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48B1 - 광섬유형 수소센서용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형 수소센서용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0548B1 KR102200548B1 KR1020190015023A KR20190015023A KR102200548B1 KR 102200548 B1 KR102200548 B1 KR 102200548B1 KR 1020190015023 A KR1020190015023 A KR 1020190015023A KR 20190015023 A KR20190015023 A KR 20190015023A KR 102200548 B1 KR102200548 B1 KR 1022005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fiber
- palladium
- thin film
- doped carbon
- quartz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title 2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1755 magnetron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355 external str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45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42 analytical experi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2 cor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1 electr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8 electrochem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7 taste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70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H2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70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 G01N2021/7706—Reagent provision
- G01N2021/7736—Reagent provision exposed, cladding fre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56—Sensor typ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69—Measurement method of reaction-produced change in sensor
- G01N2021/7773—Refl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형 수소센서용 팔라듐 도핑 탄소박막,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존 광섬유형 센서에 비해, 파동 이동이나 파워 변화에 따라 수소 농도의 변화가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기존 팔라듐 대비 내구성이 향상되어 외부스트레스에 최소한으로 반응하는 장점이 있으면서도, 저가의 소재와 공정 간소화로 낮은 공정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한 광섬유형 수소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소 누출 검지가 필수적으로 대두되고 있어 제품기술의 대중화 위한 방안으로 광섬유 표면에 수소 민감성 물질을 도포하는 센서 기술로서,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을 사용한 광섬유형 수소센서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팔라듐 도핑 탄소박막에 관한 것이다.
수소는 무공해 청정 에너지원이라는 큰 장점이 있고, 에너지효율이 뛰어나고 재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대기 중 4% 이상 노출되어 발화성 기체와 만나게 되면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특히 대기 중 누출된 수소는 무색, 무미, 무취의 특성 때문에 쉽게 감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수소 감지센서로서 저 농도의 수소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수소 센서로서 백금, 팔라듐과 같은 금속에 수소가 흡착되어 금속의 전기 전도도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전기적 방법을 이용한 센서, 산화물 반도체형과 가스 모스펫(MOSFET)등을 이용한 전기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센서, 빛을 이용하여 수소 누출을 감지하는 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센서 등이 있다.
현재 수소센서로서 금속산화물반도체(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센서가 가장 보급되어 있고, 주로 반도체공정을 도입하여 Sc, Si, Al 산화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스선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d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MOS 센서 또한 고온동작의 한계를 지니고 있고, 민감도는 좋으나 반응시간이 긴 단점이 있다.
현재에는 반도체 및 희귀금속 (팔라듐, 플라티늄) 기반의 수소센서를 가장 많이 연구하고 있으며 상용화에도 가장 근접했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수소센서는‘미국 에너지부(DOE)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수소센서’권고사양기준을 성능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성능을 만족하는 수소센서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른 제품화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복잡한 제조공정 및 높은 단가, 그리고 다양한 소자 및 기판에 대한 응용성 문제로 인해 상업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응용성이 큰 공정기술을 기반으로 저비용, 소형화 수소센서를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 수소센서의 문제점인 안정성 확보를 우선으로 하며, 구조적으로 복잡한 전기화학적 접근방법을 탈피하여 구조적 단순화를 시도하며, 광섬유 코어층에 팔라듐 박막을 증착시켜서 수소를 검출하는 복잡한 구조의 광섬유 수소센서가 알려져 있지만 수소 농도 변화에 따른 낮은 광전송 손실율로 그 감도가 매우 낮아 수소센서로써 제 역할이 부족하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을 제안한다. 또한, 고가의 팔라듐이 수소와 반응하게 되면 그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고가를 유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된 저가의 수소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섬유형 수소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 에폭시부, 광섬유부 및 수소 감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내부에 에폭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폭시부 내부에 광섬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부는 광섬유 코어 및 광섬유 코어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클래딩을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부는 클래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 연마된 연마 부분을 가지며 상기 연마 부분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노출되게 상기 기판에 굴곡지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수소 감응부는 기판, 에폭시부 및 광섬유부 각각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기판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섬유형 수소센서 제조에 사용되는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섬유형 수소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광섬유 센서의 경우 기존 광학식 센서는 방폭 특성으로써 높은 안정성과 소형이며 경량이고, 다중분포 측정이 가능하며, 넓은 지역 동시 특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수소센서로써 가장 중요한 감도가 낮으며, 반응속도가 낮고 신뢰성 확보가 어려운데 반해, 본 발명은 세라믹 수소센서의 단점인 온도/습도 영향을 받지 않아 신뢰성이 확보할 수 있고, 반도체 수소센서에서처럼 저 농도에서 반응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전기화학식 수소센서와 같이 높은 민감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재 수소자동차에 4개씩 확보되어야 하는 반도체식 수소센서의 경우 고가이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하며 저가의 고성능 수소센서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의 Pd 도핑된 탄소박막의 XRD 패턴 그래프 측정 결과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험예 2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의 Pd 도핑된 탄소박막의 단면에 대한 SEM 측정 사진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의 Pd 도핑된 탄소박막의 접촉각(표면에너지) 측정 실험한 것을 찍은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4에서 구성한 수소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실험예 4에서 실시한 제조예 1의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수소에 대한 응답감도 측정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의 Pd 도핑된 탄소박막의 XRD 패턴 그래프 측정 결과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험예 2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의 Pd 도핑된 탄소박막의 단면에 대한 SEM 측정 사진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의 Pd 도핑된 탄소박막의 접촉각(표면에너지) 측정 실험한 것을 찍은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4에서 구성한 수소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실험예 4에서 실시한 제조예 1의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수소에 대한 응답감도 측정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광섬유형 수소센서는 도 1 및 도 2에 개략도로 단면도 및 측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쿼츠 기판, 에폭시부, 광섬유부 및 수소 감응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쿼츠 기판 내부에 에폭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폭시부 내부에는 광섬유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부는 클래딩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연마된 연마 부분을 가지며, 상기 연마 부분이 상기 쿼츠 기판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쿼츠 기판에 굴곡지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수소 감응부는 쿼츠 기판, 에폭시부 및 광섬유부 각각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기판 상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광섬유부를 구성하는 광섬유는 상기 광섬유부는 광섬유 코어 및 광섬유 코어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클래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광섬유는 직경 60 ~ 200 ㎛, 바람직하게는 80 ~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35 ㎛ 정도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이며, 멀티모드 광섬유에 비해 특정 파장에서 대역폭이 크고 보기 쉽고, 특히 단일모드 광섬유가 멀티모드에 비해 픽이 좁아서 굴절률 변화를 쉽고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부는 UV 경화형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로 구성되며, UV 경화형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81 수지, 에폭시 82 수지 및 에폭시 83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소 감응부는 팔라듐(Pd)이 도핑된 탄소박막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로 증착시켜 형성시킨 것으로서, 팔라듐(Pd) 30 ~ 35 중량% 및 탄소(C) 65 ~ 7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팔라듐(Pd) 30 ~ 34 중량% 및 탄소(C) 66 ~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팔라듐(Pd) 30 ~ 32.5 중량% 및 탄소(C) 67.5 ~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이 팔라듐 및 탄소 외에 극미량의 금속, 비금속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소 함량이 65 중량% 미만이면 광섬유 쿼츠와의 접착력(adhesion)이 감소하는 문제가 생겨 센서로써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탄소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수소센서의 감도(sensitivity)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소 감응부인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평균두께 50 ~ 150 nm, 바람직하게는 60 ~ 120 nm일 수 있다. 이때,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의 두께가 50 nm 미만이면 수소와의 반응으로 인해 쉽게 센서 박막이 변형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0 nm를 초과하면 너무 두꺼워서 광파워 메타에서 입사 되는 입사광의 파워 크기 조절이 어려워져 센서 감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을 포함하는 수소 감응부는 측정대상 기체인 수소 가스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XRD 패턴 측정시, 68.5°~ 69.5°, 바람직하게는 68.8°~ 69.2°에서 Pd(220)에 해당하는 면 방향 및 40.0°~ 40.4°, 바람직하게는 40.1°~ 40.3°에서 Pd(111)에 해당하는 면 방향으로 Pd 결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XRD 패턴 측정시, Pd 결정면을 중심으로 탄소(C)와의 결합에 의한 나노 결정 상태가 34.1° ~ 34.5° 및 46.5°~ 47.0°에서 각각 (004), (111), (200) 방향으로 결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면 저항이 450 mΩ/sq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 430 mΩ/sq,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 400 mΩ/sq으로 전기전도성이 매우 우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물에 대한 접촉각이 78.0° ~ 79.9°, 바람직하게는 78.2° ~ 79.7°, 더욱 바람직하게는 78.3° ~ 79.5°로 물에 대한 소수성(hydrophilic) 특성을 가지며, 표면에서의 액체에 대한 표면에너지 값이 낮은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RMS(Root mean square) 표면 거칠기가 0.95 ~ 1.10nm이고, Rmax(Maximum Peak to Vally Roughness Height) 거칠기가 1.100 ~ 1.200 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MS 0.97 ~ 1.05 nm 및 Rmax 1.120 ~ 1.18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RMS 0.97 ~ 1.04 nm 및 Rmax 1.125 ~ 1.165 nm로 매우 균일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섬유형 수소센서는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형 수소센서는 쿼츠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시키는 1단계; 홈이 형성된 쿼츠 기판의 홈에 광섬유를 광섬유의 일부가 쿼츠 기판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쿼츠 기판에 굴곡지게 삽입시키는 2단계; 광섬유가 삽입된 홈에 UV(ultra violet) 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는 3단계; 자외선을 조사하여 UV 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4단계; 쿼츠 기판의 홈 표면 및 쿼츠 기판의 상면에 노출된 광섬유의 클래딩을 연마하는 5단계; 및 연마된 쿼츠 기판 표면 상부에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층을 형성시키는 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1단계의 홈은 다이아몬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쿼츠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홈의 깊이는 광섬유가 삽입되고 또한 UV 경화형 에폭시 수지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 및 부피로 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개략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의 일부가 쿼츠 기판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삽입시킬 수 있도록 홈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2단계의 광섬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섬유 코어 및 광섬유 코어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클래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광섬유는 직경 60 ~ 200 ㎛, 바람직하게는 80 ~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35 ㎛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단계의 UV 경화형 에폭시 수지는 앞서 설명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주입량은 0.650 ~ 0.850g, 바람직하게는 0.700 ~ 0.8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0.720 ~ 0.750g,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0.730 ~ 0.740g 정도로 주입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4단계의 경화는 8 ~ 12 J/cm2 세기, 바람직하게는 9 ~ 11 J/cm2 세 기 정도의 UV를 2 ~ 5분간, 바람직하게는 2 ~ 3분간 조사하여 에폭시 수지를 UV 경화시켜서, 쿼츠 기판의 홈 내에 삽입되어 있는 광섬유와 쿼츠 기판 사이에 에폭시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5단계의 연마는 쿼츠 기판의 홈 표면 및 쿼츠 기판의 상면에 노출된 광섬유의 클래딩을 연마하며, 노출된 광섬유 내 코어가 외부에 노출될 때까지 연마를 수행한다. 그리고, 연마에 의해 일부가 제거된 클래딩의 연마 부분은 연마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중앙부분으로부터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연마 처리된 부분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클래딩의 연마 부분은 기판 상에 중앙부분의 깊이가 낮고 양측 가장자리부분의 깊이가 깊도록 곡률을 갖게 형성시킨 홈의 바닥면에 광섬유를 안착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평 연마에 의해 형성하게 된다.
6단계의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층은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수행하여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 증착된 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흑연 타겟과 팔라듐 타겟이 설치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흑연 타겟은 25 ~ 35 W/cm2의 전력을 가하고, 팔라듐 타겟은 3.5 ~ 7 W/cm2의 전력을 가하면서, 바람직하게는 흑연 타겟은 27 ~ 33 W/cm2의 전력을 가하고, 팔라듐 타겟은 4.2 ~ 6.0 W/cm2의 전력을 가하면서 수행하되, 회전속도 170 ~ 240 rpm, 바람직하게는 180 ~ 220 rpm으로 기판의 지그를 회전시키면서 20 ~ 30℃ 하에서 50초 ~ 150초간, 바람직하게는 55초 ~ 140초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58초 ~ 125초간 스퍼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흑연 타겟에 가하는 전력이 25 W/cm2 미만이거나, 35 W/cm2를 초과하면 박막 내 탄소 함량이 65 ~ 70 중량%를 벗어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팔라듐 타겟이 3.5 ~ 7 W/cm2의 전력을 벗어나면 원하는 팔라듐 함량을 가지는 박막을 형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기판의 지그 회전 속도가 170 rpm 미만이거나, 240 rpm을 초과하면 쿼츠 기판 상부에 형성된 박막의 코팅 균일성이 떨어져서 박막의 거칠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퍼터링 시간이 50초 미만이면 박막의 두께가 너무 얇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0초를 초과하면 오히려 박막 두께가 너무 불필요하게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수소센서는 수소에 대한 반응감도가 0.10 dB 이상, 바람직하게는 0.12 ~ 0.20 dB, 더욱 바람직하게는 0.14 ~ 0.18 dB의 높은 반응감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
(nc-
C:Pd
,
nanocrytalline
-
C:Pd
) 조성물의 준비 및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의
제조
쿼츠(quartz) 기판의 홈에 직경 128 ㎛의 광섬유가 접착된 상태에서 광섬유의 코어가 보이는 표면 부분에 탄소 70 중량%와 팔라듐 30 중량%가 혼합된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흑연 타겟과 팔라듐 타겟이 설치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120 nm 두께의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nc-C:Pd)을 형성시켰다.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흑연 타겟은 30 W/cm2의 파워(power)를 사용하고, 팔라듐 타겟은 5 W/cm2의 파워를 사용하였다. 증착 온도는 상온(23 ~ 25℃)이었으며, 증착 시간은 2분, 그리고 균일한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 지그의 회전속도는 200 rpm으로 유지하면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
실시예
6 및
비교예
1 ~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수행하여 nc-C:Pd를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흑연 타겟 및 팔라듐 타겟에 가하는 전력 세기를 달리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nc-C:Pd를 각각 제조하였다.
구분 | 전력세기 | 증착시간 | 지그 회전속도 |
박막 조성 (C:Pd, 중량%) |
박막 두께 |
|
흑연 타겟 | 팔라듐 타겟 | |||||
실시예 1 | 30 W/cm2 | 5 W/cm2 | 2분 | 200 rpm | 70:30 | 120 nm |
실시예 2 | 30 W/cm2 | 6 W/cm2 | 2분 | 200 rpm | 66:34 | 120 nm |
실시예 3 | 30 W/cm2 | 5 W/cm2 | 1분 | 200 rpm | 70:30 | 62 nm |
실시예 4 | 30 W/cm2 | 5 W/cm2 | 2분 | 235 rpm | 70:30 | 138 nm |
실시예 5 | 30 W/cm2 | 5 W/cm2 | 2분 | 180 rpm | 70:30 | 104 nm |
실시예 6 | 27 W/cm2 | 5 W/cm2 | 2분 | 200 rpm | 65:35 | 109 nm |
비교예 1 | 30 W/cm2 | 7 W/cm2 | 2분 | 200 rpm | 62:38 | 128 nm |
비교예 2 | 33 W/cm2 | 5 W/cm2 | 2분 | 200 rpm | 73:27 | 146 nm |
비교예 3 | 30 W/cm2 | 5 W/cm2 | 45초 | 200 rpm | 70:30 | 41 nm |
비교예 4 | 30 W/cm2 | 5 W/cm2 | 3분 | 200 rpm | 70:30 | 178 nm |
비교예 5 | 22 W/cm2 | 5 W/cm2 | 2분 | 200 rpm | 59:41 | 70 nm |
비교예 6 | 40 W/cm2 | 5 W/cm2 | 3분 | 200 rpm | 82:18 | 210 nm |
실험예
1 :
XRD
분석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에 대한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박막의 결정성은 X-ray 회절분석법 (XR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살펴보면, nc-C:Pd 박막의 경우 Pd 결정이 약 69°의 각도에서 Pd(220)에 해당하는 면 방향으로 우수한 결정성이 확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약 40.2°에서 Pd(111) 면의 결정성이 확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4.3°및 46.8°에서 각각 (004), (111), (200) 방향 등 Pd 결정면을 중심으로 팔라듐과 탄소와의 결합에 의한 나노 결정 상태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Pd 결정의 각도, 결정성은 도 3의 작은 픽들을 가우시안 피팅(Gussian fitting)을 하게 되면 모두 확인이 가능하며, 픽의 위치 숫자를 바탕으로 XRD 데이터 북(book)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FESEM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측정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nc-C:Pd)의 FESEM 측정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a는 nc-C:Pd 의 표면에 대한 측정 이미지이고, 도 4b는 nc-C:Pd 단면에 대한 측정 이미지이며, 팔라듐 도핑된 탄소박막의 균일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물에 대한
접촉각
측정 실험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6에서 제조한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nc-C:Pd)의 물에 대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박막 표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접촉각 측정기(Contact angle measurem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험한 이미지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구분 | Case 1 | Case 2 | Case 3 | 평균 | |
실시예 1 | 접촉각(o) | 79.6 | 78.3 | 78.8 | 78.5 |
실시예 2 | 78.4 | 78.4 | 78.3 | 78.4 | |
실시예 3 | 78.4 | 78.6 | 78.5 | 78.5 | |
실시예 4 | 78.6 | 78.7 | 78.7 | 78.7 | |
실시예 5 | 78.5 | 78.8 | 78.6 | 78.6 | |
실시예 6 | 78.4 | 78.3 | 78.5 | 78.4 | |
비교예 1 | 80.3 | 80.5 | 81.1 | 80.6 | |
비교예 2 | 76.3 | 76.7 | 76.6 | 76.5 | |
비교예 3 | 76.1 | 76 | 76.2 | 76.1 | |
비교예 4 | 80.2 | 80.3 | 80.3 | 80.3 | |
비교예 5 | 81.1 | 81.2 | 81.1 | 81.1 | |
비교예 6 | 76.7 | 76.8 | 76.8 | 76.8 |
표 1의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의 경우, 접촉각이 78.3o ~ 79.6o을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78.8o의 접촉각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I water를 흘려주었을 경우 물에 대한 소수성(hydrophobic) 특성을 나타내어 표면에서의 액체에 대한 표면에너지 값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비교예 4 및 비교예 5는 접촉각이 80°를 초과하여 실시예와 비교할 때, 소수성이 더 높았으나,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6은 접촉각이 78o 미만으로 낮은 소수성을 보였다.
실험예
4 :
표면거칠기
실험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6에서 제조한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nc-C:Pd)의 표면거칠기를 AFM(Atomic Force Microscope)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평균 거칠기 (Average roughness) |
RMS(Root mean square) roughness value 거칠기 | Rmax(Maximum Peak to Vally Roughness Height) 거칠기 | |
실시예 1 | 값 | 878 pm | 1.01 nm | 1.149 nm |
실시예 2 | 882 pm | 1.12 nm | 1.155 nm | |
실시예 3 | 891 pm | 1.21 nm | 1.211 nm | |
실시예 4 | 921 pm | 1.52 nm | 1.586 nm | |
실시예 5 | 913 pm | 1.49 nm | 1.501 nm | |
실시예 6 | 877 pm | 1.02 nm | 1.150 nm | |
비교예 1 | 1210 pm | 1.82 nm | 1.831 nm | |
비교예 2 | 1311 pm | 1.96 nm | 1.992 nm | |
비교예 3 | 855 pm | 0.95 nm | 1.012 nm | |
비교예 4 | 1415 pm | 2.011 nm | 2.112 nm | |
비교예 5 | 857 pm | 0.95 nm | 1.011 nm | |
비교예 6 | 1551 pm | 2.123 nm | 2.135 nm |
표면거칠기 측정 결과, 실시예 1 ~ 실시예 6은 RMS 거칠기와 Rmax 거칠기 값은 각각 1.01 ~ 1.52 nm와 1.149 ~ 1.586 nm를 나타내었으며, 평균거칠기가 1,000 pm 미만으로 매우 부드러운 표면 거칠기 값을 가졌으며, 균일한 거칠기의 표면을 가지는 박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 2, 비교예 4 및 비교예 6은 실시예 1 등과 비교할 때 거칠기가 매우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실험예
5 :
면저항
측정 실험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6에서 제조한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nc-C:Pd)의 면 저항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면저항은 9회 반복 측정한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 면 저항(mΩ/sq) |
실시예 1 | 367 |
실시예 2 | 422 |
실시예 3 | 376 |
실시예 4 | 395 |
실시예 5 | 369 |
실시예 6 | 371 |
비교예 1 | 342 |
비교예 2 | 358 |
비교예 3 | 513 |
비교예 4 | 320 |
비교예 5 | 302 |
비교예 6 | 311 |
비교예 3의 경우, 면저항이 500 mΩ/sq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경우, 500 mΩ/sq 미만, 바람직하게는 450 mΩ/sq 이하의 낮은 면 저항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제조
가로 8 mm, 세로 4 mm, 길이 20 mm 의 쿼츠 기판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쿼츠 기판에 길이 방향으로 광섬유를 삽입하기 위한 다이아몬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쿼츠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시켰다. 이때, 홈의 깊이는 단일모드 광섬유(직경 128 ㎛)가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시켰다.
다음으로, 쿼츠 기판의 홈에 단일모드 광섬유(직경 128 ㎛)를 삽입한 후, 쿼츠 기판의 홈에 UV 경화형 에폭시(상품명 : NOA 81) 수지를 0.735g 주입하였다. 다음으로, 10 J/cm2 세기의 UV를 2분 30초간 조사하여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켰다. 이때, 상기 광섬유는 외부에 클래딩 및 클래딩 내부에 코어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광섬유가 삽입된 쿼츠 기판 부분을 연마제를 이용하여 쿼츠 기판 표면 및 광섬유의 클래딩을 연마하였으며, 광섬유의 코어가 보이는 부분까지 연마하였다.
다음으로, 광섬유 코어 부분 상부에 탄소 70 중량%와 Pd 30 중량%가 혼합된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흑연 타겟과 팔라듐 타겟이 설치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120 nm 두께의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nc-C:Pd)을 형성시켰다.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흑연 타겟은 30 W/cm2의 파워를 사용하고, 팔라듐 타겟은 5 W/cm2의 파워를 사용하였다. 증착 온도는 상온(23 ~ 25℃)이었으며, 증착 시간은 2분, 그리고 균일한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 지그의 회전속도는 200 rpm으로 유지하면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수행하였다.
제조예
2 ~ 6 및
비교제조예
1 ~ 6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섬유형 수소센서를 제조하되, 상기 표 1과 같은 조건인 실시예 2 ~ 6 및 비교제조예 1 ~ 6 각각의 조건으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수행하여 하기 표 4와 같이 실시하여 광섬유형 수소센서 각각을 제조하였다.
구분 |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조건 |
제조예 1 | 실시예 1 |
제조예 2 | 실시예 2 |
제조예 3 | 실시예 3 |
제조예 4 | 실시예 4 |
제조예 5 | 실시예 5 |
제조예 6 | 실시예 6 |
비교제조예 1 | 비교예 1 |
비교제조예 2 | 비교예 2 |
비교제조예 3 | 비교예 3 |
비교제조예 4 | 비교예 4 |
비교제조예 5 | 비교예 5 |
비교제조예 6 | 비교예 6 |
실험예
5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응답율
측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응답율(반응감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6에 개략도로 나타낸 바와 같은 수소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수소센서가 들어있는 알루미늄 케이스에 수소 가스가 주입되면 주입되어진 수소 가스에 의해 nc-C:Pd 박막의 표면에서 화학적 변화에 의한 반응이 일어난다.
그리고, 광파워미터(Optical power meter)의 광원은 1550 nm의 레이저광원(LD)를 사용하였고, 광섬유를 통해 들어오는 출력의 차이를 광파워미터로 측정되고 이들의 측정값들은 GPIB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 되어진다.
수소 1%가 광섬유 수소센서에 노출되었을 때의 수소센서 응답률 측정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현재 수소 감응부(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의 두께가 120 nm 이며, 수소센서에서 응답되는 신호 세기는 약 0.14 dB로써 반응감도가 측정되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예 2 ~ 6 및 비교제조예 1 ~ 6의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응답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 박막 두께 | 반응감도 |
제조예 1 | 120 nm | 0.14 dB |
제조예 2 | 120 nm | 0.16 dB |
제조예 3 | 62 nm | 0.14 dB |
제조예 4 | 138 nm | 0.14 dB |
제조예 5 | 104 nm | 0.15 dB |
제조예 6 | 109 nm | 0.16 dB |
비교제조예 1 | 128 nm | 0.08 dB |
비교제조예 2 | 146 nm | 0.08 dB |
비교제조예 3 | 41 nm | 0.04 dB |
비교제조예 4 | 178 nm | 0.05 dB |
비교제조예 5 | 70 nm | 0.07 dB |
비교제조예 6 | 210 nm | 0.04 dB |
상기 표 6의 결과를 보면, 비교제조예 1 ~ 6의 경우, 제조예 1 ~ 6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 반응감도를 보였다. 하지만, 제조예 1 ~ 6의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경우, 0.10 dB 이상, 바람직하게는 0.12 ~ 0.20 dB, 더욱 바람직하게는 0.14 ~ 0.18 dB의 높은 반응감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 삭제
- 삭제
- 쿼츠 기판; 에폭시부; 광섬유부; 및 팔라듐(Pd)이 도핑된 탄소박막을 포함하는 수소 감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쿼츠 기판 내부에 에폭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폭시부 내부에는 광섬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부는 광섬유 코어 및 광섬유 코어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클래딩을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부는 클래딩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연마된 연마 부분을 가지며, 상기 연마 부분이 상기 쿼츠 기판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쿼츠 기판에 굴곡지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수소 감응부는 쿼츠 기판, 에폭시부 및 광섬유부 각각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기판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로 증착시켜 형성시킨 것으로서, 팔라듐 30 ~ 35 중량%, 탄소 65 ~ 7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물에 대한 접촉각이 78.0° ~ 79.9°이고, RMS(Root mean square) 표면 거칠기가 0.95 ~ 1.10nm 및 Rmax(Maximum Peak to Vally Roughness Height) 거칠기가 1.100 ~ 1.200 nm이고,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XRD 패턴 측정시, 68.5°~ 69.5°에서 Pd(220)에 해당하는 면 방향 및 40.0°~ 40.4°에서 Pd(111)에 해당하는 면 방향으로 Pd 결정성을 가지며,
수소센서의 수소에 대한 반응감도가 0.10 dB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XRD 패턴 측정시, Pd 결정면을 중심으로 탄소(C)와의 결합에 의한 나노 결정 상태가 34.1° ~ 34.5° 및 46.5°~ 47.0°에서 각각 (004), (111), (200) 방향으로 결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면 저항이 450 m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 삭제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로 증착시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평균두께 60 ~ 12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 삭제
- 쿼츠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시키는 1단계;
홈이 형성된 쿼츠 기판의 홈에 광섬유를 광섬유의 일부가 쿼츠 기판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쿼츠 기판에 굴곡지게 삽입시키는 2단계;
광섬유가 삽입된 홈에 UV(ultra violet) 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는 3단계;
자외선을 조사하여 UV 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4단계;
쿼츠 기판의 홈 표면 및 쿼츠 기판의 상면에 노출된 광섬유의 클래딩을 연마하는 5단계; 및
연마된 쿼츠 기판 표면 상부에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수행하여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층을 형성시키는 6단계;를 포함하며,
6단계의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흑연 타겟과 팔라듐 타겟이 설치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층을 증착시키며,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흑연 타겟은 25 ~ 35 W/cm2의 전력을 가하고, 팔라듐 타겟은 3.5 ~ 7 W/cm2의 전력을 가하면서 수행하되, 회전속도 170 ~ 240 rpm으로 기판의 지그를 회전시키면서 20 ~ 30℃ 하에서 50초 ~ 150초간 스퍼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층은 팔라듐 30 ~ 35 중량%, 탄소 65 ~ 7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물에 대한 접촉각이 78.0° ~ 79.9°이고 RMS(Root mean square) 표면 거칠기가 0.95 ~ 1.10nm 및 Rmax(Maximum Peak to Vally Roughness Height) 거칠기가 1.100 ~ 1.200 nm이며,
상기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은 XRD 패턴 측정시, 68.5°~ 69.5°에서 Pd(220)에 해당하는 면 방향 및 40.0°~ 40.4°에서 Pd(111)에 해당하는 면 방향으로 Pd 결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5023A KR102200548B1 (ko) | 2019-02-08 | 2019-02-08 | 광섬유형 수소센서용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5023A KR102200548B1 (ko) | 2019-02-08 | 2019-02-08 | 광섬유형 수소센서용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7530A KR20200097530A (ko) | 2020-08-19 |
KR102200548B1 true KR102200548B1 (ko) | 2021-01-08 |
Family
ID=7229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5023A KR102200548B1 (ko) | 2019-02-08 | 2019-02-08 | 광섬유형 수소센서용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054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7764B1 (ko) * | 2022-03-23 | 2024-08-23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팔라듐 캡핑에 기초한 광섬유 기반의 국소화 표면 플라즈몬 공명 수소 센서 및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9016A (ko) * | 2003-10-23 | 2005-04-29 | 한국화학연구원 | 팔라듐이 코팅된 탄소 나노튜브 수소센서 |
KR100842119B1 (ko) * | 2006-12-04 | 2008-06-30 | 김광택 | 광섬유 수소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수소 농도 측정장치 |
KR101527707B1 (ko) | 2013-08-21 | 2015-06-09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수소이온농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KR20170086786A (ko) | 2016-01-19 | 2017-07-2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표면 개질화, 전해 도금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꽃모양의 팔라듐이 도입된 그래핀을 이용한 수소센서 |
KR101934472B1 (ko) * | 2017-01-20 | 2019-01-03 | 조선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 티타늄 도핑된 탄소 박막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KR101944906B1 (ko) * | 2017-02-14 | 2019-02-01 | 조선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속도 센서축 분해능 향상을 위한 저가 초박형 크롬 도핑 탄소봉 |
-
2019
- 2019-02-08 KR KR1020190015023A patent/KR10220054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7530A (ko) | 2020-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54558B2 (en) | Fabry-Perot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TWI549832B (zh) | Production method of transfer die and transfer die | |
EP2502741A1 (en) | Photocatalyst coating | |
US20090153961A1 (en) | Grid Polar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30097839A (ko) |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JPH11123791A (ja) | 多層被覆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2693195A1 (en) | Spr sensor cell, and spr sensor | |
KR102200548B1 (ko) | 광섬유형 수소센서용 팔라듐이 도핑된 탄소박막,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형 수소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200123052A1 (en) | Enhanced optical fibers for low temperature sensing | |
US20110013192A1 (en) |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Gwo | Ultra precision and reliable bonding method | |
CN112678766B (zh) | 一种转移纳米结构的方法及其应用 | |
CN115472329B (zh) | 一种辐照装置及透明靶制备方法 | |
CN106442410B (zh) | 斜抛光纤折射率传感器及其制备方法 | |
CN113884468B (zh) | 一种基于超颖表面的光纤湿度传感器及其制作方法 | |
JPS61201143A (ja) | 水素ガスセンサー | |
CN206291985U (zh) | 斜抛光纤低压传感器 | |
KR101760363B1 (ko) | 오팔과 그 제조방법 | |
CN113186602B (zh) | 一种Cr掺杂II-VI族化合物同质包边多晶激光材料及其制备方法 | |
WO2011114314A1 (en) | Optical fibre made with magneto-optical glasses,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based on said optical fibre and method for determining chemical substances present in the air | |
Woo | Flexibility enhancement of flexible solar cell devices by nano-mechanical analysis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 |
Wang et al. | Lu 2 O 3/h-BN Modified U-shaped Fiber Optic SPR Sensor with Improved Sensitivity | |
Patil et al. | Intensity modulation based optical fibre humidity sensor using Agarose Chitoson composite | |
JP2001249370A (ja) | 非線形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Sasaki et al. | Emergence of basic sites on a Si (111) surface in the initial stage of oxidation in 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