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654B1 - 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legs - Google Patents

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le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654B1
KR102199654B1 KR1020180161712A KR20180161712A KR102199654B1 KR 102199654 B1 KR102199654 B1 KR 102199654B1 KR 1020180161712 A KR1020180161712 A KR 1020180161712A KR 20180161712 A KR20180161712 A KR 20180161712A KR 102199654 B1 KR102199654 B1 KR 102199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body portion
height
inso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3493A (en
Inventor
박수열
Original Assignee
박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열 filed Critical 박수열
Priority to KR102018016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654B1/en
Publication of KR2020007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elevated heel parts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은 발의 일 영역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평면형 본체부; 및 평면형 본체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원호 형상의 발뒤꿈치 영역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정부를 포함한다.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ar body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 region of the foot; And a correction unit that is coupled to the heel region of an arc shap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lanar body unit so as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Description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LEGS}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LEGS}

본 발명은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일반적으로, 깔창(Shoe insole / 안창)이라 함은, 신발의 바닥에 까는 가죽이나 헝겊 따위의 물건으로, 보행·활동시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의 완화 및 땀의 흡수를 위해 사용한다. In general, the insole (Shoe insole / insole) is an object such as leather or cloth that is placed on the bottom of a shoe, and is used to reliev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sole of the foot during walking and activities and to absorb sweat.

기존의 키높이 깔창은, 대부분 신발 내부의 발뒤꿈치 부분에 삽입하여 통상의 신발의 하부면 보다 높임으로써, 외부에서는 통상의 신발과 비슷한 굽을 가진 것으로 보이면서 신발을 신는 사람의 키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Most of the existing tall insoles are inserted into the heel of the inside of the shoe to raise it high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normal shoe, so that it appears to have a heel similar to that of a normal shoe from the outside, while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person wearing the shoe. I did it.

또한, 일반적으로 신발을 오래 신었을 때, 신발 뒷굽의 어느 한쪽이 많이 닳아 있는 경우를 종종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이유는 신발 뒤꿈치부분이 땅에 닿을 때 안쪽 또는 바깥쪽이 가장 먼저 닿게 되는데 보행시 이 부분에 체중이 많이 실려서 금방 닳게 되는 것이다. 사람마다 보행 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팔자걸음이나 안장걸음 등과 같은 걸음자세에 따라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발의 뒷굽이 어느 한쪽으로 많이 닳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general, when a shoe is worn for a long time, one of the heels of the shoe is often worn ou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heel of the shoe touches the ground, the inside or the outside touches first, but when walking, a lot of weight is put on this part and it wears out quickly. Since each person's walking posture is different, this phenomenon may occur depending on the walking posture such as nasolabial or saddle walking, and this causes the heel of the shoe to wear a lot on either side.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었을 때 충격흡수를 완화하는 동시에 부자연스러운 걸음걸이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신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hoe with a function capable of correcting an unnatural gait posture while mitigating shock absorption when a user wears the shoe.

그러나, 기존의 키높이 깔창은, 키를 높이는 기능만 있으며, 사용자의 보행·활동 습관 및 환경에 적합한 자세 교정 기능은 없다.However, the existing height insole has only the function of raising the height, and there is no function of correcting a posture suitable for the user's walking/activity habit and environment.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0648호(발명의 명칭: 신발 높이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는 신발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고 신발을 벗었을 때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키높이 신발 노출 가능성을 줄이고 착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 높이조절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90648 (name of the invention: shoe height adjustment device) allows the user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shoe when wearing the shoe, and maintains the lowered state when the shoe is removed. By allowing the height of the shoe to be exposed, a shoe height adjus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the wearer's satisfaction are disclos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원호 형상의 발뒤꿈치 영역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정부를 통해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through a correction unit that is position-adjustably coupled to an arc-shaped heel regi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further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은 발의 일 영역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평면형 본체부; 및 평면형 본체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원호 형상의 발뒤꿈치 영역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정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body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 region of the foot; And a correction unit that is coupled to the heel region of an arc shap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lanar body unit so as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은 발을 끼워 넣어 신을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된 입체형 본체부; 입체형 본체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원호 형상의 발뒤꿈치 영역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정부; 및 입체형 본체부의 하부면에 교정부가 삽입되는 주머니부를 포함한다.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formed to have at least two openings so that the foot can be put on; A correction unit coupled to the heel region of an arc shap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unit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And a pocket portion into which the corr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교정부의 높이에 의해, 키높이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인별 보행·활동 습관 및 환경에 필요한 충격흡수력 및 반발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위치 조절 가능하게 깔창에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rrection unit can be combined with the insole so as to provide a height func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shock absorbing force and a repulsive elastic force necessary for each individual walking/activity habit and environ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더불어, 본 발명은 교정부를 통해서 보행 중 후족부와 전족부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유도하여 보행 중 보행자의 발목, 무릎 관절 및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uce free movement of the hindfoot and forefoot during walking through the correction unit, so that the ankle, knee joint, and spine of a pedestrian may not be strained during walk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본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부의 정면과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본체부에 교정부가 결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형 본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본체부의 결속홈 및 교정부의 결속돌기가 결합된 것을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 X다리 교정 상태에 따라 교정부가 결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본체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부에 결합된 고정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본체부에 교정부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본체부와 교정부를 착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planar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ront and cross section of a corr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planar body portion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rr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planar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groove of a flat body portion and a binding protrusion of a corr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rrection unit is combined according to the O, X leg corre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lanar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 fixing unit coupled to a corr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at a correction unit is ins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wearing a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and a corr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y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본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planar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부의 정면과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front and cross section of a corr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은 발의 일 영역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평면형 본체부(10, 10a) 및 평면형 본체부(10, 10a)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원호 형상의 발뒤꿈치 영역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정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is a flat body portion 10, 10a formed to correspond to one area of the foot and an arc-shaped heel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body portion 10, 10a It includes a correction unit 30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able to the reg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평면형 본체부(10, 10a)의 발뒤꿈치 영역에 교정부(30)의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인별 보행·활동 습관 및 환경에 요구되는 충격흡수력 및 반발탄성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키높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rrection unit 30 in the heel region of the flat body portion 10, 10a, so that the user's individual walking and activity habits and the shock absorption and repulsion required for the environment While providing elasticity, it can provide a height fun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을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평면형 본체부(10, 10a)의 하부면에 발뒤꿈치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binding grooves 110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eel region may be inclu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ar body portions 10 and 10a.

구체적으로, 도 1의 (a)를 참조하면, 평면형 본체부(10)는 발뒤꿈치에 위치하도록 발의 절반 이하 영역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높이가 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평면형 본체부(10a)는 발의 전체 영역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발뒤꿈치와 인접한 절반 이하 영역의 높이가 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평면형 본체부(10, 10a) 및 교정부(30)는 라텍스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a) of FIG. 1, the planar body portion 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an area of less than half of the foot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heel, and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end. Referring to FIG. 1B, the planar body portion 10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area of the foot, and may be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area less than half adjacent to the heel increases toward the end. In addition, the planar body portions 10 and 10a and the correction portion 3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latex and synthetic resi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2의 (a)는 교정부(30)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교정부(30)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2A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ide of the calibration unit 30, and FIG. 2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alibration unit 3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본체부에 교정부가 결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형 본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planar body p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correction part is coupled to a planar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교정부(30)는 상부면에 평면형 본체부(10)에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110)과 대응하는 적어도 세 개의 결속돌기(111)를 구비하되, 결속홈(110)에 결속돌기(111)가 삽입되어 평면형 본체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결속홈(110) 및 결속돌기(111)의 결합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2 and 3, the correction unit 30 includes at least three binding protrusions 11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inding grooves 110 formed in the planar body portion 10 on the upper surface, but the binding groove The binding protrusion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110 to be coupled to the planar body portion 1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binding groove 110 and the binding protrusion 11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예시적으로 도 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교정부(3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교정부(30)는 평면형 본체부(10)의 발뒤꿈치 영역 중 좌측 영역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제1교정부(31) 및 평면형 본체부(10)의 발뒤꿈치 영역 중 우측 영역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제2교정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제1교정부(31)는 횡단면에 대하여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교정부(32)는 횡단면에 대하여 우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 2 (a), the correction unit 3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correction unit 30 includes a first correction unit 31 formed to be biased to the left side of the heel region of the flat main body 10 and the feet of the flat main body 10. It may include a second correction part 32 formed to be biased to the right area of the heel area. 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2, the first correction unit 31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correction unit 32 may be formed to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It can be formed to increase the heigh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본체부의 결속홈 및 교정부의 결속돌기가 결합된 것을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groove of a flat body portion and a binding protrusion of a corr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평면형 본체부(10)의 하부면에서 오목하게 움푹 파인 구멍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1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결속홈(110)은 평면형 본체부(10)의 테두리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다섯 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속돌기(111)는 결속홈(110)과 대응하는 이격 간격을 가지며, 교정부(30)의 상부면에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결속돌기(111)는 교정부(30)의 테두리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네 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it may have a shape of a hole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ar main body 10. 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ure 1, the binding groove 110 may be forme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im region of the planar body portion 10, it may be preferably composed of five, but limited to this no. In addition, the binding protrusion 111 may have a spaced gap corresponding to the binding groove 110, and may have a protrusion shape formed in a convex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ction unit 30.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a), the binding protrusions 111 may be forme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rim area of the correction unit 30, and may be preferably composed of fou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은 평면형 본체부(10)에 교정부(3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O다리(내반슬) 또는 X다리(외반슬) 교정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키높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Exemplarily, the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 leg (varus knee) or X leg (valgus knee) correction function by adjust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rrection unit 30 to the flat body part 10 and at the same time Function can be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 X다리 교정 상태에 따라 교정부가 결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rrection unit is combined according to the O, X leg corre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는 O다리 교정을 위해, 평면형 본체부(10)에 교정부(30)를 결합한 예이고, 도 5의 (b)는 X다리 교정을 위해, 평면형 본체부(10)에 교정부(30)를 결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a) is an example of coupling the correction unit 30 to the flat body portion 10 for O leg calibration, and Fig. 5 (b) is for the X leg calibration, the flat body portion 10 I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rrection unit 30 is combined.

예시적으로, 도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및 제2 교정부(31, 32)로 구성된 교정부(30)를 좌측 또는 우측 발의 평면형 본체부(10)에 결합하는 방법에 따라 O다리 또는 X다리 교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교정부(30)의 횡단면에 대하여, 양 다리에 각각 결합되는 교정부(30)가 다리의 바깥쪽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결합되는 경우, O다리 교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Exemplarily,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upling the correction unit 30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units 31 and 32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o the planar body portion 10 of the left or right foot, the O leg or X leg correc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Referring to Figure 5 (a),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correction unit 30, when the correction unit 30 is coupled to each of the legs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leg, O leg correction function is provided can do.

도 5의 (b)를 참조하면, 교정부(30)의 횡단면에 대하여, 양 다리에 각각 결합되는 교정부(30)가 다리의 안쪽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결합되는 경우, X다리 교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b),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correction unit 30, when the correction unit 30 is coupled to each of the two legs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leg, X leg correction function will be provided. I can.

예를 들어, 교정부(30)는 직삼각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되, 발바닥과 이루는 교정 각도(기울기)는 1도 내지 15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5도 내지 9도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rrection unit 30 is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right triangle, and the correction angle (tilt) formed with the sole of the foot may be formed from 1 degree to 15 degrees, and preferably from 5 degrees to 9 degree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본체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fla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평면형 본체부(10a)는 전체형으로서, 신발의 안쪽 바닥의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또한, 횡단면에 대하여, 절반 이하의 영역에서만 발뒤꿈치와 인접한 단부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키높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by way of example, the planar body portion 10a is an overall shape and may cover the entire inner bottom of the shoe.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the height function can be provided by being form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heel only in a region of less than half.

또한, 평면형 본체부(10a)는 원호 형상의 발가락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절취선(120)에 따라 절취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가장 근접한 절취선(120)을 따라 절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ar body portion 10a may be cutable along a plurality of perforation lines 120 formed in an arc-shaped toe region. For example, it may be cut along the perforation line 120 closest to the user's foot size.

다시, 도 1의 (a)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평면형 본체부(10)는 뒤꿈치형으로서, 신발의 안쪽 바닥 중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또한, 횡단면에 대하여, 발뒤꿈치와 인접한 단부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키높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a) of FIG. 1, by way of example, the planar body portion 10 has a heel shape and may cover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heel of the inner bottom of the shoe.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i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heel, thereby providing a height fun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부에 결합된 고정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 fixing unit coupled to a corr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는 교정부(30)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고정부(310)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교정부(30)의 상부면(30a)과 하부면(30b)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는 교정부(3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부(310)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교정부(30)의 상부면(30a)과 하부면(30b)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교정부(3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속돌기(111)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7(a) is for explaining the fixing part 310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alibration part 30, and is a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30a and the lower surface 30b of the calibration part 30 7(b) is for explaining the fixing part 310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calibration part 30, and a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30a and the lower surface 30b of the calibration part 30 to be. Here, the binding protrusion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ction unit 30 is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교정부(30)는 교정부(30)가 결합된 평면형 본체부(10)가 발뒤꿈치에 위치하도록 신발에 고정하는 핀 형상의 복수의 고정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rrection unit 3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in-shaped fixing units 310 that are fixed to the shoe so that the flat body unit 10 to which the correction unit 30 is coupled is positioned on the heel. I can.

일 예로, 도 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고정부(310)는 교정부(30)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부면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310)는 교정부(3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고정부(310)는 교정부(30)의 하부면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된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311)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310)는 결합홈(311)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와 본체로부터 돌출된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310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rection part 30, and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For example, the fixing part 310 may be formed as a pi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rrection part 30.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7,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310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311 spaced apart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rrection unit 30. I can. For example, the fixing part 310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311 and a pin protruding from the body.

이에 따라, 고정부(310)는 뒤꿈치형 평면형 본체부(10)가 발뒤꿈치에 위치하도록 신발의 안창에 교정부(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부(310)를 통해, 교정부(30)를 신발의 안창의 발뒤꿈치 영역에 고정함으로써, 뒤꿈치형 평면형 본체부(1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xing part 310 serves to fix the correction part 30 to the insole of the shoe so that the heel-type flat body part 10 is located on the heel. That is, by fixing the correction unit 30 to the heel region of the insole of the shoe through the fixing unit 3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el-type flat body unit 10 from mov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본체부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7에 도시된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mong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FIGS. 1 to 7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본체부에 교정부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at a correction unit is ins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본체부와 교정부를 착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and a corr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은 발을 끼워 넣어 신을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된 입체형 본체부(10b), 입체형 본체부(10b)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원호 형상의 발뒤꿈치 영역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정부(30) 및 입체형 본체부(10b)의 하부면에 교정부(30)가 삽입되는 주머니부(1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8, the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formed to have at least two openings so that a foot can be put on it, and a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It includes a correction unit 30 that is positioned to be adjustable to the heel region of the arc shape provided in the and a pocket unit 15 into which the correction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unit 10b.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주머니부(15)는 발뒤꿈치 영역을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머니부(15)의 입구가 발뒤꿈치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주머니부(15)의 하부면 또는 발의 우측 또는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주머니부(15)의 입구는 삽입된 교정부(30)가 탈락되지 않도록 입구가 두겹으로 포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주머니부(15)에 의해, 교정부(30)를 입체형 본체부(10b)의 하부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8 and 9, for example, the pocket portion 15 may be formed to cover a heel area. In addition, the inlet of the pocket portion 15 may be formed on the heel por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15 or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foot. In a further embodiment, the inlet of the bag portion 15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inlet is overlapped in two layers so that the inserted correction portion 30 is not removed. That is, by the bag portion 15, the correction portion 30 can be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다시, 도 2의 (a)를 참조하면 교정부(3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입체형 본체부(10b)의 발뒤꿈치 영역 중 좌측 영역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제1교정부(31) 및 입체형 본체부(10b)의 발뒤꿈치 영역 중 우측 영역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제2교정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2의 (b)를 참조하면, 제1교정부(31)는 횡단면에 대하여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교정부(32)는 횡단면에 대하여 우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체형 본체부(10b)의 경우, 주머니부(15) 만으로도 입체형 본체부(10b)에 교정부(3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속돌기(111)는 생략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a) of FIG. 2, the correction unit 30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the first correction unit 31 is formed to be biased to the left area of the heel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unit 10b And a second correction part 32 formed to be biased to the right area of the heel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part 10b. At this time, referring to (b) of FIG. 2, the first correction unit 31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correction unit 32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the binding protrusion 111 may be omitted because the correction portion 3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only with the pocket portion 15.

이에 따라, 입체형 본체부(10b)의 발뒤꿈치 영역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예를 들어,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 대하여 제1교정부(31) 및 제2교정부(32)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교정부(3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correction unit 31 and the second correction unit 32 are selectively combined with respect to at least two regions (for example, the left region and the right region) of the heel region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rrection unit 30.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은 발목과 인접한 입체형 본체부(10b)의 개구부의 상단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착용 시에 입체형 본체부(10b)가 발가락을 향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8, the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adjacent to the ankle, but when worn,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toward the toe It may further include a push prevention unit 16 to prevent push.

예시적으로, 밀림방지부(16)는 사용자의 발목 뒤편을 일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입체형 본체부(10b)를 착용한 경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밀림방지부(16)는 사용자의 발목 뒤편과 마주보는 면에 마찰력이 좋은 소재가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ti-slip unit 16 may be formed to partially surround the back of the ankle of the user, and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so as not to feel discomfort when the user wears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As a further embodiment, the anti-slip unit 16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material having good friction is attached to a surface facing the back of the ankle of the user.

이에 따라, 입체형 본체부(10b)로부터 돌출 연장된 밀림방지부(16)가 사용자의 발목 뒤편에 밀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 발명의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을 착용하고 걸을 시에 입체형 본체부(10b)가 발가락을 향해 밀리는 문제가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anti-slip portion 16 protruding from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s ankle,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when the user walks while wearing the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pushed toward the toe, which can be prevented.

또한 입체형 본체부(10b), 교정부(30) 및 주머니부(15)는 실리콘 합성수지 및 합성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0b, the correction portion 30, and the pocket portion 15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silicone synthetic resin and a synthetic fib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10a: 평면형 본체부
10b: 입체형 본체부
15: 주머니부
16: 밀림방지부
30: 교정부
310: 고정부
311: 결합홈
110: 결속홈
111: 결속돌기
120: 절취선
10, 10a: flat body part
10b: three-dimensional body portion
15: pocket part
16: anti-slide
30: calibration unit
310: fixed part
311: coupling groove
110: binding groove
111: binding protrusion
120: perforation

Claims (13)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에 있어서,
발의 일 영역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평면형 본체부; 및
상기 평면형 본체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원호 형상의 발뒤꿈치 영역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형 본체부의 하부면에 상기 발뒤꿈치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교정부는,
상부면에 상기 복수의 결속홈과 대응하는 적어도 세 개의 결속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결속홈에 상기 결속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평면형 본체부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교정부는,
상기 평면형 본체부의 발뒤꿈치 영역 중 좌측 영역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제1교정부; 및
상기 평면형 본체부의 발뒤꿈치 영역 중 우측 영역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제2교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교정부는, 횡단면에 대하여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교정부는, 횡단면에 대하여 우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형성된 것인,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
In the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A planar body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n area of the foot; And
Including a correction unit that is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able to the heel region of the arc shap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body por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binding grooves forme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eel reg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ar body portion,
The calibration unit,
Provided with at least three bind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inding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The bind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to be coupled with the planar body portion,
The calibration unit,
A first correction part of an arc shape formed to be biased toward a left area of the heel area of the planar body part; And
Including a second correction portion of the arc shape formed to be biased to the right area of the heel area of the flat body portion,
The first correction part is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The second correction unit is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직삼각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되,
발바닥과 이루는 교정 각도는 5도 내지 9도로 형성되는 것인,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
The method of claim 1,
The correction unit is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right triangle,
The correction angle formed with the sole of the foot is formed from 5 degrees to 9 degrees,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본체부는,
발의 전체 영역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발뒤꿈치와 인접한 절반 이하 영역의 높이가 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이며,
원호 형상의 발가락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절취선에 따라 절취 가능한 것인,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nar body portion,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area of the foot, but the height of the area less than half adjacent to the heel increases toward the end,
It is possible to cut alo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in the arc-shaped toe area,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본체부 및 교정부는,
라텍스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인,
키높이 및 다리 교정 깔창.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nar body portion and the calibration portion,
It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latex and synthetic resin,
Height and leg correction ins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61712A 2018-12-14 2018-12-14 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legs KR102199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12A KR102199654B1 (en) 2018-12-14 2018-12-14 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le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12A KR102199654B1 (en) 2018-12-14 2018-12-14 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le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93A KR20200073493A (en) 2020-06-24
KR102199654B1 true KR102199654B1 (en) 2021-01-07

Family

ID=7140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712A KR102199654B1 (en) 2018-12-14 2018-12-14 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le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65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731Y1 (en) 2005-11-16 2006-02-13 (주)에벤에셀물산 Sole liner for raising the height
KR200421262Y1 (en) 2006-04-25 2006-07-10 옹상석 Insoles having attachable pad
KR100807365B1 (en) 2007-10-12 2008-03-06 (주)알와이엔코리아 A midsole for masai walking health footwear having a barefoot technology
KR200450562Y1 (en) 2010-04-15 2010-10-15 박동혁 Versatile shoes
KR101588621B1 (en) * 2015-10-12 2016-01-26 문홍희 shoe inserts for corre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12588A (en) * 1991-05-29 1992-11-30 Karhu Titan Oy STOEDSULA FOER FOT
KR970003945U (en) * 1996-11-28 1997-02-19 Leg-braced sole
JPH11146802A (en) * 1997-11-17 1999-06-02 Taisuke Motai Footware and shoe insole
KR20040013304A (en) * 2002-08-05 2004-02-14 김동현 A shoes and pad
KR101126601B1 (en) * 2009-01-14 2012-04-12 허정훈 Multi-functional insole
KR200467479Y1 (en) * 2011-06-24 2013-06-18 정주영 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fe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731Y1 (en) 2005-11-16 2006-02-13 (주)에벤에셀물산 Sole liner for raising the height
KR200421262Y1 (en) 2006-04-25 2006-07-10 옹상석 Insoles having attachable pad
KR100807365B1 (en) 2007-10-12 2008-03-06 (주)알와이엔코리아 A midsole for masai walking health footwear having a barefoot technology
KR200450562Y1 (en) 2010-04-15 2010-10-15 박동혁 Versatile shoes
KR101588621B1 (en) * 2015-10-12 2016-01-26 문홍희 shoe inserts for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93A (en)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0861B1 (en) Dual-density insole with a molded geometry
KR20070049648A (en) Insole, and footwear system incorporating same
US20200305542A1 (en) Sole structure and shoe including the same
KR200481847Y1 (en) Improved fit and joint protection shoe insole
JP5227713B2 (en) Footwear and internal structure
KR101690708B1 (en) Functional Mid sole
KR102090974B1 (en) Personalized shoes
JP2009247501A (en) Footwear, internal structure of the same, and method for correcting posture
KR102199654B1 (en) Insole having stature-raising and remedy of legs
KR102013672B1 (en) Shoes for relieving pain of plantar fasciitis
KR20170003879U (en) Socks with ballansing pads
JP6048831B2 (en) Insoles
KR102626724B1 (en) insole of a shoe
JP5458257B2 (en) Insole and method for producing insole
KR20130001950U (en) Insole with detachable arch surpport
JP5538615B1 (en) shoes
KR100666938B1 (en) Insole for rising stature
KR101791188B1 (en) Funtional insole
JP3234721U (en) shoes
KR102310154B1 (en) Functional slipper
KR20200049024A (en) footwear for correction
JP6385030B2 (en) Foot cover
KR200495829Y1 (en) Functional Shoes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KR101480093B1 (en) Footwear with footwear aid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