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278B1 -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 - Google Patents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278B1
KR102203278B1 KR1020180110778A KR20180110778A KR102203278B1 KR 102203278 B1 KR102203278 B1 KR 102203278B1 KR 1020180110778 A KR1020180110778 A KR 1020180110778A KR 20180110778 A KR20180110778 A KR 20180110778A KR 102203278 B1 KR102203278 B1 KR 10220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rotation gear
piston
air
ex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1831A (en
Inventor
고현직
고건혁
박은주
Original Assignee
고현직
고건혁
박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직, 고건혁, 박은주 filed Critical 고현직
Priority to KR102018011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278B1/en
Publication of KR2020003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각종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전자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그립부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여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은 그립부(240)가 형성된 하부 펜대(200) 및 상기 하부 펜대(20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펜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펜대(200)는 하단부에 터치 팁(220)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체크 밸브(260)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 몸체(21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부 몸체(210)와 상기 그립부(240) 사이에 에어 챔버(2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부(240)는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가 공급되었을 때 상기 하부 몸체(210)의 외측면으로 굵기가 변할 수 있도록 연성재질부(24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펜대(300)는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en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and more particularly, the thickness can be adjusted by supplying external air to a grip part held by a user. It relates to possible electronic pens.
To this end, the electronic pen with adjustable thick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en holder 200 having a grip portion 240 formed thereon and an upper pen holder 30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en holder 200, wherein the lower pen holder 200 ) Includes a lower body 210 provided with a touch tip 220 at the lower end and a check valve 260 at the upper portion; An air chamber 25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body 210 and the grip part 240, and the grip part 240 is formed of the lower body 210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It includes a soft material part 241 to be changed in thickness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upper pen holder 300 is an air supply/discharge operation part 400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It includes.

Description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Electronic pen with adjustable thickness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각종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전자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그립부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여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en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and more particularly, the thickness can be adjusted by supplying external air to a grip part held by a user. It relates to possible electronic pens.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및 차량용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전자장치는 화면을 터치하여 기기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다.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notebook computers, and vehicle navigation devices ar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so that devices can be operated by touching the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은 별도의 키보드나 키패드 대신에 화면에 손가락이나 전자펜 등을 접촉시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전자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구성이며, 요즘의 모바일 전자장치에는 대부분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다. The touch screen is a configuration that enables miniaturization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because it is possible to input information by touching a finger or an electronic pen on the screen instead of a separate keyboard or keypad. Has been.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모바일 전자장치는 소형화되면서 휴대하기 편리하지만, 터치스크린도 함께 소형화되므로 입력 버튼도 함께 소형화되고, 많은 정보 검색 사이트 등에서 선택 부분도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펜이 함께 구비되어 있는 모바일 전자장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자펜을 사용할 경우에 보다 편리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도 많이 개발되고 있어 전자펜을 사용하는 범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Mobile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are miniaturized and convenient to carry. However, since the touch screen is also miniaturized, the input button is also miniaturized, and the selection part in many information search sites is also reduced. Mobile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pens are also gradually increasing. In addition, a variety of applications that are more convenient when using an electronic pen are being developed, and the range of using the electronic pen is gradually increasing.

등록특허공보 제10-1523486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펜(40)은 통상적으로 모바일 전자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보관부에 삽입되어 보관된다(도 1(a) 참조). 따라서, 전자펜(40)은 모바일 전자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함께 점점 두께가 가늘게 제작되고 있다. As shown i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23486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art'), the electronic pen 40 is typically inserted and stored in a storage unit formed on one side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see Fig. 1(a)). ). Accordingly, the electronic pen 40 is gradually being manufactured to be thinner with the miniaturization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하지만, 종래의 전자펜(4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두께(또는 직경)가 가늘어 터치스크린(1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에 쥐고서 정보를 입력하기에는 불편하고, 글씨 또는 그림을 그릴 때에도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electronic pen 40 has a thin thickness (or diameter) as shown in FIG. 1(b), i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hold it in his hand and input information in order to input information on the touch screen 10. , There is a problem that is inconvenient to use even when drawing text or pictures.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 때문에, 많은 모바일 전자장치에 전자펜(40)이 구비되어 있지만, 그 사용 범위가 제한적이고, 모바일 전자장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Due to such inconvenience in use, many mobile electronic devices are provided with the electronic pen 40, but the range of use thereof is limited, and various applications of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cannot be used more effectively.

국내등록특허 제10-1523486호(2015.05.20. 등록)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523486 (registered on May 20, 2015)

종래기술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바일 전자장치는 점점 소형화되고 이에 따라 장치에 구비된 전자펜도 굵기가 가늘게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굵기가 가늘게 제작된 전자펜은 사용자가 사용할 때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As shown in the prior art, mobile electronic devices are increasingly miniaturized, and accordingly, electronic pens provided in devices are also being manufactured to have a thin thickness. However, the electronic pen manufactured with a thin thickness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feels inconvenience when using it.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모바일 전자장치에 보관할 때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그 굵기를 가늘게 하고,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는 외부의 공기를 주입하여 그립부의 굵기가 굵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stored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the thickness thereof is made thin to facilitate storage, and when the user uses it, external air is injected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grip part.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onic pen with adjustable thicknes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100)은 그립부(240)가 형성된 하부 펜대(200) 및 상기 하부 펜대(20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펜대(300)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하부 펜대(200)는 하단부에 터치 팁(220)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체크 밸브(260)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 몸체(21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부 몸체(210)와 상기 그립부(240) 사이에 에어 챔버(2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부(240)는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가 공급되었을 때 상기 하부 몸체(210)의 외측면으로 굵기가 변할 수 있는 연성재질부(24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펜대(300)는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400)를 포함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electronic pen 100 capable of adjusting the thick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en holder 200 having a grip part 240 formed thereon and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en holder 200. It includes a pen stand 300. In this case, the lower pen holder 200 includes a lower body 210 having a touch tip 220 at a lower portion and a check valve 26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lower body 210 and An air chamber 250 is formed between the grip portions 240, and the grip portion 240 may change in thicknes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10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A flexible material part 241 is included, and the upper pen holder 300 includes an air supply/discharge operation part 400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또한, 상기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400)는 상기 하부 몸체(210)의 상부에 결합된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4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프링(440)과, 상기 스프링(4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430)과, 상기 피스톤(430)의 상부에 결합된 피스톤 축(440), 및 상기 피스톤 축(440)을 작동하기 위한 가압부(46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supply/discharge operation unit 400 includes a cylinder 41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10, a spring 440 provided in the cylinder 410, and the spring ( It may include a piston 43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440, a piston shaft 44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iston 430, and a pressing part 460 for operating the piston shaft 440. I can.

또한, 상기 전자펜(100)에는 탄성 스토퍼(420)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가압부(460)가 탄성 스토퍼(420)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 내에서 작동하고,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킬 때에는 상기 가압부(460)가 상기 탄성 스토퍼(420)를 변형시키는 범위까지 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stopper 420, and when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the pressing unit 460 is within a range limited by the elastic stopper 420. When operating at and discharging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he pressing part 460 may be formed to operate to a range in which the elastic stopper 420 is deformed.

또한, 상기 피스톤(400)의 하부에는 상기 체크 밸브(260)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용 돌출부(431)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410)의 일측에 배기 홈(41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 홈(412)은 상기 배기용 돌출부(431)가 상기 체크 밸브(260)를 개방하고 있을 때 상기 피스톤(43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n exhaust protrusion 431 is additionally formed under the piston 400 to open the check valve 260 to discharge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and the cylinder An exhaust groove 412 is addition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410, and the exhaust groove 412 is formed of the piston 430 when the exhaust protrusion 431 is opening the check valve 260. It may be formed to be located on the side.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실린더(410)의 내면에는 다수의 고정기어(413)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축(440)의 상부에는 회전기어 돌기(451)가 구비된 회전기어(4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가압부(460)의 누름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450)가 상기 고정기어(413)를 따라 이동하고,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킬 때에는 상기 회전기어(450)가 상기 고정기어(413)와 상대 회전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fixed gears 413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410, and a rotation gear 450 provided with a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shaft 440 ) Is formed, and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he rotation gear 450 moves along the fixed gear 413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pressurization part 460, and the air chamber 250 When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device is discharged, the rotation gear 45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gear 413.

또한, 상기 고정기어(413) 사이에는 회전기어 안내통로(414)와 제1 회전 기어 걸림턱(415) 및 제2 회전 기어 걸림턱(416)이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가압부(460)를 누른 후에는, 상기 회전기어(45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제1 회전기어 걸림턱(415)에 걸리며,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제1 회전기어 걸림턱(415)에 걸린 상태에서 가압부(460)를 누른 후에는, 상기 회전기어(45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제2 회전기어 걸림턱(416)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ixed gears 413, a rotation gear guide passage 414, a first rotation gear engagement jaw 415, and a second rotation gear engagement jaw 416 are sequentially repeatedly formed, and the air chamber 250 ), after pressing the pressing part 460 to discharge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 the rotation gear 450 rotates so that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is caught by the first rotation gear locking protrusion 415, and the After pressing the pressing part 460 while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is caught on the first rotation gear engaging protrusion 415, the rotation gear 450 rotates so that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rotates for a second time. It may be formed to be caught in the gear locking projection 416.

본 발명에 따른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은, 그립부(240)의 굵기를 사용자에게 편리한 굵기로 조절하여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쥐고서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할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lectronic pen with adjustable thick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thickness of the grip part 240 to a thickness convenient for the user,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when entering information on the touch screen while holding the electronic pen 1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전자펜은 사용시 그 크기가 작어서 발생되는 불편함을 쉽게 해소할 수 있어 고성능 소형 모바일 전자장치에서 전자펜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모바일 전자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its small size when in use, making it easier to use the electronic pen in a high-performance small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effectively utiliz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또한, 본 발명의 전자펜은, 에어 챔버(250)에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굵기로 그립부(240)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손을 가진 사용자가 모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nic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as required by the user, the grip part 240 can be adjusted to a thickness desired by the user, so that all users with various sizes of hands can conveniently use it.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전자펜의 개략도.
(a) 모바일 전자장치에 구비된 구조 (b) 종래의 전자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펜의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전자펜의 분해도
도 4은 전자펜 그립부(240)의 실시예.
(a) 그립부 제1 실시예 (b) 그립부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펜의 제2 실시예의 고정기어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펜의 제2 실시예에서 굵기 조절단계의 단면도
(a) 공기 주입전 단계 (b) 외부공기 주입단계 (c) 외부공기 배기단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pen.
(a) Structure provided in mobile electronic device (b) Cross-sectional view of conventional electronic pe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nic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electronic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pen grip unit 240.
(a) Grip unit first embodiment (b) Grip unit second embodiment
5 is a detailed view of a fixed gear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ckness adjustment step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fore air injection (b) External air injection (c) External air exhaus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bond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the middle. "Including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펜(1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전자펜(100)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nic p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p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나타난 전자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굵기가 변하도록 형성된 그립부(240)를 포함하는 하부 펜대(200)와 상기 하부 펜대(200)의 상부에 결합되며,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400)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 펜대(300)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electronic pen 100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pen holder 200 including the grip portion 2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en holder 200 to supply air. It includes an upper pen stand 300 equipped with a discharge operation unit 400.

상기 전자펜(100)은 도 3에 나타난 분해도처럼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부 펜대(200)와 상기 상부 펜대(300) 구성을 결합하여 전자펜(10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pen 100 may form the electronic pen 100 by combin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lower pen holder 200 and the upper pen holder 300 which are individually formed as in the exploded view shown in FIG. 3.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자펜(100)은 하부 펜대(200)와 상부 펜대(300)의 일부분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1 부분 몸체(미도시)를 이루고, 하부 펜대(200)와 상부 펜대(300)의 나머지 부분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2 부분 몸체(미도시)를 이루며, 제1, 2 부분 몸체(미도시)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electronic pen 100, a portion of the lower pen holder 200 and the upper pen holder 300 is integrally formed to form a first partial body (not shown), and the lower pen holder 200 and the upper pen holder ( The rest of the 300) is integrally formed to form a second partial body (not shown), and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partial bodies (not shown).

이처럼, 상기 하부 펜대(200)와 상부 펜대(300)는 전자펜(100)에서의 위치에 따른 명칭이며, 전자펜(100)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펜(100)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한데,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나타난 전자펜(100)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As such, the lower pen holder 200 and the upper pen holder 300 are name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in the electronic pen 100, and the electronic pen 100 may form the electronic pen 100 as shown in FIG. The configuration is sufficien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pen 100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하부 펜대(20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팁(220); 하부 몸체(210); 그립부(240); 에어 챔버(250); 및 체크 밸브(26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lower pen holder 200 includes a touch tip 220 as shown in FIGS. 2 and 3; Lower body 210; A grip part 240; Air chamber 250; And a check valve 260.

상기 하부 몸체(210)는 상기 하부 펜대(200)의 중심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써, 적어도 하부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하부 몸체(210)의 하단에는 상기 터치 팁(220)이 구비되어 있다. The lower body 210 is a component forming the center of the lower pen holder 200,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touch tip 22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210 .

상기 터치 팁(220)은 다양한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요소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상기 터치 팁(220)은 상기 하부 몸체(210)의 하단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필요에 따라 상기 홈의 내부에 팁 스프링(230)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터치 팁(220)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touch tip 220 is a component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contacting the touch screen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as shown in FIG. 2, the touch tip 220 is coupled to a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210 Can be. In this case, if necessary, a tip spring 2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groove so that the touch tip 22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상기 하부 몸체(210)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하부의 상부측에는 적어도 상기 에어 챔버(250)의 공간을 이루는 일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 3에서는 상기 에어 챔버(250)를 이루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의 한 예로써 상기 하부 몸체(210)가 노출된 하부보다 두께(또는 굵기)가 작게 형성된 구성이 나타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에어 챔버(250)의 공간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lower body 210 is formed to be at least a part of the space of the air chamber 250. In FIGS. 2 and 3, a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forming a space forming the air chamber 250,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body 210 has a smaller thickness (or thickness) than the exposed lower part i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stead,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presenting a part of the space of the air chamber 250 is sufficient.

또한, 하부 몸체(210)의 상부에는 외부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기되는 공기통로(27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기통로(270)의 둘레에는 후술하는 스프링(44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걸림턱(28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passage 270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pplied or exhausted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10. Meanwhile, a spring locking protrusion 280 may be formed around the air passage 270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pring 440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상기 그립부(240)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펜(100)을 사용하기 위하여 손가락으로 잡는 부분을 나타내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펜대(200)에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grip part 240 represents a part that the user holds with a finger to use the electronic pen 100, and is formed on the lower pen holder 200 as shown in FIG. 2.

상기 그립부(240)는 적어도 상기 하부 몸체(210)에서 상기 에어 챔버(250)의 공간을 이루는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240)의 내측으로는 공간을 이루고 있는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에어 챔버(250)를 구성하게 된다. The grip part 240 is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body 210 that forms the space of the air chamber 250.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2, a portion constituting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grip part 240, and the space constitutes the air chamber 250.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240)에는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그 부피가 변할 수 있는 연성재질부(241)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연성재질부(241)는 변형 가능한 고무 또는 폴리머와 같은 연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As shown in FIG. 4, the grip part 240 includes a soft material part 241 that can change its volume when air is supplied or discharged to the air chamber 250.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if the soft material part 241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deformable rubber or polymer.

상기 그립부(240)에 구비된 연성재질부(24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재질부(241)가 하부 몸체(2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연성재질부(241) 자체가 그립부(240)를 구성하고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The soft material part 241 provided in the grip part 2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oft material part 241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10 as shown in FIG. 4A. This represent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oft material part 241 itself constitutes the grip part 240.

또 다른 실시예로, 연성재질부(24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서 보았을 때 그립부(24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는 하부 몸체(210)의 일부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립부(240)에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연성재질부(241)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연성재질부(241)는 외측에서 볼 때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상기 그립부(240)에 형성된 이격된 하부 몸체(210) 사이를 밀폐하거나 상기 이격된 하부 몸체(210)의 내측에서 통 형상으로 일체로 구성하여 상기 에어 챔버(250)를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기가 공급될 경우에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연성재질부(241)만 부풀어 올라서 결과적으로 그립부(240)의 굵기가 증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oft material portion 24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ip portion 24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 4B. This indic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body 210 is formed in the grip portion 24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oft material portion 241 is formed therebetween. In this embodiment,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the soft material portion 241 appears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eals between the spaced lower bodies 210 formed on the grip part 240 or the spaced lower body 210 )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pace forming the air chamber 250 by being integrally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when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nly the soft material portion 241 that appears to be spaced apart is swollen, resulting in an effect of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240. I can.

다음으로, 상기 체크 밸브(2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몸체(26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통로(27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check valve 260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air passage 270 formed on the lower body 260 as shown in FIG. 2.

상기 그립부(240)의 내측과 상기 하부 몸체(210)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폐쇄된 체크 밸브(260) 상태에서 나타나는 폐공간이 나타나는데, 본 발명에서 이 공간이 상기 에어 챔버(250)로 정의된다.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grip part 240 and the lower body 210 and a closed space appearing in the closed check valve 260 state appear, and this space is defined as the air chamber 250 in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체크 밸브(260)는 평소에는 상기 공기통로(27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에어 챔버(250) 내부로 외부 공기가 공급될 때에는 상기 공기통로(270)를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check valve 260 is configured to keep the air passage 270 in a closed state normally, and to open the air passage 270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into the air chamber 250. It would be desirable.

다음으로, 상기 상부 펜대(30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펜대(20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Next, the upper pen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en holder 20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ncludes an air supply/discharge operation unit 400.

상기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400)는 실린더(410), 상기 실린더(41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440), 상기 스프링(440)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스톤(430), 및 상기 피스톤(430)의 상부에 구비된 가압부(360)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410)의 외측으로 필요에 따라 실린더 외부 케이스(50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실린더 외부 케이스(500)는 상기 실린더(410)와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410)와 구분 없이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air supply/discharge operation unit 400 includes a cylinder 410, a spring 440 provided in the cylinder 410, a piston 430 positioned above the spring 440, and the piston ( It includes a pressing unit 36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430, and the like. Meanwhile, a cylinder outer case 5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utside the cylinder 410 as necessary. In this case, the cylinder outer case 50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ylinder 410 or a different material, and it may be formed by being integrally formed without distinction from the cylinder 410.

상기 실린더(41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몸체(210)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공기통로(270)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ylinder 41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21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passage 27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210.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이 때, 상기 실린더(410)와 하부 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실린더(410)와 하부 몸체(210)가 결합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실린더(410)와 하부 몸체(21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최종 물품인 전자펜(10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되면 충분하다. 실린더(410)와 하부 몸체(21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구성의 한 예로써는 실린더(410)와 하부 몸체(210)의 일부분이 일체형으로 성형된 부분 몸체(미도시)들을 결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적으로 하부 몸체(210)와 실린더(410)를 구현하는 실시예 등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cylinder 410 and the lower body 21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parated cylinder 410 and the lower body 210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3, or the cylinder 410 and the lower body ( 210)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l type, and it is sufficient if the configuration includes the electronic pen 100 as a final product. A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ylinder 410 and the lower body 210 are integrally formed, a partial body (not shown) in which a portion of the cylinder 410 and the lower body 210 is integrally formed is combined to be shown in FIG. There may be an embodiment of finally implementing the lower body 210 and the cylinder 410 as described above.

상기 실린더(41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하부 몸체(210)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턱(280)에 하단이 지지되는 상기 스프링(440)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cylinder 410, the spring 440, whos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spring locking protrusion 280 formed on the lower body 210,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상기 실린더(410)의 상부에는 상기 가압부(360)의 가압부 축(362)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부축 안내구(418)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410 is formed with a pressing portion shaft guide hole 418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shaft 362 of the pressing portion 360 can mov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외압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부(460)는 상기 실린더(41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460)의 하부에 결합된 가압부 축(362)이 상기 가압부축 안내구(418)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ressing part 460 formed to apply external pressure by pressing by the user by h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top of the cylinder 41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pressing part 460 The auxiliary shaft 362 is movably coupled to the pressing auxiliary shaft guide 418.

도 2에서는 가압부축 안내구(418)가 외부의 공기가 유입·유출하는 기능도 함께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실린더(410)의 일측에 별도의 외부공기출입구(미도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FIG. 2, the pressurizing shaft guide port 418 is configured to have the function of introducing and outflowing external air. However, a separate external air inlet (not show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410 as necessary. It would be possible to do it.

상기 실린더(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스프링(440)의 상부에는 피스톤(430)이 구비되어 있다. A piston 430 is provided above the spring 440 provided in the cylinder 410.

상기 피스톤(430)은 상기 실린더(410)의 내부에서 이동하며 외부 공기를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430)의 상부에는 상기 가압부(460)의 외력을 상기 피스톤(4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피스톤 축(432)이 형성되어 있다.The piston 430 is configured to move inside the cylinder 410 and supply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and the external force of the pressing part 460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430. A piston shaft 432 is formed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piston 430.

상기 피스톤 축(432)과 상기 가압부 축(418)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 하나의 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상대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piston shaft 432 and the pressing part shaft 418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fixed shaft, o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relative motion is possible, as shown in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피스톤(430)의 하부에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 밸브(260)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 챔버(250) 내의 외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용 돌출부(431)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exhaust protrusion 431 is ad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430 to open the check valve 260 to discharge external air in the air chamber 250 as shown in FIGS. 2 and 3. It may be equipped with.

이러한 피스톤(430)의 구성을 통해, 피스톤(430)을 반복하여 작동시키며,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그립부(240)를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460)를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430)의 하부에 구비된 배기용 돌출부(431)가 상기 체크 밸브(260)를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 에어 챔버(25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팽창된 그립부(240)를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것도 가능하다.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iston 430, the piston 430 is repeatedly operated, and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o inflate the grip part 240. In addition, when the pressurization part 460 is pressed and the exhaust protrusion 431 provided under the piston 430 maintains the open state of the check valve 260, the air inside the air chamber 25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also possible to return the expanded grip portion 240 to the initial state.

한편, 상기 피스톤(430)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체크 밸브(260)는 외부 공기의 압축에 의해 상기 배기용 돌출부(431)와 접촉하지 않더라도 개방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piston 430 is moved downward, the check valve 260 may be opened even if it does not contact the exhaust protrusion 431 due to compression of external air.

따라서,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피스톤(430)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하고, 상기 에어 챔버(250)에서 외부 공기를 제거할 때에는 상기 배기용 돌출부(431)가 상기 체크 밸브(260)와 접촉하여 상기 체크 밸브(260)를 개방하도록 상기 피스톤(430)의 이동 거리를 길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iston 430 is shortened, and when the external air is removed from the air chamber 250, the exhaust protrusion 431 is the check valve The moving distance of the piston 430 may be increased so as to open the check valve 260 in contact with the 260.

이처럼,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할 때와 배출시킬 때에 피스톤(430)의 이동 거리를 달리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피스톤(430) 작동을 위해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토퍼(42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piston 430 is different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and when the external air is discharged, the elastic stopper 420 as shown in FIGS. 2 and 3 for stable operation of the piston 430 )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상기 탄성 스토퍼(420)는 스프링 또는 공압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그 외에도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었다 복원되는 구성이면 충분할 것이다. 또한, 도 2에는 상기 실린더(4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작동을 할 수 있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elastic stopper 420 may be configured by using a spring or pneumatic pressure. In addi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astic stopper 420 is deformed and restored by a certain or more external force will be sufficient. In addition, although 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410 in FIG. 2, i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탄성 스토퍼(4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압부(460)가 상기 탄성 스토퍼(420)와 접촉하게 되면, 사용자는 탄성 스토퍼(420)의 반력에 의해 가압부(460)와 탄성 스토퍼(420)가 접촉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elastic stopper 420 is formed, when the pressing part 4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astic stopper 420, the user can use the pressing part 460 and the elastic stopper 420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elastic stopper 420. It may be sensed that 420 is in contact.

따라서, 상기 피스톤(430)을 작동시키기 위해 가압부(460)를 상기 탄성 스토퍼(420)와 접촉되기 전 또는 접촉을 감지했을 때까지 이동시키며,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가압부(460)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가압부(460)는 상기 스프링(440) 및 상기 탄성 스토퍼(420)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반복하며 상기 에어 챔버(250)에 원하는 만큼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460)가 탄성 스토퍼(420)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까지 작동을 통해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만큼 상기 그립부(240)의 연성재질부(241)를 팽창시켜 상기 그립부(240)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the piston 430, the pressing part 460 is moved before contacting with the elastic stopper 420 or until a contact is sensed, and external air may be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ressing part 460 is removed from the above range, the pressing part 460 moves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40 and the elastic stopper 420. By repeating this operation, external air may be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as desired. That is, the pressing part 460 can supply air to the air chamber 250 through operation to a range limited by the elastic stopper 420, and the grip part as desired as shown in FIG. 6(b). The thickness of the grip part 240 may be adjusted by expanding the soft material part 241 of the part 240.

그리고, 상기 가압부(460)가 상기 탄성 스토퍼(420)와 접촉한 후에 추가로 외력을 가하여 상기 탄성 스토퍼(420)를 변형시켜 상기 피스톤(43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기용 돌출부(431)가 상기 체크 밸브(260)를 개방하도록 하여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460)가 상기 탄성 스토퍼(420)를 변형시키는 범위까지 작동시켜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된 그립부(240)을 초기 상태의 굵기로 되돌릴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pressing portion 460 contacts the elastic stopper 420, an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deform the elastic stopper 420 so that the exhaust protrusion 431 formed under the piston 430 is formed. By opening the check valve 260,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may be discharged. That is, the pressurization part 460 can operate to a range in which the elastic stopper 420 deforms to discharge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and the expansion as shown in FIG. 6(c) The gripped portion 240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thickness.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킬 때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10)의 내측에 피스톤 걸림턱(411) 또는 배기 홈(412)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discharge the external air more stably when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is discharged, as needed, as shown in FIGS. 2 and 3, a piston locking protrusion 411 inside the cylinder 410 ) Or an exhaust groove 412 may be additionally formed.

상기 피스톤 걸림턱(411)은 상기 피스톤(430)이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즉, 피스톤의 배기용 돌출부(431)가 상기 체크 밸브(260)을 개방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피스톤(430)의 하부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피스톤 걸림턱(411)에 의해 가압부(460)에 큰 힘을 가하여도 피스톤 걸림턱(411)보다 아래로는 피스톤(430)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에어 챔버(250) 내부의 외부 공기를 제거할 때에는 피스톤(430)의 이동 거리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고 가압부(460)에 힘을 가하기만 하면 된다. When the piston engaging protrusion 411 reaches a position where the piston 430 discharges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hat is, the exhaust protrusion 431 of the piston is the check valve 260 When it is in the open state, it would be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catch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430. Even if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460 by the piston locking projection 411, the piston 430 does not move below the piston locking projection 411, so that external air inside the air chamber 250 can be removed. At this time, it is only necessary to apply a force to the pressing part 460 without conside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iston 430.

또한, 상기 배기 홈(412)은 배출되는 외부 공기의 통로를 확장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인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기용 돌출부(431)가 상기 체크 밸브(260)을 개방한 상태일 때 상기 피스톤(430)의 측면에 상기 배기 홈(412)이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에어 챔버(250) 내의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xhaust groove 412 is a component for expanding the passage of the exhausted external air. As shown in FIG. 6(c), the exhaust groove 412 is used for exhausting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When the protrusion 431 is in a state where the check valve 260 is opened, the exhaust groove 41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iston 430 so that external air in the air chamber 250 can be smoothly discharged. It would be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be.

최근의 전자펜(100)은 전자장치(미도시)에 보관될 때에는 가압부(460)가 눌러진 상태에 되고, 사용하기 위해 전자장치(미도시)로부터 꺼낼 때에는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460)가 더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When the recent electronic pen 100 is stored in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the pressing unit 460 is in a pressed state, and when taken out from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for use, the pressing unit ( 460) is often configured to protrude further outward.

이는 통상적인 볼펜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고정기어 및 회전 기어 형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is can be implemented using a fixed gear and a rotating gear type that are widely used in a typical ballpoint pen.

본 발명에서도 이를 위해, 실린더(410)의 내주면에 실린더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기어(413)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어(4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30)이 결합되었을 때 피스톤(43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o, a plurality of fixed gears 413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410. The fixed gear 413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piston 430 when the piston 430 is coupled as shown in FIG. 2.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10)에 상기 고정기어(413)가 형성되어 있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기어 돌기(451)가 구비된 회전기어(450)가 함께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fixed gear 413 is formed in the cylinder 410 as shown in FIGS. 2 and 3, a rotating gear 450 provided with a rotating gear protrusion 451 as shown in FIG. 3 is provided together. It is desirable to be.

상기 회전기어(450)는 상기 피스톤 축(432)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기어(450)의 상부는 상기 가압부 축(462)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압부 축(462)에는 통상적인 볼펜 등에서의 구성과 같이 가이드 돌기(46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The rotation gear 45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shaft 432, and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gear 450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ing part shaft 462. At this time, the pressing unit shaft 462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461 as in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allpoint pen.

위와 같은 고정기어(413), 회전기어 돌기(451)가 구비된 회전기어(450) 및 가이드 돌기(461)는 통상적인 볼펜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그 작동 원리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통상적인 구성과 차이가 있는 고정기어(413)에 대해서만 살펴본다.Since the fixed gear 413, the rotating gear 450 and the guide protrusion 461 provided with the fixed gear 413, the rotating gear protrusion 451 as described above are widely used in conventional ballpoint pen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inciple of ope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t looks at only the fixed gear 413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통상적인 볼펜 등에서 고정기어(413)에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고정기어(413) 사이에 회전기어 안내 통로(414)와 회전기어 걸림턱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통상적인 볼펜은 가압부를 누를 때마다 회전기어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기어 돌기가 교대로 회전기어 걸림턱과 회전기어 안내 통로를 지나면서 볼펜심의 돌출 및 숨김이 교대로 반복된다.In a conventional ballpoint pen, the fixed gear 413 is alternately formed with a rotation gear guide passage 414 and a rotation gear locking jaw between a plurality of fixed gears 413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through this configuration, a conventional ballpoint pen Whenever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the rotating gear rotates, and while the rotating gear protrusion alternately passes through the rotating gear locking protrusion and the rotating gear guide passage, protrusion and hiding of the ballpoint pen core are alternately repeated.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가압부(460)를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단계가 필요하고, 이러한 반복 가압 단계에서는 상기 가압부(460)가 눌러진 상태가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press the pressurizing unit 460 to supply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and in this repeated pressurization step, the pressurizing unit 460 is not pressed. Shouldn't.

통상적인 볼펜 등에 구비된 고정 기어 구조를 통해서는 이를 해결할 수 없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기어(413)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고정기어(413) 사이에 회전기어 안내 통로(414)와 제1 회전기어 걸림턱(415) 및 제2 회전기어 걸림턱(416)이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하였다. This cannot be solved through a fixed gear structure provided in a conventional ballpoint pe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fixed gear 413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gear guide passage 414, the first rotation gear locking jaw 415 and the second rotation gear locking jaw 416 are sequentially repeatedly formed between 413).

상기 회전기어 안내 통로(414)는 상기 회전기어(450)의 회전기어 돌기(451)가 제한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2 회전기어 걸림턱(415, 416)에는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rotation gear guide passage 414 is configured so that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of the rotation gear 450 can move without limit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gear locking projections 415 and 416 have the rotation gear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protrusion 451 is caught.

또한,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의 이동에 맞게 상기 고정기어(413)의 하단부가 적정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gear 413 is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gear protrusion 451.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가압부(460)를 작동할 때, 예를 들면, 상기 가압부(460)가 상기 탄성 스토퍼(420)에 접촉하는 범위 이내에서 작동할 때에는 상기 가압부(460)와 함께 이동하는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상기 고정기어(413)의 하단부를 지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 챔버(250)의 외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가압부(460)를 작동할 때, 예를 들면, 상기 가압부(460)가 상기 탄성 스토퍼(420)를 변형시키고, 상기 피스톤(430)의 하부가 상기 피스톤 스토퍼(411)에 닿도록 작동할 때에는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상기 고정기어(413)의 하단부를 지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operating the pressing unit 460 to supply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for example, when operating within a range in which the pressing unit 460 contacts the elastic stopper 420,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moving together with the pressing part 460 is configured so that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xed gear 413. And, when operating the pressing unit 460 to discharge the external air of the air chamber 250, for example, the pressing unit 460 deforms the elastic stopper 420, and the piston 430 When the lower portion of) is operated to contact the piston stopper 411,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gear protrusion 451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xed gear 413.

위와 같은 상기 고정기어(413)를 형성하여,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회전 없이 상기 고정기어(413)에 의해 안내되고,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킬 때에는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상기 고정기어(413)의 하단부를 지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45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상기 회전기어 안내 통로(414)의 옆에 형성된 제1 회전기어 걸림턱(415)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fixed gear 413 is formed as above, and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he rotating gear protrusion 451 is guided by the fixed gear 413 without rotation, and the air chamber 250 When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is discharged, the rotating gear protrusion 451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xed gear 413, and accordingly, the rotating gear 450 rotates so that the rotating gear protrusion 451 is rotated. It is caught by the first rotation gear locking projection 415 formed next to the gear guide passage 414.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펜(100)을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A method of using the electronic pen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전자장치(미도시)에 전자펜(100)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전자펜(100)의 가압부(460)는 상기 제2 회전기어 걸림턱(416)에 걸린 상태로 눌려져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en 100 is stored in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the pressing portion 460 of the electronic pen 100 is pressed while being caught by the second rotation gear locking protrusion 416.

먼저, 상기 전자펜(100)을 사용하기 위하여 전자펜(100)의 가압부(460)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는 상기 고정기어(413)의 하단부를 지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45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상기 제2 회전기어 걸림턱(416)의 옆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회전기어 안내 통로(414)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는 회전기어 안내 통로(414)에서 아무런 제한 없이 상부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440) 및 상기 탄성 스토퍼(4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460)는 상부로 더 돌출되어 도 6(a)와 같은 상태로 되며, 돌출된 상기 가압부(460)를 잡아서 상기 전자장치(미도시)로부터 쉽게 전자펜(100)을 분리해 낼 수 있다. First, in order to use the electronic pen 100, the pressing part 460 of the electronic pen 100 is pressed. Then,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xed gear 413, and accordingly, the rotation gear 450 rotates so that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becomes the second rotation gear locking protrusion 416 ) Is moved to the guide passage 414 formed next to the rotation gear. Then, since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can move upward without any limitation in the rotation gear guide passage 414, the pressing part 460 is upper par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40 and the elastic stopper 420. 6(a), the electronic pen 1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not shown) by holding the protruding pressing part 460.

다음으로, 적절한 두께의 그립부(240)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460)를 반복 작동하여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범위, 예를 들면, 상기 탄성 스토퍼(420)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 이내에서 가압부(460)를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기어(450)의 회전기어 돌기(451)는 상기 고정기어(413)의 회전기어 안내 통로(414)에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없이 상·하부 이동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460)는 반복적으로 압력을 가하여도 걸림 없이 작동할 수 있고, 함께 이동되는 피스톤(430)으로 상기 에어 챔버(25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그립부(240)의 두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Next,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by repeatedly operating the pressing unit 460 in order to adjust the grip unit 240 of an appropriate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when operating the pressurization unit 460 within the range of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for example, within the range limited by the elastic stopper 420, the rotation gear 450 Since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of is configured to be guided in the rotation gear guide passage 414 of the fixed gear 413,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without rotation. Therefore, the pressurization unit 460 can operate without being caught even if pressure is repeatedly applied, and supply air to the interior of the air chamber 250 by the piston 430 that moves together, As show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hickness of the grip part 240 as desired by the user.

다음으로, 전자펜(100)을 사용한 후에 전자펜(100)을 다시 전자장치(미도시)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켜 그립부(240)의 두께를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필요하다. Next, after using the electronic pen 100, in order to store the electronic pen 100 again in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is discharged to initialize the thickness of the grip part 240. It is necessary to return to the state.

이를 위해 상기 탄성 스토퍼(420)를 변형시킬 수 있는 정도의 외력으로 상기 가압부(460)를 눌러서 상기 피스톤(430)의 하부에 형성된 배기용 돌기부(431)로 상기 체크 밸브(260)을 개방하여 에어 챔버(250) 내의 외부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전자펜(100)은 그립부(240)가 초기 상태의 두께를 갖게 되어 전자장치(미도시)에 결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To this end, by pressing the pressing part 460 with an external force sufficient to deform the elastic stopper 420 to open the check valve 260 to the exhaust protrusion 431 formed under the piston 430 External air in the air chamber 250 is discharged. Through this, the electronic pen 100 has an initial thickness of the grip part 240 so that the electronic pen 100 can be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이 때, 상기 가압부(460)에 작용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고정기어(413)의 하단부를 지난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는 회전되어 상기 회전기어 안내 통로(414)의 옆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회전기어 걸림턱(415)에 걸리게 된다. 이는 위에서 살펴본 통상적인 볼펜에서의 작동과 동일하다.At this time, when the force acting on the pressing part 460 is removed,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past the lower end of the fixed gear 413 is rotated and formed next to the rotation gear guide passage 414 It is caught in the first rotation gear locking jaw (415).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in the conventional ballpoint pen discussed above.

마지막으로, 상기 전자펜(100)을 전자장치(미도시)의 보관부에 삽입한 후에 가압부(460)를 눌러서 상기 전자펜(100)을 전자장치(미도시)에 보관한다.Finally, after inserting the electronic pen 100 into the storage unit of the electronic device (not shown), the pressing unit 460 is pressed to store the electronic pen 100 in the electronic device (not shown).

이 때에도, 상기 가압부(460)에 작용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는 상기 제1 회전기어 걸림턱(415)이 형성된 고정기어(413)의 하단부를 지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되어 상기 제1 회전기어 걸림턱(415)의 옆에 형성된 제2 회전기어 걸림턱(416)에 걸리게 된다. 즉, 전자펜(100)이 전자장치(미도시)에 보관되어 있던 초기 상태가 된다.Even at this time, when the force acting on the pressing part 460 is removed,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xed gear 413 on which the first rotation gear locking protrusion 415 is formed, and thus the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becomes a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and is caught by the second rotation gear locking projection 416 formed next to the first rotation gear locking projection 415. That is, the electronic pen 100 is in an initial state stored in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위와 같은 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그립부(240)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자펜(100)을 쉽게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steps, the user can easily use and store the electronic p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grip part 240.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thereof is diverse, as well a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 전자펜 200: 하부 펜대 210: 하부 몸체
220: 터치 팁 230: 팁 지지 탄성체 240: 그립부
241: 연성재질부 250: 에어 챔버 260: 체크 밸브 270: 공기통로 280: 스프링 걸림턱 300: 상부 펜대 400: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
410: 실린더 411: 피스톤 걸림턱 412: 배기 홈 413: 고정기어
414: 회전기어 안내 통로 415: 제1 회전기어 걸림턱
416: 제2 회전기어 걸림턱 417: 외부공기 출입구
418: 가압부축 안내구 420: 탄성 스토퍼 430: 피스톤
431: 배기용 돌출부 432: 피스톤 축 440: 스프링
450: 회전기어 451: 회전기어 돌기 460: 가압부
461: 가이드 돌기 462: 가압부축 500: 실린더 외부 케이스
100: electronic pen 200: lower pen holder 210: lower body
220: touch tip 230: tip support elastic body 240: grip portion
241: soft material part 250: air chamber 260: check valve 270: air passage 280: spring locking jaw 300: upper pen stand 400: air supply/discharge operation part
410: cylinder 411: piston locking projection 412: exhaust groove 413: fixed gear
414: rotation gear guide passage 415: first rotation gear locking jaw
416: second rotation gear locking jaw 417: external air entrance
418: pressure support shaft guide 420: elastic stopper 430: piston
431: exhaust protrusion 432: piston shaft 440: spring
450: rotating gear 451: rotating gear protrusion 460: pressing part
461: guide protrusion 462: pressure support shaft 500: cylinder outer case

Claims (6)

그립부(240)가 형성된 하부 펜대(200) 및 상기 하부 펜대(20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펜대(300)를 포함하는 전자펜에 있어서,
상기 하부 펜대(200)는 하단부에 터치 팁(220)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체크 밸브(260)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 몸체(21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부 몸체(210)와 상기 그립부(240) 사이에 에어 챔버(2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부(240)는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가 공급되었을 때 상기 하부 몸체(210)의 외측면으로 굵기가 변할 수 있는 연성재질부(24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펜대(300)는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400)를 포함하고 있되,
상기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400)는 피스톤(430); 상기 피스톤(430)의 상부에 결합된 피스톤 축(432); 및 상기 피스톤 축(432)을 작동하기 위한 가압부(4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4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체크 밸브(260)를 통하여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에어 챔버(250)에 저장된 외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
In the electronic pen including a lower pen holder 200 having a grip portion 240 formed thereon and an upper pen holder 30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en holder 200,
The lower pen holder 200 includes a lower body 210 having a touch tip 22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and a check valve 260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air chamber 25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body 210 and the grip part 240;
The grip part 240 includes a soft material part 241 whose thickness can be chang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10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he upper pen holder 300 includes an air supply/discharge operation unit 400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The air supply/discharge operation unit 400 includes a piston 430; A piston shaft 432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430; And a pressing part 460 for operating the piston shaft 43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upply external air to the air chamber 250 through the check valve 260 or to discharge external air stored in the air chamber 25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iston 430 Electronic pen with adjustable thick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배출 작동부(400)는 상기 하부 몸체(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430)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410); 및 상기 피스톤(430)의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440)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supply/discharge operation unit 40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10 and the cylinder 410 having the piston 430 provided therein; And a spring 44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iston 4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에는 탄성 스토퍼(420)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가압부(460)가 탄성 스토퍼(420)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까지 작동하고,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킬 때에는 상기 가압부(460)가 상기 탄성 스토퍼(420)를 변형시키는 범위까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nic pen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stopper 420,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he pressing unit 460 operates to a range limited by the elastic stopper 420,
When discharging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he pressurizing unit 460 operates to a range in which the elastic stopper 420 is de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30)의 하부에는 상기 체크 밸브(260)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용 돌출부(431)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410)의 일측에 배기 홈(41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 홈(412)은 상기 배기용 돌출부(431)가 상기 체크 밸브(260)를 개방하고 있을 때 상기 피스톤(43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
The method of claim 2,
An exhaust protrusion 431 is additionally formed under the piston 430 to open the check valve 260 to discharge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An exhaust groove 412 is addition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410,
The exhaust groove 412 is formed to be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f the piston 430 when the exhaust protrusion 431 is open to the check valve 26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410)의 내면에는 다수의 고정기어(413)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축(432)의 상부에는 회전기어 돌기(451)가 구비된 회전기어(4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챔버(25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가압부(460)의 누름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450)가 상기 고정기어(413)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회전기어(450)는 상기 고정기어(413)와 상대 회전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fixed gears 413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410, and a rotating gear 450 having a rotating gear protrusion 45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shaft 432, , When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the rotation gear 450 moves along the fixed gear 413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pressurization part 460, and is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When discharging external air, the rotating gear 450 is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gear 4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413) 사이는 회전기어 안내통로(414)와 제1 회전 기어 걸림턱(415) 및 제2 회전 기어 걸림턱(416)이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고, 에어 챔버(250)에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기하기 위하여 가압부(460)를 누른 후에는, 상기 회전기어(45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상기 제1 회전기어 걸림턱(415)에 걸리며,
상기 회전기어 돌기(451)가 상기 제1 회전기어 걸림턱(415)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460)를 한번 더 누른 후에는, 상기 회전기어(450)가 회전하여 상기 제1 회전기어 돌기(451)가 제2 회전기어 걸림턱(416)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펜.
The method of claim 5,
Between the fixed gears 413, a rotation gear guide passage 414, a first rotation gear locking jaw 415, and a second rotation gear locking jaw 416 are sequentially repeatedly formed, and supplied to the air chamber 250 After pressing the pressurizing part 460 to exhaust the external air, the rotation gear 450 rotates so that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is caught by the first rotation gear locking projection 415,
After pressing the pressing part 460 once more while the rotation gear protrusion 451 is caught on the first rotation gear locking protrusion 415, the rotation gear 450 rotates to protrude the first rotation gear. The electronic pen with adjustable thickness, characterized in that 451 is formed so as to be caught on the second rotation gear locking projection 416.
KR1020180110778A 2018-09-17 2018-09-17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 KR102203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78A KR102203278B1 (en) 2018-09-17 2018-09-17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78A KR102203278B1 (en) 2018-09-17 2018-09-17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31A KR20200031831A (en) 2020-03-25
KR102203278B1 true KR102203278B1 (en) 2021-01-14

Family

ID=7000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778A KR102203278B1 (en) 2018-09-17 2018-09-17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2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895A (en) * 2021-01-14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ial pe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4907A1 (en) * 2008-12-27 2010-07-01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Styl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071100A1 (en) * 2012-09-11 2014-03-13 Viler Andres Becerra Figueroa Ergonomic stylus with an inflatable finger gri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486B1 (en) 2015-02-05 2015-05-29 (주)젠투웨이브 Holder Structrue of Stylus P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4907A1 (en) * 2008-12-27 2010-07-01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Styl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071100A1 (en) * 2012-09-11 2014-03-13 Viler Andres Becerra Figueroa Ergonomic stylus with an inflatable finger g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31A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6376B2 (en) Retractable stylus
KR101206694B1 (en) Human interface input acceleration system
US8111506B2 (en) Electronic device
US7007345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7578154B2 (en) Key case with key select mechanism
TW201730722A (en) Stylus
TWI623008B (en) Key board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676036B2 (en) Input device and personal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203278B1 (en)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
US20210339124A1 (en) Operating controller and terminal device
US10635197B2 (en) Lateral pressure sensing pointer
CN102448270B (en) Hand-hold electronic device
TW201421505A (en) Scissors connecting member and key structure with scissors connecting member
US10503284B1 (en) Retractable pen
US20090050377A1 (en) Styl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339382B2 (en) Styl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620008B1 (en) Touch pen
KR100557123B1 (en) Stylus pen
US20090128522A1 (en) Stylus used to operate on touch screen
KR100570793B1 (en) Alphanumeric inpu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130142828A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stylus pen function
TW201515041A (en) Slidable pushbutton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TWI752430B (en) Mouse
KR200447062Y1 (en) Writing instrument with stylus pen
KR200329499Y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