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411B1 -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411B1
KR102205411B1 KR1020190044839A KR20190044839A KR102205411B1 KR 102205411 B1 KR102205411 B1 KR 102205411B1 KR 1020190044839 A KR1020190044839 A KR 1020190044839A KR 20190044839 A KR20190044839 A KR 20190044839A KR 102205411 B1 KR102205411 B1 KR 102205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branch
cryptocurrency
exchang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061A (ko
Inventor
지송학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블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블로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블로코
Priority to KR102019004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41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폐를 가치 변동성에 의하여 가치의 저장 수단으로 활용되는 마스터 코인과 각 국가의 법정화폐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된 가치를 가지므로 해당 국가의 실생활에서 법정화폐와 일정하게 연동 사용되는 다종의 브랜치 코인으로 관리하되 개인지갑에 관리하고 최소의 환전수수료 비용으로 환전하며 필요에 의하여 지정된 국가에서 마스터 코인과 브렌치 코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치 변동성이 있는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마스터 코인, 지정된 해당 특정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되는 가치이며 하나 이상의 다종으로 이루어지는 브랜치 코인, 마스터 코인과 다종의 브랜치 코인을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개인지갑,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요청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마스터 코인 지갑에 저장하거나 또는 브랜치 코인 지갑에 저장하고 검색 확인된 시세정보를 반영하여 암호화폐 가치를 가지는 마스터 코인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와 대응되는 가치의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하고 환전한 암호화폐를 환전 요청한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마스터 코인 지갑 또는 해당 브랜치 코인 지갑에 각각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여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는 가치저장의 기능과 지정된 국가에서 실제 생활에 사용되는 화폐로 신속하게 활용하되 낮은 환전수수료를 부담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Money exchange system of crypto currency with duplicated coin}
본 발명은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호화폐를 가치 변동성에 의하여 가치의 저장 수단으로 활용되는 마스터 코인과 각 국가의 법정화폐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된 가치를 가지므로 해당 국가의 실생활에서 법정화폐와 일정하게 연동 사용되는 다종의 브랜치 코인으로 관리하되 개인지갑에 관리하고 최소의 환전수수료 비용으로 환전하며 필요에 의하여 지정된 국가에서 마스터 코인과 브렌치 코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호화 화폐 또는 암호화폐(crypto currency)는 분산된 거래원장 격인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을 이용하고 암호화폐의 수집, 저장, 전송, 거래는 P2P(Peer to Peer)방식의 분산처리에 의한 것으로 중앙처리장치 없이 운영되어 관리비용의 절감, 편리하며 안전한 거래로 잘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약 1300 여종이 넘는 암호화폐 종류가 있고 나카모토 사토시(Nakamoto Satoshi)라는 가명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2009년 개발된 비트코인(BTC, Bitcoin)이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비트코인과 암호화폐는 같은 의미로 기재하고, 설명과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암호화폐는 인터넷에 연결되고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된 전 세계 모든 개인 컴퓨터(PC), 서버 등이 모여 시스템을 구성하며, 시스템 안에서 마이닝(Mining : 정보 가공을 뜻하는 Data Mining, ‘채굴’이라는 뜻으로 통용된다.)을 통하여 생성(수집)되며, 생성된 코인은 개인지갑에 보관, 거래, 환전, 지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폐(비트코인)는 현재 약 1,400 만개 이상이 채굴되어 유통되고 2140년 까지 2,100 만개가 순차로 채굴되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한다.
블록체인이란 블록(block)을 연이어 연결(chain)하는 것이고, 암호화폐 코인의 유효성, 신뢰성, 안전성, 투명성은 블록체인 기술에 의하여 부여된다.
블록체인 플랫폼은 계속 늘어나는 거래원장의 기록(블록)이고, 각 블록(컴퓨터, 서버, 노드)의 연결 방법은 암호화되어 있으며 즉, 일반적으로 ‘SHA256’에 의하여 해싱된 고유 암호해쉬를 가지고 있으며, 시스템 구성에 참여한 각 구성원(블록)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이전 블록의 암호해쉬와 타임스탬프와 거래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보안이 확보되는 안전성과, 특정 블록에 기록된 데이터는 모든 후속 블록의 수정 없이 수정될 수 없는 신뢰성과, 데이터 수정이 불가능하므로 거래의 유효성을 영구히 증명하며 각 구성원(컴퓨터)이 각자 분산된 정보를 보유하므로 투명성이 확보된 공개 분산 거래원장 또는 장부이다.
즉, 블록체인은 해당 암호화폐가 생성된 처음부터 지금까지의 거래 내역을 전부 암호 해쉬로 연결하여 기록한 거래장부와 같다.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은 P2P를 통한 문서와 데이터의 진위 증명, 주식-채권-등기부 발행 등과 같은 응용 분야로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이체비용 등 거래 수수료(비용)가 대폭 절감되고, 컴퓨터(PC) 또는 모바일 기기의 메모리 수단 등에 저장되므로 보관비용이 들지 않으며 해킹이나 위조, 변조에 의한 도난과 분실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가치저장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매우 뛰어나다.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거래하기 위해서는 전자지갑이라는 수단과 사용자 정보와 암호키 등이 필요하며, 전자지갑은 모바일과 컴퓨터에 설치되는 개인(Client) 지갑과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한 웹(Web) 지갑으로 된 소프트웨어 지갑과 USB와 같은 하드웨어 지갑, 종이에 인쇄하여 소지하는 종이지갑, 거래소에서 거래를 위하여 만들어주는 거래소 지갑 등이 있다.
여기서 데이터를 암호로 변환하는 기술(방식)에는 대칭과 비대칭 기술이 있고 대칭 암호화 기술은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비밀번호와 암호화한 데이터를 복구하는 비밀번호가 같은 것을 의미하며, 비대칭 암호화는 암호 내용에 전면적 접근 권한이 있는 개인키(Private-Key)와 개인키에 대한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공개키(Public-Key)로 암호화한 데이터의 소유권을 확인하는 것이고 전자지갑은 비대칭 암호화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암호화폐 또는 비트코인으로 거래를 하는 경우 6 컨펌이 필요하고 6 컨펌의 완료에는 일반적으로 약 1(한) 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암호화폐는 인터넷에 연결된 전 세계 모든 컴퓨터와 거래할 수 있으므로 개인간 송금 비용이 크게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암호화폐를 이용한 환전과 사용을 설명하는 신호흐름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특정 암호화폐를 보유한 매수자개인지갑(10)(이하,‘구매자’라한다.)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다른 화폐로 환전(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암호화폐를 암호화폐거래소(20)로 이전하고(S10), 이전하는 과정에서 거래 수수료가 발생한다(S11).
구매자(10)는 암호화폐거래소(20)가 개설한 매수자 거래소 지갑 영역에 이전된 암호화폐에 대하여 환전목표인 암호화폐를 지정 또는 선택하여 환전하고자 하는 환전요청가격과 함께 매수요청 주문을 발생하면(S12) 암호화폐거래소(20)의 주문내역 영역에 기록 관리된다.
구매자가 환전목표로 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고 해당 암호화폐를 환전하여 다른 암호화폐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 매도자개인지갑(30)(이하, ‘판매자’라한다.)에 의하여 보유한 암호화폐를 암호화폐거래소(20)가 개설한 매도자 거래소 지갑 영역에 이전하고(S14) 암호화폐 환전을 위한 환전제시가격이 제시된 매도주문이 입력되면(S13) 주문내역 영역에 기록된다.
구매자(10)가 암호화폐 거래소(20)와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내역은 판매자(30)에게도 똑같이 발생한다. 구매자(10)가 환전을 위해 암호화폐 거래소(20)로 이전(S10)할 때와 환전된 암호화폐를 개인지갑으로 이전(S18) 할 때에 각각 해당 거래수수료가 발생(S11)하는 것처럼 판매자도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거래소로 이전(S14)할 때와 환전한 암호화폐를 개인지갑으로 이전(S19)할 때도 거래수수료가 각각 발생한다. 그리고 구매자(10)가 거래를 완료(S16) 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환전 수수료(S15)는 판매자(30)의 거래완료(S17)시에도 발생한다.
진행 순서도 구매자 또는 매수자개인지갑(10)으로부터 환전할 암호화폐이전(S10) -> 매수주문(S12) -> 거래완료(S16) -> 환전된 암호화폐이전(S18)으로 진행하는 것처럼 판매자의 경우에도 매도자개인지갑(30)으로부터 환전할암호화폐이전(S14) -> 매도주문(S13) -> 거래완료(S17) -> 환전할암호화폐이전(S19)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매수자(10)와 동일한 과정이 매도자(30)에게도 발생되고 수수료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암호화폐를 환전하는 과정에서 해당 환전수수료가 연속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암호화폐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비즈니스는 현실적으로 많지 않아 비교적 찾아보기 어렵고, 이는 암호화폐의 가치 변동성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암호화폐의 기능성만 놓고 보면 수많은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암호화폐가 가지는 가치 변동성 때문에 실제 비즈니스에서는 암호화폐를 기축통화 또는 기축화폐로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일 예에 의한 것으로, 가치변동성이 비교적 큰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커피 한잔을 구매하는 경우, 어제의 암호화폐 가격과 오늘의 암호화폐 가격에 변화가 없다면 특별한 문제가 없겠지만, 암호화폐의 가격에 변화가 있다면, 일 예로, 어제의 5,000 원 짜리 커피한잔이 오늘은 6,000 원이 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암호화폐의 가치 변동성 문제는 암호화폐가 해결해야 될 가장 큰 문제이며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암호 화폐는 높은 기술력과 큰 비전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되기는 어렵다.
물론, 가치 변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암호화폐에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USDT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이 나와 있기는 하다.
그러나 기존의 스테이블 코인은 USD와 같이 1 개의 법정 화폐 가치만 적용되기 때문에 해당 화폐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다시 현지의 법정 화폐와 교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스테이블 코인은 모두 1 개의 일정한 가치만 유지하기 때문에 기존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는 가치저장의 수단으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23943호(2018.11.26.)에 의한 것으로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과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6-0068192호(2016.06.01.)에 의한 것으로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환전서비스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종래) 기술에서도 환전수수료를 대폭 낮추고 가치변동성에 의하여 가치 저장성이 있는 암호화폐의 장점을 살리면서 다수 국가에서 각각 사용될 수 있는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암호화폐를 환전하는 경우 다수 발생하는 환전수수료를 대폭 낮추고, 가치변동성에 의하여 가치 저장성이 있는 암호화폐의 장점을 살리면서 다수 국가에서 각각 대응되는 가치로 사용될 수 있는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23943호(2018.11.26.)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6-0068192호(2016.06.01.)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환전서비스 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는 가치저장의 기능과 각 국가에서 실제 생활에 사용되는 법정화폐 가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환전수수료의 부담이 낮은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폐를 가치 변동성이 있는 마스터 코인과 해당 법정화폐의 가치에 대응하는 브랜치 코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중화 코인으로 각각 변환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이중화 코인 환전 시스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면 언제든 환전하여 사용되도록 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은 가치 변동성이 있는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마스터 코인; 지정된 해당 특정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되는 가치이며 하나 이상의 다종으로 이루어지는 브랜치 코인; 상기 마스터 코인과 다종의 브랜치 코인을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개인지갑;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암호화폐를 마스터 코인 지갑에 저장하거나 또는 브랜치 코인 지갑에 저장하고 검색 확인된 시세정보를 반영하여 암호화폐 가치를 가지는 마스터 코인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와 대응되는 가치의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하고 환전한 암호화폐를 환전 요청한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마스터 코인 지갑 또는 해당 브랜치 코인 지갑에 각각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에 연결되고 해당 요청에 의하여 암호화폐의 시세 정보를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를 더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은 하나 이상 다수의 암호화폐 거래소로부터 각각 암호화폐의 시세 정보를 각각 입력하고 산술평균 연산된 값을 기준으로 하여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를 결정하며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되는 가치의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은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요청에 의하여 환전할 암호화폐의 시세정보를 암호화폐거래소로부터 확인하고, 마스터코인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와 같은 가치를 갖는 브랜치 코인간의 교환 환율을 계산하고 환전에 필요한 각 암호화폐의 양을 설정하여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상태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중화코인 환전 프로세스부;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프로세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마스터 코인으로 지정하고 입출금을 관리하는 마스터코인 관리 프로세스부;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프로세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로 환전된 브랜치 코인으로 지정하고 브랜치코인의 입금과 출금을 관리하며 저장된 브랜치 코인과 담보된 마스터 코인을 분석하여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를 가지는 브랜치 코인을 생성하거나 소각하는 브랜치코인 관리 프로세스부; 상기 마스터코인 관리 프로세스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마스터 코인을 입금하거나 출금하고 해당 마스터코인을 보관하는 마스터코인지갑부; 상기 브랜치코인 관리 프로세스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브랜치 코인을 입금하거나 출금하고 브랜치코인을 보관하며 지정된 국가의 숫자와 같은 숫자의 하나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는 브랜치코인지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 지갑은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으로부터 환전되어 이전되는 마스터 코인을 입금하거나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에 환전요청을 하기 위해 마스터 코인을 출금하는 마스터코인지갑부;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으로부터 환전되어 이전되는 브랜치 코인을 입금하거나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에 환전요청을 하기 위해 지정된 브랜치 코인을 출금하는 하나 이상 다수의 브랜치코인지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 지갑은 상기 마스터 코인 지갑에 입급된 마스터 코인을 암호화폐거래소를 통하여 거래하거나 암호화폐 사용처를 통하여 암호화폐의 가치로 사용하고, 상기 브랜치 코인 지갑에 입금된 브랜치 코인을 해당 국가의 암호화폐 사용처를 통하여 해당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의 운용방법은 가치 변동성이 있는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마스터 코인, 지정된 해당 특정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되는 가치이며 하나 이상의 다종으로 이루어지는 브랜치 코인, 상기 마스터 코인과 다종의 브랜치 코인을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개인지갑,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암호화폐를 마스터 코인 지갑에 저장하거나 또는 브랜치 코인 지갑에 저장하고 검색되어 확인된 시세정보를 반영하여 암호화폐 가치를 가지는 마스터 코인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와 대응되는 가치의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하고 환전 요청한 개인지갑의 마스터 코인 지갑 또는 해당 브랜치 코인 지갑에 각각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환전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 마스터코인 지갑 또는 다수의 자체 브랜치코인 지갑으로 부터 환전할 암호화폐와 환전양을 지정하고 환전 목표로 하는 암호화폐를 지정하여 이중화코인환전시스템에 환전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중화코인환전시스템은 환전요청에 의하여 이중화코인환전프로세스부를 활성화 상태로 구동하며 환전요청의 내용을 분석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환율 시세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중화코인환전프로세스부에 의하여 확인된 환율 시세정보를 적용하고 환전목표로 하는 마스터 코인 또는 지정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를 갖는 해당 브랜치 코인의 환전량을 계산하고 환전목표 코인에 따라 마스터코인관리프로세서부 또는 브랜치코인관리프로세서부에 계산된 환전량만큼의 마스터 코인 또는 지정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를 갖는 해당 브랜치 코인을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으로 이전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사용처에서 지정된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은 상기 브랜치코인지갑부에 보관된 다수의 브랜치 코인 중 일정량 이하로 보유하고 있는 브랜치 코인의 경우, 상기 이중화코인개인지갑의 요청에 의하여 해당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된 마스터 코인을 분석하고 해당 마스터 코인을 담보로 일정량의 브랜치 코인을 생성하거나 브랜치 코인 생성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해당 브랜치 코인이 다시 마스터 코인으로 환전요청되어 해당 브랜치 코인에 대한 브랜치코인지갑부에 일정량 이상의 브랜치 코인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브랜치 코인을 생성할 때 담보된 마스터 코인의 감소량을 분석하여 해당 마스터 코인의 감소량에 상응하는 해당 브랜치 코인을 소각하는 정산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는 가치저장의 기능과 지정된 국가에서 실제 생활에 사용되는 법정화폐 가치로 신속하게 활용하되 낮은 환전수수료를 부담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폐를 가치 변동성이 있는 마스터 코인과 지정 국가의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가 있는 브랜치 코인으로 분리하여 각각 관리하므로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면 환전에 소요되는 시간의 기다림 없이 지정된 국가에서 신속하게 즉시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암호화폐를 이용한 환전과 사용을 설명하는 신호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의 개념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의 구성 도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을 사용하는 상태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에 의한 환전과 사용 상태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환전 요청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의한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암호화폐의 거래는 환전, 결재, 사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암호화폐와 마스터코인은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폐에는 마스터 코인과 브랜치 코인이 모두 포함되고, 문맥에 따라 구분 사용하고, 다수와 다종은 같은 의미이며 필요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채굴(mining)은 암호화폐를 확보하는 방식 중에 하나이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퓨터(단말)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산 값을 찾아내는 경우 한 개의 암호화폐를 확보하면서 확보된 암호화폐의 거래를 인증해주는 역할도 동시 수행한다.
암호화폐는 시스템에 수평적으로 연결된 모든 컴퓨터(서버, 블록)에 거래 내역을 암호화 상태로 제공하여 기록되도록 하고 연결(체인)하므로 모든 컴퓨터가 거래(결재)를 인정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암호화폐의 발행 주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어떠한 국가, 정부, 중앙은행, 기관, 회사, 단체, 조직도 암호화폐의 발행에 관여하지 않고, 시스템 망(네트워크)에 참여한 각 노드(컴퓨터, 서버, 블록)를 통하여 생산되고 거래된다.
암호화폐는 발행량이 예정되어 있고 조정할 수 없으므로 인플레이션에 의한 화폐 가치의 절하를 걱정할 필요가 없어 가치의 저장성이 있으며, 암호화폐 사용자는 특정 컴퓨터와 접촉할 필요 없이 임의 컴퓨터에서 새로운 공개키와 암호키를 간단히 생성하여 새로운 주소를 즉시 만들 수 있으므로 거래의 익명성이 보장된다.
암호화폐는 컴퓨터가 연결된 각 국에서 결재할 수 있으므로 지역구분 없이 송금이 이루어진다.
블록체인은 공개된 형태의 거래 장부이다.
블록체인을 사용(이용)하려면 암호화화폐의 지갑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컴퓨터(블록)에 기록되어있는 블록체인과 동기(일치)시킨다.
동기에 필요한 데이터는 수십 기가바이트에 해당하므로 보통 몇 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으며, 동기된 경우 자신의 개인지갑에서 자신의 주소(은행의 계좌 개념)를 생성하고 그 주소를 통하여 암호화폐를 이용한 거래가 이루어진다.
일 실시 예로 비트코인의 경우 주소는 1로 시작하는 34자리의 영어(대소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진 조합이며 예로 ‘1MowqQrQJL5AeaDMpX35B6EiJ4qnXPJnFp’와 같다.
암호화폐 또는 비트코인의 채굴은 채굴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가 암호화폐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컴퓨터의 컴퓨팅파워(Hash, 해쉬)를 이용하고 제일 먼저 블록해쉬를 찾은 노드(컴퓨터)가 암호화폐의 전송기록을 블록에 기록하고 이를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대가로 해당 노드(컴퓨터)에 컴퓨팅 파워의 확률적 비례에 의하여 신규 코인(암호화폐)을 생성하여 나누어 주거나, 암호화폐의 거래 수수료를 모아서 나누어주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복잡한 수학문제를 풀어 암호화폐를 획득한다고 알려진 기술이다.
즉, 블록체인은 해당 암호화폐의 생성 처음부터 지금까지의 거래 내역을 전부 블록해쉬로 연결하여 모아놓은 거래장부와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의 개념 설명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의 구성 도시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을 사용하는 상태 설명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에 의한 환전과 사용 상태 설명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중화 코인(1000)은 마스터 코인(1100)과 브랜치 코인(1200)으로 구분(분류)된다.
마스터 코인(1100)은 가치 변동성이 있는 일반적인 암호화폐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가치를 보유한 구성이며, 브랜치 코인(1200)은 지정된 특정 국가의 법정화폐(1300)에 1대1로 대응되는 가치를 갖는 구성이며 지정된 국가의 숫자가 다수이면 지정된 국가의 숫자와 동일하게 다수로 이루어진다.
즉, 마스터 코인(1100)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브랜치 코인(1200)은 환전을 필요로 하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1300)에 대응되므로, 지정된 국가가 다수이면 지정된 국가의 숫자와 동일한 다수개 브랜치 코인(1200)이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다수의 브랜치 코인(1200)은 각각 서로의 상대적 가치가 서로 상이하거나 다를 수 있는 것은 매우 당연하다.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900)은 마스터 코인(1100)과 브랜치 코인(1200)을 포함하고, 이중화코인개인지갑(2000), 이중화 코인 환전 시스템(3000), 암호화폐거래소(4000), 암호화폐사용처(5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900)은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시스템이고 거래와 환전에 소요되는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부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수료 부담 없이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환전과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운용한다.
이중화코인 개인지갑(2000)은 마스터 코인(1100)과 다종의 브랜치 코인(1200)을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개인용 지갑이다.
이중화코인 개인 지갑(2000)은 마스터코인지갑부(2100)와 하나 이상 다수의 브랜치코인지갑부(22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마스터코인지갑부(2100)는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3000)을 구성하는 마스터코인관리프로세스부(3200)로부터 이전되는 마스터 코인(1100)을 입금하거나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3000)을 구성하는 마스터코인지갑(3400)에 출금하거나 또는 암호화폐 사용처(5000)에 출금하여 사용한다.
브랜치코인지갑부(2200)는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3000)을 구성하는 브랜치코인관리프로세스부(3300)로부터 이전되는 브랜치 코인(1200)을 입금하거나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3000)을 구성하는 브랜치코인지갑(3500)에 출금하거나 또는 암호화폐 사용처(5000)에 출금하여 사용한다.
이중화 코인 환전 시스템(3000)은 이중화코인 개인지갑(2000)의 환전요청으로 이전되는 상기 마스터 코인(1100)을 마스터 코인 지갑(3400)에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1300)와 대응되는 가치의 브랜치 코인(1200)을 해당 브랜치 코인 지갑(3500)에 각각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중화 코인 환전 시스템(3000)은 이중화코인환전프로세스(3100), 마스터코인관리프로세스(3200), 브랜치코인관리프로세스(3300), 마스터코인지갑(3400), 다수의 브랜치코인지갑(35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중화코인 환전 프로세스부(3100)는 이중화코인 개인지갑(2000)의 환전요청에 의하여 마스터코인(1100)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되는 브랜치코인(1200)으로 환전하기 위한 것으로, 암호화폐거래소(4000)로부터 암호화폐(1100) 또는 마스터코인(1100)의 시세정보를 각각 확인한다.
이중화코인 환전 프로세스부(3100)는 이중화코인 개인지갑(2000)이 환전요청하기 위하여 지정한 양(숫자)의 마스터코인(1100)을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1300)와 같은 가치를 보유한 브랜치 코인(1200)으로 환전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1300)와 같은 가치를 갖는 브랜치코인(1200)을 마스터코인(1100)으로 환전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1300)와 같은 가치를 갖는 브랜치코인(1200)을 또다른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1300)와 같은 가치를 갖는 브랜치코인(1200)으로 환전하며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상태를 제어하고 감시한다.
즉, 마스터 코인(1100)은 브랜치 코인(1200)으로 환전(교환)할 수 있고, 브랜치 코인(1200)은 마스터 코인(1100)으로 환전(교환)할 수 있고, 브랜치 코인(1200)은 또 다른 브랜치 코인(1200)으로 환전(교환)할 수 있다.
마스터코인 관리 프로세스부(3200)는 이중화코인 환전프로세스부(31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암호화폐(1100)를 마스터 코인(1100)으로 지정하고 해당 마스터코인지갑(3400)의 입금과 출금을 관리한다. 암호화폐(1100)와 마스터 코인(1100)은 동일한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브랜치코인 관리 프로세스부(3300)는 이중화코인 환전프로세스부(31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1300)와 같은 가치를 갖는 해당 브랜치 코인(1200)의 입금과 출금을 관리하며 각각의 브랜치 코인(1200)의 보유량과 해당 브랜치 코인(1200)에 대한 암호화폐(1100)의 담보내역을 분석하여 해당 브랜치코인(1200)을 생성하거나 또는 소각처리한다.
마스터코인지갑부(3400)는 마스터코인 관리 프로세스부(3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입금하거나 출금하는 마스터코인(1100)을 저장한다.
브랜치코인지갑부(3500)는 브랜치코인 관리 프로세스부(33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입금하거나 출금하는 브랜치코인(1200)을 저장하며 각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하므로 환전을 위하여 지정된 국가의 숫자 만큼 다수가 구비된다.
암호화폐 거래소(4000)는 기존에 이미 운용되고 있는 구성이며, 암호화폐의 거래 환율에 대한 실시간 시세 정보를 요청에 의하여 제공한다.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3000)의 이중화코인 환전프로세스부(3100)는 하나 이상 다수의 암호화폐 거래소(4000)로부터 각각 암호화폐의 환율 시세 정보를 각각 요청하여 제공받는 환율 시세의 산술평균 연산된 값을 기준으로 하여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를 결정하며, 이중화코인개인지갑(2000)에 의하여 환전요청된 해당 마스터코인(1100)과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되는 가치의 해당 브랜치 코인(1200)간 교환 환율을 계산한다.
이중화코인 개인 지갑(2000)은 마스터 코인 지갑(2100)에 입금되어 저장된 마스터 코인(1100)을 암호화폐거래소(4000)를 통하여 거래하거나 암호화폐 사용처(5000)를 통하여 암호화폐의 가치로 사용하고, 브랜치 코인 지갑(2200)에 입금되어 저장된 브랜치 코인(1200)을 해당(지정된) 국가의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 사용처(5000)를 통하여 해당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로 사용한다.
이때,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3000) 내에서 이루어지는 환전, 이전 및 이중화코인개인지갑(2000)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이전 등에는 환전 및 이전 수수료가 부가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부가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타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자체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가능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 개인지갑에서의 암호화폐 환전을 위한 신호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중화코인 개인지갑(2000)에 의하여 사용자 또는 외부로부터 마스터코인 또는 브랜치코인을 환전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T100)),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은 자체의 마스터코인 지갑(2100) 또는 브랜치코인 지갑(2200)으로부터 환전할 대상인 마스터코인 또는 브랜치코인의 환전양(환전숫자)과 환전목표로 하는 마스터코인 또는 지정한 대상국가에서 사용되는 법정화폐와 같은 가치를 갖는 브랜치코인을 지정하고(ST110),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3000)에 환전할 코인을 이전하면서 환전을 요청한다(ST120). 이중화코인환전시스템(3000)은 이전된 환전 요청 코인을 해당 지갑에 저장한다.
이중화코인 개인지갑(2000)은 저장 중인 코인의 정보를 확인 또는 수집하고(ST111), 환전할 코인을 선택한다(ST112). 이때 선택된 코인은 브랜치 코인 또는 마스터 코인이다. 브랜치 코인이 선택된 경우는 환전목표 코인이 무엇인지를 선택 또는 확인한다(ST113). 상기 단계(ST113)에서 환전목표 코인이 브랜치 코인이면 환전목표 브랜치 코인을 지정한다(ST114).
상기 단계(ST113)에서 환전목표 코인이 마스터 코인이면 환전량을 설정(지정)하고, 환전목표 또는 환전할 대상에 대한 예상 내역을 확인한다(ST115).
한편, 상기 단계(ST112)에서 마스터 코인이 선택되면 환전목표 브랜치 코인을 지정하고(ST114), 환전목표 또는 환전할 대상에 대한 예상 내역을 확인한다(ST115).
환전 예상 내역이 확인되면(ST115), 개인지갑에 설정된 환전대상 코인, 환전목표 코인, 환전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중화코인환전시스템(3000)에 환전할 코인을 이전하면서 환전을 요청한다(ST116).
한편,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3000)에 환전할 코인을 이전하면서 환전을 요청하며(ST120),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3000)은 환전요청 받은 코인을 해당 지갑에 저장하고(ST130), 이중화코인 환전프로세스부(3100)를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여 환전요청의 내용을 분석하며(ST140), 암호화폐거래소(4000)에 접속하여 마스터코인과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한 환율시세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한다(ST150).
여기서 환율시세 정보는 검색에 의하여 확인 및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3000)은 환율시세 정보에 의하여 환전 대상으로 제공된 마스터코인(1100)을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하는 환전목표의 브랜치코인(1200)으로 환전할 액수를 계산하여 환전하거나, 또는 환전 대상으로 제공된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하는 브랜치코인(1200)을 마스터코인(1100) 또는 다른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하는 브랜치코인(1200)으로 환전할 액수를 계산하여 해당 브랜치코인 지갑(3500)에 이전, 저장한다(ST160, ST170, ST180).
여기서 환전은 마스터 코인(1100)을 현재 거래가격으로 환전하는 것도 포함되지만, 이하에서 설명과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마스터 코인(1100)을 환전목표에 의하여 지정된 브랜치코인(1200)으로 환전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마스터 코인(1100)은 브랜치 코인(1200)으로 환전할 수 있고, 브랜치 코인(1200)은 마스터 코인(1100)으로 환전할 수 있고, 브랜치 코인(1200)은 또 다른 브랜치 코인(1200)으로 환전할 수 있다.
이중화코인개인지갑(2000)의 요청에 의하여 이중화코인환전시스템(3000)은 환율시세 정보에 의하여 계산된 환전할 액수의 마스터코인(1100)을 환전요청한 이중화코인개인지갑(2000)에 자체 구비된 마스터코인지갑(2100)으로 이전하거나, 또는 계산된 환전목표 액수의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하는 해당 브랜치 코인(1200)을 환전요청한 이중화코인개인지갑(2000)에 자체 구비된 해당 브랜치코인지갑(2200)으로 이전 저장한다(ST190, ST200, ST210).
이중화코인개인지갑(2000)은 환전된 마스터코인(1100) 또는 브랜치코인(1200)을 사용하고자 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T220), 지정된 암호화폐사용처(5000)에서 환전된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구매, 거래 등의 상업적 행위를 한다(ST230).
여기서 암호화폐는 마스터코인과 브랜치 코인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중화코인환전시스템(3000)은 각각의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와 대응되는 브랜치코인(1200)의 담보로 사용된 마스터코인(1100)의 담보내역과 해당 브랜치코인지갑(3500)에 보관되어있는 브랜치코인(1200)의 양을 분석하고 해당 연산을 통하여, 브랜치코인지갑(3500)에 저장된 브랜치코인(1200)을 소각 결정하거나 생산결정하고 해당 처리를 진행한다(ST240, ST250).
본 발명의 구성은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는 가치저장의 기능과 지정된 국가에서 실제 생활에 사용되는 법정화폐 가치로써 신속하게 활용하되 낮은 환전수수료 또는 수수료를 를 부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암호화폐를 가치 변동성이 있는 마스터 코인과 지정 국가의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가 있는 브랜치 코인으로 분리하여 각각 관리하므로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면 환전에 소요되는 시간의 기다림 없이 지정된 국가에서 신속하게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900 :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1000 : 이중화코인 1100 : 마스터코인
1200 : 브랜치코인 1300 : 법정화폐
2000 : 이중화코인개인지갑 2100 : 마스터코인지갑부
2200 : 브랜치코인지갑부 3000 :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
3100 : 이중화코인환전프로세스부 3200 : 마스터코인 관리프러세스부
3300 : 브랜치코인관리프로세스부 3400 : 마스터코인지갑부
3500 : 브랜치코인지갑부 4000 : 암호화폐 거래소
5000 : 암호화폐사용처

Claims (8)

  1. 가치 변동성이 있는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마스터 코인;
    지정된 해당 특정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되는 가치이며 하나 이상의 다종으로 이루어지는 브랜치 코인;
    상기 마스터 코인과 다종의 브랜치 코인을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개인지갑;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암호화폐를 마스터 코인 지갑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브랜치 코인 지갑부에 저장하고 검색 확인된 시세정보를 반영하여 암호화폐 가치를 가지는 마스터 코인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와 대응되는 가치의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하고 환전한 암호화폐를 환전 요청한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마스터 코인 지갑부 또는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해당 브랜치 코인 지갑부에 각각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 을 포함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에 연결되고 해당 요청에 의하여 암호화폐의 시세 정보를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를 더포함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은 하나 이상 다수의 암호화폐 거래소로부터 각각 암호화폐의 시세 정보를 전송받고 산술평균 연산된 값을 기준으로 하여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를 결정하며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되는 가치의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은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요청에 의하여 암호화폐거래소로부터 암호화폐의 시세정보를 확인하고 마스터코인을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와 같은 가치를 갖는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하며 마스터코인 관리 프로세스부와 브랜치코인 관리 프로세스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상태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중화코인 환전 프로세스부;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프로세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마스터 코인으로 지정하고 입출금을 관리하는 마스터코인 관리 프로세스부;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프로세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로 환전된 브랜치 코인으로 지정하고 브랜치코인의 입금과 출금을 관리하며 저장된 브랜치 코인과 마스터 코인을 분석하여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를 가지는 브랜치 코인을 생성하거나 소각하는 브랜치코인 관리 프로세스부;
    상기 마스터코인 관리 프로세스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마스터 코인을 입금하거나 출금하고 해당 마스터코인을 보관하는 마스터코인지갑부;
    상기 브랜치코인 관리 프로세스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브랜치 코인을 입금하거나 출금하고 브랜치코인을 보관하며 지정된 국가의 숫자와 같은 숫자의 하나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는 브랜치코인지갑부; 를 포함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 지갑은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으로부터 환전되어 이전되는 마스터 코인을 입금하거나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에 환전요청을 하기 위해 마스터 코인을 출금하는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마스터코인지갑부;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으로부터 환전되어 이전되는 브랜치 코인을 입금하거나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 시스템에 환전요청을 하기 위해 지정된 브랜치 코인을 출금하는 하나 이상 다수의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브랜치코인지갑부; 를 포함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 지갑은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마스터 코인 지갑부에 입급된 마스터 코인을 암호화폐거래소를 통하여 거래하거나 암호화폐 사용처를 통하여 암호화폐의 가치로 사용하고,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브랜치 코인 지갑부에 입금된 브랜치 코인을 해당 국가의 암호화폐 사용처를 통하여 해당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7. 가치 변동성이 있는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마스터 코인, 지정된 해당 특정 국가의 법정화폐에 대응되는 가치이며 하나 이상의 다종으로 이루어지는 브랜치 코인, 상기 마스터 코인과 다종의 브랜치 코인을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개인지갑,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암호화폐를 마스터 코인 지갑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브랜치 코인 지갑부에 저장하고, 암호화폐거래소를 통해 확인된 시세정보를 반영하여 암호화폐 가치를 가지는 마스터 코인 또는 지정된 국가의 법정화폐와 대응되는 가치의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하고 환전 요청한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마스터 코인 지갑부 또는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의 해당 브랜치 코인 지갑에 각각 저장하는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환전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 마스터코인 지갑 또는 다수의 자체 브랜치코인 지갑으로 부터 환전할 암호화폐와 환전양을 지정하고 환전 목표로 하는 암호화폐를 지정하여 이중화코인환전시스템에 환전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중화코인환전시스템은 환전요청에 의하여 이중화코인환전프로세스부를 활성화 상태로 구동하며 환전요청의 내용을 분석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환율 시세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중화코인환전프로세스부에 의하여 확인된 환율 시세정보를 적용하고 환전목표로 하는 마스터 코인 또는 지정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를 갖는 해당 브랜치 코인의 환전량을 계산하고 환전목표 코인에 따라 마스터코인관리프로세서부 또는 브랜치코인관리프로세서부에 계산된 환전량만큼의 마스터 코인 또는 지정 국가의 법정화폐 가치를 갖는 해당 브랜치 코인을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으로 이전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중화코인 개인지갑에 의하여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사용처에서 지정된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코인 환전시스템은 상기 브랜치코인지갑부에 보관된 다수의 브랜치 코인 중 일정량 이하로 보유하고 있는 브랜치 코인의 경우, 상기 이중화코인개인지갑의 요청에 의하여 해당 브랜치 코인으로 환전된 마스터 코인을 분석하고 해당 마스터 코인을 담보로 일정량의 브랜치 코인을 생성하거나 브랜치 코인 생성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해당 브랜치 코인이 다시 마스터 코인으로 환전요청되어 해당 브랜치 코인에 대한 브랜치코인지갑부에 일정량 이상의 브랜치 코인으로 저장되면, 해당 브랜치 코인을 생성할 때 담보된 마스터 코인의 감소량을 분석하여 해당 마스터 코인의 감소량에 상응하는 해당 브랜치 코인을 소각하는 정산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90044839A 2019-04-17 2019-04-17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205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839A KR102205411B1 (ko) 2019-04-17 2019-04-17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839A KR102205411B1 (ko) 2019-04-17 2019-04-17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61A KR20200122061A (ko) 2020-10-27
KR102205411B1 true KR102205411B1 (ko) 2021-01-20

Family

ID=7313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839A KR102205411B1 (ko) 2019-04-17 2019-04-17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6206A1 (en) * 2021-04-21 2022-10-27 Tanaka Philip Nobuyuki A transpositive network for converting variable-volume fixed-value units to fixed-volume variable-value units and vice vers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14B1 (ko) * 2020-11-03 2022-07-15 주식회사 웁살라젠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308B1 (ko) 2014-12-05 2021-12-09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20160103726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토마토 솔루션 가상 화폐를 통한 국가간 대금 지급 관리 시스템
KR101949867B1 (ko) * 2017-07-25 2019-02-19 김태환 실제통화 또는/및 가상통화 사이의 환율 정보에 기초한 환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907848B1 (ko) * 2017-12-22 2018-10-12 주식회사 센트비 가상화폐를 이용한 이종화폐 송금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23943B1 (ko) 2018-04-20 2019-02-22 주식회사 클라우드퓨전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6206A1 (en) * 2021-04-21 2022-10-27 Tanaka Philip Nobuyuki A transpositive network for converting variable-volume fixed-value units to fixed-volume variable-value units and vice ver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61A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7595B2 (en) Method of tokenization of asset-backed digital assets
US118936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trading
US11979490B2 (en) Non-fungible token blockchain processing
US1146841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th-based currency escrow transactions
US202000745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rt and long tokens
US117347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math-based currency exchange
Camp et al. Token and notational money in electronic commerce
JPH0934969A (ja) インターバンク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電子マネー転送による安全支払システム
KR20200046260A (ko)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콜렉터블 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Bhattacharya et al. A blockchain based peer-to-peer framework for exchanging leftover foreign currency
US11948132B2 (en) Cryptographically secure booster packs in a blockchain
KR102205411B1 (ko) 이중화 코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환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30088745A (ko) 디지털 자산 교환을 위한 시스템, 디지털 지갑, 및 디지털 자산들을 교환하기 위한 아키텍처
Weber Chablis-Market analysis of Digital payment systems
TW202338686A (zh) 資訊處理系統、方法及程式
JP6710736B2 (ja) 清算システム及び清算方法
De Portu New trends in retail payments: How technological changes are reshaping the payments system. Introducing a proposal for a new pan-European instant payment system
US20210350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digital representation of real funds
Van Hee et al. A new digital currency system
Xhaferi et al. Online payment systems for e-banking and blockchain technology
Bhatt What’s new in computers: Cryptocurrencies: An introduction
Buck From electronic money to electronic cash: payment on the Net
JP6946256B2 (ja) 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Kriese Technical Design
RU2768561C2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расчетов по сделкам между юридическими лицами с помощью технологии распределенного реест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