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305B1 -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305B1
KR102202305B1 KR1020200115404A KR20200115404A KR102202305B1 KR 102202305 B1 KR102202305 B1 KR 102202305B1 KR 1020200115404 A KR1020200115404 A KR 1020200115404A KR 20200115404 A KR20200115404 A KR 20200115404A KR 102202305 B1 KR102202305 B1 KR 102202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door
locking
lock assembly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훈
Original Assignee
양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훈 filed Critical 양병훈
Priority to KR102020011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05B2015/1664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for lock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고, 도어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입력 신호에 따라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가 구비된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가 구비되는 도어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된 제 2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가변형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Variable door lock assembly}
본 발명은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시공자가 도어록을 설치하고자 하는 도어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각 몸체간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은 기존의 열쇠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칩, 스마트 카드, 지문 등을 활용하는 첨단 잠금장치이다. 모든 디지털도어록은 전자키, 비밀번호, 카드 혹은 지문인식을 이용, 전자적인 반응에 의하여 문을 여닫는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을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은 단순히 출입문을 막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필요시 출입을 제한 또는 개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절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몸체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몸체는, 서로 결합되는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은, 그의 크기가 조절되기 쉽지 않으며, 각기 다른 두께의 도어에 도어록을 시공하고자 할때에는, 이때 사용되는 브라켓을 두께별로 가지고 있거나, 현장에서 이를 직접 가공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시공자의 피로를 증가시키고 도어록 설치를 요청한 신청인 역시 비용에 많은 부담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형상의 가변형 브라켓을 이용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기술자가 이를 설계하기 용이하지 못하고, 그의 구성이 복잡하여, 현장에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2039호 “전자도어록 설치용 브라켓"과 같은 전자 도어록을 도어에 부착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가 별도의 브라켓을 항상 소지한 상태로 시공에 임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번호키가 부착되는 도어록 몸체와 잠금부가 구비되는 도어록의 몸체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도어의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용이하게 도어록 시공이 가능한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는, 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고, 도어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입력 신호에 따라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가 구비된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가 구비되는 도어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된 제 2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가변형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각각에는, 도어와 맞닿는 면에 구비되어 각각의 몸체와 도어의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력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력 형성부는, 상기 도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내부 둘레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 1 몸체 둘레의 측면에 문열림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형 고정부는, 제 1 몸체에서 도어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어 길이를 형성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몸체에서 제 1 결합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는, 서로 끼워 맞춤되어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대향되는 면의 각각에는, 상기 입력부와 잠금부를 연동시키는 접속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 단자 삽입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접속 단자는, 권취롤러에 의해 길이 가변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돌출 또는 복귀되는 잠금돌기 및 상기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가 부착되는 도어의 도어틀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마련된 잠금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형성된 잠금돌기 수용홈은, 잠금돌기의 형상에 따라 수용홈의 형상이 변형되어 잠금돌기의 돌출면을 감싸는 가변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수용홈은, 잠금돌기가 수용되는 가변 수용홈의 내측면으로 탄성 스프링이 구비된 복수의 환봉 다발이 구비되어, 돌출되는 잠금돌기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환봉 다발이 변형되어 잠금돌기의 표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원통형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는, 제 2 몸체의 중심에서 제 2 몸체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 1 몸체를 보호하는 방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호 하우징은, 상기 제 1 몸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방호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 2 입력부를 통해 잠금 또는 해제되어 방호 하우징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각기 다른 두께를 갖는 도어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는, 고정력 형성부가 구비되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도어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열림 버튼은, 제 1 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도어록의 부정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부는, 가변 수용홈이 구비된 잠금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잠금부에 구비되는 잠금돌기의 형상이 달라지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는, 방호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제 2 몸체의 외부를 감싸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 2 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후면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몸체가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고정부가 끼워 맞춤 방식으로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의 (a) 및 (b) 는, 도 5 의 A-A' 를 기준으로 수평 절단한 후, 이를 상측에서 바라보아 가변형 고정부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고정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의 결합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조립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열림 버튼이 측면에 구비된 제 1 몸체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취 롤러에 의해 인출되는 접속 단자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수용홈이 구비된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수용홈이 구비된 잠금 플레이트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내부 투상도이다.
도 13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몸체가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 는 방호 하우징이 부착된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5 의 (a) 및 (b) 는 방호 하우징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5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후면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4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몸체가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는, 제 1 몸체(100), 제 2 몸체(200) 및 가변형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몸체(100)는, 도어(D)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잠금부(1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몸체(100)는 도어(D)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잠금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잠금부(110)는 제1 몸체(100)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며 복귀되도록 형성되고, 측방으로 돌출될 시에는 도어틀에 인입되어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10)는,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잠금돌기(111)와, 사용자가 잠금 돌기(111)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레버(L) 및 버튼 방식으로 잠금돌기(111)를 제어하는 스위치(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110)는, 이후 서술될 입력부(210)의 입력 신호에 따라 돌출 및 복귀되는 잠금돌기(111)로 하여 도어(D)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돌기(111)의 형상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비되는 두개의 돌출 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한 개의 환봉 혹은 세개 이상의 잠금돌기(111)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100)는,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위한 예시적인 예일 뿐, 마름모 형상의 블록, 혹은 타원형의 몸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200)는, 상기 제 1 몸체(100)가 구비되는 도어(D)의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입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210)는, 상기 잠금부(110)로 하여 입력신호를 전달하고, 잠금돌기(111)를 돌출 또는 복귀시키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번호키, 지문인식, 홍채 인식, 패턴입력장치 등의 보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210)에는, 사용자가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별도 구성인 전자열쇠(카드키)로 하여 잠금부(110)를 제어할 수 있는 카드키 인식부(K)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형 고정부(300)는, 앞서 서술된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를 연결하되, 상기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형 고정부(300)는,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 참조될 도면 5 내지 8 을 바탕으로 자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각각에는, 도어(D)와 각 몸체(100, 200)간의 긴밀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는 고정력 형성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력 형성부(400)는, 브라켓(B)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B)에는, 고정볼트 체결홀(410)과, 상기 고정볼트 체결홀(410)에 볼팅되는 고정 볼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B)은, 상기 도어(D)의 길이방향, 즉, 몸체(100, 2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길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브라켓(B)은 몸체(100, 200)보다 상/하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 200)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는 브라켓(B)의 내면에 고정력 형성부(400)의 브라켓(B)과 도어(D)를 동시에 관통할 수 있는 고정 볼트(420)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볼트 체결홀(410)이 구비될 수 있다.
시공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시공자는 제 1 몸체(100)(이때,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에 구비되는 고정력 형성부(400)의 시공방법은 동일하며, 수월한 설명을 위해 제 1 몸체(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의 안쪽면, 즉, 도어(D)와 맞닿는 면에 고정력 형성부(400)를 볼팅시킨다.
다음으로, 고정력 형성부(400)가 고정된 제 1 몸체(100)를 도어(D)에 밀착시킨 후, 소정 길이 튀어나와 있던 고정력 형성부(400)의 고정볼트 체결홀(410)에 고정 볼트(420)를 체결하여 이를 고정시킨다.
한편,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 2 몸체(200) 역시, 동일한 시공 방법을 가지며, 이때, 제 2 몸체(200)에 구비되는 고정력 형성부(400)의 고정볼트 체결홀(410)을, 제 1 몸체(100)에 구비되는 고정력 형성부(400)의 고정볼트 체결홀(410)과 상응하는 위치에 배열하여, 함께 볼팅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고정부가 끼워 맞춤 방식으로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 의 (a) 및 (b) 는, 도 5 의 A-A' 를 기준으로 수평 절단한 후, 이를 상측에서 바라보아 가변형 고정부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고정부(300)는,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용이한 간격 조절을 위한 제 1 결합부(310) 및 제 2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제 1 몸체(100)에서 도어(D)에 부착되는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어 길이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320)는, 제 2 몸체(200)에서 제 1 결합부(310)의 방향으로 수직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내부에는 수용홈(311)이 형성되고, 제 2 결합부(320)는 상기 제 1 결합부(310)에 형성된 수용홈(311)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기다란 바(BAR)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310)로 삽입되는 제 2 결합부(320)의 단부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며 안쪽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경사부(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결합부(310)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10)에 끼워지는 제 2 결합부(320)에 형성된 경사부(321)의 각도와 맞물리는 각도를 가지는 경사를 가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결합부(310)에 끼워진 제 2 결합부(320)가 제 1 결합부(310)의 수용홈(311)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 2 결합부(320)가 제 1 결합부(310)에 최초로 끼워질 때, 경사부(321)에 의해 제 2 결합부(320)가 제 1 결합부(310)에 끼워지는 직경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 인해, 수용홈(311)에 곧바로 끼워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결합부(310)에는, 제 1 결합부(3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홈(311)의 측면을 감싸는 커버(312) 및 상기 커버(312)를 제 1 결합부(31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시공자는, 제 2 결합부(320)를 제 1 결합부(310)의 수용홈(311)에 수평하게 끼워넣은 후, 제 1 결합부(310)의 커버(312)를 제 1 결합부(310)의 몸체에 볼트(313)로 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제 2 결합부(320)를 제 1 결합부(310)의 수용홈(311)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제 2 결합부(320)가 제 1 결합부(310)의 개방된 부분, 즉, 제 1 결합부(310)의 측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끼워 맞춰진 제 1 결합부(310)와 제 2 결합부(320)는, 도 6 의 (a) 내지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운동 가능하되, 형성된 경사로 하여 완전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고정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8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의 결합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조립도이다.
도 7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고정부(300)는, 앞서 상술된 가변형 고정부와 마찬가지로,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용이한 간격 조절을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제 3 결합부(330) 및 제 4 결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결합부(330) 및 제 4 결합부(340)는 제 1 결합부(310) 및 제 2 결합부(320)와 서로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께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 1 결합부(310)와 제 2 결합부(320)가 이용될 경우, 제 3 결합부(330)와 제 4 결합부(340)는 생략될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제 1 결합부(310)와 제 2 결합부(320)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결합부(330)는, 제 1 몸체(100)에서 도어(D)에 부착되는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어 길이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결합부(340)는, 제 2 몸체(200)에서 제 3 결합부(330)의 방향으로 수직 연장될 수 있으며, 일측으로, 물결무늬(파형) 형상의 돌기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결합부(330)에는, 상기 제 4 결합부(340)에 형성된 돌기부(341)와 상응하는 형상의 수용부(3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4 결합부(340)에 형성된 돌기부(341)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해, 제 4 결합부(340)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가압수단(3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수단(332)은, 상기 제 3 결합부(330)의 몸체에 형성된 볼트홈에 볼트(333)를 끼워넣어, 이를 조이는 방식으로 제 3 결합부(330)와 제 4 결합부(340)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서술된 제 1 내지 4 결합부재(310, 320, 330, 340)의 결합 방식은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열림 버튼이 측면에 구비된 제 1 몸체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의 잠금부(110)가 구비되는 제 1 몸체(100)의 측면에는, 문열림 버튼(OC)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몸체(100) 에는, 잠금돌기(111)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문열림 버튼(OC)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문열림 버튼(OC)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스위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문열림 버튼(OC)은 사용자가 실내에서 잠금돌기(111)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 실내에서 외부로 나갈 시에 문열림 버튼(OC)을 누르게 되면 도어틀과 결속되어 있던 잠금돌기(111)가 제1 몸체(100) 내부로 인입되어 도어(D)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즉, 실외에서는 상술한 입력부(210)로 하여금 도어(D)를 개방하고, 실내에서는 문열림 버튼(OC)으로 도어(D)를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취 롤러에 의해 인출되는 접속 단자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몸체(100) 혹은 제 2 몸체(200)의 둘 중 하나의 몸체에는, 입력부(210)와 잠금부(110)의 구성을 연동시킬 수 있는 접속 단자(CA)가 삽입되는 접속 단자 삽입홈(5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 단자(CA)는, 넓은 면의 형상을 가지는 전선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입력부(210)와 잠금부(110)를 연동시킬 수 있는 접속 단자 또는 전선 및 케이블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CA)는, 권취롤러(500)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10)가 구비되는 제 2 몸체(200)의 내부에 권취롤러(500)가 내장되어, 이를 제 1 몸체(100)에 형성된 접속 단자 삽입홈(510)의 방향으로 이를 인출하여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권취롤러(500)에서 인출되어, 접속 단자(CA)가 몸체(100, 200)에 결합되는 위치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앞서 상술되었던 가변형 고정부(300)의 간격 조절 부분의 사이로 접속 단자(CA)가 삽입되도록 위치되고, 가변형 고정부(300)의 프레임, 즉, 가변형 고정부(300)의 안쪽 벽면을 따라 몸체(100, 2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를 구비하고자 하는 도어(D)의 두께에 관계 없이, 제 2 몸체(200)에 구비되어 있는 권취롤러(500)로 하여, 접속 단자(CA)를 인출하여, 도어(D)에 상응하는 두께(길이)로 조절한 뒤, 이를 제 1 몸체(100)에 접속시켜, 용이한 시공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수용홈이 구비된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수용홈이 구비된 잠금 플레이트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내부 투상도이다.
서술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는, 바람직하게는 도어(D)와 도어틀(DF)간의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하나의 도어(D)가 다른 도어(D)와의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해, 한 도어(D)에는 이후 서술될 잠금 플레이트(600)가, 다른 도어에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의 잠금부(110)는, 앞서 서술된 잠금돌기(111)와, 상기 잠금돌기(111)가 돌출될 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잠금 플레이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 플레이트(600)는, 상기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가 부착되는 도어(D)의 도어틀(DF)에 마련되며, 상기 잠금돌기(111)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로 함몰된 수용홈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돌기 수용홈은, 잠금돌기(111)의 형상에 따라 수용홈의 형상이 변형되어 잠금돌기(111)의 돌출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가변 수용홈(6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 수용홈(610)은, 잠금돌기(111)가 수용되는 잠금 플레이트(600)의 내측으로 탄성 스프링(611)이 구비된 복수의 환봉(612) 다발이 구비됨으로서, 돌출되는 잠금돌기(111)의 형상에 의해 복수의 환봉(612) 다발이 이에 맞도록 변형되어 잠금돌기(111)의 표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의 가변 수용홈(610)은, 잠금돌기(111)의 개체수 혹은 형상이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게 가변하도록 구비되어, 용이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도 13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몸체가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몸체(22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220)가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입력부(21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몸체(220)의 중심에서 제 2 몸체(22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주인이 외출시 도어록을 잠금 상태에서, 거수자의 부정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력부(210)의 위치를 도어(D)의 정면에서 측방으로 돌려 놓아, 입력부(210)의 위치를 숨길 수 있어 보안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4 는 방호 하우징이 부착된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15 의 (a) 및 (b) 는 방호 하우징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 1 몸체(100)를 보호할 수 있는 방호 하우징(7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호 하우징(700)은, 제 2 입력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 하우징(700)은,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의 몸체(100, 200)를 이루는 재질보다 강한 재질의 강철 혹은 탄소 합성체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한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부도체의 성질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호 하우징(700)은, 상기 제 1 몸체(10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방호하우징(700)의 외부 일측에 번호키 혹은 지문인식등과 같은 사용자 인식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거수자가 제 2 몸체(100)를 도어(D)에서 떼어내는 방법으로 부정한 방법으로 도어(D)를 개방하거나, 전기 충격기와 같은 전기 발생 물체를 제 2 몸체(200)에 사용하여, 도어록의 오작동을 유발하여 도어(D)를 개폐시키는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2 입력부(710)의 입력을 받은 방호 하우징(700)은, 방호 하우징(70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에 의해 제 2 몸체(200)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도어틀(DF)에 방호 하우징(700)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방호 하우징(700)에는 상기 제 2 입력부(710)의 입력에 따라 돌출 및 복귀되는 방호 하우징 잠금돌기(711) 및 도어틀(DF)에 구비되는 잠금돌기 삽입홈(71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호 하우징(700)은 도어틀(DF)에 단단히 결속되어,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거수자로부터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1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100 : 제 1 몸체
110 : 잠금부
111 : 잠금돌기
200 : 제 2 몸체
210 : 입력부
220 : 원통 형상의 몸체
300 : 가변형 고정부
310 : 제 1 결합부
311 : 수용홈
312 : 커버
320 : 제 2 결합부
321 : 경사부
330 : 제 3 결합부
331 : 수용부
332 : 가압수단
340 : 제 4 결합부
341 : 돌기부
400 : 고정력 형성부
410 : 고정볼트 체결홀
420 : 고정 볼트
500 : 권취롤러
510 : 접속 단자 삽입홈
600 : 잠금 플레이트
610 : 가변 수용홈
611 : 탄성 스프링
612 : 환봉
700 : 방호 하우징
710 : 제 2 입력부
711 : 방호 하우징 잠금돌기
712 : 잠금돌기 홈
OC : 문열림 버튼
D : 도어
DF : 도어틀
CA : 접속 단자
L : 레버
S : 스위치

Claims (9)

  1. 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고, 도어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입력 신호에 따라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가 구비된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가 구비되는 도어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된 제 2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가변형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대향되는 면의 각각에는,
    상기 입력부와 잠금부를 연동시키는 접속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 단자 삽입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접속 단자는,
    권취롤러에 의해 길이 가변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각각에는,
    도어와 맞닿는 면에 구비되어 각각의 몸체와 도어의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력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력 형성부는,
    상기 도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내부 둘레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 1 몸체 둘레의 측면에 문열림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고정부는,
    제 1 몸체에서 도어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어 길이를 형성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몸체에서 제 1 결합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는,
    서로 끼워 맞춤되어 고정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돌출 또는 복귀되는 잠금돌기 및
    상기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가 부착되는 도어의 도어틀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마련된 잠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플레이트에 형성된 잠금돌기 수용홈은,
    잠금돌기의 형상에 따라 수용홈의 형상이 변형되어 잠금돌기의 돌출면을 감싸는 가변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수용홈은,
    잠금돌기가 수용되는 가변 수용홈의 내측면으로 탄성 스프링이 구비된 복수의 환봉 다발이 구비되어, 돌출되는 잠금돌기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환봉 다발이 변형되어 잠금돌기의 표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8. 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고, 도어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입력 신호에 따라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가 구비된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가 구비되는 도어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된 제 2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가변형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는,
    원통형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는,
    제 2 몸체의 중심에서 제 2 몸체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 2 몸체를 보호하는 방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호 하우징은,
    상기 제 2 몸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방호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 2 입력부를 통해 잠금 또는 해제되어 방호 하우징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KR1020200115404A 2020-09-09 2020-09-09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KR102202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404A KR102202305B1 (ko) 2020-09-09 2020-09-09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404A KR102202305B1 (ko) 2020-09-09 2020-09-09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305B1 true KR102202305B1 (ko) 2021-01-12

Family

ID=7412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404A KR102202305B1 (ko) 2020-09-09 2020-09-09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3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228A (ja) * 2001-09-06 2003-03-12 Nobuyo Sakai 磁気カ─ドキ─使用の扉用二重錠
JP2004353318A (ja) * 2003-05-29 2004-12-16 Union Corp リモコン錠
KR200391427Y1 (ko) * 2005-04-26 2005-08-04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강화유리도어용 도어락셋 지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228A (ja) * 2001-09-06 2003-03-12 Nobuyo Sakai 磁気カ─ドキ─使用の扉用二重錠
JP2004353318A (ja) * 2003-05-29 2004-12-16 Union Corp リモコン錠
KR200391427Y1 (ko) * 2005-04-26 2005-08-04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강화유리도어용 도어락셋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650B2 (en) Lock assembly having securing engagement plate
US20070256850A1 (en) Tamper resistant electrical outlet cover assembly
US10122138B2 (en) One-piece connector for lock assembly and method of same
US11414889B2 (en) Electronic lock apparatus
US7665813B2 (en) Protection mechanism for connectors
KR102202305B1 (ko) 가변형 도어록 어셈블리
KR101037116B1 (ko) 촬영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얼굴 인식장치
US7587861B2 (en) Security cover for reciprocating gate arm
KR102064113B1 (ko) 프레임과 탄성 고정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EP3348754B1 (de) Fluchtwegterminal
US8881561B2 (en) Security device for a window handle or door handle
US20170370126A1 (en) High-strength Security Lock Cylinder
CN210666944U (zh) 一种新型的配电站安全防盗门禁装置
US6998981B1 (en) Secure screen
US9932755B2 (en) Door security device
JP2008184744A (ja) 電気錠
US7057885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personal computer
KR200165518Y1 (ko) 현관문 시건장치
EP2410625B1 (en) Tamper-proof socket outlet assembly
KR20080022285A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CN113167086B (zh) 具有钥匙式机械优先的机电式把手锁定的凸轮锁
JP3177828U (ja) 施錠機能付きハンドルカバー
JP4964626B2 (ja) 認証式キーシステムの読取装置
CN111691765A (zh) 一种具有身份识别功能的户外电力柜防盗取柜门装置
JP6999998B2 (ja) 内外のハンドル部材の取付け構造及びその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