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093B1 - Footwear with footwear aid part - Google Patents

Footwear with footwear aid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093B1
KR101480093B1 KR20130106928A KR20130106928A KR101480093B1 KR 101480093 B1 KR101480093 B1 KR 101480093B1 KR 20130106928 A KR20130106928 A KR 20130106928A KR 20130106928 A KR20130106928 A KR 20130106928A KR 101480093 B1 KR101480093 B1 KR 10148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shoe
auxiliary
s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7643A (en
Inventor
임성조
Original Assignee
임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조 filed Critical 임성조
Priority to PCT/KR2013/0081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204052A1/en
Publication of KR2014014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바닥의 중간부위인 중족부를 적절히 받쳐주어 보행시 올바른 보행을 도와주며,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는 신발용 보조체에 관한 기술로서, 발바닥의 중심부가 되는 중족부 영역을 받쳐주도록 인솔 또는 텍숀에 부착되되, 발의 내향측 혹은 외향측 중 최소 어느 한쪽에 보조 패드가 마련되어 상기 중족부 영역의 상기 내향측 또는 외향측을 높게 받쳐주어 올바른 보행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ody for a shoe capable of properly correcting posture by appropriately supporting a middle part of the sole to assist in correct gait when walking, and is provided with an insole or an insole for supporting a mid- Wherein auxiliary pads ar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n inward side and an outward side of the foot so as to support the inward side or outward side of the toe region to induce correct walking.

Description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FOOTWEAR WITH FOOTWEAR AID PART}[0001] FOOTWEAR WITH FOOTWEAR AID PART [0002]

본 발명은 발바닥의 중간부위인 중족부를 적절히 받쳐주어 보행시 올바른 보행을 도와주며,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는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n auxiliary shoe for shoe which is capable of appropriately supporting a middle part of the sole to assist correct walking when walking, and correcting the posture properly.

같은 사이즈의 신발을 신는 사람이라도 발의 폭, 두께, 아치부위의 위치나 높이는 제각각이다. 따라서 대량 생산되어 제공되는 신발로는 모든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는 없다.Even if you wear shoes of the same size, the width, thickness, and position and height of the foot area are different. Therefore, shoes produced in mass production can not satisfy all consumers.

그리고 사람마다 보행 습관이 조금씩 틀리며, 특히 올바르지 못한 보행 습관이 지속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그 정도가 심해져 신체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각종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alking habits of each person are slightly different. Especially, when the inappropriate walking habits are continued, the degree of the walking becomes worsen, resulting in imbalance of the body and various diseases.

한편 발바닥에는 신체의 장기와 연결되는 많은 지압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을 건강하게 관리하고 올바른 보행 습관을 유지하는 것은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요건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pressure points on the sole that connect to the organs of the body, so keeping your feet healthy and maintaining proper walking habits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a healthy life.

발은 크게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로 구분되며, 중족부는 발의 중간 부위가 되며 활 모양으로 휘어진 형상의 아치 영역에 해당되는 구간을 의미한다.The foot is divided into the forefoot part, the middle part, and the hind part, and the middle part refers to the middle part of the foot and corresponds to the arched part of the curved shape.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오랜 시간 서있게 되면 쉽게 피로해지게 되는데, 이것은 발바닥의 아치부위에 많은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바닥 아치 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된 바 있다.If you walk for a long time or stand for a long time, you will easily become fatigued because there is a lot of load on the arches of the sole. Therefore,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support the arch region of the sole.

올바른 보행은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된 후 아치부위를 거쳐서 전족부의 엄지발가락쪽으로 하중이 이동되면서 도약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상당수의 사람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잘못된 보행 습관을 가지고 있다.Correct gait means that the heel is landed on the ground and then the jump takes place as the load is moved toward the forefoot of the forefoot through the arch region. However, many people have a bad walking habit due to various causes.

흔히, 안짱다리라고 하는 것은 선천적인 문제일 수도 있으나 오랜 기간 잘못된 보행으로 인해 다리가 휘어지면서 자세가 틀어지는 후천적인 문제인 경우도 많다.Often, ankhang bridge may be a congenital problem, but in many cases it is an acquired problem in which the leg is bent due to erroneous walking for a long time and the posture chang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잘못된 보행이 발견되는 초기부터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며, 보행시 자연스럽게 보행 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desirable that an appropriate response is required from the beginning of the erroneous walking, and that the walking habit can be calibrated naturally when walking.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05383호(2012.11.21 등록)의 "교정 신발용 밑창"이 있다.There is a "shoe for calf shoes" of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05383 (registered on November 21, 2012) with the prior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정 신발용 밑창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le for calibrated sho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일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밑창본체(10)와, 수용공간의 외측에 충전되며 밑창본체에 비해 경질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외측 무게중심에 대해 지지력이 발휘되는 지지부재(20) 및 수용공간의 내측에 충전되며 밑창본체, 지지부재에 비해 연질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내측 무게중심에 대해 쿠션력이 발휘되는 쿠션부재(30)로 이루어진다.A support member 20 which is filled with the outer sp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rder than the sole body so as to support the wearer's outer center of gravity, And a cushion member (30) which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s formed in a soft shape compared to the sole body and the support member, and exhibits a cushion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ner center of the wearer.

종래기술의 경우 발의 후족부로부터 중족부에 걸쳐서 지지부재(20)와 쿠션부재(30)가 연접되어 밑창본체(10)의 수용공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착지시부터 발의 내측이 낮아져 발의 균형이 틀어지게 되므로 보행 안정성을 지나치게 해쳐 역효과를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support member 20 and the cushion member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sole body 10 from the foot to the middle part of the foot in the prior art. The walking stability is excessively hindered, which causes an adverse effect.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05383호(2012.11.21 등록)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05383 (Registered on November 21, 2012)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 안정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중족부 영역의 외향측을 내향측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게 하거나, 반대로 내향측을 외향측 보다 높게 하여 올바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for a foot, which is capable of inducing a correct walking by making the outward side of the body region higher than the inward side without harming the walking stability, or by making the inward side higher than the outward side We would like to offer shoes.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신발은, 인솔 또는 텍숀으로서 발바닥 형태를 가지되 발바닥 중심의 내향측 또는 외향측에 전후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는 끼움홈이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발바닥 받침재와, 일면에 상기 끼움홈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되 상기 끼움홈의 제1길이보다 짧은 제2길이를 가지도록 전후방향을 향하여 길게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발바닥 받침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마련되는 신발용 보조체와, 상기 끼움돌기가 관통하는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바닥 받침재와 상기 신발용 보조체 사이에 마련되는 판상의 보조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신발용 보조체의 끼움돌기는 상기 보조 패드의 장착홀을 관통한 후 상기 발바닥 받침재의 끼움홈에 끼워지며, 상기 끼움돌기의 제2길이는 상기 끼움홈의 제1길이보다 작아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신발용 보조체의 상기 발바닥 받침재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보조 패드의 두께에 의하여 상기 신발용 보조체가 발바닥의 중족부 영역의 내향측 또는 외향측을 높게 받쳐주어 올바른 보행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막대 형상이며, 상기 끼움홈은 사각단면이 연장되는 도랑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복수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돌기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이며, 상기 끼움홈은 복수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홈이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이며, 상기 끼움돌기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돌기의 형태는 상기 끼움홈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홈의 형태와 대응되며, 상기 끼움돌기의 단위 돌기의 개수는 상기 끼움홈의 단위 홈의 개수보다 적은 것일 수 있다.
The foot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ole or the footwear has a sole-shaped inward or outward side of the center of the sole, and the fitting groove formed to have a first length toward the front- And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ole and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tting groove and has a second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itting groove, A foot auxiliary memb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foot support member; and a plate-shaped auxiliary pad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penetrates and provided between the foot support member and the shoe auxiliary member ,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shoe auxiliary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of the sole support membe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tting hole of the auxiliary pad, The second length of the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itting groove so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can be changed there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hoe auxiliary member with respect to the sole support member, The auxiliary pads of the shoe support the inward side or outward side of the foot area of the foot sole by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pad so as to induce correct walking.
In this case, the fitting protrusion may have a rod shape, and the fitting groove may be a ditch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In this case, the fitting protrusions are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cylindrical unit protrusion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tting recesses are of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olumnar unit grooves are continuously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hape of the columnar unit protrus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unit groove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fitting groove, and the number of the unit protrusions of the fitting protrusion may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unit grooves of the fitting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은 사용자의 발바닥 중족부 외향측을 높게 받쳐주므로 올바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잘못된 보행 습관을 교정시킬 수 있으므로 안짱다리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The shoe provided with the shoe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uiding the user to walk correctly because the outward side of the soles of the soles of the user's foot is supported at a high height and the wrong walking habits can be corrected, There is also.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발바닥 중족부 내향측을 높게 함으로써 사용자마다 다른 다양한 잘못된 보행 습관을 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By increasing the inward side of the soles of the soles of the foot according to need, it can help correct various misaligned walking habits for each us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정 신발용 밑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신발용 보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신발용 보조체가 인솔 또는 텍숀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신발용 보조체의 내향측 및 외향측 모두에 끼움돌기가 마련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는 외향측에만 끼움돌기가 마련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1은 인솔이나 텍숀에 신발용 보조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내향측에만 끼움돌기가 마련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4는 인솔이나 텍숀에 신발용 보조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제4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보조체의 사시도.
도 16은 제5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보조체의 사시도.
도 17은 제6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보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제7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le for calibrated sho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shoe for sho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aid in engagement with the insole or tex- to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the case where fitting protrusions are provided on both the inward side and the outward side of the shoe auxiliary body.
FIG. 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the case where a fitting protrusion is provided only on the outward side.
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oe aid is coupled to an insole or a tactil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the case where a fitting protrusion is provided only on the inward side;
1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oe aid is coupled to an insole or a tact.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shoe for shoe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shoe for shoe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auxiliary bod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venth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ortion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similar por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Whenever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not the exclusion of any other element,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 의한 신발용 보조체(100)는 운동화 등과 같은 인솔을 갖는 신발이나 별도의 인솔 없이 텍숀을 갖는 구두와 같은 신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인솔(200)이나 텍숀(200)에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탈부착이 가능하고 소정 범위 내에서는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otwear auxiliary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shoe such as a shoe having a tongue without shoes or an insole having an insole such as a sneaker or the like and is attached to the insole 200 or the texion 200, Preferably, it is detachable and attachable and positional movement is possi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특히, 본 발명의 신발용 보조체(100)는 발바닥의 중심부가 되는 중족부 영역을 받쳐주도록 하며, 중족부란 대략 발바닥의 아치 영역에 해당된다. 발바닥 전체 중 중족부 영역을 받쳐주는 신발용 보조체(100)는 발의 내향측(IW) 혹은 외향측(OW) 중 최소 어느 한쪽에 보조 패드(130)가 마련되어 중족부 영역의 내향측(IW)이나 외향측(OW)을 높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보행을 유도하게 한다는 특징이 있다.
Particularly, the shoe auxiliary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middle region of the sole which is the center of the sole, and the middle region corresponds to the arch region of the sole of the sole. The footwear auxiliary body 100 supporting the foot area of the entire sole includes an auxiliary pad 130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n inward side IW and an outward side OW of the foot to form an inward side IW of the mid- And the outward side (OW), thereby inducing correct walking.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신발용 보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신발용 보조체가 인솔 또는 텍숀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oe auxiliary body is coupled to an insole or a texion.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auxiliary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한 신발용 보조체(100)는 인솔(200)이나 텍숀(2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며, 신발용 보조체(100)는 발바닥 중족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oe auxiliary bod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200 or the tex- tor 200, and the shoe auxiliary body 100 covers the entire foot- It becomes a shape that can be made.

인솔(200) 또는 텍숀(200)은 발바닥 형태를 가지면서 발바닥을 받치게 되므로, 이하에서 인솔(200) 또는 텍숀(200)을 발바닥 받침재(200)로 칭하기로 한다.
발바닥 받침재(200)의 상면과 마주보는 신발용 보조체(100)의 하면에 높이 조절을 위한 보조 패드(1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110)가 마련되는데, 구체적으로 보조 패드(130)는 발의 내향측(IW) 또는 외향측(OW) 중 최소 어느 한쪽에 형성된다.
The insole 200 or the texion 200 has a sole shape and supports the sole. Hereinafter, the insole 200 or the texion 200 will be referred to as a sole support 200.
The fitting protrusions 110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auxiliary member 100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support member 200 so that the auxiliary pads 130 for height adjustment can be mounted.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ward side (IW) or the outward side (OW) of the foot.

본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용 보조체(100)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 부근에 하나씩의 끼움돌기(110)가 마련된다. 폭방향 중 어느 일측이 내향측(IW)이 되며, 타측이 외향측(OW)이 된다. 그리고 끼움돌기(110)는 신발용 보조체(100)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교체 가능하도록 탈부착되는 것일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fitting protrusion 110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both widthwise edges of the shoe auxiliary body 100 as shown in the figure. Ei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the inward side IW and the other side becomes the outward side OW. The fitting protrusion 1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oe auxiliary body 100, o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oe auxiliary body 100 in a replaceable manner.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용 보조체(100)에 길다란 체결홈(101)을 형성시켜서 체결홈(101)에 막대 형상의 끼움돌기(110)를 끼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form a long coupling groove 101 in the shoe auxiliary body 100 so that the rod-like fitting projection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01.

인솔(200)이나 텍숀(200)과 같은 발바닥 받침재(200)에 탈부착될 수 있는 신발용 보조체(100)는 벨크로(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는 인솔(200) 또는 텍숀(200)에 결합홈(210)을 형성시키고, 신발용 보조체(100)에 돌출된 결합부(120)를 형성시켜서 결합홈(210)에 결합부(120)를 끼워서 신발용 보조체(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ootwear auxiliary member 100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oot support material 200 such as the insole 200 or the texion 200 may be made to be able to be joined / separated using a velcro (not shown) The coupling groove 210 is formed in the insole 200 or the torsion 200 and the coupling portion 120 protruding from the shoe auxiliary body 100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120 So that the shoes auxiliary body 100 can be fixed.

더욱 바람직하게 신발용 보조체(100)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른 발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발용 보조체(100)가 소정의 범위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인솔(200) 또는 텍숀(200)에 형성되는 결합홈(210)은 전후방향을 향하여 장방형을 이루며, 연속적인 요철홈(211)이 형성되어 신발용 보조체(100)를 결합홈(210)에 끼운 후 밀거나 당기면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More preferably, the shoe auxiliary body 100 allows the shoe auxiliary body 100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t slightly different for each person. For this purpose, the coupling groove 210 formed in the insole 200 or the texion 200 has a rectangular shape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continuous concave / convex groove 211 is formed to connect the shoe auxiliary body 100 to the coupling groove 210 ) And then push or pull to adjust its position.

더 나아가 인솔(200) 또는 텍숀(200)에 끼움돌기(110)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220)이 마련될 수 있고, 끼움홈(220)은 끼움돌기(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게 하여 신발용 보조체(100)의 위치 이동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신발용 보조체(100)가 장착되는 인솔(200) 또는 텍숀(200)에 끼움돌기(110)가 끼워지는 끼움홈(220)이 마련됨으로써 신발용 보조체(100)는 비틀림없이 안정적으로 인솔(200)이나 텍숀(200)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인솔(200) 등의 발바닥 받침재는 전후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는 끼움홈(2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신발용 보조체(100)는 전후방향을 향하여 제2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는 끼움돌기(110)가 형성되도록 하되, 끼움돌기(110)의 제2길이는 끼움홈(220)의 제1길이보다 짧도록 하여, 신발용 보조체(100)는 인솔(200) 등에 밀착되면서 인솔(200) 등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끼움돌기(110)의 폭은 끼움홈(22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져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끼움돌기(110)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끼움홈(220)은 사각단면이 연장되는 도랑 형태를 가진다.
The fitting groove 220 can be formed in the insoles 200 or the texion 200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20. The fitting groove 220 is formed longer than the fitting protrusion 110 So that interference is not caused when the shoe auxiliary body 100 is moved. The shoe auxiliary body 100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insole 200 without being twisted by providing the fitting groove 220 in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110 is inserted in the insole 200 or the torsion 200 to which the shoe auxiliary body 100 is mounted. 200 or the tex- tor 200, respectively.
That is, the foot supporting member such as the insole 200 has a fitting groove 220 formed to have a first length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shoe auxiliary body 100 has a second length toward the front- The foot length of the fitting protrusion 110 is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itting groove 220 so that the footwear auxiliary member 100 is inserted into the insole 200, Back direction of the insole 200 or the lik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insole 200 or the like. Of course, the width of the fitting protrusion 110 should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tting groove 220.
Also, in this embodiment, the fitting protrusion 110 has a rod shape, and the fitting groove 220 has a ditch shape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

본 발명의 신발용 보조체(100)는 보조 패드(130)가 더 결합되어 사용되며, 보조 패드(130)는 끼움돌기(110)의 형상으로 천공된 장착홀(131)이 형성되는 판상 형상을 이루고, 장착홀(131)이 끼움돌기(110)에 끼워지는 상태가 되어 인솔(200) 또는 텍숀(200)과 접촉되게 배치됨으로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보조 패드(130)는 다양한 두께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임의대로 자기 체형에 맞는 적당한 두께의 보조 패드(13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uxiliary pad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uxiliary pad 130 and the auxiliary pad 1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in which the mounting hole 131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fitting protrusion 110, The mounting hole 131 is fit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110 and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ole 200 or the texion 20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Since the auxiliary pad 130 can be provided in various thicknesses, it is possible for the wearer to select and use the auxiliary pad 130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body type as desired.

그리고 신발용 보조체(100)의 상면은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지압돌기들이 돌출되어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발바닥의 용천에 접촉되는 곳에는 자석을 내장시켜서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auxiliary body 100 preferably has a smooth curved surface, and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jections may be protruded to provide an effect of shiatsu pressure. It may be possible to help the circul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며, 도 5는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신발용 보조체(100)는 끼움돌기(110)와 보조 패드(130)가 발의 외향측(OW)에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인솔(200) 또는 텍숀(200)의 외향측(OW)에 끼움돌기(110)가 끼워지는 끼움홈(220)이 마련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hoe auxiliary body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rotrusion 110 and the auxiliary pad 130 are provided only on the outward side OW of the foot, Or the fitting groove 220 in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110 is fitted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W of the texion 200.

신발용 보조체(100)의 외향측(OW)에만 끼움돌기(110) 및 보조 패드(130)가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내향측에만 끼움돌기(110) 및 보조 패드(130)가 마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itting protrusions 110 and the auxiliary pads 130 are provided only on the outward side OW of the shoe auxiliary body 100. However, the fitting protrusions 110 and the auxiliary pads 130 are provided only on the inward side You may.

이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신발용 보조체의 내향측 및 외향측 모두에 보조 패드가 마련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외향측에만 보조 패드가 마련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인솔이나 텍숀에 신발용 보조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내향측에만 보조 패드가 마련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인솔이나 텍숀에 신발용 보조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en auxiliary pads are provided on both the inward side and the outward side of the shoe auxiliary body, FIG. 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Fig. 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ole or tex- tor coupled with an auxiliary shoe,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pad provided only on the inward side, Fig. 1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ole or a texion with a shoe aid attached thereto.

제3실시예의 신발용 보조체(100) 역시 끼움돌기(110)와 끼움홈(220) 및 보조 패드(130)가 마련되되, 끼움돌기(110)의 형태 자체를 활용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위치 정착이 가능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The auxiliary shoe 100 of the third embodiment is also provid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s 110, the fitting grooves 220 and the auxiliary pads 130 and is capable of being moved using the shape of the fitting protrusions 110 And position fixation is possible.

이를 위해 인솔(200) 또는 텍숀(200)에 끼움돌기(110)가 결합될 수 있는 위치결정형 끼움홈(230)을 형성시키도록 하며, 위치결정형 끼움홈(230)은 복수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홈이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를 가지며, 끼움돌기(110)는 복수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돌기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를 가지며, 끼움돌기(110)의 단위 돌기의 개수는 위치결정형 끼움홈(230)의 단위 홈의 개수보다 적으며, 단위 돌기의 형태와 단위 홈의 형태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이다.For this purpose, a positioning fit-in groove 230 is formed in the insoles 200 or 200 so that the fit-in protrusion 110 can be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fit-in groove 230. The positioning fit- And the number of the unit protrusions of the fitting protrusion 110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unit protrusions of the positioning fit groove 110. In addition,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unit grooves of the unit protrusion (230), and the shape of the unit protrusion and the shape of the unit groove correspond to each other.

삭제delete

따라서 끼움돌기(110)를 위치결정형 끼움홈(230)에 끼우게 되면 신발용 보조체(100)의 위치는 고정되며, 필요시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tting protrusion 11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fitting groove 230, the position of the shoe auxiliary body 100 is fixed and its position can be changed if necessary.

물론, 제3실시예 역시 보조 패드(130)가 사용되며, 보조 패드(130)는 끼움돌기(110)에 끼워질 수 있는 천공된 장착홀(131)이 형성되는 판상체이고, 보조 패드(130)를 끼움돌기(110)에 끼움으로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Of course, in the third embodiment, the auxiliary pad 130 is used, and the auxiliary pad 130 is a plate-like body having a perforated mounting hole 131 that can be fit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110, ) Can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10 to adjust the height.

즉, 신발용 보조체(100)의 끼움돌기(110)가 발바닥 받침재(200)의 위치결정형 끼움홈(230)에 끼워지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신발용 보조체(100)의 발바닥 받침재(200)의 전후방향에 대한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보조 패드(130)를 활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That is, by changing the position where the fitting protrusion 110 of the shoe auxiliary body 100 is fitted into the positioning fit-in groove 230 of the sole support member 200, the foot support member 200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utilizing the auxiliary pad 130. [0053]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 15는 제4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보조체의 사시도이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shoe for shoe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4실시예에서는 신발용 보조체(100)의 하부면에 접힘홈(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언급된 타 실시예의 특징들인 끼움돌기(110)와 보조 패드(130)가 마련되며, 끼움돌기(110)와 인접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의 접힘홈(140)이 형성됨으로써 실제 착용시 신발용 보조체(100)의 폭 방향인 내향측(IW) 혹은 외향측(OW)이 보다 원활하게 상방으로 꺽일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fourth embodiment, a folding groove 14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auxiliary body 100. The fitting protrusion 110 and the auxiliary pad 130 which are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mentioned above are provided and the folding groove 14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djacent to the fitting protrusion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ward side (IW) or the outward side (O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uxiliary member (100) can be more smoothly turned upward.

신발용 보조체(100)에 형성되는 접힘홈(140)으로 인해 보조 패드(130)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하중 작용시 신발용 보조체(100)의 자연스런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auxiliary pad 130 due to the folding groove 140 formed in the shoe auxiliary body 100 and to induce the natural deformation of the shoe auxiliary body 100 in the action of the loa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본 제4실시예는 언급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제시되는 도 15는 제2실시예에 접힘홈(140)이 적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발의 내향측(IW) 및 외향측(OW) 모두에 끼움돌기(110)와 보조 패드(130)가 마련되며, 어느 일측의 끼움돌기(110)는 2개로 분할될 수 있다.The fourth embodiment is applicable to all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FIG. 15 shows a case where the folding groove 140 is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Specifically, the fitting protrusions 110 and the auxiliary pads 130 are provided on both the inward side IW and the outward side OW, and the fitting protrusions 110 on either side may be divided into two.

끼움돌기(110)와 인접된 곳에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깊이의 접힘홈(140)이 형성된다. 기타 타 실시예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 folding groove 14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djacent to the fitting protrusion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elements common to those of the other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이어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 16은 제5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보조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Next,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sho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는 신발용 보조체(100)의 내향측(IW) 혹은 외향측(OW) 영역 일부분이 높이 조절 수단(110)이 되도록 구성된다. 높이 조절 수단(110)은 신발용 보조체(100)에 대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두께를 갖는 높이 조절 수단(110)을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the fifth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inward side (IW) or outward side (OW) region of the shoe aid 100 is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with respect to the footwear auxiliary body 100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replace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having a thickness suitable for him.

신발용 보조체(100)와 높이 조절 수단(110)의 접촉면에는 구속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수단(150)이 마련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도면과 같이 신발용 보조체(100)의 일측에 ㄴ 자 형태의 제1접촉면(160)이 형성되고, 높이 조절 수단(110)에는 이와 반대의 ㄱ 자 형상의 제2접촉면(170)이 형성된다.A connecting means 150 is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hoe auxiliary body 100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so as to maintain a restraint relationship. In this embodiment, Shaped first contact surface 160 is formed o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10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170 having an inverted A-shape is formed o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10. [

제1접촉면(160)에 복수의 연결홀(150a)이 형성되며, 제2접촉면(170)에는 연결홀(150a)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되는 연결돌기(150b)들이 마련된다. 사용자는 연결홀(150a)에 연결돌기(150b)를 맞추어 누르면 높이 조절 수단(110)을 신발용 보조체(100)에 연결시킬 수 있고, 반대로 높이 조절 수단(110)을 당겨서 연결돌기(150b)가 연결홀(150a)로부터 빠지게 하면 높이 조절 수단(110)을 교체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150a are formed in the first contact surface 160 and connection protrusions 150b protruded in the connection hole 150a are provided on the second contact surface 170. [ The user can connect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to the shoe auxiliary body 100 by pressing the coupling protrusion 150b against the connection hole 150a and pull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to connect the coupling protrusion 150b,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10 can be replaced by removing the connection hole 150a from the connection hole 150a.

이어서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며, 도 17은 제6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보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Next,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auxiliary bod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본 제6실시예는 인솔의 하면에 신발용 보조체가 장착되는 경우를 보여주며, 인솔 하면의 소정 위치에 끼움홈(220)이 형성되며, 신발용 보조체(100)의 상면에 끼움홈(2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되는 끼움돌기(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신발용 보조체(100)는 끼움홈(220)의 구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sixth embodiment shows a case in which a shoe aid is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an insole, and a fitting groove 2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sole. An upper surface of the shoe auxiliary member 100 The fitting protrusion 110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fit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110. [ And the shoes auxiliary body 100 can be moved along the section of the fitting groove 220.

이어서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며, 도 18은 제7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Next,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venth embodiment.

도시와 같이 제7실시예 역시 인솔 하면에 신발용 보조체가 장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며, 인솔 하면 소정 위치에 함몰된 끼움홈(220)를 마련하고, 끼움홈(220)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돌기(110)와 그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패드(130)를 갖는 신발용 보조체(100)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venth embodiment also shows a case in which the shoe auxiliary body is mounted on the undersole, and when the tread is in the tread, the fitting groove 220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fitting protrusion (100) having an auxiliary pad (110) and an auxiliary pad (130) interposed therebetween.

즉 보조 드의 장착홀(131)에 끼움돌기(110)를 끼운 후 끼움홈(220)에 끼움돌기(11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tting protrusion 110 can be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220 after fitting the fitting protrusion 110 into the fitting hole 131 of the auxiliary fitting.

언급한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인솔(200)이나 텍숀(200)의 상면에 신발용 보조체(10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인솔의 경우 인솔의 하면에 신발용 보조체가 결합되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In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shown that the shoes auxiliary body 10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200 or the texion 200. In the case of the insole, It is suggested tha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용 보조체는 발바닥의 중족부 영역을 지지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에 맞게 발의 내향측이나 외향측을 높게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잘못된 보행 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고, 올바른 보행을 유도하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The auxiliary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to support the foot region of the sole so as to support the inward side or the outward side of the foot higher according to the user so as to correct the erroneous walking habit,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inducing.

그리고 본 발명의 신발용 보조체는 중족부 영역 내에서 소정 범위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보조 패드에 의하여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shoe auxiliar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to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middle region and can change the height by the auxiliary pa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but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은 다양한 신발류에 접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ootwear.

100 : 신발용 보조체 110 : 끼움돌기
120 : 결합부 130 : 보조 패드
131 : 장착홀 140 : 접힘홈
150 : 연결수단 150a: 연결홀
150b: 연결돌기 160 : 제1접촉면
170 : 제2접촉면
101 : 체결홈
200 : 인솔 또는 텍숀 210 : 결합홈
211 : 요철홈 220 : 끼움홈
230 : 위치결정형 끼움홈 IW : 내향측
OW : 외향측
100: Footwear auxiliary body 110:
120: coupling portion 130: auxiliary pad
131: mounting hole 140: folding groove
150: connecting means 150a: connecting hole
150b: connection protrusion 160: first contact surface
170: second contact surface
101: fastening groove
200: Insole or texture 210: Coupling groove
211: recessed groove 220: fitted groove
230: Positioning type fitting groove IW: Inward side
OW: Outward side

Claims (8)

인솔 또는 텍숀으로서 발바닥 형태를 가지되 발바닥 중심의 내향측 또는 외향측에 전후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는 끼움홈이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발바닥 받침재와, 일면에 상기 끼움홈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되 상기 끼움홈의 제1길이보다 짧은 제2길이를 가지도록 전후방향을 향하여 길게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발바닥 받침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마련되는 신발용 보조체와, 상기 끼움돌기가 관통하는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바닥 받침재와 상기 신발용 보조체 사이에 마련되는 판상의 보조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신발용 보조체의 끼움돌기는 상기 보조 패드의 장착홀을 관통한 후 상기 발바닥 받침재의 끼움홈에 끼워지며,
상기 끼움돌기의 제2길이는 상기 끼움홈의 제1길이보다 작아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신발용 보조체의 상기 발바닥 받침재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보조 패드의 두께에 의하여 상기 신발용 보조체가 발바닥의 중족부 영역의 내향측 또는 외향측을 높게 받쳐주어 올바른 보행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
An insole or a tex sock having a s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an inward or outward side of the center of the sole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a first length, And a second length that is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itting groove and is formed to be longer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ootrest supporting member, And a plate-like auxiliary pad formed with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penetrates, the plate-shaped auxiliary pad being provided between the foot supporting member and the shoe auxiliary member,
Wherein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shoe auxiliary member passes through the fitting hole of the auxiliary pad and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of the sole support member,
The second length of the fitting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itting groove so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can be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hoe auxiliary member with respect to the sole- And,
The auxiliary pads of the shoe support the inward side or the outward side of the foot area of the foot sole by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pad so as to induce correct wal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e comprises an auxiliary shoe for sho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막대 형상이며, 상기 끼움홈은 사각단면이 연장되는 도랑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tting protrusion is rod-shaped, and the fitting groove is a ditch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복수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돌기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이며,
상기 끼움홈은 복수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홈이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이며,
상기 끼움돌기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돌기의 형태는 상기 끼움홈의 원기둥 형태의 단위 홈의 형태와 대응되며,
상기 끼움돌기의 단위 돌기의 개수는 상기 끼움홈의 단위 홈의 개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columnar unit protrusions are arranged adjacently and continuously,
The fitting groove i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olumnar unit groov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tinuously,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of the fitting protrus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unit groove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fitting groove,
And the number of unit protrusions of the fitting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unit grooves of the fitting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30106928A 2013-06-20 2013-09-06 Footwear with footwear aid part KR101480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8142 WO2014204052A1 (en) 2013-06-20 2013-09-10 Shoe assis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750 2013-06-20
KR1020130070750 201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643A KR20140147643A (en) 2014-12-30
KR101480093B1 true KR101480093B1 (en) 2015-01-12

Family

ID=5258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928A KR101480093B1 (en) 2013-06-20 2013-09-06 Footwear with footwear aid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0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1577B1 (en) * 2020-01-07 2021-07-06 Fast Ip, Llc Adjustable footbeds for footw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164Y1 (en) 2003-08-27 2003-12-03 주식회사 신경화학 The shoes' insole of being adjustable in partial height
KR200438291Y1 (en) * 2007-02-07 2008-02-04 김성진 Insole with changeable partial height and shoes including that
KR20120065639A (en) * 2010-12-13 2012-06-21 곽명수 A functional shoes insol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30056164A (en) * 2011-11-21 2013-05-29 임성조 Manufacturing method of supporting device for sole of the foot and suppor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164Y1 (en) 2003-08-27 2003-12-03 주식회사 신경화학 The shoes' insole of being adjustable in partial height
KR200438291Y1 (en) * 2007-02-07 2008-02-04 김성진 Insole with changeable partial height and shoes including that
KR20120065639A (en) * 2010-12-13 2012-06-21 곽명수 A functional shoes insol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30056164A (en) * 2011-11-21 2013-05-29 임성조 Manufacturing method of supporting device for sole of the foot and suppor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643A (en)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0861B1 (en) Dual-density insole with a molded geometry
US6920707B1 (en) System for modifying properties of an article of footwear
JP6727813B2 (en) Footwear insoles
KR101231633B1 (en) Footwear sole with massaging device
WO2014151499A2 (en) Removable shoe insert for corrective sizing
US20110308106A1 (en) Midsole for a shoe which has the shock-dispersing function and the same foot rolling function
US20030005599A1 (en) Modular cushioned insole support system
KR100796160B1 (en) Functional shoe insole for high heel
KR101096561B1 (en) Insole having arch support part self positioning system
US11337489B2 (en) Modular orthotic footwear system
US20100251568A1 (en) Footwear insert
US11297894B1 (en) Functional shoe insole
KR200481847Y1 (en) Improved fit and joint protection shoe insole
KR101075789B1 (en) Foot width adjustable sole set for shoes
KR20150109721A (en) shoe inserts for remedy correction
KR102090974B1 (en) Personalized shoes
KR100937471B1 (en) Insole having arch support
KR101480093B1 (en) Footwear with footwear aid part
KR101357823B1 (en) shoe soles with a movable arch-support
CA2953457C (en) A feet position guidance aid
KR20130001950U (en) Insole with detachable arch surpport
WO2011001353A2 (en) Midsole structure, particularly for shoes
JP4850462B2 (en) Footwear compatible footwear
JP3141211U (en) footwear
KR200413705Y1 (en) Tuning type inner pad of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