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008B1 - Touch pen - Google Patents

Touch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008B1
KR101620008B1 KR1020140164115A KR20140164115A KR101620008B1 KR 101620008 B1 KR101620008 B1 KR 101620008B1 KR 1020140164115 A KR1020140164115 A KR 1020140164115A KR 20140164115 A KR20140164115 A KR 20140164115A KR 101620008 B1 KR101620008 B1 KR 10162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moving
hole
expanding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교진
이상훈
박상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0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0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en. The touch pen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penholder which is formed with a hollow cylinder, and has an insertion hole for exposing the hollow part to at least part of the outer surface; a nib combined with one end of the penholder; a grip part which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penholder to shield the insertion hole; an expansion part which is arrang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in the penholder, and has at least part which is selectively expended to the outside of the penholder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a moving part which has at least part inserted into the expansion part and expands the expansion part by an up-and-down movement. So, the thickness of the pen can be adjusted.

Description

터치펜{TOUCH PEN}TOUCH PEN {TOUCH PEN}

본 발명은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en.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러한 단말기에는 사람의 손 또는 물체의 접촉에 따라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이 구현된다. Such a terminal is a device for in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of a human hand or an object, and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the like are implemented.

터치 단말기는 PDA,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화상표시패널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터치 스크린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화상표시패널에 표시된 문자나 화상을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터치하여 입력하게 된다. 또한, 노트북과 같이 터치 패드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통해 화상표시패널의 원하는 위치에 포인트를 이동하도록 한다.A touch terminal is installed on a display surface of an image display panel such as a PDA, a mobile phone, and a tablet PC, and provides a function of a touch screen so that a user can touch and input desired information while viewing a character or an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panel. In addition, a function of a touch pad such as a notebook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move a point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image display panel through a touch pad.

최근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대형화되고, 단순히 버튼방식으로 입력하는 것을 넘어 손으로 집적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입력받는 어플리케이션이 늘어남에 따라 실제 펜으로 쓰는 느낌을 위해 터치펜이 단말기의 액세서리로 이용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has been enlarged and the number of applications receiving the input by us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or the drawing has increased, the touch pen has been used as an accessory of the terminal .

이러한 터치펜은 단말기와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분실의 우려가 있는바,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펜에 따르면 단말기의 일측에 터치펜이 수용될 수 있는 홈을 두어 터치펜을 사용할 시에는 상기 홈에서 터치펜을 분리시키고, 터치펜을 사용한 후에는 터치펜을 상기 홈에 삽입함으로써 터치펜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터치펜의 두께는 상기 홈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제작된다. Since the touch pen is us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there is a risk of loss of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a touch pen is used to place the touch pen on one side of the terminal, After the pen is separated and the touch pen is used, the touch pe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o prevent the touch pen from being lost.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touch pen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groove.

그러나, 단말기의 구조 상 터치펜을 수용하기 위한 홈의 크기가 제한되므로 터치펜의 두께 또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터치펜을 통해 실제 펜으로 쓰는 느낌을 원하므로, 얇은 두께의 터치펜을 사용 시 실제 펜에 비하여 그립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groove for receiving the touch pen is limit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the thickness of the touch pen is also limited. In addition, since the user wants to feel a sense of writing with an actual pen through the touch pe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rip feeling is lowered when using a thin thickness touch pe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8266호(2014.03.10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28266 (published Apr. 3,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터치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pen capable of adjusting the thicknes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내부 중공이 노출되도록 끼움홀이 형성되는 펜대; 상기 펜대의 일단에 결합되는 펜촉; 상기 펜대에 외면에 끼워져 상기 끼움홀을 차폐하는 그립부; 상기 펜대의 내부에서 상기 끼움홀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끼움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펜대의 외부로 팽창되는 팽창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팽창부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팽창부를 팽창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A touch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 bas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fitting hole formed therein to expose an inner hollow at at least a part of an outer surface thereof; A pen tip coupled to one end of the pen stand; A grip portion which is fit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n holder and shields the fitting hole; An expanding portion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hole in the inside of the pen assembly and op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being expanded outside the pen assembly through the fitting hole;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fitted in the inside of the expansion part, and a moving part for expanding the expansion part through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실제 펜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gripped by the user can be adjus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ip feeling like using an actual pen.

둘째, 간단한 조작을 통해 펜대의 외면에 형성된 홀로 팽창부를 돌출시키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Second, since the expanding portion is protruded by the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n base by a simple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of the user i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립부를 제외한 터치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팽창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터치펜을 꺼내는 모습을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과 단말기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팽창부의 내부에 이동돌기가 이동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펜대와 팽창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다른 그립부를 제외한 터치펜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팽창부가 팽창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except for a grip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lation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uch pen is taken out from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touch pen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protrusion moving in an expans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justing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a pen member and an expansion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except a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pansion pa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 mobile terminal,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camera, a navigation device, a tablet computer computer, and e-book terminal. In addition, suffixes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터치펜은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터치센서의 입력도구로서, 정압 방식의 터치펜과 정전 방식의 터치펜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ouch pe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both a static pressure type touch pen and an electrostatic type touch pen as an input tool of a touch sensor provided in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사시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100)은 외형을 이루며 펜대(130)와, 상기 펜대(130)의 일단에 결합되는 펜촉(1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touch pen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 base 130 and a pen point 120 coupled to one end of the pen base 130.

상기 펜대(13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펜대(130)의 타단에는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후술할 단말기로부터 상기 터치펜(100)을 꺼낼 시에 사용자의 손에 잡히는 돌출부(132)가 형성된다. The pen base 13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other end of the pen base 130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A protrusion 132 is formed in the user's hand when the user removes the touch pen 100 from a termi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펜촉(120)을 상기 터치펜(100)의 하부, 상기 돌출부(132)를 상기 터치펜(100)의 상부라 정의하면, 상대적으로 상기 터치펜(100)의 하부측에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펜대(13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사용자의 손에 잡히도록 그립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110)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통 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에 상기 펜대(130)가 끼워져 상기 그립부(110)가 상기 펜대(13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그립부(110)는 재질이 고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부드럽게 상기 그립부(110)를 잡은 상태로 상기 터치펜(100)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그립부(110)는 상기 터치펜(100)을 사용자가 사용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부분으로 이해된다. When the pen tip 120 is defined as a lower portion of the touch pen 100 and the protrusion 132 is defin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touch pen 100, The grip portion 11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30 and to be held by the user's hand. The grip portion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e at the center. Accordingly, the pen base 130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grip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pen base 130. Meanwhile, the grip part 110 may be made of rubber.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touch pen 10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he grip portion 110 more smoothly. In other words, the grip portion 110 is understood as a portion where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when the user uses the touch pen 100.

그리고, 상기 그립부(110)의 하부에는 상기 펜대(130)에 형성된 장홀(135) 또는 단홀(137)에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153)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53)에 대한 구조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 stopper 153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long hole 135 or the short hole 137 formed in the pen base 130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10.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topper 153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펜촉(120)은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펜촉(120)이 상기 화면에 접촉되는 동작을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 화면이 정압 방식(감압 방식)일 경우 상기 펜촉(120)의 단부(121)는 끝이 뾰족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이 정전 방식일 경우 상기 펜촉(120)의 단부(121)는 전하량을 지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en tip 120 is a portion that contacts the screen of the terminal, and a user command is inputted through an operation that the pen tip 120 touches the screen. When the screen is a static pressure type (reduced pressure type), the end portion 121 of the pen point 120 may have a pointed end. If the screen is electrostatic, the end 121 of the nib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receiving a charg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립부를 제외한 터치펜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팽창부의 사시도 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except a grip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100)은, 펜대(130)와, 상기 펜대(130)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그립부(110)를 팽창 또는 수축 시키는 팽창부(140)와, 상기 팽창부(1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부(140)의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돌기(155)를 구비하는 이동부(150)와, 상기 이동부(150)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부(1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touch p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 holder 130 and an expansion part 140 (FIG. 2) that is inserted into the pen holder 130 and expands or contracts the grip part 110 A moving part 15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xpanding part 140 and having a moving protrusion 155 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expanding part 140; And an elastic part 160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part 150.

상기 펜대(130)에서 상기 그립부(110)가 끼워지는 지점에는 끼움홀(134)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134)은 상기 팽창부(140)의 팽창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홀로써, 상기 펜대(130)의 몸체(13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134)에는 상기 끼움홀(134)을 기준으로 상기 펜대(130)의 상, 하 부분을 지지하기 끼움홀 지지부(134)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홀(134)에 상기 그립부(110)가 끼워질 경우, 상기 그립부(110)에 의해 상기 끼움홀(134)이 차폐된다. A fitting hole 134 is formed in the pen base 130 at a position where the grip portion 110 is inserted. The fitting hole 134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body 131 of the pen base 130 as a hole for protruding outwar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unit 140. The fitting hole 134 may include at least one fitting hole 134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en base 130 with respect to the fitting hole 134. Therefore, when the grip portion 110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134, the fitting hole 134 is shielded by the grip portion 110.

상기 끼움홀(134)의 하부에는 장홀(136)과 단홀(137)이 각각 상기 몸체(13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장홀(136)은 상기 단홀(137)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홀(136)은 상기 단홀(137)에 비해 길이 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A long hole 136 and a short hole 137 are formed through the body 131 at the bottom of the fitting hole 134, respectively. The long hole 136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relative to the short hole 137. In addition, the long hole 136 is longer than the short hole 13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펜대(130)의 중공 내부에는 상기 팽창부(130), 이동부(150), 탄성부(160)가 끼워진다. 상기 팽창부(130)는 상기 끼움홀(134)에 대응되는 상기 펜대(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130)의 하부에 상기 이동부(150)가 배치된다. The expanding part 130, the moving part 150, and the elastic part 160 are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pen base 130. The expanding part 130 is disposed inside the pen holder 130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hole 134. The moving unit 150 is disposed below the expanding unit 130.

상기 이동부(150)는 이동부 몸체(152)와, 상기 이동부 몸체(152)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이동축(154)가 포함된다. 상기 이동축(154) 상에는 상기 이동축(154)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돌기(155)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돌기(155)는 상기 팽창부(130)의 내부에 끼워져 이동됨으로써 상기 팽창부(13)를 팽창 또는 수축 시킨다. The moving unit 150 includes a moving unit body 152 and a moving shaft 154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unit body 152. A moving protrusion 155 protru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ving shaft 154 is provided on the moving shaft 154. The moving protrusion 155 is inserted and moved in the expanding part 130 to expand or contract the expanding part 13.

상기 이동부 몸체(152)의 일측에는 상기 장홀(136) 또는 단홀(137)을 통해 상기 펜대(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토퍼(153)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53)가 노출되는 홀의 위치를 통해 상기 팽창부(130)가 팽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 stopper 15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unit body 152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n stand 130 through the long hole 136 or the short hole 137.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expansion part 130 is expanded through the position of the hole through which the stopper 153 is exposed.

상기 이동부 몸체(152)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160)가 끼워지는 결합 돌기(1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160)의 중앙홀이 상기 결합 돌기(151)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이동부(150)에 탄성력을 전달한다. 상기 탄성부(160)의 하부에는 상기 펜촉(120)이 결합된다. 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body 152 is formed a coupling protrusion 151 which extends downward and into which the elastic part 160 is inserted. Accordingly, the center hole of the elastic part 160 is fit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51, thereby transmitting the elastic force to the moving part 150. The nib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16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153)가 상기 장홀(136)에서 상기 펜대(130)의 외부로 노출될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160)가 수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스토퍼(153)가 상기 단홀(137)에서 상기 펜대(130)의 외부로 노출될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160)가 팽창되어 탄성력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3, when the stopper 153 is exposed from the long hole 136 to the outside of the pen base 130, the elastic part 160 is contract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However, when the stopper 15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n base 130 from the single hole 137, the elastic part 160 is inflated and has almost no elastic forc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팽창부(140)는 상기 팽창부(140)의 상, 하단부에 형성되는 팽창부 지지축(141)과, 상기 팽창부 지지축(141)을 연결하며 팽창 또는 수축되는 팽창부 몸체(144)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부 몸체(144)는 상기 끼움홀(134)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끼움홀(134)의 외부로 팽창되는 구성이다. 4, the expanding part 140 includes an expanding part supporting shaft 141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xpanding part 140, and an expanding part supporting shaft 141 extending and contracting And an expansion body (144). The expansion body 144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inflated to the outside of the fitting hole 134 through the fitting hole 134.

상기 팽창부 지지축(141)은 상기 팽창부(14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팽창부 지지축(141)의 중앙에는 상기 팽창부 지지축(141)의 상부 및 하부가 연통되도록 홀(142)이 형성된다. 상기 홀(142)을 통해 상기 이동축(154)가 상, 하로 이동한다. The expansion unit support shaft 14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unit 140, respectively. A hole 14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xpansion part support shaft 141 so th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expansion part support shaft 14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moving shaft 154 moves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hole 142.

상기 팽창부 몸체(144)는 상기 상, 하단의 팽창부 지지축(141)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팽창부 몸체(144)는 탄성 변형가능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부 몸체(144)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부로 팽창되거나 내부로 수축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 몸체(144)는 상기 상, 하단에 팽창부 지지축(141)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몸체로 구비될 수 있다. The expansion body 144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xpansion support shafts 141. The expander body 144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hus, it can be expanded outward or contract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xpander body 144. The expansion body 144 may include a plurality of bodies connecting the expansion support shafts 141 to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그리고, 상기 팽창부 몸체(144)의 내면에는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14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46)는 상기 이동부(150)의 이동돌기(155)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이동돌기(155)가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돌기(146)와 맞닿는 경우 상기 팽창부 몸체(144)는 외부로 팽창되고 상기 이동돌기(155)가 상기 고정돌기(146)와 떨어지는 경우 상기 팽창부 몸체(144)는 내부로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축(154)의 상, 하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돌기(146)와 상기 이동돌기(155)가 접촉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돌기(146)는 소성 변형가능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돌기(155)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팽창부 몸체(144)를 외부로 밀어낸다. A fixing protrusion 146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pansion body 144. The fixing protrusion 146 is a portion contacting the moving protrusion 155 of the moving unit 150. When the moving protrusion 155 contacts the fixing protrusion 146 through the up and down movement, 144 expand to the outside and the expanding body 144 contracts when the moving protrusion 155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146.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tact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146 and the moving protrusion 155 through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moving shaft 154. Meanwhile, the fixing protrusions 146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plastically deformed. Accordingly, the expansion body 144 is pushed out through contact with the moving protrusion 155.

그리고, 상기 팽창부 몸체(144)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고정돌기(146)까지의 길이는 상기 스토퍼(153)의 상하 이동거리와 대응되도록 제작된다. The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expander body 144 to the fixing protrusion 146 corresponds to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distances of the stopper 153.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터치펜(100)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touch p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터치펜을 꺼내는 모습을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과 단말기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팽창부의 내부에 이동돌기가 이동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ouch pen taken ou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touch pen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vement of a movement protrusion in an expans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터치펜(1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치펜(100)은 미사용시에 단말기(10)의 보관홈(12)에 끼워 보관하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10)는 외면에서 내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홈(12)이 구비되고, 상기 홈(12)에 상기 터치펜(100)을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터치펜(100)을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펜(100)을 사용시에는 상기 돌출부(132)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터치펜(100)을 상기 단말기(10)와 분리할 수 있다. 5 and 6, in order to prevent the touch pen 100 from being lost, the touch pen 10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12 of the terminal 10 when the touch pen 100 is not used. That is, the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groove 12 which is recessed from the outer surface toward the inside, and the touch pen 100 can be stored by inserting the touch pen 100 into the groove 12 . When the touch pen 100 is used, the touch pen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10 by lifting up the protrusion 132.

상기 홈(12)의 내주면 상에는 돌출 형성되는 돌기(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펜(100)을 상기 홈(12)에 끼워 넣을 때는 상기 돌기(14)에 의해 상기 스토퍼(153)가 상방을 향해 올라감으로써 상기 스토퍼(153)가 상기 단홀(137)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펜(100)을 상기 홈(12)에서 빼낼 때에는 상기 돌기(14)에 의해 상기 스토퍼(153)가 하방을 향해 내려감으로써 상기 스토퍼(153)는 상기 장홀(135)에 위치한다. A projection (14)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12). Therefore, when the touch pen 1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 the stopper 153 is upwardly moved by the protrusion 14, so that the stopper 153 is positioned in the single hole 137 . When the touch pen 100 is taken out of the groove 12, the stopper 153 is downwardly moved by the projection 14 so that the stopper 153 is positioned in the long hole 13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153)가 상기 단홀(137)에서 상기 펜대(130)의 외부로 노출될 경우, 즉 상기 터치펜(100)의 상기 단말기(10)의 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부(152)가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이므로 상기 이동돌기(155)가 상기 팽창부(140)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돌기(155)는 상기 고정돌기(146)와 접촉하지 않게 되고, 상기 팽창부 몸체(144)는 수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7 and 8, when the stopper 15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n base 130 from the single hole 137, that is, the groove 12 of the terminal 10 of the touch pen 100 The moving protrusion 155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flating unit 140 because the moving unit 152 is positioned relatively upward. Therefore, the moving projection 155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projection 146, and the expansion body 144 is kept in a contracted state.

그러나, 상기 터치펜(100)을 상기 단말기(10)의 외부로 꺼내게 되면, 상기 이동부(15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153)는 상기 장홀(135)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돌기(155)는 상기 고정돌기(146)와 접촉되며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팽창부 몸체(144)를 팽창된다.    However, when the touch pen 100 is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10, the moving part 150 moves downward, and the stopper 153 is fitted in the long hole 135. The movable protrusion 155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rotrusion 146 and is expande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expanding body 144.

따라서, 상기 팽창부 몸체(144)가 팽창됨으로써 상기 그립부(110)가 상기 펜대의 몸체(131) 부분의 두께에 비해 두꺼워 지고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110)를 잡아 상기 터치펜(100)을 사용한다. Therefore, when the expanding part body 144 is inflated, the grip part 110 beco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part 131 of the pen base, and the user holds the grip part 110 and uses the touch pen 100 .

상기 터치펜(100)을 사용한 후에는 상기 터치펜(100)을 상기 단말기(10)에 다시 끼워넣어 상기 팽창부(140)를 수축시킬 수 있다. After the touch pen 100 is used, the touch pen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10 to shrink the expanding part 140.

한편, 상기 이동부(150)의 상, 하 이동은 상기 탄성부(160)의 탄성력에 의해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다.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oving part 150 can be flexibly adjus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160.

이처럼, 상기 터치펜(100)을 상기 단말기(10)로부터 꺼내고 끼워넣는 동작에 의해 상기 그립부(110)를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펜(100)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그립부(110) 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보다 편하게 상기 터치펜(100)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grip portion 110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and inserting the touch pen 100 from the terminal 10, so that convenience for the user is increased, and when the user uses the touch pen 100 The touch pen 100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110 is increas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사시도 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굵기 조절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the other portions, but differs in the thickness adjustment method.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200)은 펜대(210)와, 상기 펜대(210)의 일단에 결합되는 펜촉(250)과, 상기 펜대(210)의 타단에 끼워지는 조절부재(220)를 포함한다. 9, the touch pen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 base 210, a pen tip 250 coupled to one end of the pen base 210, And a control member 220 which is fitted to the control member 220.

상기 펜대(2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펜촉(250)을 상기 터치펜(200)의 하부, 상기 조절부재(220)를 상기 터치펜(200)의 상부라 정의하면, 상기 터치펜(200)의 중앙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터치펜(200)의 하부측에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펜대(21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사용자의 손에 잡히도록 그립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그립부(230)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통 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에 상기 펜대(210)가 끼워져 상기 그립부(230)가 상기 펜대(210)에 결합된다. The pen base 21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When the pen tip 250 is defined as a lower portion of the touch pen 200 and the adjustment member 220 is defin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touch pen 200, A grip portion 230 is provided at a point adjacent to a lower side of the pen base 21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 base 210 and to be held by a user's hand. The grip portion 2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e at the center. Therefore, the pen base 210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grip portion 230 is coupled to the pen base 210.

상기 펜대(210)의 하단에는 상기 펜촉(250)이 결합된다. The nib 25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en base 210.

상기 조절부재(220)의 상부에는 상기 조절부재(220)를 상기 펜대(210)에 대하여 상대 회동시킬 시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222)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펜대(210)의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22)를 잡고 돌리는 동작을 통해, 상기 조절부재(220)를 상기 펜대(2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A handle 222 gripped by a use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member 220 when the control member 220 is rotated relative to the pen base 210. [ The handle is formed with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as compared with the body of the pen base 210. Therefore, the user can move the control member 220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pen base 210 through the operation of grasping the handle 222.

상기 펜촉의 단부(251)는 끝이 뾰족하고 전하량을 지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nd portion 251 of the pen tip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harp end and a charge amou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재의 사시도 이다.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200)은 펜대(210)와, 상기 펜대(210)의 상면에서 내부로 끼워지는 조절부재(220)와, 상기 펜대(210)의 하면에서 내부로 끼워져 상기 조절부재(220)가 일부가 끼워지는 결합부재(260)를 포함한다. 10 and 11, the touch pen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 base 210, an adjusting member 220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n base 210, And a coupling member 260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0 and into which the adjustment member 220 is partially fitted.

상기 펜대(210)에서 상기 그립부(230)가 끼워지는 지점에는 끼움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212)은 상기 조절부재(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220)의 팽창부(227)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홀로써, 상기 펜대(210)의 몸체(21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212)에는 상기 끼움홀(212)을 기준으로 상기 펜대(210)의 상, 하 부분을 연결하는 끼움홀 지지부(215)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홀(212)에 상기 그립부(230)가 끼워질 경우, 상기 그립부(230)에 의해 상기 끼움홀(212)이 차폐된다. A fitting hole 212 is formed in the pen base 210 at a position where the grip portion 230 is inserted. The fitting hole 212 is formed in the body 211 of the pen base 210 so that the expansion portion 227 of the adjustment member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adjustment member 220 moves. . The fitting hole 212 may include one or more fitting hole supporting portions 215 connec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en base 210 with respect to the fitting hole 212. Therefore, when the grip portion 230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212, the fitting hole 212 is shielded by the grip portion 230.

상기 펜대(2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절부재(220)가 이동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부재(220)의 외주면에도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 thread for moving the adjusting member 2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 base 210. A thread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member 22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결합부재(260)는 몸체부(261)와 상기 몸체부(26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팽창홈(265)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61)는 상기 펜대(210)의 하면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이해된다. 상기 몸체부(261)의 하단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펜촉(250)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몸체부(26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260 includes a body portion 261 and an expansion groove 265 form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61. The body portion 261 is understood to be a portion that fit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n base 210. A coupling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261 so that the pen tip 250 can be coupled to the body part 261 through a screw connection.

상기 팽창홈(265)은 상기 몸체부(26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홈(265)은 상기 몸체부(26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단일의 홈일 수 있다. 즉, 상기 팽창홈(265)은 상기 몸체부(261)를 복수의 가닥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팽창홈(265)은 상기 몸체부(261)를 원주방향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재(260)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상기 조절부재(220)의 일부가 삽입될 경우 상기 몸체부(261)가 원주방향으로 팽창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26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e expansion grooves 265 may be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61. Further, the expansion groove 265 may be a single groove form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61. That is, the expansion groove 265 is formed to disperse the body portion 261 into a plurality of strands. The expansion groove 265 is for expanding the body 26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when the adjustment member 220 is partially inser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ement member 260, 261 are expa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61.

상기 조절부재(220)는, 조절부재 몸체(223)와, 상기 조절부재 몸체(223)의 하측에 배치되며 나사홈(228)이 형성되는 팽창부(227)와, 상기 팽창부(227)의 하측에 배치되며 나사홈(226)이 형성되는 수축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재(220)의 상단에는 손잡이(222)가 형성됨은 앞서 살펴본 바이다. The adjusting member 220 includes an adjusting member body 223, an expanding portion 227 disposed below the adjusting member body 223 and having a screw groove 228 formed therein, And a contraction portion 225 which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in which a screw groove 226 is formed. The handle 22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rol member 220 as described above.

상기 팽창부(227)는 상기 수축부(22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조절부재(22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227)의 직경은 상기 수축부(225)의 직경에 비하여 넓게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수축부(225)의 직경은 상기 펜대(21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팽창부(227)의 직경은 상기 펜대(210)의 내경과 같거나 클 수 있다. The expansion portion 227 is disposed above the regulating member 220 relatively to the contracting portion 225. The diameter of the expanding portion 227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tracting portion 225.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constricted portion 225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en base 210, and the diameter of the expanded portion 227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en base 210.

또한, 상기 팽창부(227) 및 수축부(225) 모두 외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펜대(210) 및 결합부재(26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Both the expanding part 227 and the contracting part 225 may have screw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may be moved up and down in the inside of the pen assembly 210 and the coupling member 260.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justing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절부재(220)는 하부는 상기 펜대(210)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재(26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22)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부재(220)의 하단, 즉 수축부(225)로부터 상기 팽창부(227)에 이르는 상기 조절부재(220)의 일부가 상기 결합부재(260)에 내부에 끼워진다. The lower part of the adjusting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260 inside the pen base 210. When the handle 222 is rotated, a part of the adjusting member 220 from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member 220, that is, from the contracting portion 225 to the expanding portion 227, Respectively.

이 때, 상기 수축부(225)만 상기 조절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수축부(225)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상기 몸체부(261)가 원주방향으로 팽창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팽창부(227)가 상기 조절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팽창홈(265)을 통해 상기 몸체부(261)가 벌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재(220)에 내부에 끼워지는 조절부재(220)의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몸체부(261)를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only the contraction portion 225 is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member 220, the diameter of the contraction portion 225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body portion 261 is not expa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owever, when the expanding portion 227 is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member 220, the body portion 261 is opened through the expansion groove 265. Therefore, the body portion 261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by adjusting the area of the adjustment member 220 inserted in the adjustment member 220.

상세히, 도 11의 A 부분은 상기 결합부재(260)를 상기 펜대(210)에 삽입 시 끼움홀(212)에 노출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30)의 두께 조절을 원할 경우, 상기 조절부재(220)를 회전시켜, 상기 결합부재(260)의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팽창부(227)가 상기 결합부재(26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단면적의 차이에 의해 상기 몸체부(225)는 벌어지게 되고, 상기 끼움홀(212)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그립부(230)의 두께는 증가하게 된다. Particularly, the portion A in FIG. 11 corresponds to a portion exposed in the fitting hole 212 when the coupling member 260 is inserted into the pen base 210. When the user desires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230, the adjustment member 220 is rotated to move downwardly of the engagement member 260 so that the expansion portion 227 is moved inward of the engagement member 260 . The body portion 225 is opened by the difference in cross-sectional area, and protrudes outside the fitting hole 212, and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230 increases.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30)의 두께를 얇게 하길 원할 경우, 상기 수축부(225) 만을 상기 결합부재(260)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그립부(230)가 상기 팽창부(227)에 의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user desires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230, only the contract portion 225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member 260 so that the grip portion 230 protrudes by the expanding portion 227 .

이처럼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절부재(220)의 상하 이동을 통해 두께를 달리하는 수축부(225)와 팽창부(227)를 순차적으로 상기 결합부재(260)의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그립부(23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action part 225 and the expansion part 227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member 260 throug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regulating member 2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film.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사시도 이다.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굵기 조절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the other portions, but differs in the thickness adjustment method.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300)은 펜대(320)와, 상기 펜대(320)의 일단에 결합되는 펜촉(330)과, 상기 펜대(320)의 타단에 끼워지는 손잡이(3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touch pen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 base 320, a pen tip 330 coupled to one end of the pen base 320, (Not shown).

상기 펜대(3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펜촉(330)을 상기 터치펜(300)의 하부, 상기 손잡이(350)를 상기 터치펜(300)의 상부라 정의하면, 상기 터치펜(300)의 중앙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터치펜(300)의 하부측에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펜대(32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사용자의 손에 잡히도록 그립부(310)가 구비된다. 상기 그립부(310)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통 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에 상기 펜대(320)가 끼워져 상기 그립부(310)가 상기 펜대(210)에 결합된다. The pen base 320 is formed into a hollow cylindrical shape. When the pen tip 330 is defined as the lower portion of the touch pen 300 and the handle 350 is defined as the upper portion of the touch pen 300, The grip portion 310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pen base 32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 base 320 and to be held by a user's hand. The grip portion 3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e at the center. Accordingly, the pen base 320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grip portion 310 is coupled to the pen base 210.

한편, 상기 펜촉의 단부(331)는 끝이 뾰족하고 전하량을 지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nd portion 331 of the pen tip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harp end and having a charge amount.

상기 펜대(320)의 그립부(310)가 끼워지는 지점의 상측에는 고정홀(323)이 상기 펜대(3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323)은 스토퍼(342)가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 fixing hole 323 is formed through the pen base 320 at a position above the point where the grip portion 310 of the pen base 320 is inserted. The fixing hole 323 exposes the stopper 3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펜대와 팽창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다른 그립부를 제외한 터치펜의 사시도 이다. FIG. 14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 touch p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a pen member and an expansion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uch pen except for the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300)은 은 펜대(320)와, 상기 펜대(320)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그립부(310)를 팽창 또는 수축 시키는 팽창부재(340)와, 상기 팽창부재(3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부재(3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60)와, 상기 탄성부(36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펜대(320)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기 위한 펜촉(330)을 포함한다. 14 to 16, the touch pen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lver pen base 320 and a pen base 3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pen base 320 to expand or contract the grip portion 310 An elastic part 360 disposed below the elastic part 36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expansion member 340 and an elastic part 360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elastic part 360, And a pen tip 330 for touching a screen of the terminal.

상기 펜대(320)에서 상기 그립부(310)가 끼워지는 지점에는 끼움홀(32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322)은 상기 팽창부재(340)의 팽창부(344)가 팽창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홀로써, 상기 펜대(320)의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322)에는 상기 끼움홀(322)을 기준으로 상기 펜대(320)의 상, 하 부분을 지지하기 끼움홀 지지부(321)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홀(322)에 상기 그립부(310)가 끼워질 경우, 상기 그립부(310)에 의해 상기 끼움홀(322)이 차폐된다. A fitting hole 322 is formed in the pen base 320 at a position where the grip portion 310 is inserted. The fitting hole 322 is formed through the body of the pen base 320 as a hole for allowing the expansion portion 344 of the expansion member 340 to protrude outwar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ne or more fitting holes 321 may be formed in the fitting hole 322 to suppor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en base 320 with respect to the fitting hole 322. Therefore, when the grip portion 310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322, the fitting hole 322 is shielded by the grip portion 310.

상기 끼움홀(322)의 상측에는 후술할 스토퍼(342)가 상기 펜대(320)의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고정홀(323)이 상기 펜대(3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42)는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홀(323)을 통해 상기 펜대(320)을 외부로 노출된다. A fixing hole 323 through which the stopper 342 to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n base 320 is formed through the pen base 320 on the upper side of the fitting hole 322. Accordingly, the stopper 342 is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n base 320 through the fixing hole 323.

상기 펜대(320)의 상단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손잡이 홈(327)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350)로부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손잡이 홈(327)에 끼워져 상기 펜대(320)의 상단에서 상기 손잡이(350)가 고정된다. A handle groove 327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en base 320. At least a part of the handle 35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groove 327 to fix the handle 350 at the upper end of the pen base 320.

상기 팽창부재(340)는, 상기 펜대(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팽창부재(340)의 몸체는 상기 펜대(320)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팽창부재(340)의 하부에는 하면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팽창홈(34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팽창부재(340)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둘 경우, 상기 팽창부재(340)의 하부 측은 상기 팽창홈(345)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벌어지는 팽창부(344)가 형성된다. 상기 팽창홈(345)의 형태에 따라 벌어지는 팽창부(344)의 개수는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팽창부(344)의 형상과 상기 끼움홀(322)의 형상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expansion member 340 is disposed on a space formed inside the pen base 320. That is, the body of the expansion member 340 has a 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pen base 320,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xpansion groove 345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xpansion member 340. Therefore, when the sectional shape of the expanding member 340 is circular, the lower side of the expanding member 340 is formed with the expanding portion 344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expanding groove 345. The number of expanding portions 344 which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expansion groove 345 can be adjusted. The shape of the bulge portion 344 and the shape of the fitting hole 322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팽창부재(34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스토퍼(34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42)는 제 1 면(342a)과, 상기 상제 1 면(342a)의 반대면인 제 2 면(342c)과, 상기 제 1 면(342a)과 상기 제 2 면(342c)을 연결하는 상면(342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상면(342b)은 상기 팽창부재(34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342)의 상면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342b)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팽창부재(340)의 외주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팽창부재(34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상면(342a)까지의 돌출높이는 상기 팽창부재(34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하면(342c)까지의 돌출높이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토퍼(342)의 상면(342b)은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상기 팽창부재(340)의 내주면과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스토퍼(342)가 상기 고정홀(323)에 삽입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 stopper 342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member 340. The stopper 342 includes a first surface 342a, a second surface 342c that is an opposite surface to the first surface 342a, and a second surface 342b that connects the first surface 342a and the second surface 342c And an upper surface 342b. That is, the upper surface 342b is understood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342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pansion member 340. [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front surface 342b is close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member 340 as it goes downward. The protrusion heigh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member 340 to the upper surface 342a is long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member 340 to the lower surface 342c. In other words, the upper surface 342b of the stopper 342 is formed with a sloped surface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member 340 becomes closer to the lower side. The stopper 342 can be more firmly fixed when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323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상기 스토퍼(342)는 상기 고정홀(323)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스토퍼(342)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stopper 342 is a portion that fits in the fixing hole 323.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342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손잡이(35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펜대(3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부분을 통해 상기 펜대(320)의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350)를 푸쉬할 경우 상기 손잡이(350)를 통해 상기 팽창부재(340)로 외력이 전달된다. The handle 35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en base 320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pen base 320 tha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en base 320. When the handle 350 is pushed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expansion member 340 through the handle 350.

상기 탄성부(360)는 상기 펜대(32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팽창부재(34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팽창부재(340)가 상기 펜대(320)의 내부공간에서 하방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360)는 수축되며 상기 팽창부재(340)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재(340)가 상기 펜대(320)의 내부공간에서 상방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360)는 팽창된다. The elastic part 36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expansion member 340 in the inner space of the pen base 320. When the expanding member 340 moves downward in the inner space of the pen base 320, the elastic part 360 contracts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ward the expanding member 340. When the expanding member 340 moves upward in the inner space of the pen base 320, the elastic part 360 is expanded.

상기 펜촉(330)은 상기 탄성부(36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펜촉(330)의 하단은 단말기 화면에 터치하도록 첨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360)가 끼워지는 안착부(333)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333)는 상기 탄성부(360)의 중앙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360)의 하단을 고정할 수 있게 단면적이 상기 탄성부(360)의 내주면에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The pen tip 330 is disposed below the elastic part 360. The lower end of the pen tip 330 is formed to be tapered to touch the terminal screen, and a seating portion 333 on which the elastic portion 360 is inserted is provided at an upper end. The seating part 333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elastic part 360 and has a 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part 360 so as to fix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part 36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3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ouch pen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팽창부가 팽창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펜(300)을 미사용 시에는 상기 탄성부(360)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스토퍼(342)는 상기 펜대(320)의 내부 중 상기 고정홀(323)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310)의 상측에 상기 팽창부재(340)가 위치하므로 상기 그립부(310)는 수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16 and 17,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touch pen 300, the elastic part 360 is maintained in a relaxed state, and the stopper 342 is fixed to the fixing part of the pen base 320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e 323. Accordingly, since the expanding member 340 is positioned above the grip portion 310, the grip portion 310 is maintained in a contracted state.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50)를 누르면, 상기 손잡이(350)를 통해 상기 팽창부재(34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재(340)가 상기 탄성부(360)를 밀어내며 상기 탄성부(360)가 수축되고, 상기 탄성부(36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미는 힘이 작용된다. However, when the user depresses the handle 350, the expanding member 340 is moved downward through the handle 350. The elastic member 360 is pushed by the expanding member 340 and the pushing force is appli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60.

상기 팽창부재(340)는 상기 펜대(320)의 내부에서 상기 스토퍼(342)가 상기 고정홀(323)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42)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일부가 상기 펜대(32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탄성부(360)의 탄성력이 억제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344)가 상기 끼움홀(322)을 통해 상기 그립부(310)가 원주방향으로 팽창되도록 상기 그립부(310)를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팽창부(344)에 의해 상기 그립부(310)의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사용자가 편한 그립감으로 터치펜(300)을 사용할 수 있다. The expansion member 340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stopper 34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323 in the inside of the pen base 320. Therefore, the stopper 34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and a part of the stopper 34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n base 320,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360 is suppressed. The expanding portion 344 pushes the grip portion 310 through the fitting hole 322 so that the grip portion 310 is expa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310 is increased by the expanding portion 344, the touch pen 300 can be used by the user with a comfortable grip feeling.

그리고, 상기 터치펜(300)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가 외부에 노출된 상기 스토퍼(342)의 일부를 누르면, 상기 탄성부(3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팽창부재(34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310)의 두께는 다시 얇아진다.
When the user presses a part of the stopper 342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 use of the touch pen 300 is completed, the expansion member 340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360 .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310 becomes thin again.

Claims (17)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내부 중공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끼움홀을 포함하는 펜대;
상기 펜대의 일단에 결합되는 펜촉;
상기 펜대에 외면에 끼워져 상기 끼움홀을 차폐하는 그립부;
상기 펜대의 내부에서 상기 끼움홀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팽창부 몸체의 내면에서 내측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팽창부; 및
상기 펜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부 몸체, 상기 이동부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팽창부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 상의 어느 일측에서 상기 이동축의 외면에서 외측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돌기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펜대의 상기 끼움홀에 대응되어 위치된 상기 팽창부의 상기 고정돌기와 접촉될 때, 상기 이동부의 상기 이동돌기에 의해 상기 팽창부의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팽창부의 외측 원주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팽창부 몸체가 상기 펜대의 상기 끼움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팽창되는 터치펜.
A pen bas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ncluding a fitting hol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an outer surface so that an inner hollow is exposed;
A pen tip coupled to one end of the pen stand;
A grip portion which is fit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n holder and shields the fitting hole;
An expanding portion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hole in the inside of the pen assembly and including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expanding portion body; And
A moving shaft extending from the moving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expanding body, and a moving shaft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shaft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either side of the moving shaft, And a moving part including a projection,
When the moving part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moving projection of the moving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expanding part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hole of the pen holder,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moving part, Is push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so that the expanding body body is expand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tting hole of the pen hol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며,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팽창부 지지축; 및
상기 팽창부 지지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팽창되는 상기 팽창부 몸체를 더 포함하는 터치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comprises:
An expansion support shaft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having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Further comprising the expanding body disposed between the expanding portion support shafts and being expa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는 상기 끼움홀의 하측에 상기 펜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및 제2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펜대의 상기 제1 홀 또는 제2 홀에 걸리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의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팽창부의 상기 고정돌기 위의 상기 팽창부 몸체 내에 위치될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홀에 걸리고,
상기 이동부의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팽창부의 상기 고정돌기와 접촉될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홀에 걸리는 터치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n base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hol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n base below the fitting hole,
The mo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med at one side of the moving unit body to engage with the first hole or the second hole of the pen base,
When the moving projection of the moving part is located in the bulb body on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bulging portion, the stopper is caught in the first hole,
And the stopper is caught in the second hole when the moving projection of the moving section contacts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expanding s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 몸체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터치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silient portion that is disposed inside the pen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moving portion body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portion body.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내부 중공이 노출되도록 끼움홀이 형성되는 펜대;
상기 펜대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펜대의 끼움홀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분산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
상기 펜대의 외면에서 상기 끼움홀을 차폐하는 그립부; 및
상기 복수의 분산부 내부로 삽입되는 수축부 및 상기 수축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축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축부 및 상기 팽창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상기 팽창부가 상기 펜대의 상기 끼움홀에 대응되어 위치될 때, 상기 팽창부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복수의 분산부가 상기 복수의 분산부의 외측 원주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펜대의 상기 끼움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팽창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A pen bas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fitting hole formed therein so that an inner hollow is exposed at least a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dispersing portions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holes of the pen base;
A grip portion that shields the fitting ho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en holder; And
And an adjusting member including a contrac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dispersing portions and an expan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action portion and having an area larg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contraction portion,
Wherein when the constricted portion and the expanded portion are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expansion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t hole of the pen base, the plurality of dispersion portions of the engagement member Wherein the push pen is push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en base so as to b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itting hole of the pen base.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 및 상기 팽창부 각각의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crew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contraction portion and the expansion portion.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와 상기 분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홈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형성되는 터치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 base and the dispersing por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read groove.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팽창부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터치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djustment member comprises:
The touch pen further includes a handle gripped on a user's hand above the inflated portion.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내부 중공이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홀이 형성되는 펜대;
상기 펜대의 일단에 결합되는 펜촉;
상기 펜대의 외면에서 상기 끼움홀을 차폐하는 그립부;
상기 펜대의 내부에 배치되며 몸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몸체의 외측 외주 방향으로 벌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부를 포함하는 팽창부재; 및
상기 펜대의 내부에서 상기 펜촉과 상기 팽창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부재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재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부가 상기 펜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홀에 위치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팽창부재의 외측 원주 방향을 따라 팽창되는 터치펜.
A pen bas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t least one or more insertion holes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its outer surface to expose the inner hollow;
A pen tip coupled to one end of the pen stand;
A grip portion that shields the fitting ho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en holder;
An expansion member disposed inside the pen assembly and exten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body and exten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And
And an elastic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en tip and the inflatable member inside the pen base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inflatable member,
Wherein the expansion member is moved in a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at least one expansion portion is protruded outside the at least one insertion hole when the at least one expansion portion is located in the at least one insertion hole of the pen base, A touch pen that swell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부를 방사상으로 분리하는 팽창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expansion member
Further comprising an expansion groove radially separating the at least one inflation section.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는,
상기 끼움홀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된 어느 지점에서 상기 펜대를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재의 하부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en-
A fixing hole passing through the pen base is formed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tting hole,
The body,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the stopper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expansion member.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가 상기 탄성부를 밀어낼 때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에 탄성력을 억제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이 해제될 때에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팽창부재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expanding member pushes the elastic portion,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to suppress the elastic force to the elastic portion,
Wherein when the stopper is disengaged from the fixing hole, the resilient portion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push out the expanding memb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의 상단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펜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외력을 상기 팽창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터치펜.
12. The method of claim 11,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 inner space of the pen base at an upper end of the pen stand, and a handle for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expansion member.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면은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터치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a protruding height thereof is lowered.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 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재질은 탄성 변형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and 6 to 16,
Wherein the grip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KR1020140164115A 2014-11-24 2014-11-24 Touch pen KR101620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15A KR101620008B1 (en) 2014-11-24 2014-11-24 Touch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15A KR101620008B1 (en) 2014-11-24 2014-11-24 Touch 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008B1 true KR101620008B1 (en) 2016-05-23

Family

ID=5610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115A KR101620008B1 (en) 2014-11-24 2014-11-24 Touch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00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27B1 (en) * 2017-08-11 2019-02-12 임경해 Stylus having a function of changing its thickness and length
KR20190130270A (en) * 2018-05-14 2019-11-22 이재훈 Improved touch pen for use of touch scre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27B1 (en) * 2017-08-11 2019-02-12 임경해 Stylus having a function of changing its thickness and length
KR20190130270A (en) * 2018-05-14 2019-11-22 이재훈 Improved touch pen for use of touch screen
KR102135322B1 (en) * 2018-05-14 2020-07-17 이재훈 Improved touch pen for use of touch 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359B1 (en) Expandable and contractible stylus
EP2693308B1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0434816B2 (en) Stylus
US20020158854A1 (en) Stylus pen for personal digital mobile device
US8405641B2 (en) Expansible stylus and fixing structure for fixing stylus thereof
US10606376B2 (en) Retractable stylus
EP2662221A1 (en) Writing instrument
KR101620008B1 (en) Touch pen
KR102024593B1 (en) Stylus Pen
US9519354B2 (en) Input assisting device for touch panel
KR101614575B1 (en) Ball pen combind with a touch pen
JP5357104B2 (en) Electronic pen
KR100557123B1 (en) Stylus pen
KR102069467B1 (en) Touch pen capable of improving visual cognition
KR101947027B1 (en) Stylus having a function of changing its thickness and length
TWM589826U (en) Retractable stylus
KR200447062Y1 (en) Writing instrument with stylus pen
CN107149251B (en) Mobile phone protective sleeve
KR100810305B1 (en) Stylus for information terminal
JP3189356U (en) Electrostatic input pen
JP2013140421A (en) Electrostatic input pen
KR20200031831A (en) Thickness-controllable Mobile Pen
KR20130142828A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stylus pen function
KR20110016621A (en) Touch pen easy to grip by a hand
JP2004348505A (en) Input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