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70B1 -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 - Google Patents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70B1
KR102203370B1 KR1020200071401A KR20200071401A KR102203370B1 KR 102203370 B1 KR102203370 B1 KR 102203370B1 KR 1020200071401 A KR1020200071401 A KR 1020200071401A KR 20200071401 A KR20200071401 A KR 20200071401A KR 102203370 B1 KR102203370 B1 KR 10220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terminal portion
groove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일
Original Assignee
정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일 filed Critical 정용일
Priority to KR102020007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절연소재로 형성된 박스형태의 배전반박스; 상기 배전반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 양측에는'ㄷ'단부가 대칭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ㄷ'단부의 상단의 상측면 내지 하측면에 레일홈이 전단 내지 후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연레일; 및 상기 절연레일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배전반박스에 인입된 선이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의 상단의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단자부; 상기 제 1 단자부보다 소정 낮게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는 제 2 단자부; 및 상기 제 2 단자부보다 소정 낮게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는 제 3 단자부; 를 포함하며 제 1 단자부, 제 2 단자부 및 제 3 단자부의 상단에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선이 접촉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블록형태의 단자; 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일측이 상기 단자의 내부에 구비되는 판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단자의 내부측면에 접촉되지 않는 크기로 권취되며 일측이 단자의 내부측면에 권취되어 위치되며 타측이 커넥터의 내부에 권취된 형태로 위치되며 권취된 중심부가 단자의 일측에 지지되고 단자부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의 크기가 상기 커넥터의 내부로 연결된 선을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배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DISTRIBUTING BOARD WITH IMPROVED SAFETY PERFORMANCE}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전력기기에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 사고로부터 계통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선박 및 유동구조물에 쓰이는 배전반은 위치 변동 또는 폭발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이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경우, 제어반의 내부 전력기, 배선 및 보호계전기 등의 전기부품들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에 다른 전력 장애로 인해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최근 빈번해지고 있는 지진, 태풍, 해일 등의 자연 재해로 인해 건물이나 선박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증가되고 있는 바, 건물의 안전확보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건물 내에 구비되는 배전반의 경우에도 파손으로 인해 전력공급의 중단 및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의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전반에 내화 및 쇼트에 의한 오작동에 대한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절연소재로 형성된 박스형태의 배전반박스;상기 배전반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 양측단이'ㄷ'대칭형상으로 구비되고'ㄷ'단부의 상단의 상측면 내지 하측면에 레일홈이 형성되는 절연레일; 및 상기 절연레일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배전반박스에 인입된 선이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선이 접촉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블록형태의 단자; 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일측이 상기 단자의 내부에 구비되는 판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단자의 내부측면에 접촉되지 않는 크기로 권취되며 일측이 단자의 내부측면에 권취되어 위치되며 타측이 커넥터의 내부에 권취되며 권취된 중심부가 단자의 일측에 지지되어 위치되며 단자부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가 상기 커넥터의 내부로 연결된 선을 간섭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배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전반은 절연레일상에서 이동하며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그라운딩 되어 기계의 오작동 발생을 억제하며 커넥터의 일측에 안전커버가 구비되어 화재발생으로부터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연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전체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에 형성된 단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b) 및 (c)는 안전커버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화재가 발생 시 안전커버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전체외곽을 형성하는 배전반박스(B)와 배전반박스내부에 설치되는 절연레일(100) 및 절연레일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배전반에 인입되는 선이 결합되는 커넥터(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배전반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박스(B)는 상, 하, 좌 및 우측면이 벽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전반박스(B)에 형성되는 벽면은 절연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면 중 어느 일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회선이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전반박스(B)의 내측은 필요에 따라 내화 및 내연 코팅이 될 수 있다.
한편, 배전반박스(B)의 내부에는 절연레일(100)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레일(100)은 배전반박스(B)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절연레일(100)에는 커넥터(2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연레일(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절연레일(100)은 좌측 및 우측이 'ㄷ'단부(11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레일(10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ㄷ'단부(110)는 절연레일(100)의 내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이 대칭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레일(100)은 배전반박스(B)의 가로 내지 세로방향 중 일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절연레일(100)은 복수개의 커넥터(200)가 배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레일(100)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커넥터(200)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레일(100)의'ㄷ'단부(110)의 상단의 상측면 내지 하측면에는 절연레일(100)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레일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레일홈(120)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레일홈(120)이 형성되는 시작점에 형성되는 오목부(120a), 오목부(120a)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부(120b) 및 절연코팅홈(12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레일홈(120)은 오목부(120a)가 레일홈(120)이 시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오목부(120a)로 시작된 레일홈(120)은 오목부(120a)에 연장되어 경사부(120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120b)에 연장되어 오목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이전과 같은 오목부(120a)와 경사부(120b)의 배치되는 순서는 반복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끝지점과 시작점에 소정간격 이격되는 공간에는 절연코팅홈(12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오목부(120a)는 레일홈(120)의 일측면의 위치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경사는 커넥터(200)가 접속되기 용이한 완만한 경사가 될 수 있다.
오목부(120a)의 일측에는 경사부(120b)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20b)는 오목부(120a)보다 소정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일측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경사부(120b)는 오목부(120a)보다 일측에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파형의 마루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120b)의 일측에는 오목부(120a)가 위치되어 오목부(120a) 및 경사부(120b)가 연속된 형태로 레일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일홈(120)의 경사부(120b)의 시작점에 형성된 오목부(120a)와 경사부(120b)의 끝단에 형성된 오목부(120a) 사이에는 절연코팅홈(120c)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코팅홈(120c)은 절연체 소재가 코팅된 소정 크기의 공간이 될 수 있다. 이 때, 절연코팅홈(120c)에 코팅된 절연체 소재는, 연결되는 선에 따라 요구되는 접지 저항을 고려한 절연소재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연코팅홈(120c)은 커넥터(2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절연코팅홈(120c)은 커넥터(200)의 하부에 형성된 후술할 그라운드볼(B)이 접촉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락 사고 또는 전위차 예의한 사고나 노이즈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오동작을 예방하기위해 별도의 접지매설 등을 시행하지 않고 장치 기기가 보호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전체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커넥터(200)에는 구름단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름단부(210)는 커넥터(2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름단부(210)는'ㄴ'형상으로 커넥터(2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00)는 구름단부(210)의 상측에 형성되며 배전반박스(B)에 인입된 선이 접촉 및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자(C)가 포함되는 단자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00)는 단자부(22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는 안전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름단부(210)는 커넥터(200)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름단부(210)는'ㄴ'형상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름단부(210)는 상측면(210a)과 반대측면(210b)에 복수개의 그라운드볼(B)이 배치될 수 있다. 그라운드볼(B)은 전도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볼(B)은 커넥터(200)에 연결되는 회로기판에서 연결되는 그라운드선(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라운드볼(B)은 구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볼(B)은 구름단부(210)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볼(B)은 레일홈(120)과 표면이 접촉되며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름단부(210)와 절연레일(100)이 접촉 및 결합되어 그라운드볼(B)은 레일홈(120)을 따라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때, 그라운드볼(B)이 절연코팅홈(120c)에 위치된 그라운드볼(B)은 양측에 마련된 경사부(120b)의 사이의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코팅홈(120c)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힘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 그라운드볼(B)은 절연코팅홈(120c)과 접촉되는 위치에 정지되어 접지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름단부(210)의 상측에는 단자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220)는 배전반박스(B)에 인입된 선이 연결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단자부(220)는 커넥터(200)의 상단의 높이로 형성된 제 1 단자부(220a)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부(220a)보다 소정 낮게 형성되는 제 2 단자부(220b) 및 제 2 단자부(220b)보다 소정 낮게 형성되는 제 3 단자부(220c)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2 및 3 단자부(220a, 220b, 220c)간의 높이차는 사용 환경에 따라 선의 연결이 용이한 높이가 될 수 있다.
한편, 제 1 단자부(220a)는 커넥터(20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단자부(220a)는 주로 기기접속용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200)는 복수개의 핀이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단자부(220a)는 외부에서 배전반박스(B)에 인입된 별도의 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단자부(220a)의 일측에는 제 2 단자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단자부(220)는 제 1 단자부(220a) 보다 소정 작은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부(220a)와 제 2 단자부(220)는 소정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자부(220b)는 제 1 단자부(220a)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단자부(220b)의 일측에는 제 3 단자부(220c)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단자부(220c)는 제 2 단자부(220b)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자부(220b)와 제 3 단자부(220c)는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어 제 1, 2 및 3 단자부(220a, 220b, 220c)는 계단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220)는 제 1, 2 및 3 단자부(220a, 220b, 220c)만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제 3 단자부(220c)와 소정높이의 단차를 형성하는 제 4 단자부(미도시), 제 5 단자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단자부(220a)내지 제 2 단자부(220)의 사이에는 제 1 안전커버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안전커버홈(221)은 설치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전커버홈(221)은 후술할 안전커버(23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안전커버홈(221)은 후술할 안전커버(230)가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전커버홈(221)의 일측면에는 제 1 결합돌기홈(H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돌기홈(H1)에는 후술할 안전커버(23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35)가 삽입 및 지지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자부(220) 내지 제 3 단자부(220)의 사이에는 제 2 안전커버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안전커버홈(222)은 제 1 안전커버홈(221)보다 소정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안전커버홈(222)은 후술할 안전커버(23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안전커버홈(222)의 일측면에는 제 2 결합돌기홈(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돌기홈(H2)에는 후술할 안전커버(23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35)가 삽입 및 지지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에 형성된 단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제 1, 2 및 3 단자부는 단자(C)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C)는 커텍터(200)에 연결되는 선이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단자(C)는 제 1, 2 및 3 단자부(220a, 220b, 220c)의 상단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단자(C)는 제 1, 2 및 3 단자부(220a, 220b, 220c)의 각각의 연결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및 3 단자부(220a, 220b, 220c)에 형성된 단자(C)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블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2 및 3 단자부(220a, 220b, 220c)에 단자(C)의 내부에는 판스프링(C1)이 구비될 수 있다. 판스프링(C1)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얇은 판이 권취된 형태가 될 수 있다. 판스프링(C1)은 권취된 중심부가 단자(C)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C1)의 권취된 길이는 단자(C)가 커넥터(200)의 상단위치에서 커넥터(200)의 상단 외측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C1)은 단자(C)의 측면에 접촉되지 않는 크기로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C1)은 단자(C)의 내부에 위치된 일측이 권취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판스프링(C1)은 커넥터(200)의 내부로 연결된 선(C2)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C1)의 타측은 제 1, 2 및 3 단자부(220)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C)는 단자부(22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C1)은 단자(C)가 커넥터(200) 방향으로 당겨지는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부(220)에 선을 연결할 경우 측면에 위치된 다른 구성으로부터 거리가 이격되어 연결시 합선문제나 연결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선의 연결 시 발생되는 스파크가 다른 구성에 미치지 않게 되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커넥터(200)는 일측면이 가변벽면(2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벽면(223)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벽면이 될 수 있다. 가변벽면(223)의 높이는 커넥터(200)의 전체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변벽면(223)의 상단은 후술할 안전커버(230)와 결합되는 제 3 결합돌기홈(H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변벽면(223)의 너비는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가변벽면(223)은 커넥터(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가변벽면(223)은 커넥터의 하부에 형성된 가변벽면결합홈(223a)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가변벽면결합홈(223a)은 커넥터(200)의 폭방향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변벽면결합홈(223a)의 단면형상은 커넥터(2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끝단이 상하로 돌출된 요철형상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동감, 지지력에 따라 가변벽면결합홈(223a)의 형상은 적절히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변벽면결합홈(223a)은 가변벽면(223)이 결합되어 관통된 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변벽면(223)은 커넥터(200)에 결합되어 외부 또는 내부의 위험으로 부터 커넥터(200)를 보호하고 연결된 선의 정리가 용이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크기의 가변벽면(223)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변벽면(223)은 커넥터(200)의 외측이 소정공간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200)에 연결된 선은 개방된 외측으로 정렬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최소공간으로 개방하여 화재나 쇼트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 스파크가 외부로 미치는 영향이 억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가변벽면(223)은 커넥터(200)에 연결된 선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가변벽면(223)은 도 4의 (a)의 가변벽면(223)보다 작게 형성되어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변벽면(223)간 이격된 공간에 커넥터(200)에 연결된 선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00)에 연결된 선은 가변벽면(223)의 외측으로 개방된 공간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면 4의 (b)에서 가변벽면(223)은 2개로 형성되었으나, 커넥터(200)에 요구되는 안전성능 및 선의 배치에 따라 가변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안전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커버(23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사각의 판이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안전커버(230)의 일측의 끝단에는 회전을 위한 힌지(231)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231)는 힌지구(231a) 및 힌지봉(23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봉(231b)은 안전커버(23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원형의 단부가 될 수 있다. 힌지봉(231b)의 끝단에는 힌지구(231a)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구(231a)는 구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힌지(231)는 단자부(220)의 일측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231)는 단자부(220)의 일측의 끝단을 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제 1 면부(232) 및 제 2 면부(233)의 사이에는 제 1 절첩홈(23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절첩홈(232a)은 제 1 면부(232) 및 제 2 면부(233)의 결합되는 단부에'v'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절첩홈(232a)은 외측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절첩홈(232a)에 의해 제 1 면부(232)를 기준으로 제 2 면부(233)가 단자부(220)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면부(233) 및 제 3 면부(234)의 사이에는 제 2 절첩홈(23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절첩홈(233a)은 제 1 절첩홈(232a)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면부(233)를 기준으로 제 3 면부(234)는 단자부(220)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3 면부(234)의 끝단에는 결합돌기(235)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35)는 본 실시예에서 제 3 면부(234)의 좌우측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 선의 연결의 편의성을 위해 결합돌기(235)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커버(230)는 커넥터(200)에 고정되어 지지되어 있을 경우에도 이격된 공간을 통해 선의 출입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6의 (a), (b) 및 (c)는 안전커버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제 1 단자부(220a)을 보호할 경우, 제 1 면부(232)는 커넥터(200)의 설치면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면부(233) 및 제 3 면부(234)는 제 1 면부(232)를 기준으로 일측(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수직하게 굽어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면부(233) 및 제 3 면부(234)는 제 1 안전커버홈(221)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3 면부(234)에 형성된 결합돌기(235)는 제 1 안전커버홈(221)에 형성된 결합돌기홈(H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커버(230)는 제 1 단자부(220a)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부(220a)에서 발생되는 화재 또는 스파크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제 2 단자부(220b) 및 제 3 단자부(220c)에 선의 접속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안전커버(230)가 제 1 단자부(220a) 및 제 2 단자부(220b)를 보호할 경우, 제 1, 2 면부(232, 233)는 커넥터(200)의 설치면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면부(234)는 제 2 면부(233)와 수직한 방향으로 굽어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면부(234)는 제 2 안전커버홈(22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3 면부(234)에 형성된 결합돌기(235)는 제 2 안전커버홈(222)에 형성된 제 2결합돌기홈(H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커버(230)는 제 1, 2 단자부(220)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고하면, 안전커버(230)가 단자부(220)의 전체를 보호할 경우, 제 1, 2 및 3 면부(232, 233, 234)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면부(234)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돌기(235)는 단자부(220)의 끝단에 배치되는 가변벽면(223)의 상부에 형성된 제 3 결합돌기홈(H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커버(230)는 단자부(22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 1, 2 및 3면부(232, 233, 234)의 단자부(220) 방향의 일측면은 내화도료 코팅면이 될 수 있다. 내화도료는 화재 시 철골의 내력 저하로 인한 건물붕괴와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위한 도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화도료는 고온에서 발포를 통해 공간을 축소하여 공기를 차단하고, 발포를 통해 커넥터 부품과 발포된 내화도료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열전달이 억제될 수 있다.
도 7 은, 화재가 발생 시 안전커버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화재가 발생될 경우 안전커버(230)의 내측에 도포된 내화도료는 발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단자부(220a) 및 제 2 단자부(220b)를 보호하는 실시예를 예로 들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와 같이 발포된 내화도료는 안전커버(230)와 커넥터(200)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포 단열재 역할을 하여 안전커버로 전달되는 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발포되어 형성된 내화도료는 단자부(220)와 안전커버(2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축소하여 공기가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선 등의 전기적 문제로 단자부(220)에서 발생되는 화재는 소화가 유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배전반은 절연레일상에서 이동하며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그라운드 접지되어 기기의 오작동 발생을 억제하며 안전커버가 일측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으로부터 위험이 방지되어 전원인가 및 연결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안전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B : 배전반박스 100 : 절연레일
110 : 'ㄷ'단부 120 : 레일홈
120a : 상측면 120b : 하측면
200 : 커넥터 220 : 단자부
C : 단자 C1 : 판스프링

Claims (5)

  1. 절연소재로 형성된 박스형태의 배전반박스(B);
    상기 배전반박스(B)의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 양측에는'ㄷ'단부(110)가 대칭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ㄷ'단부(110)의 상단의 상측면 내지 하측면에 레일홈(120)이 전단 내지 후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연레일(100); 및
    상기 절연레일(100)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배전반박스(B)에 인입된 선이 연결되는 단자부(220)가 형성되는 커넥터(200); 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220)는
    상기 커넥터(200)의 상단의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단자부(220a);
    상기 제 1 단자부(220a)보다 소정 낮게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는 제 2 단자부(220b); 및
    상기 제 2 단자부(220b)보다 소정 낮게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는 제 3 단자부(220c); 를 포함하며
    제 1 단자부(220a), 제 2 단자부(220b) 및 제 3 단자부의 상단에는 상기 커넥터(200)에 연결되는 선이 접촉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블록형태의 단자(C); 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C)는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일측이 상기 단자(C)의 내부에 구비되는 판스프링(C1); 을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C1)은
    단자(C)의 내부측면에 접촉되지 않는 크기로 권취되며 일측이 단자(C)의 내부측면에 권취되어 위치되며 타측이 커넥터(200)의 내부에 권취된 형태로 위치되며 권취된 중심부가 단자(C)의 일측에 지지되고 단자부(220)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의 크기가 상기 커넥터(200)의 내부로 연결된 선(C2)을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200)는
    일측 상단에 결합되는 안전커버(230); 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커버(230)는
    일측면이 내화도료로 코팅되며 상기 제 1 단자부(220a)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제 1 면부(232);
    상기 제 1 면부(232)의 일측에 형성되며 'v'형태의 홈으로 절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절첩홈(232a);
    상기 제 1 절첩홈(232a)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단자부(220b)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제 2 면부(233);
    상기 제 2 면부(233)의 일측에 형성되며 'v'형태의 홈으로 절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2 절첩홈(233a);
    상기 제 2 절첩홈(233a)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단자부(220c)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제 3 면부(234); 를 포함하는 배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120)은
    시작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연속된 형태로 반복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200)가 접속되기 용이한 경사로 형성되는 오목부(120a);
    상기 오목부(120a)에 연속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20a)보다 높은 위치에 파형의 마루형태로 형성되는 경사부(120b); 및
    절연소재로 코팅되어 상기 오목부(120a)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절연코팅홈(120c)을 포함하는 배전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0)는
    하단에'ㄴ'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그라운드볼(B)이 배치되는 구름단부(210); 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볼(B)은
    전도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그라운드선이 연결되며, 표면이 접촉 및 회전되어 상기 레일홈(120)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절연코팅홈(120c)과 접촉되어 접지되는 배전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커넥터(200)에 형성되는 요철형상의 가변벽면결합홈(223a)에 결합되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200)의 전체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부에 제 3 결합돌기홈(H3)이 형성되는 가변벽면(223); 을 포함하는 배전반.
KR1020200071401A 2020-06-12 2020-06-12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 KR102203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401A KR102203370B1 (ko) 2020-06-12 2020-06-12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401A KR102203370B1 (ko) 2020-06-12 2020-06-12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370B1 true KR102203370B1 (ko) 2021-01-14

Family

ID=7414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401A KR102203370B1 (ko) 2020-06-12 2020-06-12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3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202B1 (ko) * 2005-06-22 2006-01-10 (주)서전기전 모듈 조립형 저압 배전반
KR20080095001A (ko) * 2007-04-23 2008-10-28 안광현 차단기베이스
KR101044288B1 (ko) * 2010-12-03 2011-06-28 (주)서전기전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KR200464646Y1 (ko) * 2012-07-17 2013-01-11 권영로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202B1 (ko) * 2005-06-22 2006-01-10 (주)서전기전 모듈 조립형 저압 배전반
KR20080095001A (ko) * 2007-04-23 2008-10-28 안광현 차단기베이스
KR101044288B1 (ko) * 2010-12-03 2011-06-28 (주)서전기전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KR200464646Y1 (ko) * 2012-07-17 2013-01-11 권영로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5211B2 (ja) 閉鎖配電盤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CN106992482A (zh) 母线槽、母线系统及连接方法
KR20050090324A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KR102203370B1 (ko) 안전성능이 향상된 배전반
KR102155107B1 (ko)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JPS58500543A (ja) 家庭用電気機器の過電圧保護装置
JP2972276B2 (ja) 配電盤
KR101530014B1 (ko) 케이블 선로 보호용 내화구조체
CN106328280A (zh) 一种隔震散热耐高温扁电缆
KR200398674Y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CN104577914A (zh) 耐火型母线槽及其施工方法
JP4048314B2 (ja) 光通信ケーブル成端箱の収納ボックス
KR102394945B1 (ko) 압력제어 및 분산용 함체 및 이를 적용한 배전반
KR101719128B1 (ko) 내진 설계를 위한 와이어 기반의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및 덕트 시스템
JP3357750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114864152B (zh) 一种低烟无卤耐火防火抗扭力的工业电缆
CN214850345U (zh) 一种耐火母线槽的分接装置
CN205385216U (zh) 一种小型高压开关柜
KR10227936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분전반
JP2019213410A (ja) 配電盤システム
CN220122568U (zh) 一种新型母线槽
KR102577302B1 (ko) 분전반용 단락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JP7319186B2 (ja) 閉鎖配電盤、相間仕切り
JPH0628918Y2 (ja) 保安器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