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760B1 -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760B1
KR102200760B1 KR1020200085087A KR20200085087A KR102200760B1 KR 102200760 B1 KR102200760 B1 KR 102200760B1 KR 1020200085087 A KR1020200085087 A KR 1020200085087A KR 20200085087 A KR20200085087 A KR 20200085087A KR 102200760 B1 KR102200760 B1 KR 102200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collection
microneedle
specimen
micro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혜진
김윤서
김지석
김윤경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도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도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도믹스
Priority to KR102020008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760B1/ko
Priority to PCT/KR2021/000746 priority patent/WO20220100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61B5/14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 A61B5/14514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using means for aiding extraction of interstitial fluid, e.g. microneedles 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25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taking multipl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Der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는,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채취 위치로 진입 가능한 몸체부 및 몸체부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채취 위치로부터 검체를 긁어내고 흡습하여 채취하는 채취부를 포함하며, 채취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충분한 양의 검체를 긁어낸 후에 흡습하여 채취할 수 있어, 검체 채취 효율 향상과 함께 검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SPECIMEN COLLECTION INSTRUMENT WITH MICRO-NEEDLES AND MANUFACTURE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해 점막 조직의 검체를 긁어내고, 긁어진 검체를 흡습하여 채취함으로써 채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와 같이 의료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질병을 예방하거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검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검진은 피검사자로부터 혈액, 타액 및 분비물과 같은 검체를 채취한 후에, 채취한 검체에 대하여 생화학 검사, 면역 혈청검사 및 혈액학 검사 등과 같은 다양한 검사를 실시하여,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검진한다. 이때, 일반적인 검체 채취는 면봉을 대상 채취 위치로 진입시켜, 점막 표면의 조직을 채취한다.
한편, 면봉을 이용한 점막 표면 조직의 채취는 제한된 양의 DNA만을 획득할 수 있음에 따라, 획득한 DNA의 양과 질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점막 조직의 표면에는 불순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채취된 검체의 양도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분석에 필요한 DNA의 양 및 순도가 낮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점막 조직 표면을 반복 채취함으로써, 검사자의 검사 효율을 저하시키며, 피검사자의 고통을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반복 채취된 검체의 불순물로 인한 노이즈 신호(Noise signal)를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 공정이 요구됨으로써, 비용과 시간 면에서 불리하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피검사자로부터 안전하면서도 충분한 양의 검체를 반복 채취없이 채취할 수 있는 검사 장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4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72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번의 진입으로 채취 위치로부터 검체를 긁어낸 후에 흡습하여 채취할 수 있어 충분한 양의 검체 채취에 유리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이 달성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는,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채취 위치로 진입 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상기 채취 위치로부터 상기 검체를 긁어내고 흡습하여 채취하는 채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취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마련되고, 유연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취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채취부가 상기 채취 위치로 진입한 이후에 회전되어 상기 채취부의 채취 자세를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취부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채취 몸체, 상기 채취 몸체의 상기 제1면에 마련된 흡습부재 및, 상기 채취 몸체의 상기 제2면에 마련되는 니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취 몸체와 상기 흡습부재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부재는 흡습성을 가지는 섬유질 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은 선단이 뾰족한 팁(Tip)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면의 전 영역에 다열 및 다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부재 및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은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제2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의 제조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흡습부재를 포함하는 채취부를 마련하는 마련단계,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이 마련된 니들부재를 몰딩하는 몰딩단계 및, 상기 니들부재를 상기 채취부에 부착시키는 부착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채취부는 양면에 상기 흡습부재와 니들부재가 각각 마련되는 채취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흡습부재는 흡습성을 가지는 섬유질 물질로 마련되어 상기 채취 몸체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단계는, 상기 니들부재에 대응되는 몰드홈이 마련되는 몰드에 몰딩물질을 공급하여 상기 니들부재를 몰딩하며, 상기 몰딩물질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 (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 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 이미다졸),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 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싸이클로덱스트린 및 이러한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는 폴리디메틸실론산(poly-di-methyl-siloxane, PDMS)을 포함하는 실리콘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몰드의 바닥면에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니들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단계는, 상기 흡습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니들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채취 위치로 진입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해 검체를 긁어낸 후, 긁어진 검체를 흡습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어, 충분한 양의 검체 채취가 가능하다.
둘째, 한번의 진입 동작으로 검체를 긁어낸 후에 몸체부의 파지 자세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자세 변형을 통해 긁어진 검체를 흡습할 수 있어, 검사자의 검사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검체 채취동작이 반복되지 않음으로써 피검사자의 고통을 유발하지 않으며, 검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충분한 양의 검체 채취를 통한 충분한 DNA를 확보할 수 있어, 불순물 제거 과정 없이도 동일인에 대한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검체 검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어 검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짧은 시간안에 정확한 검체 채취 및 검사가 가능한 비용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기존의 면봉, 마이크로 니들 및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를 이용한 검체 채취 상태를 개략적으로 촬영한 이미지들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존의 면봉, 마이크로 니들 및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에 의해 검체가 채취된 상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해 개략적으로 촬영한 이미지들이다.
도 5는 검체 채취 방법에 따른 검체에서 검출되는 DNA의 농도를 개략적으로 비교한 그래프들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마이크로 니들 몰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몰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Ⅷ-Ⅷ 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몰드를 이용해 마이크로 니들을 몰딩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1)는 몸체부(10) 및 채취부(2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검체 채취기구(1)는 피검사자의 구강으로 진입하여 점막 표면 조직의 검체를 채취하는 것으로 설명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즉, 검체 채취기구(1)가 구강 및 비강을 비롯한 호흡기 기관을 포함하여, 다양한 인체 내부의 장기의 점막 조직으로 진입되어 검체를 채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몸체부(10)는 채취 위치에 진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몸체부(10)는 채취 위치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진다. 이때, 몸체부(10)의 일단은 검사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단으로 마련되고, 일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타단에는 후술할 채취부(20)가 마련된다.
한편, 몸체부(10)는 굴곡진 구강이나 비강으로 진입함에 있어서, 휘어짐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채취 위치로의 진입이 용이할 경우에는 나무와 같은 유연하지 않은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몸체부(10)는 유연하거나 유연하지 않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되어, 채취 위치로 진입되도록 검사자에 의해 파지된다.
채취부(20)는 몸체부(10)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채취 위치로부터 검체를 긁어낸 후에, 긁어진 검체를 흡습하여 채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취부(20)가 몸체부(10)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인 타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도시된 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채취부(20)가 몸체부(10)의 일단과 타단에 모두 마련될 경우, 검사자는 몸체부(10)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파지한 상태로 채취 위치로 채취부(20)를 진입시킬 수 있다.
채취부(20)는 채취 몸체(30), 흡습부재(40) 및 니들부재(50)를 포함한다.
채취 몸체(30)는 제1면(31)과 제1면(31)에 대향하는 제2면(32)을 가지는 채취부(20)의 몸체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면(31)(32)은 각각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면(31)(32)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다. 즉, 채취 몸체(3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일종의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채취 몸체(30)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의 도시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부피를 가지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흡습부재(40)는 채취 몸체(30)의 제1면(31)에 마련된다. 여기서, 흡습부재(40)는 흡습성을 가지는 재질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솜과 같은 섬유질의 물질로 마련됨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습부재(40)가 제1면(31)에 대응되도록, 제1면(31)의 전 영역에 솜을 포함하는 흡습성 물질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흡습부재(40)의 재질, 형상, 제1면(31)에 대한 설치 면적 등은 도시된 예에서 변경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채취 몸체(30)도 흡습부재(40)와 마찬가지로, 흡습성을 가지는 섬유질의 물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채취 몸체(30)에 대해 흡습부재(40)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니들부재(50)는 채취 몸체(30)의 제2면(32)에 마련된다. 여기서, 니들부재(50)는 선단이 뾰족한 팁(Tip)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5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51)이 제2면(32)의 전 영역에 대응하여 다열 및 다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마이크로 니들(51)의 배치 형상, 개수, 크기 등은 도시된 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51)은 원뿔, 삼각뿔 및 사각뿔과 같이, 선단이 뾰족한 다양한 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51)은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마련되며, 검체 대상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51)의 재질도 변경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채취 몸체(30)의 상호 대면하는 제1 및 제2면(31)(32)의 전 영역에 각각 흡습부재(40) 및 니들부재(5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및 제2면(31)(32)에 모두 흡습부재(40) 및 니들부재(50)가 상호 이웃하게 구획되어 동시에 마련되는 것과 같은 변형 실시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기구(1)를 이용한 검체 채취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검사자는 몸체부(10)를 파지한 상태로 채취부(20)를 채취 위치로 진입시킴으로써, 채취부(20)가 조직 점막의 검체를 채취한다. 이때, 채취부(20)의 흡습부재(40) 및 니들부재(50)를 이용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검사자는 몸체부(10)를 파지한 상태로 몸체부(10)를 회전시켜 채취 자세를 변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사자는 채취 위치에 채취부(20)의 니들부재(50)가 대면하도록 진입시켜, 채취 위치의 점막 조직을 마이크로 니들(51)을 이용해 먼저 긁어낸다. 그 후, 검사자는 몸체부(10)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켜 흡습부재(40)를 채취 위치와 대면시킨다. 이렇게 흡습부재(40)가 채취 위치가 대면함으로써, 니들부재(50)를 통해 긁어진 검체를 흡습하여 채취하게 된다.
정리하면, 검사자가 몸체부(10)를 파지한 상태로 채취부(20)를 회전함으로써, 1단계로 점막 조직으로부터 검체를 긁어 분리시키고, 2단계로 긁어진 검체를 흡습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기구(1)는 단 한번의 채취 위치로의 진입으로도 충분한 양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구강 점막에 대한 검체를 대략 10회 반복 채취한 결과가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도시된다.
도 3의 (a)는 기존의 면봉을 이용하여 10회 반복 검체 채취, (b)는 기존의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10회 반복 검체 채취 그리고, (c)는 마이크로 니들(51)이 마련된 니들부재(50)와 면봉과 같은 흡습성 재질로 마련된 흡습부재(40)를 각각 5회씩 반복하여 검체 채취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마이크로 니들은 대략 길이가 800㎛인 것으로 예시한다.
도 3과 같은 샘플군을 이용하여 검체를 채취한 결과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의 (a)에는 기존의 면봉을 10회 가량 반복 채취한 상태가 확대 도시되며, 도 4의 (b)는 마이크로 니들(51)을 이용해 10회 가량 반복하여 점막 조직을 긁어낸 상태가 도시된다. 아울러, 도 4의 (c)는 니들부재(50)의 마이크로 니들(51)로 5회 긁어낸 후에, 면봉과 같이 흡습성 재질인 흡습부재(40)를 이용해 긁어진 검체를 흡수한 상태가 도시된다. 도 4의 (c)를 확대한 도 4의 (c-1), (c-2) 및 (c-3)의 이미지를 도 4의 (a)와 비교하면, 마이크로 니들(51)이 마련된 니들부재(50)를 이용해 검체를 긁어내어 흡습부재(40)를 이용해 흡수한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기구(1)에서의 검체 채취양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검체 채취 방법에 따른 검체에서 검출되는 DNA의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5의 (a), (b) 및 (c)는 서로 다른 채취 위치에서 채취된 검체1, 검체2 및 검체3에 대한 DNA 농도를 각각 비교한 그래프로써, 검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기구(10)에 의해 채취된 검체의 DNA 농도가 상대적으로 월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기존의 면봉에 비해, 마이크로 니들(51)이 마련된 니들부재(50)를 통해 검체를 긁어낸 후에 면봉과 유사한 흡습성 재질로 마련된 흡습부재(40)로 긁어진 검체를 흡수시킨 경우, 기존과 비교하여 DNA의 농도가 월등히 증가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검체 채취기구(1)의 제조방법(100)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기구(1)의 제조방법(100)은 마련단계(110), 몰딩단계(120) 및, 부착단계(130)를 포함한다.
마련단계(110)는 채취 위치로 진입 가능한 바(Bar) 형상의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일단에 흡습부재(40)를 포함하는 채취부(20)를 마련한다. 이러한 몸체부(10)는 유연하거나 나무와 같은 재질로 마련되며, 흡습부재(40)는 기존의 면봉과 같이 흡습성 섬유 재질로 마련된다. 여기서, 몸체부(10)는 검사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임이 좋다.
참고로, 채취부(20)는 채취 몸체(30)와 흡습부재(40)가 한 몸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채취 몸체(30) 및 흡습부재(40) 모두 흡습성 재질로 마련되어 흡습부재(40)가 채취 몸체(30)로써의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채취 몸체(30)와 흡습부재(40)가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마련단계(110)에서 몸체부(10)와 흡습부재(40)가 마련되면, 마이크로 니들(51)을 몰딩한다(120). 이를 위해, 몰딩단계(120)는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니들부재(50)의 마이크로 니들(51)에 대응하여 몰드(M)를 마련한다. 몰드(M)는 마이크로 밀링 공정을 통해 제작된 마스터 구조체를 이용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몰드(M)는 몰딩물질이 부어지는 몰드홈(G)이 마련되며, 몰드홈(G)의 바닥면에는 제조하고자 하는 마이크로 니들(51)에 대응되는 복수의 니들홈(H)들이 마련된다. 여기서, 니들홈(H)은 제조하고자 하는 마이크로 니들(51)의 길이 예컨대, 300mm, 600mm 또는 800mm에 대응되는 깊이를 가진다. 또한, 몰드(M)는 마스터 구조체(미도시)에 실가드(Sylgard) 184와 같은 예컨대, 폴리디메틸실론산(poly-di-methyl-siloxane, PDMS)을 포함하는 실리콘을 부어, 대략 90도 가량의 온도에서 1시간 가량 경화시켜 제작된다. 참고로,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몰드(M)는 실리콘 재질 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로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몰드(M)는 마스터 구조체(미도시)에 실가드(Sylgard) 184와 같은 예컨대, 폴리디메틸실론산(poly-di-methyl-siloxane, PDMS)을 포함하는 실리콘을 부어, 대략 90도 가량의 온도에서 1시간 가량 경화시켜 제작된다. 또한 몰드는 금속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마련된 PDMS 몰드(M)의 몰드홈(G)에 PLA(poly lactic acid) 고분자 입자를 감압 및 190도 가량의 고온으로 용융한 고분자 용융액인 몰딩물질을 공급한다. 그로 인해, 몰드(M)의 몰드홈(G)과 니들홈(H)에 몰딩물질이 채워짐으로써, 마이크로 니들(51)이 마련된 니들부재(50)가 마련된다.
참고로, 몰딩물질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 (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 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 이미다졸),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 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싸이클로덱스트린 및 이러한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몰딩물질은 고분자 용융액일 수 있으며, 유기용매에 녹여 고분자 용액을 몰딩물질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도 7에 도시된 몰드(M)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51)을 제조하는 단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9를 참고하면, 도 9의 (a)와 같이 니들홈(H)이 마련된 몰드(M)를 제공하고, 도 9의 (b)와 같이 몰드(M)에 상술한 몰딩물질을 몰드(M)에 공급한다. 이 후, 도 9의 (c)와 같이 몰딩물질이 몰드(M)에 마련된 니들홈(H)에 주입되면, 도 9의 (d)와 같이 이를 건조한 후에, 도 9의 (e)와 같이 몰드(M)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마이크로 니들(51)이 마련된 니들부재(50)이 최종 제조된다.
이렇게 마이크로 니들(51)이 몰딩되어 마련된 니들부재(50)는 부착단계(130)에서 흡습부재(40)가 마련된 채취부(20)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니들(51)이 마련된 니들부재(50)는 흡습부재(40)에 대향하는 채취 몸체(30)의 제2면(32)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채취 몸체(30)의 제1면(31)에는 흡습성 재질의 흡습부재(40)가 일체로 마련되고, 제2면(32)에는 실리콘 재질의 마이크로 니들(51)이 몰딩된 니들부재(50)가 부착됨으로써, 채취 몸체(30)에 대해 흡습부재(40) 및 니들부재(50)가 한 몸체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검사자는 몸체부(10)를 파지한 상태로 채취 위치로 진입하여 니들부재(50)로 검체를 긁어낸 후에, 파지된 몸체부(10)를 회전시켜 흡습부재(40)로 긁어진 검체를 흡습하여 채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검체 채취기구
10: 몸체부
20: 채취부
30: 채취 몸체
40: 흡습부재
50: 니들부재
51: 마이크로 니들

Claims (13)

  1. 삭제
  2.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채취 위치로 진입 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상기 채취 위치로부터 상기 검체를 긁어내고 흡습하여 채취하는 채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채취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이 마련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마련되고, 유연한 재질로 마련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3.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채취 위치로 진입 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상기 채취 위치로부터 상기 검체를 긁어내고 흡습하여 채취하는 채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채취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이 마련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고,
    상기 채취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채취부가 상기 채취 위치로 진입한 이후에 회전되어 상기 채취부의 채취 자세를 변환시키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가지는 채취 몸체;
    상기 채취 몸체의 상기 제1면에 마련된 흡습부재; 및
    상기 채취 몸체의 상기 제2면에 마련되는 니들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 몸체와 상기 흡습부재는 일체로 마련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부재는 흡습성을 가지는 섬유질 물질로 마련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은 선단이 뾰족한 팁(Tip)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면의 전 영역에 다열 및 다행으로 배치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재 및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은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제2면에 부착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9.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흡습부재를 포함하는 채취부를 마련하는 마련단계;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이 마련된 니들부재를 몰딩하는 몰딩단계; 및
    상기 니들부재를 상기 채취부에 부착시키는 부착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단계는,
    상기 흡습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니들부재를 부착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는 양면에 상기 흡습부재와 니들부재가 각각 마련되는 채취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흡습부재는 흡습성을 가지는 섬유질 물질로 마련되어 상기 채취 몸체와 일체로 마련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단계는, 상기 니들부재에 대응되는 몰드홈이 마련되는 몰드에 몰딩물질을 공급하여 상기 니들부재를 몰딩하며,
    상기 몰딩물질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 (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 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 이미다졸),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 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싸이클로덱스트린 및 이러한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폴리디메틸실론산(poly-di-methyl-siloxane, PDMS)을 포함하는 실리콘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몰드의 바닥면에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니들홈이 마련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의 제조방법.
  13. 삭제
KR1020200085087A 2020-07-10 2020-07-10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0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087A KR102200760B1 (ko) 2020-07-10 2020-07-10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1/000746 WO2022010057A1 (ko) 2020-07-10 2021-01-19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087A KR102200760B1 (ko) 2020-07-10 2020-07-10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760B1 true KR102200760B1 (ko) 2021-01-12

Family

ID=7412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087A KR102200760B1 (ko) 2020-07-10 2020-07-10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0760B1 (ko)
WO (1) WO20220100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57A1 (ko) * 2020-07-10 2022-01-13 주식회사 엔도믹스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14691A (zh) * 2021-12-24 2022-03-22 深圳市光聚通讯技术开发有限公司 用于动态血糖传感器的微电极针氯化的氯化装置
KR102480038B1 (ko) * 2021-12-31 2022-12-21 (주)페블아이 검체 채취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4108A1 (en) * 2008-10-04 2010-05-12 Eppendorf Ag Sample carrier for securing microbiological, virological, genetic, medical veterinary medica, forensic, criminalistic and technical samples
KR20110006452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KR101317296B1 (ko) 2009-07-17 2013-10-14 (주) 한생연생명과학교육연구 개인 유전자 채취 및 보관키트
JP2013224951A (ja) * 2013-06-13 2013-10-31 Denka Seiken Co Ltd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該スワブの製造方法及び該スワブを用いたキット
WO2018223105A2 (en) * 2017-06-02 2018-12-06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Hydrogel-enabled microfluidic sweat sequestering for wearable human-device interfaces
US20200093467A1 (en) * 2018-09-20 2020-03-26 Histologics Llc Scrape and sweep frictional tissue sampling and collection method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760B1 (ko) * 2020-07-10 2021-01-12 주식회사 엔도믹스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4108A1 (en) * 2008-10-04 2010-05-12 Eppendorf Ag Sample carrier for securing microbiological, virological, genetic, medical veterinary medica, forensic, criminalistic and technical samples
KR101317296B1 (ko) 2009-07-17 2013-10-14 (주) 한생연생명과학교육연구 개인 유전자 채취 및 보관키트
KR20110006452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JP2013224951A (ja) * 2013-06-13 2013-10-31 Denka Seiken Co Ltd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該スワブの製造方法及び該スワブを用いたキット
WO2018223105A2 (en) * 2017-06-02 2018-12-06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Hydrogel-enabled microfluidic sweat sequestering for wearable human-device interfaces
US20200093467A1 (en) * 2018-09-20 2020-03-26 Histologics Llc Scrape and sweep frictional tissue sampling and collection method and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57A1 (ko) * 2020-07-10 2022-01-13 주식회사 엔도믹스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14691A (zh) * 2021-12-24 2022-03-22 深圳市光聚通讯技术开发有限公司 用于动态血糖传感器的微电极针氯化的氯化装置
CN114214691B (zh) * 2021-12-24 2023-08-01 优维精准医疗管理(深圳)有限公司 用于动态血糖传感器的微电极针氯化的氯化装置
KR102480038B1 (ko) * 2021-12-31 2022-12-21 (주)페블아이 검체 채취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0057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760B1 (ko)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US3881464A (en) Sampling device and method
US5971942A (en) Intestinal fluid sampler
US7344506B2 (en) Cell collection device
KR100679714B1 (ko) 3차원 구조의 마이크로 스파이크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61082A (ja) 採液収容装置
KR101761259B1 (ko) 생의학적 응용을 위한 마이크로 디바이스 및 이의 용도
KR102339993B1 (ko) 검체채취스틱
CN205831834U (zh) 一种用于穿刺的活性钳
Xu et al. Real‐Tim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of a Cytokine Storm In Vivo Using a Wearable Noninvasive Skin Microneedle Patch
JPH0347608Y2 (ko)
DE112019002554T5 (de) Atemwegsprobenahmevorrichtung und zugehörige Verfahren
US20100069791A1 (en) Tissue Sampler
US20180008245A1 (en) Vaginal cell or cervical cell collection device
CN114748208B (zh) 一种可原位检测多种化学、生物成分的组织工程支架
US20160296215A1 (en) Device for in vivo sampling of biological species
Hekele et al. Nanodiagnostics performed on human red blood cells with atomic force microscopy
WO2017092120A1 (zh) 一种测量叶片内部离子浓度时探头穿刺位置的确定方法
KR20220040157A (ko)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한 검체 채취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174048A (ja) 口腔粘膜の出血血液吸収体
KR102480038B1 (ko) 검체 채취 기구
TW202346823A (zh) 乾燥血液樣本採集裝置
CN114228218B (zh) 一种植入式柔性高密度多功能神经探针及其制备方法
CN218356241U (zh) 一种标本固定瓶
CN219680673U (zh) 一种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