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259B1 -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 Google Patents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259B1
KR102201259B1 KR1020180155560A KR20180155560A KR102201259B1 KR 102201259 B1 KR102201259 B1 KR 102201259B1 KR 1020180155560 A KR1020180155560 A KR 1020180155560A KR 20180155560 A KR20180155560 A KR 20180155560A KR 102201259 B1 KR102201259 B1 KR 102201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formation
user
unit
restau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8506A (en
Inventor
허정우
Original Assignee
허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우 filed Critical 허정우
Priority to KR102018015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259B1/en
Priority to PCT/KR2019/016902 priority patent/WO2020116888A1/en
Publication of KR2020006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5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중공형의 외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몸체부, 네트워크를 통해 예정된 대상자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및 상기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각각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처리를 위한 결제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이 제공되며, 지역 사회에 형성된 다수의 식당을 대상으로 복합적인 매출 창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estaurant table based on a network, and includes a body part composed of a hollow outer frame, a display par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target person to a screen through a network, food sold at a restaurant in which a user is located, and the target person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is provided that includes a keypad unit for inputting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food sold in the located restaurant, and a payment unit for processing expenses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t has the effect of creating complex sales targeting a number of restaurants formed in the city.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사람들이 식사시간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in which people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can share meal times.

산업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함에 따라 인간의 물질적인 삶은 점점 풍요로 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과 같은 혁신적인 제품의 경우 이제는 우리의 삶에 없어서는 안 될 만큼 필수품이 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나 잠들기 전까지 스마트 폰과 함께하는 것이 현실이다.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human material life is becoming more and more prosperous. In particular, innovative products such as smartphones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necessity in our lives now, and many people wake up in the morning and go to bed with their smartphones before going to bed.

하지만, 스마트 폰의 이러한 과용은 개인주의적 성향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향우 개인적인 생활로 인한 사람과의 대화 단절을 유발하고 나아가 인간관계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할 여지가 있다. However, this overuse of smart phones is a social problem because it acts as a factor that makes individualistic tendencies more prominent. This problem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in the direction of deteriorating human relations by causing disconnection of conversation with people due to Hyangwoo's personal life.

한편,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On the one hand, humans are social animals.

인간은 혼자 살아가기 어려우며 주위 사람들과 함께 살아간다. 인간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 희로애락을 함께 공유함으로써 서로간의 관계를 느끼고 이를 공감할 때 진정한 행복을 느낀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상황이 가능한 곳이 바로 식당이다.It is difficult for humans to live alone and live with the people around them. Humans feel true happiness when people meet and share emotions and sorrows together to feel the relationship and empathize with each other. And it is the restaurant where all these situations are possible.

일반적으로 식당은 음식을 먹는 장소를 대표하며, 또한 사람과 사람이 만나 대화를 통해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성을 회복할 수 있는 꼭 필요한 장소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사람들은 함께하고 싶은 사람과 약속을 하고 식당에서 만나 음식을 먹으며 오늘의 오해와 삶의 피로를 푼다.In general, a restaurant represents a place to eat food, and is also an essential place where people can meet and talk to restore humanity as a social animal. It's a natural story, but people make an appointment with someone they want to be with, meet at a restaurant and eat, and heal the misunderstandings and fatigue of life.

식당에서의 약속된 만남은 서로 동일한 장소에 적어도 두 명이 정해진 시간에 만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시간적으로 만나기 어려운 곳에 사는 두 사람이 식당에서 만나는 것은 쉽지 않으며, 만약 그렇게 만나더라도 식당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시간과 기력이 소모되어 충분한 시간 동안 최상의 컨디션으로 해당 만남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Promised meetings in a restaurant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at least two people meet each other in the same place at a fixed time. However, it is not easy for two people living in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meet in time to meet at a restaurant, and even if they meet, time and energy are consumed while moving to the restaurant, so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meeting in the best condition for a sufficient time.

식당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소중한 역할을 담당한다. 때문에 이와 같은 역할을 보다 충실히 수행하기 위하여 변해가는 사회적, 기술적 환경을 가감없이 받아들이고 적용함으로써 인간적으로, 더 나아가 사회적으로 행복을 전도해야 할 적극적인 역할이 있다.
Restaurants play a valuable role in meeting people. Therefore, in order to fulfill this role more faithfully, there is an active role that must evangelize happiness both humanly and socially by accepting and applying the changing soc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without addition or subtraction.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하는 식당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원하는 대상을 만나 식사하는 것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capable of meeting a desired target and eating at a desired restaurant through a network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가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의 음식을 주문하고 이에 대한 비용처리가 가능한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in which a user located in a different area can order food from a restaurant in which a subject is located and process costs for it.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가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각각이 서로의 인식코드를 인식하여 매칭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식당에 추가적인 업무를 부가하지 않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that does not add additional work to the restaurant by performing a matching operation by recognizing each of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s with locations in different regions.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중공형의 외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중간층에 음식을 배치하기 위한 테이블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테이블을 기준으로 상부층에 형성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예정된 대상자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및 상기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각각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처리를 위한 결제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composed of a hollow outer frame, a table for arranging food in the middle layer is formed; A display unit formed on the upper layer based on the table and configured to output a target person scheduled through a network; A keypad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configured to input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food sold at a restaurant in which a user is located and food sold at a restaurant in which the subject is located; And a payment unit for processing costs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상부층에 형성되며, 상기 키패드부와 상기 결제부를 이용하여 선택 및 결제가 완료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제공하는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the body part based on the table, and further comprises an outlet through which a product provided by a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is selected and paid by using the keypad part and the payment part is discharged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크기만큼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접촉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having a shape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siz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body unit, and allowing contact by the us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comprises a glass materi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정보에 응답하여 예정된 소리를 송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sensor connected to the protrusion and detecting contact of the protrusion to generate contact information; And a speak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ound in response to the contact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 고정되며, 상기 몸체부 상부면에서 일정영역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천장부재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덮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ver device that is supported and fixed by a supporter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by a ceiling member coupled with the supporter to provide an inner space.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장치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장치; 및 상기 덮개장치의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하늘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ength adjustment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ver device;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ky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devi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상자의 음성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송수신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graphing devi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for photographing the user and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to the network; And a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target person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키패드부와, 상기 결제부와 상기 돌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영상정보, 상기 주문정보, 상기 접촉정보,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몸체부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코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he keypad unit, the payment unit and the protrus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network and the image information, the order information, and the It is preferable that data information including contact information and the voice information is exchanged, and uniqu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ody parts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영상정보, 상기 주문정보, 상기 접촉정보, 상기 음성정보, 상기 코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정보 교환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상자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매칭하기 위한 매칭부; 및 상기 코드정보와 해당 식당의 음식정보와 가격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includes: an information exchang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order information, the contact information, the audio information, and the code information;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 and the target perso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de information, food information and pric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staurant.

본 발명에 있어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에 따른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제공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a virtual customized subject according to virtual image and audio data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공장치는, 다수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 저장부; 다수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저장부; 및 상기 음성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voic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voice data; An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And an update unit for updating the audio data and the image dat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음성 저장부와 상기 영상 저장부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date unit updates the audio storage unit and the image storage unit by receiving audio data and image data from the personal terminal of the us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와 상기 가격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의 매니저에게 알람과 함께 전달하기 위한 알람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larm device for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ice information to a manager of a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ogether with an alarm.

본 발명에 따른 네크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network-based mobile dining room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식당에서 사람을 만나는데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해 줌으로써 사용자와 대상자간의 만남의 질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quality of meeting between a user and a subject by minimizing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in meeting people in a restauran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타 지역에 위치한 식당에서 제공되는 음식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결제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의 매출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위한 식당의 매출까지 상승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user can check food provided at a restaurant located in another region and pay for 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not only the sales of the restaurant where the user is located, but also the sales of the restaurant for the target person.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식당 업주에게 추가적인 업무를 부담하지 않음으로써 업주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burden of the restaurant owner by not burdening the restaurant owner with additional work when installing and using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를 제공하는 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network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vision device for providing a virtual customized target pers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those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has a specific sequence clearly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of the step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cannot be constru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중공형의 외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중간층에 음식을 배치하기 위한 테이블(110)이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테이블(110)을 기준으로 상부층에 형성되며 네트워크(600)를 통해 예정된 대상자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0)와, 디스플레이부(2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및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각각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300), 및 사용자가 선택한 주문정보에 대한 비용처리를 위한 결제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is composed of a hollow outer frame, and a body portion 100 on which a table 110 for placing food is formed on an intermediate layer, and an upper layer based on the table 110 Is formed in the display unit 200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target person to a screen through the network 600,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200 and sold at the restaurant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food sold at the restaurant where the target is located. And a keypad unit 300 for inputting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food, and a payment unit 400 for processing cost for orde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우선, 몸체부(100)는 중공형의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중간층에 형성된 테이블(110)을 기준으로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구분된다.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부층과 하부층에는 사용자가 대상자와 식사를 하면서 필요한 구성들이 구비된다.First, the body part 100 is composed of a hollow rectangular frame, and is divided into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based on the table 110 formed on the intermediate layer.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provided with necessary components while the user eats with the subject.

몸체부(100)에 중간층에 형성되는 테이블(110)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판 형태를 가진다. 테이블(110)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고정된 테이블(110)에 음식을 배치하여 식사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table 110 formed on the intermediate layer of the body portion 100 has a plate shap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he table 110 has a fixed structure, and the user can arrange food on the fixed table 110 to proceed with the meal.

또한, 테이블(110)은 테이블(110)의 하면이나 측면 방향에 레일이 형성되어 몸체부(100)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몸체부(100)와 힌지 결합되어 몸체부(100)의 상부층이면 또는 하부측면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식사 중이 아닌 경우 테이블(110)을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몸체부(100) 측면으로 접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able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rail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r side direction of the table 110 and slides into the body portion 100, or is hinged to the body portion 100 so that the It has a structure that is fold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Through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is not eating, the table 11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or folded to the side of the body part 100 to occupy the space occupied by the network-based mobile dining room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몸체부(100) 내부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200)와 키패드부(300)와 결제부(400)와 돌출부(500)를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에 대한 고유의 코드정보를 네트워크(600)로 전송한다.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코드정보에 대한 설명은 이후 도 2 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body part 100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insid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200, the keypad unit 300, the payment unit 400, and the protrusion 500,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unique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600. A description of the cod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again later in FIG. 2.

한편, 몸체부(100)의 상부층은 디스플레이부(200)와 촬영장치(210), 및 송수신장치(22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layer of the body portion 100 includes a display unit 200, a photographing device 210, and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220.

디스플레이부(2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해 전달되는 대상자의 영상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며, 네트워크(600)를 통해 대상자와 접속하는 방법에 대한 것은 도 3 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The display unit 200 is a component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of a subject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600 on a screen, and a method of accessing the subject through the network 600 will be described again in FIG. 3.

촬영장치(21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고,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60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촬영장치(210)를 통해 네트워크(600)로 전송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는 네트워크(600)에서 대상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로 전송되며, 이를 통해 대상자는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화면을 통해 만나는 것이 가능하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210 is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200 and is configured to photograph a user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network 600.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to the network 600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210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used by the target person in the network 600, through which the subject can view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meet.

송수신장치(2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측 하부 일측에 배치되고, 네트워크(600)를 통해 사용자와 대상자의 음성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송수신장치(220)는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 음성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600)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대상자의 음성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20 is disposed at a lower left side of the display unit 200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information of a user and a target person through the network 600.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220 can receive the user's voice, generate voic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network 600, and can receive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and receive it from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수신장치(220)의 일부 구성인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으며, 해당 커넥터에 마이크 기능이 있는 이어폰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이외 다른 실시예로서 송수신장치(2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블루투스나,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사용자와 대상자의 음성정보를 직접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which is a part of the transceiver device 220, is shown, and an earphone having a microphone function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and used as an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20 may directly transmit/receive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target through Bluetooth used by the user or a mobile phone of the user.

다음으로, 몸체부(100)의 상부층은 키패드부(300)를 포함한다.Next, the upper layer of the body portion 100 includes a keypad portion 300.

키패드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우측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및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각각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키패드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주문정보는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의 매니저에게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네트워크(600)를 통해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의 매니저에게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keypad unit 300 is disposed on on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200 and is configured to input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foods sold at a restaurant in which a user is located and foods sold in a restaurant in which a target is located. The ord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pad unit 30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of the restaurant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of the restaurant where the target is located through the network 600.

그래서 사용자가 자신이 위치한 식당의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는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제공되는 음식정보를 네트워크(600)를 통해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화면을 통해 제공해주며, 사용자는 해당 음식정보를 확인하고 키패드부(300)를 통해 해당 번호를 입력하면 주문이 완료된다. 이때 키패드부(300) 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정보를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의 매니저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를 담당하는 매니저가 주문정보를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So, when a user orders food from a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he display unit 200 receives food information provided at the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hrough the network 60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rough a screen. After confirming and entering the corresponding number through the keypad unit 300, the order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keypad unit 300 may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manager of the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so that the manager in charge of the user recognizes the order information.

또한, 사용자가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의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는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제공되는 음식정보를 네트워크(600)를 통해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화면을 통해 제공해주며, 사용자는 해당 음식정보를 확인하고 키패드부(300)를 통해 해당 번호를 입력하면 주문이 완료된다. 이때 키패드부(3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정보를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의 매니저에게 전달함으로써 대상자를 담당하는 매니저가 주문정보를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a user orders food from a restaurant in which the subject is located, the display unit 200 receives foo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staurant in which the subject is located through the network 60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rough a screen. When the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corresponding number is entered through the keypad unit 300, the order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keypad unit 300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network 600 to the manager of the restaurant where the target person is located, so that the manager in charge of the target person recognizes the order information.

키패드부(300)는 주문정보 이외에 서비스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여기서 서비스정보는 음식을 먹기 전에 필요한 물티슈에 대한 제공이나, 음식을 먹기 위하여 필요한 물, 숫가락 등의 제공 및 이외 기타 서비스 제공 등을 의미한다.The keypad unit 300 can also input service information in addition to order information, where the service information is to provide wet tissues required before eating food, or to provide water and spoons necessary for eating food, and other services. Means etc.

참고로, 키패드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로 출력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키패드부(300)의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0)의 화면에 키패드부(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팝 업 화면을 띄어 이를 터치함으로써 키패드부(3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reference,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keypad unit 300 may instead perform the function of the keypad unit 300 using an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0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keypad unit 300 by displaying a pop-up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keypad unit 300 on the screen of the unit 200 and touching it.

다음으로, 몸체부(100)의 상부층은 결제부(400)를 포함한다.Next, the upper layer of the body part 100 includes a payment part 400.

결제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우측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에 대응하는 비용처리를 위한 구성이다. 결제부(400)는 현금을 투입하는 구성 또는 카드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둘을 모두 결합한 구성도 가능하다.The payment unit 40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200 and is a component for processing expenses corresponding to food selected by the user. The payment unit 400 may be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cash is inserted or a card is inserted,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are combined is also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이 위치한 식당의 음식을 주문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의 음식을 주문하는 것도 가능하며, 대상자의 음식을 사용자가 결제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대상자를 위해 결제한 비용은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이 가맹한 카드회사 또는 국세청으로 전달된다.In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user can order food from a restaurant in which he/she is located, as well as order food from a restaurant in which the subject is located. It is also possible to pay. Here, the cost paid by the user for the target person is transferred to the card company or the National Tax Service to which the restaurant where the target person is located is affiliated.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600)는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과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의 음식정보와 가격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사용자와 대상자에게 각각 제공해주며, 사용자는 음식 선택 및 결제에 따라 주문정보를 해당 매니저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To this end, the network 600 stores food information and price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the restaurant in which the target is located,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nd the target person respectively, and the user delivers order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manager according to food selection and payment. It is possible to do.

다음으로, 몸체부(100)의 상부층은 돌출부(500)와 스피커(510)를 포함한다.Next, the upper layer of the body part 100 includes a protrusion 500 and a speaker 510.

돌출부(50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우측 하부 일측에 배치되고, 몸체부(100)의 외측방향 즉,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일정 크기만큼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그래서 사용자는 대상자와 물리적인 접촉을 위한 행동을 돌출부(500)를 이용하여 대신 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는 대상자와 서로 잔을 부딪치는 행동을 돌출부(500)를 통해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otrusion 5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200 and has a shape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siz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0,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hus, the user can perform an action for physical contact with the subject by using the protrusion 500, and for example, the user can perform the action of colliding with the subject and a cup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rotrusion 5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500)가 잔 형태의 유리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상자와 잔을 접촉하는 행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대상자는 아니지만 돌출부(500)를 통해 대리만족이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e protrusion 500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in the form of a cup, and through this, an action of contacting the subject and the glass is possible, and through this, although not the subject, surrogate satisfaction is achieved through the protrusion 500 It is possible.

돌출부(500)의 형태와 재질은 잔 형태의 유리재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가 식사 중에 할 수 있는 행동을 위한 형태나 그에 맞는 재질을 선택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protrusion 500 is not limited to a glass material in the form of a cup, an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manufacture a shape for an action that a user can do while eating or a material suitable for it.

돌출부(500)는 착탈식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형태나 재질이 다른 구성의 돌출부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돌출부(500)는 몸체부(100)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리재질의 돌출부와 플라스틱재질의 돌출부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여, 사용자와 대상자는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돌출부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otrusion 500 has a detachable structur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protrusion having a different shape or material.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500 may be provided on the body part 100, and for example, a protrusion made of a glass material and a protrusion made of a plastic material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and the subject selectively contact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돌출부(500)에는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감지센서가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센서는 사용자가 돌출부(500)를 접촉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접촉정보를 생성한다. 이 접촉정보는 스피커(510)와 네트워크(600)로 전달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다시 이야기 하기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additionally configured detection sensor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500, and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when a user contacts the protrusion 500 and generates contact information. This contac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510 and the network 600,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again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related thereto.

이어서, 스피커(510)는 돌출부(50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고, 돌출부(500)에서 생성되는 접촉정보에 응답하여 예정된 소리를 송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돌출부(500)에 접촉하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때 돌출부(500)에서 생성된 접촉정보는 스피커(510)로 전달되어 기 저장된 소리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Subsequently, the speaker 51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500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a predetermined sound in response to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trusion 50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operate to contact the protrusion 500, and at this time, the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trusion 500 may be transmitted to the speaker 510 to transmit a previously stored sound.

그래서 예컨대, 사용자가 돌출부(500)에 잔을 접촉하는 경우 돌출부(500)가 유리재질을 가지기 때문에 촉각적으로 느끼는 감정은 대상자와 잔을 접촉했을 때와 동일하며, 스피커(510)에서 "짠", "건배" 등의 소리를 송출하기 때문에 청각적으로 느끼는 감정을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돌출부(500)가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각에 대응하는 소리가 스피커(510)를 통해 송출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와 대상자는 서로 다른 지역에 있지만 촉각적이나 청각적으로 충분한 교감을 느끼는 것이 가능하다.So,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glass with the protrusion 500, the tactile feeling is the same as when the user touches the glass with the subject, because the protrusion 500 has a glass material, and is "squeezed" in the speaker 510. , "Cheers", etc., so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motions you feel aurally. If a plurality of protrusions 500 are provided, sounds corresponding to each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510, and through this, although the user and the target are in different regions, it is possible to feel sufficient tactile or auditory sympathy.

이어서, 접촉정보는 네트워크(600)를 통해 대상자에게도 전달되며, 대상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에 장착된 스피커(510)에서도 그에 대응하는 소리가 송출된다. 따라서, 대상자 역시 서로 다른 위치에 있지만 서로 동일한 장소에서 식사를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충만하게 받을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tact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target person through the network 600, and the corresponding sound is also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510 mounted on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used by the target person. Therefore, although the subjects are also in different locations, they can fully feel as if eating in the same place.

이어서, 돌출부(500)는 예컨대, 실리콘 재질의 손 모양으로도 제작가능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대상자와 손뼉을 부딪히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Subsequently, the protrusion 5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hand made of, for example, a silicon material, and the user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lapping with the subject through this configuration.

다음으로, 몸체부(100)의 하부층은 수납공간(120)과 이동바퀴(130)를 포함한다.Next, the lower layer of the body portion 100 includes a storage space 120 and a moving wheel 130.

수납공간(120)은 하부층에 형성되며,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으로서 사용자의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식당에 단독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수납공간(12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최소한의 배려 공간에 해당한다.The storage space 120 is formed on the lower layer and is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by being recessed into the body portion 100 and is configured to store the user's items. The network-based mobile dining room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lone in the dining room, and in this case, the storage space 120 corresponds to the minimum consideration space for the user's convenience.

이동바퀴(130)는 몸체부(100)의 하부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며, 몸체부(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손쉽게 이동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형태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The moving wheel 130 is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and is a configuration for easily moving the body portion 100 in a desired direction, and the shape and arrangement thereof may be variously desig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기존 식당의 협소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구조로서 식당의 빈 공간에 따라 몸체부(100)의 이동이 최대한 용이해야 한다. 따라서, 이동바퀴(130)는 이러한 이동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바퀴(130)가 구성되지 않더라도 몸체부(100)의 양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몸체부(100)를 충분히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network-based mobile dining room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utilizing the narrow space of an existing dining room, and the body part 100 must be moved as easily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empty space of the dining room. Therefore, the moving wheel 130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maximizing such mobility. 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oving wheel 130 is not configured,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move the body part 100 using handles (not show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00.

다음으로, 몸체부(100)의 하부층은 배출구(150)를 포함한다.Next, the lower layer of the body part 100 includes an outlet 150.

배출구(150)는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제공하는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부(100)의 내부는 예컨대, 자판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키패드부(300)와 결제부(400)를 이용하여 제품 선택 및 결제가 완료된 제품이 배출구(150)로 배출되면, 사용자는 배출구(150)를 통해 해당 제품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배출구(150)에서 토출되는 제품은 해당 식당에서 요리되는 음식이 아니며, 매장에서 판매가 가능한 완제품을 의미한다.The discharge port 150 is a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a product provided by a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rior of the body part 10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vending machine, and the product selected and paid for by using the keypad part 300 and the payment part 40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50 If so, the user can obtain the product through the outlet 150. For reference, the product discharged from the outlet 150 is not food cooked in a corresponding restaurant, but refers to a finished product that can be sold in a store.

마지막으로, 몸체부(100)의 상부층의 상부에는 덮개장치(140)를 포함한다.Finally, a cover device 140 is includ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layer of the body part 100.

덮개장치(140)는 몸체부(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4 개의 지지대(JJ)에 의하여 지지 고정되며, 몸체부(100)의 상부면에서 일정영역 이격되어 지지대(JJ)와 결합되는 천장부재(T)를 포함한다. 몸체부(100)의 상부면과 천장부재(T) 사이에 마련되는 내부공간(S)은 사용자의 물품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ver device 140 is supported and fixed by four supports (JJ)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nd a ceiling membe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base (JJ) Includes (T). The inner space (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ceiling member (T) can be used for storing the user's goods.

여기서, 지지대(JJ)는 천장부재(T)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형태와 재질은 선택 가능하다.Here, the support JJ is a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eiling member T, and its shape and material can be selected.

천장부재(T) 역시 그 형태와 재질은 선택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이동성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하여 식당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하늘에서 내리는 비나 눈에 대비하여 천장부재(T)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상부 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ceiling member T can also be selected, but the network-based mobile dining room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utside the dining room instead of inside the dining room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mobility. In this case, in preparation for rain or snow falling from the sky, the ceiling member T may be extended and formed to cover the upper space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이를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장부재(T)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장치가 구비되며, 길이조절장치를 통해 비나 눈이 오지 않을 때는 천장부재(T)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eiling member (T), the length of the ceiling member (T) when it does not rain or snow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devic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djustment.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식당의 협소한 빈 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로서 식당에 기 설치된 구성과 충돌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길이조절장치를 통해 천장부재(T)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천장부재(T)가 기 설치된 구성에 대하여 방애물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regard, the network-based mobile dining room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installing in a narrow empty space of the dining room, and should not conflict with a configuration previously installed in the dining room.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eiling member T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iling member T from becoming an anti-fogging object for a pre-installed configuration.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이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의 소음이나 먼지 등에 노출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덮개장치(140)는 사용자와 주변을 최소한으로 차단할 수 있는 천이나 비닐 같은 가림막을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공간을 제공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Additionally, when the network-based mobile dining room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utside, the user may be exposed to external noise or dust.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device 140 may provide a more comfortable space to the user by connecting a screen such as a cloth or vinyl that can block the user and the surroundings to a minimum.

한편, 천장부재(T)는 일정 면적의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하늘창(W)을 포함한다. 하늘창(W)은 투명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천장부재(T)가 사용자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하늘창(W)을 통해 평온한 마음으로 하늘을 바라보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ceiling member T includes a sky window 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ince the sky window (W)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even when the ceiling member (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user,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view the sky with a calm mind through the sky window (W).

도 2 는 도 1 의 네트워크(6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지역의 식당과 "B"지역의 식당 각각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이 배치되어 있고, "A"지역의 식당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B"지역의 식당을 이용하는 대상자가 서로 식사를 한다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twork 600 of FIG. 1,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network-based mobile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each restaurant in the area "A" and the restaurant in the area "B".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a restaurant table is arranged, and a user who uses a restaurant in area "A" and a person who uses a restaurant in area "B" eat each other.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200)와 키패드부(300)와 결제부(400)와 돌출부(500)를 제어하며, 네트워크(600)와 영상정보, 주문정보, 접촉정보,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교환한다. 이때 제어부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코드정보를 네트워크(600)로 전송한다. Although already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splay unit 200, the keypad unit 300, the payment unit 400, and the protrusion 500, and the network 600, image information, and order information Exchange data information, including contact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transmits uniqu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s to the network 600.

여기서, 코드정보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각각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며, 코드정보는 예컨대,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제작하면서 각 장치에 부여되는 장치번호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Here, the code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for recognizing each of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de information is, for example, a device number assigned to each device while manufacturing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This may be the case.

한편, 도 2 를 참조하면 네트워크(600)는 정보 교환부(610)와, 매칭부(620), 및 저장부(6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보 교환부(610)와 매칭부(620)와 저장부(6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the network 600 includes an information exchange unit 610, a matching unit 620, and a storage unit 630.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exchange unit 610, the matching unit 620, and the storage unit 630.

정보 교환부(610)는 영상정보, 주문정보, 접촉정보, 음성정보, 코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사용자(P1)와 대상자(P2)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주문정보는 사용자(P1)가 대상자(P2)를 위하여 주문한 음식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접촉정보는 사용자(P1)의 특정 행동에 따라 발생하는 변화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코드정보는 사용자(P1)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The information exchange unit 610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rder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and code information. Here, the imag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on the images of the user (P1) and the subject (P2), the order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on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P1) for the subject (P2), and the contact information refers to the user It refers to information on changes that occur according to the specific behavior of (P1), and the cod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can recognize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used by the user (P1).

매칭부(620)는 사용자(P1)와 대상자(P2)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매칭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매칭부(620)는 사용자(P1)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의 코드정보와 대상자(P2)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의 코드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서로 원하는 상대가 맞는지를 연산 처리하며, 그 결과는 각각의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의 제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각 제어부는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P1)와 대상자(P2)의 만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atching unit 620 is a component for matching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 P1 and the target person P2. That is, the matching unit 620 matches the code information of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used by the user P1 and the code information of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used by the target person P2 to determine whether the desired partner is correct.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each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nd each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meeting of the user P1 and the target person P2 according to the result.

이어서, 저장부(630)는 사용자(P1)와 대상자(P2) 각각이 위치한 식당의 음식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가격정보, 그리고 코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P1)의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사용자(P1)와 대상자(P2)의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정보와 가격정보를 제공한다.Subsequently, the storage unit 630 is configured to store food information of a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P1 and the target person P2 are located, pr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code information. Although already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ood information and price information sold at restaurants of the user P1 and the target person P2 through the display unit 200 of the user P1.

따라서, 저장부(630)는 각 식당의 매니저로부터 코드정보 함께 음식정보 및 가격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사용자(P1)나 대상자(P2)의 요청이 있는 경우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정보와 가격정보를 해당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에 제공해주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storage unit 630 receives and stores food information and price information along with the code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of each restaurant, and stores food information and price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P1) or the target person (P2).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이하, 도 1 및 도 2 를 통해 사용자(P1)와 대상자(P2)가 각각의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에서 네트워크(600)를 통해 서로 만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user P1 and the target person P2 meet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600 at each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우선 도 2 를 참조하면, "A"지역의 식당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용자(P1)와 해당 식당의 매니저(C1)가 존재하며, "B"지역의 식당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사용하는 대상자(P2)와 해당 식당의 매니저(C2)가 존재한다.First, referring to FIG. 2, in a restaurant in area "A", a user P1 using a mobile restaurant table based on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ager C1 of the restaurant exist, and in area "B" In the restaur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rget person P2 using a mobile restaurant table based on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ager C2 of the corresponding restaurant exist.

우선, 사용자(P1)는 "A"지역의 식당 배치된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에 착석하고, 대상자(P2)가 이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의 코드정보를 기입한다. 대상자(P2) 역시 "B"지역의 식당 배치된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에 착석하고, 반대로 사용자(P1)가 이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의 코드정보를 기입한다. 네트워크(600)의 매칭부(620)는 사용자(P1)의 코드정보와 대상자(P2)의 코드정보를 매칭하고, 서로 원하는 대상임을 각각의 제어부로 전달한다.First, the user P1 sits at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in which restaurants in the area "A" are arranged, and writes code information of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used by the target person P2. The target person P2 also sits at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in which a restaurant in the "B" area is arranged, and, on the contrary, writes the code information of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used by the user P1. The matching unit 620 of the network 600 matches the code information of the user P1 with the code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P2, and transmits the desired targets to each control unit.

사용자(P1)와 대상자(P2)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만남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ser P1 and the subject P2 may start mee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도 1 에 도시된 사용자(P1)의 디스플레이부(200)에는 대상자(P2)의 영상정보가 출력되고, 대상자(P2)의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촬영장치(210)를 통한 사용자(P1)의 영상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송수신장치(220)를 통해 서로 대화가 가능하다.Image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P2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200 of the user P1 shown in FIG. 1,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P1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2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of the target person P2. Image information is outpu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20.

사용자(P1)는 키패드부(300)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한 "A"지역의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을 주문하거나, 대상자(P2)가 위치한 "B"지역의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을 주문하거나, 두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을 주문하여 주문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A"지역의 식당의 매니저(C1)와 "B"지역의 식당의 매니저(C2)에게 해당하는 주문정보가 전달된다. The user P1 uses the keypad unit 300 to order food sold at a restaurant in the “A” area where the target person P2 is located, or order food sold at a restaurant in the “B” area where the target person P2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create order information by ordering food sold in the two restaurants, and the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manager (C1) of the restaurant in the area "A" and the manager (C2) of the restaurant in the area "B".

주문정보는 결제부(400)를 통해 비용처리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결제정보는 해당 매니저는 물론 해당카드사나 국세청으로 전달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P1)의 결제에 대한 결정은 대상자(P2)에게 제공되는 음식을 직접 선택하고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P1) 입장에서 결제 대상이 명확한 신뢰성 있는 합리적 소비가 가능하다.The order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through the payment unit 400, and the pay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ard company or the National Tax Service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manager. In this regard, since the decision on the payment of the user P1 is made by directly selecting the food provided to the target person P2, the user P1 is able to make reliable and reasonable consumption with a clear target of payment.

음식이 제공된 이후에는 사용자(P1)와 대상자(P2)는 돌출부(500)를 통해 잔을 접촉하거나 손뼉을 접촉하는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행동은 잔을 부딪히는 소리나 손뼉을 부딪히는 소리로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After the food is provided, the user P1 and the subject P2 may perform an action of contacting the cup or clapping their hands through the protrusion 500. In addition, the action can be conveyed by the sound of clapping a cup or clapp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사용자(P1)와 대상자(P2)가 서로 다른 공간에 있음에도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으로 충분한 교감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P1)와 대상자(P2) 입장에서는 서로 만남에 있어서 각각 원하는 음식을 주문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당입장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의 설치를 통해 대상자로부터의 이익 창출이 가능하다.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sufficient communication visually, tactilely, and aurally even when the user P1 and the subject P2 are in different spa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the user P1 and the target person P2 to order the food they want when meeting with each other, and at the restaurant entrance, it is possible to create profits from the target person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코드정보를 통해 사용자(P1)와 대상자(P2)를 매칭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사용자(P1)와 대상자(P2)가 서로 공유하는 일종의 비밀번호와 같은 키코드를 통해 매칭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e user (P1) and the target person (P2) are matched through code informatio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1) and the target person (P2)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matching through a key code such as a kind of password shared with each other.

다른 한편, 사용자(P1)와 대상자(P2)가 서로 만나는데 있어서 대상자(P2)가 약속을 늦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P1)는 혼자 식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이를 위하여 대상자(P2)를 대신할 수 있는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를 제공해주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1 and the subject P2 meet each other, the subject P2 may be late for an appointment. In this case, the user P1 may have to eat alone.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irtual customized target person that can replace the target person P2 for this purpose.

도 3 은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를 제공하는 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vision device for providing a virtual customized target person.

도 3 을 참조하면, 제공장치(700)는 동작모드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상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를 제공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동작모드는 노말모드와 혼밥모드로 구분되어 정의되며, 노말모드는 다른 지역의 식당에 위치한 대상자와 식사를 하는 상황에서의 제어모드를 의미하고, 혼밥모드는 사용자가 혼자 식사를 하는 상황에서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를 제공하는 제어모드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oviding device 700 is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virtual customized target person using virtual image and audio data to a user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Here, the operation mode is divided into a normal mode and a honbap mode, and the normal mode is a control mode in a situation where a person eats with a person located in a restaurant in another region, and the honbap mod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eats alone. It means a control mode that provides a virtual customized target person.

제공장치(700)는 제어부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영역에 구성되거나 네트워크(600)에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공장치(700)는 음성 저장부(710)와, 영상 저장부(720), 및 업데이트부(730)를 포함한다.Like the control unit, the providing device 700 may be configured in a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rea or configured in the network 600, and the providing device 700 includes an audio storage unit 710 and an image storage unit 720 , And an update unit 730.

음성 저장부(710)는 다수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의 음성이 저장된다. 음성 저장부(710)의 저장되는 음성 데이터는 예컨대, 남성 목소리, 여성 목소리를 기본으로 다양한 목소리가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voice storage unit 710 is a component for storing a plurality of voice data and stores the voice of a virtual customized subject provided to a user.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voice storage unit 710 may store various voices based on, for example, male voices and female voices.

영상 저장부(720)는 다수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의 양상이 저장된다. 영상 저장부(720)의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 역시 예컨대, 남성의 모습과 여성의 모습을 기본으로 다양한 인물 모습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image storage unit 720 is a componen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and stores an aspect of a virtual customized subject provided to a user.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20 may also store various figures based on, for example, a male figure and a female figure.

업데이트부(730)는 음성 저장부(710)와 영상 저장부(720)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미디어 정보(M)를 제공받아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여 음성 저장부(710)와 영상 저장부(720) 각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미디어 정보(M)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정보를 의미한다. 즉, 음성 저장부(710)와 영상 저장부(720)는 업데이트부(730)로 전달되는 미디어 정보(M)를 통해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pdate unit 730 is a component for updating the audio storage unit 710 and the image storage unit 720, and receives media information M and separates the audio data and the image data to store the audio storage unit 710 and the image. It is provided to each of the units 720. Here, the media information M mean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audio data. That is, the audio storage unit 710 and the image storage unit 720 may additionally store audio data and image data through the media information M transmitted to the update unit 730.

이어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성 저장부(710)와 영상 저장부(720)와 업데이트부(7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음성 저장부(7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 중 선택된 음성 데이터를 도 1 의 송수신장치(220)로 전달하고, 영상 저장부(7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도 1 의 디스플레이부(200)로 전달하되, 해당 음성 데이터와 해당 영상 데이터가 서로 동기화되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Nex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dio storage unit 710, the image storage unit 720, and the update unit 730.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lected audio data among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audio storage unit 710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20 of FIG. 200), bu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and corresponding video data to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and outp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는 혼밥모드에서 음성 저장부(7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와 영상 저장부(7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혼자 식사를 하는데 발생하는 무료함을 최소한으로 달달래주는 것이 가능하다.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tual customized target person to the user by using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audio storage unit 710 and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20 in the mixed rice mode. It is possible to soothe the boredom that occurs when eating alone.

한편, 제공장치(700)는 도 1 의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영역에 배치되거나 도 2 의 네트워크(600)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공장치(700)가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을 제어하는 구성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600)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네트워크(600)를 제어하는 구성의 일부가 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viding apparatus 700 may be disposed in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rea of FIG. 1 or may be disposed in the network 600 area of FIG. 2. When the providing device 700 is disposed in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rea, the control unit may be part of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nd when disposed in the network 600 area, the network 600 It can be part of the controlling configuration.

다른 한편,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업데이트부(730)는 미디어 정보(M)를 통해 음성 저장부(710)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 저장부(720)의 영상 데이터를 업테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미디어 정보(M)는 제공장치(7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하여 제공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update unit 730 may update the audio data of the audio storage unit 710 and the video data of the video storage unit 720 through the media information M. In this case, the media information M may be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providing device 700 or may be provided by a user.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관리자가 미디어 정보(M)를 제공하는 경우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생성된 미디어 정보(M)에 따라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의 음성과 영상이 설정되며, 사용자가 미디어 정보(M)를 제공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친구에 대한 미디어 정보(M)에 따라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의 음성과 영상이 설정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manager provides media information (M), the voice and video of the virtual customized target person is set according to the media information (M) randomly generated by the manager, and the user provides the media information (M).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voice and video of the virtual customized target person are set according to the media information (M) of the user's friend.

여기서, 사용자가 미디어 정보(M)를 제공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로부터 동영상 정보, 음성 정보, 사진 정보를 통해 미디어 정보(M)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단말기에 저장된 미디어 정보(M)를 업데이트부(730)로 전달하고 업데이트부(730)는 음성 저장부(710)와 영상 저장부(720)를 사용자가 제공한 미디어 정보(M)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는 사용자가 제공한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가 반영되며, 사용자는 보다 친근한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와 식사가 가능하다.Here, when the user provides the media information M,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media information M from the user's personal terminal through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and photo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user transmits the media information (M) stored in his/her personal terminal to the update unit 730, and the update unit 730 provides the audio storage unit 710 and the image storage unit 720. It is possible to update with information (M). In this case, the virtual customized subject reflects the audio data and video data provided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eat with a more familiar virtual customized subject.

이와 관련하여, 도 1 의 스피커(510)는 음성 저장부(7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의 음성으로 예정된 소리를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regard, the speaker 510 of FIG. 1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sound as the voice of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voice storage unit 710.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은 사용자와 대상자가 서로 식사를 함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기 때문에 만남의 질을 최대화 할 수 있고, 해당 식당에 위치한 사용자가 타지역에 위치한 식당에서 제공되는 음식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자연스러운 합리적 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식당뿐만 아니라 타지역 식당의 매출 상승이 가능하고, 식당에 이를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추가적인 업무가 없기 때문에 업주의 업무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In summary, the network-based mobile restaurant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quality of meeting because there are no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when a user and a subject eat each other, and user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restaurant can Since the food served at the restaurant in which the restaurant is located is checked and a natural reasonable payment is mad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les of not only the restaurant but also other local restaurants, and there is no additional work in installing and using it in the restaurant, thus reducing the burden of the business owner. It is possible to reduce it.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us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몸체부
200 : 디스플레이부
300 : 키패드부
400 : 결제부
100: body
200: display unit
300: keypad part
400: payment

Claims (13)

중공형의 외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중간층에 음식을 배치하기 위한 테이블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테이블을 기준으로 상부층에 형성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예정된 대상자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및 상기 대상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각각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처리를 위한 결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크기만큼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접촉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잔과 상기 대상자의 잔에 대한 물리적인 접촉을 대신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It is composed of a hollow outer frame,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table for arranging food in the middle layer;
A display unit formed on the upper layer based on the table and configured to output a target person scheduled through a network;
A keypad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configured to input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food sold at a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food sold at a restaurant in which the target person is located;
A payment unit for processing costs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At least one protrus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having a shape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siz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body unit, and allowing physical contact by the user,
Th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replace the user's cup and the subject's cup in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상부층에 형성되며, 상기 키패드부와 상기 결제부를 이용하여 선택 및 결제가 완료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식당에서 제공하는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It is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the body part based on the table,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 product provided by a restaurant in which the user is selected and paid using the keypad part and the payment part.
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network-based mobile dining room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comprises a glass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정보에 응답하여 예정된 소리를 송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A detection sensor connected to the protrusion and detecting contact of the protrusion to generate contact information; And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ound in response to the contact information
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 고정되며, 상기 몸체부 상부면에서 일정영역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천장부재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덮개장치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ver device that is supported and fixed by a supporter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by a predetermined area and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by a ceil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er.
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장치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장치; 및
상기 덮개장치의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하늘창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6,
A length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ver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 sky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ver device
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상자의 음성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송수신장치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5,
A photographing devi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for photographing the user and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to the network; And
Further comprising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target through the network
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키패드부와, 상기 결제부와 상기 돌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영상정보, 상기 주문정보, 상기 접촉정보,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몸체부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코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8,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he keypad unit, the payment unit and the protrusion unit is further included in the body unit,
The control unit exchanges data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order information, the contact information, and the voice information with the network, and transmits uniqu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ody parts to the network. 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영상정보, 상기 주문정보, 상기 접촉정보, 상기 음성정보, 상기 코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정보 교환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상자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매칭하기 위한 매칭부; 및
상기 코드정보와 해당 식당의 음식정보와 가격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9,
The network,
An information exchang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order information, the contact information, the audio information, and the code information;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 and the target person; And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de information, food information and pric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staurant
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제1항에 있어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에 따른 가상의 맞춤형 대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제공장치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a virtual customized target person according to virtual video and audio data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장치는,
다수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 저장부;
다수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저장부; 및
상기 음성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viding device,
A voic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voice data;
An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And
Including an update unit for updating the audio data and the video data
Network-based portable dining tab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음성 저장부와 상기 영상 저장부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형 식당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update unit receives audio data and image data from the user's personal terminal and updates the audio storage unit and the image storage unit.
KR1020180155560A 2018-12-05 2018-12-05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KR102201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560A KR102201259B1 (en) 2018-12-05 2018-12-05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PCT/KR2019/016902 WO2020116888A1 (en) 2018-12-05 2019-12-03 Network-based movable dining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560A KR102201259B1 (en) 2018-12-05 2018-12-05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506A KR20200068506A (en) 2020-06-15
KR102201259B1 true KR102201259B1 (en) 2021-01-11

Family

ID=7097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560A KR102201259B1 (en) 2018-12-05 2018-12-05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1259B1 (en)
WO (1) WO202011688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5029B (en) * 2020-10-13 2021-08-17 广州科为生物科技有限公司 Biotechnology market research station
TWI750017B (en) * 2021-01-25 2021-12-11 新舜實業股份有限公司 Quickly seal the stall ca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747U (en) * 1997-07-28 1999-02-25 김지홍 Drinking water equipment with a cup rotating part
KR20000017772U (en) * 1999-03-04 2000-10-05 구자홍 device for preventing rainwater and overload
KR20030039421A (en) * 2001-11-13 2003-05-22 최근창 Wine shop operation system using a network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405887B1 (en) * 2002-03-29 2003-11-14 신홍일 Vending Machine Capable of Providing Multimedia Services and Method thereof
KR20130106029A (en) * 2012-03-19 2013-09-27 주식회사 넥스트컨버젼스그룹 Smart table having display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888A1 (en) 2020-06-11
KR20200068506A (en)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23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hotel services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0645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ifying interactive displays used in hotel guest rooms
CN107533357B (en) Display device and content display system
US20200193713A1 (en) Smart mirror for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EP23177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guest preferences to a telephony device
CN101128052A (en)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using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US20160231718A1 (en) Personal Proximity with Preferences
CN105701650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01259B1 (en)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Miller et al. Discovering Bluetooth
WO2021092191A1 (en) Smart mirror and table top devices with sensor fusion of camera vision, acoustic, and multi-point capacitive touch control
CN106133767A (en) There is provided and share Consumer's Experience to support communication
US113023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bling voice assistant audio monitoring and data capture for smart speakers and smart systems
CN107969150A (en) Equipment for aiding in user in family
US1179810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and providing data for business services
US202003717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bling Voice Assistant Audio Monitoring and Data Capture For Smart Speakers and Smart Systems
JP2011120098A (en) Intercom system
CN105808496A (en) Personal work system capable of being dynamically combined and regulated
US20060133339A1 (en) System for collecting, storing, and selectively distributing data
AU2012301503B2 (en) Sentient environment
KR102519750B1 (en) Operating system of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KR20140112690A (en) Ordering system and thereof method using portab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200086872A (en) System for health care service for realistic experience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KR2006009265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ooking service using communication terminal
KR20150037797A (en) Real-time contac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based on the phone book between the smart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