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068B1 - Operating board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Operating board for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3068B1 KR102203068B1 KR1020190064351A KR20190064351A KR102203068B1 KR 102203068 B1 KR102203068 B1 KR 102203068B1 KR 1020190064351 A KR1020190064351 A KR 1020190064351A KR 20190064351 A KR20190064351 A KR 20190064351A KR 102203068 B1 KR102203068 B1 KR 102203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ion panel
- main body
- elevator
- height
- panel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0—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with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mounted in the car or cage or in the lift well or hoist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227—Belt conveyors for vertical convey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반 본체, 상기 조작반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반 본체를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조작반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panel for an elevator, comprising: an operation panel main body provid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wall of an elevator, a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and a moving part selectively moving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ving part By including a height adjustment uni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body by operat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and use environ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control panel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use environment.
엘리베이터는 고층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각 층을 왕래할 수 있는 승강기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조작반을 이용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층을 선택하거나, 도어 개폐 등을 조작하게 된다.An elevator is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or building, and is an elevator that can conveniently go to and from each floor, and passengers who board the elevator use the control panel installed in the elevator to select the floor to which they want to go, or open and close doors. Will be manipulated.
그러나, 기존 조작반은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항상 일정한 높이에 배치됨에 따라, 키가 작은 사용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조작반(조작반 버튼)을 조작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existing operation panel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elevator and is always placed at a constant h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with a small key or a user with limited mobility has a lot of inconvenience in operating the operation panel (operation panel button).
특히, 휠체어 사용자에게는 조작반의 배치 높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조작반을 조작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for wheelchair users to operate the operation panel in a state of being in a wheelchair because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is relatively very high.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조작반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the use environment, but development thereof is still inadequat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ontrol panel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use environment.
특히, 본 발명은 키가 작은 사용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작반의 배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reely adjust the arrangement height of an operation panel in response to a user with a small key or a user having difficulty in movement, and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은,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반 본체, 상기 조작반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반 본체를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조작반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panel for an elevator includes an operation panel main body provided to be movable in an up-down direction on a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And a moving part selectivel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eight adjusting par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body by operating the moving part.
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조작반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djust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and use environment.
즉, 기존에는 엘리베이터 조작반이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항상 일정한 높이에 배치됨에 따라, 키가 작은 사용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조작반(조작반 버튼)을 조작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휠체어 사용자에게는 조작반의 배치 높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조작반을 조작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past, as the elevator control panel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and is always placed at a constant h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with a small key or a user with limited mobility has a lot of inconvenience in operating the operation panel (operation panel button).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for wheelchair users to operate the operation panel in a state of being in a wheelchair because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is relatively very high.
하지만, 본 발명은 조작반의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조작반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응급 상황 발생시 조작반에 의한 효과적인 대처(비상용 버튼 조작)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to be selectively adjusted, it is possible to easily manipulate the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use environment, and effective response (emergency button operation) by the operation panel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possible. There is an advantage.
일 예로, 이동부는 제1롤러, 상하 방향을 따라 제1롤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롤러, 및 조작반 본체에 연결되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에 의해 정해지는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벨트를 포함한다.As an example, the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roller, a second roll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ll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belt connected to the operation panel body and rotating along a trajectory determined by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nclude.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조작반 본체의 상하 길이보다 긴 길이(상하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조작반 본체는 수용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Preferably,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조작반 본체의 상하 이동은 통상의 슬라이드 가이드 수단(예를 들어, 슬라이딩 레일 및 레일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반 본체가 별도의 슬라이드 가이드 수단을 채용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may be supported by conventional slide guide means (for example, a sliding rail and a rail groove).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operation panel body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employing a separate slide guide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반 본체의 상하 이동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 finishing member for closing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operation panel body is moved up and down.
여기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마감한다 함은, 내부공간 및 내부공간에 배치된 부품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부재가 내부공간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된다.Here, the closing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s defined as the finishing member disposed to cover the inner space so that the inner space and the component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re not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일 예로, 마감부재는, 벨트에 연결되며 조작반 본체의 하강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상부공간을 마감하는 상부 마감부재, 및 벨트에 연결되며 조작반 본체의 상승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하부공간을 마감하는 하부 마감부재를 포함한다.As an example, the clos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belt, the upper closing member closing the upp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operation panel body descends, and the low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belt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s raised. It includes a lower finishing member to finish.
이와 같이, 조작반 본체의 상하 이동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이 마감부재에 의해 덮혀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수용부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심미감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s moved up and down, the lower space and the upp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are covered by the finishing member, thereby obtain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minimizing deterioration of the aesthetic sense due to the expos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to the outside. I can.
바람직하게, 상부 마감부재 및 하부 마감부재는 엘리베이터의 벽면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마감부재 및 하부 마감부재를 엘리베이터의 벽면(예를 들어, 벽면 내장재)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부 마감부재 및 하부 마감부재가 벽면에 노출됨에 따른 이질감 및 심미감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closing member and the lower closing member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In this way, by forming the upper finishing member and the lower finishing member of the same material as the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for example, the wall interior material), the feeling of heterogeneity and aesthetics due to the exposure of the upper finishing member and the lower finishing member to the wall surface are reduced. Advantageous effects of minimizing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조절부는, 조작반 본체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상승 버튼, 및 조작반 본체의 높이를 하강시키는 하강 버튼을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cludes a rising button for raising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body, and a down button for lowering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body.
바람직하게, 상승 버튼과 하강 버튼은 조작반 본체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up button and the down button are dispos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operation panel bod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조작반의 배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freely adjusting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and the use environment.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키가 작은 사용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에 대응하여 조작반의 배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in response to a user with a small key or a user having difficulty in movement, and advantageous effects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반에 상하 이동에 따른 내부 공간 노출(조작반의 내부 공간)을 최소화하고, 내부 공간 노출에 따른 심미감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interior space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rol panel)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n the control panel, and minimizing the decrease in aesthetics due to the exposure of the interior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응급상황 발생시 조작반에 의한 효과적인 대처(비상 호출 버튼 조작)가 가능하며,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operation panel (emergency call button opera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advantageous effects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의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n elevator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anel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levator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under these rules,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may be cited, and contents that are determin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의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n elevator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levator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vator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fo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100)은, 엘리베이터의 벽면(1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반 본체(110), 상기 조작반 본체(110)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반 본체(110)를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20), 및 상기 이동부(120)를 작동시켜 상기 조작반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40)를 포함한다.1 to 3, the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100)은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에 장착되거나, 엘리베이터의 외부 벽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100)이 엘리베이터 도어(20)의 측부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10)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the
조작반 본체(110)는 엘리베이터의 승강 조작 및 도어 개폐 등을 조작하기 위해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의 벽면(1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operation panel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반 본체(110)의 전면에는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관련된 목적층 입력 버튼(112), 도어 개폐 버튼(114), 비상 호출 버튼(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destination
또한, 조작반 본체(110)에는 엘리베이터의 현재 층 상태 및 승강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예를 들어, LED 인디케이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조작반 본체(110)에 구비되는 버튼 및 각종 제어장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일 예로, 조작반 본체(110)는 엘리베이터의 벽면(10)에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된다.For example, the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조작반 본체(110)의 상하 길이보다 긴 길이(상하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조작반 본체(110)는 수용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Preferably,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operation panel
또한, 조작반 본체(110)의 상하 이동은 통상의 슬라이드 가이드 수단(예를 들어, 슬라이딩 레일 및 레일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반 본체가 별도의 슬라이드 가이드 수단을 채용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이동부(120)는 조작반 본체(110)에 연결되며, 조작반 본체(110)를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The moving
이동부(120)는 조작반 본체(1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120)의 구조 및 작동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ving
일 예로, 이동부(120)는, 제1롤러(122), 상하 방향을 따라 제1롤러(122)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롤러(124), 및 조작반 본체(110)에 연결되며 제1롤러(122)와 상기 제2롤러(124)에 의해 정해지는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벨트(126)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moving
제1롤러(122)와 제2롤러(124)는 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롤러(122)와 제2롤러(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시계 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사이에는 아이들 롤러 또는 여타 다른 롤러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부를 구성하는 롤러의 개수 및 배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le roller or other roller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rollers constituting the moving part ar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벨트(126)는 제1롤러(122)와 상기 제2롤러(124)에 의해 정해지는 순환 궤적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벨트(126)의 외표면에는 조작반 본체(110)가 고정 장착된다.The
참고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부(120)가 롤러 및 벨트(126)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니언기어와 랙기어, 또는 리니어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이동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re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moving
높이조절부(140)는 이동부(120)를 작동시켜 조작반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높이조절부(14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일 예로, 높이조절부(140)는, 조작반 본체(110)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상승 버튼(142), 및 조작반 본체(110)의 높이를 하강시키는 하강 버튼(144)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상승 버튼(142)과 하강 버튼(144)의 조작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승 버튼(142)과 하강 버튼(144)은 누름 조작 가능한 버튼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승 버튼과 하강 버튼을 터치패널 구조 또는 휠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승 버튼(142)을 조작하면, 이동부(120)의 벨트(126)가 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벨트(126)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벨트(126)에 연결된 조작반 본체(11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반면, 하강 버튼(144)을 조작하면, 이동부(120)의 벨트(12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벨트(126)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벨트(126)에 연결된 조작반 본체(11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바람직하게, 상승 버튼(142)과 하강 버튼(144)은 조작반 본체(110)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상승 버튼(142)과 하강 버튼(144)은 조작반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높이조절부(140)는 키가 작은 사용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up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작반 본체(110)가 장착되는 벽면(10)에 상승 버튼(142)과 하강 버튼(144)이 함께 마련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반 본체가 장착되는 벽면이 아닌 엘리베이터의 다른 벽면에 상승 버튼과 하강 버튼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up
이와 같이, 높이조절부(140)를 조작반 본체(110)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키가 작은 사용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도 높이조절부(14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가능 높이(사용자의 손이 닿는 높이)에 대응하여 조작반 본체(110)의 배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rranging the
또한, 본 발명은 조작반 본체(110)의 상하 이동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losing
여기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마감한다 함은, 내부공간 및 내부공간에 배치된 부품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부재(130)가 내부공간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된다.Here, the closing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s defined as the finishing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반 본체(110)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조작반 본체(110)의 상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짐으로 인하여, 조작반 본체(11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수용부의 하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되고, 조작반 본체(11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수용부의 상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된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operation panel
이에 본 발명은, 조작반 본체(110)의 상하 이동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이 마감부재(130)에 의해 덮혀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수용부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심미감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ower space and the upp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operation panel
일 예로, 마감부재(130)는, 벨트(126)에 연결되며 조작반 본체(110)의 하강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상부공간을 마감하는 상부 마감부재(132), 및 벨트(126)에 연결되며 조작반 본체(110)의 상승시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의 하부공간을 마감하는 하부 마감부재(134)를 포함한다.As an example, the closing
상부 마감부재(132)는 조작반 본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벨트(126)의 외표면에 고정될 수 있고, 하부 마감부재(134)는 조작반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벨트(126)의 외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바람직하게, 상부 마감부재(132) 및 하부 마감부재(134)는 엘리베이터의 벽면(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마감부재(132) 및 하부 마감부재(134)를 엘리베이터의 벽면(10)(예를 들어, 벽면 내장재)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부 마감부재(132) 및 하부 마감부재(134)가 벽면(10)에 노출됨에 따른 이질감 및 심미감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Preferably, th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작반(100)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일 예로, 키가 큰 사용자는 조작반 본체(11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조작반 본체(110)를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tall user may use the operation panel
즉, 도 4를 참조하면, 키가 큰 사용자가 상승 버튼(142)을 조작하면, 이동부(120)의 벨트(12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벨트(126)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벨트(126)에 연결된 조작반 본체(11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referring to FIG. 4, when a tall user operates the
이때, 조작반 본체(110)가 상승함과 동시에 조작반 본체(110)의 하부에 노출되는 수용부의 하부공간은 벨트(126)와 함께 이동하는 하부 마감부재(134)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operation panel
다른 일 예로, 키가 작은 사용자는 조작반 본체(11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조작반 본체(110)를 사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user with a small key may use the operation panel
즉, 도 5를 참조하면, 키가 작은 사용자가 하강 버튼(144)을 조작하면, 이동부(120)의 벨트(12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벨트(126)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벨트(126)에 연결된 조작반 본체(11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referring to FIG. 5, when a user with a small key manipulates the
이때, 조작반 본체(110)가 하강함과 동시에 조작반 본체(110)의 상부에 노출되는 수용부의 상부공간은 벨트(126)와 함께 이동하는 상부 마감부재(132)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operation pane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100 : 조작반
110 : 조작반 본체
112 : 목적층 입력 버튼
114 : 도어 개폐 버튼
120 : 이동부
122 : 제1롤러
124 : 제2롤러
126 : 벨트
130 : 마감부재
132 : 상부 마감부재
134 : 하부 마감부재
140 : 높이조절부
142 : 상승 버튼
144 : 하강 버튼100: control panel
110: control panel body
112: destination floor input button
114: door open button
120: moving part
122: first roller
124: second roller
126: belt
130: finishing member
132: upper finishing member
134: lower finishing member
140: height adjustment unit
142: rise button
144: down button
Claims (8)
제1롤러, 상하 방향을 따라 제1롤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롤러, 및 상기 조작반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에 의해 정해지는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반 본체를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조작반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엘리베이터의 벽면에는 상기 조작반 본체의 상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반 본체는 상기 수용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반 본체의 하강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공간을 마감하는 상부 마감부재와, 상기 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반 본체의 상승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용부의 하부공간을 마감하는 하부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반 본체의 상하 이동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작반.
An operation panel main body provid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wall surface of an elevator;
A first roller, a second roll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ller in an up-down direction, and a belt connected to the operation panel body and rotating along a trajectory determined by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 moving part selectively moving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n an up-down direction; And
Including;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body by operating the moving unit,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so as to move up and down,
An upper closing member connected to the belt and closing the upp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s lowered, and the low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belt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s raised. A control panel for an elevator comprising a lower finishing member and closing an internal space of the receiv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is moved up and down.
상기 상부 마감부재 및 상기 하부 마감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벽면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용 조작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closing member and the lower closing member is an elevator operation panel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조작반 본체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상승 버튼; 및
상기 조작반 본체의 높이를 하강시키는 하강 버튼;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작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lift button for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body; And
A lowering button for lowering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anel body;
An elevator operation panel comprising a.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조작반 본체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용 조작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an elevator operation panel dispos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operation panel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4351A KR102203068B1 (en) | 2019-05-31 | 2019-05-31 | Operating board for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4351A KR102203068B1 (en) | 2019-05-31 | 2019-05-31 | Operating board for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7644A KR20200137644A (en) | 2020-12-09 |
KR102203068B1 true KR102203068B1 (en) | 2021-01-14 |
Family
ID=7378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4351A KR102203068B1 (en) | 2019-05-31 | 2019-05-31 | Operating board for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306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20176A (en) | 2023-01-31 | 2024-08-07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vator Control Panel Having Addition-Type Foot-Operated Pressing Apparatus, Elivator And Operating Method By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20715A (en) * | 2021-04-30 | 2021-07-16 |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elevator self-adaption of passengers and elevator operat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5287A (en) * | 2002-08-19 | 2004-03-11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Movable operation panel for elevator car |
JP2008214077A (en) * | 2007-03-07 | 2008-09-18 | Toshiba Elevator Co Ltd | Movable control panel for elevator ca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2483Y2 (en) * | 1992-02-26 | 1997-01-16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Elevator mobile operation panel |
-
2019
- 2019-05-31 KR KR1020190064351A patent/KR1022030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5287A (en) * | 2002-08-19 | 2004-03-11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Movable operation panel for elevator car |
JP2008214077A (en) * | 2007-03-07 | 2008-09-18 | Toshiba Elevator Co Ltd | Movable control panel for elevator ca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20176A (en) | 2023-01-31 | 2024-08-07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vator Control Panel Having Addition-Type Foot-Operated Pressing Apparatus, Elivator And Operating Method By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7644A (en) | 2020-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3068B1 (en) | Operating board for elevator | |
US6202801B1 (en) | Equipment for carrying out operations in an elevator shaft | |
JP4963798B2 (en) | Elevator maintenance operation device | |
CA2871896C (en) | Stairwell lift | |
KR20150060154A (en) | Directly the hydraulic observation elevator | |
JP2008024409A (en) | Pit ladder device for elevator | |
JP4661022B2 (en) | Elevator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 |
CN204224005U (en) | The adjustable elevator of panel block | |
JP6543596B2 (en) | Elevator | |
JP2007119121A (en) | Step eliminating apparatus | |
JP6874880B1 (en) | Elevator with door device | |
KR100992596B1 (en) | Elevarator with an open car moving between two stories | |
JP6502864B2 (en) | Passenger car door airtight apparatus and elevator apparatus | |
JP6045502B2 (en) | Vertical staircase | |
KR101917767B1 (en) | Electromotive blind apparatus | |
CN208135679U (en) | Elevator operation case and elevator | |
CN113428759A (en) | Intelligent toe guard for elevator ca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retracted and extended | |
JP6703767B2 (en) | elevator | |
JP2013129511A (en) | Clearance adjustment fixture for elevator | |
KR20210002193U (en) | Elevator with analog clock | |
KR101917769B1 (en) | Electromotive blind apparatus | |
JP6908063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8214077A (en) | Movable control panel for elevator car | |
CN211141197U (en) | Liftable floor operation panel in elevator | |
JPH0640313Y2 (en) | Window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