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894B1 -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894B1
KR102198894B1 KR1020200078749A KR20200078749A KR102198894B1 KR 102198894 B1 KR102198894 B1 KR 102198894B1 KR 1020200078749 A KR1020200078749 A KR 1020200078749A KR 20200078749 A KR20200078749 A KR 20200078749A KR 102198894 B1 KR102198894 B1 KR 102198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essing member
rack bar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원
Original Assignee
(주)다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기술단 filed Critical (주)다산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78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내에 포설된 전기통신 케이블을 용이하게 결선하여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내부가 빈 박스 형상의 함체, 및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자대를 포함하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를 함께 수용하는 단자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단자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인입구와 제2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2 인입구,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이 양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제1 인입구와 상기 제2 인입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부, 상기 접속단자부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인입구로 삽입된 상기 제1 케이블을 상기 접속단자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1 가압부재, 상기 접속단자부의 타측으로 상기 제2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인입구로 삽입된 상기 제2 케이블을 상기 접속단자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2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하여 상기 접속단자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단자부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2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여 벗겨내는 외피제거커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Cable connection box for telecommunication lines for easy wiring in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내에 포설된 전기통신 케이블을 용이하게 결선하여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통신 선로가 포설되며, 전기통신 선로는 전기통신 선로끼리 연결하거나, 건축물의 복수의 위치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함이 설치된다.
케이블 접속함은 벽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벽체의 내부를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통신케이블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대가 내부에 설치되는데, 단자대에는 복수 개의 통신케이블이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03050호(2018.11.22.공고)의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이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부도체인 긴 직육면체로, 전방측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의 사각통전요부가 형성되고, 후방측 상단부에는 사각통전요부 상측에서 내측으로 요부형성되고 상단면에는 유입측통신선로가 통전되게 고정결합되는 고정슬라이딩단자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단통전안내장홈을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의 후방측 슬라이딩통전홈이 형성되며, 전방측 하단부에는 사각통전요부 하측에서 내측으로 요부형성되고 하단면에는 유출측통신선로가 통전되게 고정결합되는 고정슬라이딩단자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하단통전안내장홈을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의 전방측 슬라이딩통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 슬라이딩통전홈 내측단 선단부에는 상기 사각통전요부로 관통되는 상단통전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방측 슬라이딩통전홈 내측단 선단부에는 상기 사각통전요부로 관통되는 하단통전공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단 후방하부에는 측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하부와 후방측으로 각각 고정공을 갖는 고정나사고정켓이 각각 형성되는 케이블접속함본체; 측단면이 "S" 형상인 도체의 탄성프링판으로 상기 케이블접속함본체의 사각통전요부 내부로 삽입되어 전방측 상단부는 상단통전공을 통해 후방측 슬라이딩통전홈으로 돌출되고 후방측 하단부는 하단통전공을 통해 전방측 슬라이딩통전홈으로 돌출되어 후방측 슬라이딩통전홈과 전방측 슬라이딩통전홈의 통전을 이루는 상하통전스프링; 및 상기 케이블접속함본체의 사각통전요부에 삽입되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사각통전요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재질의 밀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적은 부속품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전기통신선로를 접속함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케이블을 접속시 외피를 벗겨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케이블을 연결할 때, 절연고정캡을 각 케이블마다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외부에서 쉽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을 접속단자부에 접속시 외피제거커터에 의해 외피가 제거되며 접속되기 때문에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의 외피를 벗겨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가압부재 또는 제2 가압부재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더라도 제1 랙바부와 제2 랙바부 및 연동기어에 의해 둘 모두가 연동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접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동해제버튼이 설치되어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연동을 해제하여 어느 하나만 접속단자부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작동제한부재에 의해 제1 가압부재와 제2 가압부재가 작동하여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표시부에서 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표시하여 케이블의 접속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내부가 빈 박스 형상의 함체, 및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자대를 포함하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를 함께 수용하는 단자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단자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인입구와 제2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2 인입구,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이 양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제1 인입구와 상기 제2 인입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부, 상기 접속단자부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인입구로 삽입된 상기 제1 케이블을 상기 접속단자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1 가압부재, 상기 접속단자부의 타측으로 상기 제2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인입구로 삽입된 상기 제2 케이블을 상기 접속단자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2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하여 상기 접속단자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단자부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2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여 벗겨내는 외피제거커터를 포함한다.
상기 외피제거커터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이 삽입되어 지나면서 상기 외피의 둘레를 절단하는 외피절단홈부,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심선과 대응되는 폭을 가져 상기 외피절단홈부에서 절단된 외피가 하부에 걸쳐져 가이드되며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단부로 밀려나 제거되도록 상기 접속단자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의 끝단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외피제거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제1 가압부재에서 상기 접속단자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기어가 형성된 제1 랙바부, 상기 제1 랙바부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가압부재에서 상기 접속단자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랙바부의 랙기어와 마주하는 랙기어가 형성되는 제2 랙바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더라도 상호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제1 랙바부의 랙기어와 상기 제2 랙바부의 랙기의 사이에 맞물리는 연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연동을 해제하도록 상기 연동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연동기어를 상기 제1 랙바부와 상기 제2 랙바부의 하부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연동해제버튼, 및 상기 연동해제버튼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가 연동하도록 상기 제1 랙바부와 상기 제2 랙바부의 하부로 이동된 연동기어를 상향 이동시키는 기어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하우징의 내부에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외피를 벗겨내는 외피제거커터가 설치되어 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외피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재와 제2 가압부재가 제1 랙바부, 제2 랙바부 및 연동기어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접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동해제버튼이 설치되어 제1 랙바부 및 제2 랙바부에서 연동기어를 이탈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제1 가압부재와 제2 가압부재의 연동을 해제하여 어느 하나의 케이블만 접속단자부에 접속 및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가압부재와 제2 가압부재의 작동을 제한하는 작동제한부재가 설치되어 제1 가압부재와 제2 가압부재의 작동으로 인한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부의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형태로 접속단자부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접속상태를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구성하는 단자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구성하는 단자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구성하는 단자대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이 접속단자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구성하는 단자대의 외피절단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구성하는 단자대의 제1 랙바부와 제2 랙바부를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함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함체(110)는 전기통신 선로가 인입 또는 인출되며 전기통신 선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대(12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연결되는 전기통신 선로는 서로 연결되는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로 설명하며,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 중 어느 하나가 인입선이라면 다른 하나는 인출선일 수 있다.
한편, 함체(110)는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함체(110)에는 함체(110)의 내부를 개폐하는 함체도어(11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함체(110)는 함체도어(115)가 설치된 면만 벽체에서 노출되도록 벽체에 매립될 수 있으며,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은 벽체에 매립되어 함체(110) 내에 각 끝단이 합체 내에 위치하여 단자대(12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은 단자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대(120)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단자대(120)는 단자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자하우징(13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을 1:1로 연결하는 단자결합부(140)가 복수 개가 수용될 수 있다.
각 단자결합부(140)가 위치되는 단자하우징(130)의 각 부분에는 제1 케이블(210)이 인입되는 제1 인입구(131)와 제2 케이블(220)이 인입되는 제2 인입구(132)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인입구(131)와 제2 인입구(132)는 단자하우징(130)에 대해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단자하우징(1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하우징(130)에서 제1 인입구(131)와 인접하게 직교되는 측면에는 제1 관통공(133)이 형성되며, 제2 인입구(132)와 인접하게 직교되는 측면에는 제2 관통공(134)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관통공(133)과 제2 관통공(134)은 단자하우징(130)의 중앙을 중심으로 단자하우징(13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제1 인입구(131)는 단자하우징(130)의 전면에서 제1 관통공(133)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되며 제2 인입구(132)는 단자하우징(130)의 전면에서 제2 관통공(134)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단자결합부(140)는 접속단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부(160)는 제1 인입구(131)와 제2 인입구(13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인입구(131)를 통해 단자하우징(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인입구(132)를 통해 단자하우징(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케이블(2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속단자부(160)는 관통된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단자부(160)의 관통된 일측으로는 하기에 설명할 제1 가압부재(141)의 끝단이 삽입되고, 접속단자부(160)의 관통된 타측으로는 하기에 설명할 제2 가압부재(145)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접속단자부(160)의 내측 하부에는 제1 가압부재(141)에 의해 삽입되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가압부재(145)에 의해 삽입되는 제2 케이블(2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16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접속단자(161)는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161)는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의 삽입시 탄성력에 의해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에 밀착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굴곡접속부가 접속단자부(160)의 관통된 양측에 위치되어 접속단자부(16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에 밀착되어 접속될 수 있다.
단자결합부(140)는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141)는 제1 관통공(133)에 끝단이 삽입되어 제1 인입구(131)를 통해 삽입되는 제1 케이블(210)의 측면을 가압하여 단자하우징(130)의 중앙에 위치되는 접속단자부(160)를 향해 제1 케이블(210)을 강제적으로 이동시켜 접속단자부(160)에 삽입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141)는 일단은 제1 관통공(133)을 통해 단자하우징(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작업자가 제1 가압부재(141)를 가압할 수 있도록 단자하우징(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가압부재(141)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에는 제1 가압부재(141)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제1 가압부재(141)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갖는 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자하우징(13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 가압부재(141)의 일단에는 제1 인입구(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케이블(210)이 삽입되는 제1 삽입공(142)이 관통 형성되어 제1 인입구(131)로 삽입되는 제1 케이블(210)이 제1 삽입공(142)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1 가압부재(141)에 제1 케이블(210)이 끼워질 수 있다.
제2 가압부재(145)는 단자하우징(130)의 중앙을 중심으로 제1 가압부재(141)와 대칭적으로 단자하우징(1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가압부재(145)는 제2 관통공(134)에 끝단이 삽입되어 제2 인입구(132)를 통해 삽입되는 제2 케이블(220)의 측면을 가압하여 단자하우징(130)의 중앙에 위치되는 접속단자부(160)를 향해 제2 케이블(220)을 강제적으로 이동시켜 접속단자부(160)에 삽입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145)는 일단은 제2 관통공(134)을 통해 단자하우징(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작업자가 제2 가압부재(145)를 가압할 수 있도록 단자하우징(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가압부재(145)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에는 제2 가압부재(145)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제2 가압부재(145)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갖는 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자하우징(13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 가압부재(145)의 일단에는 제2 인입구(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케이블(220)이 삽입되는 제2 삽입공(146)이 관통 형성되어 제2 인입구(132)로 삽입되는 제2 케이블(220)이 제2 삽입공(146)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2 가압부재(145)에 제2 케이블(220)이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단자하우징(130)에서 제1 인입구(131)와 제2 인입구(132)에 각각 대응되는 내측 후방에는 제1 삽입공(142)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1 케이블(210)의 제1 인입구(131)로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 및 지지하며, 제2 삽입공(146)을 통해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2 케이블(220)의 제2 인입구(132)로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 및 지지하도록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의 끝단이 각각 끼워져 지지되는 케이블지지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결합부(140)는 외피제거커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피제거커터(170)는 접속단자부(160)를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제1 가압부재(141)의해 접속단자부(160)의 일측으로 진입하는 제1 케이블(210)의 외피 및 제2 가압부에 의해 접속단자부(160)의 타측으로 진입하는 제2 케이블(220)의 외피를 제거하여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외피제거커터(170)는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접속단자부(160)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이 걸려 외피를 절단 및 절단된 외피를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에서 벗겨낼 수 있다.
외피제거커터(170)는 외피절단홈부(171)와 외피제거홈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절단홈부(171)는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의 외피의 둘레를 절단할 수 있으며, 외피절단홈부(171)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삽입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홈의 마주하는 양측단이 날카로운 칼날을 가져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제1 가압부재(141) 또는 제2 가압부재(145)에 의해 접속단자(161)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하며 칼날에 의해 외피의 둘레가 절단될 수 있다.
외피절단홈부(171)는 접속단자부(160)의 외측에서 접속단자부(16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이 접속단자부(16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져 외피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삽입되는 외피절단홈부(171)의 사이 간격은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직경보다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외피절단홈부(171)에서 접속단자부(160)를 향해 위치되는 끝단의 폭은 심선의 직경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접속단자부(160)의 외측에서 접속단자부(160)를 향해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외피제거홈부(173)는 외피절단홈부(171)에서 절단된 외피를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에서 제거하여 심선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외피절단홈부(171)에서 접속단자부(16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외피제거홈부(173)는 외피절단홈부(171)에서 좁아진 폭을 유지할 수 있다.
외피제거홈부(173)는 외피제거홈부(173)에서 절단된 외피가 하부에 걸쳐져 이동하면서 외피를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의 끝단으로 밀어내는 형태로 제거할 수 있으며, 외피제거홈부(173)는 접속단자부(16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의 끝단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의 외피가 외피제거홈부(173)에서 절단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접속단자(161)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외피제거홈부(173)에는 심선만 지나기 때문에 절단된 외피는 외피제거홈부(173)의 하부에 걸쳐지고, 외피제거홈부(173)는 접속단자부(160)로 갈수록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의 끝단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기 때문에 외피제거홈부(173)의 하부에 걸쳐진 외피가 접속단자부(160)로 갈수록 점점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에서 제거되어 심선만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외피가 제거된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은 접속단자부(160)로 삽입되면서 심선이 접속단자(161)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결합부(140)는 제1 랙바부(147), 제2 랙바부(148) 및 연동기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랙바부(147)는 제1 가압부재(14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랙바부(147)는 제1 가압부재(141)에서 이격되어 제1 가압부재(141)와 나란한 상태로 단자하우징(130)의 중간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2 랙바부(148)는 제2 가압부재(145)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랙바부(148)는 제1 가압부재(141)에서 이격되어 제2 가압부재(145)와 나란한 상태로 단자하우징(130)의 중간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는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1 랩바부와 제2 랙바부(148)는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에는 랙기어가 서로 마주하도록 제1 랙바부(147) 및 제2 랙바부(14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연동기어(150)는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연동기어(150)는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랙기어에 맞물려 제1 가압부재(141) 또는 제2 가압부재(145) 중 어느 하나만 이동하더라도 함께 동일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압부재(141)가 접속단자부(160)로 삽입하도록 가압하면, 제1 랙바부(147)도 제1 가압부재(141)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랙바부(147)가 이동하면 연동기어(150)가 회전하면서, 제2 가압부재(145)의 제2 랙바부(148)도 접속단자부(16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제1 가압부재(141)와 동일하게 가압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가압부재(141)가 접속단자부(160)로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단자부(160)를 이탈시키도록 제1 가압부재(141)를 외측으로 당기면, 제1 랙바부(147)도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동기어(150)가 회전하고, 연동기어(150)는 제2 랙바부(148)를 제1 가압부재(141)와 같이 접속단자부(16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가압부재(145)를 접속단자부(160)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결합부(140)는 연동해제버튼(155) 및 기어복귀스프링(157)을 포함할 수 있다.
연동해제버튼(155)은 제1 가압부재(141) 또는 제2 가압부재(145)가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도록 상호 간의 연동을 해제할 수 있다.
연동해제버튼(155)은 연동기어(150)에 연결되어 연동기어(150)를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에서 맞물리지 않도록 연동기어(150)를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에서 이격시키는 형태로 연동을 해제할 수 있다.
연동해제버튼(155)은 연동기어(15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단자하우징(13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연동해제버튼(155)은 가압하면 연동기어(15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어복귀스프링(157)은 연동해제버튼(155)에 의해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의 연동이 해제된 상태에서 다시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연동기어(150)를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인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연동해제버튼(155)과 단자하우징(1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연동해제버튼(155)에 가압력이 해제되면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에 연동기어(150)가 위치되도록 연동기어(150)가 이격된 상태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기어복귀스프링(157)은 압축되면 탄성력이 축적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결합부(140)는 접속표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표시부(180)는 접속단자부(160)에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표시할 수 있다.
접속표시부(180)는 접속단자(161)에 미세 전류를 흘려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형태로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으며, 접속표시부(180)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접속단자(16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 접속되었음을 점등하여 외부에 접속여부를 알리기 위한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램프는 단자하우징(130)에서 제1 인입구(131)와 제2 인입구(132)의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에서도 램프의 점등여부를 파악하는 형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작동제한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작동제한부재(190)는 단자하우징(130)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1 가압부재(141) 도는 제2 가압부재(145)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작동제한부재(190)는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접속단자부(1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접속단자부(160)에서 이탈되어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전기적으로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가압부재(141) 및 제2 가압부재(145)의 외측에 밀착된 상태로 함체(110)에 끼워질 수 있다.
작동제한부재(190)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140)의 제1 가압부재(141) 및 제2 가압부재(145)를 함께 지지하여 작동을 방지하도록 단자하우징(1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한 쌍이 제1 가압부재(141)의 외측과 제2 가압부재(145)의 외측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함체(110)에는 작동제한부재(190)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작동제한부재(190)에는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작동제한부재(190)가 함체(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벽체에 함체도어(11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체(110)가 매립되어 설치되며, 함체(110)의 내부로는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이 인입된다.
함체(110)의 내부에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연결되는 단자대(120)가 설치되며, 단자대(120)는 단자하우징(13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을 1:1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140)가 설치된다.
단자결합부(140)는 단자하우징(130)의 전방에 제1 인입구(131)와 제2 인입구(132)가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제1 인입구(131)와 대응되는 단자하우징(130)의 측면에는 제1 관통공(133)이 형성되고, 제2 인입구(132)와 대응되는 단자하우징(130)의 측면에는 제2 관통공(134)이 형성된다.
단자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제1 인입구(131)와 제2 인입구(132)의 사이에는 접속단자부(160)가 위치되며, 접속단자부(160)는 양측이 관통된 형태로 접속단자부(160)의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161)가 설치된다.
그리고, 접속단자부(160)의 양측에는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에서 외피를 절단하여 벗겨내기 위한 외피제거커터(170)가 접속단자부(160)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된다.
외피제거커터(170)는 외피절단홈부(171)와 외피제거홈부(173)가 연속되도록 형성되며, 외피절단홈부(171)에는 칼날이 형성되어 외피의 둘레를 절단하며, 외피제거홈부(173)는 접속단자(161)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의 끝단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단자하우징(130)의 제1 관통공(133)에는 제1 가압부재(141)가 접속단자부(16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관통공(134)에는 제2 가압부재(145)가 접속단자부(16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의 각 누름부(143,149)는 단자하우징(130)의 외측에 위치되며, 초기 상태에서는 제1 가압부재(141)의 제1 삽입공(142)이 제1 인입구(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고, 제2 가압부재(145)의 제2 삽입공(146)이 제2 인입구(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141)에는 제1 가압부재(141)에서 이격되어 제1 가압부재(141)와 나란하게 제1 랙바부(147)가 결합되며, 제2 가압부재(145)에는 제2 가압부재(145)에서 이격되어 제2 가압부재(145)와 나란하게 제2 랙바부(148)가 결합된다.
이때,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는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어긋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에는 연동기어(150)가 설치되어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가 함께 연동기어(150)에 맞물리며, 연동기어(150)는 단자하우징(130)의 전면 외부에 위치하는 연동해제버튼(155)과 연결되어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에서 이탈되거나,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며, 연동해제버튼(155)과 단자하우징(130)의 사이에는 기어복귀스프링(157)이 설치되어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에서 연동기어(150)가 이탈된 상태에서 연동해제버튼(155)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연동해제버튼(155)을 상부로 밀어올려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에 연동기어(150)가 맞물리도록 연동기어(15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접속단자부(160)에는 미세 전류값을 감지하는 접속표시부(180)가 설치되며, 접속표시부(180)는 미세 전류값의 변화에 따라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접속여부를 외부에 표시하는 램프가 단자하우징(130)의 외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함체(110)에는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단자하우징(13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접속단자부(160)에서 이탈되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제한부재(190)가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작동제한부재(190)는 함체(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외피를 벗기지 않은 상태로 제1 케이블(210)을 제1 인입구(131)에 삽입하고, 제2 케이블(220)을 제2 인입구(132)에 삽입한다.
이때, 제1 인입구(131)로 삽입되는 제1 케이블(210)은 제1 가압부재(141)의 제1 삽입공(142)으로 관통하여 단자하우징(130)의 후면에 위치하는 케이블지지부(135)까지 삽입되며, 제2 인입구(132)로 삽입되는 제2 케이블(220)도 제2 가압부재(145)의 제2 삽입공(146)을 관통하여 단자하우징(130)의 후면에 위치하는 케이블지지부(135)까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 중 어느 하나의 누름부(143,149)를 통해 접속단자부(160)가 위치된 방향 즉, 단자하우징(130)의 중앙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제1 랙바부(147)도 제1 가압부재(141)와 함께 이동하고, 제1 랙바부(147)에 의해 연동기어(150)가 회전하면서, 제2 랙바부(148)에 의해 제2 가압부재(145)도 접속단자부(160)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접속단자부(160)를 향해 슬랑딩 이동하면, 제1 가압부재(141)에 걸쳐진 제1 케이블(210)과 제2 가압부재(145)에 걸쳐진 제2 케이블(220)이 접속단자부(160)의 양측에 위치되는 외피제거커터(170)를 지나는 데, 외피제거커터(170)로 진입하는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은 외피절단홈부(171)에 의해 외피의 둘레가 절단되고, 외피제거홈부(173)를 지나면서, 절단된 외피가 외피제거홈부(173)의 하단에 걸려 가이드되면서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의 끝단으로 이동하여 벗겨진다.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끝단의 외피가 외피제거커터(170)에 의해 제거된 상태에서 접속단자부(160)로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진입하면,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접속단자부(160)에 걸리면서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에 겹쳐지도록 접힌 상태로 접속단자부(160)의 내부로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진입하여 접속단자부(160)에 설치된 접속단자(1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렇게 접속단자(161)에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접속표시부(180)가 변화되는 전류를 감지하고 전류의 변화가 감지되면 램프를 통해 상호 접속되었음을 외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접속단자부(160)의 내부로 삽입되면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전기적으로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가압부재(141)의 외측과 제2 가압부재(145)의 외측에 작동제한부재(190)를 함체(110)에 끼워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결선을 완료한다.
한편,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때에는 함체(110)에서 작동제한부재(190)를 분리하고, 제1 가압부재(141)를 접속단자부(160)에서 이탈되도록 단자하우징(130)의 외측으로 당기면 제1 랙바부(147)가 제1 가압부재(141)와 함께 이동하며, 연동기어(150)가 회전하고 연동기어(150)는 제2 랙바부(148)를 이동시켜 제2 가압부재(145)도 제1 가압부재(141)와 함께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작동한다.
접속단자부(160)에서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분리되어 제1 인입구(131)에 제1 삽입공(142)이 대응되는 위치와 제2 인입구(132)에 제2 삽입공(146)이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면, 작업자는 제1 인입구(131)와 제2 인입구(132)에서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을 강제적으로 제거하여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 중 어느 하나만 접속단자부(160)에서 분리 또는 어느 하나만 접속단자부(160)에 연결할 경우에는 연동해제버튼(155)을 가압하여 누르면, 연동기어(150)가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에서 하부로 이탈되고, 연동기어(150)가 이탈되면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가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어느 하나만 작동하기 때문에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 중 원하는 케이블만 접속단자부(160)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연동해제버튼(155)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연동해제버튼(155)이 기어복귀스프링(157)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의 사이에 다시 연동기어(150)가 위치하도록 연동기어(15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를 상호 연동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에 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하더라도 외피제거커터(170)에 의해 외피가 절단과 동시에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외피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재(141)에 제1 랙바부(147)와 제2 가압부재(145)에 제2 랙바부(148)가 각각 연결되고 제1 랙바부(147)와 제2 랙바부(148)는 연동기어(150)에 의해 연결되어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더라도 둘 모두가 함께 작동하여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의 결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동해제버튼(155)에 의해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의 연동을 해제하여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 중 어느 하나만 접속단자부(160)에 접속하거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접속표시부(180)가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램프를 통해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외부에 표시하여 접속상태를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함체(110)에 작동제한부재(190)가 설치되어 제1 가압부재(141)와 제2 가압부재(145)의 작동에 따른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110: 함체 115: 함체도어
120: 단자대 130: 단자하우징
131: 제1 인입구 132: 제2 인입구
133: 제1 관통공 134: 제2 관통공
135: 케이블지지부 140: 단자결합부
141: 제1 가압부재 142: 제1 삽입공
143, 149: 누름부 145: 제2 가압부재
146: 제2 삽입공 147: 제1 랙바부
148: 제2 랙바부 150: 연동기어
155: 연동해제버튼 157: 기어복귀스프링
160: 접속단자부 161: 접속단자
170: 외피제거커터 171: 외피절단홈부
173: 외피제거홈부 180: 접속표시부
190: 작동제한부재 210: 제1 케이블
220: 제2 케이블

Claims (4)

  1. 내부가 빈 박스 형상의 함체, 및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자대를 포함하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를 함께 수용하는 단자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단자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인입구와 제2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2 인입구,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이 양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제1 인입구와 상기 제2 인입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부,
    상기 접속단자부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인입구로 삽입된 상기 제1 케이블을 상기 접속단자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1 가압부재,
    상기 접속단자부의 타측으로 상기 제2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인입구로 삽입된 상기 제2 케이블을 상기 접속단자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2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하여 상기 접속단자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단자부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2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여 벗겨내는 외피제거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제거커터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이 삽입되어 지나면서 상기 외피의 둘레를 절단하는 외피절단홈부,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심선과 대응되는 폭을 가져 상기 외피절단홈부에서 절단된 외피가 하부에 걸쳐져 가이드되며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단부로 밀려나 제거되도록 상기 접속단자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의 끝단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외피제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제1 가압부재에서 상기 접속단자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기어가 형성된 제1 랙바부,
    상기 제1 랙바부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가압부재에서 상기 접속단자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랙바부의 랙기어와 마주하는 랙기어가 형성되는 제2 랙바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더라도 상호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제1 랙바부의 랙기어와 상기 제2 랙바부의 랙기의 사이에 맞물리는 연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연동을 해제하도록 상기 연동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연동기어를 상기 제1 랙바부와 상기 제2 랙바부의 하부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연동해제버튼, 및
    상기 연동해제버튼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가 연동하도록 상기 제1 랙바부와 상기 제2 랙바부의 하부로 이동된 연동기어를 상향 이동시키는 기어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20200078749A 2020-06-26 2020-06-26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2198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49A KR102198894B1 (ko) 2020-06-26 2020-06-26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49A KR102198894B1 (ko) 2020-06-26 2020-06-26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894B1 true KR102198894B1 (ko) 2021-01-05

Family

ID=7414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749A KR102198894B1 (ko) 2020-06-26 2020-06-26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8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800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원터치타입의 전선연결용 단자대
KR20100044002A (ko) * 2008-10-21 2010-04-29 케이. 에이. 이 (주)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800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원터치타입의 전선연결용 단자대
KR20100044002A (ko) * 2008-10-21 2010-04-29 케이. 에이. 이 (주)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7271C1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AU595890B2 (en) Connector block with normally open or switching contacts
EP0007757B1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EP0220884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block
TWI451646B (zh) 快速連結終端裝置
KR20120105383A (ko) 와이어-투-와이어 커넥터
US8608490B2 (en) Modular wiring system
KR100327895B1 (ko) 하니스커넥터
CN102394394B (zh) 连接器
JPH02295074A (ja) 電気通信用ケーブルのためのコネクター
CN104885318A (zh) 用于电气设备的电气盒
AU2013308337B2 (en) Power cable in-line power outlet
JP2848710B2 (ja) 電磁遮蔽された多重導線ケーブルの接続器
KR102198894B1 (ko)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N1074593C (zh) 用于电气总线结构的接线装置
CN203721910U (zh) 用于连接导线的电连接器
KR100247102B1 (ko) 유연성 있는 전도성 트랙
EP1553660A1 (en) Instant cable connector for electrical components or devices
KR102235859B1 (ko)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장치
KR100318017B1 (ko) 브레이커부착콘센트용 하니스플러그
KR20110065800A (ko) 멀티탭 콘센트
KR102256729B1 (ko) 피복 절개수단이 결합된 멀티 콘센트
CN105164858A (zh) 配备有连接杆的电气盒
KR100284568B1 (ko) 테이블탭
US20210126381A1 (en) In-line switch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