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229B1 -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229B1
KR102202229B1 KR1020200062180A KR20200062180A KR102202229B1 KR 102202229 B1 KR102202229 B1 KR 102202229B1 KR 1020200062180 A KR1020200062180 A KR 1020200062180A KR 20200062180 A KR20200062180 A KR 20200062180A KR 102202229 B1 KR102202229 B1 KR 102202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module
stripping
side frame
lower conveyor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일
Original Assignee
강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일 filed Critical 강정일
Priority to KR102020006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8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between conveyor s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에 관련되며, 이는 태양광모듈이 상, 하부 컨베이어부를 타고 이동되는 중에 단변프레임과 장변프레임이 단계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연속운전이 가능하여 시간당 처리용량이 크게 증가되고,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규격의 태양광모듈을 범용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직선형 탈거부(200), 경사형 탈거부(30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 {Solar module dismantling device and dismant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모듈이 상, 하부 컨베이어부를 타고 이동되는 중에 단변프레임과 장변프레임이 단계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연속운전이 가능하여 시간당 처리용량이 크게 증가되고,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규격의 태양광모듈을 범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및 화석 에너지 고갈 문제가 심각하게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풍력 에너지, 태양광 에너지, 지열 에너지 등과 같이 다양한 대안 에너지가 존재하는 가운데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모듈에 대한 연구, 생산, 및 설치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전지모듈은 내구성 유지 또는 설치상의 편리성 등을 위해 일반적으로 판형 태양전지 패널의 외측 둘레에 프레임(외틀)을 설치하는 구조가 채용된다. 이러한 태양전지모듈은 태양전지 패널 외측 둘레에 끼워 넣어진 프레임의 끼워 맞춤부 내에 실링재(밀봉재)를 충전함으로써 내수성 및 지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최근 태양전지모듈의 설치수량이 많아지고 있으며, 설치 이후 태양전지모듈의 운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설치된 태양전지모듈을 수거하여 해체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한 해체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2037120호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장변 프레임과 단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가 장착된 태양전지모듈이 배치가능한 플레이트부; 및 프레임부의 장변 프레임을 분리하기 위한 제1 탈거부 및 프레임부의 단변 프레임을 분리하기 위한 제2 탈거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제거부를 최소한 1개 이상 포함하는 프레임 해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해체부의 프레임 제거부는 상기 플레이트부 상부 공간에서 이동가능하며, 해체하고자 하는 태양전지모듈 크기에 따라 프레임 제거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해체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양전지모듈 해체 장치의 다양한 구성들을 태양전지모듈 상부 공간으로 위치시켜 공간적으로 활용도가 높이려는 것이나, 태양전지모듈이 플레이트부에 정지된 상태로 프레임 해체작업이 이루어지는바, 즉, 하나의 태양전지모듈이 모두 해체된 후, 다른 태양전지모듈이 투입되는 방식이므로 시간당 처리량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KR 10-2037120 B1 (2019.10.22.)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태양광모듈이 상, 하부 컨베이어부를 타고 이동되는 중에 단변프레임과 장변프레임이 단계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연속운전이 가능하여 시간당 처리용량이 크게 증가되고,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규격의 태양광모듈을 범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태양광모듈(10)의 패널부(12) 상, 하면을 국부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횡,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태양광모듈(10)의 단변프레임(14)을 제거하도록 단변 탈거편(220)이 구비되는 직선형 탈거부(200); 및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이동력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의 장변프레임(16)을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 분리하도록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이 구비되는 경사형 탈거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는, 한 쌍의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궤도운동되는 체인(120)과, 체인(1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패널부(12) 상, 하면을 국부적 가압하는 반송블록(130)과, 패널부(12)와 대응하는 체인(120) 구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사이로 투입되는 패널부(12)가 상, 하부에서 반송블록(130)에 가압되어 이송되는 중에 패널부(12)와 대응하는 체인(120) 구간이 가이드레일(140)에 의해 지지되어 서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송블록(130)은 축봉(131)에 의해 지지되고, 축봉(131)은 체인(120)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시(132)를 타고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반송블록(130)은 축봉(131)에 설치되는 탄성체(133)에 지지되어 상향 돌출력이 작용하여 패널부(12)를 가압하며, 상기 축봉(131) 하단부에는 캠롤러(134)가 설치되어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캠레일(135)을 타고 이동되고, 상기 캠레일(135)은 양측 단부에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로딩 경사부(135a)와 언로딩 경사부(135b)가 형성되며, 상기 캠레일(135)은 구동부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어 패널부(12) 두께에 대응하여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의 반송블록(130)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형 탈거부(200)는, 횡형 실린더(212)에 의해 태양광모듈(10) 이동방향으로 직선운동되는 직선블록(210)과, 직선블록(210)에 설치되어 종형 실린더(222)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의 패널부(12)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단변 탈거편(220)과, 단변 탈거편(220)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10)을 감지하는 센서(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를 타고 태양광모듈(10)이 투입되어, 상기 센서(230)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이 감지되면, 종형 실린더(222)에 의해 단변 탈거편(220)이 패널부(12)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종방향으로 이동한 후, 횡형 실린더(212)에 의해 단변 탈거편(220)이 태양광모듈(10) 이동방향으로 직선운동되면서 태양광모듈(10)의 일측 단변프레임(14)을 가압 분리하고, 이어서 횡형 실린더(212)에 의해 단변 탈거편(220)이 태양광모듈(10)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직선운동되면서 태양광모듈(10)의 다른 일측 단변프레임(14)을 가압 분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형 탈거부(300)는, 태양광모듈(10)의 양측 장변프레임(16)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일단은 태양광모듈(10)의 양측 장변프레임(16) 사이에 위치되고, 다른 일단은 태양광모듈(10) 외측 영역에 위치되도록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과, 태양광모듈(10) 폭방향 사이즈에 의해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형 탈거부(200)에 의해 단변프레임(14)이 분리된 태양광모듈(10)의 단부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이 진입하고,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이 이동되면서 한 쌍의 장변프레임(16)이 장변 탈거편(320)의 경사각을 따라 외측 경사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이동되어 패널부(12) 상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모듈 해체장치를 이용한 해체방법은,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를 이용하여 태양광모듈(10)의 패널부(12) 상, 하면을 국부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이송하는 태양광모듈 로딩단계(S1);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직선형 탈거부(200)의 단변 탈거편(220)이 횡,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태양광모듈(10)의 단변프레임(14)을 제거하는 단변프레임 제거단계(S2); 및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경사형 탈거부(300)의 장변 탈거편(320)이 태양광모듈(10)의 장변프레임(16)을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 분리하는 장변프레임 제거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이 상, 하부 컨베이어부를 타고 이동되는 중에 단변프레임과 장변프레임이 단계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연속운전이 가능하여 시간당 처리용량이 크게 증가되고,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규격의 태양광모듈을 범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 해체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 해체장치의 직선형 탈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 해체장치의 경사형 탈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 해체장치를 이용한 해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 해체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에 관련되며, 이는 태양광모듈이 상, 하부 컨베이어부를 타고 이동되는 중에 단변프레임과 장변프레임이 단계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연속운전이 가능하여 시간당 처리용량이 크게 증가되고,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규격의 태양광모듈을 범용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직선형 탈거부(200), 경사형 탈거부(30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는 태양광모듈(10)의 패널부(12) 상, 하면을 국부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는, 한 쌍의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궤도운동되는 체인(120)과, 체인(1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패널부(12) 상, 하면을 국부적 가압하는 반송블록(130)과, 패널부(12)와 대응하는 체인(120) 구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사이로 투입되는 패널부(12)가 상, 하부에서 반송블록(130)에 가압되어 이송되는 중에 패널부(12)와 대응하는 체인(120) 구간이 가이드레일(140)에 의해 지지되어 서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반송블록(130)은 축봉(131)에 의해 지지되고, 축봉(131)은 체인(120)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시(132)를 타고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반송블록(130)은 축봉(131)에 설치되는 탄성체(133)에 지지되어 상향 돌출력이 작용하여 패널부(12)를 가압하며, 상기 축봉(131) 하단부에는 캠롤러(134)가 설치되어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캠레일(135)을 타고 이동된다.
이때, 상기 캠레일(135)은 양측 단부에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로딩 경사부(135a)와 언로딩 경사부(135b)가 형성되며, 상기 캠레일(135)은 구동부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어 패널부(12) 두께에 대응하여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의 반송블록(130)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태양광모듈(10)이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사이로 투입되는 구간에서는 캠레일(135)의 로딩 경사부(135a)에 의해 반송블록(130) 사이 간격이 비교적 확장되어 태양광모듈(10) 투입이 용이하고, 이후 후술하는 직선형 탈거부(200), 경사형 탈거부(300)와 대응하는 구간에서는 반송블록(130) 간격이 비교적 축소되어 태양광모듈(10)을 견고하게 클램핑한 상태로 이송하게 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탈거부(200)는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횡,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태양광모듈(10)의 단변프레임(14)을 제거하도록 단변 탈거편(2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직선형 탈거부(200)는, 횡형 실린더(212)에 의해 태양광모듈(10) 이동방향으로 직선운동되는 직선블록(210)과, 직선블록(210)에 설치되어 종형 실린더(222)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의 패널부(12)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단변 탈거편(220)과, 단변 탈거편(220)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10)을 감지하는 센서(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형 탈거부(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를 타고 태양광모듈(10)이 투입되어, 상기 센서(230)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이 감지되면, 도 2 (a)처럼 종형 실린더(222)에 의해 단변 탈거편(220)이 패널부(12)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종방향으로 이동한 후, 도 2(b)와 같이 횡형 실린더(212)에 의해 단변 탈거편(220)이 태양광모듈(10) 이동방향으로 직선운동되면서 태양광모듈(10)의 일측 단변프레임(14)을 가압 분리하고, 이어서 도 2 (c)처럼 횡형 실린더(212)에 의해 단변 탈거편(220)이 태양광모듈(10)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직선운동되면서 태양광모듈(10)의 다른 일측 단변프레임(14)을 가압 분리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단일의 단변 탈거편(220)이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단변프레임(14)이 분리되고, 특히 태양광모듈(10)이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를 타고 이동되는 중에 단변프레임(14) 분리 공정이 연속 수행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탈거부(300)는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이동력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의 장변프레임(16)을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 분리하도록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경사형 탈거부(300)는, 태양광모듈(10)의 양측 장변프레임(16)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일단은 태양광모듈(10)의 양측 장변프레임(16) 사이에 위치되고, 다른 일단은 태양광모듈(10) 외측 영역에 위치되도록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과, 태양광모듈(10) 폭방향 사이즈에 의해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형 탈거부(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직선형 탈거부(200)에 의해 단변프레임(14)이 분리된 태양광모듈(10)의 단부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이 진입하고, 도 3과 같이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이 이동되면서 한 쌍의 장변프레임(16)이 장변 탈거편(320)의 경사각을 따라 외측 경사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이동되어 패널부(12) 상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장변프레임(16)은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에 의한 태양광모듈(10) 이동력을 이용하여 분리되도록 구성되므로, 별도의 동력원이 생략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또 상기 태양광모듈(10)이 연속 이동되는 중에 장변 탈거편(320)과의 경사운동에 의해 확장 분리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 해체장치를 이용한 해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광모듈 해체방법은,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를 이용하여 태양광모듈(10)의 패널부(12) 상, 하면을 국부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이송하는 태양광모듈 로딩단계(S1)와,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직선형 탈거부(200)의 단변 탈거편(220)이 횡,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태양광모듈(10)의 단변프레임(14)을 제거하는 단변프레임 제거단계(S2)와,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경사형 탈거부(300)의 장변 탈거편(320)이 태양광모듈(10)의 장변프레임(16)을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 분리하는 장변프레임 제거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태양광모듈(10)이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를 타고 이동되는 중에 단변프레임(12)과 장변프레임(14)이 단계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연속운전이 가능하여 시간당 처리용량이 크게 증가되고,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규격의 태양광모듈(10)을 범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태양광모듈 100,100': 상, 하부 컨베이어부
200: 직선형 탈거부 300: 경사형 탈거부

Claims (4)

  1. 태양광모듈(10)의 패널부(12) 상, 하면을 국부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횡,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태양광모듈(10)의 단변프레임(14)을 제거하도록 단변 탈거편(220)이 구비되는 직선형 탈거부(200); 및 상, 하부 컨베이어부 이동력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의 장변프레임(16)을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 분리하도록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이 구비되는 경사형 탈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모듈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는, 한 쌍의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궤도 운동되는 체인(120)과, 체인(1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패널부(12) 상,하면을 국부적 가압하는 반송블록(130)과, 패널부(12)와 대응하는 체인(120) 구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송블록(130)은 축봉(131)에 의해 지지되고, 축봉(131)은 체인(120)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시(132)를 타고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반송블록(130)은 축봉(131)에 설치되는 탄성체(133)에 지지되어 상향 돌출력이 작용하여 패널부(12)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축봉(131) 하단부에는 캠롤러(134)가 설치되어 상, 하부 컨베이어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캠레일(135)을 타고 이동되고,
    상기 캠레일(135)은 양측 단부에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로딩 경사부(135a)와 언로딩 경사부(135b)가 형성되며,
    상기 캠레일(135)은 구동부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어 패널부(12) 두께에 대응하여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의 반송블록(130)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탈거부(200)는, 횡형 실린더(212)에 의해 태양광모듈(10) 이동방향으로 직선 운동되는 직선블록(210)과, 직선블록(210)에 설치되어 종형 실린더(222)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의 패널부(12)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단변 탈거편(220)과, 단변 탈거편(220)에 설치되어 태양광모듈(10)을 감지하는 센서(230)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230)에 태양광모듈(10)이 감지되면, 종형 실린더(222)에 의해 단변 탈거편(220)이 패널부(12)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종방향으로 이동한 후, 횡형 실린더(212)에 의해 단변 탈거편(220)이 태양광모듈(10) 이동방향으로 직선운동되면서 태양광모듈(10)의 단변프레임(14)을 가압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탈거부(300)는, 태양광모듈(10)의 양측 장변프레임(16)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일단은 태양광모듈(10)의 양측 장변프레임(16) 사이에 위치되고, 다른 일단은 태양광모듈(10) 외측 영역에 위치되도록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과,
    태양광모듈(10) 폭방향 사이즈에 의해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40)로 구성되되,
    상기 직선형 탈거부(200)에 의해 단변프레임(14)이 분리된 태양광모듈(10)의 단부를 통하여 한 쌍의 장변 탈거편(320)이 진입하고,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에 의해 태양광모듈(10)이 이동되면서 한 쌍의 장변프레임(16)이 장변 탈거편(320)의 경사각을 따라 외측 경사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이동되어 패널부(12) 상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4.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태양광모듈 해체장치를 이용하여,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를 이용하여 태양광모듈(10)의 패널부(12) 상, 하면을 국부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이송하는 태양광모듈 로딩단계(S1);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직선형 탈거부(200)의 단변 탈거편(220)이 횡,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태양광모듈(10)의 단변프레임(14)을 제거하는 단변프레임 제거단계(S2); 및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부(100)(100')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경사형 탈거부(300)의 장변 탈거편(320)이 태양광모듈(10)의 장변프레임(16)을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 분리하는 장변프레임 제거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해체장치를 이용한 해체방법.
KR1020200062180A 2020-05-25 2020-05-25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 KR102202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80A KR102202229B1 (ko) 2020-05-25 2020-05-25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80A KR102202229B1 (ko) 2020-05-25 2020-05-25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229B1 true KR102202229B1 (ko) 2021-01-12

Family

ID=7412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180A KR102202229B1 (ko) 2020-05-25 2020-05-25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678A (ko)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우원테크 폐태양광 모듈 프레임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524A (ja) * 2000-09-04 2002-03-19 Sumitomo Chem Co Ltd クランプ除去装置とこれを使用するプラスチックシート製造装置
JP2019018172A (ja) * 2017-07-20 2019-02-07 株式会社キンキ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解体装置
KR102037120B1 (ko) 2018-10-17 2019-10-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크기에 따라 가변 가능한 태양전지모듈 해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524A (ja) * 2000-09-04 2002-03-19 Sumitomo Chem Co Ltd クランプ除去装置とこれを使用するプラスチックシート製造装置
JP2019018172A (ja) * 2017-07-20 2019-02-07 株式会社キンキ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解体装置
KR102037120B1 (ko) 2018-10-17 2019-10-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크기에 따라 가변 가능한 태양전지모듈 해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678A (ko)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우원테크 폐태양광 모듈 프레임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120B1 (ko) 태양전지모듈 크기에 따라 가변 가능한 태양전지모듈 해체 장치
KR102202229B1 (ko) 태양광모듈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
CN101979291B (zh) 自动排料分拣机构
CN105752373A (zh) 一种翻边压合装置
CN210789908U (zh) 一种继电器生产用压合装置
KR102329327B1 (ko) 태양전지 모듈의 프레임 분리장치
CN212474888U (zh) 一种板材排布装置
CN201075850Y (zh) 可调式太阳能电池组件安装支架
CN206202806U (zh) 一种翻转机
CN102874553A (zh) 一种带式输送机的重锤张紧装置
CN216524105U (zh) 一种5g通信连接器耐压位移检测装置
CN113231856B (zh) 一种钢材加工的机床定位平台
CN213975942U (zh) 一种用于光伏组件生产流水线的过渡传送装置
CN112583352B (zh) 一种太阳能板检测输送装置
CN210816896U (zh) 一种顶盖面板生产装置
CN207189285U (zh) 切割出料装置总成
CN218200624U (zh) 一种用于双铝夹生产加工的输送机
CN220563480U (zh) 一种带有旋转功能的光伏组件清洗支撑输送平台
CN211254024U (zh) 一种胶带运输机机尾转载点自动收煤装置
CN220448967U (zh) 一种金属封口总成加工平台
CN205328074U (zh) 手选用带式输送机
CN210200673U (zh) 一种电池串归正装置
CN211768460U (zh) 一种避免皮带跑偏的浮动式皮带架
CN117208547B (zh) 一种用于多种规格太阳能电池片的丝网印刷输送装置
CN220254421U (zh) 一种太阳能光伏发电板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