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127B1 -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하이드로 고분자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 Google Patents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하이드로 고분자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127B1
KR102202127B1 KR1020180137482A KR20180137482A KR102202127B1 KR 102202127 B1 KR102202127 B1 KR 102202127B1 KR 1020180137482 A KR1020180137482 A KR 1020180137482A KR 20180137482 A KR20180137482 A KR 20180137482A KR 102202127 B1 KR102202127 B1 KR 10220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buffer layer
substrate
foldable displ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419A (ko
Inventor
한관영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1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9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silic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128Treatment of at least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3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pox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4Organic non-macromolecula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에 관한 것으로, 반복적인 접힘과 펼침 동작시 내측과 외측에서 작용하는 상반된 압축력과 인장력의 차이로 인해 야기되는 마이크로 크랙(Micro Crack)의 발생을 극소화하고 장기간에 걸쳐 고품질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시 인장력과 압축력이 작용하는 부위의 중간 지점인 뉴트럴 포인트에 위치하면서 상반된 힘인 인장력과 압축력으로 인해 야기되는 내부의 긴장력을 감쇄시켜주는 버퍼기능을 수행하는 버퍼층을 구비하며, 상기 버퍼층은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와 에폭시 계열의 고분자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고분자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하이드로 고분자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FOLDABLE SUBSTRATE FOR FOLDABLE DISPLAY WITH HYDRO POLYMER BUFFER LAYER AND BUFFER LAYER IN NEUTRAL POINT AREA}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복적인 접힘과 펼침 동작시 내측과 외측에서 작용하는 상반된 압축력과 인장력의 차이로 인해 야기되는 마이크로 크랙(Micro Crack)의 발생을 극소화하고 장기간에 걸쳐 고품질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에 따라 휴대용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커지면서 휴대성과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처럼 휴대성을 유지하면서도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하여 최근에는 중간의 접힘부위를 단절하지 않고 시인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자체를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폴더블 기판이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접었다 펼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다보면 접힘부에 마이크로 크랙(Micro Crack)이 발생하여 증가하면서 시인성이 떨어지고 급기야는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저하로 불량 처리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지금까지 연구된 바에 의하면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박막 글라스(10)(Thin Glass)와 고분자(20)를 라미네이션한 기판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같은 구성의 기판 역시 접었다 펼치는 횟수를 1,000회 이상 한 경우에 도 2와 같이 박막 글라스(10)의 접힘부에서 마이크로 크랙(MC)이 발생하여 기판의 시인성이 극히 저하되었다.
또한, 박막 글라스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 크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PET, PC 등의 고분자 필름(20)만으로 기판을 구성한 경우 박막 글라스(Thin Glass)와 고분자를 라미네이션한 기판보다는 개선되었으나 접었다 펼치는 횟수를 수천회 반복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분자 필름의 접힘부에서 커다란 크랙(C1)이 발생하곤 하였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크랙의 문제점은 접힘 동작시 외측에서는 인장력이 작용하여 기판 내 분자들을 양편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응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내측에서는 압축력이 작용하여 기판 내 분자들을 중앙으로 밀어내려는 압축응력을 발생시켜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소재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이를 견디지 못하고 기판 내 분자와 분자 간 연결을 끊는 방법으로 내부를 안정화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122554호(2017.11.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적인 접힘과 펼침 동작시 내측과 외측에서 작용하는 상반된 압축력과 인장력의 차이로 인해 야기되는 마이크로 크랙(Micro Crack)의 발생을 극소화하고 장기간에 걸쳐 고품질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 백플레인 전면에 라미네이션되는 폴더블 기판으로서,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시 인장력과 압축력이 작용하는 부위의 중간 지점인 뉴트럴 포인트에 위치하면서 상반된 힘인 인장력과 압축력으로 인해 야기되는 내부의 긴장력을 감쇄시켜주는 버퍼기능을 수행하는 버퍼층을 구비하며, 상기 버퍼층은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와 에폭시 계열의 고분자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고분자 버퍼층인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층의 전면에 접합된 고분자 필름층과,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전면에 접합된 하드코팅층과, 상기 하드코팅층의 전면에 접합된 불소계 화합물을 소재로 한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이 포함되며, 상기 버퍼층은 백플레인과 라미네이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소재는 PET 계열 고분자 혹은 PI 계열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의 전면에 접합된 글라스층, 상기 글라스층의 전면에 접합된 불소계 화합물을 소재로 한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이 포함되며, 상기 버퍼층은 백플레인과 라미네이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소재는 PET 계열 고분자 혹은 PI(폴리이미드)계열의 고분자 이거나 PC 계열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은 50~150um, 고분자 필름층은 10~50um, 하드코팅층은 10~80um,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은 10nm~60nm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의 전면에 접합된 글라스층과, 상기 글라스층의 전면에 접합된 불소계 화합물을 소재로 한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이 포함되며, 상기 버퍼층은 백플레인과 라미네이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 글라스층,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의 두께는 각각 50um~150um, 25um~50um, 10nm~60n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은 반복적인 접힘과 펼침 동작시 동시에 작용하는 상반된 힘인 인장력과 압축력의 차이로 인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긴장력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뉴트럴 포인트에 위치하는 하이브리드 고분자층이 버퍼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 크랙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오랜 기간 동안 고품질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4는 종래기술에 의한 폴더블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에 대한 실험결과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에 대한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100)은 종래기술에 의한 글라스 기판을 대체하는 것으로 접힘과 펼침 동작이 가능하며 도 5에 도시된 폴더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영상 출력 및 터치기능 구현을 위하여 배선처리된 백플레인과 라미네이션되어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게 된다.
이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100)의 경우 반복적인 접힘과 펼침 동작시 내측과 외측에서 동시에 작용하는 상반된 힘인 압축력과 인장력의 차이로 인해 내부에서 야기되는 긴장력을 감쇄시켜 마이크로 크랙(Micro Crack)의 발생을 극소화하고 장기간에 걸쳐 고품질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은 버퍼층(120), 고분자 필름층(110), 하드코팅층(130),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140)을 포함하는 다층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상기 버퍼층(120)은 뉴트럴 포인트(NP)에 위치하여 버퍼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작용하는 상반된 힘인 인장력과 압축력으로 인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긴장력을 감쇄시킴으로써 마이크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구성에 대해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버퍼층(120)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시 인장력과 압축력이 작용하는 부위의 중간 지점인 뉴트럴 포인트에 위치하면서 상반된 힘인 인장력과 압축력으로 인해 야기되는 내부의 긴장력을 감쇄시켜주는 버퍼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버퍼층(120)은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와 에폭시 계열의 고분자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고분자층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버퍼층(120)을 이루고 있는 에폭시 계열의 고분자는 비탄성 특성에 의해 인장력(TF)으로 인한 긴장력과 압축력(CF)으로 인한 내부 긴장력을 중간 차단하는 기능이 뛰어나지만 단독으로 사용되면 충격에 취약하여 손상되기 쉬우므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탄성 특성을 가지면서 에폭시 계열의 고분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가 혼합 사용된 것이다.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의 경우 탄성 특성에 의해 에폭시 계열의 고분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내열성,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내노화성 등이 우수하여 백플레인과 라미네이션되기에 적합하므로 양자 간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실리콘 계열 고분자는 에폭시 계열 고분자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떨어질지라도 인장력과 압축력으로 인해 야기되는 내부의 긴장력을 감쇄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우수한 버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주의할 점으로, 상기 버퍼층(120)의 경우 폴더블 기판의 하부를 차지하여 백플레인과 라미네이션되면서도 도 7과 같이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인장력(TF)과 압축력(CF)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부위의 중간 지점인 뉴트럴 포인트(NP)에 위치하기 위해서 폴더블 기판 전체 두께의 1/2을 초과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은 백플레인까지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뉴트럴 포인트는(NP) 폴더블 기판의 1/2 두께 지점보다는 백플레인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기 때문에 버퍼층(120)의 두께가 반드시 폴더블 기판 전체 두께의 1/2을 초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버퍼층(120)은 50~150um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고분자 필름층(110)은 버퍼층(120)의 전면에 접합되며 PET 계열 고분자 혹은 PI(폴리아미드) 계열 고분자를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분자 필름층(110)은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을 포함하는 외부 접촉압력에 대하여 지지력을 갖도록 한 것으로 5H~6H 이상의 높은 경도를 갖는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고분자 필름층(110)은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른 내부 긴장력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취성 특성의 글라스를 대신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상기 고분자 필름층(110)은 10~50um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버퍼층(120)이 50~150um, 고분자 필름층(110)이 10~50u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비하면 매우 얇은 수준의 두께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140)은 상기 고분자 필름층(1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저마찰계수를 갖는 불소계 화합물 소재의 것으로 구비된다. 상기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140)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우면서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140)은 취성 특성을 갖는 글라스를 대신하여 고분자 필름층(110)을 구비하는데 따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상기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140)은 10~60nm 정도의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참고로, 폴더블 기판의 반복적인 접힘 및 펼침 동작시 마이크로 크랙이 발생하는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접힘 동작시 접히는 부위의 외측부에서는 인장력(TF)이 작용하여 기판 내 분자들을 양편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접히는 부위의 내측부에서는 압축력(CF)이 작용하여 기판 내 분자들을 중앙으로 밀어내려는 압축응력이 발생한다. 이처럼 기판 내부에서 상반된 힘인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이 동시에 일어날 때 소재와 구조적인 한계에 의해 견딜 수 없다면 기판 내에서는 분자와 분자 간 연결을 끊는 방법으로 내부를 안정화시키려고 하며 이로써 외부적으로는 마이크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는 접힘 동작에 견딜 수 있도록 단순히 유연한 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기판에 필요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없으며, 반대로 기판에 필요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면 전술된 것처럼 반복적인 접힘 및 펼침 동작시 견딜 수 있는 내구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폴더블 기판은 접힘 동작시 서로 상반된 특성을 갖는 인장력(TF)과 압축력(CF)이 동시에 작용할 때 힘의 중간점이 되는 부위인 뉴트럴 포인트(NP)(Neutral point)에서 내부 손상 없이 이들 상반된 힘의 영향력을 상쇄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은 버퍼층(220)을 비롯하여 글라스층(210),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같은 제2실시예에 의한 구성은 전술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고분자 필름층 대신 글라스층(210)으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처럼 고분자 필름층을 대신 글라스층(210)으로 구비하게 되면 글라스층(210)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을 포함하는 외부 접촉압력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면서 높은 경도를 가지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다르게 강도 및 경도 보강을 위한 고분자 필름층이 불필요하여 보다 단순한 구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제2실시예의 경우 글라스층(210) 사용으로 인해 제1실시예에 비해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른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같은 성능 비교는 차후 실험결과를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버퍼층(220), 글라스층(210),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230)의 두께는 각각 50um~150um, 25um~50um, 10nm~60n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구성의 경우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전술된 각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들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된 자체 실험결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에 대한 실험결과 그래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에 대한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실험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각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기판에 대해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접었다 펼치는 동작을 2만회 이상 반복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때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힘반경 R을 갖는 삽입부재(RB)를 모바일기기의 본체 대용으로 내측에 삽입하여 지지하였다.
이같은 실험결과는 도 9의 그래프로 일목요연하게 나타나 있는데,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기판은 도 9에서 각각 F, G 타입에 해당한다. (참고로, 나머지 타입들은 본 출원인에 의해 별도로 개발된 다른 형태의 폴더블 기판들로 본 출원 명세서에서는 개시되지 않음)
실험결과, 제1실시예에 해당하는 F 타입의 폴더블 기판은 20,000회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도 마이크로 크랙의 발생없이 계속해서 정상적인 시인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2실시예에 해당하는 G 타입의 폴더블 기판은 약 14,000회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서 마이크로 크랙의 발생으로 시인성이 극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F 타입에 비해서는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대한 내구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G 타입이 F 타입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글라스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지만 14,000회에 이르는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견디었다는 점은 종래기술에 의한 폴더블 기판이 1,000회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도 시인성이 극도로 저하되었던 것과 비교하면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 것이라 하겠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폴더블 기판은 끊임없이 반복되는 접힘 및 펼침 동작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장기간에 걸쳐 고품질의 시인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고분자 필름층 120 : 버퍼층
130 : 하드코팅층 140 :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

Claims (9)

  1.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 백플레인 전면에 라미네이션되는 폴더블 기판으로서,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동작시 인장력과 압축력이 작용하는 부위의 중간 지점인 뉴트럴 포인트에 위치하면서 상반된 힘인 인장력과 압축력으로 인해 야기되는 내부의 긴장력을 감쇄시켜주는 버퍼기능을 수행하는 버퍼층을 구비하며,
    상기 버퍼층의 전면에 접합된 고분자 필름층과,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전면에 접합된 하드코팅층과, 상기 하드코팅층의 전면에 접합된 불소계 화합물을 소재로 한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이 포함되며,
    상기 버퍼층은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와 에폭시 계열의 고분자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고분자층이며, 백플레인과 라미네이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와 에폭시 계열의 고분자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소재는 PET 계열의 고분자 혹은 PI(폴리이미드)계열의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50~150um, 고분자 필름층은 10~50um, 하드코팅층은 10~80um, 저표면 에너지 코팅층은 10nm~60nm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6. 삭제
  7. 삭제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영상 출력 및 터치기능 구현을 위하여 배선처리되어 상기 폴더블 기판과 라미네이션되는 백플레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9. 제8항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스마트폰.
KR1020180137482A 2018-11-09 2018-11-09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하이드로 고분자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KR10220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82A KR102202127B1 (ko) 2018-11-09 2018-11-09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하이드로 고분자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82A KR102202127B1 (ko) 2018-11-09 2018-11-09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하이드로 고분자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419A KR20200054419A (ko) 2020-05-20
KR102202127B1 true KR102202127B1 (ko) 2021-01-13

Family

ID=7091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482A KR102202127B1 (ko) 2018-11-09 2018-11-09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하이드로 고분자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196A (ko) * 2021-11-01 202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92B1 (ko) * 2013-10-24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1963003B1 (ko) * 2016-02-18 2019-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KR102465337B1 (ko) 2016-04-27 2022-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63940A (ko) * 2016-12-02 2018-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저곡률로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 글라스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8766B1 (ko) * 2017-01-31 2019-08-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요성 기판 제조용 적층체 및 이를 이용한 가요성 기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419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281B1 (ko)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내부 긴장력 감쇄를 위한 중간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CN107545847B (zh) 显示装置
US1050513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11058021B2 (en)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7776148B (zh) 用于显示设备的覆盖窗及包括其的显示设备
JP5473905B2 (ja) 圧電素子および音響機器
US10713978B2 (en) Bend limit film
US20140029171A1 (en) Case and display device
CN107578704B (zh) 可卷曲显示装置及包括可卷曲显示装置的电子装置
KR102202127B1 (ko)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하이드로 고분자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CN108242461A (zh) 显示设备
KR102368683B1 (ko)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긴장력 감쇄를 위한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하이브리드 기판
EP3582063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09037119A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ペーパー
KR102381327B1 (ko) 응력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글라스층에 응력감소용 홈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US11474563B2 (en) Foldable display devices with multiple pages
CN110675755A (zh) 可折叠显示装置
CN203688939U (zh) 一种液晶屏幕及移动终端
KR102194316B1 (ko)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유리섬유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KR102173721B1 (ko)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글라스층과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US10824190B1 (en) Tiled display
CN112289912A (zh) 显示装置
KR20220065947A (ko) 점착제 조성물 및 표시 장치
TWI246609B (en) A polariz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273495A (ja) コンベヤ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