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044B1 -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 Google Patents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044B1
KR102198044B1 KR1020157028293A KR20157028293A KR102198044B1 KR 102198044 B1 KR102198044 B1 KR 102198044B1 KR 1020157028293 A KR1020157028293 A KR 1020157028293A KR 20157028293 A KR20157028293 A KR 20157028293A KR 102198044 B1 KR102198044 B1 KR 102198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ston
diaphragm
cas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0134A (en
Inventor
히사노부 이이즈카
죠쿠토 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깃츠 에스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깃츠 에스시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깃츠 에스시티
Publication of KR2016004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with a mechanism, other than pulling-or pushing-rod, between fluid motor and closure member
    • F16K31/16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with a mechanism, other than pulling-or pushing-rod, between fluid motor and closure member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밸브체를 가압하는 압압력이 높으므로, 밸브 시트에 항상 큰 부하가 걸려 있는 고압용 자동 NC 다이어프램 밸브에 있어서, 사용 시까지 밸브의 성능을 유지한 채로 보관을 가능하게 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디 내에 설치한 액추에이터 내부의 피스톤 기구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압압하여 밸브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케이싱에 고정측 걸림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피스톤 기구의 적절한 위치에 가동측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기구를 상방향의 해제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고정측 걸림부와 상기 가동측 걸림부의 걸림 위치를 일치시키고, 또한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삽통된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측 걸림부와 가동측 걸림부를 걸리게 하는 구조로 하였다. Since the pressure to pressurize the valve body is high, high pressure automatic NC diaphragm valves that always have a large load on the valve seat enable storage while maintaining the valve's performance until use and high pressure for long-term storage. For automatic diaphragm valves. In the diaphragm valve for closing the valve by pressing the diaphragm by a piston mechanism inside the actuator installed in the body, a fixed-side lock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asing of the actuator, and a movable-side locking portion is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iston mechanism. , When the piston mechanism is moved to the release side in the upward direction, the fixed-side locking portion and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 are matched, and the fixed-side locking portion is movable by a holding member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It was set as the structure to catch the side locking part.

Description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High 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본 발명은, 사용 시 또는 교환 시까지, 밸브의 성능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밸브 성능을 유지한 채로의 상태로 보관을 가능하게 한 고압용 자동 NC(노멀 클로즈) 다이어프램 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NC (normally closed)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that enables storage in a state while maintaining the valve performance without impairing the performance of the valve at all during use or until replacement.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인화 폭발성, 분해 폭발성, 부식성, 독성 등의 각종 특수 가스, 예를 들면, 포스핀이나 아르신, 실란 등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특수 재료 가스는, 수십 기압에서 100 기압 이상의 고압력으로 가스 봄베에 충전하여 두고, 밀폐된 청정실 내에 그 가스 봄베를 설치하고, 배관 도중에 배치된 밸브를 통하여 반도체 제조장치에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로부터 배기된다.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various special gases such as flammable explosiveness, decomposition explosiveness, corrosiveness and toxicity, such as phosphine, arsine, silane, and the like are used. In general, such a special material gas is filled in a gas cylinder at a high pressure of 100 atm or more at a pressure of several tens of atmospheres, the gas cylinder is installed in a sealed clean room, and is supplied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through a valve arranged in the middle of a pipe, or Exhausted from the device.

최근, 반도체 기판의 고집적화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고속화 및 소형화가 현저하게 진행되어 있고, 그에 따라, 베이스가 되는 실리콘 웨이퍼도 고순도, 고품질의 것이 요구되므로, 그 제조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와 같은 각종 특수한 가스 유체(流體)의 유량 제어 정밀도에도, 현저하게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with the high integration of semiconductor substrates, high-speed and miniaturiz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has been remarkably progressed, and accordingly, a silicon wafer serving as a base is also required to be of high purity and high quality. Remarkably high precision is also required for the flow control precision of a special gas fluid.

이와 같이 하여 반도체 제조 공정에 설치되는 유체 제어 장치로서의 밸브의 밸브체 이동의 정밀도에는, 높은 변위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특히, 그 거리 제어와 물리적으로 직접 관련된 부재인 밸브 시트((valve seat))의 상태를 고품질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In this way, high displacement precision is required for the precision of the valve body movement of the valve as a fluid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valve seat, which is a member physically directly related to the distance control, is It is necessary to keep it in high quality.

한편,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부식성 유체 등의 영향으로 밸브가 열화되기 쉬워, 수명이 짧아지기 쉽다. 밸브 보디 내부의 밸브실 내의 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데드 스페이스가 커지는 경우, 고압, 고농도의, 예를 들면, 불소 가스를 밸브실 내에 도입하면, 단열 압축에 의해 밸브실 내의 온도가 상승하기 쉽다. 밸브실 내의 온도가 상승하면, 밸브실 내의 표면 부식이나 수지 재질의 열화가 생기기 쉽게 된다. 그 결과, 표면 부식에 의한 생성물이 밸브실 내(특히 밸브 시트부)에 부착되고, 부식에 의한 생성물이 원인으로, 기밀(氣密) 형태가 불량하게 되어, 리크되기 쉬워지므로, 밸브의 품질이 열화되어 버린다. 또한, 불소 가스 등의 할로겐을 포함하는 부식성이 높은 가스는, 밸브실 내부의 표면 부식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생성된 부식물이 밸브 시트 표면부에 부착되어, 밸브 시트를 열화시켜, 유량 제어 기능을 손상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the valve is liable to deteriorate due to the influence of a corrosive fluid or the like, and the life is liable to be shortened. When the dead space in which gas inside the valve body inside the valve body tends to stay increases, when a high pressure, high concentration, for example, fluorine gas is introduced into the valve chamber, the temperature in the valve chamber is likely to rise due to adiabatic compression. When the temperature in the valve chamber rises, surface corrosion in the valve chamber or deterioration of the resin material tends to occur. As a result, the product due to surface corrosion adheres to the inside of the valve chamber (especially the valve seat), and the product due to corrosion is the cause, the airtight form is poor, and leakage is liable, so that the quality of the valve is reduced. It will deteriorate. In addition, highly corrosive gases containing halogens such as fluorine gas are liable to cause surface corrosion inside the valve chamber, so the generated corrosives adhere to the valve seat surface and deteriorate the valve seat, impairing the flow control function. It is the main cause of letting go.

이와 같이 하여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밸브는 수명이 짧아져, 상기와 같은 양호한 정밀도의 유량 제어 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자주 밸브를 신품의 밸브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 In this way, the life of the valve used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s shortened, and in order to maintain the high precision flow rate control capability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replace the valve with a new valve.

따라서, 제조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신품의 밸브를 교환용으로서 장기간에 걸쳐 재고로 보관하여 둘 필요가 있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manufacturing manager or the user to store the new valve in stock for a long period for replacement.

여기서, NC(노멀 클로즈 타입) 다이어프램 밸브를 고압 유체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부식성 유체 등의 고압 유체에 대한 고실링성(sealing characteristic)을 확보하기 위해, 상시 폐쇄 상태의 밸브에 대하여 또한 스프링 등의 외력에 의해 밸브체에 의한 밸브 시트에 대한 압압(押壓; pressing) 부하를 상시 가하도록 하여, 밸브체를 가압하는 압압력(押壓力)을 높게 하는 경우가 있다. Here, when the NC (normally closed type) diaphragm valve is used for high-pressure fluid, in order to secure a high sealing characteristic for high-pressure fluid such as corrosive fluid, the valve in the normally closed state is In some cases,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valve body is increased by constantly applying a pressing load to the valve seat by the valve body by an external force.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차단 밸브에서는, 하우징 내에 스프링 유닛을 설치하고, 이 스프링 유닛의 스프링력에 의해 통상 시에는 다이어프램을 밸브 시트에 압압하여 유체를 차단하고, 한편, 압력실에 압력 공기를 도입했을 때, 차단 다이어프램을 스프링 유닛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시켜 밸브 시트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차단 밸브에서는, 각 스프링 유닛을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 구성하고, 이 스프링 유닛의 서로 인접하는 스프링을 역방향으로 설치하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shut-off valve of Patent Document 1, a spring un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unit presses the diaphragm against the valve seat in a normal time to block fluid, while pressure air in the pressure chamber. When is introduced, the shut-off diaphragm is separated from the valve seat by resisting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unit to open the valve seat. In this shut-off valve, each spring unit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prings, and springs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spring units are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스프링을 설치한 NC 타입의 다이어프램 밸브에 대하여, 밸브 개도(開度)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단이 설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의 밸브에서는, 사용의 목적으로 공압(空壓) 작동식 제어기의 유로(流路)를 수동으로 해방할 수 있어, 개방의 정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는 수동 작동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서는, 상시 폐쇄 밸브를 강제 개방하여 사용에 제공하는 강제 밸브 개방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Further, it is known that a spring-equipped NC-type diaphragm valve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maintaining a constant valve opening. For example, in the valve of Patent Document 2, a manual operating device capable of manually releasing the flow path of a pneumatically operated controller for the purpose of use and maintaining the degree of opening for a long time. Etc. a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a forced valve opening device and the like that are provided for use by forcibly opening a normally closed valve are disclosed.

일본 특허 제2749527호 공보Japanese Patent No. 2749527 일본 공개특허 평11―311365호 공보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Hei 11-311365 일본 공개특허 제2002―195448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95448

NC 타입의 다이어프램에 있어서, 특허 문헌 1과 같이 스프링 등의 외력을 부가하여 다이어프램을 착석시키는 방향으로 압압한 경우에는, 장기간 재고나 보관하고 있는 동안, 피스톤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압압되는 밸브 시트에는 항상 큰 부하가 계속하여 가해지는 상태로 되어, 밸브 시트가 그 부하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생긴다. 특히, 배력(倍力) 기구(機構)를 구비하여 밸브체를 구동시키는 밸브에서는, 구동원의 압압력이 몇배나 배증(倍增)되어 있으므로, 그와 같은 현상이 현저하게 생긴다. In the NC-type diaphragm, as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diaphragm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aphragm is seat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such as a spring, the valve seat pressed through the diaphragm by a piston during long-term inventory or storage is always A large load is continuously applied, and a phenomenon in which the valve seat is damaged by the load occurs. In particular, in a valve that drives a valve body with a boosting mechanism, the pressure of the drive source is multiplied by several times, so that such a phenomenon remarkably occurs.

이와 같이 하여 생기는 밸브 시트의 손상은, 직접적으로 밸브 스트로크를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증대한 밸브 스트로크분에 따라, 밸브 시트에 대한 피스톤의 밸브체의 압압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피스톤의 압압력을 약하게 할 수 있으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압압력이 저감되고, 높은 압력의 유체에 대항하여 밸브체의 변위를 제어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유량 제어를 실현하는 밸브의 유량 제어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장기간 보관된 고압 유체용 자동 NC 다이어프램 밸브는, 신품으로서의 사용 개시 시로부터 필요한 유량 제어 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어, 사용 가능 기간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Damage to the valve seat caused in this way directly results in increasing the valve stroke.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d valve stroke, the pressure of the valve body of the piston against the valve seat can be reduced. If the pressure of the piston can be reduced, the pressure to maintain airtightness is reduced, and by controlling the displacement of the valve body against a high pressure fluid, the flow control capability of the valve to realize high-precision flow control is sufficiently achieved. It becomes impossible to exert. As a result, the automatic NC diaphragm valve for high-pressure fluid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cannot exhibit the required flow rate control ability from the start of use as a new produc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able period is shortened.

이와 같은 고도의 유량 제어 능력의 열화된 밸브를 사용하면, 고정밀도의 품질이 요구되는 반도체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수율을 감소시켜 생산 효율이 악화되기 때문에, 이 문제점의 해결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When using such a deteriorated valve with high flow control capability,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the quality of semiconductor products that require high precision quality, reducing the yield and deteriorating production efficiency, so solving this problem is very important. It is an assignment.

이 밸브에서는, 스프링 유닛의 서로 인접하는 스프링을 역방향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그 이유가 개시 내지 시사되어 있지 않고, 이와 같은 스프링의 장착 구조로 함으로써 다이어프램과 밸브 시트에 가해지는 강한 압압력을 회피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In this valve, the springs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spring unit are insta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ut the reason is not disclosed or suggested, and a strong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diaphragm and the valve seat can be avoided by employing such a spring mounting structure. There is not.

한편, 특허 문헌 2에 있어서는, 샤프트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특정 구조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연장봉(延長棒)에 끼워넣을 수 있는 절결부(切缺部)를 구비한 특정 구조의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있고, 또한 유로를 강제적으로 해방시킨 상태에 사용에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압용 밸브에 적용할 수 없을뿐만아니라, 사용을 목적으로 밸브를 개방하는 장치로서, 사용 시까지 성능을 유지하는 착상(着想)이나 시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 in Patent Literature 2, a specific structured operation part provided with a fixed part of a specific structur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haft and a cutou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rod of the fixed part. It is provided for use in a state in which a mechanism to be formed is required, and the flow path is forcibly released. Therefore, not only cannot be applied to a high pressure valve, but as a device that opens the valve for the purpose of use, there is no idea or suggestion that maintains performance until use.

특허 문헌 3에 있어서는,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기구는, 특정 구조의 매뉴얼 밸브 개방 지그 및 그에 대응한 특정 구조를 구비한 상시 밸브 폐쇄로 이루어지는 기구를 필요로 하므로, 또한 특허 문헌 2와 마찬가지로, 유로를 강제적으로 해방시킨 상태에서 사용에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압용 밸브에 적용할 수 없을뿐만아니라, 사용 시까지 성능을 유지하는 착상이나 시사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In Patent Document 3, the mechanism for opening the valve requires a mechanism consisting of a manual valve opening jig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nd a constant valve closing having a specific structure corresponding thereto. It is provided for use in the state of being forcibly liberated. Therefore, not only cannot it be applied to a high pressure valve, but there is no idea or suggestion that maintains performance until us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밸브체를 가압하는 압압력이 높으므로, 밸브 시트에 항상 큰 부하가 걸려 있는 고압용 자동 NC 다이어프램 밸브에 있어서, 사용 시까지 밸브의 성능을 유지한 채로 보관을 가능하게 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고압용 자동 NC 다이어프램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high pressure automatic NC diaphragm valve in which a large load is always placed on the valve seat, since the pressure to press the valve body is high.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N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that enables storage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G valve and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보디 내에 설치한 밸브 시트에 다이어프램을 압압하여 밸브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 설치한 액추에이터 내의 피스톤 기구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을 압압하거나 또는 압압을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케이싱에 고정측 걸림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피스톤 기구의 적절한 위치에 가동측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기구를 상방향의 해제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고정측 걸림부와 상기 가동측 걸림부의 걸림 위치를 일치시키고, 또한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삽통된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측 걸림부와 가동측 걸림부를 걸리게 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부하를 걸지 않고 장기 보존을 가능하게 하고, 밸브 사용 시에는,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분리하여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a diaphragm valve in which a diaphragm is pressed against a valve seat installed in a body to close the valve, wherein the diaphragm is pressed by a piston mechanism in an actuator installed in the body. Alternatively,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and a fixed-side lock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asing of the actuator, and a movable-side locking portion is form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iston mechanism, and the piston mechanism is moved to the release side in the upward direction, the fixed side The locking part and the movable-side locking part are matched, and the fixed-side locking part and the movable-side locking part are caught by a holding member insert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casing, thereby enabling long-term storage without applying a load to the valve seat. It is a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valve is used, the hold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casing to enable the valve to be used.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피스톤 기구는, 에어를 공급하여 피스톤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다이어프램을 자력(自力)에 의해 상방향으로 변형 이동시키는 동시에, 전폐(全閉) 시에, 배력 기구를 통하여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아래쪽에 부하를 부여하는 구조를 가지고, 피스톤을 위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피스톤 기구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이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piston mechanism supplies air to move the piston upwardly to deform and move the diaphragm upward by magnetic force, and at the same time, when fully closed, the booster mechanism It is a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claim 1,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ad is applied to the lower side by means of an elastic force of a spring through the cylinder, and prevents the piston mechanism from being lowered by the holding member when the piston is moved upward.

청구항 3항 관한 발명은, 상기 피스톤 기구에 에어를 공급하고, 피스톤을 상사점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측 걸림부인 걸림공부에 상기 가동측 걸림부인 걸림홈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일치한 양쪽의 구멍에 외측으로부터 유지 부재인 유지핀을 꽂고, 사용 시에는 상기 유지핀을 외측으로부터 빼내어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ir is supplied to the piston mechanism, and the piston is moved to a top dead center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which is the movable-side locking part, to the locking hole, which is the fixed-side locking part, and A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which a retaining pin, which is a retaining member,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the retaining pin is pulled out from the outside when in use to enable a valve.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상기 고정측 걸림부인 2개의 걸림공부에 상기 가동측 걸림부인 반원형 걸림홈 또는 걸림공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일치시킨 걸림공부에 외측으로부터 유지 부재인 유지핀을 꽂고, 사용 시에는 상기 유지핀을 외측으로부터 빼내어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이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the position of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 the semicircular locking groove or the locking hole, is matched to the two locking holes, which are fixed-side locking parts, and a retaining pin, which is a holding member,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matching locking hole In this case, it is the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which the holding pin is removed from the outside to enable the valve to be used.

청구항 5항에 관한 발명은, 보디 내에 설치한 밸브 시트에 다이어프램을 압압하여 밸브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에 있어서, 보디에 설치한 액추에이터 내의 피스톤 기구(機構)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압압하거나 또는 압압을 해제하는 동시에, 피스톤 기구에 피스톤의 상하 방향의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승강체를 설치하고, 또한 액추에이터의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승강체를 상방향의 해제 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이 승강체의 바닥면 측에 생기는 간극에 유지 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설치하고, 승강체의 해제 측으로의 이동 시에 승강체 바닥면에 유지 부재를 걸리게 하여, 밸브 시트에 부하를 걸지 않고 장기 보존을 가능하게 하고, 밸브 사용 시에는, 유지 부재를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빼내어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s a diaphragm valve in which a diaphragm is pressed against a valve seat installed in a body to close the valve, wherein the diaphragm is pressed or released by a piston mechanism in an actuator installed on the body. At the same time, when a lifting body that moves up and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piston mechanism, and the lifting body is 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actuator casing to the release side in the upward directi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lifting body By installing a retaining member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gap created in the gap, and by placing the retaining member on the bottom of the lifting body when moving to the release side of the lifting body, it enables long-term storage without placing a load on the valve seat, and when using the valve. It is an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in which the holding member is re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to enable the valve to be used.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피스톤 기구에 에어를 공급하여 피스톤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다이어프램을 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변형 이동시키는 동시에, 전폐(全閉) 시에,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배력 기구를 통하여 승강체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부하를 부여하는 구조를 가지고, 피스톤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유지 부재에 의해 피스톤 기구의 승강체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이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the piston is moved downward by supplying air to the piston mechanism, and the diaphragm is deformed and moved upward by magnetic force, and at the same time, when fully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When the piston is moved upward, the lifting body is moved downward through the boosting mechanism to apply a load. When the piston is moved downward, the lifting member of the piston mechanism is prevented from descending. It is an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청구항 7항에 관한 발명은, 피스톤 기구에 에어를 공급하고, 피스톤을 하사점으로 이동시켰을 때 배력 기구를 통하여 승강체의 바닥면과 이 바닥면이 전폐 시에 맞닿는 고정측 맞닿은 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이 간극에 케이싱에 형성한 삽입공으로부터 유지 부재인 유지핀을 꽂고, 사용 시에는 상기 유지핀의 외단에 형성한 절곡부를 잡고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빼내어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이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when air is supplied to the piston mechanism and the piston is moved to the bottom dead center,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body and the fixed side abutting surface that abuts when the bottom surface is fully closed through the boosting mechanism. For high pressure use of the valve by forming a gap and inserting a retaining pin, which is a retaining member, from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asing, and in use, grabbing the bend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retaining pin and pulling it out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It is an automatic diaphragm valve.

청구항 8항에 관한 발명은, 스프링은, 피스톤 내에 2개소 설치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방향으로 탄발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들 스프링의 상호의 감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is a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in which two springs are provided in the piston so that the piston is elastically repelled upward, and the winding directions of these springs are revers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용 NC 밸브가 장기간 보관되어 있는 동안, 높은 가압력의 피스톤에 의한 밸브 시트로의 압압이 가해지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하고, 또한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였으므로, 고압용 NC 밸브를 사용 시까지 그 성능을 유지한 채로의 장기 보관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보관에 의한 성능 열화를 염려하지 않고 보관 부품을 재고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 시에는 간단하게 그 방지 구조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만일 밸브가 고장난 경우에는, 사용자는, 보관하고 있었던 밸브를 즉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high pressure NC valve is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pressurized by a high pressure piston to the valve seat and can be easily released. I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while maintaining its performance until the use of the NC valve for use,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inventory and manage the stored parts without worrying about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storage. Since can be released, in the event of a valve failure, the user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immediately replace the stored valve and make it usable.

도 1은 본 발명의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밸브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의 제4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일부 절결(切缺)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의 제5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다이어프램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유지 부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lve closed state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in FIG. 5.
Fig. 7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FIG. 7.
9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in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lve closed state of the diaphragm valve of FIG. 1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1.
1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holding member.

이하에, 본 발명에서의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로서, 도 1, 도 2는 제1 실시 형태를, 도 3, 도 4는 제2 실시 형태를, 도 5, 도 6은 제3 실시형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an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Figs. 1 and 2 show a first embodiment, Figs. 3 and 4 show a second embodiment, and Figs. 5 and 6 show a third embodiment. Respectively.

도 1,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용 액추에이터(이하, 액추에이터라고 함)(1a)는, 케이싱(2a)과, 이 케이싱(2a)에 끼워지는 베이스체(3)를 가지는 보디(4)를 구비하고, 이 보디(4) 내에, 테이퍼면형부(5)를 형성한 테이퍼면형부면(6), 고정 디스크(7)에 형성된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디스크면(8), 이동 부재인 볼(9)을 가지는 배력 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1a)에는, 밸브 구동용 출력축부(11), 디스크(12)가 설치되고, 이 액추에이터(1a)에 의해, 다이어프램(13)을 압압 가능하게 되어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the actuator for a val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ctuator) 1a is a casing 2a and a base body 3 fitted to the casing 2a. A fixed disk surface (8) comprising a body (4) having a body (4), and a tapered surface (6) having a tapered surface (5) and a tapered surface formed on the fixing disk (7). ), and a boosting mechanism 10 having a ball 9 as a moving member. In addition, the actuator 1a is provided with a valve-driving output shaft portion 11 and a disk 12, and the actuator 1a enables the diaphragm 13 to be pressed.

액추에이터(1a)는, 피스톤(14)의 배면에 장착한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추진력 부재(16)가 다이어프램(13)을 폐지(閉止)하는 구조로서, 스프링(15)의 추진력을 배력 기구(10)에 의해 출력축부(11)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구조의 노멀리 클로즈 타입의 공기압 작동 액추에이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The actuator 1a is a structure in which the thrust member 16 closes the diaphragm 1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5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iston 14, and the thrust force of the spring 15 It is configured as a normally closed type pneumatic actuator having a structure that expands and outputs the power to the output shaft 11 by the boosting mechanism 10.

배력 기구(10)는, 스프링(15)이 추진력 부재(16)를 통하여 다이어프램(13)을 압압하는 힘을 확대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 배력 기구(10)에는, 테이퍼면형부면(6)의 내측에 설치되고, 출력축부(11)의 상부에 설치한 디스크(12)면 상의 볼 탑재부(17)에 복수 개의 볼(9)이 배치되고, 이들 볼(9)이 고정 디스크면(8)과 테이퍼면형부면(6)과의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a)과 베이스체(3)는, 밀봉 상태로 나사장착되어 액추에이터(1a)로서 일체화된다. 볼(9)은, 예를 들면, 강구(鋼球)로 이루어지고, 배력 기구(10)의 내부에 복수 개 배치된다. 볼(9)은 적절한 수이면 되지만, 적어도 3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8∼12개 정도로 하면 된다. 이 경우, 출력축부(11)와 고정 디스크(7)가 안정된 상태로 된다. The boosting mechanism 10 is a mechanism for increasing the force by which the spring 15 presses the diaphragm 13 through the thrust member 16. In this boosting mechanism 10, a plurality of balls 9 are provided in the ball mounting portion 17 on the surface of the disk 12,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tapered surface 6 and installed above the output shaft 11 The balls 9 are arranged and configur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fixed disk surface 8 and the tapered surface 6. The casing 2a and the base body 3 are screwed in a sealed state and integrated as the actuator 1a. The balls 9 are made of, for example, a steel ball, and a plurality of balls are arranged inside the boosting mechanism 10. The number of balls 9 may be appropriate, bu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t least 3 or more, for example, about 8 to 12. In this case, the output shaft portion 11 and the fixed disk 7 are in a stable state.

고정 디스크(7)는, 샤프트(19)를 통하여 액추에이터(1a)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 때, 고정 디스크(7)는, 샤프트(19)에 형성된 수나사부(20)와 커버(22)에 형성된 암나사부(21)와의 나사장착에 의해 출력축부(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나사장착 구조에 의해 샤프트(19)를 상하로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고정 디스크(7)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fixed disk 7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actuator 1a via the shaft 19. At this time, the fixing disk 7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output shaft portion 11 by screwing the male screw portion 20 formed on the shaft 19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21 formed on the cover 22. With this screw mounting structure, the shaft 19 can be moved up and down to adjust its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fixed disk 7 can be adjusted.

샤프트(19)의 내부에는, 액추에이터(1a)의 외부와, 추진력 부재(16)와 베이스체(3)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흡배기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배기구(23)를 통하여 액추에이터(1a)의 외부로부터 피스톤(14)과 실린더(24)와의 사이의 에어 조작실(25) 내에 압축 에어가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에어 조작실 내의 에어의 배기도, 이 흡배기구(23)로부터 행해진다. Inside the shaft 19, an intake/exhaust port 23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actuator 1a and between the thrust member 16 and the base body 3 is formed. Compressed air can be supplied into the air operation chamber 25 between the piston 14 and the cylinder 24 from the outside of the actuator 1a through this intake and exhaust port 23. In addition, the air in the air operation chamber is also exhausted from the intake and exhaust ports 23.

추진력 부재(16)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 1개의 추진력 부재(16)가 케이싱(2a)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 내외주 측에는, O링(27)이 장착되어 있다. 추진력 부재(16)는, 본 예에서는 1단(段)이지만, 복수 단이라도 된다. The thrust member 1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is one thrust member 16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2a so as to reciprocate, and an O-ring 27 is attached to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ides. The thrust member 16 is one stage in this example, but may be multiple stages.

출력축부(11)는, 다이어프램 피스(29)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 다이어프램 피스(29)는 액추에이터(1a)에 장착한 밸브(30)의 다이어프램(13)에 직접 접촉하여 구동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부(11)의 고정 디스크(7)와의 대향하는 측에는 디스크(12)가 설치되고, 이 디스크(12)면 상에는 볼 탑재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출력축부(11)의 하부에는 축부(軸部)(31)가 형성되고, 이 축부(31)는, 베이스체(3)에 형성된 장착공(32)에 삽입되어 있고, 이로써, 출력축부(11) 전체가 베이스체(3)에 대하여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출력축부(11)와 베이스체(3)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33)이 장착되어 있다. 출력축부(11)는,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도 1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탄발(彈發) 가압되고 있다. 축부(31)의 외주에는 O링(34)이 장착되고, 이 O링(34)에 의해 축부(31)와 베이스체(3)와의 사이가 실링된다. The output shaft portion 11 is installed above the diaphragm piece 29, and the diaphragm piece 29 is installed to directly contact and drive the diaphragm 13 of the valve 30 mounted on the actuator 1a. have. A disk 1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put shaft portion 11 facing the fixed disk 7, and a ball mounting portion 17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sk 12. A shaft portion 3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put shaft portion 11, and the shaft portion 31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32 formed in the base body 3, whereby the output shaft portion 11 ) The whole can be drive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3). A coil spring 33 is attached between the output shaft portion 11 and the base body 3. The output shaft portion 11 is urged upwardly in FIG. 1 by a coil spring 33. An O-ring 34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part 31, and the space between the shaft part 31 and the base body 3 is sealed by the O-ring 34.

베이스체(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축부(11)의 축부(31)가 삽입 가능한 장착공(32)이 형성되고, 이 장착공(32)에 의해, 출력축부(11)가 상하 방향으로 안내된다. 베이스체(3)의 케이싱측 외주에는 수나사부(35)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35)는, 케이싱(2a)에 형성된 암나사부(36)와 실링 부재(37)를 통하여 밀봉 실링 가능하게 나사장착 접합되어 있다. 베이스체(3)의 밸브 장착측에는 수나사(38)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38)를 통하여 액추에이터(1a)가 밸브(30)에 착탈된다. In the base body 3, as described above, a mounting hole 32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31 of the output shaft portion 11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by the mounting hole 32, the output shaft portion 11 is vertically Is guided by. A male threaded portion 35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sing side of the base body 3, and the male threaded portion 35 is sealed and sealed throug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36 and the sealing member 37 formed in the casing 2a. It is screwed and joined. A male screw 38 is formed on the valve mounting side of the base body 3, and the actuator 1a is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valve 30 through the male screw 38.

밸브(30)는 다이어프램 밸브이며, 도 1, 도 2, 도 3, 도 5에 나타낸 구조는, 그 일례이다. 이 밸브(30)는, 1차측 유로(39), 2차측 유로(40)를 가지는 밸브 케이스(41), 다이어프램(13), 밸브 시트(42), 다이어프램 피스(29), 보닛(43)을 가지고 있다. 다이어프램(13)은, 밸브 케이스(41)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압압용(押壓用)의 압력 부재로서의 다이어프램 피스(29)가 구동 가능하게 보닛(43)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밸브(30)의 액추에이터(1a)와의 접속측에는, 수나사(38)와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44)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44)와 수나사(38)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내부에 배력 기구(10)를 내장한 액추에이터(1a)와 밸브(30)를 착탈할 수 있다. The valve 30 is a diaphragm valve, and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2, 3, and 5 is an example. This valve 30 includes a valve case 41 having a primary side flow path 39, a secondary side flow path 40, a diaphragm 13, a valve seat 42, a diaphragm piece 29, and a bonnet 43. Have. The diaphragm 13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alve case 41, and a diaphragm piece 29 as a pressure member for pressurization is mounted on its upper part by a bonnet 43 so as to be able to be driven. . On the connection side of the valve 30 to the actuator 1a, a male screw 38 and a female screw 44 that can be screwed are formed, and by screwing the female screw 44 and the male screw 38, there is a boosting mechanism 10 inside. The actuator (1a) and the valve (30) incorporating)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다이어프램 피스(29)는, 액추에이터(1a)의 출력축부(11)의 축방향으로의 출력에 의해 구동한다. 이 다이어프램 피스(29)의 구동에 의해 다이어프램(13)이 밸브 시트(42)에 근접 및 이격되고, 1차측 유로(39)와 2차측 유로(40)가 개폐 가능하게 된다. 고압용 밸브에서는, 다이어프램 피스(29)가 밸브 시트(42)를 압압하는 힘은, 밸브의 사이즈에 의해 2000N 정도로부터 10000N 정도에 이른다. The diaphragm piece 29 is driven by the output of the output shaft 11 of the actuator 1a in the axial direction. By driving the diaphragm piece 29, the diaphragm 13 is brought close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valve seat 42, and the primary side flow path 39 and the secondary side flow path 40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high-pressure valve, the force by which the diaphragm piece 29 presses the valve seat 42 ranges from about 2000 N to about 10000 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valve.

본 예에 있어서는, 추진력 부재(16)의 외주측 면의 적절한 위치에는, 가동측 걸림부(45)로서 단면(斷面)이 반원 형상의 걸림홈(45a)이 형성되고, 액추에이터(1a)의 케이싱(2a)에는, 고정측 걸림부(46)로서 걸림공부(46a)가, 추진력 부재(16)가 걸림 위치로 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45a)과 상기 걸림공부(46a)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1에 있어서는, 고정측 걸림부(46)가 2개소 설치되어 어느 1개소에 유지핀(47a) 1개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보다 안정화를 위해 양쪽에 2개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공부(46a)를 케이싱(2a)에 복수 개소 형성한 후, 복수 개의 유지핀(47a)을 삽입하여 추진력 부재(16)의 유지를 해도 된다. In this example,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 locking groove 45a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s the movable locking portion 45 is formed, and the actuator 1a is The casing 2a has a locking hole 46a as the fixing-side locking part 46,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groove 45a and the locking hole 46a coincide whe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s in the locking position. Installed. 1 shows a state in which two fixing-side locking portions 46 are provided and one holding pin 47a is inserted in any one place, but two may be inserted on both sides for more stabilization. Further, after forming a plurality of the locking holes 46a in the casing 2a, a plurality of retaining pins 47a may be inserted to hold the propulsion member 16.

또한, 가동측 걸림부(45)를, 도시하지 않은 걸림공(45a)으로 할 수도 있다. 걸림공(45a)은, 추진력 부재(16)의 외주측 면에 원통형 액추에이터(1a)의 구심(求心) 방향으로 뚫린 구멍이며, 액추에이터(1a)의 케이싱(2a)에는, 고정측 걸림부(46)로서 걸림공부(46a)가, 추진력 부재(16)가 걸림 위치로 되었을 때 상기 걸림공(45a)과 상기 걸림공부(46a)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추진력 부재(16)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회전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회전함으로써 걸림공부(46a)와 걸림공(45a)의 위치가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당한 회전 방지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 45 can also be a locking hole 45a (not shown). The locking hole 45a is a hol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n the centripet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actuator 1a, and is provided in the casing 2a of the actuator 1a. ), the locking hole 46a is installed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hole 45a and the locking hole 46a coincide whe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s in the locking position.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propulsion member 16 is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rot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hole 46a and the locking hole 45a from being shif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forc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 rotate. It is desirable to install.

본 예에서는, 걸림홈(45a)은 추진력 부재(16)의 외주측 면을 일주(一周)하여 절결한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유지 부재(47)로서의 유지핀(47a)의 선단부(56)가, 걸림공부(46a)를 관통하여 걸림홈(45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걸림공(45a)은 추진력 부재(16)의 외주측 면에, 원통형 액추에이터(1a)의 구심 방향으로 깎여진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유지 부재(47)로서의 유지핀(47a)의 선단부(56)가, 걸림공부(46a)를 관통하여 걸림공(45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추어 질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locking groove 45a is formed as a groove cut of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nd the distal end 56 of the holding pin 47a as the holding member 47 is , Through the locking hole (46a), it can be fitted to the locking groove (45a) detachably (着脫) possible. In addition, the locking hole 45a is formed as a hole cut in the centripet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actuator 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surface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nd the distal end of the holding pin 47a as the holding member 47 ( 56) can be fitted detachably into the locking hole 45a by penetrating through the locking hole portion 46a.

추진력 부재(16)에 형성되는 걸림홈(45a) 또는 걸림공(45a)의 위치는, 추진력 부재(16)의 구동이나 밸브의 기능에 지장이 없는 위치이면 되고, 추진력 부재(16) 이외의 위치라도, 실시에 따라,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45a or the locking hole 45a formed i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may be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or the function of the valve, and positions other tha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Eve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t can take any position.

추진력 부재(16)의 걸림 위치는, 추진력 부재(16)가 다이어프램(13)을 통하여 밸브 시트(42)를 압압하는 위치 이외이면,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단, 걸림 위치는, 피스톤의 최대 변위 위치인 상사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position of the thrust member 16 can take any position as long as the thrust member 16 presses the valve seat 42 via the diaphragm 13.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sition is a top dead center, which is the maximum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piston.

고정측 걸림부(46)로서의 걸림공부(46a)의 위치는, 전술한 추진력 부재(16)의 걸림 위치에서의 걸림홈(45a)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대하여, 케이싱(2a)의 외주측 면에 설치된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46a as the fixed-side locking part 46 is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asing 2a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45a at the locking position of the thrust member 16 described above. It is installed on the side.

유지핀(47a)은, 오퍼레이터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55)와, 고정측 걸림부(46)인 케이싱(2a)의 걸림공부(46a)에 삽입되는 선단부(56)로 이루어진다. The retaining pin 47a includes a handle portion 55 held by an operator by hand, and a tip portion 56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portion 46a of the casing 2a, which is the fixed-side locking portion 46.

다음에 도 1, 도 2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지핀(47a)을 삽통(揷通)하여 피스톤(14)의 가동측 걸림부(45)를 케이싱(2a)의 고정측 걸림부(46)에 거는 동작 및 그 걸림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Next, based on Figs. 1 and 2,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taining pin 47a is inserted and the movable side engaging portion 45 of the piston 14 is fixed to the casing 2a. An operation of engaging the locking part 46 and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locking will be described.

본 예에서는, 추진력 부재(16)의 구동원의 일례로서, 에어 조작실(25)과 흡배기구(23)로 이루어지는 에어 구동원을 가지고 있다. 샤프트(19)에 형성된 흡배기구(23)로부터 압축 에어가 공급되면, 공급된 압축 에어는 분기구(分岐口)(48)를 통하여 에어 조작실(25)에 유입되고, 이로써, 에어 조작실(25) 내부의 공기압이 상승하고, 스프링(15)에 의한 가압력보다 우세하여 피스톤(14)을, 다이어프램(13)의 압압을 해제하는 상방향으로 밀어올린다. In this example, as an example of the drive source of the thrust member 16, an air drive source comprising an air operation chamber 25 and an intake/exhaust port 23 is provided. When compressed air is supplied from the intake and exhaust ports 23 formed in the shaft 19, the supplied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air operation chamber 25 through the branch opening 48, whereby the air operation chamber ( 25) The internal air pressure rises and is superior to the pressing force by the spring 15, and the piston 14 is pushed up in the upward direction to release the pressure of the diaphragm 13.

추진력 부재(16)는, 피스톤(14)과 연동하여 구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14)의 해제측인 상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추진력 부재(16)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측 걸림부(45)인 걸림홈(45a)과 고정측 걸림부(46)인 걸림공부(46a)의 위치가 일치하는 걸림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이 걸림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진력 부재(16)의 상사점의 위치이며, 이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propulsion member 16 has a structure to be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piston 14, the propulsion member 16 also moves upward and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piston 14 on the release side. The locking groove 45a, which is the side locking part 45, and the locking hole 46a, which is the fixed-side locking part 46, are stopped at the same lock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is locking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top dead center of the propulsion member 16, and is preferably this position.

추진력 부재(16)가 상방향 이동하면, 추진력 부재(16)의 볼(9)을 통한 디스크(12)에 대한 다이어프램(13)을 압압하는 하방향으로의 압압력이 없어져, 코일 스프링(33)에 의한 상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디스크(12)는 상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추진력 부재(16)의 상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디스크(12)와 일체의 출력축부(11)도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이어프램 피스(29)에 의한 다이어프램(13)으로의 압압력이 없어진다. When the thrust member 16 moves upward, the downward pressure pressing the diaphragm 13 against the disk 12 through the balls 9 of the thrust member 16 disappears, and the coil spring 33 The disk 12 is pressed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upward pressing force by. Therefore,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thrust member 16, the output shaft 11 integral with the disk 12 also moves upward, so that the pressing pressure to the diaphragm 13 by the diaphragm piece 29 Disappears.

다이어프램 피스(29)가 다이어프램(13)으로부터 이격되면, 다이어프램(13)은, 자체의 반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변형 이동하고, 밸브 시트(42)로부터 이격된 구위(舊位)의 형상으로 된다. 이 형상은, 다이어프램(13)이 밸브실 내부에 장착되고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형상이다. 다이어프램(13)이 이 형상으로 되어 있을 때, 다이어프램(13)과 밸브 시트(42)의 사이의 이격 거리는, 본 예에 있어서는, 0.3㎜ 내지 0.4㎜ 정도이다. When the diaphragm piece 29 is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13, the diaphragm 13 deforms and moves upward by its own reaction force, and becomes the shape of a ball spaced apart from the valve seat 42. This shape is a shape when the diaphragm 13 is mounted inside the valve chamber and no external force is acting on it. When the diaphragm 13 is in this shap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aphragm 13 and the valve seat 42 is about 0.3 mm to 0.4 mm in this example.

이와 같이 하여 추진력 부재(16)가 걸림 위치에 정지하여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가동측 걸림부(45)로서 추진력 부재(16)에 형성된 걸림홈(45a)과, 고정측 걸림부(46)로서 케이싱(2a)에 형성된 걸림공부(46a)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 부재인 유지핀(47a)의 선단부(56)를 케이싱(2a)의 외측에서 원통형 액추에이터(1a)의 구심 방향으로 삽입하여, 걸림공부(46a)를 관통시켜 걸림홈(45a)에 걸어맞춤으로써, 가동 부재인 추진력 부재(16)와 고정 부재인 케이싱(2a)을 서로 걸리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이와 같이 유지핀(47a)을 삽입하여, 추진력 부재(16)를 걸림 위치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In this way, whe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s stopped at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valve is opened, the locking groove 45a formed i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s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 45, and the fixed-side locking portion 46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holes 46a formed in the casing 2a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distal end 56 of the retaining pin 47a, which is a retaining member, is insert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casing 2a in the centripet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actuator 1a, penetrates the engaging hole 46a, and the engaging groove 45a By engaging with each other,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s the movable member and the casing 2a as the fixed member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in 47a is inserted in this way, and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s caught in the locking position.

추진력 부재(16)가 걸린 후, 에어 조작실(25)에 공급되고 있는 에어를 배기한다. 에어 조작실(25)의 에어 배기는, 전술한 에어 공급의 경우와 반대로, 샤프트(19)에 형성된 분기구(48)로부터 샤프트(19) 내부를 통하여 흡배기구(23)로부터 배기된다. 에어가 배기되면, 에어 조작실(25) 내부의 기압이 없어져, 스프링(15)에 의한 다이어프램(13)을 압압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추진력 부재(16)에 작용하지만, 전술한 유지핀(47a)의 삽입에 의해 추진력 부재(16)가 케이싱(2a)에 걸려져 있으므로, 다이어프램(13)이 밸브 시트(42)를 압압하는 것이 방지된다. After the thrust member 16 is engaged, the air supplied to the air operation chamber 25 is exhausted. The air exhaust from the air operation chamber 25 is exhausted from the intake/exhaust port 23 through the inside of the shaft 19 from the branch port 48 formed in the shaft 19, contrary to the case of air supply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is exhauste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air operation chamber 25 disappears, and the press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diaphragm 13 by the spring 15 acts on the propulsion member 16, but the aforementioned retaining pin 47a Since the thrust member 16 is caught in the casing 2a by insertion of ), the diaphragm 13 is prevented from pressing the valve seat 42.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핀(47a)이 삽입되어 추진력 부재(16)가 걸려져 있는 본 예에 있어서, 추진력 부재(16)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유지핀(47a)을 외측으로부터 분리해내면 된다. 유지핀(47a)의 손잡이부(55)를 손으로 잡아 케이싱(2a)으로부터 빼내면, 추진력 부재(16)의 케이싱(2a)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Subsequently, in this example in which the holding pin 47a is inserted and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s hook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the holding pin 47a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You can do it. When the handle portion 55 of the holding pin 47a is grabbed by hand and removed from the casing 2a, the locking force member 16 is released from the casing 2a.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유지핀(47a)을 빼내어 추진력 부재의 걸림을 해제하기 전에, 미리 에어 조작실(25)에 소정량의 에어를 공급하여 공기압을 주고 스프링(15)에 의한 가압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유지핀(47a)을 외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before the holding pin 47a is pulled out to release the locking force member,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supplied to the air operation chamber 25 in advance to give air pressure and the pressing force by the spring 15 is weakened. By doing so, it is also possible to reliably pull out the holding pin 47a from the outside.

걸림이 해제되면,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14)이 다이어프램(13)을 압압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구동하고, 그에 연동하여 추진력 부재(16)도 구동하고, 볼(9)을 통하여 밸브 구동용 출력축부(11)도 구동하고, 다이어프램 피스(29)가 다이어프램(13)을 압압하여 밸브 시트(42)에 압착(壓着)되어, 도 2에 나타낸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밸브(30)의 사용이 개시된다. When the locking is released, the piston 14 is pressed and driven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diaphragm 13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15, and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s also driven in connection therewith, and the ball 9 is driven. Through this, the output shaft portion 11 for driving the valve is also driven, and the diaphragm piece 29 presses the diaphragm 13 to be pressed against the valve seat 42, and the valve is in a closed state shown in FIG. 2. In this way, the use of the valve 30 is started.

그리고, 본 예의 경우, 유지핀(47a)의 손잡이부(55)가, 케이싱(2a)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오퍼레이터의 손에 의한 인출 또는 삽입 조작을 행하기 용이하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example, since the handle portion 55 of the holding pin 47a protrude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asing 2a, it is easy to perform a pull-out or insertion operation by the operator's hand.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나타내고, 이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3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par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mitted.

본 예에 있어서는, 추진력 부재(16)의 외주측 면의 적절한 위치에는, 가동측 걸림부(45)로서 단면이 반원 형상의 걸림홈(45a)이 형성되고, 액추에이터(1a)의 케이싱(2a)에는, 고정측 걸림부(46)로서 걸림공부(46b)가, 한 쌍의 서로 대항하는 위치에 2개소 형성되고, 그 한 쌍이 2조 형성되어 있다. 추진력 부재(16)가 걸림 위치로 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45a)과 상기 2조의 걸림공부(46b)의 위치가 일치한다. 도 3, 도 4에 있어서는, 고정측 걸림부(46)는, 2조의 걸림공부(46b)가 4개소 설치되고, 어느 1조에 유지핀(47b) 1개를 삽입하여 다른 쪽의 걸림공부(46b)로부터 관통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보다 안정화를 위해 양쪽의 조에 2개 삽입하여 관통시킬 수도 있다. In this example,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 locking groove 45a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s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 45 is formed, and the casing 2a of the actuator 1a Here, as the fixed-side locking portions 46, two locking hole portions 46b are formed in a pair of opposite positions, and two sets of the pair are formed. Whe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s in the locking position,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grooves 45a and the locking holes 46b of the two sets match. In Figs. 3 and 4, the fixing-side locking portion 46 has two locking hole portions 46b installed at four locations, and one holding pin 47b is inserted into one of the locking hole portions 46b on the other side. ), but for more stabilization, two can be inserted into both jaws and penetrated.

본 예에서는, 걸림홈(45a)은 추진력 부재(16)의 외주측 면을 일주하여 절결한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유지 부재(47)로서의 유지핀(47b)의 선단부(56)가, 한 쌍의 걸림공부(46b)의 한쪽을 관통하고, 걸림홈(45a)을 따라 추진력 부재(16)와 걸어맞추어지면서 진입하고, 다른 쪽의 걸림공부(46b)로부터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본 예에 의하면, 유지핀(47b)과 추진력 부재(16)와의 접촉 면적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보다 크다. 또한, 유지핀(47b)은, 케이싱(2)과 2개소의 걸림공부(46b)에서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추진력 부재(16)의 걸림과 비교하여, 추진력 부재(16)의 유지를, 더욱 안정되고 견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locking groove 45a is formed as a groove cut out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ide surface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nd the distal end 56 of the holding pin 47b as the holding member 47 is a pair of It penetrates one side of the locking hole portion 46b of, and enters while engaging with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long the locking groove 45a, and protrudes through the locking hole 46b on the other side.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olding pin 47b and the thrust member 16 is larger than the contact area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In addition, since the retaining pin 47b is held in a state penetrating through the casing 2 and the two locking holes 46b, compared to the locking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riving force The holding of the member 16 can be made more stable and solid.

본 예에서는, 걸림홈(45a)은 추진력 부재(16)의 외주측 면을 일주하여 절결한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유지 부재(47)로서의 유지핀(47b)의 선단부(56)가, 1조의 걸림공부(46b)의 양쪽을 관통하여 걸림홈(45a)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locking groove 45a is formed as a groove cut out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surface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nd the distal end 56 of the holding pin 47b as the holding member 47 is a set of Through both sides of the locking hole 46b, it can be detachably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45a.

추진력 부재(16)에 형성되는 걸림홈(45a)의 위치는, 추진력 부재(16)의 구동이나 밸브의 기능에 지장이 없는 위치이면 되고, 추진력 부재(16) 이외의 위치라도, 실시에 따라,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45a formed i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may be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or the function of the valve, and even at positions other tha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depending on implementation, It can take any position.

추진력 부재(16)의 걸림 위치는, 추진력 부재(16)가 다이어프램(13)을 통하여 밸브 시트를 압압하는 위치 이외이면,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단, 걸림 위치는, 피스톤의 최대 변위 위치인 상사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position of the thrust member 16 can take any position as long as the thrust member 16 presses the valve seat through the diaphragm 13.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sition is a top dead center, which is the maximum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piston.

고정측 걸림부(46)로서의 걸림공부(46b)의 위치는, 전술한 추진력 부재(16)의 걸림 위치에서의 걸림홈(45a)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대하여, 케이싱(2a)의 외주측 면에 형성된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46b as the fixed-side locking part 46 is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asing 2a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45a at the locking position of the thrust member 16 described above. Formed on cotton.

본 예에서의 유지핀(47b)을 삽통하여 추진력 부재(16)의 가동측 걸림부(45)를 케이싱(2a)의 고정측 걸림부(46)에 거는 동작 및 그 걸림을 해제하는 동작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In this example, an operation of inserting the retaining pin 47b to engage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 45 of the propulsion member 16 to the fixed-side locking portion 46 of the casing 2a and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locking are: I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나타내고, 이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5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 this example, the same par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mitted.

본 예에 있어서는, 추진력 부재(16)의 외주측 면의 적절한 위치에는, 가동측 걸림부(45)로서 원통형 액추에이터(1a)의 구심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뚫린 구멍 또는 관통된 구멍인 걸림공(45c)이 형성되고, 액추에이터(1a)의 케이싱(2a)에는, 고정측 걸림부(46)로서 걸림공부(46c)이, 상기 걸림공(45c)이 뚫린 구멍의 경우에는 1개소, 상기 걸림공(45c)이 관통된 구멍의 경우에는 한 쌍의 서로 대항하는 위치에 2개소 형성되어 있다. 추진력 부재(16)가 걸림 위치로 되었을 때, 상기 걸림공(45c)의 개구부(50)와 상기 1개소 또는 1조의 걸림공부(46c)의 위치가 일치한다. 도 5, 도 6에 있어서는, 관통된 구멍인 걸림공(45c)이 1개소 설치되어 걸림공부(46c)이 1조 형성되어 유지핀(47c) 1개를 삽입하여 추진력 부재(16) 및 케이싱(2a)을 관통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In this example,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hrust member 16, as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 45, a hole drilled in a straight lin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centripet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actuator 1a (45c) is formed, and in the casing (2a) of the actuator (1a), a locking hole (46c) as a locking-side locking part (46) is provided, and in the case of a hole through which the locking hole (45c) is drilled, one place, the locking. In the case of a hole through which the hole 45c is penetrated, a pair of holes are formed in two opposite positions. Whe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s brought into the locking position, the opening 50 of the locking hole 45c and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46c of the one or one set coincide. In Figs. 5 and 6, one locking hole 45c, which is a through hole, is provided to form a set of locking hole 46c, and one holding pin 47c is inserted to insert the driving force member 16 and the casing. It shows the state which penetrates 2a).

상기 걸림공(45c)이 뚫린 구멍인 경우에는, 유지핀(47c)의 선단부(56)가, 상기 걸림공부(46c)을 관통하여 유지핀(47c)과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질 수 있고, 상기 걸림공(45c)이 관통된 구멍인 경우에는, 유지핀(47c)의 선단부(56)가, 1조의 걸림공부(46c)의 한쪽을 관통하여 유지핀(47c)과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선단부(56)를 걸림공부(46c)의 다른 쪽으로부터 더 관통시켜 외측으로 돌출시켜도 되고, 관통시키지 않고 새로운 유지핀의 선단부(56)를 상기 걸림공부(46c)의 다른 쪽에 관통시켜, 유지핀(47c)을 상기 걸림공(45c)과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추어도 된다. In the case where the locking hole 45c is a hole, the tip portion 56 of the holding pin 47c penetrates the locking hole 46c and can be fitted detachably with the holding pin 47c. When the locking hole 45c is a through hole, the tip 56 of the holding pin 47c penetrates one of the set of locking holes 46c and is detachably fitted with the holding pin 47c. It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distal end 56 may be further penetra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hole 46c to protrude outward, and the distal end 56 of the new retaining pin may be pass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hole 46c without penetrating, The retaining pin 47c may be fitted detachably with the locking hole 45c.

또한, 상기 걸림공(45c)은 2개소 이상 형성해도 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공부(46c)도 복수 개소 형성하고 유지핀(47c)도 복수 개 사용해도 된다. In addition, two or more of the locking holes 45c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locking holes 46c may be formed in correspondence therewith, and a plurality of retaining pins 47c may be used.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추진력 부재(16)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회전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회전함으로써 걸림공부(46c)과 걸림공(45c)의 위치가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당한 회전 방지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propulsion member 16 is not shown, but a proper rotation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46c and the locking hole 45c from being shif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forc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 rotate. It is desirable to provide preventive means.

본 예에서는, 추진력 부재(16)의 걸림공(45c)에 유지핀(47c)의 선단부(56)가 삽입 또는 관통되어 있으므로, 유지핀(47c)과 추진력 부재(16)와의 접촉 면적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추진력 부재(16)의 걸림과 비교하여, 추진력 부재(16)의 유지를,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유지핀(47c)의 선단부가 추진력 부재(16)를 관통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크다. In this example, since the distal end 56 of the retaining pin 47c is inserted or penetrated into the engaging hole 45c of the thrust member 16,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taining pin 47c and the thrust member 16 is second Since the contact area in the embodiment is larger than the contact area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holding of the propulsion member 16 can be made more stable and robust compared to the engagement of the propulsion member 16 in the second embodiment. In particular, when the tip end of the retaining pin 47c penetrates the thrust member 16, the effect is large.

추진력 부재(16)에 형성되는 걸림공(45c)의 위치는, 추진력 부재(16)의 구동이나 밸브의 기능에 지장이 없는 위치이면 되고, 추진력 부재(16) 이외의 위치라도, 실시에 따라,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45c formed i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may be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or the function of the valve. Even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depending on implementation, It can take any position.

추진력 부재(16) 걸림 위치는, 추진력 부재(16)가 다이어프램(13)을 통하여 밸브 시트(42)를 압압하는 위치 이외이면,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단, 걸림 위치는, 피스톤의 최대 변위 위치인 상사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pelling force member 16 engaging position can take an arbitrary position as long as the propelling force member 16 presses the valve seat 42 via the diaphragm 13.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sition is a top dead center, which is the maximum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piston.

고정측 걸림부(46)로서의 걸림공부(46c)의 위치는, 전술한 추진력 부재(16)의 걸림 위치에서의 걸림공(45c)의 개구부(50)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대하여, 케이싱(2a)의 외주측 면에 설치된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portion 46c as the fixed-side locking portion 46 is the casing (with respec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ning portion 50 of the locking hole 45c at the locking position of the driving force member 16 described above)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2a).

본 예에서의 유지핀(47c)을 삽통하여 추진력 부재(16)의 가동측 걸림부(45)를 케이싱(2a)의 고정측 걸림부(46)에 거는 동작 및 그 걸림을 해제하는 동작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In this example,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retaining pin 47c to fasten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 45 of the thrust member 16 to the fixed-side locking portion 46 of the casing 2a, and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locking, I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7, 도 8은 제4 실시형태를, 도 9, 10은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와는 다른 구조의 액추에이터(1b)에 본 발명을 적용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의 실시형태이다. 7 and 8 show a fourth embodiment, and Figs. 9 and 10 show a fifth embodiment. These embodiments are embodiments of an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ctuator 1b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의 중앙 종선보다 좌측은, 유지핀이 삽입되어 피스톤이 걸린 상태를, 중앙 종선보다 우측은, 유지핀이 인출되어 피스톤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7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vertical line in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pin is inserted and the piston is engaged, and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vertical line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pin is pulled out and the piston is released.

액추에이터(1b)는, 케이싱(2b) 내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피스톤(14)을 가압하는 스프링(15)을 가지고,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밸브체인 다이어프램을 압압하는 하방향으로 피스톤(14)을 가압하고 있다. The actuator 1b has a spring 15 installed in the casing 2b to pressurize the piston 14 to be driven, and, as in the above embodiment, presses the piston 14 in a downward direction to press the valve chain diaphragm. Are doing.

본 예에 있어서는, 피스톤(14)의 적절한 위치에는, 가동측 걸림부(45)로서 걸림공(45d)이 한 쌍의 서로 대항하는 위치에 2개소 형성되고, 액추에이터(1b)의 케이싱(2b)에는, 고정측 걸림부(46)로서 걸림공부(46d)이 한 쌍의 서로 대항하는 위치에 2개소 형성되고, 추진력 부재(16)가 걸림 위치로 되었을 때, 상기 걸림공(45d)과 상기 걸림공부(46d)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치한다. 도 7에 있어서는, 고정측 걸림부(46)는, 본 예에서는 2개소 설치하여, 그 한쪽에 유지 부재(47)인 유지핀(47d)을 1개 삽입하고 있지만, 피스톤(14)의 걸림을 더욱 안정시키기 위해 양쪽의 고정측 걸림부(46)에 유지핀(47d)을 2개 삽입해도 된다. In this example, in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iston 14, two locking holes 45d as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s 45 are formed in a pair of opposite positions, and the casing 2b of the actuator 1b In the fixing side locking part 46, when the locking hole 46d is formed in a pair of opposite positions, and when the driving force member 16 is in the locking position, the locking hole 45d and the locking Instal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tudy (46d) matches. In FIG. 7, two fixed-side locking portions 46 are provided in this example, and one holding pin 47d, which is a holding member 47, is inserted into one of the fixing-side locking portions 46, but the piston 14 is not locked. In order to be more stable, two retaining pins 47d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side locking portions 46 on both sides.

본 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피스톤(14)의 위치가 걸림 위치로 되어 있을 때, 유지 부재인 유지핀(47d)의 선단부(56)를 케이싱(2b)의 외측에서 원통형 액추에이터(1b)의 구심 방향으로 삽입하여, 걸림공부(46d)을 관통시켜 걸림공(45d)에 끼워맞춤으로써, 가동 부재인 피스톤(14)과 고정 부재인 케이싱(2b)을 서로 걸리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이와 같이 유지핀(47d)을 2개 삽입하여, 피스톤(14)을 걸림 위치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피스톤(14)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유지핀(47d)을 외측으로부터 분리해내면 된다. 유지핀(47d)의 손잡이부(55)를 손으로 잡아 케이싱(2b)으로부터 빼내면, 피스톤(14)의 케이싱(2b)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In this examp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of the piston 14 is in the locking position, the distal end 56 of the retaining pin 47d, which is a retaining member, is cylindrically positioned outside the casing 2b. By inserting in the centripetal direction of the actuator 1b, passing through the locking hole 46d and fitting into the locking hole 45d, the piston 14 as the movable member and the casing 2b as the fixing member can be caught together. do.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wo retaining pins 47d are inserted in this way, and the piston 14 is caught in the locking position. Further, in order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piston 14, the retaining pin 47d may be removed from the outside. When the handle portion 55 of the retaining pin 47d is grabbed by hand and removed from the casing 2b, the locking of the piston 14 to the casing 2b is released.

피스톤(14)에 형성되는 걸림공(45d)의 위치는, 피스톤(14)의 구동이나 밸브의 기능에 지장이 없는 위치이면 되고, 피스톤(14) 이외의 위치라도, 실시에 따라,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45d formed in the piston 14 may be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of the piston 14 or the function of the valve. Even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piston 14, depending on implementation, an arbitrary position Can take.

피스톤(14)의 걸림 위치는, 피스톤(14)이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밸브 시트를 압압하는 위치 이외이면,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단, 걸림 위치는, 피스톤의 최대 변위 위치인 상사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position of the piston 14 can be any position, as long as the piston 14 presses the valve seat through the diaphragm.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sition is a top dead center, which is the maximum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piston.

고정측 걸림부(46)로서의 걸림공부(46d)의 위치는, 전술한 피스톤(14)의 걸림 위치에서의 걸림공(45d)의 개구부(50)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대하여, 케이싱(2b)의 외주측 면에 설치된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46d as the fixed-side locking part 46 is the casing 2b with respec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ning 50 of the locking hole 45d at the locking position of the piston 14 described above.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

본 예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유지핀으로 피스톤(14)을 걸리게 하고 있으므로, 1개의 유지핀(47a)과 추진력 부재(16)를 유지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경우와 비교하여, 유지핀에 가해지는 피스톤의 가압력이 분산되어 양호한 밸런스로 유지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스톤(14)이나 케이싱(2b)의 형상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장기적으로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지핀(47d)을 2개 가지므로, 뜻하지 않게 한쪽의 1개가 벗어나도, 다른 쪽의 1개의 유지핀으로 피스톤(14)의 걸림을 지속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xample, since the piston 14 is held by two retaining pins as shown in FIG. 8,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one retaining pin 47a and the thrust member 16 are held. In comparison, since the pressing force of the piston applied to the retaining pin can be dispersed and maintained in a good balance, the shape of the piston 14 or the casing 2b can be more stably held for a long time without damage. In addition, since two retaining pins 47d are provided, even if one of the retaining pins is accidentally deviated from one side, the piston 14 can be retained with one retaining pin on the other side.

도 9는,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중앙 종선보다 좌측은, 유지핀(54)이 삽입되고 피스톤(52)이 걸린 상태를, 중앙 종선보다 우측은, 유지핀(54)이 인출되어 피스톤(52)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4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9 shows a fifth embodiment. The left side of the center vertical line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pin 54 is inserted and the piston 52 is engaged, and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vertical line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pin 54 is pulled out and the piston 52 is released. In this example,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fourth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explanations are omitted.

본 예에 있어서는, 피스톤(14)의 적절한 위치에는, 가동측 걸림부(45)로서 반원 형상으로 피스톤(14)의 외주측 면을 절결한 걸림홈(45e)이 형성되고, 액추에이터(1b)의 케이싱(2b)에는, 고정측 걸림부(46)로서 걸림공부(46e)이 한 쌍의 서로 대항하는 위치에 2개소 설치되고, 그 한 쌍이 2조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14)이 걸림 위치로 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45e)과 상기 걸림공부(46e)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형성한다. 도 9에 있어서는, 고정측 걸림부(46)는, 본 예에서는 2조 설치하여, 그 한쪽에 유지 부재(47)인 유지핀(47e)을 1개 삽입하고 있지만, 피스톤(14)의 걸림을 더욱 안정시키기 위해 양쪽의 고정측 걸림부(46)에 유지핀(47e)을 2개 삽입해도 된다. In this example,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iston 14, as the movable-side locking portion 45, a locking groove 45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ide surface of the piston 14 is cut in a semicircular shape is formed, and the actuator 1b In the casing 2b, two locking hole portions 46e are provided as a fixed-side locking portion 46 in a pair of opposing positions, and two pairs of the locking hole portions 46e are formed, and the piston 14 is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When it is,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45e and the locking hole 46e are formed to match. In Fig. 9, two sets of fixing-side locking portions 46 are provided in this example, and one holding pin 47e, which is a holding member 47, is inserted into one of the fixing-side locking portions 46, but the piston 14 is not locked. In order to be more stable, two retaining pins 47e may be inserted into the fixed-side locking portions 46 on both sides.

본 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피스톤(14)의 위치가 걸림 위치로 되어 있을 때, 유지 부재인 유지핀(47e)의 선단부(56)를 케이싱(2b)에 삽입하여, 걸림공부(46e)을 관통시켜 걸림홈(45e)에 걸어맞춤으로써, 가동 부재인 피스톤(14)과 고정 부재인 케이싱(2b)을 서로 걸리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이와 같이 유지핀(47e)을 2개 삽입하여, 피스톤(14)을 걸림 위치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피스톤(14)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유지핀(47e)을 외측으로부터 분리해내면 된다. 유지핀(47e)의 손잡이부(55)를 손으로 잡아 케이싱(2b)으로부터 빼내면, 피스톤(14)의 케이싱(2b)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In this example as well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of the piston 14 is in the locking position, the distal end 56 of the retaining pin 47e as a retai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asing 2b, By passing through the locking hole 46e and engaging the locking groove 45e, the piston 14 as the movable member and the casing 2b as the fixing member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wo retaining pins 47e are inserted in this way, and the piston 14 is caught in the locking position. Further, in order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piston 14, the retaining pin 47e may be removed from the outside. When the handle portion 55 of the retaining pin 47e is grabbed by hand and removed from the casing 2b, the locking of the piston 14 to the casing 2b is released.

피스톤(14)에 형성되는 걸림공(45e)의 위치는, 피스톤(14)의 구동이나 밸브의 기능에 지장이 없는 위치이면 되고, 피스톤(14) 이외의 위치라도, 실시에 따라,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45e formed in the piston 14 may be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of the piston 14 or the function of the valve, and even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piston 14, depending on implementation, an arbitrary position Can take.

피스톤(14)의 걸림 위치는, 피스톤(14)이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밸브 시트를 압압하는 위치 이외이면,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단, 걸림 위치는, 피스톤의 최대 변위 위치인 상사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position of the piston 14 can be any position, as long as the piston 14 presses the valve seat through the diaphragm.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sition is a top dead center, which is the maximum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piston.

고정측 걸림부(46)로서의 걸림공부(46e)의 위치는, 전술한 피스톤(14)의 걸림 위치에서의 걸림홈(45e)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대하여, 케이싱(2b)의 외주측 면에 설치된다.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46e as the fixed-side locking part 46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ing 2b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45e at the locking position of the piston 14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유지핀으로 피스톤(14)을 걸리게 하고 있으므로, 1개의 유지핀(47b, 47c)으로 추진력 부재(16)를 유지하는 제2,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우와 비교하여, 유지핀에 가해지는 피스톤의 가압력이 분산되어 양호한 밸런스로 유지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스톤(14)이나 케이싱(2b)의 형상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장기적으로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지핀(47e)을 2개 가지므로, 뜻하지 않게 한쪽의 1개가 벗어나도, 다른 쪽의 1개의 유지핀으로 피스톤(14)의 걸림을 지속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piston 14 is held by two retaining pins, so the second and third implementations of holding the thrust member 16 with one retaining pin 47b, 47c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shape, since the pressing force of the piston applied to the holding pin can be dispersed and maintained in a good balance, the shape of the piston 14 or the casing 2b is more stable and long-term without damage. You can take it. In addition, since two retaining pins 47e are provided, even if one of the retaining pins is accidentally deviated from one side, the other retaining pin can keep the piston 14 engaged.

도 11, 도 12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1의 (a), 도 12의 (a)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이어프램 밸브의 종단면도, 도 11의 (b), 도 12의 (b)는, 도 11의 (a), 도 12의 (a)에서의 액추에이터의 일부 생략된 세로 중앙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11 and 12 show a sixth embodiment of the high 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A and 12A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of the diaphragm valve in this embodiment. 11(b) and 12(b) are vertical centr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ctuators in FIGS. 11(a) and 12(a), partially omitt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용 액추에이터(60)는, 내부에 피스톤 기구(61)와, 배력 기구(62)를 가지고 있다. The actuator 60 for valves in this embodiment has a piston mechanism 61 and a boosting mechanism 62 inside.

피스톤 기구(61)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싱(70)과, 이 케이싱(70)에 삽착(揷着) 가능한 대략 원통형의 피스톤(71)을 가지고, 케이싱(70) 내에 O링(72)을 통하여 피스톤(71)이 삽착되고, 케이싱(70) 상부에 설치된 흡배기구(23)로부터의 흡기 및 배기에 의해 피스톤(71)이 케이싱(70) 내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케이싱(70)의 하부에는 개구부(73)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73)에는 암나사(74), 환형(環形)의 걸림 스텝부(段部)(75)가 형성된다. 케이싱(70)에는, 개구부(73)에서 케이스(76), 베이스(77)가 장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77)에는 캡(78)이 장착되고, 이 캡(78)을 통하여 밸브 보디(79)가 장착된다. The piston mechanism 61 has a casing 70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substantially cylindrical piston 7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asing 70, and an O-ring 72 is placed in the casing 70. Through the piston 71 is inserted, the piston 71 is installed so as to reciprocate while sliding in the casing 70 by intake and exhaust from the intake and exhaust ports 23 installed on the casing 70. An opening 73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70, and a female screw 74 and an annular locking step 75 are formed in the opening 73. The casing 70 is provided so that the case 76 and the base 77 can be attached through the opening 73. Further, a cap 78 is mounted on the base 77, and the valve body 79 is mounted through the cap 78.

배력 기구(62)는, 피스톤(71), 승강체(80), 캠(81), 스프링(82), 롤러(83), 출력축부(84)를 가지고, 승강체(80), 캠(81), 스프링(82), 출력축부(84)의 상부가 장착용의 케이스(76)에 장착되고, 승강체(80)가 케이스(76) 내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83)는 피스톤(71)에 장착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른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면서 피스톤(71)의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캠(81)을 동작시키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력 기구(62)를 통하여, 다이어프램 밸브는, 피스톤 기구(61)의 동작에 따라 다이어프램 피스(29)에 의해, 다이어프램(13)을 밸브 시트(42)에 압압하여 밸브를 폐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boosting mechanism 62 has a piston 71, a lifting body 80, a cam 81, a spring 82, a roller 83, an output shaft portion 84, and a lifting body 80, a cam 81 ), the spring 8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put shaft portion 84 are mounted on the mounting case 76, and the lifting body 80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the case 76. The roller 83 is mounted on the piston 71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to operate the cam 81 in conjunc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71 while using the so-called lever principle. Through such a boosting mechanism 62, the diaphragm valve is configured to close the valve by pressing the diaphragm 13 against the valve seat 42 by the diaphragm piece 29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iston mechanism 61. Has been.

배력 기구(62)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76)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싱(70)의 개구부(73)보다 베이스(77)의 상면에 탑재된 상태로 걸림 스텝부(75)에 건 상태에서 케이싱(70)에 장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원판형 케이스(76)의 직경 방향으로는, 승강체(80) 및 캠(81)을 장착하기 위한 직선형의 홈부(90)가 형성되고, 이 홈부(90)의 길이 방향의 양단 측의 바닥부에는, 연통공(91)이 외주면(外周面)에 관통하여 설치된다. In the boosting mechanism 62, as shown in Fig. 13, the case 7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77 rather than the opening 73 of the casing 70, and the engaging step I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attached to the casing 70 in the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part 75.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sk-shaped case 76, a straight groove portion 90 for mounting the lifting body 80 and the cam 81 is formed, and the bottom portion at both ends of the groove portion 9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the communication hole 91 penetrate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provided.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공(91)에는, 케이싱(70)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92)을 통하여 유지핀으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93)가 삽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지핀(93)은, 삽입공(92)으로의 삽입 시에 승강체(80)의 바닥면(80a)이 접촉 가능한 길이로 설치되고,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핀(93)의 외단 측에는 손가락으로 잡는 것이 가능한 절곡부(94)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4, in the communication hole 91, a holding member 93 made of a holding pin is inserted so as to be inserted through an insertion hole 92 formed through the casing 70. The retaining pin 93 is provided with a length that allows the bottom surface 80a of the lifting body 80 to contact whe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92, and as shown in FIG. 11(a), the retaining pin ( A bent portion 94 that can be held by a finger is formed on the outer end side of 93).

케이스(76)의 홈부(90)의 중앙에는, 출력축부(84)의 상단부를 삽통(揷通) 가능한 관통공(95)이 형성되고, 홈부(90)의 양측 부근에는, 이 홈부(90)와의 직교 방향으로 2개의 연통공(96)이 외주면에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연통공(96)에는 핀 부재(97)가 삽입되고, 이 핀 부재(97)는, 케이스(76)의 상면측으로부터 각각의 연통공(9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워넣어지는 멈춤핀(98)에 의해 양단이 위치결정되고, 연통공(96)에 이탈 방지 상태로 삽입장착된다.In the center of the groove portion 90 of the case 76, a through hole 95 capable of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output shaft portion 84 is formed, and near both sides of the groove portion 90, the groove portion 90 Two communication holes 96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nd. A pin member 97 is inserted into each communication hole 96, and the pin member 97 is a stop pin insert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communication hole 96 from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ase 76 Both ends are positioned by 98, and ar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communication hole 96 in a state of preventing separation.

케이스(76)의 직경 방향에서의 홈부(90)와의 직교 위치에는, 스프링(82)을 삽입 가능한 바닥이 있는 구멍(99)이 대향하여 2개소에 형성되고, 이들 바닥이 있는 구멍(99)에 스프링(82)의 일측부가 삽입된다.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groove portion 90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se 76, a bottomed hole 99 into which the spring 82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wo opposite positions, and the bottomed hole 99 One side of the spring 82 is inserted.

승강체(80)는, 예를 들면, 합금 공구강 등의 금속에 의해 대략 장방체(長方體) 형상으로 설치되고, 홈부(90)의 중앙 위치에 장입(裝入)된다. 도 11에 있어서, 승강체(80)의 바닥면 측은 중앙을 정상부(頂部)(80b)로 한 산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정상부(80b)에 관통공(95)으로부터 삽통된 출력축부(84)의 선단이 맞닿는다. 승강체(8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기구(61)의 상하 방향의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이 상하 이동에 의해 출력축부(84)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The elevating body 80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by metal such as alloy tool steel, and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groove portion 90. In Fig. 11,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lifting body 80 is formed in a mountain shape with the center as a top portion 80b, and an output shaft portion 84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95 in the top portion 80b. The tip of the is touching.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ifting body 80 is mounted so as to move vertically in conjunc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mechanism 6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ovided so as to move the output shaft portion 84 vertically by this vertical movement.

도 11의 (a), 도 12의 (a)에 있어서, 캠(81)은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76)에 대한 장착측에 장착공(100), 이 장착공(100)의 타단부 측에 롤러(83)를 걸림 가능한 걸림편(101)이 설치된다. 2개의 캠(81, 81)은, 케이스(76)의 중심에 대칭으로 승강체(80)의 위로부터 홈부(90)에 장입(裝入)되도록 장착되고, 장착공(100)에 상기 핀 부재(97)가 삽입되어 홈부(90)에 이탈 방지 상태로 되고, 핀 부재(97)에 의해 케이스(76)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된다. 캠(81)의 승강체(80) 측에는, 이 승강체(80)의 양단 상부의 코너 부위가 걸리는 걸림 오목부(102)가 형성되고, 이 걸림 오목부(102)와 승강체(80)와의 걸림에 의해, 캠(81)의 회동에 따라 그 범위가 규제되면서 승강체(80)가 승강 동작하게 되어 있다. In Figures 11 (a) and 12 (a), the cam 81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L-shape, the mounting hole 100 on the mounting side to the case 76, the mounting hole 100 A locking piece 101 capable of engaging the roller 83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The two cams 81 and 81 are mounted symmetrically to the center of the case 76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90 from the top of the lifting body 80, and the pin member in the mounting hole 100 97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90 to prevent separation, and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ase 76 by the pin member 97. On the side of the elevating body 80 of the cam 81, a locking concave portion 102 is formed in which the corner portions of the upper both ends of the elevating member 80 are caught, and the locking concave portion 102 and the elevating member 80 are formed. Due to the locking, the range is regul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81, and the lifting body 80 is moved up and down.

도 14에 있어서, 스프링(8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76)의 바닥이 있는 구멍(99)에 일측부가 삽입되고, 한편, 이 스프링(82)의 타단부는, 도 11의 (b),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피스톤(71)의 바닥면 측에 맞닿는다. 이로써, 스프링(82)은, 피스톤(71) 내의 2개소에 배치되고, 피스톤 기구(61)로부터의 압축 에어 배기 시에, 피스톤(71)을 동 도면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탄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In Fig. 14, the spring 82 has one side inserted into the bottomed hole 99 of the case 76,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other end of the spring 82 is shown in Fig. 11(b). ), as shown in Fig. 12(b), abuts against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piston 71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reby, the spring 82 is disposed at two places in the piston 71, and is provided so as to urge the piston 71 upward in the figure when the compressed air is exhausted from the piston mechanism 61.

각 스프링(82, 82)은, 우측 감기, 좌측 감기로 설치되고, 이와 같이 상호의 감는 방향이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Each of the springs 82 and 82 is provided with a right-hand winding and a left-hand winding, and thus mutual winding directions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도 14에 나타낸 롤러(83)는, 도 11의 피스톤(71) 내의 캠(81)과의 걸림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2개소 설치되고, 피스톤(71)의 왕복이동에 따라 이 피스톤(71)과 일체로 상하 이동하게 되어 있다. 롤러(83)는, 피스톤(7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캠(81)의 걸림편(101)이 걸리고, 이 롤러(83)의 이동 시에는, 피스톤(71)의 왕복이동 시의 캠(81)과의 마찰 저항이 적어진다. The rollers 83 shown in FIG. 14 are installed in two horizontal directions at the engaging positions with the cam 81 in the piston 71 of FIG. 11, and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71, the piston 71 It moves up and down integrally. When the roller 83 is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piston 71, the locking piece 101 of the cam 81 is caught, and when the roller 83 is moved, when the piston 71 is reciprocated.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cam 81 is reduced.

출력축부(84)는, 승강체(80)와 다이어프램 피스(29)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도 11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탄발 가압되고 있다. 이로써, 전술한 승강체(80)가 하방향으로부터 캠(81) 측으로 압압되고, 이 캠(81)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승강체(80)가 승강 이동될 때는, 이 승강 이동에 따라 출력축부(84)도 일체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때, 승강체(80)의 상승 동작에 의해 출력축부(84)가 상방향으로 이동했을 때는, 다이어프램 피스(29)도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이어프램(13)이 밸브 개방 상태로 되고, 한편, 승강체(80)가 하강 동작하여 출력축부(84)가 하방향으로 이동했을 때는, 다이어프램 피스(29)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다이어프램(13)이 밸브 개방 상태로 변형된다. 이 때, 상기 승강체(80)의 바닥면(80a) 측이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출력축부(84)가 이 바닥면(80a) 측에 의해 조심(調心)되면서 상하 이동되어, 다이어프램(13)이 균등하게 압압됨으로써 밸브 시트(42)에 균일하게 실링된다. 이로써, 밸브 폐쇄 시의 실링성(sealing characteristic)이 향상된다. The output shaft portion 84 is provided between the lifting body 80 and the diaphragm piece 29, and is elastically pressed upward in FIG. 11 by a coil spring 33. Thereby, when the above-described lifting body 80 is pressed toward the cam 81 from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lifting body 80 is lifted and mov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81, the output shaft portion ( 84) is also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t this time, when the output shaft portion 84 is moved upward due to the raising operation of the lifting body 80, the diaphragm piece 29 also moves upward so that the diaphragm 13 is in the valve open state. When the lifting body 80 moves downward and the output shaft portion 84 moves downward, the diaphragm 13 is deformed into the valve open state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diaphragm piece 29. At this time, since the bottom surface (80a) side of the lifting body (80) is formed in a mountain shape, the output shaft portion (84) is moved up and down while being careful by the bottom surface (80a) side, and the diaphragm When 13 is pressed evenly, it is uniformly sealed to the valve seat 42. Thereby, the sealing characteristic at the time of valve closing is improved.

도 11의 배력 기구(62)에 있어서, 피스톤 기구(61)에 압축 에어를 공급하여 피스톤(71)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는, 롤러(83)의 아래쪽 이동에 의해 이 롤러(83)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탄발된 2개의 캠(81, 81)이, 외측 방향으로의 회전, 즉 승강체(80)의 압압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승강체(80)가 상승 이동한다. 이로써, 출력축부(84), 다이어프램 피스(29)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이어프램(13)이 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변형 이동한다. In the boosting mechanism 62 of FIG. 11, when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piston mechanism 61 to move the piston 71 down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83 is moved downward by the roller 83 The two cams 81, 81, which are urged by the coil spring 33 along the way, rotate in an outward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to relieve the pressure of the lifting body 80, and the lifting body 80 Move upward. As a result, the output shaft portion 84 and the diaphragm piece 29 move upward, and the diaphragm 13 deforms and moves upward by magnetic force.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배력 기구(62)를 통하여 승강체(8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는, 이 승강체 바닥면(80a) 측과, 이 바닥면(80a)이 전폐 시에 맞닿는 케이스(76)의 고정측 맞닿은 면(105)과의 사이에는 간극(G)이 생긴다. 이 간극(G)은, 피스톤(71)을 하사점으로 이동시켰을 때 최대로 되고, 이 상태에 있어서 케이싱(70)의 외측에서 삽입공(92)으로부터 유지핀(93)을 삽입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삽입공(92)으로부터 유지핀(93)을 꽂음으로써, 승강체(80)의 해제 측으로의 이동 시에 있어서 승강체 바닥면(80a)에 유지핀(93)을 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승강체 바닥면(80a)이 중앙을 향해 경사져 있으므로, 이 경사에 의해 유지핀(93)이 안내되어 용이하게 삽입 가능해진다. As shown in Fig. 11, when the lifting body 80 is moved upwardly through the boosting mechanism 62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iston, the lifting body bottom surface 80a side and the bottom surface 80a A gap G is formed between the fixed side abutting surface 105 of the case 76 abutting when) is fully closed. This clearance G becomes maximum when the piston 71 is moved to the bottom dead center, and in this state, the retaining pin 93 can be inserted from the insertion hole 92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70. By inserting the retaining pin 93 from the insertion hole 92 in this state, it becomes possible to attach the retaining pin 93 to the bottom surface 80a of the lifting body when moving to the release side of the lifting body 80. . At this time, since the bottom surface 80a of the elevator body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the holding pin 93 is guided by this inclination, and can be easily inserted.

이와 같이, 다이어프램 밸브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승강체(80)의 해제 측으로의 이동 시에 유지핀(93)에 의해 승강체(80)를 거는 것에 의해, 출력축부(84), 다이어프램 피스(29)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다이어프램(13)을 자력으로 상방향으로 변형시킨 상태에 있어서, 이 다이어프램(13)과 밸브 시트(42)와의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지핀(93)를 꽂은 후에 에어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도 간극(G)이 확보되고, 이로써, 다이어프램(13)이 밸브 시트(42)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다이어프램(13)의 마모나 열화가 방지되어, 밸브 시트(42)에도 부하를 걸지 않고 장기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losed state of the diaphragm valve, the output shaft portion 84 and the diaphragm piece 29 are fastened by the holding pin 93 when the lifting body 80 is moved to the release side. ) Is moved upward and the diaphragm 13 is deformed upward by magnetic force, so that the non-contact state of the diaphragm 13 and the valve seat 42 can be maintained. Therefore, even when the supply of air is stopped after the retaining pin 93 is inserted, the gap G is secured, thereby preventing the diaphragm 13 from contacting the valve seat 42. Therefore, abrasion or deterioration of the diaphragm 13 is prevented, and long-term storage without applying a load to the valve seat 42 is possible.

한편, 다이어프램 밸브의 사용 시에 있어서는, 유지핀(93) 외단의 절곡부(94)를 잡고 케이싱(70)의 외측에서 빼내도록 하면 되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핀(93)에 의한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승강체(80)가 하강 이동하고, 통상의 밸브 폐쇄 시에는 고압용 자동 NC 타입의 다이어프램 밸브로서 부식성 유체 등의 누출을 막아, 밸브 개방 시에는 배력 기구(62)를 통하여 다이어프램(13)이 동작시켜 미세한 유량(流量) 제어를 행한 경우에도, 소정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diaphragm valve, it is sufficient to hold the bent portion 94 of the outer end of the retaining pin 93 and pull it out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70. As shown in FIG. 12, the retaining pin 93 When the lock is released, the lifting body 80 moves downward, and when the valve is normally closed, it is an automatic NC type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to prevent leakage of corrosive fluids, etc. Even when (13) is operated and fine flow control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flow path can be secured.

이와 같이 승강체(80)를 사용한 배력 기구(62)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실시형태의 액추에이터에서는, 에어를 공급하여 피스톤(71)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승강체(80)를 상승 동작시켜 밸브 개방 상태로 하고, 한편, 에어를 배기하여 피스톤(71)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켰을때 스프링(82)의 탄발력으로 승강체(80)를 하방향으로 압압하여 밸브 폐쇄 상태로 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Since the boosting mechanism 62 using the lifting body 80 is provided in this way, in the actuator of this embodiment, when the piston 71 is moved downward by supplying air, the lifting body 80 is lifted.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valve is closed by pressing the elevator body 80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82 when the valve is opened and the piston 71 is moved upward by exhausting air. Has been.

또한, 베이스(77)는, 케이스(76)와 대략 같은 직경의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외주측에는 암나사(74)와 나사장착하는 수나사(106)가 형성되고, 상부 내주측에는 캡(78) 장착용의 자형(雌形) 나사(107)와, 이 자형 나사(107)에 이어서 하방측에 환형 오목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77)는, 케이스(76)가 끼워넣어진 케이싱(70)의 개구부(73) 측으로부터 암나사(74)에 수나사(106)를 통하여 나사장착되고, 이 베이스(77)에 의해 케이스(76)가 케이싱(70) 내의 걸림 스텝부(75)에 의해 위치 결정 고정된다. 이 때, 베이스(77)의 최외주(外周)에 형성된 수나사(106), 케이싱 개구부(73)에 형성된 확경형(擴徑形)의 암나사(74)가 나사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체결력이 강해지고, 이로써, 덜거덕거림의 발생이 방지되어 액추에이터의 제작 시에 케이스(76)가 움직여 진동이나 이상음(異音)을 발생시키지 않아, 피스톤(71)의 슬라이딩 이동도 원활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base 77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of the same diameter as the case 76, a female screw 74 and a male screw 106 for screwing are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side, and the cap 78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side. Following the mounting screw 107 and the screw 107, an annular recess 108 is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base 77 is screw-mounted to the female screw 74 through the male screw 106 from the opening 73 side of the casing 70 in which the case 76 is inserted, and the case 76 ) Is positioned and fixed by the engaging step portion 75 in the casing 70. At this time, the male screw 106 formed on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base 77 and the enlarged female screw 74 formed in the casing opening 73 are screwed together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Thereby, the occurrence of rattle is prevented, the case 76 moves during manufacture of the actuator and does not generate vibration or abnormal sound,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iston 71 is smooth.

베이스(77)의 하부 외주(外周)의 3개소에는, 자형 나사부(110)가 120°간격으로 균등하게 형성되고, 이 자형 나사부(110)에 멈춤 나사(111)가 나사장착된다. In three places on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base 77, the shaped threaded portions 110 are formed equally at intervals of 120°, and the set screws 111 are screwed to the shaped threaded portions 110.

캡(78)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베이스의 자형 나사(107)에 나사장착 가능한 수나사(112)와, 이 수나사(112)에 이어서 환형 오목부(108)에 끼워맞춤 가능한 환형 볼록부(113)가 형성되고, 캡(78)의 하부에는 밸브 보디(79)에 형성된 암나사부(114)에 나사장착하는 수나사부(115)가 형성된다. 캡(78) 중앙에는, 출력축부(84) 삽입용의 삽입공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The cap 7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t the top, a male screw 112 that can be screwed to the male screw 107 of the base, and an annular convex portion that can be fitted to the annular recess 108 following the male screw 112 113 is form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78 is formed with a male threaded portion 115 that is screwed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14 formed in the valve body 79. In the center of the cap 78, an insertion hole 116 for inserting the output shaft portion 84 is formed.

이 경우, 캡(78)의 수나사(112)와 상기 베이스(77)의 자형 나사(107)가,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액추에이터 동작 시의 추진력이 이들 수나사(112)와 자형 나사(107)에 가해졌을 때에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정된 동작이 가능해진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le screw 112 of the cap 78 and the shaped screw 107 of the base 77 are formed in a large diameter. When formed in this way, even when the driving force during actuator operation is applied to the male screw 112 and the shape screw 107, sufficient strength can be ensured, and stable operation becomes possible.

캡(78)은, 3개의 멈춤 나사(111)에 의해 베이스(77)의 외주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고, 이들 멈춤 나사(111)에 의해 베이스(77)에 용이하게 고정 가능해지고, 3개소에서 견고하게 심출(心出)하면서 장착됨으로써, 체결 후에 베이스(77)에 대하여 캡(78)이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77)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멈춤 나사(111)를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다이어프램 밸브가 배관 등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 배관이나 밸브 보디(79) 등이 방해가 되지 않고, 베이스(77)에 대한 캡(78)의 나사삽입 상태를 조절하여 스트로크 조정을 행한 후, 멈춤 나사(111)에 의해 간단하게 이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The cap 78 is fix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ase 77 by three set screws 111, and can be easily fixed to the base 77 by means of these set screws 111, and is rigid in three places. The cap 78 is not shaken with respect to the base 77 after fastening by being mounted while being deeply extended. In addition, since the set screw 111 is fastened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77, even when the diaphragm valve is attached to a pipe or the like, the pipe or the valve body 79 does not interfere, and the base 77 After the stroke adjustment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screwing state of the cap 78 to the base, they can be easily fixed by means of a set screw 111.

이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에서의 배력 기구(62)는, 승강체(80)와 캠(81)과의 걸림에 의해 동작하는 구조로서, 승강체(80)가 슬라이딩 이동을 따라 승강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부인 피스톤(71)에 유지핀(93)을 걸지 않기 때문에, 피스톤(71)에 부하가 걸리지 않아, 피스톤(71) 외면이나 케이싱(70) 내면에 상흔이나 버(burr)가 발생할 우려가 없다. 그러므로, 피스톤(71)의 슬라이딩 이동 시에 유지핀(93)에 의한 상흔이나 버 등에 의해 O링(72)이 손상되거나 작동 불량이 생기지 않는다. 이로써, 나아가서는 케이싱(70)을 알루미늄 등의 연질 재료로 형성하여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이 경우에도 유지핀(93)에 의해 상처나 버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The boosting mechanism 62 in the diaphragm valve of this embodiment is a structure that is operated by engagement between the lifting body 80 and the cam 81, and the lifting body 80 does not lift and descend along the sliding movement. Since the retaining pin 93 is not attached to the moving part, the piston 71 does not apply a load to the piston 71, so there is no fear of scars or bur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ston 71 or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70. . Therefore,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iston 71, the O-ring 72 is not damaged or malfunction due to scars or burrs caused by the retaining pin 93.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overall weight by forming the casing 70 from a soft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even in this case, scratches or burrs are not caused by the retaining pin 93.

도 12의 배력 기구(62)에 있어서, 피스톤 기구(61)의 압축 에어를 배기했을 때는, 스프링(82)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71)이 상방향으로 동작하고, 롤러(83)가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2개의 캠(81, 81)이 내측 방향으로의 회전, 즉 승강체(80)를 하강 이동시켜 부하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승강체(80)의 이동에 의해, 출력축부(84), 다이어프램 피스(29)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이어프램 피스(29)에 의해 다이어프램(13)이 밸브 시트(42)에 착석하여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이 때, 배력 기구(62)가 캠을 사용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승강체(80)를 강하게 압압하는 기구이므로, 다이어프램(13)을 밸브 시트(42)에 강하게 가압하여 고압 유체의 경우에도 확실하게 누출을 방지한다. In the boosting mechanism 62 of Fig. 12, when the compressed air of the piston mechanism 61 is exhausted, the piston 71 moves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82, and the roller 83 moves upward. By moving to, the two cams 81 and 81 rotate in the inward direction, that is,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fting body 80 is moved downward and a load is applied. By the movement of the lifting body 80, the output shaft portion 84 and the diaphragm piece 29 move downward, and the diaphragm 13 seats on the valve seat 42 by the diaphragm piece 29 to close the valve.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boosting mechanism 62 is a mechanism that strongly presses the lifting body 80 using the principle of a lever using a cam, the diaphragm 13 is strongly pressurized against the valve seat 42, even in the case of high-pressure fluid. Make sure to prevent leakage.

피스톤(71)에는 상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82)이 2개소에 설치되고, 이들 스프링(82)의 상호의 감는 방향이 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스프링(82)의 압축 시에 우측 감기와 좌측 감기와의 합쳐진 저항에 의해 피스톤(71)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캠(81)과 홈부(90)와의 마찰에 의한 서로의 간섭이 억제되고, 피스톤(71)의 스트로크가 큰 경우에도 스프링(82) 압축 시의 뒤틀림에 의한 피스톤(71)의 회전이 방지되어, 캠(81)과 홈부(90)와의 마찰에 의한 작동 불량이나 수명 저하의 위험성도 회피된다. 또한, 피스톤(71)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다이어프램 밸브를 고정밀도로 개방 제어 가능하게 된다. The piston 71 is provided with springs 82 that repulse upwardly in two places, and the winding directions of these springs 82 are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when the spring 82 is compressed, it is wound right. The rotation of the piston 71 is prevented by the combined resistance between the and left winding. Therefor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am 81 and the groove 90 is suppressed, and even when the stroke of the piston 71 is large, rotation of the piston 71 due to distortion during compression of the spring 82 is prevented. As a result, the risk of operation failure or reduction in lif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am 81 and the groove 90 is also avoided.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piston 71 is performed accurate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diaphragm valve with high precision.

그리고, 승강체(80)는, 에어의 공급에 의해 동작하는 피스톤(71)의 상하 이동에 따라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고 밸브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다이어프램 밸브가, 승강체 바닥면(80a)에 유지핀(93)을 외부로부터 걸리게 하여, 다이어프램 피스(29)의 하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여 다이어프램(13)의 마모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그러므로, 승강체(80)는 반드시 출력축부(84)나 다이어프램 피스(29)와 별체일 필요는 없고, 이들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lifting body 80 may be on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valve without sliding from the insid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71 operated by the supply of air, and the diaphragm valve is the elevator bottom surface 80a Anything capable of preventing the diaphragm 13 from abrasion or deterioration can be prevented by locking the retaining pin 93 from the outside to restric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diaphragm piece 29. Therefore, the lifting body 8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separate from the output shaft portion 84 or the diaphragm piece 29, and they may be provided integrally.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70)에 형성한 삽입공(92)으로부터 유지핀(93)을 삽입하고 있지만, 승강체 바닥면(80a)에 생기는 간극(G)에 삽입하여 승강체(80)를 밸브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삽입 부분을 홈형 등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되고, 한편, 유지 부재를 플레이트형이나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retaining pin 93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92 formed in the casing 70, but it is inserted into the gap G formed in the floor surface 80a of the elevator body 80. As long as) can be held in the valve open state,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or the like, while the hold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r other shape.

1a, 1b; 액추에이터
2a, 2b; 케이싱
4; 보디
10; 배력 기구
13; 다이어프램
14; 피스톤
15, 82; 스프링
16; 추진력 부재
42; 밸브 시트
45; 가동측 걸림부
45a, 45b, 45e; 걸림홈
45c, 45d; 걸림공
46; 고정측 걸림부
46a, 46b, 46c, 46d, 46e; 걸림공부
47; 유지 부재
47a, 47b, 47c, 47d, 47e; 유지핀
80; 승강체
80a; 승강체 바닥면
93; 유지핀(유지 부재)
94; 절곡부
G; 간극
1a, 1b; Actuator
2a, 2b; Casing
4; Bodybuilder
10; A booster
13; Diaphragm
14; piston
15, 82; spring
16; Lack of momentum
42; Valve seat
45; Movable side locking part
45a, 45b, 45e; Jamming groove
45c, 45d; Jam hole
46; Fixed side locking part
46a, 46b, 46c, 46d, 46e; Jammed part
47; Retention absence
47a, 47b, 47c, 47d, 47e; Retaining pin
80; Lift
80a; Elevator floor
93; Retaining pin (holding member)
94; Bend
G; Gap

Claims (8)

보디 내에 설치한 밸브 시트(valve seat)에 다이어프램을 압압(押壓)하여 밸브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 설치한 액추에이터 내의 피스톤 기구(機構)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을 압압하거나 또는 압압을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케이싱에 고정측 걸림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피스톤 기구의 적절한 위치에 가동측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기구를 상방향의 해제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고정측 걸림부와 상기 가동측 걸림부의 걸림 위치를 일치시키고, 또한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삽통(揷通)된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측 걸림부와 상기 가동측 걸림부를 걸리게 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부하를 걸지 않고 장기 보존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밸브의 사용 시에는,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분리해내어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하고,
상기 피스톤 기구는 피스톤과 케이싱을 구비하는,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
In the diaphragm valve for closing the valve by pressing the diaphragm against a valve seat installed in a body,
The diaphragm is pressed or released by a piston mechanism in the actuator installed on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a fixed-side lock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asing of the actuator, and a movable-side locking portion is position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iston mechanism. And, when the piston mechanism is moved to the release side in the upward direction, the locking position of the fixed-side locking part and the movable-side locking part are matched, and the holding member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makes the By engaging the fixed-side locking part and the movable-side locking part, long-term storage is possible without applying a load to the valve seat, and when using the valve, the holding member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to use the valve. And
The piston mechanism has a piston and a casing,
High 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기구는,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다이어프램을 자력(自力)에 의해 상방향으로 변형 이동시키는 동시에, 전폐(全閉) 시에, 스프링을 구비하는 배력(倍力) 기구를 통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아래쪽에 부하를 부여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을 위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피스톤 기구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력 기구는 상기 피스톤 기구의 케이싱에 장착되는,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piston mechanism supplies air to move the piston in an upward direction to deform and move the diaphragm upward by magnetic force, and at the same time, when fully closed, a booster having a spring )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ad is applied to the lower sid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rough a mechanism, and when the piston is moved upward, the piston mechanism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by the holding member, and the boosting mechanism is the piston mechanism High 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mounted on the casing of the ca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기구에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피스톤을 상사점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측 걸림부인 걸림공부에 상기 가동측 걸림부인 걸림홈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일치한 양쪽의 구멍에 외측으로부터 유지 부재인 유지핀을 꽂고, 사용 시에는 상기 유지핀을 외측으로부터 빼내어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ir is supplied to the piston mechanism, and the piston is moved to the top dead center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which is the movable-side locking part, to the locking hole, which is the fixed-side locking part, and holding the retaining member from the outside in both of the matching holes. An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in which a pin is inserted and the holding pin is removed from the outside when in use to enable the valve to be us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걸림부인 2개의 걸림공부에 상기 가동측 걸림부인 반원형 걸림홈 또는 걸림공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일치시킨 걸림공부에 외측으로부터 유지 부재인 유지핀을 꽂고, 사용 시에는 상기 유지핀을 외측으로부터 빼내어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Match the position of the movable-side locking part, the semicircular locking groove or the locking hole, to the two locking holes, which are the fixed-side locking parts, and insert the holding pin as a holding member from the outside into the matching locking hole.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which is pulled out from and made the valve available.
보디 내에 설치한 밸브 시트에 다이어프램을 압압하여 밸브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 설치한 액추에이터 내의 피스톤 기구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을 압압하거나 또는 압압을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 기구에 피스톤의 상하 방향의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승강체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승강체를 상방향의 해제 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승강체의 바닥면 측에 생기는 간극에 유지 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승강체의 해제 측으로의 이동 시에 상기 승강체 바닥면에 상기 유지 부재를 걸리게 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부하를 걸지 않고 장기 보존을 가능하게 하고, 밸브 사용 시에는,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분리해내어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
In the diaphragm valve for closing the valve by pressing the diaphragm to a valve seat installed in the body,
The diaphragm is pressurized or released by a piston mechanism in the actuator installed on the body, and an elevating body that moves up and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piston mechanism.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when the lifting body is moved to the release side in the upward direction, a retaining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gap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lifting body, and when the lifting body is moved to the release side, the lifting body By placing the holding member on the bottom surface, long-term storage is possible without applying a load to the valve seat, and when using a valve, the hold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to enable the valve to be used,
High 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기구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을 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변형 이동시키는 동시에, 전폐 시에,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스프링을 구비하는 배력 기구를 통하여 상기 승강체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부하를 부여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피스톤 기구의 승강체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력 기구는 상기 피스톤 기구의 케이싱에 장착되는,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
The method of claim 5,
Air was supplied to the piston mechanism to move the piston downward, and the diaphragm was deformed upward by magnetic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piston wa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when fully closed. In this cas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ad is applied by moving the lifting body downward through a boosting mechanism provided with the spring, and when the piston is moved downward, the lifting body of the piston mechanism descends by the holding member. And the boosting mechanism is mounted on the casing of the piston mechanis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기구에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피스톤을 하사점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배력 기구를 통하여 상기 승강체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이 전폐 시에 맞닿는 고정측 맞닿은 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에 상기 케이싱에 형성한 삽입공으로부터 유지 부재인 유지핀을 꽂고, 사용 시에는 상기 유지핀의 외단에 형성한 절곡부를 잡고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빼내어 밸브를 사용 가능하게 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
The method of claim 6,
When air is supplied to the piston mechanism and the piston is moved to the bottom dead center,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body and the fixed side abutting surface that abuts when the bottom surface is fully closed through the boosting mechanism, and the An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in which a retaining pin, which is a retai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ap from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asing, and when in use, the bend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retaining pin is pulled out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to enable the valve to be used.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 내에 2개소 설치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방향으로 탄발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들 스프링 상호의 감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한, 고압용 자동 다이어프램 밸브.
The method of claim 6,
The spring is provided in two places in the piston, the piston is elastically install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springs is reversed, a high 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KR1020157028293A 2013-08-08 2014-08-08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KR10219804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4655 2013-08-08
JPJP-P-2013-164655 2013-08-08
PCT/JP2014/071079 WO2015020209A1 (en) 2013-08-08 2014-08-08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134A KR20160040134A (en) 2016-04-12
KR102198044B1 true KR102198044B1 (en) 2021-01-04

Family

ID=524615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99A KR20150018361A (en) 2013-08-08 2014-05-14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KR1020157028293A KR102198044B1 (en) 2013-08-08 2014-08-08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99A KR20150018361A (en) 2013-08-08 2014-05-14 Automatic diaphragm valve for high pressu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61593B2 (en)
KR (2) KR20150018361A (en)
WO (1) WO201502020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6672B2 (en) * 2015-08-28 2020-03-18 株式会社フジキン valve
KR101634969B1 (en) * 2015-10-23 2016-07-04 주식회사 유니락 actuator having an emergency control
EP3452743B1 (en) * 2016-07-12 2020-12-02 Parker-Hannifin Corporation Lockout tagout device and valve
JP6914159B2 (en) * 2017-09-26 2021-08-04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Diaphragm valve assembly method and its assembly structure and diaphragm val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443A (en) 2000-12-28 2002-07-10 Kitz Sct:Kk Fluid control valve
KR100384257B1 (en) 1995-03-13 2003-08-14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Controller
JP2010255663A (en) 2009-04-21 2010-11-11 Ckd Corp Manual valve with lock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456Y2 (en) * 1992-09-07 2000-11-06 日本酸素株式会社 Container valve with remo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689332A5 (en) * 1993-09-20 1999-02-26 Fischer Georg Rohrleitung Shut-off valve with an actuator.
JPH09210243A (en) * 1996-02-06 1997-08-12 Neriki:Kk Valve with opening/closing display function
JP4089842B2 (en) 1998-04-25 2008-05-28 株式会社フジキン Pneumatically operated controller manual operating device and pneumatically operated controller equipped with this operating device
JP3609023B2 (en) 2000-12-27 2005-01-12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Normally closed forced opening device
JP4124813B2 (en) * 2003-10-15 2008-07-23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Malfunction prevention manual valve
US20050199292A1 (en) * 2004-03-10 2005-09-15 Stedman David W. Fluid device actuator with manual overri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257B1 (en) 1995-03-13 2003-08-14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Controller
JP2002195443A (en) 2000-12-28 2002-07-10 Kitz Sct:Kk Fluid control valve
JP2010255663A (en) 2009-04-21 2010-11-11 Ckd Corp Manual valve with lock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134A (en) 2016-04-12
KR20150018361A (en) 2015-02-23
WO2015020209A1 (en) 2015-02-12
JPWO2015020209A1 (en) 2017-03-02
JP6261593B2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044B1 (en) High-pressure automatic diaphragm valve
US6390449B1 (en) Gate valve
US8408243B2 (en) Valve device
TWI391591B (en) Gate valve
WO2018088326A1 (en) Valve device, flow rate control method using said valv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N109073099B (en) Fluid control valve
JP2010007751A (en) Vacuum valve
JP7385400B2 (en) Vacuum gate valve
US20140191451A1 (en) Gas Spring and Overpressure Relief Plug
US8813787B2 (en) Single acting directional control valve
KR101098916B1 (en) Vacuum Valve
CN107110394B (en) Valve actuating device with opening deceleration function
KR20140143064A (en) Gate valve and chamber
CN114269519B (en) Workpiece support
EP3614025B1 (en) Two-way valve
US20080223368A1 (en) Dispensing valve for breathing gas
US9746098B2 (en) Valve operator assembly with compensating actuator
JP4346610B2 (en) Compound valve
WO2021131631A1 (en) Diaphragm valve, flow rate control device, fluid control device,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JP2011243217A (en) Vacuum control valve and vacuum control system
JP4296494B2 (en) regulator
JP4828642B1 (en) Vacuum control valve and vacuum control system
JP2016080104A (en) Valve mechanism
EP4310384A1 (en) Magneto strictive actuated pressure regulator module for inflation system
JPH10122426A (en) Pressure reduc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