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499Y1 -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499Y1
KR200329499Y1 KR20-2003-0022882U KR20030022882U KR200329499Y1 KR 200329499 Y1 KR200329499 Y1 KR 200329499Y1 KR 20030022882 U KR20030022882 U KR 20030022882U KR 200329499 Y1 KR200329499 Y1 KR 200329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
keypad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8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원형
Original Assignee
조원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형 filed Critical 조원형
Priority to KR20-2003-0022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49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499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multilanguage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4개 이상의 신호 감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미세한 이동이 가능한 다중신호 키 입력수단'(이하 '키패드 본체'라 약칭함)을 이용하여 문자신호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통신용 단말기의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a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re integrally formed, four or more signal sensing units are installed, and four or more directions are provided. By using a multi-signal key input means (hereinafter, abbreviated as 'keypad body') capable of fine movement, a text signal can be easily input,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greatly reduced.

본 고안에 사용되는 키패드 본체에는 복수개의 키패드, 또는 키패드 본체 하단의 복수개의 키패드를 터치할 수 있는 복수개의 버튼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패드 본체의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와 그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복수개의 버튼)에는 각 국가별 언어에 사용되는 문자의 자음, 모음, 숫자, 기능키 등을 배열해 입력 및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keypad bod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keypads, or a plurality of buttons for touching a plurality of keypads at the bottom of the keypad body, which are integrally formed, and integrally formed with four or more signal sensing units of the keypad body and the body. A plurality of keypads (or a plurality of button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consonants, vowels, numbers, and function keys used in languages of each country can be arranged to perform input and control functions.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의 통신용 단말기를 통한 문자/숫자 입력보다 적은 횟수로 각종 문자/숫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기존의 조이스틱 기능, 네비게이션 키 기능, 스위치 기능 등을 응용한 키패드 방식의 통신용 단말기보다 더욱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단말기 제조 업체들의 생산 의욕을 고취시킴으로 해서 상기 형태의 단말기 보급 확산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various letters / numbers less times than the existing letters / number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ared to the keypad-typ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the existing joystick function, navigation key function, switch function, etc. Si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nufactured more efficiently and inexpensively,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spread of the terminal by increasing the production motivation of the terminal manufacturers.

Description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은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미세한 이동이 가능한 다중신호 키 입력수단'(이하,'키패드 본체'라 약칭함)을 이용하여 문자신호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기존의 조이스틱/네비게이션키/스위치 원리 등을 응용한 각종 단말기보다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integrat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in one piece, four or more signal sensing units are installed, and multiple signal key input means capable of fine movement in four or more directions. Hereafter, 'keypad body' can be used to easily input a text signal, and the letter / nu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significantly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than various terminals applying the existing joystick / navigation key / switch principle. It relates to an input device.

최근 들어 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됨에 따라 개인이 이동 중에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전화,PDA,포켓 PC,인터넷 단말기 등의 통신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개인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인 발전과 가입자 수의 비약적인 증가에 힘입어 이에 따른 각종 부가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현재 활발하게 서비스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가 서비스들 중에서 문자 전송 서비스는 음성 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문자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이성에 기인하여 이용자들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ocket PCs, Internet terminals, etc., which enable an individual to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while moving,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In particular, thanks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general personal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subscriber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actively serviced. Among these additional services, the text transmission service is of particular interest to users due to the specificity of performing the text transmission function through the voic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문자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자식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문자 자판부를 통해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유용한 문자입력 장치가 필요하다.In order to provide such a text transmission service, a useful text input device that can be easily input through a reduced text keyboard such as an electronic keypad is required.

축소형 문자 자판부를 응용한 분야로는 자판수가 적어야 하는 팜탑(Palm Top) 컴퓨터 등의 소형 종합 자판 시스템과, 인터넷 TV, 디지털 카메라, PDA, 전자수첩 등의 자판 입력 장치 대용으로서의 자판 시스템과, 공공 건물이나 기타 안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설치된 안내 키오스크, 전자 자물쇠, 현금 자동 지급기 등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지닌 입력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Applications of the miniature character keyboard include small general keyboard systems such as Palm Top computers that require fewer keyboards, keyboard systems as substitutes for keyboard input devices such as Internet TVs, digital cameras, PDAs, and electronic notebooks. An input system with a structure and function similar to a guide kiosk, an electronic lock, an ATM, and the like installed in a building or other location where a guide is needed.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이 제한된 수의 키 버튼을 구비한 축소형 문자 자판부를 이용하여 문자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언어의 자음/모음을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 상에 효과적으로 중복 배치하거나 기능키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신속하게 원하는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할 수 있어야 한다.In order to provide a text transmission service using a reduced-character keyboard that has a limited number of key buttons, such as an electronic telephone keypad, the consonants / collections of the languages to be supported are effectively overlapped or the function keys are operated. By means of the user's intention, you should be able to quickly combine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desired character.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문자 입력 체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코드 입력 방법과 관련된 이전의 기술들은 해당 키패드의 문자 배치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자판을 숙지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으며, 하나의 문자에 대한 조합이 완료되는 시점마다 종료 표시 문자를 입력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 고안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들을 보면 기존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한 것을 볼 수 있지만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기존의 불편함이 크게 개선됐다고는 볼 수 없기 때문에 단말기 제조사가 생산을 위한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various character input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meet the technical needs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vious techniques related to the character code input method using the electronic telephone keypad have mixed character layout of the keypad.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acknowledging the keyboard, an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inputting an end mark character every time a combination of one character was completed. Recently, character input devices and methods designed to complement the existing problems to a certain exten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has been pointed out. The decision is not made.

최근에 고안된 문자입력장치의 일 예를 유형별로 들어보면,Looking at an example of the recently designed character input device by type,

게임에 많이 사용되는 조이스틱의 원리를 응용한 방식의 경우 통신용 단말기의 12키를 기존의 키패드가 아닌 12개의 소형 조이스틱으로 대체하여 각각의 키에 방향성 갖추도록 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사용자는 각각의 조이스틱을 여러 방향으로 조작하여 문자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키패드 방식에 비해 적은 면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문자입력 속도도 훨씬 빠르도록 고안했다. 하지만, 모든 키패드를 조이스틱으로 대체함으로 해서 제조단가가 높아져 단말기 보급과 확산에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각각의 조이스틱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12개의 조이스틱이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여유 공간을 12개(12키 배열의 경우)나 확보해야 하고 12개의 조이스틱과 12개의 조이스틱의 조작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감지부가 최소한 48(12X4)개가 있어야 하는데 이것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고, 조작하는 조이스틱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장시간 조작 시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12키를 모두 조이스틱형 키패드로 대체하는 것은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고 장시간 이용 시 고장 문제가 자주 발생되기 때문에 단말기 보급과 확산에 걸림돌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In the case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joystick which is used in game, we can see that the 12 key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re replaced with 12 small joysticks instead of the existing keypad so that each key has directionality. Since the text can be output by manipulating in various directions, the text input speed is much faster while using a smaller area more efficiently than the conventional keypad method. However, by replacing all keypads with joysticks, manufacturing costs are expected to increase, which will cause problems in the spread and spread of handsets. In addition, in order to mount each joystick, 12 spaces (in case of 12-key arrangement) should be secured enough for 12 joysticks to move enough, and at least 48 signal detection units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ignals of 12 joysticks and 12 joysticks are required (12X4) should be provided, which is pointed out as a factor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joysticks to operate, it may be a cause of frequent failures during long time operation. In other words, replacing all 12 key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joystick-type keypad will not only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but also increase the size of the terminal and frequently cause breakdown problems when used for a long time. It is expected.

네비게이션키의 원리를 응용한 방식의 경우는 단말기 상의 한 개의 네비게이션키를 상하좌우 대각선 등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의 이동을 통해 원하는 문자를 선택해 출력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는 화면상에 원하는 문자를 시선을 이동해 가면서 찾은 후 커서를 그 문자로 이동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커서가 원하는 문자에 도달 할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물론 네비게이션키 한 개와 4개의 신호감지부만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12개의 조이스틱과 48개의 신호감지부를 설치해야 하는 조이스틱형 키패드 단말기보다 고장 횟수도 적고 제조 비용도 저렴하지만 문자입력 속도에 있어서는 조이스틱형 키패드 방식이 효율적이다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the navigation key, one navigation key on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diagonally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us a desired character is selected and output by moving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user has to find the desired character on the screen by moving the gaze, and then the user needs to move the cursor to the character, and there is inconvenience of waiting for the cursor to reach the desired character. Of course, since only one navigation key and four signal detectors need to be installed, the number of breakdowns and manufacturing cost is lower than that of the joystick keypad terminal, which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12 joysticks and 48 signal detectors. This can be said to be efficient.

스위치 원리를 응용한 방식의 경우 네비게이션키의 방식처럼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한 개 내지 두 개의 스위치를 단말기에 설치해 각 방향에 문자들을 배치해 조작방향에 따라 문자를 출력하게 된다. 조이스틱형 키패드 단말기보다 고장 횟수도 적고 비용적으로도 저렴하고, 네비게이션키의 방식보다문자입력 시간도 빠르지만, 한 개 내지 두 개의 스위치로는 조작 방향에 한계가 있어 많은 수의 문자를 입, 출력 할 수 없기 때문에 실용적인 방식이라 할 수 없다.In the case of applying the switch principle, one or two switches that can be operated in up, down,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as in the navigation key method 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to arrange characters in each direction to output characte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direction. The number of failures and cost is lower than that of the joystick-type keypad terminal, and the character input time is faster than that of the navigation key.However, one or two switches have limitations in the direction of operation. It is not practical because it cannot be done.

이상에서 열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는, 일반적인 워드 프로세서에서 제공하는 문자 입력 체계와 극히 상이하여 사용자 친화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하나의 키 버튼에 복수의 자모를 배정할 경우, 아무리 정연한 규칙성을 갖는 키 배열 구조를 이용하더라도 사용자들이 이를 숙지하는 데 많은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키 조작이 숙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elephone keyp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enumerated above is extremel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input system provided by a general word processor, and thus has a problem of degrading user friendliness. When assigning the letter of the letter, even if you use the key arrangement structure with the orderly regularity, it is not only requires a lot of effort for the user to know it, but also has a problem that the key operation is difficult to master.

또한, 최근의 조이스틱형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와 네비게이션 키형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스위치형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는 제조원가 상승, 단말기 크기 증가, 장시간 조작 시 잦은 고장원인, 입력 속도, 조작방향의 한계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recent character input devices using joystick keypads, character input devices using navigation key keypads, and character input devices using switch keypads have increased manufacturing costs, increased terminal size, frequent failures during long-term operation, input speed, and operation direction.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 limitation.

앞으로 차세대 영상 이동전화 사업에서 초고속 무선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사용자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될 IMT-2000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복합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기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와 입력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단말기 제조사들이 큰 위험 부담 없이 생산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보다 저렴한 가격의 효율적이며 유용한 문자 입력장치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display and input method for the function as a multi-media device that users really want in the IMT-2000 terminal that will be used for the wireless network that exchanges data between users in the next generation video mobile phone busines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cost effective and useful character input device plays a big role because the terminal manufacturers must be able to produce the product without great risk.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통신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미세한 이동이 가능한 다중신호 키 입력수단'(이하,'키패드 본체'라 약칭함)을 이용하여 문자신호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통신용 단말기의 제조원가를 대폭 낮추고 고장 율을 줄이기 위한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plurality of keypad (or buttons)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tegrally formed, four or more signal detection unit is installed, fine movement in four or more directions By using this multi-signal key input means (hereinafter, abbreviated as 'keypad body'), a text signal can be easily inputted, and a letter / number input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ducing a failure rate To provide a devi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단 1회의 키패드 본체의 조작을 통해 최대 2개 이상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숫자 입력 속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 numeric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to increase a character / number input speed by allowing a user to input up to two or more phonemes by only one operation of the keypad body. There i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etter / number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키패드 본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분해 상태의 외관 사시도,Figure 2a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for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keypad body of 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키패드 본체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keypad body of 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문자 배열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arrangement of a character / number input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키패드 본체를 이용한 문자/숫자의 입력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키패드 본체 및 키패드/버튼 신호의 조합들에 의해 문자가 구현된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표,3A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character is implemented by combinations of a keypad body and a keypad / button signal input in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 number using a keypad body of a character / number input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t showin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alphanumeric input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서브루틴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subroutine of FIG. 4 in detail.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키패드 본체 2 : 키패드 or 버튼1: keypad body 2: keypad or button

3 : 키패드 스캐너 4 : 마이크로 프로세서3: keypad scanner 4: microprocessor

5 : 문자 저장부 6 : 프로그램 메모리5: character storage unit 6: program memory

7 : 코드 저장부 8 : 표시부 구동부7: code storage unit 8: display unit driver

9 : 데이터/화상 표시부9: data / image display unit

10p~13p : 키패드 본체 신호감지부10p ~ 13p: Keypad Signal Detector

20 : k1, k2 ..., k12 : 키패드 or 버튼을 특정하기 위한 위치표시자20: k1, k2 ..., k12: Placeholder for specifying keypad or button

21 : 단말기 본체의 키 입력부위 표면21: surface of the key input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미끄러지듯 미세한 이동이 가능한데, 상기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와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 각각에는 언어별로 자음/모음과 숫자 및 여러 가지 기능이 할당 된 키패드 본체와; 통신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각 언어별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문자 저장부와; 통신용 단말기 내부의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키패드 본체와 키패드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복수개의 버튼) 상에 배치되어 있는 각종 조작키에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 저장부와; 키패드 본체를 이용하는 통신용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키패드 본체 스캐너와; 키패드 본체 스캐너를 통해 키 조작상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문자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어떤 언어의 음소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고, 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당 언어의 각 언어별 음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키패드 본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 구동부와; 표시부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화상 표시부에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는 데이터/화상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haracter / 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pad (or buttons), four or more signal detection unit is installed, as if sliding in four or more directions Fine movement is possible, each of the four or more signal detecting units and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includes a keypad body to which consonants / vowels, numbers, and various functions are assigned for each language; A character storage unit for storing character data for each language us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n operation program in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code data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 keys disposed on the keypad body and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integrally formed on the keypad body; A keypad main body scanner for detecting a key operation state by a communication terminal user using the keypad main body; When the key operation status dete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keypad main body scanner, it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character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to determine which language phoneme is input by the user. A micro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 display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phonemes for each language of the corresponding language input by the user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A display unit driver for outputting a drive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 character and a number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keypad body according to a display control signal output from a microprocessor; And a data /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letters and numbers on the data /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driv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은, (1) 통신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 본체의 키 입력 검출을 통해 사용자가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2)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가 특정 언어의 입력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3) 해당 사용자가 특정 언어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가 키패드 본체를 조작하는 키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언어의 자/모음 및 숫자/기호를 독출, 조합하여 통신용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4) 특정 언어 입력모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작업이 종료되면, 해당 사용자가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키신호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5) 해당 사용자가 문자 저장을 위한 저장키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저장하는 과정과; (6) 해당 사용자가문자 저장을 위한 저장키를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자가문자 모드를 종료하는지를 판단하여 문자 모드를 지속하거나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 number input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selects a language-specific character mode by detecting the key input of the keypad body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 determining whether a user who selects a text mode for each language selects an input mode of a specific language; (3)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language input mode, the user detects a key signal for operating the keypad body, reads and combines the characters / vowels and numbers / symbols of the language and displays them on the scree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ss; (4)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user selects a key signal for storing the character when the character input operation through the specific language input mode is finished; (5) if the user selects a storage key for storing text, storing the text input by the user; (6) If the user does not select a storage key for storing the charac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exits the character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continuing or releasing the character mode.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본체(1)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10p~13p)가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미끄러지듯 미세한 이동이 가능한데, 상기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10p~13p)와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 각각에는 언어별로 자음/모음과 숫자 및 여러 가지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도 2a, 도 2b, 도 3 참조)As shown, the keypad body 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pad (or buttons) 2 integrally, four or more signal sensing units (10p ~ 13p) is installed, as if sliding in four or more directions Fine movement is possible, and each of the four or more signal detection units 10p to 13p and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2 is assigned consonants / vowels, numbers, and various functions for each language. 2b, 3)

여기서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는 키패드 본체(1)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도 2a 참조), 키패드 본체(1)가 상하좌우 대각선 등으로 움직일 때마다 동시에 움직이도록 형성 되어있으며(도 2b 참조), 최근에 고안된 조이스틱형 키패드 방식의 단말기에서 다수의 조이스틱을 구비함으로 해서 발생하는 비용문제, 단말기 크기의 증가, 잦은 고장 문제를 해결 할 것으로 기대된다.Here,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2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keypad body 1 (see FIG. 2A). The keypad body 1 moves simultaneously whenever the keypad body 1 moves up, down, left, right, and the like. It is formed to be (see Figure 2b), it is expected to solve the cost problem, increase in the size of the terminal, frequent failures caused by having a plurality of joysticks in the recently designed joystick type keypad type terminal.

상기 키패드 본체(1)에 구성되어 있는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10p~13p)는 실질적으로 키패드 본체가 조작될 수 있는 8(상, 하, 좌, 우, 좌상 대각선, 우상 대각선, 좌하 대각선, 우하 대각선)방향에 의해서 8개 이상의 신호감지가 가능하게 되고, 역시 각각의 키패드(또는 버튼)(2)도 구성하는 키의 개수를 12개로 했을 경우 12개의 입력신호를 구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키패드 본체는 96(8 X 12)개의 신호를 단 1회의 조작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크기는 PC의 키보드보다 훨씬 작으면서 1회의 키조작을 기준으로 입력 가능한 키신호의 종류는 거의 대등하다 할 수 있다.The four or more signal detecting units 10p to 13p of the keypad body 1 are substantially 8 (up, down, left, right, upper left diagonal, upper right diagonal, lower left diagonal, 8 or more signals can be detected by the lower right diagonal direction, and 12 input signals can be realized when the number of keys constituting each keypad (or button) 2 is 12. The keypad body can display 96 (8 X 12) signals in just one operation. Although the size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a PC keyboard, the types of key signals that can be input based on one key operation are almost the same.

따라서, 최근에 고안된 한 개 내지 두 개의 스위치형 키패드 방식보다 훨씬 많은 문자/기호/숫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키형 키패드 방식보다 훨씬 빠른 문자입력 속도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효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put much more letters / symbols / numbers than the one or two switch type keypads, which have been recently devised, and the utility can be said to be high because the character input speed is much faster than the navigation key type keypads. .

또한, 키패드 본체(1)에 구성되어 있는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10p~13p)와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에는 언어(한글, 로마자, 일본 가나문자, 중국어 등 세계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문자)별로 자음/모음과 숫자 및 여러 가지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데, 각각의 신호감지부에 언어의 자음/모음/숫자를 할당하는데 있어서 예를 들면 도 3에서와 같이 영어의 로마자를 배열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규칙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 국가와 언어의 특성에 맞는 가장 효율적인 구성이 될 수 있도록 한다면 제조회사의 편의에 의한 구조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four or more signal detection units 10p to 13p and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included in the keypad body 1 are provided in languages (Korean, Roman, Japanese, Ghanaian, Chinese, etc.). Consonants / vowels, numbers, and various functions are assigned to each character used.In order to assign the consonants / vowels / numbers of the language to each signal detection uni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t may be. However, the rule is not limited to this, and if it is possible to be the most efficient configur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country and language, it may be configured as a structure at the convenience of the manufacturer.

또한, 상술한 키패드 본체(1)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에 있어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압력센서, 조명,스위치,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신호입력 수단 및 감지수단이 있어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 되더라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integrally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keypad body 1, the pressure sensor, lighting, a switch,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the like, which are commonly us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re most commonly used. Preferred but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to the signal input means and the sensing means may be any means if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키패드 스캐너(3)는 통신용 단말기 사용자의 키패드 본체(1) 및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를 이용한 키조작 상태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4)로 출력한다.The keypad scanner 3 detects a key operation state using the keypad body 1 and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2 of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it to the microprocessor 4.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키패드 스캐너(3)를 통해 키 조작상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프로그램 메모리(6)에 저장된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문자 저장부(5)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한글, 로마자, 일본 가나문자, 중국어 등 세계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문자들 중에서 어느 언어의 음소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고, 코드 저장부(7)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언어별 음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 구동부(8)로 출력한다.The microprocessor (4) refers to the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character storage unit (5)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6) when the key operation state dete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keypad scanner (3). Determining which language the phoneme is input from among characters used in each country of the world such as Japanese, Ghanaian, Chinese, etc., and referring to the code data stored in the code storage unit 7 to display phonemes for each language input by the user. A display control signal is generated for output to the display unit driver 8.

문자 저장부(5)는 한글(예를 들어, 완성형 문자), 로마자, 일본어, 중국어 등의 각 언어별 문자, 숫자 및 기호, 특수 문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에 따라 해당 언어의 문자를 출력한다.The character storage unit 5 stores letters, numbers, symbols, and special characters for each language such as Korean (for example, a completed character), Roman, Japanese, and Chinese,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4 Print the characters of the language.

프로그램 메모리(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program memory 6 stores an operating program of the microprocessor 4.

코드 저장부(7)는 키패드 본체(1) 또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상에 배치되어 있는 각종 조작키에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code storage unit 7 stores code data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 keys arranged on the keypad body 1 or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2.

표시부 구동부(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서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키패드 본체(1) 또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구동 제어신호를 데이터/화상 표시부(9)로 출력한다.The display driver 8 is a drive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letters and numbers selected by a user through the keypad body 1 or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2 according to the display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4. Is output to the data / image display section 9.

데이터/화상 표시부(9)는 표시부 구동부(8)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에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여 사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data / image display unit 9 displays letters and numbers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driver 8 so that users can check them.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이다.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etter / number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 본체(1)는 단말기 본체(P)의 키 입력부위 표면(21)(도 2a 참조)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 본체(P)와 미세한 공간(S)을 사이에 두고 접해 있으면서, 사용자의 조작 동작이 멈추면 최초 위치로 미끄러지듯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미세한 공간(S)은 사용자의 키패드 본체(1) 조작 시, 조작 후에 이어지는 다음 음소의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최소의 폭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동작이 멈추면 최초의 위치로 미끄러지듯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은 키패드 본체(1)의 신호감지부(10p~13p) 또는, 키패드 본체(1)에서 단말기 본체(P)로 키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로 부근에 탄력이 있는 재질의 구현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키패드 본체(1) 복귀 수단이 있어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를 포함한 키패드 본체(1)의 조작을 하는 일련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 본체(1)를 상하좌우 대각선 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조작을 한 후, 다음에 이어지는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또는 버튼)(2)에서 손가락을 떼게 되며, 이때, 키패드 본체(1)는 최초의 위치, 즉 중앙으로 미끄러지듯 복귀하게 되고, 사용자는 다음에 이어지는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다시 키패드 본체(1)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키패드 본체(1)와 단말기 본체(P)와의 미세한 공간(S)이 넓을 수록 키패드 본체(1)의 복귀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본 고안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미세한 공간(S)이 최대한 효과적인 폭으로 구성되어져야 함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s shown, the keypad bod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key input portion 21 (see FIG. 2A) of the terminal body P, and the terminal body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lide back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user's operation stop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P) and the fine space S therebetween. The minute space (S) may be preferably made of a minimum width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input of the next phoneme following the opera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pad body (1). Means for allowing the user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s the operation stops by sliding the key sensing unit (10p ~ 13p) of the keypad body (1), or key input from the keypad body (1) to the terminal body (P)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mplementation device of elastic material in the vicinity of a connection path for transmitting a sig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re is a return means for the keypad body 1, and any mean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s okay. Here, when a user looks at a series of operating procedures for operating a keypad body 1 including a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2, the keypad body 1 may be diagonally selected from one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agonal lines to input specific characters. After operating in the direction,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he keypad (or button) 2 to input the next specific character, in which case the keypad body 1 is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that is, sliding to the center. In this case, the user operates the keypad body 1 again to input a specific character which follows. Therefore, the finer the space S between the keypad body 1 and the terminal body P, the longer the return time of the keypad body 1 become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ut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space S is most effective.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width should be configured.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키패드 본체 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분해 상태의 외관 사시도 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for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keypad body of 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본체(1)는 단말기 본체(P)의 키 입력부위 표면(21)에 접하게 되며, 키패드 본체의 외곽은 단말기 본체(P)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ㄴ'자 구조(22)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분리방지 구조(22)는, 키패드 본체(1)의 외곽과 단말기 본체(P)의 일 측에 있는 홈(23S)(겉에서는 보이지 않아 점선으로 표시함)과 결속되도록 구성되어져 있어 키패드 본체(1)가 입력부위 표면(21)과 분리되지 않으면서 상하좌우 대각선 등으로 미끄러지는 듯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분리방지 구조(22)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분리방지 구조 수단이 있어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 되더라도 무방하다.As shown, the keypad body 1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key input portion 21 of the terminal body (P), 'b' shaped structure to prevent the outside of the keypad body to b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P) It may also consist of (22).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22 demonstrated here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engaged with the groove | channel 23S (shown with the dotted line not seen from the outside) in the outer side of the keypad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main body P on one side. The keypad body 1 can move as if it is sliding up, down, left and right diagonally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input part surface 21. Here, the anti-separation structure 22 is a preferred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ny anti-separation structure means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2) 또는 버튼(2)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패드의 경우, 키패드 본체(1)와 일체해 있으면서 입력 수단이면서 입력 신호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키패드의 경우에서는 키패드 본체(1) 하단에 단말기 본체(P)와 일체해 있는 별도의 키 입력 신호 발생수단(키패드)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keypad 2 or the button 2 is a means for inputting a character desired by the user. In the case of the keypad, the keypad 2 or the button 2 is formed so as to generate an input signal while being integrated with the keypad body 1. .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keypa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key input signal generating means (keypad) integrated with the terminal body P at the bottom of the keypad body 1.

상기 버튼의 경우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은 없고, 단지 키 입력 수단 기능만 구비하게 되며, 키패드 본체(1) 하단에 접해 있는 단말기 본체(P)의 키 입력부위 표면(21)에 상기 버튼과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별도의 키 입력 신호 발생수단(키패드)이 구비된 단말기에 적용하게 된다. 그것은 제조사들이 기존의 통신용 단말기의 생산라인을 활용해 본 고안을 생산할 경우에 적용된다. 즉, 기존의 통신용 단말기의 복수개의 키패드 위에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 본체(1)를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키패드 본체(1)에는 단순히 '누름' 기능만 있어 하단에 있는 기존의 키패드를 터치하게 되고, 본 고안의 키패드보다 저렴한 '버튼'만 구비하면 본 고안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두 가지(2)의 신호전달 수단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키 입력수단이 있어 사용자의 키조작 신호를 발생시켜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 되더라도 무방하다.In the case of the button, there is no function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but only a key input means function, and the button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key input portion 21 of the terminal main body P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keypad main body 1. It is applied to a terminal provided with a separate key input signal generating means (keypad) arranged in the same position as. It is applied when manufacturers 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production line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keypad bod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ply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keypads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keypad body 1 simply touches the existing keypad at the bottom because it only has a 'press' function,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providing a 'button' which is cheaper than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2) signal transmission means is a preferred embodiment to enable the implementation of 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o the key input means there is a user Any means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enerating a key operation signal of.

또한, 키패드 본체(1)가 여러 방향으로 미끄러지듯 움직이기 위해서는 키패드(또는 버튼)(2)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후, 그 접촉면의 충분한 마찰력에 의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키패드(또는 버튼)(2)를 상하좌우 대각선 등의 방향으로 조작하면 키패드 본체(1)가 키패드(또는 버튼)(2) 표면의 마찰력에 의해 함께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키패드(또는 버튼)(2)를 누른 상태에서 키패드 본체(1)를 움직이는 경우와, 키패드 본체(1)를 움직인 직후에 키패드(또는 버튼)(2)를 누르는 경우를 모두 고려해야 하는데, 상기의 동작과정의 구현을 위해 중요한 것은, 키패드(또는 버튼)(2)의 표면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키패드(또는 버튼)(2)를 누르지 않고 손가락의 접촉면의 마찰력만으로 키패드 본체(1)를 움직이기 위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함과 동시에 키패드(또는 버튼)(2)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눌리는 경우의 탄력도 키패드(또는 버튼)(2)가 손가락의 접촉면의 순수한 마찰력에 의해 움직이는 동안 눌러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누를 경우에만 조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키패드(또는 버튼)(2) 표면은 고무 재질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등의 방법으로 충분한 마찰력을 만들어 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수단이 있어 사용자의 키패드(또는 버튼)(2) 조작이 키패드 본체(1)를 움직일 수 있어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 되더라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keypad body 1 to slide in various directions, after the user's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keypad (or button) 2, it should be made possible by sufficient frictional force of the contact surface. Therefore, when the keypad (or button) 2 is operated in a diagonal direction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the keypad body 1 is slid together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urface of the keypad (or button) 2. Here, both the case of moving the keypad body 1 while pressing the keypad (or button) 2 and the case of pressing the keypad (or button) 2 immediately after moving the keypad body 1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bove operation process, the surface of the keypad (or button) 2, the user's finger does not press the keypad (or button) 2 without moving the keypad body 1 only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nger The elasticity when the keypad (or button) 2 is pressed by the user's finger while not being pressed while the keypad (or button) 2 is moved by the pure frictional forc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nger, It is important that it is shaped to be operated only when pressed vertically. The surface of the keypad (or button) 2 for enabling the manipulation may be made of a sufficient friction force by a method such as rubber material or irregulariti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button) (2) The operation may be any means as long as it can move the keypad body 1 and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본체(1)의 조작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감지부 (10p~13p)에는 키패드(또는 버튼)(2)와 마찬가지로 한글, 로마자, 일본 가나문자, 중국어 등 세계 나라에서 사용되는 문자별로 자음/모음과 숫자 및 여러 가지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신호감지부는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 본체(1)의 조작방향에 따른 문자입력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신호감지 수단이 있어 사용자의 키패드 본체(1) 조작 신호를 발생시켜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 되더라도 무방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ignal detecting units 10p to 13p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keypad body 1 are used in world countries such as Korean, Roman, Japanese Ghanaian characters, Chinese, and the like as the keypad (or button) 2. Consonants / vowels and numbers and various functions are assigned for each character. Here, the signal detection unit is a preferred embodiment for enabling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keypad bod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re is a signal detecting means, so that any means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keypad body 1 of the user.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키패드 본체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이다.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keypad body of 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용자의 키패드 본체(1)의 조작 모습에 있어, 상하좌우 및 대각선 등으로의 조작 시 키패드 본체(1)는 미끄러지듯 움직이며, 사용자의 키패드 본체(1)의 조작이 멈추면 다시 중앙의 위치로 미끄러지듯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 본체(P)에서 이탈되지 안으면서 내부 시스템으로 키패드 본체(1) 및 키패드(또는 버튼)(2)의 조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s shown, in the operation of the keypad body 1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body 1 is slidably moving in the operation of up, down, left, right and diagonal lines, the user of the keypad body 1 of the user When the operation is stopped, it returns to the center position by sliding back. Moreo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that operation signal of the keypad main body 1 and the keypad (or button) 2 can be transmitted to an internal system,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main body P.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문자 배열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haracter arrangement of 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패드 본체(1)를 조작하거나, 또는 키패드(또는 버튼)(2)를 조작하거나, 또는 키패드 본체(1)와 키패드(또는 버튼)(2)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입력되는 모든 신호는 상기 키들의 입력순서대로 저장되며, 제조사별로 각 나라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고 효율적인 문자/기호/숫자/기능의 할당 구조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s shown, the user can operate the keypad body 1, or operate the keypad (or button) 2, or can simultaneously operate the keypad body 1 and the keypad (or button) (2). In all cases, all the input signals are stored in the order of input of the keys, and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each manufacturer is configured with an allocation structure of letters / symbols / numbers / functions that is suitable for the user environment of each country. .

상기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키패드 본체(1)에 특정 언어의 문자가 할당 된 것의 예로써 도 3의 실시 예로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xample of the character of a specific language is assigned to the keypad body 1, it is determined that the embodiment of FIG. 3 is sufficient,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키패드 본체를 이용한 문자/숫자의 입력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키패드 본체 및 키패드/버튼 신호의 조합들에 의해 문자가 구현된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표이다.3A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character is implemented by combinations of a keypad body and a keypad / button signal input in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 number using a keypad body of a character / number input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hart showing.

물론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문자조합은 아니며, 단지 본 고안에서 문자가 형성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로마자의 사전순서대로 문자를 할당한 것이다.Of course, it is not a literal combination actually used, but only to assign the letters in the lexical order of the Roman alphabet to explain how the letters are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a letter / number inpu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이다.4 to 5 are flowcharts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letter / number input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사용자가 통신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 본체(1)의 문자 모드 키를 눌러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S100), 해당 사용자가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한 이후, 한글, 로마자, 일본 가나문자, 중국어 등 세계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문자 중에서 어느 입력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S200).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selects a language-specific character mode by pressing a character mode key of the keypad body 1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100), and after the corresponding user selects a language-specific character mode, Korean, Roman characters, and Japanese Ghana It is determined whether an input mode is selected from among characters used in each country of the world such as characters and Chinese (S200).

예를 들어, 키패드 본체(1)의 8개 방향 및 키패드(또는 버튼)(2)의 누름 동작으로 조작 가능한 문자 모드 키가 키패드(또는 버튼)(2)는 문자 모드 메뉴가 설정되어 있고, 문자 모드 키의 상, 하, 좌, 우의 방향으로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어 입력모드, 문자 저장모드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문자 모드 키를 누르면 문자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문자 모드 키를 위쪽으로 조작하면 키패드 본체(1)가 위쪽으로 미끄러지듯 움직이며 한글 모드입력을, 문자 모드 키를 아래쪽으로 선택하면 키패드 본체(1)가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듯 움직여 로마자 입력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For example, a character mode key operable by eight directions of the keypad body 1 and a pressing operation of the keypad (or button) 2 is a keypad (or button) 2 in which a character mode menu is set, Assuming that the Hangul input mode, Roman input mode, Japanese input mode, and text storage mode are set in the direction of the mode key up, down, left and right,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selects the character mode when the user presses the character mode key. If you operate the text mode key upward, the keypad body (1) will slide upward. If you select the text mode key downward, the keypad body (1) will slide downward. Will be judged.

상술한 과정(S200)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특정 문자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통신용 단말기는 해당 사용자가 키패드 본체(1)와 복수 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를 여러 방향으로 조작하는 키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문자의 자/모음 및 숫자/기호를 독출, 조합하여 통신용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S300).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S200),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haracter input mo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key for the user to operate the keypad body 1 and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2 in various directions. The signal is detected and the characters / vowels and numbers / symbols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are read and combin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300).

이를 로마자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신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로마자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로마자 입력 대기상태에 놓여지게 되고(S305),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가 메뉴 모드 키(예를 들어, 키패드의 통화 키)를 상, 하, 좌, 우로 조작하여 키패드 본체(1)가 움직이게되면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 (S310).In detail, for example, in the Roman alphabet, th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o the Roman input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is placed in the Roman input mode (S305). For example, when the keypad body 1 is moved by manipulating the call keys of the keypad up, down, left, and right, it is determined whether a menu for erasing characters, outputting blank characters, inputting numbers and symbols, and selecting a line feed is selected (S310).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통신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메뉴를 수행하고 상술한 단계(S310)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31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menu among erase text, output blank characters, input numbers and symbols, and replace lin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the corresponding menu selected by the user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step (S310). (S315).

그러나, 상술한 단계(S310)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통신용 단말기는 해당 사용자가 키패드 본체(1) 및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2)에 구비된 특정 키를 여러 방향으로 조작하여 특정 자음과 모음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 (S320).Howe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10 described above, if the user does not select any one menu among erase text, output blank characters, input numbers and symbols, and replace lin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keypad main body 1 and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specific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ed by operating specific key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2 in various directions (S320).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조작하는 특정 키의 방향에 해당하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한 로마자를 통신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술한 단계(S310) 이후를반복하여 수행한다(S32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Roman letter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a specific key manipulat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and the process is repeated after step S310 (S325).

이제, 상술한 과정(S300)을 통해 사용자가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 가나문자 입력모드, 중국어 입력모드 등 세계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문자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작업을 종료하면, 통신용 단말기는 해당 사용자가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키신호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S400).Now,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S300), the user inputs the character through any one of the input modes, such as Hangul input mode, Roman input mode, Japanese Ghanaian character input mode, Chinese input mode, etc. When the terminal terminat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user selects a key signal for storing the text (S400).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문자 저장을 위한 저장키를 선택하면, 통신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저장하고(S500), 해당 사용자가 문자 저장을 위한 저장키를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문자 모드를 종료하는지를 판단하여 문자모드를 지속하거나 또는 해제한다(S60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age key for the text storage, th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text input by the user (S500), and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storage key for the text storage, the user selects the text mode. It determines whether to terminate or continue or release the character mode (S600).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에 따르면, 통신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패드 본체와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 각각의 자음/모음 문자배열 구조를 사용자가 숙지하기 쉽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간단한 키조작으로 한글, 로마자, 일본 가나문자, 중국어 등 세계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문자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통신용 단말기보다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각종 문서작업, 전자우편, 채팅, 인터넷 정보 검색 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문자 및 숫자의 입력 속도를 극대화시켜 값비싼 통신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racter / numb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 vowel character arrangement structure of each of the keypad body and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easy for the user to understand. At the same time, users can quickly and easily input characters used in various countries of the world, such as Korean, Roman, Japanese, Ghanaian, and Chinese, with simple key operations. Internet information retrieval can be implemented, and it is possible to save expensive communication cost by maximizing the input speed of letters and numbers while providing a lot of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조이스틱형/네비게이션키형/스위치형 키패드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제조원가 상승, 단말기 크기 증가, 장시간 조작 시 잦은 고장원인, 입력 속도, 조작방향의 한계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됐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s such as manufacturing cost increase in the joystick type / navigation key type / switch type keypad terminal, terminal size increase, frequent failure causes during long time operation, input speed, and limitation of the operation direction.

여기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16)

외부와의 통신 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enter letters and numbers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r data storage,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데, 상기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와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 각각에는 한글, 로마자, 일본 가나문자, 중국어 등 세계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자음과 모음과 숫자 및 여러 가지 기능이 할당 된 키패드 본체;A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are integrated, four or more signal sensing units are installed, and can be moved in four or more directions. Each of the four or more signal sensing units and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Keypad body assigned with consonants and vowels and numbers and various functions of characters used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such as Roman, Japanese, Ghanaian and Chinese; 상기 통신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각 언어별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문자 저장부;A character storage unit for storing character data for each language us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통신용 단말기 내부의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n operation program in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키패드 본체와 키패드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복수개의 버튼) 상에 배치되어 있는 각종 조작키에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 저장부;A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code data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 keys disposed on the keypad body and a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integrally formed on the keypad body; 상기 키패드 본체를 이용하는 통신용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키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키패드 본체 스캐너;A keypad main body scanner for detecting a key manipulation state by a communication terminal user using the keypad main body; 상기 키패드 본체 스캐너를 통해 키 조작상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문자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어떤 언어의 음소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고, 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당 언어의 각 언어별 음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When a key operation state dete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keypad main body scanner, it is determined whether a user inputs a phoneme of a language by referring to character data stored in a character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program stored in a program memory. A microprocess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display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phonemes for each language of the corresponding language input by the user with reference to the data;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키패드 본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 구동부; 및A display unit driver for outputting a drive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 character and a number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keypad body according to a display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And 상기 표시부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화상 표시부에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는 데이터/화상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And a data /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letters and numbers on a data /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driv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driver. 상기 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키패드(또는 버튼)는 키패드 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키패드 본체가 상하좌우 대각선 등으로 움직일 때마다 동시에 움직이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keypads (or button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keypad body so that the keypad bodies are simultaneously moved whenever the keypad body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diagonally. 상기 1항에 있어서, 키패드 본체에 구성되어 있는 4개 이상의 신호감지부는 실질적으로 키패드 본체가 조작될 수 있는 8(상, 하, 좌, 우, 좌상 대각선, 우상 대각선, 좌하 대각선, 우하 대각선)방향에 의해서 8개 이상의 신호감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ur or more signal detection units configured in the keypad body are substantially 8 (up, down, left, right, top left diagonal, top right diagonal, bottom left diagonal, bottom right diagonal) in which the keypad body can be operated. An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8 or more signal detection possible. 상기 1항에 있어서, 키패드 본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 본체와 미세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접해 있으면서, 사용자의 조작동작이 멈추면 최초 위치로 미끄러지듯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keypad body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body and a minute space in order to realize movement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means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by sliding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user's manipulation stops. Character / 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4항에 있어서, 미세한 공간은 사용자의 키패드 본체 조작 시, 조작 후에 이어지는 다음 음소의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로 단축하기 위해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한 한도 내에서 최소의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inute space is formed in a minimum width within the limit that the user can use substantially to maximize the time required for input of the next phoneme following the operation when the user's keypad body operation.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1항에 있어서, 키패드 본체의 조작시 단말기 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과, 단말기 본체의 내부시스템으로 키패드 본체 및 키패드의 조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2]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means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from the terminal body when the keypad body is operated, and means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keypad body and the keypad to the internal system of the terminal body are formed. Alphanumeric input device. 상기 1항에 있어서, 키패드 또는 버튼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pad or button is a means for inputting a character desired by the user. 상기 키패드의 경우, 키패드 본체와 일체해 있으면서 입력 수단이면서 입력 신호감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키패드 본체 하단에 단말기 본체와 일체해 있는 별도의 키입력 신호 발생수단(키패드)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In the case of the keypa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key input signal generating means (keypad) integrated with the terminal body at the bottom of the keypad body because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is formed while being integrated with the keypad body; 상기 버튼의 경우는 키입력 신호감지부가 없고, 단지 키 입력 수단 기능(누름 기능)만 구비하게 되며, 키패드 본체 하단에 접해 있는 단말기 본체의 키 입력부위 표면에 상기 버튼과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별도의 키입력 신호 발생수단(키패드)이 구비된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In the case of the button, there is no key input signal detecting unit, and only a key input means function (push function) is provided, and is separately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button on the surface of the key input part of the terminal main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keypad main body.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pplicable to the terminal provided with a key input signal generating means (key pad). 상기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키패드(또는 버튼)를 상하좌우 대각선 등의 방향으로 조작하면 키패드 본체가 키패드(또는 버튼) 표면의 마찰력에 의해 함께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키패드(또는 버튼) 표면을 형성하며, 또한 키패드(또는 버튼)의 눌림 시 탄력도 수평으로 조작 시에는 눌리지 않고 수직으로 조작 시 눌리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keypad (or butt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keypad (or button) to which the user's finger touches is operated in a direction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diagonals, the keypad body (or buttons) can slide together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keypad (or button) surface. Button) to form a surface, and also when the keypad (or button) is pressed, the elasticity is also not pressed when operating horizontally, it is formed so that it is pressed when operating vertically. 상기 2항에 있어서, 상술한 키패드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keypads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pad body are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상기 2항에 있어서, 상술한 키패드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는 조명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keypads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pad body ar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sensor. 상기 2항에 있어서, 상술한 키패드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키패드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keypads integrally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keypad body are composed of a switch. 상기 2항에 있어서, 상술한 키패드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는 터치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keypads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pad body are provided with a touch pad. 상기 2항에 있어서, 상술한 키패드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키패드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keypads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pad body ar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상기 6항에 있어서, 키패드 본체와 단말기 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패드 본체 외곽이 'ㄴ'자 형상이고 단말기 본체의 일 측에는 홈이 있어, 상기 'ㄴ'자 형상과 홈이 결속되도록 구성되며 키패드 본체가 단말기 본체와 분리되지 않으면서 상하좌우 대각선 등으로 미끄러지는 듯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keypad main body and the terminal body as a means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b' shape and the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has a groove, so that the 'b' shape and the groove is bound Character and numeric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pad body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ve like sliding diagonally, etc.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상기 8항에 있어서, 키패드 또는 버튼의 표면이 마찰력이 높은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8, wherein the surface of the keypad or the button is made of a synthetic rubber material having high friction. 상기 8항에 있어서, 키패드 또는 버튼은 요철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The alphanumeric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keypad or the button is formed in an uneven structure.
KR20-2003-0022882U 2003-07-15 2003-07-15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KR20032949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82U KR200329499Y1 (en) 2003-07-15 2003-07-15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82U KR200329499Y1 (en) 2003-07-15 2003-07-15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206A Division KR100570793B1 (en) 2003-07-15 2003-07-15 Alphanumeric inpu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499Y1 true KR200329499Y1 (en) 2003-10-10

Family

ID=4941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882U KR200329499Y1 (en) 2003-07-15 2003-07-15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499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739B1 (en) 2005-05-06 2007-04-23 주식회사 레인콤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Mounted with Display Bracket Press Switch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958285B1 (en) 2008-07-08 2010-05-19 정세운 Digital processing unit having key input unit and key input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739B1 (en) 2005-05-06 2007-04-23 주식회사 레인콤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Mounted with Display Bracket Press Switch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958285B1 (en) 2008-07-08 2010-05-19 정세운 Digital processing unit having key input unit and key inpu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355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A2489134C (en) Character key incorporating navigation control
CA2405846C (en) Efficient entry of characters into a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
KR100464115B1 (en) Key input device
JP5097775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391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1006024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JP2005317041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00899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0835337B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KR100570793B1 (en) Alphanumeric inpu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29499Y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KR1003652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KR101136367B1 (en) Device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JPH11327762A (en) Input device provided with mouse function
EP1524587A1 (en) Device having a joystick keypad
EP1538515B1 (en) Character key incorporating navigation control
KR20110004863A (en) 12-key qwerty text entry method
KR2007008277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KR10100456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key-pad of piano keyboard type
JP2006101104A (en) Character input terminal
KR20090112197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399150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