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307B1 - 건축물 기초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 기초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307B1
KR102198307B1 KR1020200006870A KR20200006870A KR102198307B1 KR 102198307 B1 KR102198307 B1 KR 102198307B1 KR 1020200006870 A KR1020200006870 A KR 1020200006870A KR 20200006870 A KR20200006870 A KR 20200006870A KR 102198307 B1 KR102198307 B1 KR 10219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rner
groove
pane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현
안진성
Original Assignee
씨엔피씨 주식회사
이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엔피씨 주식회사, 이국현 filed Critical 씨엔피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기초공사를 조립방식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지진이나 외력 등에 대한 변형력을 흡수, 완충함으로써 내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은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상면에 안착홈과 안착면이 형성된 일자형블록몸체의 일단 및 타단에 블록연결돌부 및 블록연결홈이 형성된 주기초블록; 모서리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모서리블록몸체의 상면에 안착홈과 안착면이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에 블록연결돌부 및 블록연결홈이 형성된 모서리기초블록; 저면에 상기 안착홈 및 상기 안착면과 형합되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이 형성된 주패널몸체의 일단 및 타단에 패널연결돌부 및 패널연결홈이 형성된 주벽체패널; 및 저면에 상기 안착홈 및 상기 안착면과 형합되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이 형성된 모서리패널몸체의 일단에 패널연결돌부가 돌출되고, 타단과 접한 내면에 상기 주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가 삽입되도록 모서리패널연결홈이 요입된 모서리벽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기초구조물{FOUNDATION STRUCTURE FOR BULIDING}
본 발명은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기초 구조물을 규격화된 형태로 공장에서 대량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건축물의 기초부분이 손쉽게 완료되어 시공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지진이나 외력 등에 대한 변형력을 흡수, 완충함으로써 내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규모의 건축물 시공시 기초공사로는 벽체가 세워질 부분에만 기초를 형성하는 줄기초나, 건축물의 면적과 대응하도록 기초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매트기초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줄기초는 주택의 시공시 널리 적용되는 기초로서, 지면을 일정 폭과 깊이로 굴삭한 다음, 그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콘크리트를 일정 높이까지 타설하여 양생시켜서 기초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줄기초는 지면의 굴삭을 위해서는 굴삭기와 같은 굴삭장비가 필요하고, 버림기초 타설, 철근을 재단하여 절단하고 엮어야 하는 배근작업과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작업, 거푸집 해체작업 등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숙련공이 필요함에 따라 시공비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줄기초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장시간 동안의 양생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고, 동절기의 경우에는 양생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므로 공기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복잡한 도심지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도로가 협소하고 지장물(전선 등)이 많아 레미콘 차량 진입이 힘든 조건(최소폭 : 4m 이하, 높이 : 5m 이하)의 현장이 많으므로 차량 진입을 위한 준비과정 및 민원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어서 원활한 시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줄기초는 기초 전체가 콘크리트 타설방식에 의해 단일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됨에 따라 외력의 인가시 흡수, 완충할 수 있으므로 지진 등이 발생할 경우 크랙이 발생되거나 심할 경우 건축물이 붕괴되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 국내외적으로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16년, 2017년에 경주, 포항에 지진이 발생하여 주택 및 소규모 구조물에 대해서도 지진에 대한 안전에 많은 관심이 대두되고 있는바, 건축물의 내진설계에 대한 기준도 수차례에 걸쳐서 강화가 되어가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단독주택까지 내진설계를 수행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어 지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 구조물 적용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4292호 "주택 기초용 조립식 프리캐스팅 블록" 한국등록특허 제10-1849766호 "유로폼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택의 콘크리트 줄기초 시공 방법"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8935호 "주택 기초용 프리캐스팅 블록"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축물의 기초공사를 조립방식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기초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진 등의 변형력을 흡수, 완충함으로써 내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기초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은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상면에 안착홈과 안착면이 형성된 일자형블록몸체의 일단 및 타단에 블록연결돌부 및 블록연결홈이 형성된 주기초블록; 모서리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모서리블록몸체의 상면에 안착홈과 안착면이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에 블록연결돌부 및 블록연결홈이 형성된 모서리기초블록; 저면에 상기 안착홈 및 상기 안착면과 형합되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이 형성된 주패널몸체의 일단 및 타단에 패널연결돌부 및 패널연결홈이 형성된 주벽체패널; 및 저면에 상기 안착홈 및 상기 안착면과 형합되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이 형성된 모서리패널몸체의 일단에 패널연결돌부가 돌출되고, 타단과 접한 내면에 상기 주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가 삽입되도록 모서리패널연결홈이 요입된 모서리벽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기초블록의 안착홈은 상기 일자형블록몸체의 중앙에 요입되는 직사각홈으로 형성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일자형블록몸체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제1 안착홈의 절반 크기로 요입되는 제2 안착홈 및 제3 안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기초블록의 안착홈은 90°의 모서리각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모서리블록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 상기 모서리블록몸체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제1 안착홈의 절반 크기로 요입되는 제2 안착홈 및 제3 안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 및 패널연결홈은 상단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요입면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는 지점까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 및 모서리패널연결홈은 상단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요입면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는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기초구조물은 상기 주기초블록의 상부에 상기 주벽체패널이 적층되는 구조로 직선구간이 구성되고, 상기 직선구간과 연결되는 모서리구간은 상기 모서리기초블록의 일단 및 타단에 상기 주기초블록이 접속되고 상기 모서리기초블록의 상부에 상기 주벽체패널과 상기 모서리벽체패널이 적층,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은 상기 주기초블록, 상기 모서리기초블록, 상기 주벽체패널, 및 상기 모서리벽체패널의 접속부위에 변위를 흡수, 완충하는 내진구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진구조는 상기 주기초블록의 블록연결돌부, 상기 모서리기초블록의 블록연결돌부, 상기 주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 및 상기 모서리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삽입홈과, 상기 탄성부재삽입홈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의하면, 주기초블록, 모서리기초블록, 주벽체패널 및 모서리벽체패널을 서로 조립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건축물의 기초공사가 완료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공정과 같은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의하면, 기초가 단일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블럭과 패널을 조립하여 구성하는 방식이므로 지진의 발생으로 지진력이 인가될 경우 어느 정도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진구조를 갖추고 있어서 지진력을 흡수, 완충작용을 수행하므로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외측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내측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주기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모서리기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주벽체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모서리벽체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1 내지 도8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외측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내측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로서, 시공된 상태에서의 일부(모서리 부분)를 도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은 건축물의 기초공사를 조립방식으로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기초블록(1), 모서리기초블록(2),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은 터파기를 수행한 후 주기초블록(1) 및 모서리기초블록(2)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를 적층하는 형태로 기초구조물을 축조하되, 직선구간은 주기초블록(1)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주벽체패널(3)을 엇갈리게 적층하고, 직선구간과 연결되는 코너 부분인 모서리구간은 모서리 부위에 모서리기초블록(2)을 정위치하고 그 일단 및 타단에 주기초블록(1)을 접속한 다음 모서리기초블록(2)의 상부에서 주벽체패널(3)과 모서리벽체패널(4)을 적층, 접속하여 구성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주기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모서리기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주벽체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모서리벽체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주기초블록, 모서리기초블록, 주벽체패널, 및 모서리벽체패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주기초블록(1) 및 모서리기초블록(2)은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기초 부재이면서 높이에 비해 두께(폭)이 넓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라는 점에서 기초블록으로 명명한 것이고,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은 기초구조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이면서 두께(폭)에 비해 높이가 현저히 높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벽체패널로 명명한 용어적 의미를 담고있다.
그리고, 주기초블록(1), 모서리기초블록(2),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은 성형틀(미도시)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여 양생과정을 거치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으로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에 철근 등이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기초블록(1)은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일자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 일자형블록몸체(11)의 상면에 안착홈(12)과 안착면(13)가 형성되어 있고, 일자형블록몸체(11)의 일단 및 타단에 블록연결돌부(14) 및 블록연결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주기초블록(1)의 안착홈(12)은 일자형블록몸체(11)의 중앙에 직사각홈으로 형성되는 제1 안착홈(12a), 일자형블록몸체(11)의 일단에 제1 안착홈(12a)의 절반정도(홈의 폭과 깊이는 동일하고 길이가 50길이% 범위로 형성됨)의 사이즈(치수)로 요입되는 제2 안착홈(12b) 및 일자형블록몸체의 타단에 제1 안착홈(12a)의 절반정도 크기(홈의 폭과 깊이는 동일하고 길이가 50길이% 범위)의 사이즈(치수)로 요입되는 제3 안착홈(12c)으로 이루어진다.
안착면(13)는 후술되는 주벽체패널 및 모서리벽체패널의 끼움홈이 안착되도록 제1 안착홈(12a)과 제2 및 제3 안착홈(12b,12c) 사이에 턱 형태로 형성되는 면을 의미한다.
한편, 모서리기초블록(2)은 평면상에서의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ㄴ'자 형상을 갖는 블록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모서리각을 갖는 'ㄴ'자 형상의 모서리블록몸체(21)의 상면에 안착홈(22)과 안착면(23)가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블록몸체(21)의 일단 및 타단에 블록연결돌부(24) 및 블록연결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블록몸체(21)는 다양한 모서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90°의 모서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22)은 모서리블록몸체(21)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22a), 모서리블록몸체(21)의 일단과 타단에 제1 안착홈(22a)의 절반정도(홈의 폭과 깊이는 동일하고 길이가 50길이% 범위로 형성됨)의 치수로 요입되는 제2 안착홈(22b) 및 제3 안착홈(22c)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안착홈(22a)은 제3 안착홈(22c)과 동일한 폭으로 동일 축 선상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블록연결돌부(14,24)는 인접하는 주기초블록(1)이나 모서리기초블록(2)의 블록연결홈(15,25)에 삽입되도록 일자형블록몸체(11) 및 모서리블록몸체(21)의 일단인 제2안착홈(12b,22b) 하부에 돌출되는 것으로서, 그 평면상의 형상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블록연결홈(15,25)은 인접하는 주기초블록(1)이나 모서리기초블록(2)의 블록연결돌부(14,24)가 끼워지도록 일자형블록몸체(11) 및 모서리블록몸체(21)의 타단에 요입되는 것으로서, 그 평면 형상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요입되어 있다.
한편, 주벽체패널(3)은 전술한 주기초블록(1) 및 모서리기초블록(2)의 안착홈(12,22) 및 안착면(13,23)과 형합되도록 대략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주패널몸체(31)의 저면에 끼움돌기(32) 및 끼움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주패널몸체(31)의 일단 및 타단에 패널연결돌부(34) 및 패널연결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주벽체패널(3)의 끼움돌기(32)는 주기초블록(1) 및 모서리기초블럭(2)의 안착홈(12,22)에 끼워지도록 주패널몸체(31)의 중앙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끼움돌기(32a)와, 주패널몸체(31)의 전후부에 주기초블록(1) 및 모서리기초블럭(2)의 안착면(13,23)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제1 끼움돌기(32a)의 절반정도(돌기의 폭과 높이는 동일하고 길이가 50길이% 범위로 형성됨)의 치수로 형성된 제2 끼움돌기(32b) 및 제3 끼움돌기(32c)로 구성되어 있다.
주벽체패널(3)의 끼움홈(33)은 주기초블록(1) 및 모서리기초블록(2)의 안착면(13,23)의 간격과 대응하는 치수로 요입되는 사각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서리벽체패널(4)은 주벽체패널(3)과 유사하게 주기초블록(1) 및 모서리기초블록(2)의 안착홈(12,22) 및 안착면(13,23)와 형합되도록 대략 직사각판 형상의 모서리패널몸체(41) 저면에 끼움돌기(42) 및 끼움홈(43)이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벽체패널(4)의 끼움돌기(42)는 주기초블록(1) 및 모서리기초블럭(2)의 안착홈(12,22)에 끼워지도록 모서리패널몸체(41)의 저면 중앙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끼움돌기(42a)와, 전후부에 제1 끼움돌기(42a)의 절반정도(돌기의 폭과 높이는 동일하고 길이가 50길이% 범위로 형성됨)의 치수로 제2 끼움돌기(42b) 및 제3 끼움돌기(42c)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모서리패널몸체(41)에는 일단에 패널연결돌부(44)가 돌출되어 있고, 타단과 인접한 내면에 주벽체패널(3)의 패널연결돌부(34)가 삽입되도록 모서리패널연결홈(45)이 요입되어 있다.
그리고,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의 패널연결돌부(34,44), 패널연결홈(35) 및 모서리패널연결홈(45)은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되되, 안착홈(32,42)의 요입면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는 지점까지 형성됨으로써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적용되는 주기초블록(1), 모서리기초블록(2),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은 그 상부에 형성되는 건축물의 바닥 부분인 상판(미도시)과의 구조적인 연결을 위해 철근(미도시)이 노출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독주택과 같은 건축물이 시공될 지반에 설계도를 참조하여 터파기하여 기초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기초면에 주기초블록(1)을 일렬로 배치하면서 블록연결돌부(14) 및 블록연결홈(15)이 서로 접속되도록 조립하여 직선구간의 기초블록 설치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초면의 모서리 부위에 모서리기초블록(2)을 정위치시키고, 그 앞뒤로 모서리기초블록(2)를 배치한 후 모서리기초블록(2)의 블록연결돌부(24)에 블록연결홈(15)이 형합되도록 조립하고, 모서리기초블록(2)의 블록연결홈(25)에 블록연결돌부(14)가 형합되도록 조립하여 모서리구간의 기초블록 설치공정을 수행한다.
이후, 직선구간에 설치된 주기초블록(1)의 안착홈(12)과 안착면(13)에 주벽체패널(3)의 끼움돌기(32) 및 끼움홈(33)이 형합되도록 조립하여 직선구간의 기초공사를 완료한다.
그리고, 모서리기초블록(2)의 안착홈(22)과 안착면(23)에는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의 끼움돌기(32,42) 및 끼움홈(33,43)이 형합되도록 적층하여 기초구조물의 모서리구간을 축조하되, 모서리벽체패널(4)의 모서리패널연결홈(45)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주벽체패널(3)의 패널연결돌부(34)에 삽입되도록 조립하여 건축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기초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은 주기초블록(1), 모서리기초블록(2),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을 서로 조립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건축물의 기초공사가 완료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공정 등과 같은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건축물 기초구조물이 단일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주기초블록(1), 모서리기초블록(2),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이 조립되어 형성되므로 지진의 발생으로 수평방향의 지진력이 인가될 경우 어느 정도의 변위가 가능하여 흡수, 완충작용을 수행하므로 내진 특성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은 주기초블록(1), 모서리기초블록(2),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되되, 지진이나 외력 등에 대한 변형력을 흡수, 완충함으로써 내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진구조가 더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내진구조는 주기초블록(1), 모서리기초블록(2),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삽입홈(6)과, 이 탄성부재삽입홈(6)에 삽입되는 탄성부재(7)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부재삽입홈(6)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의 패널연결돌부(34,44)에 요입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삽입홈(6)은 별도의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주기초블록(1)의 블록연결돌부(14), 모서리기초블록(2)의 블록연결돌부(24) 등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7)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부재라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축코일스프링은 일측 단부가 일정 치수만큼 노출될 정도(패널연결홈의 깊이보다는 작으면서 패널연결돌부가 이탈되지 않는 정도의 치수)의 길이를 갖도록 권취, 형성되어 지진력이 작용되기 전에는 탄성력을 인접하는 주벽체패널(3) 및 모서리벽체패널(4)를 인가하여 압박함으로써 기초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하고, 지진 발생으로 수평 변위력이 작용되면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지진력을 흡수, 완충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붕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구조물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주기초블록
11:일자형블록몸체
12,22:안착홈
13,23:안착면
14,24:블록연결돌부
15,25:블록연결홈
2:모서리기초블록
21:모서리블록몸체
3:주벽체패널
31:주패널몸체
32,42:끼움돌기
33,43:끼움홈
34,44:패널연결돌부
35:패널연결홈
4:모서리벽체패널
41:모서리패널몸체
45:모서리패널연결홈
6:탄성부재삽입홈
7:탄성부재

Claims (6)

  1. 건축물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상면에 안착홈과 안착면이 형성된 일자형블록몸체의 일단 및 타단에 블록연결돌부 및 블록연결홈이 형성된 주기초블록; 모서리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모서리블록몸체의 상면에 안착홈과 안착면이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에 블록연결돌부 및 블록연결홈이 형성된 모서리기초블록; 저면에 상기 안착홈 및 상기 안착면과 형합되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이 형성된 주패널몸체의 일단 및 타단에 패널연결돌부 및 패널연결홈이 형성된 주벽체패널; 및 저면에 상기 안착홈 및 상기 안착면과 형합되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이 형성된 모서리패널몸체의 일단에 패널연결돌부가 돌출되고, 타단과 접한 내면에 상기 주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가 삽입되도록 모서리패널연결홈이 요입된 모서리벽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주기초블록의 안착홈은 상기 일자형블록몸체의 중앙에 요입되는 직사각홈으로 형성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일자형블록몸체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제1 안착홈의 절반 크기로 요입되는 제2 안착홈 및 제3 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서리기초블록의 안착홈은 90°의 모서리각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모서리블록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 상기 모서리블록몸체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제1 안착홈의 절반 크기로 요입되는 제2 안착홈 및 제3 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기초블록, 상기 모서리기초블록, 상기 주벽체패널, 및 상기 모서리벽체패널의 접속부위에는 변위를 흡수, 완충하는 내진구조가 구성되되, 상기 내진구조는 상기 주기초블록의 블록연결돌부, 상기 모서리기초블록의 블록연결돌부, 상기 주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 및 상기 모서리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삽입홈과, 상기 탄성부재삽입홈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초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 및 패널연결홈은 상단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요입면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는 지점까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벽체패널의 패널연결돌부 및 모서리패널연결홈은 상단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요입면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는 지점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초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기초구조물은 상기 주기초블록의 상부에 상기 주벽체패널이 적층되는 구조로 직선구간이 구성되고, 상기 직선구간과 연결되는 모서리구간은 상기 모서리기초블록의 일단 및 타단에 상기 주기초블록이 접속되고 상기 모서리기초블록의 상부에 상기 주벽체패널과 상기 모서리벽체패널이 적층,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초구조물.
  5. 삭제
  6. 삭제
KR1020200006870A 2020-01-17 2020-01-17 건축물 기초구조물 KR10219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870A KR102198307B1 (ko) 2020-01-17 2020-01-17 건축물 기초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870A KR102198307B1 (ko) 2020-01-17 2020-01-17 건축물 기초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307B1 true KR102198307B1 (ko) 2021-01-05

Family

ID=7414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870A KR102198307B1 (ko) 2020-01-17 2020-01-17 건축물 기초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5233B1 (en) * 2020-07-23 2022-12-13 Pmee International, Llc System of engineered post tensioned footing and stem wall foundation blocks
KR102613044B1 (ko) * 2022-06-21 2023-12-1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사석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56A (ja) * 1993-09-13 1995-03-28 Misawa Homes Co Ltd 基礎構造
KR200318935Y1 (ko) 2003-03-27 2003-07-04 주식회사 렛츠고펜션하우징 주택 기초용 프리캐스팅 블록
KR200334292Y1 (ko) 2003-08-26 2003-11-22 정의권 주택 기초용 조립식 프리캐스팅 블록
CN202730788U (zh) * 2012-05-03 2013-02-13 徐学东 钢筋混凝土框格预制装配式组合基础
JP2013036201A (ja) * 2011-08-05 2013-02-21 Michinori Umezawa コンクリート製品等の制震継手構造と目地開き対策施工法
KR101849766B1 (ko) 2016-05-24 2018-04-17 한병태 유로폼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택의 콘크리트 줄기초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56A (ja) * 1993-09-13 1995-03-28 Misawa Homes Co Ltd 基礎構造
KR200318935Y1 (ko) 2003-03-27 2003-07-04 주식회사 렛츠고펜션하우징 주택 기초용 프리캐스팅 블록
KR200334292Y1 (ko) 2003-08-26 2003-11-22 정의권 주택 기초용 조립식 프리캐스팅 블록
JP2013036201A (ja) * 2011-08-05 2013-02-21 Michinori Umezawa コンクリート製品等の制震継手構造と目地開き対策施工法
CN202730788U (zh) * 2012-05-03 2013-02-13 徐学东 钢筋混凝土框格预制装配式组合基础
KR101849766B1 (ko) 2016-05-24 2018-04-17 한병태 유로폼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택의 콘크리트 줄기초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5233B1 (en) * 2020-07-23 2022-12-13 Pmee International, Llc System of engineered post tensioned footing and stem wall foundation blocks
KR102613044B1 (ko) * 2022-06-21 2023-12-1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사석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307B1 (ko) 건축물 기초구조물
KR100907112B1 (ko) 건축용 프리캐스트 블록
US20040020147A1 (en) Sandwich wall construction and dwelling
KR10159079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연결마구리판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10529949U (zh) 一种装配式建筑
KR20170131210A (ko) 퍼즐타입 pc 패널을 사용하여 창문이 설치된 조적벽을 보강하는 방법
KR20120020254A (ko)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US9260862B2 (en) Beveled trench forming device for concrete slab foundations
KR102259453B1 (ko)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KR20170050513A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63271B1 (ko)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적벽체패널모듈을 이용한 건축 공법
KR101128866B1 (ko)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해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를 이용한 벽체 전단보강철근 배근방법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WO2020075505A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形成用の残存型枠
WO2011036928A1 (ja) 住宅用基礎パネルユニット、住宅用基礎構造及び住宅用基礎形成方法
KR102588376B1 (ko) 프리캐스트 벽체 조립을 위한 수직 접합 시공구조
KR10184703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KR102507299B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벽 패널을 이용한 지상 pc 주차장 및 그 시공방법
JP4563137B2 (ja) 繊維強化コンクリート製永久型枠
JP202014807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兼断熱化粧板、建築物及びコンクリート製構造躯体形成方法
CN218406018U (zh) 一种转角砖
KR20220019330A (ko) 건축용 조립블록과 조립블록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654021B1 (ko) 모듈형 조립식 주택 및 그 시공 방법
JP3677093B2 (ja) コンクリート基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