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46B1 -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46B1
KR102203346B1 KR1020190129499A KR20190129499A KR102203346B1 KR 102203346 B1 KR102203346 B1 KR 102203346B1 KR 1020190129499 A KR1020190129499 A KR 1020190129499A KR 20190129499 A KR20190129499 A KR 20190129499A KR 102203346 B1 KR102203346 B1 KR 10220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needle
fixing
cutting bla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연
Original Assignee
오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연 filed Critical 오상연
Priority to KR102019012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65H2402/54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t)가 풀려나가는 전방으로 절단날(10)을 고정하기 위한 격벽부(100)가 마련되는 테이프 디스펜서로서, 상기 격벽부(100)는, 상기 절단날(10)의 상면을 지압고정하는 하향리브(120)와, 상기 절단날(10)의 하면을 지압고정하는 상향리브(130)와, 상기 하향리브(120) 및 상기 상향리브(130)의 양측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140)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벽(140)에는, 일정깊이로 삽입홈(141)이 각각 형성되고, 막대 형상의 강체로서, 상기 삽입홈(14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블록(200); 및 'ㄷ'자 형태의 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블록(200)의 후방에서 삽입고정되고, 상기 고정블록(200)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결합되는 니들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A tape dispenser with needle part}
본 발명은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가 풀려나가는 전방으로 절단날을 고정하기 위한 격벽부가 마련되는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디스펜서란 롤형 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테이프의 풀림방향을 안내하며 테이프를 절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테이프 디스펜서의 종류는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의 투명 테이프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형태에 따라 테이프를 보다 섬세하게 조정하거나, 인간공학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제품도 있다.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649461호('테이프 디스펜서')가 공고되어 있다.
종래의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 롤(90)에서 이탈된 테이프(91)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프레임(20)에 지지돌기(23)가 형성되는데, 지지 돌기(23)는 테이프 디스펜서(100)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프레임(20)의 측부면(22)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테이프 롤(90)에서 풀려나간 테이프(91)가 다시 테이프 롤(90)에 부착되지 않고 재사용 용이한 상태로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프 디스펜서'는 풀려나간 테이프(91)의 중간 부분이 지지 돌기(23)에 단순 지지되어, 풀려나간 테이프(91)의 중간 부분부터 말미 부분까지가 커터 블레이드(40)에 절단된 상태 그대로 있지 못하고 아래로 나풀거림으로 인해, 다음 접착 작업을 신속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종래의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 롤(90)의 회전 여하에 따라 풀려나간 테이프(91)가 다시 감겨 들어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9461호(공고일자 2016년08월18일, 발명의 명칭 : 테이프 디스펜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이프가 절단된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테이프의 되감김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조립·제작이 간단한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t)가 풀려나가는 전방으로 절단날(10)을 고정하기 위한 격벽부(100)가 마련되는 테이프 디스펜서로서, 상기 격벽부(100)는, 상기 절단날(10)의 상면을 지압고정하는 하향리브(120)와, 상기 절단날(10)의 하면을 지압고정하는 상향리브(130)와, 상기 하향리브(120) 및 상기 상향리브(130)의 양측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140)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벽(140)에는, 일정깊이로 삽입홈(141)이 각각 형성되고, 막대 형상의 강체로서, 상기 삽입홈(14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블록(200); 및 'ㄷ'자 형태의 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블록(200)의 후방에서 삽입고정되고, 상기 고정블록(200)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결합되는 니들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300)에서, 상기 고정블록(200)의 전면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각각 돌출되는 부분은, 한 쌍의 가고정침(301)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단날(10)의 끝단은, 단면이 비스듬히 연마된 두 면이 만나 삼각을 이루는 톱니 형상으로 가공되며, 상기 가고정침(301)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절단날(10)보다 덜 예리하게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고정침(301)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고정블록(200)과 상기 상향리브(1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블록(200) 및 상기 니들부(3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에 따르면, 테이프가 일정길이로 풀려 절단된 후, 절단되어 남겨진 테이프의 풀림 부분이 니들부의 가고정침에 박혀 가고정됨으로써, 테이프의 풀림 부분이 다시 감기지 않고 절단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테이프 부착 작업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고정침의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테이프의 풀림 과정에서 테이프가 긁히거나 잘라지는 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가고정침이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됨으로써, 테이프의 풀림부분이 순차적으로 수월하게 관통·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부가 탄성체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탄성 운동되도록 장착됨으로써, 테이프의 풀림 과정에서 테이프 손상은 최소화할 수 있고, 풀림 부분의 가고정 동작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디스펜서의 요부의 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1의 테이프 디스펜서에 포함된 느들부의 조립/분해 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
도 3b는 도 1의 도 1의 테이프 디스펜서에 포함된 느들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확대도.
도 4는 도 1의 테이프 디스펜서에 포함된 절단날과 느들부에 구비된 가고정침을 확대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디스펜서의 요부를 측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테이프 디스펜서의 요부의 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은 도 1의 테이프 디스펜서에 포함된 느들부의 조립/분해 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의 도 1의 테이프 디스펜서에 포함된 느들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의 테이프 디스펜서에 포함된 절단날과 느들부에 구비된 가고정침을 확대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t)가 풀려나가는 전방으로 절단날(10)을 고정하기 위한 격벽부(100)가 마련되는 테이프 디스펜서로서, 상기 격벽부(100), 고정블록(200)와 니들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격벽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절단날(10)이 수용되는 수용리브(110)와, 수용리브(110)의 상측변(111)에서 절단날(10)을 향해 돌출되어 절단날(10)의 상면을 지압고정하는 하향리브(120)와, 수용리브(110)의 하측변(112)에서 절단날(10)을 향해 돌출되어 절단날(10)의 하면을 지압고정하는 상향리브(130)와, 수용리브(110), 하향리브(120) 및 상향리브(130)의 양측이 모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140)을 구비한다.
절단날(10) - 수용리브(110)의 하측변(112) - 상향리브(130)를 따라 구획되는 공간은, 장착공간(A)으로 정의된다.
상기 장착공간(A)과 맞닿는 한 쌍의 측벽(140)에는, 일정깊이로 삽입홈(141)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블록(200)은 막대 형상의 플라스틱 강체로서, 상면은 절단날(10)에 접하고 하면은 수용리브(110)의 하측변(112)에 접하며 후면은 상향리브(130)에 접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면(양단)이 삽입홈(141)에 삽입고정되는 구성이다.
니들부(3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t)가 풀려나가는 경로를 가로막도록 'ㄷ'자 형태의 핀 형상으로 구성되고, 고정블록(200)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고정블록(200)의 후방에서 삽입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니들부(300)는 고정블록(200)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가고정침(301)과, 가고정침(301)에서 연장되어 고정블록(20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간(302)과, 한 쌍의 삽입구간(302)을 연결하는 연결구간(303)으로 구분되어, 'ㄷ'자 형태를 이룬다.
고정블록(200)은 니들부(300)의 삽입구간(302)이 삽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공(201)과, 니들부(300)의 연결구간(303)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홀(201)을 연결하는 형태로 외측면에서 소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연결홈(20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t)가 일정길이로 풀려 절단된 후, 절단되어 남겨진 테이프(t)의 풀림 부분이 니들부(300)의 가고정침(301)에 박혀 가고정됨으로써, 테이프(t)의 풀림 부분이 다시 감기지 않고 절단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테이프 부착 작업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테이프 사용 후에도 테이프의 풀림 부분이 테이프 롤(r)에서 항상 뜬 상태를 유지하고 테이프의 풀림 부분이 절단날(10)에 근접하게 위치함으로써, 다음 접착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절단날(10)의 끝단은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비스듬히 연마된 두 면이 만나 삼각을 이루는 톱니 형상으로 가공되는데,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침(301)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절단날(10)보다 덜 예리하게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고정침(301)의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테이프(t)의 풀림 과정에서 테이프(t)가 긁히거나 잘라지는 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가고정침(301)의 단부 직경은 0.2mm ~ 1mm 사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고정침(301)의 단부 직경이 0.2mm보다 작아 예리하면, 테이프(t)가 풀리는 과정에서 금방 손상될 수 있고, 반대로 가고정침(301)의 단부 직경이 1mm보다 커서 무디면, 가고정침(301)에 대한 테이프(t)의 관통면적이 커짐으로 인해 가고정침(301)의 관통 동작이 원활치 않기 때문이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테이프(t)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고정침(301)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부(100)의 하측 방면에는 풀려나가는 테이프(t)를 지압하기 위한 압착롤(20)이 구비되어 있는데, 만약, 한 쌍의 가고정침(301) 동일 길이로 돌출되면, 압착롤(20)로부터 풀려나오는 테이프(t)의 풀림 부분이 동시에 닿게 된다.
이는 가고정침(301)에 대한 테이프(t)의 접촉면적이 2배가 되고, 그만큼 테이프(t)가 뚫리기 어렵게 된다는 것이며, 가고정침(301)을 테이프(t) 측으로 더 세게 눌러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 쌍의 가고정침(301)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하여, 더 돌출된 일측의 가고정침(301)에 테이프(t)가 먼저 관통·고정되고, 덜 돌출된 타측의 가고정침(301)에 테이프(t)가 나중에 관통·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한 쌍의 가고정침(301)이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됨으로써, 테이프(t)의 풀림부분이 순차적으로 수월하게 관통·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디스펜서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디스펜서의 요부를 측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디스펜서는 탄성체(4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탄성체(400)는 판스프링으로서, 고정블록(200)과 상향리브(13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블록(200) 및 니들부(3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테이프(t)의 풀림 과정에서는, 탄성체(400)가 약간씩 압축/신장되면서 고정블록(200) 및 니들부(300)가 테이프(t)의 면압을 가변적으로 수용하게 되고, 테이프(t)의 절단 과정에서는, 탄성체(400)가 최대로 압축되면서 테이프(t)에 대한 니들부(300)을 관통지압력을 충분하게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니들부(300)가 탄성체(40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탄성 운동되도록 장착됨으로써, 테이프(t)의 풀림 과정에서 테이프 손상은 최소화할 수 있고, 풀림 부분의 가고정 동작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탄성체(400)를 코일스프링으로도 구성할 수는 있으나, 코일스프링은 양단 고정를 위한 돌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탄성운동이 균형적으로 되도록 고정블록(200)에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탄성체(400)를 판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프가 일정길이로 풀려 절단된 후, 절단되어 남겨진 테이프의 풀림 부분이 니들부의 가고정침에 박혀 가고정됨으로써, 테이프의 풀림 부분이 다시 감기지 않고 절단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테이프 부착 작업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고정침의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테이프의 풀림 과정에서 테이프가 긁히거나 잘라지는 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가고정침이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됨으로써, 테이프의 풀림부분이 순차적으로 수월하게 관통·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부가 탄성체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탄성 운동되도록 장착됨으로써, 테이프의 풀림 과정에서 테이프 손상은 최소화할 수 있고, 풀림 부분의 가고정 동작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격벽부
200 : 고정블록
300 : 니들부

Claims (4)

  1. 테이프(t)가 풀려나가는 전방으로 절단날(10)을 고정하기 위한 격벽부(100)가 마련되는 테이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100)는, 상기 절단날(10)의 상면을 지압고정하는 하향리브(120)와, 상기 절단날(10)의 하면을 지압고정하는 상향리브(130)와, 상기 하향리브(120) 및 상기 상향리브(130)의 양측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140)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벽(140)에는, 일정깊이로 삽입홈(141)이 각각 형성되고,
    막대 형상의 강체로서, 상기 삽입홈(14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블록(200); 및
    'ㄷ'자 형태의 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블록(200)의 후방에서 삽입고정되고, 상기 고정블록(200)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결합되는 니들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부(300)에서, 상기 고정블록(200)의 전면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각각 돌출되는 부분은, 한 쌍의 가고정침(301)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단날(10)의 끝단은, 단면이 비스듬히 연마된 두 면이 만나 삼각을 이루는 톱니 형상으로 가공되며,
    상기 가고정침(301)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절단날(10)보다 덜 예리하게 가공되고,
    상기 한 쌍의 가고정침(301)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부가 부설되고,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고정블록(200)과 상기 상향리브(1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블록(200) 및 상기 니들부(3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9499A 2019-10-18 2019-10-18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 KR10220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499A KR102203346B1 (ko) 2019-10-18 2019-10-18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499A KR102203346B1 (ko) 2019-10-18 2019-10-18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346B1 true KR102203346B1 (ko) 2021-01-14

Family

ID=7414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499A KR102203346B1 (ko) 2019-10-18 2019-10-18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3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59B1 (ko) * 2021-04-13 2021-09-03 조영우 테이프 커터기
KR20240031815A (ko) 2022-09-01 2024-03-08 정윤희 테이프 디스펜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417A (ko) * 2012-03-22 2013-10-02 김명부 테이프 부착기
JP5367837B2 (ja) * 2009-10-15 2013-12-11 貴司 吉峰 テープカッター及び粘着テープ
KR101649461B1 (ko) 2013-09-30 2016-08-18 오용철 테이프 디스펜서
KR20180001886U (ko) * 2016-12-15 2018-06-25 김명부 테이프 부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7837B2 (ja) * 2009-10-15 2013-12-11 貴司 吉峰 テープカッター及び粘着テープ
KR20130107417A (ko) * 2012-03-22 2013-10-02 김명부 테이프 부착기
KR101649461B1 (ko) 2013-09-30 2016-08-18 오용철 테이프 디스펜서
KR20180001886U (ko) * 2016-12-15 2018-06-25 김명부 테이프 부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59B1 (ko) * 2021-04-13 2021-09-03 조영우 테이프 커터기
KR20240031815A (ko) 2022-09-01 2024-03-08 정윤희 테이프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346B1 (ko) 니들부가 부설된 테이프 디스펜서
EP2587286B1 (en) Optical fiber cutter
EP2560907B1 (en) Adhesive tape dispenser for single hand operation
JP2006503648A (ja) 双方向シェービ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備えたレザー
CA2415454A1 (en) Reversible canted saw blade
KR100814244B1 (ko) 테이프 절단기
US4957234A (en) Cutting device for rolls of adhesive tape
US20070173394A1 (en) Paper cutting device with a cutting blade unit and a folding line maker
KR20010050051A (ko) 시트 고정장치
KR20100114616A (ko) 롤 형 접착 크리너
US3385149A (en) Cutter mechanism for fabric or sheet material
US5861080A (en) Tape dispenser
KR200391577Y1 (ko) 롤 테이프 자동 절단기용 테이프 절단장치
JP6874249B2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KR101642880B1 (ko) 절단기능을 갖는 롤 화장지 케이스
US20030141338A1 (en) Device for drawing off and cutting a tape from a supply roll
KR102069009B1 (ko) 테이프 커팅장치
US2839139A (en) Tape holder and dispenser
KR102575299B1 (ko) 테이프 커터기
US20100258606A1 (en) Adhesive tape cutting device
CN218403163U (zh) 一种抗静电聚乙烯薄膜
KR20140082255A (ko) 길이 조절 스카치테이프 케이스
KR20240029744A (ko) 테이프의 끝을 표시할 수 있는 테이프 커터
CN218965543U (zh) 切割装置
JP3191867U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