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162B1 -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162B1
KR102200162B1 KR1020180172983A KR20180172983A KR102200162B1 KR 102200162 B1 KR102200162 B1 KR 102200162B1 KR 1020180172983 A KR1020180172983 A KR 1020180172983A KR 20180172983 A KR20180172983 A KR 20180172983A KR 102200162 B1 KR102200162 B1 KR 102200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information
identifier
payment
serve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406A (ko
Inventor
김병준
김종명
최현주
Original Assignee
롯데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1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1Access to banking information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판매자 단말기, 구매자 단말기 및 서버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매장에 위치한 스틸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자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식별자에 매칭되고 제1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제1거래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거래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서버가 상기 제1거래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제1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제1결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METHOD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USING STILL IMAGE AND OPERATING METHOD OF SERVER PROVIDING PAYMENT SERVICE USING STILL IMAGE}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특정 재화 또는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실물 지불 수단(화폐 또는 카드)를 반드시 소지하고 있어야 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결제 수단이 사용되고 있고 실물 화폐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재화 또는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경우, 고객이 매장에 위치한 QR 코드를 스캔하고, 금액을 입력하면 QR 코드에 해당하는 계좌로 입력된 금액이 송금된다. 그러나, 매 결제 마다 고객이 금액을 입력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505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매자 단말기가 매장에 구비된 스틸 이미지를 촬영하면 상기 스틸 이미지에 해당하는 거래 정보가 구매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의한 금액 입력 없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매장에 구비된 스틸 이미지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가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판매자 단말기, 구매자 단말기 및 서버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매장에 위치한 스틸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자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식별자에 매칭되고 제1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제1거래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거래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서버가 상기 제1거래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제1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제1결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작동 방법은, 상기 서버가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식별자에 매칭되는 거래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거래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서버가 상기 거래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따르면, 서버가 스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식별자에 해당하는 거래 정보를 관리하고,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거래 정보를 직접 검증하므로, 스틸 이미지가 위변조 되더라도 이에 따른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따르면, 하나의 스틸 이미지에 거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거래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필요 없이 하나의 스틸 이미지로 다수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매자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시스템(10)은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스틸 이미지(고정형 이미지; IMG)에 포함된 식별자(ID)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틸 이미지(IMG)는 매장에 구비된 고정 이미지로서, 스틸 이미지(IMG)는 스틸 이미지(IMG)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 즉, 식별자(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틸 이미지(IMG)는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화하지 않는 고정된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한편, 스틸 이미지(IMG)가 식별자(ID)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스틸 이미지(IMG)가 물리적으로 식별자(ID)를 포함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 스틸 이미지(IMG)를 가공하여 식별자(ID)를 얻을 수 있는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10)은 하나의 고정된 스틸 이미지(IMG)를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거래를 수행한다 함은, 거래를 시작하고 상기 거래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제 시스템(10)은 판매자 단말기(100), 구매자 단말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100)는 재화 또는 용역을 일정 대가를 받고 제공하는 판매자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버(300)를 통해 구매자와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판매자 단말기(100)는 식별자(ID)를 이용하여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판매자 단말기(100)는 스틸 이미지(IMG)로부터 추출된 식별자(ID)와, 거래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정보는 특정 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스틸 이미지(IMG)가 구비된 매장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거래 금액에 대한 정보, 거래 품목에 대한 정보, 거래 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판매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또는 PDA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POS(point of sales) 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매자 단말기(200)는 판매자와 거래를 수행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서버(300)를 통해 판매자와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구매자 단말기(200)는 식별자(ID)를 이용하여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구매자 단말기(200)는 매장에 위치한 스틸 이미지(IMG)로부터 식별자(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ID)를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거래를 시작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구매자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또는 PDA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0)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서버(300)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3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FPU(floating point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어레이(programmable logic array, PLA)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300)는 관리 서버(310)와 결제 서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결제 시스템(10)을 관리하는 운영 서버일 수 있고, 결제 서버(320)는 판매자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 사이의 거래를 위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DB; 311)를 액세스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DB(311)를 액세스하고, DB(311)에 데이터를 저장(또는 라이트)하거나, 또는 DB(311)로부터 데이터를 리드(또는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버(300)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함은, 서버(3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DB(311)는 식별자들(ID1~IDn; 집합적으로 ID), 식별자들(ID) 각각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TR1~TRn; 집합적으로 TR) 및 식별자들(ID) 각각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MF)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모드 플래그(MF) 및 거래 정보(TR) 각각은 식별자들(ID) 각각과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판매자 단말기(100) 또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ID)를 저장할 수 있고, 모드 플래그(MF)와 거래 정보(TR)를 식별자(ID)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모드 플래그(MF)는 해당 식별자(ID)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TR)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모드 플래그(MF)는 판매자 단말기(100)에 의해 입력되어 매칭된 거래 정보(TR)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TR)가 전송되어 DB(311)에 저장된 경우, 해당 식별자(ID)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MF)를 제1값(예컨대, 0)에서 제2값(예컨대,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모드 플래그(MF)를 참조하여 식별자(ID)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TR)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판매자 단말기(100)는 판매자 단말기임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거래 정보(TR)를 관리 서버(310)로 전송할 수 있고, 관리 서버(310)는 거래 정보(TR)를 전송한 대상이 판매자 단말기(100)일 때, 거래 정보(TR)를 저장하고 모드 플래그(MF)를 제2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판매자 단말기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가맹점 코드로서 사전에 관리 서버(3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관리 서버(310)는 거래 정보(TR)를 전송한 대상이 미리 등록된 판매자 단말기(100)일 때, 거래 정보(TR)를 저장하고 모드 플래그(MF)를 제2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관리 서버(310)는 거래 정보(TR)를 전송한 대상이 판매자 단말기(100)가 아닌 경우(예컨대, 구매자 단말기(200))인 경우, 거래 정보(TR)를 저장하더라도 모드 플래그의 값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거래 정보(TR)는 판매자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 사이에서 수행되는 거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미지(IMG)가 구비된 매장에 관한 정보, 거래 품목에 대한 정보, 거래 금액에 대한 정보, 거래의 요청 시점 및 거래 정보(TR)를 전송한 단말기(구매자 단말기 또는 판매자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에 해당하는(또는 매칭되는) 거래 정보(TR)를 저장,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하나의 스틸 이미지(IMG)는 다수의 거래를 특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를 이용하여 DB(311)에 저장되고 식별자(ID)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MF)와 거래 정보(TR)를 리드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310)는 제1식별자(ID)에 해당하는 제1모드 플래그와 제1거래 정보(TR)를 DB(311)로부터 리드할 수 있다.
결제 서버(32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의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판매자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 사이에 수행되는 거래에 대응하는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서버(320)에 의해 수행되는 결제의 방식은 특정 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결제 서버(320)는 결제의 수행 결과(실패 또는 성공)를 판매자 단말기(100) 또는 구매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매자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기(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입출력 장치(230) 및 통신 장치(2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입출력 장치(230) 및 통신 장치(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APP)을 로드하여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APP)에 포함된 명령들의 제어에 따라 구매자 단말기(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작동은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APP)의 제어에 따라 프로세서(210)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메모리(220)는 스틸 이미지(IMG)로부터 추출된 식별자(ID)를 저장할 수 있고,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3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또는 처리)할 때 사용될 수 있고,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할 때 사용될 수 잇다. 즉, 입출력 장치(23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스틸 이미지(IMG)는 입출력 장치(230)를 통해 구매자 단말기(200)로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입출력 장치(230)는 스틸 이미지(IMG)를 스캔(또는 촬영)하고, 스캔의 결과에 따라 스틸 이미지(IMG)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틸 이미지(IMG)로부터 식별자(ID)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입출력 장치(14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마이크, 스캐너,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장치(24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주변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통신 장치(240)는 관리 서버(310) 및 결제 서버(32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의 판매자 단말기(100)의 구조와 기능은 도 2에 설명된 구매자 단말기(200)의 구조와 기능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설명된 서버(300)의 작동은 관리 서버(310) 또는 결제 서버(320)의 작동을 의미한다.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식별자(ID)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식별자(ID)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수신된 식별자(ID)에 매칭되는 거래 정보(TR)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MF)를 리드하고, 모드 플래그(MF)의 값을 참조함으로써 수신된 식별자(ID)에 매칭된 거래 정보(TR)가 DB(311)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드 플래그(MF)가 제2값인 경우,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에 매칭된 거래 정보(TR)가 DB(311)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모드 플래그(MF)가 제2값인 경우, 저장된 거래 정보(TR)는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310)는 수신된 식별자(ID)에 매칭되는 거래 정보(TR)를 요청하는 쿼리를 DB(311)에 전송하고, DB(311)로부터 전송된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식별자(ID)에 매칭된 거래 정보(TR)가 DB(311)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식별자(ID)에 매칭되는 거래 정보(TR)가 저장되어 있을 때(S320의 Y), 서버(300)는 거래 정보(TR)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330). 즉,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전에 거래 정보(TR)가 전송된 경우, DB(311)에는 식별자(ID)에 매칭되는 거래 정보(TR)가 저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모드 플래그(MF)가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를 이용하여 매칭되는 거래 정보(TR)를 DB(311)로부터 리드하고, 리드된 거래 정보(TR)를 결제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고, 결제 서버(320)는 거래 정보(TR)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식별자(ID)에 매칭되는 거래 정보(TR)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S320의 N),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 거래 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S340). 즉, 식별자(ID)에 매칭되는 거래 정보(TR)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판매자가 미리 입력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이 경우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 직접 거래 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거래 정보(TR)를 수신할 수 있다(S35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식별자(ID)와 거래 정보(TR)를 수신하고, 거래 정보(TR)를 식별자(ID)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310)는 거래를 위한 거래 정보(TR)를 식별자(ID)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330 또는 S360이 수행되면, 결제를 위한 준비(즉, 거래 정보(TR)의 매칭)가 끝나게 되고, 서버(300)는 결제 정보의 수신을 기다리게 된다.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거래 정보(TR)에 해당하는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60). 즉, 구매자 단말기(200)가 거래 정보(TR)를 수신한 후, 결제 정보와 결제 요청을 결제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고, 결제 서버(320)는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수신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370). 실시 예들에 따라, 결제 서버(320)는 수신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정보(TR)에 대응하는 거래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가 수행된 후(또는 거래가 완료된 후), 서버(300)는 식별자(ID)에 매칭되어 저장된 거래 정보(TR)를 삭제할 수 있다(S380). 이에 따라, 식별자(ID)에는 새로운 거래 정보가 매칭될 수 있고, 새로운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4는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거래 정보(TR)가 전송되어 관리 서버(310)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판매자 단말기(100)는 식별자(ID)와 거래 정보(TR)를 관리 서버(310)로 전송할 수 있다(S410). 실시 예들에 따라, 판매자 단말기(100)는 거래 정보(TR)를 생성하고, 생성된 거래 정보(TR)와 식별자(ID)를 함께 관리 서버(3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기(100)는 매장에 구비된 스틸 이미지(IMG)로부터 식별자(ID)를 추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수신된 거래 정보(TR)를 식별자(ID)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S420). 본 명세서에 있어서 거래 정보(TR)를 식별자(ID)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함은, 거래 정보(TR)가 식별자(ID)를 이용하여 리드(또는 검색(retrieve))될 수 있도록 거래 정보(TR)를 식별자(ID)에 대응되도록 식별자(ID)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관리 서버(310)는 거래 정보(TR)에 식별자(ID)를 태그(tag)함으로써 거래 정보(TR)를 식별자(ID)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에 기존에 매칭된 거래 정보(TR)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기존에 저장된 거래 정보(TR)를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거래 정보(TR)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결제 시스템(10)은 하나의 스틸 이미지(IMG)로부터 추출된 식별자(ID)에 거래 정보(TR)를 매칭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거래들을 하나의 스틸 이미지(IMG)로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거래 정보(TR)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모드 플래그(MF)를 제2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430). 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구매자 단말기(200)는 매장에 구비된 스틸 이미지(IMG)로부터 식별자(ID)를 추출할 수 있다(S440). 실시 예들에 따라, 구매자 단말기(200)는 매장에 구비된 스틸 이미지(IMG)를 스캔하거나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식별자(ID)를 추출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는 식별자(ID)를 관리 서버(31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10)로 거래를 요청할 수 있다(S450). 실시 예들에 따라, 구매자 단말기(200)는 거래 요청과 함께 구매자 단말기(2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ID)를 이용하여, 식별자(ID)에 대응되는(또는 매칭되는) 거래 정보(TR)가 DB(311)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6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MF)의 값을 참조하여 거래 정보(TR)가 DB(311)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 단계 S430에서 모드 플래그(MF)가 제2값으로 설정되었으므로,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에 대응되는(또는 매칭되는) 거래 정보(TR)가 DB(311)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ID)를 이용하여 DB(311)로부터 식별자(ID)에 대응되는(또는 매칭되는) 거래 정보(TR)를 리드할 수 있다(S47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를 포함하는 쿼리(query)를 DB(311)에 전송함으로써 거래 정보(TR)를 리드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들에 따라, 모드 플래그(MF)를 참조하지 않더라도, 구매자 단말기(200)는 결제 서버(320)에 거래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고, 결제 서버(32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의 거래 정보 조회의 요청에 응답하여, 관리 서버(310)로 거래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10)는 거래 정보 조회에 응답하여 식별자(ID)에 대응되는(또는 매칭되는) 거래 정보(TR)를 리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리드된 거래 정보(TR)를 결제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S480). 결제 서버(320)는 관리 서버(310)로부터 전송된 거래 정보(TR)를 수신하고, 거래 정보(TR)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490). 즉, 구매자 단말기(200)는 서버(300)로부터 거래 정보(TR)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결제 시스템(10)은 스틸 이미지(IMG)로부터 추출된 식별자(ID)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구매자 단말기(200)는 스틸 이미지(IMG)를 촬영(또는 스캔)만 함으로써 거래를 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과 달리, 판매자 단말기(100)가 아니라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거래 정보(TR)가 관리 서버(310)로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5의 단계들 S510 내지 S530은 도 4의 단계들 S430 내지 S460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5의 경우 거래 정보(TR)가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지 않아 모드 플래그(MF)의 값이 제2값으로 설정되지 않았으므로(즉, 제1값), 이 경우,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 거래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S540). 즉, 판매자 단말기(100)에 의해 거래 정보(TR)가 관리 서버(310)로 전송되기 전에, 구매자 단말기(200)가 스틸 이미지(IMG)를 촬영하는 경우,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 거래 정보 입력을 직접 요청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는 관리 서버(310)의 거래 정보 입력의 요청에 응답하여, 거래 정보(TR)를 관리 서버(310)로 전송할 수 있다(S550).
관리 서버(310)는 수신된 거래 정보(TR)를 식별자(ID)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S560).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기(200)가 식별자(ID)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TR)를 가지고 있는 경우, 구매자 단말기(200)는 거래를 시작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는 거래 정보(TR)에 대응하는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거래 정보(TR)와 결제 정보를 결제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고, 결제 서버(320)에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610). 상기 결제 정보는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 및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구매자 단말기(200)가 서버(300)로부터 거래 정보(TR)를 수신한 경우(즉, 도 3의 경우), 구매자 단말기(20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거래 정보(TR)를 나타내는 화면을 구매자 단말기(2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200)는 결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구매자 단말기(2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구매자 단말기(200)로 입력된 결제 정보를 결제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서버(320)는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관리 서버(310)로 결제 진행을 요청할 수 있다(S620). 실시 예들에 따라, 결제 서버(320)는 수신된 거래 정보(TR)와 결제 정보를 관리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결제 진행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거래 정보(TR)를 검증할 수 있다(S63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거래 정보(TR)와, 식별자(ID)에 매칭되어 DB(311)에 저장된 거래 정보(TR)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거래 정보(TR)와 DB(311)에 저장된 거래 정보(TR)가 일치할 때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거래 정보(TR)가 진정한 것이라고 검증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거래 정보(TR)가 검증되었을 때, 관리 서버(310)는 결제 서버(320)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640). 그 후, 결제 서버(320)는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 승인 결과(예컨대, 결제 성공 또는 결제 실패)를 관리 서버(310)로 전송할 수 있다(S650). 즉,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정보(TR)에 해당하는 거래(또는 거래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결제 시스템(10)에 따르면, 관리 서버(310)가 식별자(ID)에 해당하는 거래 정보(TR)를 관리하고,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거래 정보(TR)를 직접 검증하므로, 스틸 이미지(IMG)가 위변조 되더라도 이에 따른 문제(예컨대, 부당한 결제 등)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거래 정보(TR)에 해당하는 거래의 수행이 완료되면,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에 해당하는 모드 플래그(MF)를 초기화할 수 있다(S66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모드 플래그(MF)를 초기의 제1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310)는 모드 플래그(MF)를 제2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를 다시 초기화하여 제1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거래 정보(TR)에 해당하는 거래의 수행이 완료되면, 관리 서버(310)는 거래 정보(TR)와 식별자(ID)의 매칭을 제거할 수 있다(S670). 본 명세서에서 거래 정보(TR)와 식별자(ID)의 매칭을 제거한다 함은, 식별자(ID)를 통해 거래 정보(TR)가 검색되지 않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310)는 식별자(ID)에 매칭된 거래 정보(TR)를 삭제할 수 있다. 즉, 해당 거래가 완료된 경우, 식별자(ID)에 매칭되어 저장된 거래 정보(TR)는 자동으로 삭제된다. 따라서, 결제 시스템(10)은 하나의 스틸 이미지(IMG)를 이용하여 다수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310)는 첫 번째 거래를 위한 거래 정보(TR)를 식별자(ID)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첫 번째 거래가 완료 되면 첫 번째 거래를 위한 거래 정보(TR)를 자동으로 삭제하고, 두 번째 거래를 위한 거래 정보를 새롭게 식별자(ID)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시스템(10)에 따르면, 고정된 스틸 이미지(IMG)를 이용하여 다수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결제 시스템(10)에 따르면, 다수의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거래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필요 없이, 하나의 스틸 이미지(IMG)를 변경하지 않은 채 스틸 이미지(IMG)(또는 식별자(ID))에 매칭되는 거래 정보(TR)만을 관리함으로써 다수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판매자 단말기(100), 구매자 단말기(200) 및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직접 및/또는 간접적이든, 원시 상태, 포맷화된 상태, 조직화된 상태 또는 임의의 다른 액세스 가능한 상태이든 관계없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인-메모리(in-memory)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 제어기를 통해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분산형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매체는, 1차 저장 장치(storage), 2차 저장 장치, 3차 저장 장치, 오프라인 저장 장치, 휘발성 저장 장치, 비휘발성 저장 장치, 반도체 저장 장치, 자기 저장 장치, 광학 저장 장치, 플래시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저장 장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또는 다른 적절한 데이터 저장 매체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명령어는 어셈블러 명령어, 명령어 세트 아키텍처(instruction-set-architecture, ISA) 명령어, 머신 명령어, 머신 의존 명령어, 마이크로 코드, 펌웨어 명령어, 상태 설정 데이터, 또는 Smalltalk, C ++ 등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 "C"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종래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된 소스 코드 또는 객체 코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판매자 단말기
200: 구매자 단말기
300: 서버
310: 관리 서버
311: 데이터베이스
320: 결제 서버
IMG: 스틸 이미지
ID: 식별자

Claims (16)

  1. 판매자 단말기, 구매자 단말기, 관리 서버, 결제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엑세스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매장 내 구비된 스틸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자 및 거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거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매장 내 구비된 스틸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자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거래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상기 거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수신한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한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거래 정보를 저장한 후에,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한 결제의 수행 완료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한 결제의 수행 완료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거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정보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상기 거래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거래 정보와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이미지는 변화하지 않는 고정형 이미지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거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거래 정보와 상기 식별자에 매칭되어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거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거래 정보와, 상기 식별자에 매칭되어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거래 정보가 일치할 때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식별자로 사용되는 정보만을 포함하는 매장 내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틸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식별자와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거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틸 이미지에서 추출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거래 정보를 결제 서버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거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드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동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의 수행 완료를 수신한 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모드 플래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의 수행 완료를 수신한 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거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동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정보가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상기 거래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거래 정보와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동 방법.
  16. 식별자로 사용되는 정보만을 포함하는 매장 내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틸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식별자와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거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틸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거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거래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한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서버.
KR1020180172983A 2018-12-28 2018-12-28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 KR102200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83A KR102200162B1 (ko) 2018-12-28 2018-12-28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83A KR102200162B1 (ko) 2018-12-28 2018-12-28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06A KR20200082406A (ko) 2020-07-08
KR102200162B1 true KR102200162B1 (ko) 2021-01-07

Family

ID=7160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983A KR102200162B1 (ko) 2018-12-28 2018-12-28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1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1968B2 (ja) * 2011-02-10 2014-12-17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ポイント決済サーバ、ポイント決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052A (ko) 2003-08-01 2005-02-21 표철민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전자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8965A (ko) * 2011-02-01 2012-08-09 (주)엠에이치마인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대금결제방법 및 대금결제장치
KR20130012249A (ko) * 2011-07-08 2013-02-01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1968B2 (ja) * 2011-02-10 2014-12-17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ポイント決済サーバ、ポイント決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06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9393B2 (en) Facial profile modification for hands free transactions
US9904956B2 (en) Identifying payment card categories based o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f images of the payment cards
US20200356972A1 (en) Identifying Consumers in a Transaction Via Facial Recognition
KR102195222B1 (ko) 핸즈-프리 트랜잭션들의 직접 정산
CN108463825B (zh) 免提服务请求中的面部模板和令牌预取
US8774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n order with an object in a multiple lane environment
US20200065566A1 (en) Automatic hands free service requests
CN110998626A (zh) 提供免提数据用于交互
US10915747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created via inputs from an electronic document
CN104115172A (zh) 网络可访问销售点设备实例
US10719887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data management system and data management server
US20140172980A1 (en) Deferred social network check-in
US20190197307A1 (en) Updating data sets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based on inputs from electronic documents
US20130211899A1 (en) Consumer promotion management system
KR101771524B1 (ko) 영수증으로부터 가격정보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1195214B1 (en) Augmented reality value advisor
US20160267569A1 (en) Providing Search Results Comprising Purchase Links For Products Associated With The Search Results
US11568479B2 (en) Generating online auction listings
KR102200162B1 (ko)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
US20190355039A1 (en) Methods of managing and querying product inventory data and inventory management server
JP201915319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90196667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modified via inputs from an electronic document
US20200226583A1 (en) Machine-Readable Code Processing
US20230177600A1 (en) Generating online auction listings
US20190325409A1 (en) Interaction processing with virtual counter-party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