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840B1 -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840B1
KR102203840B1 KR1020200091133A KR20200091133A KR102203840B1 KR 102203840 B1 KR102203840 B1 KR 102203840B1 KR 1020200091133 A KR1020200091133 A KR 1020200091133A KR 20200091133 A KR20200091133 A KR 20200091133A KR 102203840 B1 KR102203840 B1 KR 10220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viral
fiber product
fabric
produc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영
Original Assignee
박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영 filed Critical 박미영
Priority to KR102020009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처리액으로 처리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고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미네랄 및 이온을 포함하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on Pulmonary Disease; COPD)의 예방에 효과적이고, 인체 유익균인 피부 유산균과 구강 유산균의 생존 및 증식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 하고, 항균, 항바이러스 효능이 우수하며, 슈퍼박테리아인 MRSA에 대한 항균력을 갖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Anti-virus fabric product including anti-virus composition with anti-COPD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on Pulmonary Disease; COPD)의 예방에 효과적이고, 인체 유익균인 피부 유산균과 구강 유산균의 생존 및 증식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 하고, 항균, 항바이러스 효능이 우수하며, 슈퍼박테리아인 MRSA에 대한 항균력을 갖춘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 주변에 널리 이용되는 식품, 화장품, 의류 등의 제품에는 제품 물성의 변화를 방지하고, 미생물에 의한 인체 독성을 저감시키기 위해 미생물, 즉 균들의 성장 및 증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방부제 및 바이러스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항바이러스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포함된다.
이 중 의류와 같은 섬유 제품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 피지 등을 흡수하게 되고, 이 영역에는 피부에 잔존하는 바이러스가 쉽게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므로, 세척되지 않은 의류를 통해 바이러스의 전파 및 감염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전세계적으로 확산된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의 경우, 별도의 항바이러스 처리가 되지 않은 섬유 제품에서 24시간 이상 생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옴에 따라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섬유 제품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에는 항바이러스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은과 같은 각종 금속, 또는 이를 함유하고 있는 무기물 입자, 그 외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각종 유기 화합물을 섬유 제품에 적용하여 이용하였으나, 기존에 사용되던 항바이러스 제품의 경우 간이나 폐 등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이러한 항바이러스제가 마스크와 같은 섬유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호흡기를 통해 항바이러스제가 직접 호흡기로 흡입되어 폐의 염증이나 천식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호흡기나 구강을 통해 흡입되어도 인체 독성이 없으면서 섬유에 장시간 부착될 수 있고, 항바이러스 효능이 뛰어난 새로운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030590호(2019.10.02 등록)
본 발명에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on Pulmonary Disease; COPD)의 예방에 효과적이고, 인체 유익균인 피부 유산균과 구강 유산균의 생존 및 증식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 하고, 항균, 항바이러스 효능이 우수하며, 슈퍼박테리아인 MRSA에 대한 항균력을 갖춘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항바이러스 처리액으로 처리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고,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미네랄 및 이온을 포함한다.
상기 미네랄은, 칼슘(Ca), 마그네슘(Mg), 인(P) 및 규소(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은, 황산이온(SO4 2-), 염화이온(CL-) 및 불소이온(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은, 원단, 마스크, 수술복, 의사복, 간호사복, 침대시트, 의류, 손수건, 스카프, 차도르, 생리용품, 위생용품, 의료용품, 침구류, 신발, 자동차시트, 피혁제품, 물티슈 및 마스크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원단을 처리하여 원단에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칼슘(Ca), 마그네슘(Mg), 인(P) 및 규소(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미네랄; 및 황산이온(SO4 2-), 염화이온(CL-) 및 불소이온(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항바이러스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원단을 침지시켜 항바이러스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는, 물에 원단을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물에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섬유유연제, 발수제, 주름방지제 및 자외선차단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 이후에, 항바이러스 처리된 섬유 제품을 PU 코팅하는, 코팅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 이후에,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염료를 투입하고 가열하는 염색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처리 단계 이전에,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염료 및 물을 포함하는 용수에 원단을 침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용수에서 원단을 꺼내어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은,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방사하여 얻어진 원사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항바이러스 처리액으로 처리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고,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미네랄 및 이온을 포함한다.
상기 미네랄은, 칼슘(Ca), 마그네슘(Mg), 인(P) 및 규소(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은, 황산이온(SO4 2-), 염화이온(CL-) 및 불소이온(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은, 원단, 마스크, 수술복, 의사복, 간호사복, 침대시트, 의류, 손수건, 스카프, 차도르, 생리용품, 위생용품, 의료용품, 침구류, 신발, 자동차시트, 피혁제품, 물티슈 및 마스크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원단을 처리하여 원단에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칼슘(Ca), 마그네슘(Mg), 인(P) 및 규소(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미네랄; 및 황산이온(SO4 2-), 염화이온(CL-) 및 불소이온(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항바이러스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원단을 침지시켜 항바이러스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는, 물에 원단을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물에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섬유유연제, 발수제, 주름방지제 및 자외선차단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 이후에, 항바이러스 처리된 섬유 제품을 PU 코팅하는, 코팅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 이후에,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염료를 투입하고 가열하는 염색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처리 단계 이전에,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염료 및 물을 포함하는 용수에 원단을 침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용수에서 원단을 꺼내어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은,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방사하여 얻어진 원사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인체 안전성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효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항균성능 및 유산균 생존력을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항바이러스 섬유의 항균성능 및 유산균 생존력을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식물로부터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천연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이고, 미네랄은 인체를 구성하고 인체의 성장과 유지 등의 생리활동에 필요한 원소 중 유기물의 주성분이 되는 산소, 탄소, 수소, 질소를 제외한 다른 모든 원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처리액으로 처리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on Pulmonary Disease; COPD)의 예방에 효과적이고, 인체 유익균인 피부 유산균과 구강 유산균의 생존 및 증식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 하고, 항균, 항바이러스 효능이 우수하며, 슈퍼박테리아인 MRSA에 대한 항균력을 갖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은, 항바이러스 처리액을 이용하여 처리된 원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조성물과 물을 포함한다.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으로 원단을 처리하면, 원단에 특정 미네랄과 이온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함침 또는 코팅되어 원단의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임으로써 섬유 제품을 매개로 한 바이러스의 감염 및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섬유 제품은 원단, 마스크, 수술복, 의사복, 간호사복, 침대시트, 의류, 손수건, 스카프, 차도르, 생리용품, 위생용품, 의료용품, 침구류, 신발, 자동차시트, 피혁제품, 물티슈 및 마스크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의료기기 등일 수 있으며, 섬유가 적용된 각종 제품일 수 있다.
상기 원단에 항바이러스 기능을 부여하는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항바이러스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항바이러스 처리액 내에 0.1~10 vol%로 포함될 수 있고, 0.1 vol%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섬유 제품의 항바이러스 성능이 저하되고, 10 vol%를 포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항바이러스 성능 향상이 없을뿐더러,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농도가 과도하게 높아 생산단가 측면에서 효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술한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섬유 제품에 함침 또는 코팅할 때, 원사 상태 또는 원단 상태의 섬유에 적용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원사 상태의 섬유에 적용하는 경우, 즉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원사로 제조된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경우에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원단 상태의 섬유 제품에 적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원사 상태의 섬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비광물성 천연미네랄 성분 및 복합 무기염류가 포함된 무색무취한 수용액으로서,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재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하여 분리하거나,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해 분리하거나, 자연 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하거나, 다양한 정제방법 및 활성 분획을 통해 재가공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수용액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항바이러스, 항균 효능을 갖는 조성물로, 미네랄 및 이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네랄은 칼슘(Ca), 마그네슘(Mg), 인(P) 및 규소(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은 황산이온(SO4 2-), 염화이온(CL-) 및 불소이온(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포함된 미네랄 및 이온의 총 함량은 항바이러스 조성물 1L에 대하여 12~150mg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주요 성분으로 칼슘(Ca) 2,900~39,000 ㎍/L, 마그네슘(Mg) 1,100~9,300 ㎍/L, 인(P) 120~1,800 ㎍/L, 규소(Si) 100~15,100 ㎍/L, 황산이온(SO4 2-) 6,200~24,100 ㎍/L, 염화이온(CL-) 300~7,200 ㎍/L 및 불소이온(F-) 50~700 ㎍/L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요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항바이러스, 항균 기능을 나타내고, 인체에 무해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섬유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 섬유 제품에서도 동일한 항바이러스, 항균, 인체안전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항균 혹은 항바이러스 처리된 섬유 제품은, 섬유 제품을 구성하는 섬유와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섬유 제품 사용 초기에는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가 나타나지만, 섬유 제품의 사용 횟수가 증가하거나 세탁 후에는 유효 성분이 섬유로부터 탈리되어 장기적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유효 성분의 섬유에 대한 결합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바인더를 함께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바인더로써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섬유 제품에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등과 같은 수지가 사용되었으며,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바인더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수지계 바인더는 섬유가 원래 가지고 있는 내구성, 촉감, 구김성 등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항바이러스제의 결합력 향상과 같은 특별한 기능을 부여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항균,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경우에는 원단에 항균,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나노 입자를 코팅시켜 섬유에 기능을 부여하였으나, 마스크 등과 같은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소비자의 구강 혹은 비강을 통해 이와 같은 나노 입자와 화학물질이 흡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폐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구강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은 식물에서 추출된 천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나노 입자, 화학물질에 의한 인체 손상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섬유 제품으로 적용되더라도 인체에 안전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 방법은,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원단을 처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처리 단계를 통해 원단에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섬유 제품의 종류 또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처리 단계는,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처리 단계의 일 예는, 항바이러스 처리액을 먼저 제조한 뒤 여기에 원단을 침지시켜 항바이러스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항바이러스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원단을 침지시켜 항바이러스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처리 단계의 다른 예는, 물에 원단을 침지한 뒤, 여기에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입하여 원단에 항바이러스 처리를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처리 단계는, 물에 원단을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물에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섬유 가공은 염료, 대전방지제, 발수제, 주름방지제, 자외선차단제, 화학합성항균제 등의 가공제를 포함한 용수에 소정 시간 원단을 침적시킨 뒤 열처리, 수세,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수행되는데, 이때 염료를 이용한 염색 가공과 그 외 기타 가공제를 이용한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염료에 의한 염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색이나 문양을 갖는 원단을 제작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기타 가공제에 의한 대전방지 효능, 발수 효능 등의 기타 효능이 저하되기에, 일반적으로 염색 가공이 수행된 후, 후처리 가공으로 대전방지제, 발수제, 주름방지제, 자외선차단제, 화학합성항균제 등을 이용한 가공 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염색단계에서 용수, 즉 물에 혼합되어 사용되더라도, 염색견뢰도와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한 항바이러스성, 항균성 등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가공은 후처리 가공 단계뿐만 아니라 염색단계에서도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처리 단계에서,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섬유유연제, 발수제, 주름방지제 및 자외선차단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첨가제가 포함되더라도 원단에 부여되는 첨가제와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각각의 기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단계 이후에, 항바이러스 처리된 섬유 제품을 PU 코팅하는 코팅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섬유 표면을 PU(폴리우레탄)로 코팅함에 따라 섬유의 강도나 내구성 등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의 섬유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처리 단계 이전 혹은 이후에, 상기 원단의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 단계 이전에 원단의 염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염료 및 물을 포함하는 용수에 원단을 침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용수에서 원단을 꺼내어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은 용수의 온도가 50~150℃가 되도록 가열한 뒤,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약 30~80분 동안 동일 온도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원단에 염료를 고착시킬 수 있다. 특히, 면 원단의 경우에는 용수의 온도를 50~80℃로 유지해야 원단의 손상이 없고, PET 원단인 경우에는 용수의 온도를 110~140℃로 유지해야 원단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염료의 고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 이후, 용수의 온도가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냉각 단계가 이루어지며, 60℃ 이하인 경우에는 별도의 냉각 없이 바로 수세가 진행된다.
미고착 염료를 제거하기 위한 수세는 염료의 종류 및 원단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 물질, 환원제, 소핑제 등의 제품이 선택적으로 함께 첨가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칼리 물질로는 NaOH가, 환원제로는 Na2S2O4가, 소핑제로는 니카코리아사의 TC 300S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건조는 자연건조, 냉풍건조, 열풍건조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건조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건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처리 단계를 거침으로써 원단에 항바이러스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처리 단계 이후에 원단의 염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염색 단계는, 처리 단계에서 사용된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염료를 투입하고 가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염료는 원단에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함침 혹은 코팅시키기 위한 처리 단계를 거친 이후에 투입될 수 있다.
가열은 염료 투입 이후 용수의 온도가 50~150℃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으며,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약 30~80분 동안 동일 온도를 유지하여 염료를 원단에 고착시키고, 이후에는 용수의 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냉각이 이루어지며, 이후 수세 및 건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 단계 이후에 원단의 염색이 이루어지더라도 처리 단계 이전에 원단의 염색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염색이 이루어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 방법은,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방사하여 얻어진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고, 이 원단을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수지를 용융시키는 고분자 용융액 제조 단계; 고분자 용융액에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혼합하여 방사액을 제조하는 방사액 제조 단계; 및 방사액을 방사시켜 원사를 제조하는 방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용융액 제조 단계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150~300℃로 용융시켜 고분자 용융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때, 고분자 수지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용융액에 에틸렌글리콜이 함께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80~1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용융 온도는 240~2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액 제조 단계는 고분자 용융액에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로, 고분자 용융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조성물 0.01~1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고분자 용융액과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교반이 수행될 수 있으며, 교반은 10~5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사 단계는 앞서 제조된 방사액을 방사하여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때 방사 온도는 150~300℃ 범위 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얻어진 원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단은, 필요에 따라 앞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PU코팅 혹은 염색단계를 선택적으로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항바이러스 조성물 제조
먼저, 자연에서 채취한 식물을 세척 및 건조하고, 건조된 식물을 용매에 침지시켜 고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한 후, 고형물을 제거한 액상 성분만을 분리하여 여과 및 정제를 통해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섬유의 제조
용수 500mL에 앞서 제조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10mL를 혼합하여 항바이러스 처리액을 제조하고, 20분 후 소정 크기의 섬유를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침지시킨 뒤,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항바이러스 섬유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인체 안전성 실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인체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미국 FDA에 의뢰하여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경구독성시험 및 피부자극시험을 수행하였다.
경구독성시험은 OECD 가이드라인(Acute Oral Toxicity, volume 2, Test 420)에 따라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였다. 경구독성시험은 실험쥐 5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고, 도 1에 각 쥐의 무게와 항바이러스 조성물 투여량을 표로 도시하였다.
도 2는 투여기간별 삽관을 통한 이상징후 발생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투여기간내 실험쥐에게서는 어떠한 이상도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쥐 부검 결과인 도 3을 참조하여도 실험쥐에게 어떠한 이상도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부자극시험은 FDA 가이드라인에 의거한 Primary skin imitation test에 따라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어떠한 피부자극도 유발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며, Primary imitation index값이 0으로 나타나 피부독성이 "Negligible"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FDA 시험 결과 경구독성 및 피부자극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인체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만성폐쇄성폐질환 ( COPD ) 효능 실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효능을 시험하였다. 먼저, 6주령의 실험쥐를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음수로 혹은 200uL씩 경구투여하고, 담배연기와 LPS(Lipopolysaccharide)에 노출시켜 폐조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실험쥐는 시료 경구투여 후 1시간 후에 1시간씩 담배연기에 노출되었으며, 실험은 7일간 진행되었다.
실험군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군(NC), 담배연기와 LPS 노출군(COPD), 담배연기, LPS 노출 1시간 전 Roflumilast가 투여된 실험군(ROF), 담배연기, LPS 노출 1시간 전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경구투여된 실험군(ESN200), LPS 노출 1시간 전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음수로 공급된 실험군(ESN)으로 나누었다.
실험 종료 후 각 실험군 별 실험쥐의 기관지 폐포세척액 내 IL-6와 TNF-alpha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고, 실험군 별 실험쥐의 혈액 및 폐조직을 분리하여 관찰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담배연기와 LPS에 노출된 군은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L-6, TNF-alpha가 크게 증가되었다. 또한, 혈액 및 폐조직 관찰 결과, 호중구 수, 총 염증세포 및 활성산소족의 생성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폐조직내 염증세포의 침윤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투여된 실험군에서는 다양한 염증성 매개물질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발병 및 발달에 영향을 주는 호중구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담배연기와 LPS로 유발된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해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성능 실험
A. 감염중처리
먼저, MDCK cell 3x105를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다음으로, 0.3% BSA가 포함된 PBS 용액에 시험 용액인 증류수와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 비교예 1의 항균수용액, 비교예 2의 항균 조성물을 각각 서로 다른 농도로 혼합한 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농도가 0.01moi가 되도록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MDCK cell을 PBS 용액으로 세척한 후, 상기 혼합 용액을 각각 분주하여 감염시키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뒤, BSA 0.3%, 트랙 트립신 1㎍/ml가 포함된 MEM 배양액 2ml를 첨가하고, 감염 후 24시간 후에 바이러스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B. 감염후처리
먼저, MDCK cell 3x105를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다음으로, 0.3% BSA가 포함된 PBS 용액에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농도가 0.01moi가 되도록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MDCK cell을 PBS 용액으로 세척한 후, 상기 혼합 용액 300㎕를 분주하여 감염시키고, BSA 0.3%, 트랙 트립신 1㎍/ml가 포함된 MEM 배양액 여러개를 준비하여 각각에 시험 용액인 증류수와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 비교예 1의 항균수용액, 비교예 2의 항균 조성물을 각각 서로 다른 농도로 혼합하여 감염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MDCK cell을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뒤, 상기 감염액을 2ml씩 분주하고, 감염 후 24시간 후에 바이러스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도 7에서 실시예는 제조예에서 제조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이고, 비교예 1은 등록특허 제10-1674512호의 항균수용액이며, 비교예 2는 등록특허 제10-2030590호의 항균 조성물이다.
감염중처리 감염후처리
농도(%) 0.5 2 10 0.5 2 10
바이러스
생존률(%)
증류수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 50 45 41 78 77 22
비교예 1 69 68 68 88 91 64
비교예 2 66 61 57 98 93 65
상기 표 1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감염중에 처리가 된 경우 바이러스 생존률이 50% 이하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실시예 1 보다 항바이러스 성능이 낮아, 바이러스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다.
감염후에 처리가 된 경우, 실시예 1의 경우에는 고농도(10%)일 때 바이러스 억제 성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들의 경우에는 고농도로 처리되더라도 감염중 처리된 것과 유사한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비교예 1의 항균수용액 및 비교예 2의 항균 조성물보다 항바이러스 성능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4]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항균성능 및 유산균 생존력 측정 실험
한국임업진흥원에 의뢰하여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항균성능 및 유산균 생존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7은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로, 원액, 2%, 1% 농도일 때 모두 99.99%의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8은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유산균 생존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로,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원액상태일때와 1% 농도일 때 모두 유산균 생존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유익균인 유산균의 생존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6]
항바이러스 섬유의 항균성능 및 유산균 생존력 측정실험
한국임업진흥원에 의뢰하여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섬유의 항균성능 및 유산균 생존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였다.
먼저, 도 9는 항바이러스 섬유의 뮤탄스균, 폐렴균 및 진지발리스균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섬유는 상기 세 종류의 균에 대하여 99.99%의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0은 항바이러스 섬유에서의 유산균 생존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섬유는 어떠한 처리도 되지 않은 섬유에 비해 유산균 생존력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섬유는 유해균에 대한 항균성능이 우수하고, 유익균인 유산균의 생존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원단을 처리하여 원단에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식물에서 추출된 항바이러스 조성물 0.1~10vol%과 물을 포함하고,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미네랄 및 이온을 12~150mg의 범위로 포함하며,
    상기 미네랄은, 칼슘(Ca) 2,900~39,000㎍/L, 마그네슘(Mg) 1,100~9,300㎍/L, 인(P) 120~1,800㎍/L 및 규소(Si) 100~15,100㎍/L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은, 황산이온(SO4 2-) 6,200~24,100㎍/L, 염화이온(Cl-) 300~7,200㎍/L 및 불소이온(F-) 50~700㎍/L을 포함하며,
    별도의 바인더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은, 원단, 마스크, 수술복, 의사복, 간호사복, 침대시트, 의류, 손수건, 스카프, 차도르, 생리용품, 위생용품, 의료용품, 침구류, 신발, 자동차시트, 피혁제품, 물티슈 및 마스크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항바이러스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원단을 침지시켜 항바이러스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물에 원단을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물에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처리액은 섬유유연제, 발수제, 주름방지제 및 자외선차단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 이후에, 항바이러스 처리된 섬유 제품을 PU 코팅하는, 코팅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 이후에, 항바이러스 처리액에 염료를 투입하고 가열하는 염색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 이전에,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염료 및 물을 포함하는 용수에 원단을 침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용수에서 원단을 꺼내어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12.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사로 제조된 원단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사는,
    고분자 수지를 용융시키는 고분자 용융액 제조 단계;
    상기 고분자 용융액에 미네랄 및 이온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혼합하여 방사액을 제조하는 방사액 제조 단계; 및
    상기 방사액을 방사시켜 원사를 제조하는 방사 단계;를 통해 제조되며,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미네랄 및 이온을 12~150mg의 범위로 포함하며,
    상기 미네랄은, 칼슘(Ca) 2,900~39,000㎍/L, 마그네슘(Mg) 1,100~9,300㎍/L, 인(P) 120~1,800㎍/L 및 규소(Si) 100~15,100㎍/L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은, 황산이온(SO4 2-) 6,200~24,100㎍/L, 염화이온(Cl-) 300~7,200㎍/L 및 불소이온(F-) 50~700㎍/L을 포함하며,
    별도의 바인더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은, 원단, 마스크, 수술복, 의사복, 간호사복, 침대시트, 의류, 손수건, 스카프, 차도르, 생리용품, 위생용품, 의료용품, 침구류, 신발, 자동차시트, 피혁제품, 물티슈 및 마스크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융액 제조 단계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150~300℃의 온도 범위로 가열하여 고분자 용융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액 제조 단계는, 상기 고분자 용융액에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혼합하고, 10~5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단계는, 150~3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17. 제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KR1020200091133A 2020-07-22 2020-07-22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3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133A KR102203840B1 (ko) 2020-07-22 2020-07-22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133A KR102203840B1 (ko) 2020-07-22 2020-07-22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40B1 true KR102203840B1 (ko) 2021-01-15

Family

ID=7412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133A KR102203840B1 (ko) 2020-07-22 2020-07-22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552A (ko) 2022-02-11 2022-03-04 박미영 유산균활성, 항균,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처리된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섬유 제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793A (ko) * 2010-06-11 2011-12-19 석명호 항균성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674512B1 (ko) * 2016-03-24 2016-11-09 박미영 항균력과 유산균 증식력이 우수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KR102030590B1 (ko) 2019-03-12 2019-10-10 박미영 유산균 생존력과 항균력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793A (ko) * 2010-06-11 2011-12-19 석명호 항균성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674512B1 (ko) * 2016-03-24 2016-11-09 박미영 항균력과 유산균 증식력이 우수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KR102030590B1 (ko) 2019-03-12 2019-10-10 박미영 유산균 생존력과 항균력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552A (ko) 2022-02-11 2022-03-04 박미영 유산균활성, 항균,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처리된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섬유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dra et al. Emerging nanomaterials for antibacterial textile fabrication
CA2619446C (en) Antimicrobial treatment of nonwoven materials for infection control
Meguid et al. Potential of combating transmission of COVID-19 using novel self-cleaning superhydrophobic surfaces: part I—protection strategies against fomites
EP1919282A2 (en) Antimicrobial substrates
El-Shafei et al. Herbal extract as an ecofriendly antibacterial finishing of cotton fabric
JP2009506128A (ja) 抗微生物性組成物
CN107261196A (zh) 一种抗菌丝素蛋白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457474B (zh) 一种高效抗菌除臭袜及其制备方法
CN111394820A (zh) 一种具有抗病毒抗菌防螨多功能再生纤维素纤维的制备方法
CN106906530B (zh) 一种含艾草成分的驱蚊抗菌纤维素纤维及其制备方法
KR102203840B1 (ko) 항copd력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한 항바이러스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0590B1 (ko) 유산균 생존력과 항균력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49096B1 (ko) 항균 물티슈 제조방법
CN111139645A (zh) 一种高填料抗菌湿纸巾及其增柔处理工艺
KR20220026552A (ko) 유산균활성, 항균,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처리된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섬유 제품
Shaikh et al. Hygiene characterization of polypropylene nonwoven composites produced on loading bio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using Aloe Barbadensis Miller plant extract
CN107385555A (zh) 一种可彻底杀灭有害细菌的内裤
KR100476549B1 (ko) 피부 기능성 원단
CN105922673A (zh) 一种外科手术用布
JP3398504B2 (ja) 繊維用処理剤および繊維材料の処理方法
CN108525001A (zh) 透气抗菌蚕丝纳米敷料
Zhang et al. Occupational clothing for surgeons and nurses
Chittapur Sandalwood Plantations –Points to Ponder
JP4359819B2 (ja) 機能性繊維及びその繊維構造体
Toro et al. Functional finishing of textile materials using silver-based functionalized nanoparticles: Health perspec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