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854B1 -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854B1
KR102202854B1 KR1020180005682A KR20180005682A KR102202854B1 KR 102202854 B1 KR102202854 B1 KR 102202854B1 KR 1020180005682 A KR1020180005682 A KR 1020180005682A KR 20180005682 A KR20180005682 A KR 20180005682A KR 102202854 B1 KR102202854 B1 KR 10220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esin
sandwich structure
short fibers
skin layer
tensil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193A (ko
Inventor
안승현
한경석
임성찬
김희준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00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854B1/ko
Priority to US16/762,167 priority patent/US11421092B2/en
Priority to EP18875897.3A priority patent/EP3708346A4/en
Priority to PCT/KR2018/009463 priority patent/WO2019093628A1/ko
Publication of KR2019008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6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가 개시된다.
상기 샌드위치 구조체는, 스킨층들과 상기 스킨층들의 사이에 배치된 코어층을 포함한다. 상기 스킨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며, 고분자 수지와 상기 고분자 수지에 불연속적으로 단방향 배향된 단섬유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들 중 92% 이상이, 상기 고분자 수지의 길이방향에 대해 장축이 ±14° 이내의 각도로 배향된다.
Figure 112018005330385-pat00004
식 (1)
(0° 시편 인장강도와 90° 시편 인장강도는 각각,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SANDWICH STRUCTURE HAVING SUPERIOR FORMABILITY AND HIGH STRUCTURAL STIFFNESS}
본 발명은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 구조체는 인장강도가 높은 스킨층들(skin layers)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코어층(core laye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높은 구조적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하여, 자동차용 고강성 복합재로 주목받고 있다. 샌드위치 구조체는, 예를 들어, 자동차용 범퍼 빔(bumper beam), 시트 백 프래임(seat back frame)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인장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금속판이 스킨층에 사용되어 왔으며, 경량화에 대한 요구로 근래에는 연속섬유강화 복합재의 적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속섬유강화 복합재는 단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매우 우수하지만, 보강섬유들이 연속적으로 단방향 배열되어 있는 까닭에, 복잡한 디자인의 부품의 성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속섬유강화 복합재가 적용된 샌드위치 구조체와 동등 수준의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지면서도, 그에 비해 디자인 자유도가 우수한 경량의 샌드위치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샌드위치 구조체는, 스킨층들 및 상기 스킨층들의 사이에 배치된 코어층을 포함한다.
상기 스킨층들은, 불연속 단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Aligned Discontinuous Fibers)를 포함한다.
상기 불연속 단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며, 고분자 수지와 상기 고분자 수지에 불연속적으로 단방향 배향된 단섬유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들 중 92% 이상은, 상기 고분자 수지의 길이방향에 대해 장축이 ±14° 이내의 각도로 배향된다.
Figure 112018005330385-pat00001
식 (1)
상기 식 (1) 에서, 상기 0° 시편 인장강도는 상기 고분자 수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인장강도이며, 상기 90° 시편 인장강도는 상기 고분자 수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인장강도이다.
상기 코어층은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물질의 예로는, 다공성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수지 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보강섬유 매트와 상기 보강섬유 매트에 함침된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폼, 폴리스티렌 폼, 폴리에스터 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샌드위치 구조체는, ASTM D790 에 따라 측정된 굴곡 변형(Flexure Strain)이 5.2%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샌드위치 구조체는, ASTM D790 에 따라 측정된 굴곡 강도가 202 MPa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샌드위치 구조체는, ASTM D790 에 따라 측정된 굴곡 탄성률이 14.7 GPa 초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섬유강화 복합재가 적용된 샌드위치 구조체와 동등 수준의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지면서도, 그에 비해 디자인 자유도가 우수한 경량의 샌드위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체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킨층들에 사용된 불연속 단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스킨층들에 사용된 불연속 단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형태들과 실험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내용은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including)", "가진(having)" 이라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체(100)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킨층들(S1, S2)에 사용된 불연속 단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1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샌드위치 구조체(100)는, 스킨층들(S) 및 스킨층들(S)의 사이에 배치된 코어층(C)을 포함한다. 스킨층들(S)은 불연속 단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Aligned Discontinuous Fiber,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ADF"라 한다)(10)를 포함하며, 코어층(C)은 ADF(10)에 비해 비중과 구조 강성이 낮은 다공성 물질을 포함한다.
다공성 물질의 예로는, 다공성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수지 폼 등을 들 수 있다. 다공성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보강섬유 매트와 상기 보강섬유 매트에 함침된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수지 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폼, 폴리스티렌 폼, 폴리에스터 폼 등을 들 수 있다.
다공성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고신율의 코어층(C)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샌드위치 구조체(100)는 높은 성형성 또는 높은 디자인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다공성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공극률 또는 기공율은, 샌드위치 구조체(100)가 적용되는 제품의 요구 강도 및 강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다공성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기공율은 40 부피% 내지 80 부피%일 수 있다.
다공성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오픈셀 구조로 되어 있고, 샌드위치 구조체(100)의 성형 공정 시, 제1 단섬유(1)와 제2 단섬유(2)의 사이에서 접착제(미도시)의 흐름을 유지시켜주는 유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성형 완료 후 접착제(미도시)로 충진되어 클로즈셀 구조가 된다.
보강섬유는, 형태에 따라 장섬유 보강섬유, 단섬유 보강섬유, 연속섬유 보강섬유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보강섬유 매트는 장섬유 보강섬유, 단섬유 보강섬유, 및 연속섬유 보강섬유 중 적어도 하나의 보강섬유로부터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보강섬유는, 재질에 따라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천연 섬유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보강섬유 매트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천연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폴리에틸렌(PE)수지, 폴리아미드(PA)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ADF(10)는 단섬유들(1)이 불연속적으로 단방향 배향된 집합체와, 집합체에 함침된 고분자 수지(P)를 포함한다. 단섬유들(1)이 불연속적으로 배향된다는 것은, 단섬유들(1)이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열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섬유들(1)은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L)을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으며, 또한, 고분자 수지(P)의 폭 방향을 따라 간격(WD)을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ADF(10)는, 단섬유들이 서로 이격된 채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단방향 배향되어 있으므로, 연속섬유강화 복합재와 동등한 수준의 인장강도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샌드위치 구조체(100)에 고신율의 스킨층(S1, S2)을 제공하여, 높은 성형성 또는 높은 디자인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단섬유들(1)이 단방향 배향된다는 것은, 대부분의 단섬유들(1)이 그것의 장축이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섬유들(1)의 단방향 배향성은, 92%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단방향 배향성은,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에 대해 ±14도 이내의 각도로 단섬유들(1)의 장축이 배향된 것으로 정의된다. 단섬유들(1)의 높은 단방향 배향성은 후술하는 에어레이드 공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에어레이드 공정을 통해, 단섬유들(1)이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단방향 배향될 수 있다.
ADF(10)는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하기 식 (1)은,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0° 시편 인장강도)와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90° 시편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이들의 인장 강도의 차이를 계산한 결과값이 0.92 이상이고 1.00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8005330385-pat00002
식 (1)
식 (1) 에서, 0° 시편 인장강도는 고분자 수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인장강도이며, 90° 시편 인장강도는 고분자 수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인장강도이다.
상기 식 (1)의 결과값이 1.00 인 때, 단섬유들(1)이 100% 단방향 배향된 것이며, 상기 식 (1)의 결과값이 0.50 이하인 때, 단섬유들(1)이 단방향 배향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ADF(10)는 상기 식 (1)의 결과값이 0.95 로 높은 일방향 배향성을 가짐이 확인되었다(후술하는 표 1 참조).
단섬유들(1)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또는 천연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수지(P)의 사용으로 인해, ADF(10)의 충격 흡수 성능 및 신율이 향상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P)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폴리에틸렌(PE)수지, 폴리아미드(PA)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한편, 샌드위치 구조체(100)는 접착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미도시)는, 스킨층들(S) 및 코어층(C)에 코팅되어, 샌드위치 구조체(100)의 각 층들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샌드위치 구조체(100)의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접착제(미도시)는, RTM(Resin Transfer Molding), WCM(Wet Compression Molding), PCM(Prepreg Compression Molding), 핫 프레스(Hot Press) 등과 같은 복합재 성형 공정을 통해 스킨층들(S) 및 코어층(C)에 함침될 수 있다.
복합재 성형 공정은, 코어층(C)을 스킨층들(S)의 사이에 개재시킨 뒤, 접착제(미도시)를 주입하여, 스킨층들(S) 및 코어층(C)에 접착제(미도시)를 함침시키고 경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스킨층들(S) 및 코어층(C)이 일체화될 수 있다.
한편, 샌드위치 구조체(100)에서, 제1 단섬유(1)는, 제1 방향으로 단방향 배향될 수 있고, 제2 단섬유(2)는,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단방향 배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샌드위치 구조체(1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1 단섬유(1)와 제2 단섬유(2)는 서로 엇갈리게 배향될 수 있다.
제1 단섬유(1)의 배향방향(제1 방향)과 제2 단섬유(2)의 배향방향(제2 방향)은, 교차각이 대략 30° 내지 90° 일 수 있다. 제1 단섬유(1)와 제2 단섬유(2)가 서로 엇갈리게 배향되는 것에 의해, 샌드위치 구조체(100)는 신율과 비에너지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샌드위치 구조체(100)는, 제1 스킨층(S1)과 제2 스킨층(S2)을 각각 적어도 하나씩 포함한다. 제1 스킨층(S1)과 제2 스킨층(S2)은, 단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스킨층(S1)과 제2 스킨층(S2)이 각각 다층으로 구성된 때, 샌드위치 구조체(10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균일한 강성, 비에너지 흡수율이 발휘되도록, 제1 스킨층(S1)과 제2 스킨층(S2)은, 코어층(C)을 사이에 두고 동수(同數)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코어층(C)을 사이에 두고, 제1 스킨층(S1)과 제2 스킨층(S2)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샌드위치 구조체(100)가 상부와 하부 모두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균일한 강성, 비에너지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스킨층들(S)에 사용된 ADF(10)의 제조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며, 전술한 에어레이드 공정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호퍼(HP)는 저장공간(hs)과 저장공간(hs)의 하부에 위치하고, 저장공간(hs)과 연통된 복수 개의 채널들(C1, C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DF(10)의 제조방법은, 호퍼(HP) 내부의 저장공간(hs)에 투입되어, 공기 중에 부유된 단섬유들(1)에 바람(Air)을 가하여, 단섬유들(1)을 복수 개의 채널들(C1, C2)로 투입하는 제1 공정과, 복수 개의 채널들(C1, C2) 내에서 정렬된 단섬유들(1)을 호퍼(HP)에서 배출하여, 호퍼(HP)의 하부에 배치된 고분자 수지(P)에,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섬유들(1)의 장축을 배향시키는 제2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채널들(C1, C2)은 각각, 투입구의 폭(W1)에 비해 배출구의 폭(W2)이 작으며, 투입구에서 배출구로 이어진 경사면들을 가진 중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 개의 채널들(C1, C2)은 각각, 투입구의 폭(W1)이 단섬유들(1)의 장축에 비해 클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채널들(C1, C2)은 각각, 배출구의 폭(W2)이 단섬유들(1)의 직경 또는 단축에 비해 크다.
예를 들어, 단섬유들(1)의 단축의 길이는 6 ㎛ 내지 40 ㎛ 일 수 있고, 단섬유들(1)의 장축의 길이는 3 mm 내지 70 mm 일 수 있다. 이 때, 투입구의 폭(W1)은, 3 mm 내지 100 mm일 수 있으며, 배출구의 폭(W2)은, 40 ㎛ 내지 200 ㎛ 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채널들(C1, C2)로 유입된 단섬유들(1)은, 복수 개의 채널들(C1, C2) 내에서 그것의 장축이 중공의 경사방향을 따라 정렬된 상태로, 배출구를 통해 호퍼(HP)에서 배출되며, 호퍼(HP)의 하부에 배치된 고분자 수지(P)로 낙하한다. 단섬유들(1)을 고분자 수지(P)에 고르게 배열하기 위한 방법의 예로는, 복수 개의 채널들(C1, C2) 내에서 자유낙하시키는 방법, 복수 개의 채널들(C1, C2) 내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방법, 복수 개의 채널들(C1, C2) 내의 공기를 흡입 (Suction)하는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채널들(C1, C2)은 제1 채널들(C1)과 제2 채널들(C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채널들(C1)과 제2 채널들(C2)은, 복수 개의 채널들(C1, C2)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채널들(C1, C2) 중에서, 가운데 영역에 위치한 것들은, 제1 채널들(C1)일 수 있고, 제1 채널들(C1)의 외곽에 배치된 것들은, 제2 채널들(C2)일 수 있다.
제1 채널들(C1)과 제2 채널들(C2)은 중공이 완전히 개방된 개방관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제1 채널들(C1)이 중공의 적어도 일부가 막힌 밀폐관 형태일 수 있고, 제2 채널들(C2)이 중공의 적어도 일부가 막히지 않은 개방관 형태일 수 있다.
제1 채널들(C1)과 제2 채널들(C2)은 중공이 완전히 개방된 개방관 형태인 경우, 제1 채널들(C1)의 중공의 경사도는 제2 채널들(C2)의 중공의 경사도에 비해 클 수 있다.
제2 채널들(C2)로 투입된 단섬유들(1)은, 제2 채널들(C2)의 경사면을 가진 중공을 경유하여 배출구를 통과하여 호퍼(HP)로부터 배출될 때, 고분자 수지(P)에 대해 장축이 대략 A° (이 때, A°는 예각) 정도로 비스듬하게 눕혀진 상태로 고분자 수지(P)로 낙하되는 반면에, 제1 채널들(C1)로 투입된 단섬유들(1)은, 제1 채널들(C1)의 경사면을 가진 중공을 경유하여 배출구를 통과하여 호퍼(HP)로부터 배출될 때, 고분자 수지(P)에 대해 장축이 대략 B° (이 때, B°는 예각이며, A° 에 비해 큼, 예를 들어, A° 는 45°, B° 는 70°) 정도로 중력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인 수준으로 고분자 수지(P)로 낙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채널들(C1)로 투입된 단섬유들(1)의 장축이 고분자 수지(P)의일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롤러 등을 이용하여 고분자 수지(P)의 일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진 단섬유들(1)을 눕히는 추가 공정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ADF(10) 제조방법의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 단섬유들(1)의 배향방향이 다른 일부의 단섬유들(1)의 배향방향과 달라질 수 있다.
제1 채널들(C1)이 중공의 적어도 일부가 막힌 밀폐관 형태일 수 있고, 제2 채널들(C2)이 중공의 적어도 일부가 막히지 않은 개방관 형태인 경우, 제1 채널들(C1)을 밀폐관으로 설계하는 것에 의해, 제1 채널들(C1)을 경유하여 고분자 수지(P)로 투입되는 단섬유들(1)의 장축이 고분자 수지(P)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준으로(다시 말하면, 실질적으로 중력방향과 평행한 수준으로), 첨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콘베이어 벨트의 이동속도에 따라 중량이 상이한 ADF(10)를 제조할 수 있다. 콘베이어 벨트의 속도는, 예를 들어, 2 m/min 내지 20 m/min 일 수 있다. ADF (10)의 중량은 20 g/m2 내지 200 g/m2 일 수 있다.
한편, 콘베이어 벨트의 진행 방향(또는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0° 시편 인장강도)와 콘베이어 벨트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또는 고분자 수지(P)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90° 시편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이들 간의 인장 강도의 차이를 계산한 때, ADF(10)는 상기 식 (1)을 만족한다.
실시예 1
호퍼 내에서 공기 중에 분산된 탄소 단섬유들에 공기를 가하여, 복수 개의 채널들로 투입하였고, 복수 개의 채널들을 통과한 탄소 단섬유들을 호퍼 하부에서 콘베이어 벨트 상에 배치되어 이동 중인 고분자 수지에 첨가하여, ADF를 얻었다.
* 채널의 투입구의 폭: 50 mm
* 채널의 배출구의 폭: 80 ㎛
* 채널의 경사도: 45°
* 탄소 단섬유의 직경: 10 ㎛
* 탄소 단섬유의 장축의 길이: 6 mm
* 고분자 수지 : 폴리프로필렌
* 탄소섬유 고분자 수지 조성비 : 탄소섬유 60 퍼센트 중량비 고분자 수지
40퍼센트 중량비
비교예 1
다음과 같이 채널의 경사도가 변경된 호퍼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ADF를 얻었다.
* 채널의 경사도: 90°
비교예 2
채널을 사용하지 않은 호퍼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Discontinuous Fiber를 얻었다.
비교예 3
Wet-laid 법(H. Yu et. al. 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Vol. 65 (2014), p 175) 을 통해 ADF를 얻었다.
비교예 4
Dry-laid 법(Takushi Miyake et. Al. Advanced Manufacturing: Polymer & Composites science (2016)) 을 통해 ADF를 얻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ADF 들을 이용하여, 각 ADF 내의 단섬유들의 일방향 배향성과 배향 인장 효과를 얻었다. 표 1에는, 실험결과가 정리되어 있다. 배향 인장 효과는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얻었다.
구분 단방향 배향성% 배향 인장 효과
실시예 1 92 0.95
비교예 1 81 0.84
비교예 2 48 0.65
비교예 3 95 0.91
비교예 4 70 0.80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은 2장의 ADF의 사이에, 단면의 직경이 17㎛인 유리 섬유 60 중량%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매트릭스(matrix) 40 중량%에 함침되어 있고, 단일 방향의 배향성을 갖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을 배치한 뒤, 복합재 성형 공정을 통해, 접착제를 함침시키고, 경화하여, 실험군 샌드위치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실험군 샌드위치 구조체에서, 제1 스킨층 내의 제1 단섬유와 제2 스킨층 내의 제2 단섬유 간의 교차각(crossing angle)은 90° 이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얻은 2장의 ADF 대신에, 단면의 직경이 17㎛인 유리 섬유 60 중량%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매트릭스(matrix) 40 중량%에 함침되어 있고 단일 방향의 배향성을 갖는 연속섬유강화 복합재들을,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대조군 샌드위치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얻은 2장의 ADF 대신에, 비교예 1에서 얻어진 ADF 들을,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대조군 샌드위치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얻은 2장의 ADF 대신에, 비교예 2에서 얻어진 ADF 들을,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대조군 샌드위치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서 얻은 2장의 ADF 의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을 배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대조군 샌드위치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2, 비교예 5 내지 8에서 얻은 샌드위치 구조체들을 이용하여, 굴곡 강도, 굴곡 탄성율 그리고 굴곡 변형(Flexure Strain)을 측정하였다. 측정 기준은 ASTM D790으로 시험편은 50 × 150 × 3 mm, Span 길이는 100mm, 시험 속도는 5mm/min으로 하였다. 표 2에는 그 결과가 정리되어 있다.
구분 굴곡 강도 (MPa) 굴곡 탄성률 (GPa) 굴곡 변형 (%)
실시예 2 223 15.4 6.0
비교예 5 238 15.6 1.9
비교예 6 195 12.3 5.2
비교예 7 113 5.5 4.8
비교예 8 202 14.7 3.3
실시예 2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스킨층으로 적용한 비교예 5와 동등 수준의 굴곡 강도를 가지면서도, 비교예 5에 비해 대략 300% 이상의 수준의 굴곡 변형을 보였다.
실시예 2는, 비교예 6 및 7에 비해 높은 수준의 굴곡 강도 및 굴곡 변형을 보였다. 실시예 2에 적용된 스킨층들에 사용된 ADF가 높은 단방향 배향성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시예 2는, 폴리우레탄 폼을 코어층으로 적용한 비교예 8에 비해, 대략 180% 이상의 수준의 굴곡 변형을 보였다. 실시예 2에 사용된 코어층 자체의 높은 신율에 기인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ADF 스킨층과 다공성 섬유강화 복합재 코어층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체는 높은 굴곡 강성을 가지면서도 성형 자유도에서 비교예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체 대비 유리할 것이라 판단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에 개시된 내용들을 조합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샌드위치 구조체
1: 단섬유
P: 고분자 수지
10: ADF
C1, C2: 채널

Claims (6)

  1. 제1 스킨층;
    제2 스킨층; 및
    상기 제1 스킨층과 상기 제2 스킨층의 사이에 배치된 코어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킨층과 상기 제2 스킨층은, 불연속 단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를 포함하고,
    상기 불연속 단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며,
    고분자 수지와 상기 고분자 수지에 불연속적으로 단방향 배향된 단섬유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들 중 92% 이상이, 상기 고분자 수지의 길이방향에 대해 장축이 ±14° 이내의 각도로 배향되고,
    ASTM D790 에 따라 측정된 굴곡 변형(Flexure Strain)이 5.2% 초과인,
    샌드위치 구조체:
    Figure 112020100187508-pat00003
    식 (1)
    상기 식 (1) 에서,
    상기 0° 시편 인장강도는 상기 고분자 수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인장강도이며,
    상기 90° 시편 인장강도는 상기 고분자 수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인장강도이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다공성 물질로 구성된,
    샌드위치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보강섬유 매트와 상기 보강섬유 매트에 함침된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샌드위치 구조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의 상기 단섬유들의 배향방향과 상기 제2 스킨층의 상기 단섬유들의 배향방향이 서로 엇갈린,
    샌드위치 구조체.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ASTM D790 에 따라 측정된 굴곡 강도가 202 MPa 초과이며,
    ASTM D790 에 따라 측정된 굴곡 탄성률이 14.7 GPa 초과인,
    샌드위치 구조체.
KR1020180005682A 2017-11-07 2018-01-16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 KR10220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82A KR102202854B1 (ko) 2018-01-16 2018-01-16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
US16/762,167 US11421092B2 (en) 2017-11-07 2018-08-17 Method for preparing unidirectionally aligned dis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 composite material, unidirectionally aligned dis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 composite material, and sandwich structure
EP18875897.3A EP3708346A4 (en) 2017-11-07 2018-08-17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WITH REINFORCEMENT BY UNIDIRECTIONAL, DISCONTINUOUS FIBERS, COMPOSITE MATERIAL WITH REINFORCEMENT BY UNIDIRECTIONAL, DISCONTINUOUS FIBERS
PCT/KR2018/009463 WO2019093628A1 (ko) 2017-11-07 2018-08-17 불연속 일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의 제조방법, 불연속 일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 및 샌드위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82A KR102202854B1 (ko) 2018-01-16 2018-01-16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93A KR20190087193A (ko) 2019-07-24
KR102202854B1 true KR102202854B1 (ko) 2021-01-13

Family

ID=6748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682A KR102202854B1 (ko) 2017-11-07 2018-01-16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8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8812A (en) * 1990-11-28 1993-01-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of making composites having improved surface properties
US7759267B2 (en) * 2006-04-05 2010-07-20 Azdel, Inc. Lightweight composite thermoplastic sheets including reinforcing sk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93A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4368B2 (en) Articles including high melt flow index resins
TWI547371B (zh) 碳纖維強化熱可塑性樹脂複合材料、使用其的成型體、以及電子設備框體用構件
DK1802453T3 (en) Infusionsstof for forming large composite structures
ES2900804T3 (es) Artículos que incluyen fibras sin torsión y métodos para su uso
JP5466076B2 (ja)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866287B1 (ko) 차량용 언더플로워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00248573A1 (en) Flexible 3-d textile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JP2014004797A (ja) 成形用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47837A (ko) 3차원 니트 스페이서 직물 샌드위치 복합재
US8007893B2 (en) Reinforcement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same
CN107407544B (zh) 防弹片材以及所述片材的用途
US11421092B2 (en) Method for preparing unidirectionally aligned dis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 composite material, unidirectionally aligned dis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 composite material, and sandwich structure
CN112020426B (zh) 纤维互锁夹层
KR102202854B1 (ko) 우수한 성형성과 높은 구조 강성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체
KR102217436B1 (ko)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1106650A1 (ja) 繊維強化複合材料およびサンドイッチ構造体
WO2021106649A1 (ja) 繊維強化複合材料およびサンドイッチ構造体
KR102307984B1 (ko) 불연속 일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불연속 일방향 배향 섬유강화 복합재
JPH1015978A (ja) 繊維強化樹脂複合体の製造方法
KR102340130B1 (ko)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를 표면층으로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JPH1158536A (ja) 繊維強化樹脂複合体の製造方法
JPH1044321A (ja) ガラス繊維強化樹脂複合体
JPH10128788A (ja) 繊維強化樹脂複合体の製造方法
NL1025846C2 (nl) Versterkingsmaterialen, versterkingsdekens, en composieten omvattende deze versterkingsmaterialen.
KR20200134793A (ko) 샌드위치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