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073B1 - Combine - Google Patents

Com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073B1
KR102204073B1 KR1020150184581A KR20150184581A KR102204073B1 KR 102204073 B1 KR102204073 B1 KR 102204073B1 KR 1020150184581 A KR1020150184581 A KR 1020150184581A KR 20150184581 A KR20150184581 A KR 20150184581A KR 102204073 B1 KR102204073 B1 KR 10220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upport member
support
combine
ton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5215A (en
Inventor
서신원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073B1/en
Publication of KR2017007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b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4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pea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 상기 예취부 및 상기 탈곡부가 설치되는 콤바인본체, 곡물을 저장하는 톤백(Ton Bag)을 지지하기 위한 톤백지지부, 상기 탈곡부에서 상기 톤백지지부에 지지된 톤백으로 곡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 및 상기 콤바인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톤백을 상기 콤바인본체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harvesting unit for cutting and transporting crops, a threshing unit for threshing the crops transported by the harvesting unit, a combine body in which the harvesting unit and the threshing unit are installed, and a ton bag for storing grains. A combine including a tonbag support unit for, a transport unit for transporting grain from the threshing unit to the tonbag supported by the tonbag support unit, and a crane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to move the tonbag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It is about.

Description

콤바인{Combine}Combine{Combine}

본 발명은 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에 이용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used in the work of harvesting crops.

콤바인(Combine)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작업 및 예취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점에서 결합의 의미로 쓰인 명칭으로,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수확기계이다.Combine is a name used in the sense of combining in that it simultaneously cuts and transports crops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and threshing for threshing the harvested crops. It is a harvesting machine that harvests crops such as beans and beans.

이러한 콤바인은 예취부, 탈곡부, 및 곡물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예취부는 농작물을 절단하여 상기 탈곡부로 이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탈곡부는 상기 예취부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곡물탱크는 상기 탈곡부가 농작물을 탈곡함에 따른 결과물인 곡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콤바인에는 상기 탈곡부에서 상기 곡물탱크로 곡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가 설치된다. 상기 곡물탱크에 저장된 곡물은, 곡물탱크배출부를 통해 상기 콤바인의 외부에 위치한 톤백(Ton Bag)으로 배출되어서 톤백에 저장된다.Such a combine includes a harvesting section, a threshing section, and a grain tank. The harvesting unit is responsible for cutting the crops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threshing unit. The threshing unit is responsible for threshing the crops transported by the harvesting unit. The grain tank serves to store grains resulting from the threshing of the crop. The combine is provided with a transport unit for transporting grains from the threshing unit to the grain tank. The grains stored in the grain tank are discharged to a ton bag located outside the combine through the grain tank discharge unit and stored in the ton bag.

도 1은 종래에 있어서 곡물탱크배출부가 곡물을 콤바인에서 톤백으로 이송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1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grain tank discharging unit transferring grain from a combine to a tone ba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콤바인(100) 및 톤백(200)이 상당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에서, 곡물탱크배출부(300)가 곡물을 상기 콤바인(100)에서 상기 톤백(200)으로 이송하였다. 상기 곡물탱크배출부(300)는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Screw)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콤바인(100)의 곡물탱크에 저장된 곡물을 상기 톤백(100)으로 배출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였다.As shown in FIG. 1, in a conventional state where the combine 100 and the tone bag 200 are separated by a considerable distance, the grain tank discharge unit 300 transfers the grain from the combine 100 to the tone bag 200. Transferred. The grain tank discharge unit 300 rotates a screw installed therein, thereby discharging the grain stored in the grain tank of the combine 100 to the ton bag 100.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곡물이 상기 곡물탱크배출부(300)의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상당한 거리를 이동하여 상기 톤백(200)으로 배출되었으므로, 곡물이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곡물이 콩인 경우에는, 콩이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깨짐이 발생함에 따라 수확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grain is discharged to the tonbag 200 by moving a considerable distance as the screw of the grain tank discharging unit 300 rotates, so there is a problem that grain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by rotation of the screw have. In particular, when the grain is soybean,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yield rate as the soybean is broken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by rotation of the screw.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곡물을 톤백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곡물에 대한 손상 내지 깨짐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combine capable of reducing the incidence of damage or cracking to grain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grains to a tonbag.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 상기 예취부 및 상기 탈곡부가 설치되는 콤바인본체; 상기 콤바인본체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톤백(Ton Bag)을 지지하기 위한 톤백지지부; 상기 콤바인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탈곡부에서 상기 톤백지지부에 지지된 톤백으로 곡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 및 상기 콤바인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톤백을 상기 콤바인본체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tting unit for cutting and transporting crops; A threshing unit for threshing the crops transported by the harvesting unit; A combine body in which the harvesting part and the threshing part are installed; A tone bag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and supporting a ton bag for storing grain; A transport unit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and configured to transport grains from the threshing unit to the tone bag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unit; And a crane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to move the tonbag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콤바인의 내부에서 곡물이 톤백에 저장되도록 구현됨으로써, 곡물에 대한 손상 내지 깨짐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곡물에 대한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grain is stored in the tonbag inside the combine, so that the incidence of damage or cracking to the grain can be reduced, so that the yield for grain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은 곡물이 톤백에 저장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재료비 절감을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reduce the distance traveled until the grain is stored in the ton bag,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through material cost reduction, and further enhancing product competitiveness.

본 발명은 별도의 작업장치이 없이도 곡물이 저장된 톤백을 콤바인 자체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로 구현됨으로써, 수확작업에 대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작업을 수행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tonbag in which grains are stored can be taken out of the combine itself without a separate working device, so that the work efficiency for the harvesting oper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of performing the harvesting operation can be reduced. .

도 1은 종래에 있어서 곡물탱크배출부가 곡물을 콤바인에서 톤백으로 이송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톤백지지부에 지지된 톤백에 곡물을 저장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측정부 및 크레인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크레인이 톤백지지부로부터 톤백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9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톤백지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1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grain tank discharge unit transporting grain from the combine to the tone ba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of storing grain in a ton bag supported by a ton bag support in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a measuring unit and a crane in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tonbag from a tonback support by a crane in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toneback support unit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부(2), 상기 예취부(2)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3), 상기 예취부(2) 및 상기 탈곡부(3)가 설치되는 콤바인본체(4), 상기 탈곡부(3)에서 톤백(Ton Bag)(10, 도 4에 도시됨)으로 곡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5),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되어 상기 톤백(10)을 지지하기 위한 톤백지지부(6), 및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되는 크레인(7)을 포함한다.2 to 4,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harvesting crops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rvesting unit (2) for cutting and transporting crops, a threshing unit (3) for threshing the crops transferred by the harvesting unit (2), the harvesting unit (2) and the threshing. The combine body 4 on which the part 3 is installed, a conveying part 5 for transporting grains from the threshing part 3 to a ton bag 10 (shown in FIG. 4), the combine body ( It is installed in 4) and includes a tonbag support part 6 for supporting the tonbag 10, and a crane 7 installed in the combine body 4.

상기 톤백지지부(6)는 상기 운반부(5)가 상기 탈곡부(3)로부터 이송하는 곡물이 상기 톤백(10)에 바로 저장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4)의 내부에서 상기 톤백(10)을 지지한다. 상기 크레인(7)은 상기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킨다.The tone bag support part 6 is the toner bag 10 inside the combine body 4 so that the grain conveyed by the conveying part 5 from the threshing part 3 is directly stored in the tone bag 10 Support. The crane 7 moves the tonbag 10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톤백지지부(6)를 이용하여 상기 콤바인본체(4)의 내부에서 곡물이 상기 톤백(10)에 저장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곡물이 상기 톤백(10)에 저장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곡물이 상기 톤백(10)에 저장될 때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곡물에 대한 손상 내지 깨짐 발생률을 감소시킴으로써, 곡물에 대한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First,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grains are stored in the tone bag 10 inside the combine body 4 by using the tone bag support part 6.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istance traveled until the grain is stored in the tone bag 10.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yield for grain by reducing the incidence of damage or cracking to the grai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grain until it is stored in the ton bag 10.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곡물탱크배출부(300, 도 1에 도시됨)를 이용하지 않고도 곡물을 상기 톤백(10)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곡물탱크로 구현된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재료비 절감을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Second,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tore grain in the tone bag 10 without using a grain tank discharge unit 300 (shown in FIG. 1)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the toneback support 6 and the crane 7 using a space implemented as a grain tank in the prior art.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through material cost reduction, and thus enhance product competitiveness.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된 크레인(7)을 이용하여 곡물이 저장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곡물이 저장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로부터 꺼내기 위해 별도의 작업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수확작업에 대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작업을 수행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ird,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move the tonbag 10 in which grains are stored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by using the crane 7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work device to take out the tonbag 10 in which the grain is stored from the combine body 4,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for harvesting work. Rather, it can reduce the cost of carrying out the harvesting operation.

이하에서는 상기 예취부(2), 상기 탈곡부(3), 상기 콤바인본체(4), 상기 운반부(5),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harvesting part 2, the threshing part 3, the combine body 4, the conveying part 5, the toneback support part 6, and the crane 7 are show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예취부(2)는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예취부(2)는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된다. 상기 예취부(2)는 상기 콤바인본체(4)가 주행 이동하는 주행방향 중에서 전진 이동하는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5, the harvesting unit 2 performs a harvesting operation of cutting and transporting crops. The harvesting part 2 is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The harvesting part 2 may be installed in the combine body 4 so that the combine body 4 protrudes toward a forward moving direction among a driving direction in which the combine body 4 travels.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탈곡부(3)는 상기 예취부(2)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탈곡작업에 따른 결과물인 곡물은, 상기 운반부(5)에 의해 상기 탈곡부(3)에서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으로 운반된다. 상기 탈곡부(3)는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된다. 상기 탈곡부(3)는 상기 예취부(2)를 기준으로 상기 주행방향 중에서 후진 이동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될 수 있다.2 to 5, the threshing unit 3 performs a threshing operation of threshing the crops transported by the harvesting unit 2. The grain, which is the result of the threshing operation, is conveyed from the threshing part 3 to the tone bag 10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part 6 by the conveying part 5. The threshing part 3 is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The threshing part 3 may be installed in the combine body 4 so as to be located in a backward movement direction among the driving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arvesting part 2.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콤바인본체(4)는 상기 예취부(2), 상기 탈곡부(3), 상기 운반부(5),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을 지지한다. 상기 예취부(2), 상기 탈곡부(3), 상기 운반부(5),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은 각각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콤바인본체(4)에 지지될 수 있다.2 to 5, the combine body 4 includes the mowing part 2, the threshing part 3, the conveying part 5, the toneback support part 6, and the crane 7 ) Support. The harvesting part 2, the threshing part 3, the conveying part 5, the toneback support part 6, and the crane 7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combine body 4, so that the combine body (4) can be supported.

상기 콤바인본체(4)에는 운전부(20, 도 3에 도시됨) 및 주행부(30, 도 3에 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운전부(20)는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을 동작시키기 위한 운전공간을 제공한다. 작업자는 상기 운전부(20)에 탑승하여 상기 운전부(20)에 마련된 조작장치를 조작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운전부(20)은 상기 예취부(2)를 기준으로 상기 주행방향 중에서 후진 이동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행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을 주행 이동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주행부(30)는 상기 콤바인본체(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될 수 있다.A driving unit 20 (shown in Fig. 3) and a driving unit 30 (shown in Fig. 3) may be installed in the combine body 4. The driver 20 provides a driving space for a worker to operat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 can operat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oarding the driving unit 20 and operating the operating device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20. The driving unit 20 may be installed in the combine body 4 so as to be located in a backward movement direction among the driving directions based on the harvesting unit 2. The driving unit 30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moving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art 30 may be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combine body 4.

상기 콤바인본체(4)는 수곡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곡부(41)에는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은 상기 콤바인본체(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콤바인본체(4)의 내부에서 곡물을 상기 톤백(10)에 저장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The combine body 4 may include a bent part 41. The toneback support part 6 and the crane 7 are installed in the bent part 41. Accordingly, the toneback support 6 and the crane 7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mbine body 4.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storing grain in the tone bag 10 inside the combine body 4.

상기 수곡부(41)는 상기 탈곡부(3)의 옆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곡부(41)는 상기 주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탈곡부(3)의 옆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은 상기 탈곡부(3)의 옆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곡부(4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곡물이 상기 탈곡부(3)에서 상기 톤백(10)으로 이동하기 위한 거리를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곡물이 톤백(10)에 저장될 때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곡물에 대한 손상 내지 깨짐 발생률을 더 감소시킴으로써 곡물에 대한 수확량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운반부(5)가 곡물을 운반하는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운반부(5)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재료비 절감을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수곡부(4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곡물탱크가 설치되어 있던 공간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bent part 41 may be located next to the threshing part 3. The bent part 41 may be located next to the threshing part 3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toneback support part 6 and the crane 7 may be installed on the bent part 41 so as to be located next to the threshing part 3.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reduce the distance for the grain to move from the threshing unit 3 to the tone bag 10, so that the grain moves until it is stored in the tone bag 10. The crop yield can be further increased by further reducing the incidence of damage or cracking to the grain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reduce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transport unit 5 transports grain.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conveying unit 5, thereby enhancing product competitiveness. The curved part 41 may be implemented using a space in which a grain tank was installed in the prior art.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운반부(5)는 곡물을 상기 탈곡부(3)에서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으로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운반부(5)는 일측이 상기 탈곡부(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곡부(41)에 연결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5)는 곡물을 운반하기 위한 스크류(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반부(5)는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곡물을 상기 탈곡부(3)에서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으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운반부(5)는 곡물을 운반하기 위한 버킷 컨베이어(Bucket Convey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운반부(5)는 1련 또는 2련의 컨베이어 체인(Conveyor Chain)을 순환 이동킴에 따라 컨베이어 체인에 결합된 복수개의 버킷(Bucket)을 순환 이동시킴으로써, 곡물을 상기 탈곡부(3)에서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으로 운반할 수 있다.2 to 5, the conveying part 5 is for conveying grains from the threshing part 3 to the tone bag 10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part 6. The conveying part 5 may be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such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threshing part 3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ent part 41. The transport unit 5 may include a screw for transporting grain. In this case, the conveying part 5 can convey the grain from the threshing part 3 to the tone bag 10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part 6 by rotating the screw. The conveying part 5 may include a bucket conveyor for conveying grain. In this case, the conveying part 5 circulates through a plurality of buckets coupled to the conveyor chain as the conveyor chains of one or two conveyor chains are circulated, thereby circulating the grain to the threshing unit ( In 3), it can be transported to the tone bag 10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part 6.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톤백지지부(6)는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된다. 상기 톤백지지부(6)는 상기 수곡부(41)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콤바인본체(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톤백지지부(6)는 상기 톤백(10)을 지지한다. 상기 톤백지지부(6)는 상기 운반부(5)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상기 톤백(10)에 저장되도록 상기 톤백(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톤백지지부(6)는 상기 톤백(10)이 상기 운반부(5)의 배출구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톤백(10)을 지지할 수 있다. 2 to 5, the toneback support 6 is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The toneback support part 6 may be installed to be located inside the combine body 3 by being installed on the bent part 41. The toneback support part 6 supports the toneback 10. The tone bag support unit 6 may support the tone bag 10 so that grains discharged from the transport unit 5 are stored in the tone bag 10. The tone bag support unit 6 may support the tone bag 10 so that the tone bag 10 is located below the outlet of the transport unit 5.

상기 톤백지지부(6)는 제1지지부재(61, 도 4에 도시됨) 및 제2지지부재(62,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neback support part 6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61 (shown in FIG. 4) and a second support member 62 (shown in FIG. 4).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상기 톤백(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톤백(10)은 곡물이 저장되는 톤백본체(11), 상기 톤백본체(11)의 입구측에 결합된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톤백본체(11)의 입구측에 결합된 제2연결고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는 각각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톤백본체(1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상기 제1연결고리(1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톤백(10)을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61 is for supporting the tone bag 10. The tone bag 10 includes a tone bag body 11 in which grain is stored, a first connection ring 12 coupled to the inlet side of the tone bag main body 11, and a first connection ring 12 coupled to the inlet side of the tone bag main body 11 It may include two connecting rings (13). The first connecting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are each formed in a closed ring shape.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are coupled to the toneback body 11 so as to b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support the tone bag 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제1지지대(6a, 도 4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6a)의 하측은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 도 3에 도시됨)에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대(6a)의 상측에는 상기 제1지지대(6a)가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대(6a)는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도 4에 도시됨)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1)가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6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상기 제1연결고리(12)가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톤백(10)은 상기 제1연결고리(12)가 상기 제1지지부재(61)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톤백본체(11)의 하부가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은, 상기 톤백(10) 및 상기 톤백(10)에 저장된 곡물을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6a (shown in FIG. 4 ).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6a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411 (shown in FIG. 3) of the bent part 41. The first support 6a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6a. The first support 6a is a height at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6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UD arrow, shown in FIG. 4 ). 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be supported to be positioned at.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mber 61 has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is position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Can be supported. When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tone bag 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Can be placed in contact.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grain part 41 may support the tone bag 10 and grains stored in the tone bag 10.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상기 제1지지대(6a)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지지대(6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상기 제1지지대(6a)로부터 돌출될수록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도 4에 도시됨)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상기 제2지지부재(6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대(6a)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지지대(6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연결고리(12)에 삽입되어서 상기 톤백(10)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대(6a)는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지지부재(61)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6a so as to protrude from the first support 6a. 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decrease in height in a down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DD arrow, shown in FIG. 4) as it protrudes from the first support 6a. The downward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DD arrow) may b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upward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UD arrow), and may b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gravity acts. 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6a to protrude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a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ther shape as long as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to support the tone bag 10 It can also be formed of. The first support 6a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as long as it is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member 61.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상기 톤백(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상기 제2연결고리(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톤백(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62) 및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62) 및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62) 및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상기 톤백본체(1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톤백(1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톤백(10)의 입구측이 개방된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운반부(5)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상기 톤백(10)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손실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콤바인본체(4)가 주행이동하는 주행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주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도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주행방향 및 상기 주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 각각에 대해 상이한 방향일 수도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62 is for supporting the tone bag 10.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to support the tone bag 10.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re provided with the toneback 10 so that the toneback body 11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Can support.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rea in which the entrance side of the tonbag 10 is open, so that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transport unit 5 cannot enter the tonbag 10 and is lost. Can be reduced.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a driving direction in which the combine body 4 travels.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may be a different direction for each of the driving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제2지지대(6b, 도 4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6b)의 하측은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에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대(6b)의 상측에는 상기 제2지지대(6b)가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대(6b)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62)가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6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상기 제2연결고리(13)가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톤백(10)은 상기 제2연결고리(13)가 상기 제2지지부재(62)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톤백본체(11)의 하부가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은, 상기 톤백(10) 및 상기 톤백(10)에 저장된 곡물을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6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6b (shown in FIG. 4 ).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6b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The second support 6b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6b. The second support 6b has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position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direction of arrow UD). 2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62.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includes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is locat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Can be supported. When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toneback 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Can be placed in contact.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grain part 41 may support the tone bag 10 and grains stored in the tone bag 10.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상기 제2지지대(6b)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지지대(6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상기 제2지지대(6b)로부터 돌출될수록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상기 제1지지부재(6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대(6b)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지지대(6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연결고리(13)에 삽입되어서 상기 톤백(10)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대(6b)는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지지부재(62)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6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6b so as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pport 6b.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decrease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DD arrow) as it protrudes from the second support 6b.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6b so as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pport 6b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as long as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to support the tone bag 10. May be. The second support 6b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as long as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can be supported.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톤백지지부(6)는 제1걸림부재(63, 도 4에 도시됨) 및 제2걸림부재(64,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2 to 5, the toneback support 6 may include a first locking member 63 (shown in FIG. 4) and a second locking member 64 (shown in FIG. 4 ).

상기 제1걸림부재(63)는 상기 제1지지부재(61)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6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재(63)는 상기 제1지지부재(61)로부터 돌출될수록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걸림부재(63)는 상기 톤백(10)에 저장되는 곡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제1연결고리(12)가 상기 제1지지부재(6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톤백(10)에 곡물을 저장하는 도중에 상기 제1연결고리(12)가 상기 제1지지부재(61)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에 따라 곡물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member 6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first locking member 63 is formed to be inclined to increase in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UD arrow) as it protrudes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ccordingly, even if the load of the first locking member 63 increases as the amount of grain stored in the tonbag 10 increases,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is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may be supported so that it is not. Therefore, in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grain is stored in the tone bag 10, the first connecting ring 12 is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resulting in loss of grain. Can be prevented.

상기 제1걸림부재(63)는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63) 및 상기 제1지지부재(61)가 조합된 형태는,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locking member 63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as long as it is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first connecting ring 12.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locking member 63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61 may have a curved surface as a whole.

상기 제2걸림부재(64)는 상기 제2지지부재(62)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6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6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64)는 상기 제2지지부재(62)로부터 돌출될수록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걸림부재(64)는 상기 톤백(10)에 저장되는 곡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제2연결고리(13)가 상기 제2지지부재(62)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톤백(10)에 곡물을 저장하는 도중에 상기 제2연결고리(13)가 상기 제2지지부재(62)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에 따라 곡물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64)는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64) 및 상기 제2지지부재(62)가 조합된 형태는,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룰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member 6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oward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second locking member 64 is formed to be inclined to increase in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UD arrow) as it protrudes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ccordingly, even if the load of the second locking member 64 increases as the amount of grain stored in the tonbag 10 increases,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is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may be supported so that it is not. Therefore, in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ss to the grain occurs as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is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while the grain is stored in the tone bag 10. Can be prevented. The second locking member 64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as long as it is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locking member 6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may have a curved surface as a whole.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크레인(7)은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된다. 상기 크레인(7)은 상기 수곡부(41)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콤바인본체(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7)은 곡물이 저장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곡물이 저장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로부터 꺼내기 위해 별도의 작업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수확작업에 대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작업을 수행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된 크레인(7)을 이용하여 수확작업 외에 무거운 물건을 옮기는 작업 등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활용도가 높은 다목적 설비로 구현될 수 있다.2 to 8, the crane 7 is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The crane 7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combine body 4 by being installed on the bent part 41. The crane 7 may move the tonbag 10 in which grain is stored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work device to take out the tonbag 10 in which the grain is stored from the combine body 4,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for harvesting work. Rather, it can reduce the cost of carrying out the harvest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erforming other operations such as moving heavy objects in addition to harvesting by using the crane 7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so it is a multipurpose facility with high utilization. Can be implemented.

상기 크레인(7)은 상기 콤바인본체(4)의 내부에 위치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크레인(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콤바인본체(4)의 내부에 위치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콤바인본체(4)의 옆에 트럭 등과 같은 운송수단이 위치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크레인(7)을 이용하여 상기 톤백(10)을 바로 운송수단에 실을 수 있다.The crane 7 may move the tonbag 10 located inside the combine body 4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For example, the crane 7 rotates as shown in FIG. 5 to move the tonbag 10 located inside the combine body 4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When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truck is located next to the combine body 4,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load the tonbag 10 directly onto the transportation means using the crane 7.

상기 크레인(7)은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에 곡물이 기설정된 저장량에 도달하면, 곡물이 저장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크레인(7)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콤바인본체(4)의 내부에 위치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크레인(7)은 상기 톤백(10)에 저장된 곡물 저장량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rane 7 can move the tonbag 10 in which the grain is stored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when the grain reaches a preset storage amount in the tonbag 10 supported by the tonbag support part 6 have. The crane 7 may move the tonbag 10 located inside the combine body 4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by an operator's operation. In this case, the crane 7 can move the ton bag 10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by an operator's operation as need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grain stored in the ton bag 10.

상기 크레인(7)은 후크(71, 도 7에 도시됨), 및 후크이동부(72,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ane 7 may include a hook 71 (shown in FIG. 7 ), and a hook moving part 72 (shown in FIG. 5 ).

상기 후크(71)는 상기 톤백(1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톤백(10)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1연결고리(12, 도 7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 도 7에 도시됨)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에 삽입됨으로써, 걸림을 이용하여 상기 톤백(10)을 지지할 수 있다.The hook 71 supports the tone bag 10 to move the tone bag 10. The hook 71 is for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shown in FIG. 7)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shown in FIG. 7 ). The hook 7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and thus the tone bag 10 may be supported by using a hook.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가 상기 후크(7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톤백(10)이 상기 톤백지지부(6)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크레인(7)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톤백(10)을 상기 톤백지지부(6)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톤백(10)을 상기 톤백지지부(6)로부터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수작업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수확작업에 대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작업을 수행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hook moving part 72 is for moving the hook 71. The hook moving part 72 allows the tone bag 10 to be separated from the tone bag support part 6 as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are inserted into the hook 71. The hook 71 can be moved.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be able to automatically separate the tone bag 10 from the tone bag support 6 using the crane 7.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or reduce the manual work required to separate the tone bag 10 from the tone bag support part 6, thus improving work efficiency for harvesting work, as well as The cost of carrying out the harvesting operation can be reduced.

상기 후크이동부(72)는 후크이동기구(721, 도 6에 도시됨), 및 후크승강기구(722,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moving part 72 may include a hook moving mechanism 721 (shown in FIG. 6 ), and a hook lifting mechanism 722 (shown in FIG. 6 ).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상기 제1지지부재(61)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62)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제2지지부재(62)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6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상기 후크(71)를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Linear Motor)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is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nd a direction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o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hook 71 can be moved.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may move the hook 71 in a straight line.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includes a cylinder method using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a ball screw method using a motor and a ball screw, a motor,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The hook 71 may be moved using a gear method used, a belt method using a motor, a pulley and a belt, a linear motor method using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or the like.

상기 후크승강기구(722)는 상기 후크(71)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기구(722)에 의해, 상기 후크(72)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기구(722)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후크(71)를 승강시킬 수 있다.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may lift the hook 71. By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the hook 72 may move in the upward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UD arrow) and the downward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DD arrow).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is a cylinder method using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a ball screw method using a motor and a ball screw, a gear method using a motor, rack gear, and pinion gear, and a motor, pulley and belt. The hook 71 may be raised or lowered using a belt method, a linear motor method using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or the like.

상기 후크이동부(72)는 다음과 같이 후크(71)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톤백(10)을 상기 톤백지지부(6)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The hook moving part 72 may separate the tone bag 10 from the tone bag support part 6 by moving the hook 71 as follows.

우선,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지지부재(61)에 비해 낮은 높이면서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후크승강기구(722)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지지부재(61)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상기 제2지지부재(62) 및 상기 후크(7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상기 후크(71)가 제2축방향(Y축 방향, 도 5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지지부재(61)에 충돌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연결고리(1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First,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7, the hook moving part 72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1 while the hook 71 is lower than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hook 71 is moved so as to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may lower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position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may move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located behind the first support member 61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mber 61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nd the hook 71.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includes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xis direction, shown in FIG. 5). 71) can be moved. Accordingly, the hook 7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without colliding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xis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다음, 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지지부재(61)에 비해 높으면서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후크승강기구(722)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지지부재(61)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1지지부재(61) 및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1연결고리(12)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당겨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상기 제1지지부재(6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후크(71)는 상기 후크승강기구(722)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당기게 되므로, 상기 제1걸림부재(63)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상기 제1걸림부재(6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후크(71)는 상기 후크승강기구(722) 및 상기 후크이동기구(721)가 동시에 작동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Next, as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7, the hook moving part 72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1 while the hook 71 is higher than the first support member 61. Move the hook 71. In this case,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may raise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may move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1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 Accordingly, the hook 71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In this process, the hook 7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n pulls and moves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to move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to the first support member ( 61). Since the hook 71 pulls the first connecting ring 12 while rising by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the first connecting ring 12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first locking member 63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locking member 63. As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and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operate simultaneously, the hook 71 may move in a diagonal direction as shown by the arrow shown in FIG. 7.

다음,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2지지부재(62)에 비해 낮은 높이면서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후크승강기구(722)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2지지부재(62)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상기 제1지지부재(61) 및 상기 후크(7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도 5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6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2지지부재(62)에 충돌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연결고리(13)에 삽입될 수 있다.Next,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8, the hook moving part 72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while the hook 71 is higher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hook 71 is moved so as to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may lower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position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may move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located behind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nd the hook 71.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includes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based o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xis direction, shown in FIG. 5). (71) can be moved. Accordingly, the hook 71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without colliding with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다음,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2지지부재(62)에 비해 높으면서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후크승강기구(722)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2지지부재(62)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2지지부재(62) 및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2연결고리(13)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당겨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상기 제2지지부재(6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후크(71)는 상기 후크승강기구(722)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당기게 되므로, 상기 제2걸림부재(64)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상기 제1걸림부재(6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후크(71)는 상기 후크승강기구(722) 및 상기 후크이동기구(721)가 동시에 작동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Next, as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8, the hook moving part 72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while the hook 71 is higher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Move the hook 71. In this case,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may raise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may move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based on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 Accordingly, the hook 71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61. In this process, the hook 7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and then pulls and moves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thereby moving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 62). Since the hook 71 pulls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while rising by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is not obstructed by the second locking member 64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locking member 63. As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and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operate at the same time, the hook 71 may move in a diagonal direction as shown by the arrow shown in FIG. 8.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크레인(7)은 후크지지대(73), 및 후크회전부(74)를 포함할 수 있다.2 to 8, the crane 7 may include a hook support 73 and a hook rotation part 74.

상기 후크지지대(73)는 상기 후크(71)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크(71)는 상기 후크지지대(73)에 결합된다.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후크지지대(73)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지지대(73)가 상기 후크이동기구(721)에 결합되고, 상기 후크이동기구(721)가 상기 후크승강기구(7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승강기구(722)는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후크지지대(73) 및 상기 후크(71)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지지대(73)가 상기 후크승강기구(722)에 결합되고, 상기 후크승강기구(722)가 상기 후크이동기구(7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이동기구(721)는 상기 후크승강기구(722)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후크지지대(73) 및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hook support 73 is for supporting the hook 71. The hook 71 is coupled to the hook support 73. The hook moving part 72 may move the hook 71 by moving the hook support 73. In this case, the hook support 73 may be coupled to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and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may be coupled to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Accordingly,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may lift the hook support 73 and the hook 71 by lifting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The hook support 73 may be coupled to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and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may be coupled to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Accordingly, the hook moving mechanism 721 can move the hook support 73 and the hook 71 by moving the hook lifting mechanism 722.

상기 후크회전부(74)는 상기 후크지지대(7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크회전부(74)는 상기 후크지지대(7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후크(71)에 지지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74)는 상기 후크이동부(7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후크지지대(7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74)는 상기 후크지지대(73)를 직접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후크회전부(74)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후크지지대(73)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hook rotation part 74 is for rotating the hook support 73. The hook rotating part 74 may move the toneback 10 supported by the hook 71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by rotating the hook support 73. The hook rotating part 74 may rotate the hook support 73 by rotating the hook moving part 72. The hook rotation part 74 may directly rotate the hook support 73. In this case, the hook moving part 72 may move the hook support 73 by moving the hook rotating part 74.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개폐부(8,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2 to 8,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part 8 (shown in FIG. 3 ).

상기 개폐부(8)는 상기 콤바인본체(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개폐부(8)는 제1위치 및 제2위치 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4)에 결합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mbine body 4.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8 may be coupled to the combine body 4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상기 개폐부(8)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개폐부(8)는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 도 3에 도시됨)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개폐부(8)를 이용하여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적을 넓힘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증대시켜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개폐부(8)가 발판으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수곡부(41)에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opening/closing part 8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the opening/closing part 8 is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411 (shown in FIG. 3) of the bent part 41.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floor area of the bent part 41 by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8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space in which a worker can work. Work convenien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8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can function as a scaffold,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board the bent part 41.

상기 개폐부(8)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개폐부(8)는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개폐부(8)는 상기 수곡부(41)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개폐부(8)를 이용하여 상기 수곡부(41)에 위치한 톤백(10)이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closing part 8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opening/closing part 8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Accordingly, the opening/closing part 8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may cover a part of the bent part 41.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opening/closing part 8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toneback 10 located at the bent part 41 is external to the combine body 4 by vibration, shaking, etc. It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상기 개폐부(8)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수곡부(41)의 일부를 가릴 수 있으면서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적을 넓힐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opening/closing part 8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ther shape as long as it can cover a part of the bent part 41 and expand the bottom area of the bent part 41 It could be.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측정부(9,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asurement unit 9 (shown in FIG. 6 ).

상기 측정부(9)는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에 저장된 곡물에 대한 저장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정부(9)는 측정한 저장량을 상기 크레인(7)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7)은 상기 측정부(9)로부터 제공된 저장량이 기설정된 저장량에 도달하면, 상기 톤백지지부(6)로부터 상기 톤백(10)을 분리한 후에 상기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가 상기 후크(7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톤백(10)이 상기 톤백지지부(6)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측정부(9)는 측정한 저장량을 상기 운반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반부(5)는 상기 측정부(9)로부터 제공된 저장량이 기설정된 저장량에 도달하면, 곡물을 배출하는 작업을 정지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9 i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torage of grain stored in the tone bag 10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unit 6. The measuring unit 9 may provide the measured storage amount to the crane 7. When the amount of storage provided from the measuring unit 9 reaches a preset storage amount, the crane 7 separates the tone bag 10 from the tone bag support unit 6 and then transfers the tone bag 10 to the combine body ( 4) can be moved outside. In this case, as the hook moving part 72 is inserted into the hook 71,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are inserted, so that the tone bag 10 is moved to the tone bag support part 6 The hook 71 may be moved so as to be separated therefrom. The measurement unit 9 may provide the measured storage amount to the transport unit 5. When the storage amount provided from the measurement part 9 reaches a preset storage amount, the transport unit 5 may stop discharging the grai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톤백(10)에 충분한 곡물이 저장되면, 자동으로 상기 톤백지지부(6)로부터 상기 톤백(10)을 분리한 후에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수확작업에 대한 작업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eparates the tone bag 10 from the tone bag support part 6 when sufficient grain is stored in the tone bag 10, and then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Can be implemented to move to.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for the harvesting operation.

상기 측정부(9)는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 도 3에 도시됨)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부(9)는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의 하측에서 상기 톤백(10) 및 상기 톤백(10)에 저장된 곡물을 합한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톤백(10)에 저장된 곡물에 대한 저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부(9)는 중량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part 9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411 (shown in FIG. 3) of the bent part 41. In this case, the measuring unit 9 measures the sum of the weight of the ton bag 10 and the grain stored in the ton bag 10 under the tone bag 10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unit 6, You can measure the amount of storage for grains stored in (10). In this case, the measuring unit 9 may include a weight sensor.

상기 측정부(9)는 상기 톤백지지부(6)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부(9)는 상기 톤백(10) 및 상기 톤백(10)에 저장된 곡물을 합한 중량으로 인해 상기 제1지지부재(61) 및 상기 제2지지부재(62)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톤백(10)에 저장된 곡물에 대한 저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부(9)는 하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9 may be installed on the toneback support unit 6. In this case, the measuring unit 9 is a load acting on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due to the combined weight of the ton bag 10 and the grain stored in the ton bag 10 By measuring,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of storage for the grain stored in the tone bag 10.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unit 9 may include a load sensor.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톤백지지부(6)는 제1벌림부재(65, 도 9에 도시됨) 및 제2벌림부재(66,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7 to 9, the toneback support 6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preading member 65 (shown in FIG. 9) and a second spreading member 66 (shown in FIG. 9). Can include).

상기 제1벌림부재(6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벌림부재(6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지지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톤백본체(11)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벌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톤백지지부(6)는 상기 톤백(10)의 입구측이 개방된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운반부(5, 도 4에 도시됨)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상기 톤백(10)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손실되는 양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벌림부재(65)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지지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spreading member 65 is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1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spreading member 65 increases the area supporting the first connecting ring 12 based o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xis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toneback body 11 It can be spread in two directions (Y-axis direction). Therefore, the tone bag support part 6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rea in which the entrance side of the tone bag 10 is open,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loss without entering the toneback 10. The first opening member 65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hape capable of increasing an area supporting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xis direction) If it is, i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61)에는 상기 크레인(7)이 갖는 후크(71)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1통과공(611, 도 9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공(611)은 상기 제1지지부재(6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통과공(61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고리(12)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1통과공(6111)에서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1지지대(6a)에 사이에 위치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하측으로 하강된 후에 상기 제1통과공(611)을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앞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고리(12)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연결고리(12)를 상기 제1지지부재(6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63)에도 상기 제1통과공(611)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passage hole 611 (shown in FIG. 9) for passing the hook 71 of the crane 7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first through hole 611 is formed through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first through hole 611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connecting ring 12 based on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hook 71 is forme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rough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first support 6a in the first through hole 6111. After being lowered downward, by moving to the fro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long the first through hole 611,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us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first through hole 611 may also extend and be formed in the first locking member 63.

상기 제2벌림부재(6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벌림부재(6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지지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톤백본체(11)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벌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톤백지지부(6)는 상기 톤백(10)의 입구측이 개방된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운반부(5, 도 4에 도시됨)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상기 톤백(10)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손실되는 양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벌림부재(66)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지지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spreading member 66 is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spreading member 66 increases the area supporting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based o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xis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toneback body 11 It can be spread in two directions (Y-axis direction). Therefore, the tone bag support part 6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rea in which the entrance side of the tone bag 10 is open,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loss without entering the toneback 10. The second spreading member 66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hape capable of increasing an area supporting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xis direction) If it is, i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62)에는 상기 크레인(7)이 갖는 후크(71)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2통과공(621, 도 9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공(621)은 상기 제2지지부재(6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통과공(62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고리(13)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2통과공(621)에서 상기 제2연결고리(13) 및 상기 제2지지대(6b)에 사이에 위치한 부분을 통해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하측으로 하강된 후에 상기 제2통과공(621)을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앞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연결고리(13)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상기 제2지지부재(6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64)에도 상기 제2통과공(621)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assage hole 621 (shown in FIG. 9) for passing the hook 71 of the crane 7. The second through hole 621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second passage hole 621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based on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hook 71 is forme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rough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and the second support 6b in the second passage hole 621. After descending downward, by moving to the fron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long the second passage hole 621,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second through hole 621 may also extend and be formed in the second locking member 6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콤바인 2 : 예취부
3 : 탈곡부 4 : 콤바인본체
5 : 운반부 6 : 톤백지지부
7 : 크레인 8 : 개폐부
9 : 측정부 10 : 톤백
11 : 톤백본체 12: 제1연결고리
13 : 제2연결고리 41 : 수곡부
61 : 제1지지부재 62 : 제2지지부재
63 : 제1걸림부재 64 : 제2걸림부재
65 : 제1벌림부재 66 : 제2벌림부재
71 : 후크 72 : 후크이동부
73 : 후크지지부 74 : 후크회전부
1: combine 2: cutting
3: threshing unit 4: combine body
5: transport unit 6: tone bag support unit
7: crane 8: opening and closing part
9: measurement unit 10: toneback
11: toneback body 12: first connection ring
13: second connection ring 41: male bek
61: first support member 62: second support member
63: first locking member 64: second locking member
65: first spreading member 66: second spreading member
71: hook 72: hook moving part
73: hook support part 74: hook rotation part

Claims (10)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부(2);
상기 예취부(2)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3);
상기 예취부(2) 및 상기 탈곡부(3)가 설치되는 콤바인본체(4);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되고, 곡물을 저장하는 톤백(Ton Bag)(10)을 지지하기 위한 톤백지지부(6);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되고, 상기 탈곡부(3)에서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으로 곡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5); 및
상기 콤바인본체(4)에 설치되어 상기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7)을 포함하고,
상기 톤백지지부(6)는 상기 톤백(10)의 제1연결고리(12)에 삽입되기 위한 제1지지부재(61), 및 상기 톤백(10)의 제2연결고리(13)에 삽입되기 위한 제2지지부재(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61) 및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지지하여 상기 톤백(10)을 지지하고,
상기 콤바인본체(4)는 상기 제1지지부재(61) 및 상기 제2지지부재(62)가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톤백지지부(6)가 설치되며,
상기 톤백지지부(6)는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벌림부재(65), 및 상기 제2축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벌림부재(66)를 포함하되,
상기 제1벌림부재(65)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톤백(10)을 상기 제2축방향으로 벌리고, 상기 제2벌림부재(66)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축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6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톤백(10)을 상기 제2축방향으로 벌리며,
상기 크레인(7)은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에 삽입되기 위한 후크(7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61)에는 상기 후크(71)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1통과공(61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62)에는 상기 후크(71)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2통과공(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Cutting unit 2 for cutting and transporting crops;
A threshing unit (3) for threshing the crops transferred by the harvesting unit (2);
A combine body 4 in which the harvesting part 2 and the threshing part 3 are installed;
A tone bag support part 6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and supporting a ton bag 10 for storing grain;
A transport unit 5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and for transporting grains from the threshing unit 3 to the tone bag 10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unit 6; And
It is installed on the combine body (4) and includes a crane (7) for moving the ton bag (10)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The tone bag support part 6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member 61 for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of the tone bag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of the tone bag 10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member 62 for,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support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to support the tone bag 10,
The combine body 4 is provided with the toneback support part 6 so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irst axial direction,
The toneback support part 6 is formed by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1 in a second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a first spreading member 65 formed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Including a second spreading member 66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he first spreading member 65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1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al direction to spread the tone bag 10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spreading member ( 66)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al direction, so that the tone bag 10 is spread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The crane (7) includes a hook (71)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The first support member 61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611 for passing the hook 71,
The comb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hrough hole (621) for passing the hook (71)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콤바인본체(4)는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이 설치되기 위한 수곡부(41)를 포함하고,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은 상기 콤바인본체(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곡부(41)에 설치되되, 상기 탈곡부(3)의 옆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bine body 4 includes a bent part 41 for installing the toneback support part 6 and the crane 7,
The toneback support (6) and the crane (7) are installed in the bent part (41)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combine body (4),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next to the threshing part (3) Combine made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콤바인본체(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8)를 포함하고,
상기 콤바인본체(4)는 상기 톤백지지부(6) 및 상기 크레인(7)이 설치되기 위한 수곡부(41)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8)는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에 평행한 제1위치, 및 상기 수곡부(41)의 바닥면(411)에 대해 수직한 제2위치 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art 8 rotatably coupled to the combine body 4,
The combine main body 4 includes a bent part 41 for installing the toneback support part 6 and the crane 7,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8 is rota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and a second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bent part 41. Combin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mbine body (4).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61) 및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톤백지지부(6)는 상기 제1지지부재(61)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6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1걸림부재(63), 및 상기 제2지지부재(62)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6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6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2걸림부재(64)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부재(63)는 상기 제1지지부재(61)로부터 돌출될수록 상측방향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재(64)는 상기 제2지지부재(62)로부터 돌출될수록 상기 상측방향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toneback support part 6 is a first locking member 63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nd And a second locking member 64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oward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first locking member 63 is formed to be inclined to increase in height upward as it protrudes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he second engaging member (64) is a comb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to increase in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as it protrudes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7)은 상기 후크(71)가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에 삽입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키는 후크이동부(72)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가 상기 후크(71)에 삽입됨에 따라 톤백(10)이 톤백지지부(6)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or 5,
The crane (7) includes a hook moving portion (72) for moving the hook (71) so that the hook (7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The hook moving part 72 is the hook so that the tone bag 10 is separated from the tone bag support part 6 as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are inserted into the hook 71. (71) The combine,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7)은 상기 후크(71)가 결합된 후크지지대(73), 및 상기 제1연결고리(12)와 상기 제2연결고리(13)를 통해 상기 후크(71)에 지지된 톤백(10)을 상기 콤바인본체(4)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지지대(73)를 회전시키는 후크회전부(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6,
The crane 7 includes a hook support 73 to which the hook 71 is coupled, and a tonback supported by the hook 71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ng ring 13 A comb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rotation unit (74) for rotating the hook support (73) to move 10) to the outside of the combine body (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에 저장된 곡물에 대한 저장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9)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톤백지지부(6)에 지지된 톤백(10)에 곡물이 기설정된 저장량에 도달하면, 상기 제1연결고리(12) 및 상기 제2연결고리(13)가 상기 후크(71)에 삽입됨에 따라 톤백(10)이 상기 톤백지지부(6)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6,
Including a measuring unit 9 for measuring the storage amount of the grain stored in the tone bag 10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unit 6,
When the hook moving part 72 reaches a preset storage amount of grain in the tone bag 10 supported by the tone bag support part 6, the first connection r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13 A comb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71) is moved so that the tone bag (10) is separated from the tone bag support (6) as it is inserted into the hook (7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이동부(72)는 상기 제1지지부재(61)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62)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제2지지부재(62)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6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71)를 이동시키기 위한 후크이동기구(721), 및 상기 후크(71)를 승강시키기 위한 후크승강기구(7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6,
The hook moving part 72 is arrang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61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and a direction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62 to the first support member 61. A comb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movement mechanism (721) for moving the hook (71), and a hook lifting mechanism (722) for lifting the hook (71).
삭제delete
KR1020150184581A 2015-12-23 2015-12-23 Combine KR102204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581A KR102204073B1 (en) 2015-12-23 2015-12-23 Com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581A KR102204073B1 (en) 2015-12-23 2015-12-23 Com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215A KR20170075215A (en) 2017-07-03
KR102204073B1 true KR102204073B1 (en) 2021-01-18

Family

ID=5935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581A KR102204073B1 (en) 2015-12-23 2015-12-23 Comb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07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130B1 (en) * 2022-01-24 2022-09-16 정다운 Self-sustaining cabbage collector equipped automatic release device of ton bag ring
KR102452115B1 (en) * 2022-01-24 2022-10-11 정다운 Self-sustaining cabbage collector system that can measure yiel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5809A1 (en) * 2022-04-22 2023-10-26 Bison Underground,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carbon in soi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696B1 (en) * 1998-10-16 2001-02-15 박종오 Combines with grain feeder
KR100822429B1 (en) * 2006-08-31 2008-04-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Measuring equipments of total paddy rice yield for head-feeding combine
JP2014210666A (en) * 2013-04-03 2014-11-13 北受 孝美 Grip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26A (en) * 1999-07-23 2000-02-07 김상인 Garthering device of grain at comb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696B1 (en) * 1998-10-16 2001-02-15 박종오 Combines with grain feeder
KR100822429B1 (en) * 2006-08-31 2008-04-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Measuring equipments of total paddy rice yield for head-feeding combine
JP2014210666A (en) * 2013-04-03 2014-11-13 北受 孝美 Gripp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130B1 (en) * 2022-01-24 2022-09-16 정다운 Self-sustaining cabbage collector equipped automatic release device of ton bag ring
KR102452115B1 (en) * 2022-01-24 2022-10-11 정다운 Self-sustaining cabbage collector system that can measure y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215A (en)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073B1 (en) Combine
US5980189A (en) Portable grain cart
JP2013183716A (en) Grain storage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KR101692206B1 (en) Apparatus for loading automatically grain or feed in transport
JP2007045629A (en) Selection pan support device of weight sizer
JP2016078961A (en) Transport and lifting device
KR102090734B1 (en) Central chute of continuous ship unloader
JP2013048565A (en) Combine harvester
KR101368935B1 (en) Continuous ship unloader
KR200450685Y1 (en) Multiple crane
JP2013233108A (en) Ordinary-type combine harvester
US1110950A (en) Automatic feeder for threshing-machines, &c.
JP4069095B2 (en) Combine
TWI606963B (en) Article storage facility
CN209345810U (en) A kind of chicken coop device for automatically picking up eggs
JP3655248B2 (en) Combine
CN108996251B (en) Unloading device and loading equipment
JP4128943B2 (en) Combine
KR20130046581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werving of belt conveyor
JP4102857B2 (en) Combine
JP2019004737A (en) Riding type root crop harvesting machine
JP4068808B2 (en) Combine
JP6472348B2 (en) Combine
US262814A (en) Straw-stacker
JP2019180330A (en)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