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19B1 -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19B1
KR102203319B1 KR1020200002472A KR20200002472A KR102203319B1 KR 102203319 B1 KR102203319 B1 KR 102203319B1 KR 1020200002472 A KR1020200002472 A KR 1020200002472A KR 20200002472 A KR20200002472 A KR 20200002472A KR 102203319 B1 KR102203319 B1 KR 102203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rol valve
assembly
body portion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용
Original Assignee
(주)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텍 filed Critical (주)솔텍
Priority to KR102020000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는,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플런저 및 푸시로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푸시로드의 이동에 의해 밸브 바디에 형성된 크랭크실 압력 포트, 토출 압력 포트 및 흡입 압력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유로를 형성하는 전자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의 외관을 감싸 보호하는 하우징 어셈블리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환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원통형의 스커트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의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우징 캡; 및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와 하우징 캡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 {Electric Control Valve with prefabricated housing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압축기에 이용되는 전자제어밸브(ECV)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제어밸브의 하우징 및 하우징 바디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캡 사이에 이너 씰(inner seal)을 내설함에 의해 종래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캡을 먼저 브레이징 처리하여 접합한 다음 상기 하우징 바디를 하우징에 다시 압입해야만 했던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하우징 어셈블리를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구조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고 냉방 요구량에 따라 토출량이 변화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통과하여 액화된 냉매를 단열 팽창시켜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상태로 만들고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에 따라 그 개도가 변화하는 전자 팽창밸브와, 냉매가 기화될 때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시킨 후 압축기로 냉매를 귀환시키는 증발기와, 자동차의 실내외에 각각 설치되는 각종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등의 공조환경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공조조건에 따라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조장치를 작동시키면 제어부는 각종 센서로부터 전해지는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등의 공조 환경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차량 실내 설정온도, 난방 또는 냉방 등의 기능선택과 같은 공조조건에 따라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을 변화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공조장치의 압축기는 냉매 토출량의 조절을 위하여 최근에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전자 제어 밸브(Electronic Control Valve; 이하 'ECV'라 한다)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압축기에 이용되는 종래 전자제어밸브(ECV)의 한가지 예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선행문헌에서 도시된 종래 전자제어밸브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크랭크실 압력(Pc), 토출 압력(Pd), 그리고 흡입 압력(Ps)이 각각 작용하도록 크랭크실 압력 포트(110), 토출 압력 포트(120) 및 흡입 압력 포트(130)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장력조절부(710)에 의해 밀폐된 밸브 바디(1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밸브 바디(100)의 타측을 폐쇄하며, 전류가 인가되어 코일(210)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플런저(220) 및 푸시로드(230)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솔레노이드 어셈블리(200)와; 상기 푸시로드(230)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크랭크실 압력 포트(110)와 그 내부가 연통되고, 상기 토출 압력 포트(120)에서 상기 크랭크실 압력 포트(110)로 연결되는 제1통로(310) 및 상기 크랭크실 압력 포트(110)에서 상기 흡입 압력 포트(130)로 연결되는 제2통로(320)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시키는 중공의 가이드(300)가 구비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기둥 형태로 형성된 일측이, 가장자리가 상기 밸브 바디(100)의 내주면에 접하여 고정된 지지부(500)의 관통홀(510)에 삽입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타측에 형성된 릴리프조절부(410) 내부 공간의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30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외주면이 접하여 결합된 밸브 로드(400)와; 상기 가이드(300)를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200) 측으로 탄성 지지하며, 그 내부에 상기 밸브 로드(400)가 배치되는 벨로우즈(600); 및 상기 지지부(500) 및 상기 장력조절부(710) 사이 공간에 위치한 상기 밸브 로드(4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너트(7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200)는 푸시로드(230)와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이며 자성체로 이루어진 플런저(220)와; 상기 플런저(220)의 일측에 위치하여 고정된 또 다른 자성체인 고정코어(240)와; 상기 플런저(220) 및 고정코어(240)의 주위에 구비되어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조절되는 전류량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210)과; 상기 코일(210)을 수용하는 플레이트(25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감싸 보호하는 하우징 어셈블리(26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60)는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200)의 주요 구성부들을 감싸 보호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습기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품이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하우징 어셈블리(260)의 세부 구성은, 고리 형상의 하우징 바디(262)와; 상기 하우징 바디(262)의 중앙 통공(262a)에 브레이징(brazing) 공정에 의해 일체로 금속 접합된 하우징 캡(263)과; 상기 하우징 바디(262)가 강제 압입됨에 의해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261)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종래 하우징 어셈블리는 아래의 공정 순서에 따라 제작되었다.
먼저, 하우징 캡(263)을 하우징 바디(262)의 중앙 통공(262a)에 끼운 후 별도의 브레이징(brazing) 공정을 거쳐 하우징 캡(263)을 하우징 바디(262)에 일체로 접합한다.
이 때, 상기 브레이징(brazing) 공정은 고온에서 금속을 솔더링하기 때문에 경납땜이라고도 지칭되며, 통상 450℃ 이상에서 금속 용가재(filler metal)를 용융한 뒤 젖음 현상과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접합 간극(금속간 틈새)에 용융액을 유입시켜 금속을 서로 접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브레이징 공정은 원리적으로는 모재가 용융되지 않지만, 미시적으로는 모재와 금속 용융액이 반응하여 모재의 용해, 합금층의 생성 등과 같은 계면 반응이 일어나는 특성이 있다.
다음 공정으로, 상기 브레이징 공정을 거쳐 하우징 캡(263)과 접합된 하우징 바디(262)를 별도로 제조 및 구비되는 원통형 하우징(261)의 내측면에 강제로 압입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바디(262)가 하우징(261)에 끼워져 결합되어져 결국 종래 하우징 어셈블리(260)의 제작이 완료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의 종래 하우징 어셈블리는, 상술한 하우징, 하우징 바디 및 하우징 캡을 조립하기 위해 별도의 브레이징 공정과 압입 공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하고, 또한 브레이징 및 압입 공정 이후 하우징 어셈블리를 도금하는 공정에서도 하우징 캡의 내면 또는 브레이징 접합면 등의 도금이 불필요한 부분의 도금을 피하기 위해 별도의 마스킹 공정 등이 반드시 추가되어야만 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하우징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브레이징, 압입, 도금 시 마스킹 공정 등이 추가됨에 따른 공수 증가로 생산 효율이 매우 저하됨은 물론 특히 생산 단가도 대폭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을 강제 압입하여 결합함에 따라 상기 압입 처리면에는 미세하게 들뜬 에어갭(air gap)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발생된 에어갭을 통해 솔레노이드에서 생성된 자기(磁氣)가 누설될 소지가 있어 결국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 감소로 이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7-0093349호 (2017.08.16.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자제어밸브(ECV)의 하우징 및 하우징 바디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캡 사이에 이너 씰(inner seal)을 내설함에 의해 종래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캡을 먼저 브레이징 처리하여 접합한 다음 상기 하우징 바디를 하우징에 다시 압입해야만 했던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하우징 어셈블리를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구조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플런저 및 푸시로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푸시로드의 이동에 의해 밸브 바디에 형성된 크랭크실 압력 포트, 토출 압력 포트 및 흡입 압력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유로를 형성하는 전자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의 외관을 감싸 보호하는 하우징 어셈블리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환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원통형의 스커트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의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우징 캡; 및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와 하우징 캡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에는 일정 깊이의 씰링 홈이 형성되고, 상기 씰링 홈에 씰링부재가 삽입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 캡의 일단에는 환형의 걸림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캡이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을 통해 스커트부쪽으로 끼워질 때 상기 걸림턱이 씰링 홈에 걸림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씰링 홈에는 걸림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된 단차부가 더 형성되고, 하우징 캡이 씰링 홈에 끼워질 때 하우징 캡의 걸림턱이 상기 단차부에 걸림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외경과 씰링 홈의 내경은 일치하며, 상기 걸림턱의 외경이 씰링 홈의 내경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씰링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오링(O-ring)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a) 환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원통형의 스커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하우징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에 씰링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캡을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을 통해 스커트부쪽으로 끼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에 먼저 일정 깊이의 씰링 홈을 형성한 후 상기 씰링 홈에 씰링부재를 삽입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하우징 유닛을 전체적으로 도금하는 단계가 더 추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전자제어밸브의 하우징 및 하우징 바디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캡 사이에 이너 씰(inner seal)을 내설함에 의해, 종래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캡을 먼저 브레이징 처리하여 접합한 다음 상기 하우징 바디를 하우징에 다시 압입해야만 했던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게 됨으로써 전자제어밸브의 생산 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생산 단가가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종래 별도로 제작되었던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종래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을 압입할 때 압입 처리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에어갭(air gap)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상기 에어갭을 통해 솔레노이드의 자기(磁氣)가 누설됨에 따른 전자제어밸브의 전자기력 감소도 원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종래에는 브레이징 공정 후 도금을 진행 시 별도의 마스킹(masking) 공정이 추가 및 도금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하우징 유닛의 조립 전에 마스킹 공정이 필요없이 전체적으로 도금한 후에 조립만 하면 되므로 종래 대비 생산 원가가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제어밸브의 일반적인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보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어셈블리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자제어밸브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 어셈블리(200)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플런저(220) 및 푸시로드(23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푸시로드(230)의 이동에 의해 밸브 바디(100)에 형성된 크랭크실 압력 포트(110), 토출 압력 포트(120) 및 흡입 압력 포트(130)를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은 종래 전자제어밸브의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어셈블리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전자제어밸브의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270)는,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200)의 외관을 감싸 보호하기 위해, 환형의 바디부(271b)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원통형의 스커트부(271a)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의 하우징 유닛(271)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유닛(271)의 바디부(271b) 중공(271c)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우징 캡(273); 및 상기 하우징 유닛(271)의 바디부(271b)와 하우징 캡(273)의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는 씰링부재(274)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씰링부재(274)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오링(O-ring)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유닛(271)의 바디부(271b) 중공(271c)에는 일정 깊이의 씰링 홈(271d)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씰링 홈(271d)에 오링(274)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캡(273)의 형상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단은 막혀져 있고, 반대측 일단에는 환형의 걸림턱(273a)이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하우징 캡(273)이 하우징 유닛(271)의 바디부(271b) 중공(271c)을 통해 스커트부(271a)쪽으로 끼워질 때 상기 걸림턱(273a)이 씰링 홈(271d)에 걸림되어져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때 상기 씰링 홈(271d)의 중공(271c)쪽 테두리 부분에는 걸림턱(273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깊이 요입된 단차부(271e)가 더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캡(273)이 씰링 홈(271d)에 끼워질 때 하우징 캡(273)의 걸림턱(273a)이 상기 단차부(271e)에 끼워져 걸림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차부(271e)를 형성하지 않고 걸림턱(273a)의 외경이 씰링 홈(271d)의 내경에 바로 끼워지게 구성하여서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상기 걸림턱(273a)의 외경과 씰링 홈(271d)의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273a)이 씰링 홈(271d)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걸림턱(273a)과 씰링 홈(271d) 사이에 먼저 끼워져 있던 오링(274)을 눌러 압박함으로써 상기 압박된 오링(274)에 의해 하우징 유닛(271)과 하우징 캡(273) 사이의 기밀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자제어밸브의 조립 방법을 일 실시에에 따라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a) 환형의 바디부(271b)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원통형의 스커트부(271a)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하우징 유닛(271)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b) 상기 하우징 유닛(271)의 바디부(271b) 중공(271c)에 씰링부재(274)를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씰링부재(274)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오링(O-ring)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하우징 유닛(271)의 바디부(271b) 중공(271c)의 안쪽에 먼저 일정 깊이의 씰링 홈(271d)을 형성한 후 상기 씰링 홈(271d)에 씰링부재(274)를 삽입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c) 일단에 걸림턱(273a)이 형성된 하우징 캡(273)을 상기 하우징 유닛(271)의 바디부(271b) 중공(271c)을 통해 스커트부(271a)쪽으로 끼워 결합함으로서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하우징 유닛을 전체적으로 도금하는 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도금 단계에서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마스킹(masking)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도금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하우징 캡을 접합한 이후 도금을 진행해야만 했기 때문에 도금 작업이 하우징 캡 내면 및 브레이징 접합면 등 불필요한 부분의 도금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별도의 마스킹 공정 등이 추가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우징 어셈블리는 브레이징 공정 및 압입 공정 등을 삭제하고 씰링부재(O-ring)을 이용하여 100% 조립에 의해서만 완성되기 때문에 종래에서처럼 브레이징 공정, 압입 공정 및 도금 시 마스킹 공정 등의 복잡하고 단가가 상승되는 공정을 모두 삭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 어셈블리의 생산 효율을 제고함과 아울러 생산 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0 : 밸브 바디 200 : 솔레노이드 어셈블리
220 : 플런저 230 : 푸시로드
270 : 하우징 유닛 271a: 스커트부
271b: 바디부 271c: 중공
271d: 씰링 홈 271e: 단차부
273 : 하우징 캡 273a: 걸림턱
274 : 씰링부재

Claims (9)

  1.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플런저 및 푸시로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푸시로드의 이동에 의해 밸브 바디에 형성된 크랭크실 압력 포트, 토출 압력 포트 및 흡입 압력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유로를 형성하는 전자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의 외관을 감싸 보호하는 하우징 어셈블리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환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원통형의 스커트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의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우징 캡; 및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와 하우징 캡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에는 일정 깊이의 씰링 홈이 형성되고, 상기 씰링 홈에 씰링부재가 삽입되는,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의 일단에는 환형의 걸림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캡이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을 통해 스커트부쪽으로 끼워질 때 상기 걸림턱이 씰링 홈에 걸림되는,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 홈에는 걸림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된 단차부가 더 형성되고, 하우징 캡이 씰링 홈에 끼워질 때 하우징 캡의 걸림턱이 상기 단차부에 걸림되면서 고정되는,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외경과 씰링 홈의 내경은 일치하는,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오링(O-ring)인,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7. a) 환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원통형의 스커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하우징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에 씰링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캡을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을 통해 스커트부쪽으로 끼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하우징 유닛의 바디부 중공에 먼저 일정 깊이의 씰링 홈을 형성한 후 상기 씰링 홈에 씰링부재를 삽입하는,
    전자제어밸브의 조립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하우징 유닛을 전체적으로 도금하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전자제어밸브의 조립 방법.
KR1020200002472A 2020-01-08 2020-01-08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203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472A KR102203319B1 (ko) 2020-01-08 2020-01-08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472A KR102203319B1 (ko) 2020-01-08 2020-01-08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319B1 true KR102203319B1 (ko) 2021-01-15

Family

ID=7412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472A KR102203319B1 (ko) 2020-01-08 2020-01-08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3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941A (ko) * 2006-07-25 2008-01-30 주식회사 아셀텍 솔레노이드 밸브
KR20110012263A (ko) * 2009-07-30 2011-02-09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가스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160024035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유니크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전자제어밸브
JP6059363B2 (ja) * 2013-11-15 2017-01-11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磁弁
KR20170093349A (ko)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뉴로스 가변용량 압축기의 전자제어밸브
KR20170120023A (ko) * 2016-04-20 2017-10-30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941A (ko) * 2006-07-25 2008-01-30 주식회사 아셀텍 솔레노이드 밸브
KR20110012263A (ko) * 2009-07-30 2011-02-09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가스용 솔레노이드 밸브
JP6059363B2 (ja) * 2013-11-15 2017-01-11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磁弁
KR20160024035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유니크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전자제어밸브
KR20170093349A (ko)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뉴로스 가변용량 압축기의 전자제어밸브
KR20170120023A (ko) * 2016-04-20 2017-10-30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16028B (zh) 容量控制阀及容量控制阀的控制方法
KR101955038B1 (ko) 제어 밸브
KR101976857B1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70056447A (ko) 전자 밸브
JP7086490B2 (ja) 容量制御弁及び容量制御弁の制御方法
CN111512046A (zh) 容量控制阀及容量控制阀的控制方法
EP3744976B1 (en) Capacity control valve
KR102203319B1 (ko)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0663325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압력조정밸브
JP2008045526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4181419B2 (ja) インジェクタ
KR102326539B1 (ko) 조립식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제어밸브 및 이의 조립 방법
US6561433B2 (en) Thermal expansion valve
US6896190B2 (en) Expansion valve
CN201225441Y (zh) 导套与壳体采用过渡配合联接的外控式电动控制阀
US6543672B2 (en) Method of forming vacuum chamber of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KR100529732B1 (ko) 제어밸브
WO2019129190A1 (zh) 电磁切换阀
KR20230016104A (ko) 가변 용량형 제어밸브와 그 조립 방법
KR101128398B1 (ko) 가변용량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및 이 용량제어밸브의 조립방법
JP6175630B2 (ja) 制御弁
JP7359432B2 (ja) 制御弁
CN108375251B (zh) 热力膨胀阀及其制造方法
KR102093076B1 (ko) 가변 용량형 제어밸브
KR102316461B1 (ko) 전자식 팽창밸브용 포핏 밸브의 기밀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식 팽창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