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03B1 -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 - Google Patents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03B1
KR102200503B1 KR1020200033109A KR20200033109A KR102200503B1 KR 102200503 B1 KR102200503 B1 KR 102200503B1 KR 1020200033109 A KR1020200033109 A KR 1020200033109A KR 20200033109 A KR20200033109 A KR 20200033109A KR 102200503 B1 KR102200503 B1 KR 102200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t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부
Original Assignee
조용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부 filed Critical 조용부
Priority to KR102020003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철근콘크리트 벽에 보강빔을 결합하기 위한 보강연결 브래킷장치는 철근콘크리트의 벽면에 접촉 유지되며 보강빔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베이스관통슬롯을 가진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관통슬롯을 통과하여 철근콘크리트에 고정되어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철근콘크리트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저지하는 앵커부재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기립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된 기립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Reinforcement Connection Bracket Unit}
본 발명은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쉽게 보강빔을 철근콘크리트에 결합할 수 있는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 에 관한 것이다.
기 시공된 철근콘크리트(기둥, 보, 벽체)의 내력이 부족할 경우 철근콘크리트의 전면 또는 측면에 보강빔(H형강, BOX형강)을 덧댄 후 앵커볼트로 결합시킨다. 보강빔과 철근콘크리트 간 앵커볼트를 설치하기 위해선 보강빔과 철근콘크리트의 동일한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고 앵커볼트를 삽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의 내부 철근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아 구멍 천공 시 정확한 위치에 천공작업을 하기 어렵다. 천공을 한다고 해도 비규칙적으로 배열되게 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보강빔에 응력발생시 불균등한 응력이 발생하여 단면내력의 손실을 유발하게 되며 앵커볼트의 접합강도가 일정한 값을 유지할 수 없어 보강빔의 결합력이 감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콘크리트의 철근의 위치에 관계 없이 천공을 하여 보강빔을 철근콘크리트에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벽에 보강빔을 결합하기 위한 보강연결 브래킷장치는, 상기 철근콘크리트의 벽면에 접촉 유지되며 상기 보강빔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베이스관통슬롯을 가진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관통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철근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 철근콘크리트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저지하는 앵커부재;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기립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된 기립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기립플레이트가 기립 연장된 베이스플레이트가 앵커부재에 대하여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므로 철근콘크리트의 철근의 위치에 관계 없이 천공을 하여도 보강빔을 철근콘크리트에 설치하기 쉽고 보강빔과 철근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립플레이트에 면접촉하도록 배치 지지되어 상기 보강빔을 고정 지지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면 보강빔을 철근콘크리트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립플레이트는, 기립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립관통슬롯을 가지며, 상기 스톱퍼에 지지되며 상기 기립관통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스톱퍼의 상기 기립플레이트의 기립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기립플레이트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격되는 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면 스톱퍼를 기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보강빔을 철근콘크리트 방향으로 압박시키면서 고정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스톱퍼고정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가 상기 보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관통슬롯을 포함하면 스톱퍼가 보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보강빔의 구조에 따라 스톱퍼를 보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보강빔을 철근콘크리트에 고정 설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철근콘크리트에 고정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철근콘크리트에 고정시키는 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기립플레이이트는, 상기 머리부의 통과를 위한 절취부를 가지면 앵커부재의 머리부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플레이트의 보강빔의 폭방향 이동범위가 증가되므로 철근콘크리트의 천공을 형성하는 범위가 증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플레이트가 기립 연장된 베이스플레이트가 앵커부재에 대하여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므로 철근콘크리트의 철근의 위치에 관계 없이 천공을 하여도 보강빔을 철근콘크리트에 설치하기 쉽고 보강빔과 철근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강빔의 결합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연결 브래킷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보강연결 브래킷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보강연결 브래킷장치의 변형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의 설치 예시도이며, 도 2는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의 변형 예시도이다.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는 철근콘크리트(2)에 천공을 하여 보강빔(3)을 고정 결합시켜 설치한다.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는 베이스플레이트(10), 앵커부재(20), 기립플레이트(30), 스톱퍼(40) 및 스톱퍼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철근콘크리트(2)의 벽면에 접촉 유지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베이스본체(11), 베이스관통슬롯(12) 및 베이스치형(13)을 갖는다.
베이스본체(11)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관통슬롯(12)은 보강빔(3)의 폭방향을 따라 베이스본체(11)에 형성된다. 베이스관통슬롯(12)은 후술할 앵커부재(20)의 볼트부(21)는 통과하고 머리부(12)는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베이스치형(13)은 철근콘크리트(2)와 접촉되는 베이스본체(11)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베이스치형(13)의 형상은 철근콘크리트(2)의 표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치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베이스치형(12)은 기립플레이트(30)가 보강빔(3)을 지지하는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부재(20)는 베이스관통슬롯(11)을 통과하여 철근콘크리트(2)에 고정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의 폭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철근콘크리트(2)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저지한다. 앵커부재(20)는 볼트부(21)와 머리부(22)를 갖는다.
볼트부(21)는 긴 볼트형상을 가지며, 철근콘크리트(2)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머리부(22)는 볼트부(21)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볼트부(21)보다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고, 볼트부(21)의 일단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를 철근콘크리트(2)의 표면 방향으로 압박하면서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기립플레이트(30)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플레이트(10)에 기립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되어 형성된다. 기립플레이트(30)는 기립본체(31), 기립관통슬롯(32) 및 절취부(33)를 갖는다.
기립본체(31)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 판면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판상으로 형성된다.
기립관통슬롯(32)은 기립플레이트(30)의 기립방향을 따라 기립본체(31)에 형성된다. 기립관통슬롯(32)은 베이스관통슬롯(12)과 관통영역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기립관통슬롯(32)은 후술할 스톱퍼고정부재(50)의 고정볼트(51)는 통과되면서 고정너트(52)는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폭을 가진다.
절취부(33)는 베이스플레이트(10)가 철근콘크리트(2)의 판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될 때 앵커부재(20)의 머리부(22)가 통과되도록 기립관통슬롯(31)에서 확장 절취되어 형성된다.
스톱퍼(40)는 기립플레이트(30)에 면접촉하도록 배치 지지되어 보강빔(3)을 고정 지지한다. 스톱퍼(40)는 스톱퍼본체(41), 보강관통슬롯(42), 보강플랜지(43) 및 보강치형(44)을 갖는다.
스톱퍼본체(41)는 기립본체(31)에 면접촉 가능하게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보강관통슬롯(42)은 후술할 스톱퍼고정부재(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톱퍼본체(41)가 보강빔(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보강빔(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보강플랜지(43)는 베이스본체(11)에 대향한 스톱퍼본체(41) 측 연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강치형(44)은 보강플랜지(43)의 판면으로부터 베이스본체(11)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강치형(44)의 형상은 보강빔(3)의 표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치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보강치형(44)은 스톱퍼본체(41)가 보강빔(3)을 지지하는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톱퍼고정부재(50)는 스톱퍼(40)에 지지되며 기립관통슬롯(32)에 삽입되어 스톱퍼(40)의 기립플레이트(30)의 기립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기립플레이트(30)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격되는 되는 것을 저지한다. 스톱퍼고정부재(50)는 고정볼트(51)와 고정너트(52)를 갖는다.
고정볼트(51)는 기립관통슬롯(32)과 보강관통슬롯(42)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긴 볼트형상을 갖는다. 고정볼트(51)는 외표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너트(52)는 고정볼트(51)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고정볼트(51)의 양단에 결합되어 스톱퍼(40)를 기립플레이트(3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로 철근콘크리트(2)에 보강빔(3)을 결합시키는 순서를 설명한다.
철근콘크리트(2)에 볼트부(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천공을 형성시킨다.
천공에 액폭시 등 접합화학약품을 주입하고 볼트부(21)를 삽입하여 앵커부재(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베이스관통슬롯(12)이 볼트부(21)를 삽입하면서 보강빔(3)의 폭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을 배치하여 위치시킨다.
보강빔(3)을 철근콘크리트(2)에 접하게 배치한 후 베이스플레이트(10)를 이동시켜 보강빔(3)에 기립플레이트(30)가 접하도록 이동시켜 위치를 잡는다.
볼트부(21)에 머리부(22)를 결합시켜 베이스플레이트(10)를 고정시킨다.
스톱퍼(40)를 보강빔(3)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박하게 한 상태에서 고정너트(52)를 고정볼트(51)에 결합시켜 보강빔(3)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보강빔(3)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가 보강빔(3)의 양측단에 배치되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립플레이트(30)는 베이스플레이트(1)에 대하여 보강빔(3)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또는 결합되는 구간을 가지고 있어 보강빔(3)의 양측단에서 베이스플레이트(1)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경사진 구간이 보강빔(3)에 접하면서 철근콘크리트(2)에 보강빔(3)이 압박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보강빔(3)과 철근콘크리트(2)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 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 쌍의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가 보강빔(3)의 양측단에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기립플레이트(30)를 연결하는 연결고정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스톱퍼고정부재(50)의 고정볼트(51)에 고정너트(52)가 결합되어 보강빔(3)을 철근콘크리트(2)로 압박하면 고정시키나 기립관통슬롯(32)에 삽입되는 쐐기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쐐기부재는 기립관통슬롯(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두께로 이루어지며, 판상의 판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기립관통슬롯(32)에 끼워지어 고정볼트(51)가 기립방향으로 이동되어 보강빔(3)이 철근콘크리트(2)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보강연결 브래킷장치(1)로 인하여, 기립플레이트(30)가 기립 연장된 베이스플레이트(10)가 앵커부재(20)에 대하여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므로 철근콘크리트(2)의 철근의 위치에 관계 없이 천공을 하여도 보강빔(3)을 철근콘크리트(2)에 설치하기 쉽고 보강빔(3)과 철근콘크리트(2)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톱퍼(40)로 인하여 보강빔(3)을 철근콘크리트(2)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스톱퍼고정부재(50)로 인하여 스톱퍼(40)를 기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보강빔(3)을 철근콘크리트(2) 방향으로 압박시키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
보강관통슬롯(42)로 인하여 스톱퍼(40)가 보강빔(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보강빔(3)의 구조에 따라 스톱퍼(40)를 보강빔(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보강빔(3)을 철근콘크리트(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절취부(33)로 인하여 앵커부재(20)의 머리부(22)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플레이트(10)의 보강빔(3)의 폭방향 이동범위가 증가되므로 철근콘크리트(2)의 천공을 형성하는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1 : 보강연결 브래킷장치 2 : 철근콘크리트
3 : 보강빔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베이스본체 12 : 베이스관통슬롯
13 : 베이스치형 20 : 앵커부재
21 : 볼트부 22 : 머리부
30 : 기립플레이트 31 : 기립본체
32 :기립관통슬롯 33 : 절취부
40 : 스톱퍼 41 : 스톱퍼본체
42 : 보강관통슬롯 43 : 보강플랜지
44 : 보강치형 50 : 스톱퍼고정부재
51 : 고정볼트 52 : 고정너트

Claims (5)

  1. 철근콘크리트 벽에 보강빔을 결합하기 위한 보강연결 브래킷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의 벽면에 접촉 유지되며 상기 보강빔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베이스관통슬롯을 가진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관통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철근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 철근콘크리트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저지하는 앵커부재;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기립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된 기립플레이트;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철근콘크리트에 고정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철근콘크리트에 고정시키는 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기립플레이트는, 상기 머리부의 통과를 위한 절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연결 브래킷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플레이트에 면접촉하도록 배치 지지되어 상기 보강빔을 고정 지지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연결 브래킷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플레이트는, 기립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립관통슬롯을 가지며,
    상기 스톱퍼에 지지되며 상기 기립관통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스톱퍼의 상기 기립플레이트의 기립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기립플레이트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격되는 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연결 브래킷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스톱퍼고정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가 상기 보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관통슬롯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연결 브래킷장치.
  5. 삭제
KR1020200033109A 2020-03-18 2020-03-18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 KR10220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109A KR102200503B1 (ko) 2020-03-18 2020-03-18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109A KR102200503B1 (ko) 2020-03-18 2020-03-18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503B1 true KR102200503B1 (ko) 2021-01-08

Family

ID=7412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109A KR102200503B1 (ko) 2020-03-18 2020-03-18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66Y1 (ko) * 2009-03-27 2010-01-12 김병윤 체결 클램프
KR101214139B1 (ko) * 2012-07-09 2012-12-20 홍정락 클램프를 이용한 단면증설 내진보강구조 및 단면증설 내진보강공법
KR101257752B1 (ko) * 2012-11-21 2013-04-24 윤태호 현장 비용접 고력볼트 접합방식의 cft기둥을 이용한 기둥의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방법
KR101459082B1 (ko) * 2014-06-12 2014-11-20 한국내진시스템 주식회사 거푸집 겸용 보강 철골과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 및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66Y1 (ko) * 2009-03-27 2010-01-12 김병윤 체결 클램프
KR101214139B1 (ko) * 2012-07-09 2012-12-20 홍정락 클램프를 이용한 단면증설 내진보강구조 및 단면증설 내진보강공법
KR101257752B1 (ko) * 2012-11-21 2013-04-24 윤태호 현장 비용접 고력볼트 접합방식의 cft기둥을 이용한 기둥의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방법
KR101459082B1 (ko) * 2014-06-12 2014-11-20 한국내진시스템 주식회사 거푸집 겸용 보강 철골과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 및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320B2 (en) Construction connector anchor cage system
US20110243644A1 (en) Connector
KR102017728B1 (ko) 고정어댑터가 구비된 내진보강프레임 구조
US20090110473A1 (en) Connection Hardware for Wooden Building
KR101785721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JP2011202419A (ja) 軸部材とrc部材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CN113756447B (zh) 一种预制剪力墙与连梁连接用耗能节点及其装配方法
KR102200503B1 (ko) 보강연결 브래킷유니트
WO1987002726A1 (en) Means for joining concrete piles
KR10058368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프리캐스트 보와의 접합방법
JP7243007B2 (ja) 木質梁接合構造
JP2005155196A (ja) 受け金具,建築用接合金具及び建築用木部材の接合方法
JP5087026B2 (ja) 耐震補強構造
KR102378877B1 (ko) 분절 ps 콘크리트 거더와 이의 접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급속 시공 방법
JP5702345B2 (ja) 建築用木材の連結金具
KR102265916B1 (ko) T형강 내진 프레임 구조물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JP7003379B2 (ja) 接合構造
JP5685229B2 (ja) 建築用木材の連結構造
KR20220045445A (ko) 목구조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JP3311716B2 (ja) ガセットプレートおよびガセットプレートを用いた構造用鋼材の接合構造
KR20160091476A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6045202B2 (ja) 鋼材の接合部構造および鋼構造物の耐力パネル
JP2000355980A (ja) 柱の補強金具及び補強方法
KR102358256B1 (ko) 무용접 내진 프레임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