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283B1 - 정보 처리 방법, 저장 매체 및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방법, 저장 매체 및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283B1
KR102202283B1 KR1020187022092A KR20187022092A KR102202283B1 KR 102202283 B1 KR102202283 B1 KR 102202283B1 KR 1020187022092 A KR1020187022092 A KR 1020187022092A KR 20187022092 A KR20187022092 A KR 20187022092A KR 102202283 B1 KR102202283 B1 KR 10220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printing device
display
information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663A (ko
Inventor
미츠루 곤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의 페어링의 실행에 대한 유저 확인을, 적절한 조건에서 행한다. 통신 장치로서의 프린터로부터 발신된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그 프린터가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프린터가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프린터인 경우에는, 페어링의 실행을 유저에게 확인한다. 유저에 의해 페어링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 혹은 프린터가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프린터인 경우에는, 프린터와 정보 처리 장치의 통신의 페어링을 위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방법, 저장 매체 및 정보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의 페어링을 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저장 매체 및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간에 있어서의 통신의 페어링에 있어서는, 그들 장치간에서 디바이스 정보 등이 교환된다. 특허문헌 1에는, 촬상 장치와 휴대 장치가 미리 페어링을 행함으로써, 전파가 도달하는 거리에 양자가 접근하면, 자동적으로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3409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장치 A와 장치 B의 페어링이 장치 A의 유저에 의한 확인 없이 실행 가능한 경우, 장치 A의 유저가 장치 B와의 페어링을 의도하지 않는 경우에도, 그 페어링이 행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가령, 장치 A에 있어서, 페어링의 필요 여부를 항상 유저에게 확인한 경우에는, 유저가 페어링을 인지하고 있는 장치에 대해서도, 그 확인이 요구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의 페어링의 실행에 대한 유저 확인을, 적절한 조건에서 행할 수 있는 정보 처리 방법, 저장 매체 및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발신된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공정과, 상기 판단 공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 페어링의 실행을 유저에게 확인하는 확인 공정과, 상기 확인 공정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페어링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 혹은 상기 판단 공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의 페어링을 위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공정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의 페어링의 실행에 대한 유저 확인을, 적절한 조건에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수신 처리와 소비 전력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3은, BLE에 있어서의 애드버타이즈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의 페어링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5a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5b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6a는,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설명도이다.
도 6b는,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페어링 처리 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7b는, 페어링 처리 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7c는, 페어링 처리 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8a는, 페어링 처리 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8b는, 페어링 처리 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8c는, 페어링 처리 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9는, 페어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페어링의 실시 확인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11a는, 인쇄 실행 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11b는, 인쇄 실행 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11c는, 인쇄 실행 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페어링 처리와 추가 화상 데이터 확인 처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추가 화상 데이터 확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재기동 처리 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페어링 처리와 재기동 시 처리와 회복 처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재기동 시 처리와 회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핸드오버 처리 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페어링 처리와 인쇄 버튼 표시 처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인쇄 버튼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핸드오버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Wi-Fi Direct 접속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AP 모드 접속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강제 AP 모드 접속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페어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은,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정보 표시 다이알로그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부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기초하여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적절하게 변경, 개량이 더해진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간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시하는 스마트폰에만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 노트북 PC, 태블릿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것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통신 장치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시하는 프린터(기록 장치)에만 한정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라면, 다양한 것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린터로서는, 잉크젯 프린터, 풀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 모노크롬 프린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로서는, 프린터뿐만 아니라,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휴대 단말기,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단말기, PDA,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 디바이스, 텔레비전 등도 적용 가능하다. 그 밖에, 복사 기능, FAX 기능, 기록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기도 적용 가능하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과, 그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예로 기재하지만, 본 실시 형태는 통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에 관하여 적용 가능한 것이며, 이 도면과 같이 기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장치)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101)는, 입력 인터페이스(102), CPU(103), ROM(104), RAM(105), 외부 기억 장치(106), 출력 인터페이스(107), 표시부(108), 통신부(109),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 촬영 장치(111) 등을 갖는다.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유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및 동작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물리 키보드, 버튼,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이 입력 인터페이스(102)와, 후술하는 출력 인터페이스(107)를 동일한 구성으로 하여, 유저로부터의 조작의 접수와, 화면의 출력을 동일한 구성에 의해 행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CPU(103)는 시스템 제어부이며, 정보 처리 장치(101)의 전체를 제어한다.
ROM(104)은, CPU(103)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및 내장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라고 함)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ROM(104)에 저장되어 있는 각 제어 프로그램은, ROM(104)에 저장되어 있는 내장형 OS의 관리 하에 있어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치 및 인터럽트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제어한다. RAM(105)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RAM(105)은,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백업용 1차 전지에 의해 데이터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제어 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1)의 설정 정보, 및 정보 처리 장치(101)의 관리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도, RAM(105)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RAM(105)은, CPU(103)의 주 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외부 기억 장치(106)는, 각종 프로그램, 및 이들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각종 정보를 보존하고 있다. 외부 기억 장치(106)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으로서는, 기록의 실행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후, 「인쇄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함), 및 통신 장치(151)가 해석 가능한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정보 생성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9)를 통하여 접속되는 통신 장치(151)와의 사이에 있어서 송수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제어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또한, 외부 기억 장치(106)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인터넷으로부터, 통신부(109)를 통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도 보존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07)는, 표시부(108)에 의해 데이터를 표시 및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표시부(108)는, LED(발광 다이오드) 및 LCD(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의 표시 및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한다. 또한, 표시부(108) 상에, 수치 입력키, 모드 설정키, 결정키, 취소키 및 전원키 등의 키를 구비하는 소프트 키보드를 설치함으로써, 표시부(108)를 통하여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할 수도 있다.
통신부(109)는, 통신 장치(151) 등의 장치와 접속됨으로써, 그 장치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09)는, 통신 장치(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 가능하다. 통신부(109)와 통신 장치(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된다. 통신부(109)는,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 장치(151)와 직접 통신해도 되고, 혹은 정보 처리 장치(101) 및 통신 장치(151)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하여 통신해도 된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등록 상표)나 Bluetooth(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31)로서는, 예를 들어 무선 LAN 라우터 등의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되는 방식을, 다이렉트 접속 방식이라고 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방식을,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방식이라고 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는, 통신 장치(151) 등의 장치와, 근거리에 있어서 무선 접속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통신부(109)와는 상이한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는, 통신 장치(151)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와 접속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의 통신 방식으로서, Bluetooth Low Energy(BLE)가 사용된다.
촬영 장치(111)는, 촬영 소자를 사용하여 촬영한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데이터는, 일단, RAM(105)에 저장된 후, CPU(154)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화상 포맷으로 변환되고 나서, 화상 데이터로서 외부 기억 장치(106)에 보존된다. ROM(152)은, CPU(154)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및 OS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 장치)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장치(151)는, ROM(152), RAM(153), CPU(154), 프린트 엔진(155), 통신부(156),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입력 인터페이스(158), 출력 인터페이스(159) 및 표시부(160) 등을 갖는다.
통신부(156)는, 통신 장치(151) 내부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정보 처리 장치(101) 등의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갖고 있다. 이 액세스 포인트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통신부(109)에 접속 가능하다. 통신부(156)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1)와 직접 통신해도 되고, 혹은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하여 통신해도 된다.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Wi-Fi(상표 등록)나 Bluetooth(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6)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하드웨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통신부(156)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해도 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정보 처리 장치(101) 등의 장치와, 근거리에 있어서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통신 방식으로서, Bluetooth Low Energy(BLE)가 사용된다.
RAM(153)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SRAM 등에 의해 구성된다. RAM(153)은,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백업용 1차 전지에 의해 데이터를 유지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제어 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RAM(153)에는, 통신 장치(151)의 설정 정보, 및 통신 장치(151)의 관리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도 설정되어 있다. 또한, RAM(153)은, CPU(154)의 주 메모리 및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되며, 정보 처리 장치(101) 등으로부터 수신한 기록 정보를 일단 보존하기 위한 수신 버퍼, 및 각종 정보의 보존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ROM(152)은, CPU(154)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및 OS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ROM(152)에 저장되어 있는 각 제어 프로그램은, ROM(152)에 저장되어 있는 내장형 OS의 관리 하에 있어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치 및 인터럽트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제어한다. CPU(154)는 시스템 제어부이며, 통신 장치(151)의 전체를 제어한다.
프린트 엔진(155)은, RAM(153)에 보존된 정보, 및 정보 처리 장치(101) 등으로부터 수신한 기록 작업에 기초하여, 잉크 등의 기록제를 사용하여 종이 등의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고, 그 기록 결과를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기록 작업은, 송신 데이터양이 커서 고속 통신이 요구되기 때문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보다 고속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부(156)를 통하여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58)는, 유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및 동작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물리 키보드, 버튼 및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 입력 인터페이스(158)와, 후술하는 출력 인터페이스(159)를 동일한 구성으로 하여, 화면의 출력과, 유저로부터의 조작의 접수를 동일한 구성에 의해 행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출력 인터페이스(159)는 표시부(160)를 제어하고, 표시부(160)에 의해 데이터를 표시시킴과 함께 통신 장치(151)의 상태를 통지시킨다.
표시부(160)는, LED(발광 다이오드) 및 LCD(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며, 데이터의 표시 및 통신 장치(151)의 상태의 통지를 행한다. 표시부(160) 상에, 수치 입력키, 모드 설정키, 결정키, 취소키 및 전원키 등의 키를 구비하는 소프트 키보드를 설치함으로써, 표시부(160)를 통하여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151)에는, 옵션 기기로서 외장형 HDD 및 SD 카드 등의 메모리가 장착되어도 되고, 그들 메모리에, 통신 장치(151)에 보존되는 정보를 보존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의 처리 분담은, 본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여도 된다.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및 BLE 접속 요구의 수신)
이어서, BLE 규격에 있어서의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및 GATT(Generic Attribute Profile) 통신의 개시 요구의 수신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가 슬레이브 기기로서 동작하여, 그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가 이들의 처리를 행하기로 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2.4GHz의 주파수대를 40채널(0 내지 39ch)로 분할하여 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그들 40채널 중, 37 내지 39번째 채널을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및 BLE 접속 요구의 수신에 이용하고, 0 내지 36번째 채널을 BLE 접속 후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한다.
도 2는,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할 때의, 각 처리별 소비 전력의 설명도이며, 그 종축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그 횡축이 시간을 나타낸다. 전력 Tx(205)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처리(송신 처리)에 있어서의 총 소비 전력이고, 전력 Rx(206)는, BLE 접속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유효로 해 두는 처리(수신 처리)에 있어서의 총 소비 전력이다. 송신 전력(202)은, 송신 처리에 의한 순간 소비 전력이고, 수신 전력(203)은, 수신 처리에 의한 순간 소비 전력이다. 마이크로컴퓨터 동작 전력(201)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내의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의 순간 소비 전력이다. 전력 Tx(205)와 전력 Rx(206)의 소비 전후, 및 그들 사이에 있어서도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하고 있는 이유는, 송신, 수신 처리의 실행 및 정지를 위해서는, 사전에 마이크로컴퓨터가 기동되어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여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채널의 수만큼,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하지 않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에는, 슬립 전력(204)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순간 소비 전력으로 된다. 이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소정의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 처리를 행한 후,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여 일정 시간 수신 처리를 행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의 BLE 접속 요구의 송신을 대기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처리와 수신 처리를 채널(37 내지 39ch)별로 3회 반복한 후,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정지시켜, 일정 시간 전력 절약 상태로 된다. 이하, 소정의 채널에 의한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처리와 수신 처리의 조합을 애드버타이즈라고 한다. 또한, 소정의 채널에 의해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애드버타이즈 간격이라고 한다. 또한, 1회째 애드버타이즈를 행하고 나서 전력 절약 상태로 될 때까지 반복하는 애드버타이즈의 횟수는, 3회 이하이면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페어링)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의 사이에 있어서 인증을 행함으로써, 장치간에서 GATT(Generic Attribute Profile) 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판독 기입을 실행하기 위한 페어링 처리를 실시한다. GATT란, BLE 규격에 있어서 정보의 판독 기입(송수신)을 담당하는 프로파일이다. GATT 통신이란, 정보 처리 장치(101)가 GATT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담당하고, 통신 장치(151)가 GATT 서버의 역할을 담당하여, GATT 베이스의 프로파일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기입이 행해지는 통신이다.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에서의 페어링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신 장치(151)는, GATT 통신에 의한 정보의 판독 기입을 허가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페어링을 행하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통신을 행해 버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가 유지하는 정보가 페어링을 행하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101)에 부주의하게 취득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페어링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101)는, 후술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그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초기 화면(홈 화면)이 표시부(108)에 표시된 경우에, 특정한 장치 정보를 갖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서치를 개시한다. 특정한 장치 정보란, 예를 들어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장치(프린터 등)의 UUID나 MAC 어드레스 등이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1)는, 특정한 장치 정보를 갖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 장치(여기서는, 통신 장치(151))에, BLE 접속 요구(CONNECT_REQ)를 송신하고, 장치간에서 BLE 접속을 확립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와의 페어링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에게 페어링을 촉구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1)는, 페어링의 실행을 유저에게 지시받은 경우에, 시큐리티 매니저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에 의해, 통신 장치(151)에 페어링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페어링이 종료될 때까지, 장치간의 통신은 시큐리티 매니저 프로토콜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페어링을 위한 인증 방법으로서, PIN 코드 인증을 행한다. PIN 코드 인증이란, 특정한 유저에게만 정보의 송수신을 제한하기 위해, 양쪽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문자가 일치한 경우에만, 송수신을 허가하는 인증 방법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IN 코드 인증에 대하여,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의 사이에 있어서의, PIN 코드 인증에 의한 페어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101)가 통신 장치(151)에 페어링을 요구함으로써, 페어링 처리가 개시된다. 통신 장치(151)는 페어링의 요구를 받으면, 표시부(160)(도 1 참조)에,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PIN 코드 표시 화면(200)을 표시한다. PIN 코드 표시 화면(200)에는 PIN 코드(인증 정보)(201)가 표시되고, Cancel 버튼(202)이 선택되면, 페어링 처리가 취소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표시부(108)(도 1 참조)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IN 코드 입력 화면(210)이 표시되고, Cancel 버튼(212)이 선택되면, 페어링 처리가 취소된다.
유저가, PIN 코드 입력 화면(210)의 PIN 코드 입력 영역(211)에 PIN 코드(201)를 입력하여, OK 버튼(213)을 선택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1)는, 입력된 PIN 코드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통신 장치(151)는,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PIN 코드와, 도 5a의 PIN 코드 표시 화면(200)에 표시한 PIN 코드(201)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것들이 일치한 경우에 페어링 처리가 실행된다. 본 예에 있어서의 페어링 처리는, BLE의 SMP(Security Manager Protocol)를 이용한 페어링 처리이며, 전술한 PIN 코드를 바탕으로 소정의 방법에 의해 작성한 링크 키를 교환한다. 교환한 링크 키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외부 기억 장치(106), 및 통신 장치(151)의 ROM(152)에 각각 보존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페어링이 완료되면, 통신 장치(151)의 PIN 코드 표시 화면(200)은 자동적으로 비표시로 되고, 원래의 화면으로 천이한다.
페어링의 완료 후에, GATT 통신을 개시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1)는,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GATT 통신을 요구할 때, 정보 처리 장치(101)에 보존되어 있는 링크 키를 통지한다. 통신 장치(151)는, GATT 통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 페어링 처리 시에 통신 장치(151) 내의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링크 키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통지된 링크 키를 비교한다. 그리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GATT 통신 요구를 발신하고 있는 장치(정보 처리 장치(101))가 페어링 완료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가 페어링 완료 장치인 경우에는, 통신 장치(151)와 정보 처리 장치(101)의 사이에 있어서 GATT 통신에 의한 정보의 판독 기입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1)는, 일단, 통신 장치(151)와의 페어링 처리를 완료해 두면, 이후에는, 유저에 의한 PIN 코드의 입력 없이, 통신 장치(151)와의 GATT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PIN 코드 입력 영역(211)에, PIN 코드 입력 화면(210)에 표시되어 있는 PIN 코드(201)를 유저에게 입력시키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PIN 코드(210)를 고정(유저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음) 정보로 하여,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과 함께 정보 처리 장치(101)에 저장되는 형태로 함으로써, 유저의 입력 없이 PIN 코드(210)가 통신 장치(151)에 통지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페어링 처리가 개시되는 타이밍도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유저가 인쇄를 지시한 타이밍, 혹은 접속 설정 처리에 있어서 BLE 접속이 행해지기 전의 타이밍 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PIN 코드 없이 페어링을 실시해도 되며, 이 경우에는 GATT 통신의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전술한 PIN 코드 대신에 암호키를 표시 또는 입력함으로써, 통신 장치(151)의 표시부(160)의 표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유저에게만 해독 가능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애드버타이즈의 정보)
도 6a는, 애드버타이즈 신호 중 페이로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애드버타이즈 페이로드(500)는, 애드버타이즈 어드레스(도면 상, 「AdvA」라고 표기)(510)와, 애드버타이즈 데이터(도면 상, 「AdvData」라고 표기)(5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애드버타이즈 어드레스(510)는,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고유로 할당된 정보이다. 애드버타이즈 데이터(520)는, 복수의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도면 상, 「AD_Structure 1, 2, …, N」이라고 표기)(520(1), 520(2), …, 520(N))을 가지며, 그것들이 소정의 용량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패딩한다.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520)(520(1), 520(2), …, 520(N))은, 데이터 길이(521), 애드버타이즈 타입(522) 및 실제 데이터(523)의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도 6a에 있어서는, 데이터 길이(521)는 「Length」라고 표기하고, 애드버타이즈 타입(522)은 「AD Type」이라고 표기하고, 실제 데이터(523)는 「Data」라고 표기한다.
도 6b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520)에 저장하는 데이터(503)의 설명도이다. 도 6b에 있어서는, 3개의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도면 상, 「AD Structure1」, 「AD Structure2」, 「AD Structure3」이라고 표기)(520(1), 520(2), 520(3))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520(1))의 데이터는, BLE의 데이터 포맷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520(2))에는, 통신 장치(151)의 고유한 정보가 저장된다. 본 예에 있어서의 영역(520(2))의 데이터 길이(Length)는, 애드버타이즈 타입(AD Type)과 실제 데이터(Data)의 데이터 길이가 7octet(1octet는 8bit를 의미함)임을 나타낸다. 애드버타이즈 타입은 실제 데이터 내의 정보의 의미를 나타내며, 본 예에 있어서의 「0xFF」는, 실제 데이터가 통신 장치(151)의 고유 정보임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 데이터로서는, 특정 정보와, 기능 및 상태의 정보가 저장된다. 통신 장치(151)의 특정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통신 장치의 제조 메이커 및 통신 장치의 용도(예를 들어, 가정용 혹은 오피스용)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를 들 수 있다. 실제 데이터로서는, 또한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504)는, 바이트 배열에 의해 저장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1octet째 영역에, 통신 장치가 프린트 기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세트되고, 프린트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value가 "1"로 되고, 프린트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value가 "0"으로 된다. 본 예의 경우, 통신 장치(151)는 프린트 엔진(155)(도 1 참조)을 갖고 있기 때문에, 1octet째 value는 "1"로 된다. 또한, 2octet째 value는, 통신 장치(151)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1"로 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된다. 예를 들어, 프린트 엔진(155)에 의한 기록 동작 중에 잉크가 고갈된 경우에는, 잉크 탱크의 교환이 필요하며, 잉크 탱크가 교환될 때까지 기록 동작의 대기 상태로 된다. 그 경우에는, 2octet째 value가 "1"로 된다. 16octet째 영역에는, 페이지 번호가 저장된다. 도면에 있어서는, 16octet째 value가 "0"으로 되어 있고, 그것이 "1"인 경우에는, 다른 octet에 상이한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페이지 번호 "0"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1octet째 영역에 프린트 기능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페이지 번호 "1"인 경우에는, 1octet째 영역에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에 저장할 수 있는 애드버타이즈의 사이즈에 제한이 있는 경우라도, 페이지 번호를 바꿈으로써 다른 정보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의 내용 및 데이터의 구조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조 메이커, 통신 장치의 기기 및 상태에 관한 정보의 조합을 일의적으로 식별 가능한 번호로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미리 정의해 둔다. 그리고, 통신 장치(151)가 상태 등에 따라 UUID를 선택하여,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애드버타이즈를 실시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UUID를 조합에 의해 복제 정의함으로써, 다른 통신 장치가 발신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 내의 UUID와의 우연의 일치(충돌 현상)를 피한다. 가령, 충돌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다른 통신 장치의 애드버타이즈를 정보 처리 장치(101)가 처리함에 따른 오동작이 발생한다.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520(3))에는, 통신 장치(151)의 명칭이 저장된다. 통신 장치의 명칭은, 장치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가변이다. 본 예에 있어서의 영역(520(3))의 데이터 길이(Length)는, 애드버타이즈 타입(AD Type)과 실제 데이터(Data)의 데이터 길이가 9octet임을 나타낸다. 애드버타이즈 타입은 실제 데이터 내의 정보의 의미를 나타내고, 본 예에 있어서의 「0x09」는, 실제 데이터가 통신 장치(151)의 명칭임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 데이터는 통신 장치(151)의 명칭으로 되며, 본 예의 경우, 그 명칭은 「PrinterA」이다.
통신 장치(151)에 의한 애드버타이즈 신호는, 도 3과 같이 정상적으로 송신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51)의 상태에 따라 변경된다. 또한,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송신은, 본 예와 같은 정상적인 송신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의 입력 인터페이스(158)를 통하여, 유저에 의한 조작이 행해졌을 때 등에 있어서, 특정한 조건에 합치한 경우에만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
이어서, 페어링 처리를 실시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특정한 화면으로 천이하였을 때, 페어링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외부 기억 장치(106)에 저장된 인쇄 실행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도록, 유저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102)를 통하여 지시를 받음으로써,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또한, 이후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151)를 프린터라고 표기한다.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8a, 도 8b, 도 8c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부(108)를 통하여 유저에게 표시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천이의 설명도이다. 도 7a의 사용 허락 계약 화면(600)은, 유저에게,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준수하는 조건 등을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다. 유저는 사용 허락 계약문(601)을 확인하여, 동의하는지 여부를 선택한다.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버튼(603)을 선택함으로써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다. 동의하는 경우에는, 버튼(602)을 선택함으로써, 도 7b의 메인 화면(604)으로 천이한다. 메인 화면(604)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주된 기능을 일람 표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의 외부 기억 장치(106) 등에 저장된 인쇄 대상이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버튼(605)을 선택한다. 버튼(605)을 선택함으로써, 도 8a의 화상 선택 화면(613)으로 천이한다. 인쇄 대상이 문서 데이터인 경우에는, 도 7b의 버튼(606)을 선택한다. 버튼(606)을 선택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문서 선택 화면으로 천이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도 7b의 프린터 등록 버튼(607)이 선택됨으로써, 프린터의 검색(특정) 및 등록의 처리를 행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프린터를 무선 통신의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 특정하기 위해, 프린터를 특정하는 정보 및 기능 정보 등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린터를 특정하는 정보로서는, 프린터의 식별 정보(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프린터의 명칭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린터의 기능 정보로서는, 인쇄 가능한 용지종 리스트 등, 프린터의 성능 등에 관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특정 정보와 기능 정보를 등록하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들 정보가 관련지어져 외부 기억 장치(106)에 보존된다. 이하, 이러한 등록 처리가 실행된 프린터를 「등록 프린터」라고 하고, 프린트 처리를 실행할 프린터를 「커런트 프린터」라고 한다. 또한, 복수의 프린터를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유저는, 프린트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등록 프린터 중에서 커런트 프린터를 선택한다. 물론, 등록 프린터가 하나라면, 그 프린터가 커런트 프린터로 된다. 프린터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도 7b의 프린터 등록 버튼(607)을 선택한다. 프린터 등록 버튼(607)을 선택함으로써, 도 7c의 프린터 등록 화면(608)으로 천이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프린터 등록 화면(608)으로 천이하고 나서, 통신부(109)를 사용하여 접속 중인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무선 LAN) 내에 접속된 프린터를 자동적으로 검색하고, 찾은 프린터를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프린터의 명칭에 의해 표시한다. 프린터 등록 화면(608)에 리스트업된 프린터군 중에서, 등록하고 싶은 프린터를 유저가 선택함으로써, 등록 프린터가 결정된다. 물론, 등록 프린터는 복수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c의 프린터 등록 화면(608)에 있어서는, 액세스 포인트명(609)으로서, 현재, 프린터가 접속 중인 액세스 포인트(131)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간략화된 액세스 포인트 A로 되어 있다. 모달 다이알로그(610)는, 실행 중인 처리를 명시하는 다이알로그를 표시한다. 다이알로그(610)의 표시 중에는, 그 밖의 표시 영역이 암전하여, 그 영역 내의 버튼 선택 등의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검색이 종료되면 다이알로그(610)는 비표시로 되고, 그 밖의 영역이 명전하여, 그 영역 내의 버튼 선택 등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프린터의 검색 결과는, 검색 결과 일람(611)에 표시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검색된 2대의 프린터(PrinterA 및 PrinterB)가 표시되어 있다. 리스트업된 프린터를 유저가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로 되고, 화면은 도 7b의 메인 화면(604)으로 천이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등록 프린터로서 1대만이 선택 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때문에, 선택 프린터가 커런트 프린터로 된다. 또한, 등록 프린터의 프린터 식별 정보, IP 어드레스, 프린터 명칭 등은 외부 기억 장치(106)에 저장된다.
메인 화면(604)의 화상 인쇄 버튼(605)을 선택함으로써, 화면은 도 8a의 화상 선택 화면(613)으로 천이한다. 화상 선택 화면(613)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외부 기억 장치(106)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섬네일 화상(614)이 표시되고, 유저가 섬네일 화상(614)을 선택함으로써, 인쇄 대상의 화상이 선택된다. 선택된 인쇄 대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상에는, 인쇄 대상임을 나타내는 체크 마크(615)가 표시된다. 인쇄 대상의 화상을 선택하고 나서, 인쇄 설정 버튼(616)을 선택함으로써, 화면은 도 8b의 인쇄 설정 화면(617)으로 천이한다.
인쇄 설정 화면(617)의 섬네일 표시 영역(618)에는, 인쇄 대상 화상의 섬네일 화상이 표시된다. 인쇄 대상의 화상은, 도 8a의 화상 선택 화면(613)에 있어서 체크 마크(615)를 붙인 섬네일 화상에 대응한다. 프린터명 표시 영역(619)에는, 커런트 프린터의 프린터명이 표시된다. 프린터명으로서는, 커런트 프린터에 관련지어서 보존되어 있는 통신 장치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명칭이 표시된다. 또한, 등록 프린터가 복수인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 선택 화면 등을 통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등록 프린터의 명칭이 커런트 프린터로서 표시되게 된다. 인쇄 조건 표시 영역(620)에는, 인쇄를 실행할 때의 인쇄 조건이 표시된다. 유저는, 도시하지 않은 인쇄 조건 변경 화면에 의해 인쇄 조건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유저는, 인쇄 개시를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지시할 때에는, 인쇄 개시 버튼(621)을 선택한다. 이에 의해, 화면은 도 8c의 인쇄 중 화면(622)으로 천이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인쇄 중 화면(622)으로 천이하고 나서, 커런트 프린터(본 예에서는, 프린터 A)에 대하여, 유저가 선택한 인쇄 대상 화상을 인쇄 조건 표시 영역(620)에 표시한 인쇄 조건에 따라 인쇄 처리하라는 지시를 송신한다. 인쇄 중 화면(622)의 인쇄 중 화상(623)은, 인쇄 대상 화상 중 현재 인쇄 중인 화상을 표시한다. 메시지(624)에는, 인쇄의 진척 및 스테이터스를 표시한다. 인쇄 중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여, 인쇄를 계속할 수 없거나, 중지되거나 한 경우에는, 그 상태를 메시지(624)에 표시하여 유저에게 전달한다. 취소 버튼(625)이 선택된 경우에는 인쇄를 중지하고, 앞 화면의 도 8b의 인쇄 설정 화면(617)으로 천이한다.
(페어링의 타이밍)
도 9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하는 페어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페어링 처리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직후에 실행된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101)는, 프린터가 발신한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수신하고(스텝 S1), OS로부터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수신이 통지된다. 그때, 애드버타이즈 신호 내에 저장된 정보(500)(도 6a, 도 6b 참조)도 OS로부터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수신이 통지되면, 페어링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
이러한 확인 처리에 대해서는,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8a, 도 8b, 도 8c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들 화면의 표시 중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유저에게 확인을 요구하는 상태이거나, 어떠한 처리를 실행 중인 상태이거나 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페어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7a의 사용 허락 계약 화면(600)을 표시 중일 때에는, 유저가 사용 허락 계약을 동의할 때까지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허가되지 않기 때문에,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수신해도 페어링 처리는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도 7c의 프린터 등록 화면(608)의 표시 중에 프린터의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그 프린터 검색 중의 모달 다이알로그(610)가 표시되어 있을 때 페어링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는, 복수의 다이알로그가 표시되어 유저에게 요구되는 조작이 복잡하게 되므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프린터의 검색이 종료되어, 모달 다이알로그(610)가 비표시로 되었을 때에는, 페어링 처리가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페어링 처리가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수신한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해석한다(스텝 S3).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520)에 저장된 데이터(503)를 해석한다.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해석이 종료된 후에는, 그 애드버타이즈가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 가능한 특정한 애드버타이즈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
본 예에서는, 전술한 도 6b의 통신 장치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애드버타이즈가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 가능한지 여부, 즉 페어링 처리가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통신 장치 특정 정보는, 제조 메이커, 통신 장치의 용도(예를 들어, 가정용 혹은 오피스용) 등의 통신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스텝 S4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제조 메이커에 관한 정보가 특정한 정보인 것을 조건으로, 페어링 처리가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가정용 프린터에 대응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 통신 장치 특정 정보로서 프린터가 오피스용이라고 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에는, 페어링 처리는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그 경우에, 통신 장치 특정 정보로서 프린터가 가정용이라고 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에는, 페어링 처리는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통신 장치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제조 메이커에 관한 정보가 특정한 정보이며, 또한 통신 장치 특정 정보에 프린터가 가정용이라고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페어링 처리가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페어링 처리가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통신 장치명에 기초하여,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대응한 특정한 이름의 프린터에 대해서만 페어링 처리가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504)에 기초하여, 페어링 처리가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에 프린트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페어링 처리를 하지 않는다. 또한, 프린터가 에러 상태에 있고, 또한 프린터의 에러 정보를 취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정보 처리 장치(101)에 인스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페어링 처리를 하지 않고, 에러 정보를 취급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유저를 유도해도 된다.
애드버타이즈가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로부터 스텝 S5로 이행하고, 정보 처리 장치(101)는, 과거에 페어링 처리한 통신 장치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또한, 페어링 처리에 의해 링크 키가 교환된 경우,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기억 장치(106)에, 통신 장치 특정 정보와 링크 키를 대응지어서 보존한다. 스텝 S5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링크 키와 대응지어져 보존되어 있는 통신 장치 특정 정보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그 후,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페어링 완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수신한 애드버타이즈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장치 특정 정보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의 명칭이, 상기 리스트의 통신 특정 정보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의 명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페어링 완료, 즉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발신하고 있는 통신 장치의 링크 키가 이미 외부 기억 장치(106)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미 페어링 완료인 경우, 도 9의 플로우는 종료된다. 또한, 스텝 S6에 있어서 페어링 완료임을 확인함으로써, 후술하는 확인 다이알로그(800)의 불필요한 표시 및 확인을 방지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으로부터 스텝 S7로 이행하여, 애드버타이즈를 발신하고 있는 프린터가 전술한 등록 프린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애드버타이즈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장치 특정 정보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의 명칭이, 외부 기억 장치(106)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프린터의 명칭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애드버타이즈를 발신하고 있는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페어링을 실시할지 여부의 확인(스텝 S8)은 하지 않고, 페어링 처리(스텝 S9)를 실행한다. 등록 프린터는,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LAN에 의한 접속을 확립한 적이 있는 프린터이며, 또한 유저가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하겠다고 인정한 프린터이기 때문에, 페어링을 실시할지 여부의 확인(페어링 실시 확인)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페어링 실시 확인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유저의 수고를 삭감할 수 있다.
애드버타이즈를 발신하고 있는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8의 표시 제어로 이행하여, 유저에게 페어링을 실시할지 여부를 확인시킨다. 이러한 페어링 실시 확인은, BLE의 애드버타이즈의 특성상,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단말 장치가 수신해 버리기 때문에, 유저가 소유하는 프린터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도 10의 확인 다이알로그(800)를 표시시킨다. 본 예의 확인 다이알로그(800)는, 프린터의 이름(801)을 표시하고, 그것이 유저가 소망하는 프린터인지 여부를 확인시킨다. 「예」 버튼(802)이 선택된 경우에는, 스텝 S8로부터 스텝 S9로 이행하여 페어링 처리를 실행한다. 「아니오」 버튼(803)이 선택된 경우에는,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스텝 S9의 페어링 처리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 장치(101)가 통신 장치(151)에 페어링을 요구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151)의 표시부(160)는, 도 5a와 같은 PIN 코드 표시 화면(200)을 표시하고, 정보 처리 장치(101)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도 5b의 PIN 코드 입력 화면(210)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151)는, PIN 코드 입력 화면(210)을 표시함과 함께, 정보 처리 장치(101)에 대하여 PIN 코드 표시 화면(200)의 표시를 지시한다(출력 제어).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OK 버튼(213)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것이 선택된 경우에는, PIN 코드 입력 영역(211)에 입력되어 있는 PIN 코드를 BLE에 의해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통신 장치(151)는, 도 5a와 같이 표시된 PIN 코드(201)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PIN 코드가 일치한 경우에,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고 나서, GATT 통신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페어링 시에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PIN 코드 입력 화면(210)으로부터의 PIN 코드(인증 정보)의 입력, 및 통신 장치(151)의 PIN 코드 표시 화면(200)에 있어서의 PIN 코드(소정의 인증 정보)(201)의 표시를 수반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페어링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장치(151)가 프린터인 경우에는, PIN 코드 표시 화면(200)에 있어서의 PIN 코드(201)의 표시와 함께, 혹은 그 대신에, PIN 코드(201)를 프린트 아웃해도 된다. 또는 PIN 코드(201)를 음성 등에 의해 출력해도 된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151)는, PIN 코드(201)를 표시 및 프린트 등에 의해 출력할 수 있으면 된다.
본 예에서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직후에 페어링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나,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천이 시, 및 화면 내의 특정한 동작을 실행한 경우에, 페어링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도 9의 스텝 S6에 있어서, 페어링 완료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페어링 처리의 실행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7에 있어서, 도 7c의 화면이 표시되고, 무선 LAN에 의해 프린터가 검색되어, 유저가 등록한 프린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도 10의 확인 다이알로그(800)의 표시 화면(페어링의 실시 확인 화면)은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가 프린터의 사용을 허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불필요한 실시 확인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1)는, 상술한 스텝 S7에 있어서,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발신하고 있는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인지 여부를 판단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등록 프린터 중 커런트 프린터(등록 프린터 중에서 유저가 선택 완료한 프린터)인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또한, 애드버타이즈 신호에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즉 상술한 애드버타이즈 구조 영역(520(2))에 있어서의 2octet째 value가, 통신 장치(151)에 에러가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1"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1)는 에러 표시를 행한다. 이 경우에도, 그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발신원이 등록 프린터인 것(혹은, 등록 프린터 중 커런트 프린터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에러 표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상이한 프린터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수신하고, 그 중 어느 것이나 에러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복수의 프린터에, 커런트 프린터와 등록 프린터가 있어, 커런트 프린터가 아닌 프린터가 포함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커런트 프린터의 에러 정보를 우선하여 표시해도 된다. 그 우선 표시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커런트 프린터의 에러 화면을 먼저 표시하고, 그 에러 화면이 폐쇄되었을 때, 등록 프린터의 에러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프린터의 에러 정보를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경우, 커런트 프린터의 에러 정보를 리스트의 상위에 표시하고, 등록 프린터의 에러 정보를 그것보다 하위에 표시해도 된다.
(사진 유도)
상술한 도 9의 처리에 의해, 인쇄를 실행시킬 프린터가 BLE에 의해 특정된다. 그 후, 그 프린터에 인쇄시키는 화상을 유저가 선택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처리 장치(101)의 외부 기억 장치(106)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 대상으로 한다. 도 8a의 화상 선택 화면(613)에 화상 데이터를 일람 표시한 경우, 화상 데이터의 수가 방대해지면, 유저가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찾아내어 선택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화상 데이터를 특정한 조건에 있어서 추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추출 기능은, 예를 들어 외부 기억 장치(106)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계층 표시하고,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특정한 그룹(예를 들어, 폴더)을 선택, 혹은 화상 데이터의 촬영 일자 또는 작성 일자의 범위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할 화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러한 화상 데이터의 추출을 위한 조작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도시하지 않은 UI를 표시하여, 유저에게 선택을 촉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를 추출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특정한 타이밍(예를 들어, 전회,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 타이밍)을 기억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다시,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 경우에, 기억되어 있던 타이밍 후에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외부 기억 장치(106)에 보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도 11a는, 인쇄 애플리케이션 기동 시에, 이러한 확인을 메인 화면 상에 있어서 실시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통지 다이알로그(900)는, 후술하는 추가 화상 데이터의 확인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 화상이 추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도 7b의 메인 화면(604) 상에 표시(추가 화상 데이터 표시)된다. 통지 다이알로그(900)는, 추가 화상 데이터가 있다는 메시지와, 화상 선택 화면으로 천이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한다. 「예」 버튼(901)이 선택된 경우에는, 화면은, 도 8a의 화상 선택 화면(613)으로 자동적으로 천이하고, 그 화상 선택 화면(613)에 있어서는, 추가 화상 데이터만이 표시된다. 한편, 「아니오」 버튼(902)이 선택된 경우에는, 통지 다이알로그(900)는 비표시로 된다. 도 11b의 표시 전환 확인 다이알로그(903)는, 도 8a의 화상 선택 화면(613)을 표시하고 나서 실행되는 확인 처리에 의해, 추가 화상 데이터가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표시된다. 표시 전환 확인 다이알로그(903)에 있어서는, 추가 화상 데이터만을 표시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와, 추출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버튼이 표시된다. 「예」 버튼(904)이 선택된 경우에는, 추출 기능에 의해 도 11c의 화면이 표시된다. 화상 데이터(906)는 추가 화상 데이터이다. 「아니오」 버튼(905)이 선택된 경우, 통지 다이알로그(900)는 비표시로 된다.
도 12는, 페어링 처리와 추가 화상 데이터 확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스텝 S11에 있어서, 전술한 도 9에 있어서의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 스텝 S2에 있어서, 페어링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페어링 완료 확인). 스텝 S11에 있어서는, 도 9에 있어서의 스텝 S5, S6과 마찬가지로, 리스트를 취득하고, 그 리스트에, 금회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발신한 프린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페어링 처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특정한 애드버타이즈 신호가 아닌 경우, 혹은 유저가 페어링 처리를 희망하지 않고 도 5b의 Cancel 버튼(212)이 선택된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발신한 프린터가 유저 소유의 프린터가 아니거나, 혹은 유저가 BLE의 기능을 이용하지 않음을 선택하였다고 판정하여, 도 12의 처리를 종료한다. 페어링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는, 추가 화상 데이터의 확인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3).
도 13은, 추가 화상 데이터의 확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은, 외부 기억 장치(106)로부터, 도 11a의 통지 다이알로그(900) 혹은 도 11b의 표시 전환 확인 다이알로그(903)에 의해 전회 통지한 시간(전회의 통지 시간)을 취득하고, 그 통지 시간과 현재의 시간의 차를 산출한다(스텝 S21). 그 후, 그 산출한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 본 예의 경우에는, 산출한 시간에 기초하여, 전회의 통지 시간으로부터 1개월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통지 시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전회의 통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고려함으로써, 통지 다이알로그(900)를 빈번하게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전회의 통지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외부 기억 장치(106) 내의 화상 데이터의 일람을 취득하고(스텝 S23), 그 화상 데이터의 일람으로부터, 전회의 통지 시간 이후에 추가된 화상 데이터(추가 화상 데이터)를 추출한다(스텝 S24). 본 예에 있어서는, 그때, 화상 데이터 내의 EXIF 정보(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의 촬영 시간을 사용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의 타임 스탬프(갱신 일시 또는 작성 일시), 혹은 파일명에 촬영 시간을 포함하는 명명 규칙을 사용해도 된다.
추가 화상 데이터의 추출이 종료된 후에는, 추가 화상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5). 추가 화상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추가 화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종류를 확인한다(스텝 S26). 그 화면이 메인 화면인 경우에는, 추가 화상 데이터의 통지로서, 전술한 도 11a의 통지 다이알로그(900)를 표시하고 나서(스텝 S27), 통지 시간을 갱신한다(스텝 S30). 한편, 그 화면이 화상 선택 화면인 경우에는, 표시 전환의 확인을 위해, 도 11b의 표시 전환 확인 다이알로그(903)를 표시한다(스텝 S28). 표시 전환을 유저가 선택한 경우에는, 도 11c와 같이 추가 화상 데이터(906)만을 표시하고 나서(스텝 S29), 통지 시간을 갱신한다(스텝 S30).
이와 같이 화면의 종류에 따라 처리를 전환하는 이유는, 화면마다 기능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예의 경우, 화상 선택 화면은 화상의 일람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그 화면을 사용하여, 추가 화상 데이터만을 표시하는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메인 화면은 화상 일람하는 기능을 갖지 않기 때문에, 그 화면을 사용하여 추가 화상 데이터를 통지한다. 또한, 다른 화면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화면 천이의 구성 및 유저의 조작의 번잡화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화면을 사용하여 처리를 전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버튼의 선택) 등의 타이밍에 전환을 실시해도 되고, 혹은 화면이 아니라 다이알로그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추가 화상 데이터의 확인 처리의 실행 타이밍을 설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횟수를 카운트하고, 일정 횟수 기동한 후에 확인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증감을 유저에게 통지하고, 추가 화상 데이터만을 표시함으로써,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선택성이 향상된다. 또한, 프린터로부터의 BLE의 애드버타이즈 수신에 의해 본 처리를 계속함으로써, 프린터가 근접한 위치에 있다고 판정하여, 유저를 인쇄할 수 있는 상황 하에 있어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2의 추가 화상 데이터 확인 처리(스텝 S13)는, 페어링 처리(스텝 S12)의 완료에 추가하여, 그 페어링 처리가 완료된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인 것(또는, 커런트 프린터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행해져도 된다.
(프린터의 휴면 해제)
프린터는,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프린터 기능 유지에 필요한 최저한의 장치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휴면 상태(슬립 상태)로 된다. 프린터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휴면 상태로 되거나, 유저의 지시에 의해 휴면 상태로 되거나 할 수 있다. 프린터가 휴면 상태일 때, 유저가 프린트 등의 처리를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프린터 본체의 휴면을 해제하여 기동 상태로 하는 처리(이후, 「재기동 처리」라고 함)가 필요하다. 이하,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로서의 프린터의 페어링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있어서의, BLE의 GATT 통신에 의한 프린터의 재기동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프린터가 잉크젯 프린터인 경우에는, 프린트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해, 일정 시간 경과하면 프린트 헤드 내의 잉크가 고착하여, 잉크의 토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 해결책으로서, 화상의 프린트에 기여하지 않는 잉크를 프린트 헤드로부터 토출시켜, 고착한 프린트 헤드 내의 잉크를 배출시키는 등, 프린트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처리(이후, 「회복 처리」라고 함)를 실행한다.
이러한 프린터의 재기동 처리 및 회복 처리에는 일정 시간을 요하고, 그 기간은, 프린트 등의 처리가 일시 정지 혹은 실행할 수 없다. 그래서, 유저에 의한 프린트 등의 처리가 지시되었을 때, 즉시, 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프린터에 재기동을 지시한다.
도 14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인쇄 설정 화면 중에 표시되는 메시지(628)의 설명도이며, 이 메시지(628)에 의해, 프린터의 재기동 처리를 실행하였음이 유저에게 통지된다. 본 예에서는, 도 14와 같이, 화면이 인쇄를 개시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하였을 때, 필요에 따라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를 실행한다.
도 15는, 페어링 처리, 재기동 처리 및 회복 처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31), 그것이 완료되고 나서,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2, S33).
도 16은,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프린터의 재기동 처리를 실행하였을 때, 그 프린터가 회복 처리를 필요로 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따라서,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재기동 처리가 지시된 경우에는, 프린터의 회복 처리가 행해진다.
우선, 도 16의 스텝 S41에 있어서,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가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예에서는, 전술한 커런트 프린터가 선택되어, 커런트 프린터가 애드버타이즈를 송신하고, 또한 인쇄를 개시할 수 있는 인쇄 설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가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건은, 본 예와 같은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상 선택 화면에, 후술하는 핸드오버에 의한 인쇄 버튼을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에,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를 실행하는 등, 다른 화면 혹은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한, 프린터가 기동 상태에 없을 때에는, 잉크 정보 등의 프린터에 관한 정보(프린터 정보)를 취득할 수 없도록, 프린터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프린터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을 때,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한, 회복 처리에 소정 시간 이상을 요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구애되지 않고,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가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프린터가 화상을 프린트 가능한 프린트 기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2). 구체적으로는, 페어링 처리(스텝 S31)에 있어서 취득한 BLE의 애드버타이즈 정보 내의,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도 17은, 본 예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의 설명도이다. 프린터가 프린트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의 저장 영역에, 프린터 기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도 17의 예에 있어서는, 1octet째 영역이 프린트 기능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의 저장 영역이고, value에 저장되어 있는 "1"은, 프린트 기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프린트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0"이 저장된다. 프린트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도 16의 처리를 종료한다.
프린트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프린터가 휴면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3). 구체적으로는, 페어링 처리(스텝 S31)에 있어서 취득한 BLE의 애드버타이즈 정보 내의,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프린터가 휴면 상태인 경우에는,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휴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도 17의 예에 있어서는, 4octet째 영역에, 프린터가 휴면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고, value에 저장되어 있는 "1"은, 프린터가 휴면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프린터가 기동 상태인 경우에는, "0"이 저장된다.
프린터가 휴면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회복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판정한다(스텝 S44). 구체적으로는, 페어링 처리(스텝 S31)에 있어서 취득한 BLE의 애드버타이즈 정보 내의,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회복 처리에 시간을 요하는 경우에는,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회복 처리에 요하는 시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17의 예에 있어서는, 5octet째 영역에, 회복 처리에 요하는 시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value에 저장되어 있는 "1"은, 회복 처리에 많은 시간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회복 처리에 시간이 많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0"이 저장된다. 회복 처리에, 소정 시간 이상의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경우에는, 유저가 프린트를 실시하기 전에 회복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회복 처리에 많은 시간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유저가 프린트를 실행하였을 때 회복 처리를 실행해도 프린트의 완료 시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회복 처리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회복 처리는 실행하지 않고, 도 16의 처리를 종료한다. 회복 처리에 많은 시간을 요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프린터와 GATT 통신을 확립하여, 프린터에 회복 처리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그 후, 도 16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43에 있어서, 프린터가 휴면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프린터와 GATT 통신을 확립하여, 프린터에 재기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46). 그 후, 프린터가 재기동하였음을 유저에게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628)(도 14 참조)를 표시한다. 메시지(628)를 표시한 후, 도 16의 처리를 종료한다. 회복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프린터를 재기동한다고 하는 현저한 동작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회복 처리의 실행을 유저에게 나타내는 메시지는 표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프린터와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따라,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잉크를 소비하는 회복 처리의 실행을 억제하면서, 유저가 인쇄 지시하였을 때, 즉시 인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BLE은 저소비 전력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린터가 휴면 상태라도 소비 전력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는, BLE에 있어서의 페어링이 완료된 통신 장치로부터, BLE에 있어서의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애드버타이즈의 정보로부터 통신 장치의 상태를 확인(재기동 처리 및 회복 처리가 실행 가능한지 여부의 상태 확인)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는, 그 확인한 통신 장치의 상태에 따른 처리의 실행을 통신 장치에 지시한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의 재기동 처리와 회복 처리(스텝 S33)는, 페어링 처리(스텝 S31)의 완료에 추가하여, 그 페어링 처리가 완료된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인 것(또는 커런트 프린터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행해져도 된다. 그 페어링 처리가 완료된 프린터가 커런트 프린터임을 조건으로 한 경우, 복수의 상이한 프린터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수신하고, 그 중 어느 것이나 휴면 상태일 때에는, 커런트 프린터만의 재기동 처리 또는 회복 처리가 실행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유저가 사용할 의사가 없었던 프린터에 대하여, 불필요하게 재기동 처리 또는 회복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드오버의 인쇄 버튼의 표시)
핸드오버란, 정보 처리 장치가, 통신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를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그 취득 시와는 상이한 네트워크 종별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를 접속하는 방법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가 프린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술한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프린터와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확립한 상태에 있어서,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프린터를 등록하고, 그 등록 프린터에 의해 화상을 프린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 수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되어 있지 않은 프린터, 및 등록되어 있지 않은 프린터에 의해,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1)가 통신 장치(151)로부터, 무선 LAN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핸드오버 정보를 취득하고, 정보 처리 장치(101)가 무선 LAN에 의해 통신 장치(151)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도 18은, 핸드오버 처리가 가능한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본 예에서는, PrinterA에 의해 프린트를 실행하기로 한다. 프린터명(1600)은 「미등록」이며, PrinterA가 등록 프린터가 아님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정보 처리 장치와 PrinterA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음도 나타내고 있다. PrinterA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 내의 정보(도 17의 3Octet째 영역의 정보)로부터, 핸드오버가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도 18의 인쇄 버튼(1601)을 표시한다(기능 표시). 유저가 인쇄 버튼(1601)을 선택한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한다.
도 19는, 페어링 처리와 인쇄 버튼 표시 처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31), 그것이 완료되고 나서, 인쇄 버튼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2, S34).
도 20은, 인쇄 버튼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현재의 화면이, 인쇄 버튼 표시하는 화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1). 본 예에서는, 현재의 화면이,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 화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8a, 도 8b, 도 8c의 화면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8a의 화상 선택 화면(613) 및 도 8b의 인쇄 설정 화면(617)이, 인쇄 버튼 표시하는 화면에 해당한다. 현재의 화면이,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 화면이 아닌 경우에는, 도 20의 처리를 종료한다.
현재의 화면이,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 화면인 경우에는, 프린터가 프린트 기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2). 구체적으로는, 페어링 처리(스텝 S31)에 있어서 취득한 BLE의 애드버타이즈 정보 내의,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도 17은, 본 예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의 설명도이다. 프린터가 프린트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의 저장 영역에, 프린터 기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도 17의 예에 있어서는, 1octet째 영역에 프린트 기능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고, value에 저장되어 있는 "1"은, 프린트 기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프린트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0"이 저장된다. 프린트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도 20의 처리를 종료한다.
프린트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프린터가 핸드오버 기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3). 구체적으로는, 페어링 처리(스텝 S31)에 있어서 취득한 BLE의 애드버타이즈 정보 내의,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프린터가 핸드오버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핸드오버 기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도 17의 예에 있어서는, 3octet째 영역에, 핸드오버 기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고, value에 저장되어 있는 "1"은, 핸드오버 기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핸드오버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0"이 저장된다. 프린터에 핸드오버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도 20의 처리를 종료한다. 프린터에 핸드오버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도 18의 인쇄 버튼(1601)을 표시한다(스텝 S54). 인쇄 버튼(1601) 내의 문자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통신 장치명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통신 장치가 프린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스캔 등 다른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의 인쇄 버튼 표시 처리(스텝 S34)는, 페어링 처리(스텝 S31)의 완료에 추가하여, 그 페어링 처리가 완료된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인 것(또는 커런트 프린터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행해져도 된다.
혹은, 도 19에 있어서의 인쇄 버튼 표시 처리(스텝 S34)는, 페어링 처리(스텝 S31)가 완료된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실행되어도 된다. 그 경우, 인쇄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인 것(또는 커런트 프린터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후술하는 도 21의 처리에 의해 핸드오버가 행해져도 된다. 또한, 인쇄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프린터가 등록 프린터가 아닌(또는 커런트 프린터가 아닌) 경우라도, 유저가 핸드오버를 허가하기 위한 지시를 행함으로써, 그 핸드오버가 행해져도 된다.
(핸드오버)
도 21은, 인쇄 버튼(1601)을 유저가 선택한 경우에 실행하는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는, 프린터로부터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핸드오버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61). 핸드오버 정보에는, 프린터의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3종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1) 프린터의 MAC 어드레스, (2) 통신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이후, 「AP 모드」라고 함)일 때의 SSID와 패스워드, (3) 프린터가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 모드의 3종류의 정보이다. 또한, 정보 (3) 접속 모드는, AP 모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Wi-Fi Direct 모드 중 어느 모드로 된다. 또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이기 때문에, 접속 중인 것만은 아니다. AP 모드는, 도 1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151)의 통신부(156)가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 장치(151)와 접속이 가능한 모드이다.
핸드오버 정보를 취득한 후에는, 정보 처리 장치의 Wi-Fi 설정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2). Wi-Fi 설정이 유효하다는 것은, 정보 처리 장치가 Wi-Fi 통신 가능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Wi-Fi 설정이 유효인 경우에는 스텝 S64로 이행하고, Wi-Fi 설정이 무효인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의 Wi-Fi 설정을 유효로 하고 나서(스텝 S63), 스텝 S64로 이행한다.
스텝 S64, S65에서는, 프린터의 현재의 네트워크 접속 모드(정보 (3))를 판정한다. 즉, 스텝 S64에서는, 프린터가 Wi-Fi Direct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Wi-Fi Direct가 이용 가능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프린터에 대하여 Wi-Fi Direct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6). 그 접속 처리의 종료에 의해, 도 21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Wi-Fi Direct가 이용 불가능한 경우에는, 프린터가 AP 모드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5). AP 모드가 이용 가능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프린터의 AP 모드에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7). 그 접속 처리의 종료에 의해, 도 21의 처리를 종료한다. AP 모드가 이용 불가능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의 지시에 의해 프린터를 일시적으로 AP 모드에 의해 기동하고, 그 AP 모드(이후, 「강제 AP 모드」라고 함)에 의해 접속한다(스텝 S68). 이와 같이 접속 모드를 일시적으로 변경한 경우에는, 핸드오버를 위한 처리(본 예에서는 프린트)가 종료된 후에, 정보 처리 장치의 지시에 의해, 프린터는 원래의 네트워크 접속 모드로 복귀된다.
프린터는 불특정 다수에 의해 이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프린터의 네트워크 상태의 변경을 최대한 행하지 않도록,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한다. 프린터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 모드에 동시에 접속 가능해도 되며, 이 경우에도 도 21의 처리는 적용 가능하다. 본 예에 있어서는, 프린터가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 모드 중, Wi-Fi Direct 접속을 우선한다. 그 이유는, 모바일 데이터 통신과 Wi-Fi에 의한 동시 접속이 불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의 OS가 있는 경우에, Wi-Fi에 의해 접속하면 모바일 데이터가 통신 불가능으로 되어, 유저의 편리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그러한 OS라도, Wi-Fi Direct 접속의 경우에는 모바일 데이터 통신과의 동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Wi-Fi Direct 접속을 우선한다.
도 22는, Wi-Fi Direct 접속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프린터에 대하여,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현재의 네트워크 접속 모드에 의해 접속 가능함을 통지한다(스텝 S71). 그 통지를 받음으로써, 프린터는, 접속 모드 변경 및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처리 실행을 접수하지 않는 배타 모드로 되어,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을 대기한다. 또한, 핸드오버를 위한 처리(본 예에서는 프린트)가 종료된 후에는, 배타 모드도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스텝 S71로부터 스텝 S72로 이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프린터가 이미 접속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 내에 브로드캐스트하여, 도 21의 스텝 S61에 있어서 취득한 프린터의 MAC 어드레스(정보 (1))와 일치하는 프린터를 검출한다. 그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미 프린터와 접속 완료라고 판정하여, 도 22의 처리를 종료한다. 프린터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Wi-Fi Direct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스텝 S73), 프린터와 정보 처리 장치를 Wi-Fi Direct에 의해 접속한다. Wi-Fi Direct 접속에는, 도 21의 스텝 S61에 있어서 취득한 프린터의 MAC 어드레스(정보 (1))를 이용하고,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프린터의 표시부(160)(도 1 참조)를 사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 허가를 유저에게 구한다. 그 접속이 허가됨으로써, Wi-Fi Direct에 의해 접속된다.
도 23은, AP 모드 접속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의 스텝 S71, S72와 마찬가지로, 프린터에 대하여,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현재의 네트워크 접속 모드에 의해 접속 가능함을 통지하고 나서, 정보 처리 장치와 프린터가 이미 접속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와 프린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린터의 AP 모드 접속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74). 그 접속 처리에 있어서는, 도 21의 스텝 S61에 있어서 취득한, 프린터의 AP 모드 시의 SSID와 패스워드(정보 (2))를 이용하여, AP 모드로 된 프린터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도 24는, 강제 AP 모드 접속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와 프린터가 이미 접속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1). 그 판정의 처리, 도 22 및 도 23의 스텝 S72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정보 처리 장치와 프린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82로 이행하고, 도 22 및 도 23의 스텝 S71과 마찬가지로, 프린터에 대하여,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현재의 네트워크 접속 모드에 의해 접속 가능함을 통지한다. 이 통지 후에, 도 24의 처리를 종료한다. 정보 처리 장치와 프린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린터에 대하여,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현재의 네트워크 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모드를 AP 모드로 변경함을 지시한다(스텝 S83). 프린터는, 그 지시를 받음으로써, 접속 모드를 AP 모드로 변경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처리 실행을 접수하지 않는 배타 모드로 되어,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접속을 대기한다. 핸드오버를 위한 처리(본 예에서는 프린트)가 종료된 후에는, 배타 모드도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프린터에 대하여 강제 AP 모드를 지시한 후에는 스텝 S84로 이행하고, 도 23의 스텝 S74와 마찬가지로, 프린터의 AP 모드 접속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S1111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NFC 태그에, AP 모드에 대한 이행 지시를 기입한다. 그리고, 프린터는, NFC의 태그에 AP 모드에 대한 이행 지시가 기입되었음을 감지하면, AP 모드로의 이행 처리를 실시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에 의해, Wi-Fi Direct 혹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와 프린터의 접속이 확립된 경우에는, 그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인쇄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 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린터에 대하여 AP 모드로의 이행을 지시한다. Wi-Fi Direct 혹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의 접속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프린터 및 정보 처리 장치의 인터넷으로의 접속도 최대한 유지한다. 또한, 프린터의 네트워크 접속 모드의 변경을 최대한 행하지 않음으로써, 접속 모드 변경의 타임 손실, 및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네트워크 접속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페어링 처리인 경우에는, 불특정 다수의 정보 처리 장치가 의도하지 않게 도 10의 페어링의 확인 다이알로그(800)에 의해 페어링을 실시하고, 통신 장치의 표시부(160)에, 도 5a의 PIN 코드 표시 화면(200)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PIN 코드 표시 화면(200)의 표시를 방지한다.
도 25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실시하는 페어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9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애드버타이즈를 발신하고 있는 프린터가 전술한 등록 프린터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91로 이행하여, 프린터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S2300이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란, BLE의 송신 전력을 작게 억제하여, 수신 거리를 제한하도록 조정하는 애드버타이즈이다.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를 프린터가 송신할 때에는, 애드버타이즈 정보 내의,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도 26은, 본 예에 있어서의 애드버타이즈 정보 내의, 통신 장치의 기능 및 상태에 관한 정보의 설명도이다. 본 예에서는, 6octet째 영역에, 애드버타이즈가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고,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인 경우에는 "1"이 저장된다.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가 아닌 경우에는 "0"이 저장된다. 이러한 애드버타이즈 정보로부터,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임이 판정된 경우, 처리는 S707로 이행한다.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92로 이행하여,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보 표시 다이알로그(2500)를 표시한다. 이 정보 표시 다이알로그(2500)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를 프린터에 근접시킬 것을 유저에게 촉구한다. 정보 처리 장치가 근거리용 애드버타이즈를 수신하면, 도 27의 다이알로그(2500)는 자동적으로 비표시로 되고,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스텝 S8, S9로 이행한다. 유저에 의해 도 27 중의 취소 버튼(2501)이 선택된 경우에는, 페어링 처리는 중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페어링의 처리는, 통신 장치의 근접 거리에 위치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서만 실행할 수 있도록 제한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에, 도 5a의 PIN 코드 표시 화면(200)이 부주의하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페어링 정보 내에, 통신 장치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GATT 통신에 의해 취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PIN 코드 인증에 의한 페어링을 행하지 않으면, GATT 통신이 불가능한 통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페어링은, 불특정 다수의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의 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이기 때문에, 다른 방법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어, BLE 통신 시에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그 통신 장치의 표시부에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식별 정보를 표시하여, 유저에게 접속 허가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통신 장치는, 그 ROM에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정보 처리 장치는, GATT 통신을 행할 때 식별 정보를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는, 그 ROM에 유지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GATT 통신에 의한 데이터 송신의 가부를 결정한다. GATT 통신에 의한 데이터 송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빈 정보를 반환하도록 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하여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처리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6년 3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7275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일본 특허 출원은, 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101: 정보 처리 장치
151: 통신 장치
103, 154: CPU
108, 160: 표시부

Claims (26)

  1. 인쇄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인쇄 장치와의 통신의 페어링을 위한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공정;
    상기 실행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처리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의 상기 페어링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화상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표시 공정;
    상기 표시 공정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유저가 선택한 화상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장치로 하여금 인쇄하게 하는 인쇄 제어 공정;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 공정; 및
    상기 인쇄 장치가 제1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낮은 제2 상태에 있다는 것이 상기 상태 확인 공정에서 확인된 경우에, 상기 페어링에 기초한 상기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게,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 공정
    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화면이 이전에 표시된 후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화상 데이터가 추가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공정에 의해 상기 화면이 이전에 표시된 후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추가된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공정
    을 더 실행시키고,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추출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에, 상기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 인쇄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인쇄 장치와의 통신의 페어링을 위한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공정;
    상기 실행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처리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의 상기 페어링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화상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표시 공정;
    상기 표시 공정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유저가 선택한 화상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장치로 하여금 인쇄하게 하는 인쇄 제어 공정;
    상기 표시 공정에 의해 상기 화면이 이전에 표시된 후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추가된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공정으로서, 상기 추출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에, 상기 표시 공정에서 상기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추출 공정; 및
    상기 표시 공정에서 상기 표시 처리가 실행된 경우, 상기 화면의 표시 시간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공정
    을 실행시키고,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화면이 이전에 표시된 후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화상 데이터가 추가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표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추출 공정에서는, 상기 갱신 공정에서 갱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화상 데이터의 촬영 시간, 갱신 일시, 또는 작성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화면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화면이 이전에 표시된 후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추가된 화상 데이터의 섬네일로서 선택 가능한 상기 섬네일을 포함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할 때에 상기 표시부에 미리 정해진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공정에서 이전에 상기 표시 처리가 실행된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표시 공정에서 상기 표시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공정에서는,
    상기 인쇄 장치에, 미리 정해진 인증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표시부에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인쇄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인증 정보가, 상기 출력 지시에 따라 상기 인쇄 장치에 출력된 상기 미리 정해진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인쇄 장치 간의 통신의 페어링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지시는, 상기 인쇄 장치에 상기 미리 정해진 인증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공정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처리에 의해 BLE에 있어서의 페어링이 실행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지시 공정에서 상기 인쇄 장치와 BLE의 GATT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인쇄 장치와 GATT 통신이 행해지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해, 상기 상태 확인 공정에서 확인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에 따른 처리의 실행 지시를 행하고,
    상기 상태 확인 공정에서는, BLE에 있어서의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삭제
  16. 인쇄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인쇄 장치와의 통신의 페어링을 위한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공정;
    상기 실행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처리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의 상기 페어링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화상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표시 공정;
    상기 표시 공정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유저가 선택한 화상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장치로 하여금 인쇄하게 하는 인쇄 제어 공정;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 공정; 및
    상기 인쇄 장치가 미리 정해진 상태에 있다는 것이 상기 상태 확인 공정에서 확인된 경우에, 상기 페어링에 기초한 상기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게, 프린트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회복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는 지시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실행 공정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처리에 의해 BLE에 있어서의 페어링이 실행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지시 공정에서 상기 인쇄 장치와 BLE의 GATT 통신을 행하고,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해, 상기 상태 확인 공정에서 확인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에 따른 처리의 실행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잉크젯 프린터이며, 상기 회복 처리는, 잉크를 프린트 헤드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프린트 헤드 내에 고착된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와의 BLE에 의한 GATT 통신에 기초하여, 다른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제어 공정을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공정은 BLE의 GATT 통신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된 정보에 의해 특정된 상기 네트워크 접속 모드에 따라 상기 다른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의 네트워크 접속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BLE의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공정과 상기 표시 공정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페어링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 중에서 미리 정해진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조건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발신된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공정; 및
    상기 판단 공정에서 상기 인쇄 장치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 페어링의 실행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하는 확인 공정을 더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 공정에서는, 상기 확인 공정에서 유저에 의해 페어링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 또는 상기 판단 공정에서 상기 인쇄 장치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의 페어링에 대한 상기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공정에서는, 상기 인쇄 장치의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및 명칭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통신 방식은 무선 L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5. 인쇄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인쇄 장치와의 통신의 페어링을 위한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공정;
    상기 실행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처리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의 상기 페어링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된 것에 따라,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화상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표시 공정;
    상기 표시 공정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유저가 선택한 화상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장치로 하여금 인쇄하게 하는 인쇄 제어 공정;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 공정; 및
    상기 인쇄 장치가 제1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낮은 제2 상태에 있다는 것이 상기 상태 확인 공정에서 확인된 경우에, 상기 페어링에 기초한 상기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게,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 공정
    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6. 인쇄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인쇄 장치와의 통신의 페어링을 위한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
    상기 실행 수단에 의한 상기 미리 정해진 처리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의 상기 페어링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된 것에 따라,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화상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표시 수단;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유저가 선택한 화상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장치로 하여금 인쇄하게 하는 인쇄 제어 수단;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 수단; 및
    상기 인쇄 장치가 제1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낮은 제2 상태에 있다는 것이 상기 상태 확인 수단에 의해 확인된 경우에, 상기 페어링에 기초한 상기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게,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187022092A 2016-03-31 2017-02-27 정보 처리 방법, 저장 매체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2202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2752 2016-03-31
JP2016072752A JP6272381B2 (ja) 2016-03-31 2016-03-31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PCT/JP2017/007481 WO2017169439A1 (ja) 2016-03-31 2017-02-27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663A KR20180098663A (ko) 2018-09-04
KR102202283B1 true KR102202283B1 (ko) 2021-01-13

Family

ID=5996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092A KR102202283B1 (ko) 2016-03-31 2017-02-27 정보 처리 방법, 저장 매체 및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48609B2 (ko)
EP (1) EP3389245B1 (ko)
JP (1) JP6272381B2 (ko)
KR (1) KR102202283B1 (ko)
CN (1) CN108702399B (ko)
WO (1) WO2017169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9775B2 (ja) * 2017-06-28 2019-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87984B2 (ja) * 2018-10-30 2022-12-1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9591468A (zh) * 2018-12-27 2019-04-09 苏州浪潮智能软件有限公司 一种银医设备唤醒激光打印机的方法
JP7358074B2 (ja) * 2019-05-31 2023-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98521A (ja) 2019-05-31 2020-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11582116B2 (en) * 2020-01-07 2023-02-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network data
EP3885890A1 (en) * 2020-03-24 2021-09-2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470262B1 (ko) * 2020-11-16 2022-11-25 (주)인더스웰 블루투스 맥 어드레스를 이용한 aal 헬스케어 디바이스 자동등록장치
JP2022172921A (ja) * 2021-05-07 2022-11-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08581A (ja) * 2021-07-06 2023-01-19 任天堂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4206A (ja) * 2014-02-13 2015-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5167318A (ja) 2014-03-04 2015-09-2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子装置、ペアリング方法、ペアリングプログラム
US20150382150A1 (en) * 2014-06-30 2015-12-31 Polar Electro Oy Bluetooth beacon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1375A (ja) 2004-10-21 2006-05-11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受付端末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注文処理方法
CN101119139B (zh) * 2007-08-23 2011-03-09 深圳市指媒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蓝牙的局域通讯方法
JP2011248716A (ja) 2010-05-28 2011-12-08 Brother Ind Ltd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プログラム
CN102201846B (zh) * 2011-05-27 2015-02-11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基于soft AP技术的无线数据传输系统及其方法
US9363010B2 (en) * 2012-12-03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2120861B1 (ko) * 2012-12-03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US9282364B2 (en) * 2013-09-13 2016-03-08 Ortiz And Associates Consult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simultaneous second screen video segment replay during ongoing primary screen programming
JP6330279B2 (ja) * 2013-09-18 2018-05-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32452A (zh) * 2013-11-06 2014-03-12 苏州市职业大学 一种自助照片快印系统
WO2015069030A1 (ko) * 2013-11-11 2015-05-1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JP6321959B2 (ja) 2013-12-25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702396B (zh) * 2013-12-31 2017-07-04 天津爱迪尔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网络终端自动配对的方法及装置
JP2015154205A (ja) 2014-02-13 2015-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350073B2 (ja) 2014-07-29 2018-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バイス制御装置、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
JP6413443B2 (ja) 2014-07-31 2018-10-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CN105323845A (zh) * 2014-08-01 2016-02-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移动终端定位的方法及装置
EP3156892B1 (en) * 2014-09-03 2021-08-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device support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mobile terminal support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cloud print system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20160080536A1 (en) * 2014-09-16 2016-03-17 Ricoh Company, Ltd.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60085489A1 (en) * 2014-09-19 2016-03-24 Breezyprint Corporation System for remote printer pai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4206A (ja) * 2014-02-13 2015-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5167318A (ja) 2014-03-04 2015-09-2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子装置、ペアリング方法、ペアリングプログラム
US20150382150A1 (en) * 2014-06-30 2015-12-31 Polar Electro Oy Bluetooth beacon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72381B2 (ja) 2018-01-31
US20180359638A1 (en) 2018-12-13
EP3389245A4 (en) 2019-06-26
KR20180098663A (ko) 2018-09-04
WO2017169439A1 (ja) 2017-10-05
JP2017184166A (ja) 2017-10-05
CN108702399A (zh) 2018-10-23
EP3389245A1 (en) 2018-10-17
CN108702399B (zh) 2021-08-03
US10848609B2 (en) 2020-11-24
EP3389245B1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283B1 (ko) 정보 처리 방법, 저장 매체 및 정보 처리 장치
JP6745628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870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ing authentication processing
US104891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JP7230124B2 (ja) プログラム、通信装置、制御方法
JP6891024B2 (ja) 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8694025B (zh) 信息处理设备、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18032910A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14555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667476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2278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02250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0611904B (zh) 控制方法、信息处理设备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929412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88037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9884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49336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6209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21072599A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1153265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91533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