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940B1 -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940B1
KR102198940B1 KR1020180169228A KR20180169228A KR102198940B1 KR 102198940 B1 KR102198940 B1 KR 102198940B1 KR 1020180169228 A KR1020180169228 A KR 1020180169228A KR 20180169228 A KR20180169228 A KR 20180169228A KR 102198940 B1 KR102198940 B1 KR 10219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mobile terminal
power
bio
signal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745A (ko
Inventor
신재혁
Original Assignee
(주)커넥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커넥슨 filed Critical (주)커넥슨
Priority to KR102018016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9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생체신호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측정결과치들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 및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 및 모바일 단말을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금속연료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Portable Integrated Medical Examination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체온계, 혈압계, 청진기, 내시경, 심전도, 산소포화도 측정기, 혈당측정기, 폐활량측정기, 초음파 진단기 등의 의료센서를 무선화한 복수개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포함된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료검진 장치 및 의료 검진센서는 유선으로 구성되어 사용이 번거롭고 휴대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여러 종류의 검진센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 구동되어 측정값을 표시할 수 있는 별도의 표시장치를 각각 구비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들 장치에서 측정한 값들은 사람이 손으로 컴퓨터에 입력하거나 차트에 기록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에 따라 휴먼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현재 모바일기기에서 사용가능한 헬스케어 장치들이 존재 하지만, 의료검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 또한, 헬스케어 장치들은 시스템도 각각이어서 개별적인 프로그램으로 별도로 구동해야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병원 밖에서도 많은 분야에서 적절한 의료검진장치가 필요하지만, 현재는 병원 밖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의료검진장치는 매우 제한적이며, 고가의 장비이고, 검진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종류를 갖추고 있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메르스 등의 전염성 질병 발생시 다수의 환자를 격리조치 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를 대비한 간편하게 휴대 할 수 있는 진단장치 필요하다. 또한, 장거리를 운행하는 비행기, 선박, 철도 등의 운송 수단에서도 응급환자 발생시 조치 할 수 있는 의료진단 장비가 필요하다.
또한, 휴대할 진단기기가 존재한다고 해도, 병원 밖에서 의료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전원의 공급이 문제가 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15344호. 2004.02.1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은 복수의 생체신호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 및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측정결과치들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 및 모바일 단말을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금속연료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은 금속연료전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은 피검진자의 영상을 촬영하며, 모바일 단말에 탈착가능한 촬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와 동기화된 화면을 공유하며,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정보는 모바일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모바일 단말은, 각각 음성입출력부를 포함하여, 무선으로 상호간에 음성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연료전지는 전력송신부를 포함하고, 전력송신부는 직류전원을 전파로 변환하여 전송 안테나를 통해 상기 변환된 전파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 중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의 동작시,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은 상기 금속연료전지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은 무선 혈압계, 무선 맥박계, 무선 체온계, 내시경 등의 의료용 검진 센서를 무선화 하여 모바일 단말로 통합 운용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 모듈과 카메라 음성 입출력 장치 등을 구비한 소형 모바일 플랫폼으로 개발함으로써, 원격의료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메르스와 같은 전염병의 발생으로 인한 자가 격리자가 발생 한 경우에도 지금까지는 특별히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의료장치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은 다수의 의료 검진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 구현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해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비용이 낮아져, 휴대용 검진 장치의 보급화가 가능할 수 있다. 휴대용 검진 장치가 보급화 됨에 따라, 환자의 지속적인 관찰이 용이하고, 특히 자가 격리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도 검진 장치를 개별적으로 보급하여 원격검진을 통해 지속적으로 건강 상태를 검진할 수 있다. 또한, 보급화된 장치를 통해 의료진과 상담을 할 수 있게 되어,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고립감 및 단절감을 느끼는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 자신이 느끼지 못하는 신체의 변화도 의료진이 먼저 확인하여 신속한 의료조치를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시스템을 퇴원환자의 퇴원 후 경과 관찰용으로 사용한다면, 조기 퇴원을 결정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병상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장시간 사회와 격리되어 운항해야하는 선박 및 항공기와 지역적으로 고립되어 있거나 의료시설이 미비한 격오지 마을, 보건소, 군의 말단 부대 의무대, 학교 의무실 그리고 119등의 긴급 의료 서비스의 긴급 진단기기, 의료봉사 활동의 휴대용 진단기기, 병원의 회진용 기기, 교육용의료기기, 실버타운 요양 보호 시설의 1차 검진기기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 내용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려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의 구성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의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의 실사용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 측정결과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연료전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의 구성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장치(100)는 복수의 생체신호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 및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측정결과치들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 및 모바일 단말(130)을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금속연료전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은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신체의 특정부분에 각각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은 생체신호 측정장치들로부터 측정한 값을 무선으로 모바일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가 각각 측정한 측정값들을 통합하여 모바일 단말(시스템(20))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어 소형화, 휴대화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은 체온계, 혈압계, 청진기, 내시경, 심전도, 산소포화도 측정기, 혈당측정기, 폐활량측정기 및 초음파 진단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단말(130)은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로부터 측정된 결과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로부터 각각 수신한 측정값들을 통합하여 모바일 단말(130)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모바일 단말(130)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결과를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로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과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는 동기화된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과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가 동기화된 화면을 공유함으로써,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용이 모바일 단말(130)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모바일 단말(130)에 탈착 가능한 진단용 촬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입력장치로부터 자료를 받아서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들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
메모리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130)은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로부터 수신된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측정값 정보 및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모듈은 모바일 단말(130)과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모듈은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130)과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네트워크 모듈은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들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을 통합한 정보 및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를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금속연료전지(150)는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 및 모바일 단말(13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금속연료전지(150)는 상전원이 없이도 자체적으로 충전이 가능한 금속연료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금속연료전지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장치(100)는 금속연료전지(150)에 연결되어, 금속연료전지(15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 및 모바일 단말(130)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전력송신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송신부(155)는 도6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20)의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20)의 실사용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20) 측정결과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20)은 복수의 생체신호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 및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측정결과치들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 및 모바일 단말(130)을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금속연료전지(1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30)에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단말(130)의 디스플레이와 동기화된 화면을 공유하며,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에 입력되는 정보는 모바일 단말(130)에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 및 모바일 단말(130)은 각각 음성입출력부를 포함하여, 무선으로 상호간에 음성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단말(130)로부터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가 측정한 측정값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는 상기 수신한 측정값 정보에 대응하여 입력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30)로 송신할 수 있다.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단말(130)은 상호간에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동기화된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과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가 동기화된 화면을 공유함으로써,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용이 모바일 단말(130)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단말(130)의 디스플레이와 동기화된 화면을 공유하며,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에 입력되는 정보는 모바일 단말(130)에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정보전달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은 원격 칠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 및 모바일 단말(130)은 각각 음성입출력부를 포함하여, 무선으로 상호간에 음성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 및 모바일 단말(130)은 각각 음성입출력부를 포함하여, 무선으로 상호간에 음성을 전송 및 수신함으로써,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단말(130) 상호간에 실시간으로 음성채팅 및 원격화상채팅을 할 수 있다.
도 3의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20)의 실사용 예시도를 참조하면,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은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신체의 특정부분에 각각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상기 측정한 측정값 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상기 통합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를 이용하여 내시경 촬영 및 맥박 측정기의 사용을 보여준다. 모바일 단말(130)은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의 측정결과를 모바일 단말(13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30)과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는 도 3에서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로부터 측정한 측정값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는 상기 공유한 검진 결과에 대응하여 입력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30)로 송신할 수 있다.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단말(130)은 측정값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있다.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단말(130)이 동기화된 화면을 공유함으로써,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지시하는 내용이 모바일 단말(130)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200) 및 모바일 단말(130)은 각각 음성입출력부를 포함하여, 무선으로 상호간에 음성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연료전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속연료전지(150)는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 및 모바일 단말(13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금속연료전지(150)는 상전원이 없이도 자체적으로 충전이 가능한 금속연료전지일 수 있다. 또한, 금속연료전지(150)는 전력송신부(155)를 포함할 수 있고, 전력송신부(155)는 직류전원(DC)을 전파로 변환하여 전송 안테나를 통해 변환된 전파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송신부(155)는 중거리 이상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RF(radio frequency) 전력송신부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 중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의 동작시,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은 금속연료전지(15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처럼 실시간으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사용중 배터리가 방전 됐을 경우에도 측정을 중단할 필요없이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금속연료전지(150)는 금속 연료, 공기양극판, 전원변환 장치, 소금, 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연료전지(150)는 휴대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소금과 물이 제거된 가벼운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금속연료전지(150)는 사용시 소금과 물을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전력을 발생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장치(100)는 금속연료전지(150)에 연결되어 있으며, 금속연료전지(150)의 전력을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110) 및 모바일 단말(130)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전력송신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전력송신부(155)는 850MHz 내지 950MHz의 전파 발생장치와 전송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부(155)는 금속연료전지에 연결하여 전송할 전원을 공급받아 전송 안테나를 통해 무선전력수신부(115)의 안테나로 전송한다. 무선전력수신부(115)는 무선전력송신부(155)의 전송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력 전송용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수신부(115)는 무선전력송신부(155)의 전송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전파를 동기화할 수 있다. 무선전력수신부(115)는 수신된 전파를 동기화한 후, DC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무선전력수신부(115)는 변환된 DC 전원을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의 충전 전원 입력단에 제공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부(155)는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충전을 함으로써 배터리 방전에 의한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의 측정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송신부(155)는 중거리 이상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RF(radio frequency) 전력송신부일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부(155)는 기존의 핸드폰 등을 충전하는 근거리의 전력전송이 아니며, 예컨대 5m 이상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는 충전 모듈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장치(155)로부터 전송받은 전력은 배터리를 충전하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는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은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의 경우, 무선전력송신부(155)로부터 직접 전력을 전송받아, DC변환하여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에 배터리를 제외함으로써, 더 가볍고 소형화된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의 경우,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는 무선전력송신부(155)로부터 직접 전력을 전송받아 이를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따라서,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110)는 측정 중에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장치
110: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
115: 무선전력수신부
130: 모바일 단말
150: 금속연료전지
155: 무선전력전송부
200: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

Claims (10)

  1. 복수의 생체신호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
    상기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측정결과치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
    상기 복수의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을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금속연료전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은 피검진자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에 탈착가능한 촬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와 동기화된 화면을 공유하며, 상기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상기 원격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은, 각각 음성입출력부를 포함하여, 무선으로 상호간에 음성을 전송 및 수신하고,
    상기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은,
    체온계, 혈압계, 청진기, 내시경, 심전도, 산소포화도 측정기, 혈당측정기, 폐활량측정기 및 초음파 진단기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연료전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금속연료전지는,
    금속연료, 공기양극판, 전원 변환 장치, 소금, 물로 구성되며, 중거리 이상 전력을 전송하는 RF(radio frequency) 전력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RF(radio frequency) 전력송신부는,
    850MHz 내지 950MHz의 전파 발생장치와 전송 안테나를 포함하고, 직류전원을 전파로 변환하여 전송 안테나를 통해 상기 변환된 전파를 전송하고,
    상기 전력수신부는,
    상기 RF(radio frequency) 전력 송신부의 상기 전송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전파를 동기화하며, 상기 수신된 전파를 동기화한 후, DC 전원으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DC 전원을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충전 전원 입력단에 제공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 중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의 동작시, 상기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생체신호 측정장치들은 상기 금속연료전지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69228A 2018-12-26 2018-12-26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 KR102198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228A KR102198940B1 (ko) 2018-12-26 2018-12-26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228A KR102198940B1 (ko) 2018-12-26 2018-12-26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745A KR20200079745A (ko) 2020-07-06
KR102198940B1 true KR102198940B1 (ko) 2021-01-05

Family

ID=7157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228A KR102198940B1 (ko) 2018-12-26 2018-12-26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9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97173C2 (ru) 2001-07-09 2007-04-20 Ново Нордиск А/С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анными между двумя портативными медицински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KR100955002B1 (ko) * 2008-10-14 2010-04-27 주식회사 솔라시아 스마트카드웹서버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227504B1 (ko) * 2013-08-07 202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745A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0343A1 (en) Portable laparoscope system
US20080146277A1 (en) Personal healthcare assistant
US20130211265A1 (en) Multifunctional medical device for telemedicine applications
CN204496498U (zh) 一种远程医疗系统
Adler A Cost-Effective Portable Telemedicine Kit for Use in Developing Countries
KR101821317B1 (ko) Uwb 펄스 레이더 기반 이동식 의료영상 전송장치
KR102198940B1 (ko) 휴대용 통합의료 검진 시스템
Strode et al. Satellite and mobile wireless transmission of focused assessment with sonography in trauma
RU123195U1 (ru) Телемедицинская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состояния человека
RU93655U1 (ru) Носимый телемедицинский диагност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т
KR102351127B1 (ko) 초음파 진단 방법 및 초음파 진단 장치
KR20160125780A (ko) 위치 기반 초음파 진단 설정 시스템 및 방법
Ogedegbe et al. Demonstration of novel, secure, real-time, portable ultrasound transmission from an austere international location
CN201755224U (zh) 无线健康跟踪仪
KR101795161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캡슐 내시경 시스템
WO2007091556A1 (ja) 中継ユニット
RU163942U1 (ru) Медицинский трансмиттер
Yadav et al. Wireless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System
KR102570064B1 (ko) 통합형 의료 검진 장치
JP6491383B1 (ja) 血流量測定システム
WO2015016248A1 (ja) 医療支援装置
RU2100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рининга патологии наружных и внутренних половых органов у женщин
CN207818204U (zh) 集成有红外扫描采集装置的智能移动终端
CN208926837U (zh) 一种基于无线互联网和卫星定位的急性心肌梗死救治地图装置
RU107465U1 (ru) Система телебиологической поддержки космических экипажей на месте приземления и этапах эваку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