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592B1 - 휴대용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592B1
KR102199592B1 KR1020200136817A KR20200136817A KR102199592B1 KR 102199592 B1 KR102199592 B1 KR 102199592B1 KR 1020200136817 A KR1020200136817 A KR 1020200136817A KR 20200136817 A KR20200136817 A KR 20200136817A KR 102199592 B1 KR102199592 B1 KR 10219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luid
main body
portabl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반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모델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모델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모델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20013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2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jet can be 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with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6Apparatus in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different sources are brought together before entering the dischar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소독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휴대용 소독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탱크와, 상기 유체탱크의 유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유체의 분사방향과 분사범위가 조절되는 유체 분사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입자를 확산 및 비산시키는 입자확산 비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며은 오염이 발생한 지역과, 오염이 예상되는 지역을 소독 및 살균할 때 필요에 따라 살균액의 분사방향과 분사영역을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살균 소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소독장치{Sterilizer For Por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이 발생한 지역과, 오염이 예상되는 지역을 소독 및 살균할 때 필요에 따라 살균액의 분사방향과 분사영역을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살균 소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는 물론 아프리카돼지열병, 조류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가축 전염병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방역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는 단일가닥 양성 RNA를 게놈으로 가지고, 외피가 있는 바이러스로 1937년 처음 발견된 이후 사람을 포함하여 다양한 동물에게서 분리되었다.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α-코로나 코로나바이러스 및 β-코로나 바이러스는 주로 포유류에 감염되고, γ-코로나 바이러스 및 δ-코로나 바이러스는 조류에 감염된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바이러스는 이종 간 감염이 가능한 바이러스로 2003년에 전세계적으로 유행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을 일으키는 사스(SARS) 코로나 바이러스와 2015년에 국내에 전파되어 확산된 메르스(MERS) 코로나 바이러스가 있다. 이들 코로나 바이러스는 모두 박쥐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에 최근 중국 우한에서 발생하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2019-nCoV)도 이종 감염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2003년 사스(SARS), 2005년 조류독감(AVIAN H5N1 INFLUENZA VIRUS), 2009년 신종플루(SWINE FLU H1N1),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2020년에는 코로나19까지 몇 년을 간격으로 사람을 숙주로 하는 병원체들로 전 세계가 개인위생관리 문제와 소독 방역문제에 대해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방역에는 승인된 소독제와 인력에 의해 수작업으로 소독을 실시하여야 하나 일정 수준 이상의 소독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비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 방역 작업자들에 대해 사전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더하여,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성상 밀폐된 공간과 건물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작업자가 방역장치를 직접 휴대하여 방역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취급이 간편하고 작업성이 우수한 휴대용 방역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142858호(공개일:2015년12월23일)에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약액 분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오염이 발생한 지역과, 오염이 예상되는 지역을 소독 및 살균할 때 필요에 따라 살균액의 분사방향과 분사영역을 조절하면서 넓은 지역을 간편하게 살균 소독 작업할 수 있는 휴대용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탱크와, 상기 유체탱크의 유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유체의 분사방향과 분사범위가 조절되는 유체 분사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입자를 확산 및 비산시키는 입자확산 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 분사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노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자확산 비산부는, 상기 노즐부재의 양측에서 바람을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유체 분사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노즐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 분사부는, 상기 노즐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노즐부재와, 상기 노즐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노즐 지지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노즐부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분사방향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 분사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재와 상기 유체탱크를 연결하며, 상기 노즐부재를 통해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노즐부재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부재는, 힌지돌부를 통해 상기 노즐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장홀을 구비하는 노즐브래킷과, 상기 노즐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유체탱크와 연결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재는, 상기 노즐 지지부재의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을 통해 복수의 상기 노즐부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방향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방향조절노브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조절노브는, 상기 가이드장홀에 삽입되는 노즐 작동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재는, 복수의 상기 노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자확산 비산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노즐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는 메인송풍관과, 상기 메인송풍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노즐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분기송풍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기송풍관은, 상기 메인송풍관에서 토출구로 갈수록 넓이가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상기 유체 분사부의 접촉함에 따라 토출 방향이 조절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압축공기에 의해 유체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미세 살균입자를 입자확산 비산부의 송풍을 이용하여 보다 멀리 확산시켜 방역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는, 유체 분사부의 노즐부재를 회전시켜 살균액의 분사방향과 분사범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지지부재와 유체 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지지부재와 유체 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는, 휴대를 위한 본체(100)와, 소독 및 살균을 위한 용액을 수용하는 유체탱크(200)와, 유체탱크(200)의 용액을 분사하기 위한 유체 분사부(300)와, 유체 분사부(300)에서 분사되는 살균입자를 확산시키기 위한 입자확산 비산부(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소독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체 분사부(300)에서 분사되는 살균액의 분사 넓이가 조절되고, 입자확산 비산부(400)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유체 분사부(300)에서 분사되는 살균입자를 보다 멀리 확산된다. 이를 통해 살균하고자 하는 지역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살균 및 방역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본체(100)는, 유체 분사부(300)가 설치되는 노즐 지지부재(110)와, 휴대용 소독장치의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120)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유체탱크(200)의 일측에 배터리(120)가 위치하고, 배터리(120)의 상측에 노즐 지지부재(110)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노즐 지지부재(110)는 유체 분사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유체 분사부(300)의 회전 작동을 위한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된다.
또한, 노즐 지지부재(110)는 유체 분사부(300)의 회전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 브래킷(113)과 제2지지 브래킷(115)을 더 구비하며, 제1지지 브래킷(113) 및 제2지지 브래킷(115)에 유체 분사부(30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홈부(117)가 각각 형성된다.
더하여, 노즐 지지부재(110)는 제1지지 브래킷(113)에 가이드레일(1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지지 브래킷(113)과 제2지지 브래킷(115) 사이에 유체 분사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체 분사부(300)는 유체탱크(200)와 연결되도록 본체(100)에 구비되며, 유체의 분사방향과 분사범위가 조절되도록 노즐 지지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유체 분사부(300)는, 노즐 지지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부재(310)와, 노즐부재(310)의 분사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분사방향 조절부재(320)와, 유체탱크(200)의 살균액을 노즐부재(310)로 이송하는 워터펌프(330)와, 노즐부재(310)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펌프(3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체 분사부(300)는 워터펌프(330)와 에어펌프(340)에 의해 노즐부재(310)에서 분사되는 살균액을 미립자 형태로 비산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노즐부재(310)는 노즐 지지부재(11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며, 분사방향 조절부재(320)에 의해 노즐 지지부재(110)에서 회전되면서 분사 방향이 조절된다.
이러한, 복수의 노즐부재(310)는 분사방향 조절부재(320)에 의해 함께 회전되면서 살균액의 분사 영역이 좁아지거나 또는 분사 영역이 넓어지도록 가이드레일(111)을 중심으로 노즐 지지부재(110)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노즐부재(310)는 토출구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토출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살균액의 분사 넓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노즐부재(310)는 노즐 지지부재(110)의 힌지홈부(117)에 힌지 결합되는 노즐브래킷(311)과, 워터펌프(330) 및 에어펌프(340)와 연결되도록 노즐브래킷(311)에 고정되는 분사노즐(313)을 포함한다.
노즐브래킷(311)은 상면 및 하면에 힌지돌부(311a)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힌지돌부(311a)가 힌지홈부(117)에 삽입된다. 또한 노즐브래킷(311)은 분사방향 조절부재(320)가 상단부 일측에서 연결판(311b)이 연장 형성되고, 연결판(311b)에 분사방향 조절부재(3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가이드장홀(311c)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장홀(311c)은 분사방향 조절부재(320)가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곡률지게 형성된다.
분사노즐(313)은, 노즐브래킷(311)에 고정되며, 후방에 워터펌프(330)가 연결되고, 측면에 에어펌프(340)가 연결된다.
워터펌프(330)는 유체탱크(200)와 연결되며, 살균액을 이송하는 공급라인이 분사노즐(313)의 후면에 연결되어 살균액을 분사노즐(313)로 이송한다.
에어펌프(340)는, 본체(100)에 구비되며, 공기 공급라인이 분사노즐(313)의 측면에 연결되어 분사노즐(313)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분사방향 조절부재(320)는 노즐브래킷(311)에 연결되도록 노즐 지지부재(110)의 가이드레일(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노즐브래킷(311)의 가이드장홀(311c)에 연결되어 2개의 노즐부재(310)를 동시에 회전시켜 노즐부재(310)의 살균액 분사방향을 조절한다. 이러한, 분사방향 조절부재(3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이드레일(111)에서 슬라이딩되면서 2개의 분사노즐(313) 토출구를 상호 이격 또는 근접시켜 분사노즐(313)의 분사영역을 넓게 또는 좁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분사방향 조절부재(320)는 가이드레일(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조절노브(321)와, 분사노즐(313)을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23)을 포함한다. 이때, 노즐브래킷(311)의 연결판(311b)에는 스프링(323)이 고정되는 고정핀(311d)이 일체로 형성된다.
방향조절노브(321)는 가이드레일(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립홈부(321a)가 중앙부 하측에 형성되고, 양측 상면에 가이드장홀(311c)로 삽입되는 노즐 작동핀(321b)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방향조절노브(3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이드레일(111)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 노즐 작동핀(321b)이 가이드장홀(311c)을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노즐부재(310)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스프링(323)은 양단이 고정핀(311d)에 고정되며, 방향조절노브(321)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는 노즐부재(310)를 탄성 지지한다. 이로 인하여 방향조절노브(321)가 급격하고 빠르게 작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노즐부재(310)를 안정되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입자확산 비산부(400)는, 본체(100)에 구비되어 분사노즐(313)에서 토출되는 살균입자를 보다 멀리 확산 및 비산시킨다. 이를 통해 휴대용 소독장치의 살균 및 소독 범위가 더욱 넓어지게 된다.
이러한, 입자확산 비산부(400)는 분사노즐(313)에서 분사되는 살균입자를 보다 멀리 확산 및 비산하여 방역영역을 더욱 넓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입자확산 비산부(400)는 분사노즐(313) 사이 및 양측에서 확산 및 비산을 위한 바람을 송풍한다. 이때, 입자확산 비산부(400)의 사용전력이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입자확산 비산부(400)는 본체(100)에 구비되는 송풍팬(410)과, 노즐부재(310) 사이로 배치되도록 송풍팬(410)과 연결되는 메인송풍관(420)과, 메인송풍관(420)에서 분기되어 노즐부재(310)의 양측면에 위치되는 분기송풍관(4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자확산 비산부(400)는 메인송풍관(420)의 크기가 분기송풍관(4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메인송풍관(4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배출구 부위가 노즐부재(310)에 지지된다.
분기송풍관(430)은 메인송풍관(420)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노즐부재(310)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분기송풍관(430)은 토출되는 풍속의 저하가 방지되도록 메인송풍관(420)에서 토출구로 갈수록 넓이가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회전하는 노즐부재(310)의 접촉함에 따라 송풍 방향이 조절되도록 탄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분기송풍관(430)은 끝단부에 탄성을 가지는 탄성 변형관(431)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장치는, 워터펌프(330)와 에어펌프(340)를 작동하면서 유체탱크(200)에 수용되어 있던 살균액이 분사노즐(313)을 통해 미립자 형태로 분사된다. 이때, 휴대용 소독장치의 구동전력은 배터리(120)에서 공급된다.
그리고, 소독 및 방역을 위한 지형과 넓이 등에 따라 작업자가 방향조절노브(321)를 조작하면, 방향조절노브(321)가 노즐 지지부재(110)의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직선으로 슬랑이딩 이동된다. 이때, 노즐브래킷(311)의 가이드장홀(311c)에 삽입된 방향조절노브(321)의 노즐 작동핀(321b)이 함께 이동되면서 노즐브래킷(311)을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힌지돌부(311a)에 의해 노즐 지지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노즐브래킷(311)이 방향조절노브(321)의 움직임에 따라 마주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살균액의 분사 넓이가 조절된다.
또한, 분사노즐(313)에서 살균액이 분사되는 동안 송풍팬(410)이 작동하게 되면 메인송풍관(420) 및 분기송풍관(430)을 통해 바람이 송풍되면서 살균액을 보다 벌리 확산시키게 된다. 즉, 살균액의 살균 및 소독 영역을 더욱 넓은 영역에 걸쳐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소독장치 110 : 노즐 지지부재
111 : 가이드레일 113 : 제1지지 브래킷
115 : 제2지지 브래킷 117 : 힌지홈부
120 : 배터리 200 : 유체탱크
300 : 유체 분사부 310 : 노즐부재
311 : 노즐브래킷 311a : 힌지돌부
311b : 연결판 311c : 가이드장홀
311d : 고정핀 313 : 분사노즐
320 : 분사방향 조절부재 321 : 방향조절노브
321a : 조립홈부 321b : 노즐 작동핀
323 : 스프링 330 : 워터펌프
340 : 에어펌프 400 : 입자확산 비산부
410 : 송풍팬 420 : 메인송풍관
430 : 분기송풍관 431 : 탄성변형관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탱크; 상기 유체탱크의 유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유체의 분사방향과 분사범위가 조절되는 유체 분사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입자를 확산 및 비산시키는 입자확산 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노즐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체 분사부는, 상기 노즐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노즐부재; 및
    상기 노즐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노즐 지지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노즐부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분사방향 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노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입자확산 비산부는, 상기 노즐부재의 양측에서 바람을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독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재와 상기 유체탱크를 연결하며, 상기 노즐부재를 통해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펌프;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노즐부재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힌지돌부를 통해 상기 노즐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장홀을 구비하는 노즐브래킷; 및
    상기 노즐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유체탱크와 연결되는 분사노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재는, 상기 노즐 지지부재의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을 통해 복수의 상기 노즐부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방향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방향조절노브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방향조절노브는, 상기 가이드장홀에 삽입되는 노즐 작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재는, 복수의 상기 노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독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확산 비산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노즐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는 메인송풍관; 및
    상기 메인송풍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노즐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분기송풍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송풍관은, 상기 메인송풍관에서 토출구로 갈수록 넓이가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상기 유체 분사부의 접촉함에 따라 토출 방향이 조절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독장치.
KR1020200136817A 2020-10-21 2020-10-21 휴대용 소독장치 KR10219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17A KR102199592B1 (ko) 2020-10-21 2020-10-21 휴대용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17A KR102199592B1 (ko) 2020-10-21 2020-10-21 휴대용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592B1 true KR102199592B1 (ko) 2021-01-13

Family

ID=7414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817A KR102199592B1 (ko) 2020-10-21 2020-10-21 휴대용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5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15B1 (ko) * 2012-03-12 2012-06-08 유한회사 삼신기업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524474B1 (ko) * 2014-09-26 2015-06-02 주식회사 두레마을 가정용 신발 내부 세척 및 살균장치
KR20150142858A (ko) * 2014-06-12 2015-12-23 (주)캠스텍 각도조절이 가능한 약액 분무장치
KR20160123761A (ko) *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15B1 (ko) * 2012-03-12 2012-06-08 유한회사 삼신기업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20150142858A (ko) * 2014-06-12 2015-12-23 (주)캠스텍 각도조절이 가능한 약액 분무장치
KR101524474B1 (ko) * 2014-09-26 2015-06-02 주식회사 두레마을 가정용 신발 내부 세척 및 살균장치
KR20160123761A (ko) *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6426B (zh) 防疫消毒喷雾装置
KR102199592B1 (ko) 휴대용 소독장치
KR20190072041A (ko) 플라즈마 제트 분사 구조를 가지는 소독장치
KR101924620B1 (ko) 에어 블로어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CN105662579A (zh) 一种新型激光治疗手柄
KR101834661B1 (ko) 송풍덕트 내부에 분사노즐을 설치한 약액분무용 분무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분무장치
KR101421500B1 (ko) 회전형 분사파이프
ATE432719T1 (de) Desinfektionsvorrichtung mit sprühmitteln
DE602006002005D1 (de) Düse für chirurgisches Spülhandstück
KR101489277B1 (ko) 소방차용 제독 장치
KR102344333B1 (ko)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KR20160094208A (ko) 이동식 스팀 방역기
JP2000197689A (ja) 次亜塩素酸含有水溶液による室内殺菌・脱臭方法及び装置
GB2600913A8 (en) Self-cleaning domestic appliance
KR101710112B1 (ko)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100927792B1 (ko) 약제 분무장치
CN215019669U (zh) 动物防疫消毒设备
KR20030095119A (ko) 방역 약제 살포장치
CN112439568B (zh) 一种全方位重症护理科室院感防控用杀毒喷雾装置
CN114543250A (zh) 一种消杀机器人
CN213051144U (zh) 一种烟雾消毒设备
KR101319923B1 (ko) 소독장치
JPH11514247A (ja) 流体物を使う燻蒸装置
KR101870811B1 (ko) 자기장을 이용한 ihpa 제어 장치
KR20220099029A (ko) 분사노즐 및 이를 활용한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