돌출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발판(152)이 제2 지지구(151)에 결합될 때에, 무한궤도(120)에 근접한 위치에 편중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회전발판(152)이 무한궤도(120)에 편중되도록 결합되면, 회전발판(152)은 무한궤도(120) 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돌출구(1511)와 접촉되는 거리가 길어져 회전발판(152)의 모멘트 저항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비상탈출 장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회전발판(152)이 일측면(좌측)에 있을 때에, 회전발판(152)은 프레임(110)의 축방향과 동일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제2 지지구(151)는 롤러체인(122) 사이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롤러체인(122)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도 4의 발판부 150a 및 도 5 참조). 롤러체인(122)이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회전발판(152)이 프레임(110)의 상단을 넘어갈 때, 회전발판(152)은 180도 회전하면서 돌출구(1511)에 지지되어 무한궤도(120) 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대피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회전발판(152)이 타측면(우측)의 프레임(110)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넘아가면서 회전하게 되면, 회전발판(152)은 돌출구(1511)와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하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서 프레임(110)의 축방향과 동일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접혀지게 된다(도 4의 발판부 150b 및 도 6 참조).
이와 같이, 회전발판(152)은 회전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위치에서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대피자의 발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타측에서는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홀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대피자가 홀에 빠지는 것과 시스템을 더욱 컴팩트하게 구현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 장치에 의하면, 건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 무한궤도에 복수로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발판부를 통해서 해당 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연속해서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어 대피자의 피난을 위한 대기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화재시 주로 발생하는 질식사 등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비상탈출 장치 110 : 프레임
111 : 절개프레임 112 : 안내 프레임
120 : 무한궤도 121 : 기어
122 : 롤러체인 1211 : 스트립
130 : 손잡이 131 : 제1 지지구
132 : 파지부 140 : 감속기
150 : 발판부 151 : 제2 지지구
1511 : 돌출구 152 : 회전발판

Claims (4)

  1. 건물의 상하층 슬래브에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형성되는 비상탈출 홀을 따라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비상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 홀을 관통하여 한쪽 방향으로 편중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는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의 축방향을 따라 루프를 형성하여 회전하는 롤러체인을 구비하는 무한궤도;
    상기 롤러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체인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롤러체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
    상기 복수의 손잡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무한궤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손잡이와 동시에 회전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단면형상이 대략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프레임의 개방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중공의 사각형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체인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절개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때에 서로 마주보는 면 각각에 'H' 형상의 안내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안내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면이 완전히 맞닿지 않도록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롤러체인에 연결되는 상기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롤러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간극 사이로 돌출되는 제1 지지구와 상기 제1 지지구의 종단에 결합되어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구는 상기 롤러체인의 스트립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체인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발판부는,
    상기 롤러체인의 스트립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체인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며, 종단에서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구를 구비하는 제2 지지구; 및
    상기 제2 지지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무한궤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지지구에서 회전하면서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지지구의 돌출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대피자의 발을 지지하는 회전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발판은,
    상기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돌출구에 지지되어 상기 제2 지지구의 돌출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기설정된 위치의 타측면에서 상기 돌출구와 접촉이 해제되면서 상기 지지구의 돌출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51325A 2019-05-02 2019-05-02 비상탈출 장치 KR10220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25A KR102205515B1 (ko) 2019-05-02 2019-05-02 비상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25A KR102205515B1 (ko) 2019-05-02 2019-05-02 비상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58A KR20200127358A (ko) 2020-11-11
KR102205515B1 true KR102205515B1 (ko) 2021-01-20

Family

ID=7345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25A KR102205515B1 (ko) 2019-05-02 2019-05-02 비상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5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77B1 (ko) * 2011-02-14 2011-05-0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945A (ja) * 1997-03-13 1998-09-22 Shinsoun Ko 換気装置付き非動力循環式ビル避難装置
KR20070087319A (ko) * 2006-02-23 2007-08-28 김영안 비상 승강장치
KR20100003715U (ko)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벽체고정형 완강기 설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77B1 (ko) * 2011-02-14 2011-05-0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58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895B1 (ko) 비상탈출 장치를 구비한 안전 대피 건물
KR200450338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829867B1 (ko) 고층 건물용 화재 대피 장치
KR20110003154A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US20040118635A1 (en)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210111500A (ko) 가변형 지주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KR102205515B1 (ko) 비상탈출 장치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2264809B1 (ko)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102321581B1 (ko) 발판의 추락 방지를 제공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090089943A (ko)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1913091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CN110725491B (zh) 一种逃生栏杆装置
CN211097116U (zh) 一种高层火灾双向逃生救援装置
RU27379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RU88274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DE10152833A1 (de) Personenrettungssystem aus hohen Gebäuden
CN210728453U (zh) 一种索道逃生器及其滑轨
KR102205499B1 (ko)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