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965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965B1
KR102197965B1 KR1020140048102A KR20140048102A KR102197965B1 KR 102197965 B1 KR102197965 B1 KR 102197965B1 KR 1020140048102 A KR1020140048102 A KR 1020140048102A KR 20140048102 A KR20140048102 A KR 20140048102A KR 102197965 B1 KR102197965 B1 KR 102197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display device
signal
power
refresh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911A (ko
Inventor
정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96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모리, IR(Infrared ray) 신호 및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컨텐트(Content)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Self-refresh) 모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부팅(Booting) 파일 및 기 설정된 스냅샷(Snapshot) 이미지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Memory block)에 저장하고, 파워 온(Power on)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고,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계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TV(Smart TV)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빠른 부팅(Booting)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파워 온(Power on) 이후 특정 화면을 빠르게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Tuner)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캡쳐(Capture)할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Computer),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TV(Television), 기타 방송 수신 디바이스 등에 해당한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팅(Boot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러(110), 휘발성 메모리(120) 및 비휘발성 메모리(13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10)는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를 수신하면, 비휘발성 메모리(130)에서 휘발성 메모리(120)로 불러온 부팅 파일 및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의 긴 준비시간, 플래시(Flash) 자체의 느린 동작 속도(Reading & Writing), 복잡한 스마트 화면의 초기 동작으로 인해 긴 부팅 대기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가 사용하던 컨텐트(140, 150) 데이터가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화면으로 초기화된다. 따라서, 오랜 대기 시간, 복잡한 여러 단계의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의 조작으로 인한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가 수신되면, 휘발성 메모리의 일부 블록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 계속 활성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팅(Booting)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는 메모리 블록과 나머지 메모리 블록 사이의 파워 도메인(Power domain)을 분리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빠른 부팅 이후,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특정 화면을 빠르게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메모리,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Tuner), IR(Infrared ray) 신호 및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컨텐트(Content)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고, 시스템 부팅(Booting) 파일 및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내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메모리 블록(Memory Block)에 저장하고, 파워 온(Power on)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는 단계,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는 단계 및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가 수신되면, 휘발성 메모리의 일부 블록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 계속 활성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팅(Booting)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는 메모리 블록과 나머지 메모리 블록 사이의 파워 도메인(Power domain)을 분리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빠른 부팅 이후,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특정 화면을 빠르게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팅(Boot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을 이용하여, 빠른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이 다른 메모리 블록과 파워 도메인이 분리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메모리 인터리빙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1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2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3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4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5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파워 오프 프로세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파워 온 프로세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설정 가능한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셀프 리프레시 모드 결정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셀프 리프레시 모드 지속 시간을 변경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적용할 컨텐트 개수를 변경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방송 수신 모듈(201), 복조부(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04), 메모리(205), 제어부(206), 비디오 출력부(207), 오디오 출력부(208), 전원 공급부(209), 외부 입력 수단(210)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상기 외부 입력 수단(210)에 해당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모바일 디바이스 및 키보드(Keyboard)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은 이하 일 예로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설명하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방송 수신 모듈(201)은, 예컨대 RF 튜너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STB 등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방송 수신 모듈(201)은,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202)는, 방송 수신 모듈(20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20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20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20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04)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20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04)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04)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206)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06)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04)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05)는, 제어부(206)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05)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06)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2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21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210)로 송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부(206)는, 방송 수신 모듈(201), 복조부(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 다중화하거나, 역 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6)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비디오 출력부(207)는, 제어부(206)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04)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207)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08)는, 제어부(206)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08)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09)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06)와,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207)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0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306)는, 역다중화부(310), 영상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그리고 포맷터(36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6)는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 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 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 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1) 및 스케일러(322)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1)는 역 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22)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rter; FRC)(2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에서 변환한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상에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40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좌우(도 4의 (b)), 상하(도 4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4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될 수도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왼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401)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4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여 포인터(401)를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아래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401)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스크린 내 특정 영역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무선통신부(514), 사용자 입력부(515), 센서부(517), 출력부(516), 전원 공급부(511), 저장부(512), 그리고 제어부(513)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514)는 임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RF 모듈(514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고, IR 모듈(514b)은 외부 전자 장치(530, 예를 들어 STB)와 적외선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로부터 수신한 IR 적외선 코드값을, STB(530)로 포워딩 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리모트 컨트롤러(510)가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로,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514a)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514a)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514b)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1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517)는 자이로 센서(517a) 또는 가속도 센서(517b)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517a)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517a)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517b)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517)는 거리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516)는 사용자 입력부(51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516)는, 사용자 입력부(515)가 조작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무선 통신부(514)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면, 점등되는 LED 모듈(516a),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516b),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516c),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16d)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11)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511)는 리모트 컨트롤러(51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저장부(512)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13)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13)는, 사용자 입력부(51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517)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5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 또는 STB(53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6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듈을 일부 추가하거나 변경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 1 내지 도 6 등에 기재된 요소들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는 메모리(610), 수신부(620), 디스플레이 모듈(630) 및 컨트롤러(6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메모리(61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일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및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의 메모리는 셀프 리프레시(Self-refresh) 메모리 블록(Memory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대해서는 이하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메모리(610)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205)에 대응될 수 있다.
수신부(620)는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은 도 4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키보드 일 수 있다. 상기 키 입력 신호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620)는 도 2에서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1)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컨텐트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30)은 도 2에서 설명한 비디오 출력부(207)에 대응될 수 있다.
컨트롤러(640)는 상기 메모리(610), 수신부(620) 및 디스플레이 모듈(630) 등 도 6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들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을 이용하여, 빠른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의 컨트롤러(710)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내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될 때,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아 활성화 되는 메모리 블록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및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은 상기 DRAM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의 컨트롤러(710)는, 외부 입력 수단 등을 통해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와 시스템 부팅 파일을 비휘발성 메모리(730)가 아닌, 휘발성 메모리(720)에 포함되는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721)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721)은 휘발성 메모리(720)에 포함되는 메모리 블록일 수 있다.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721)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가 파워 오프되거나 스탠바이(Stand-by)상태 일 때,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에 포함되는 휘발성 메모리(7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가 파워 오프될 때 동시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메모리 블록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가 파워 오프될 때,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아 활성화 되는 메모리 블록인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7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의 컨트롤러(710)는, 외부 입력 수단 등으로부터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30)가 아닌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721)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의 시스템을 부팅하기 위한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를 부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는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될 때, 비휘발성 메모리(730)에서 시스템 부팅 파일 등을 상기 휘발성 메모리(720)로 옮긴 후, 다시 휘발성 메모리(720)에서 시스템 부팅 파일 등을 리드(Read)하는 복잡한 프로세스를 제거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720)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721)을 항시 활성화시킴으로써,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될 때 빠르게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의 컨트롤러(710)는,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740, 750) 이미지를 캡쳐한 이미지를,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721)에서 추출한 후,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곧바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의 컨트롤러(710)는,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면,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740, 750)를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이어서 계속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11 내지 도 15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7과 같이 설계함으로써,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이미지, 컨텐트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가 아닌 휘발성 메모리 내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될 때 빠르게 시스템 부팅 및 컨텐트 실행 복귀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을 이용하여 종래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일예를 설명하겠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파워 오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 마이컴(MICOM)이 IR 신호 등을 통해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 초기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810).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리 로더(Pre loader)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820). 상기 프로 로더 프로세는 시스템 부팅 파일 등을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올리는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프리 로더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제2 부트 로더(Boot Loader)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830). 상기 제2 부트 로더 프로세스는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캡쳐한 이미지 등과 같은 스냅샷(Snapshot) 이미지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휘발성 메모리로 올리는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부트 로더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커널(Kernel)의 확인(Verific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S84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를 살리기 위한 시스템 리쥼(System Resume)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850). 상기 시스템 리쥼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시스템 부팅이 완료된다. 종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IR 신호와 같은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부터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기 까지 1.8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시스템 부팅 파일 등을 휘발성 메모리가 아닌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는 휘발성 메모리 내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정한 후,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서 시스템 부팅 파일 등을 추출하여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상기 도 8의 (a)에 도시된 종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에서 프리 로더 프로세스와 제2 부트 로더 프로세스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마이컴이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한 후 전원을 초기화 하는 단계(S860), 커널의 확인 프로세스(S870) 및 시스템 리쥼 프로세스(S880)만 수행하면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을 이용하면,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한 후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1초 미만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이 다른 메모리 블록과 파워 도메인이 분리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파워 도메인이 분리되도록 휘발성 메모리를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DRA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3개의 DRAM(910, 920, 930)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3개의 DRAM(910, 920, 930) 중에서 제1 DRAM 및 제2 DRAM(910,920)은 같은 파워 도메인으로 묶이고, 제3 DRAM(930)은 다른 파워 도메인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DRAM(930)은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도메인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 파워 오프될 때, 상기 제1 DRAM 및 제2 DRAM(910, 920)도 함께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파워 오프되지만, 상기 제3 DRAM(930)은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아 파워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상태이더라도, 상기 제3 DRAM(930)은 계속해서 파워 온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제3 DRAM(930)에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이미지 데이터 등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온 될 때 빠른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메모리 인터리빙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휘발성 메모리인 DRAM 사이에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인터리빙은 휘발성 메모리인 DRAM의 접근 속도를 향상 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한 메모리 위치를 서로 다른 뱅크(Bank)에 두어 동시에 여러 곳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DRAM(1010), 제2 DRAM(1020) 및 제3 DRAM(10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DRAM(1010), 제2 DRAM(1020) 및 제3 DRAM(1030)은 2개의 DRAM 컨트롤러(Controller)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DRAM(1010) 및 제2 DRAM(1020)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3 DRAM(103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DRAM(1030)은 도 9에서 설명한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는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DRAM(1010) 및 제2 DRAM(1020)에 있는 데이터가 모두 상기 제3 DRAM(1030)으로 전송되면, 상기 제1 DRAM(1010) 및 제2 DRAM(102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며, 상기 제1 DRAM(1010) 및 제2 DRAM(1020)은 비활성됨과 동시에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삭제된다. 반면, 상기 제3 DRAM(10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활성화되므로, 상기 제1 DRAM(1010) 및 제2 DRAM(1020)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및 상기 제3 DRAM(1030) 자체 저장된 데이터 모두 삭제되지 않고 계속해서 제3 DRAM(10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용량은 전체 DRAM의 메모리 용량의 1/3 용량을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빠른 부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1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내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가 파워 오프 될 때,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아 활성화 되는 메모리 블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트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음악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텐트(1110)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1120)를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1110)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도중에 외부 입력 수단 등을 통해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1120)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1110)의 채널 정보(1120) 및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1110)의 이미지를 캡쳐한 데이터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를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1110)의 채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2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내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가 파워 오프 될 때,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아 활성화 되는 메모리 블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트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음악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텐트(1110)가 영화, 음악 및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컨텐트의 오디오 데이터(Audio data), 비디오 데이터(Video data) 및 그래픽 데이터(Graphic dat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된 컨텐트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를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의 컨트롤러는, 영화(1210)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도중에 외부 입력 수단 등을 통해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영화(1210)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의 컨트롤러는,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영화(1210)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영화(1210)의 이미지를 캡쳐한 데이터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를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의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된 상기 영화(1210)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던 영화를 이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3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의 컨트롤러는, 음악(1310)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도중에 외부 입력 수단 등을 통해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음악(1310)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의 컨트롤러는,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음악(1310)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음악(1310)의 이미지를 캡쳐한 데이터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를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의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된 상기 음악(1310)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출력되던 음악을 이어서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4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컨트롤러는, 어플리케이션(1410)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도중에 외부 입력 수단 등을 통해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1410)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컨트롤러는,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1410)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410)의 이미지를 캡쳐한 데이터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를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된 상기 어플리케이션(1410)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출력되던 음악을 이어서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제5 컨텐트를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컨트롤러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1510)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도중에 외부 입력 수단 등을 통해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웹 브라우저(1510)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 기록 등을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컨트롤러는,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웹 브라우저(1510)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 기록 등 및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웹 브라우저(1510)의 이미지를 캡쳐한 데이터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를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된 상기 웹 브라우저(1510)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 기록 등을 추출하여,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던 웹 브라우저(1510)를 이어서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기존에 사용하거나 시청하던 컨텐트를 빠른 부팅 후 곧바로 이어서 스크린을 통해 사용하거나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파워 오프 프로세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파워 오프 프로세스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610),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에서 파워 오프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620), 상기 파워 오프 신호를 마이컴에서 수신하는 단계(S1630), 상기 마이컴이 상기 파워 오프 신호 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단계(S1640),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S1650), 시스템 부팅 파일, 이미지 파일 및 컨텐트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등을 DRAM에 저장하는 단계(S1660), 상기 데이터를 저장한 DRAM의 메모리 블록을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 세팅하는 단계(S1670), 파워 오프 명령을 마이컴에 전달하는 단계(S1680) 및 마이컴 활성화 유지 단계(S16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파워 온 프로세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종래 파워 온 프로세스(S1730) 및 본 발명의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을 이용하여 빠른 부팅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온 프로세스(S1740) 두 가지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파워 오프 상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입력 수단 등으로부터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S1710), 메모리에 포함된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파워 온 프로세스를 진행할 준비를 할 수 있다(S1720).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할 때 설정된 옵션에 따라, 종래 파워 온 프로세스(S1730)를 진행하거나,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을 이용한 파워 온 프로세스(S1740)를 선택하여 파워 온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온 프로세스(S1730, S17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810),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S1820), 시스템 부팅 파일 및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는 단계(S1830),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840),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는 단계(S1850) 및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86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설정 가능한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부팅 파일 및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고,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셀프 리프레시 모드는,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를 상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 및 유저 액세스(Access) 빈도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컨텐트를 실행하는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될 때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아 활성화 되는 메모리 블록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S1910)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컨텐트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및 시스템 부팅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하고(S1920),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S1930),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S1940). 이 때,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는,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 컨텐트 정보, 셀프 리프레시 모드 정보, 음량 크기 정보, 화면 밝기 정보, 스피커 채널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정보는 컨텐트의 타입 정보, 상기 컨텐트의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텐트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채널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프 리프레시 모드 정보는,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1961),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1962) 및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1963)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셀프 리프레시 모드는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어떠한 모드로 설정할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메시지(Message)(1970)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1970)를 통해 특정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미리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메시지(1970)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파워 온 이후, 상기 메시지(1970)를 통해 특정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셀프 리프레시 모드 및 컨텐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1951)이고,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1961)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고,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스템을 부팅하고,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튜너를 통해 수신한 채널로부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이어서 수신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1951)이고,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1962)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고,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스템을 부팅하고, 기 설정된 디폴트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홈(Home) 이미지 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트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1951)이고,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1963)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고,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스템을 부팅하고, 사용자 액세스 빈도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컨텐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액세스 빈도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컨텐트는 기 설정된 기간 내에 가장 많이 실행된 컨텐트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가장 많인 실행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 수신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가 영화, 음악(1952), 웹 브라우저(1953), 어플리케이션(1954) 및 메신저(Messenger)(1955)인 경우에도,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1951)에 적용되는 동일한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반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셀프 리프레시 모드 결정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S2010)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컨텐트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및 시스템 부팅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하고(S2020),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S2030), 사용자 정보 검출 단계를 진행하고(S2040), 이 때, 사용자 계정 로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5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된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리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 및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는 프로세스(S205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는 프로세스(S2051)는 얼굴 인식, 지문 인식, 음성 인식, 제스쳐(Gesture) 인식 및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특정 키 또는 특정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되어 사용자 정보가 검출되거나,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되지 않아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는 프로세스(S2051)를 진행하여 사용자 정보를 검출한 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0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 및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7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080). 상기 S2080 단계는,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프 리프레시 모드 및 컨텐트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동일한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반복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설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빠른 부팅 프로세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팅 이 후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즉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2110)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 및 시스템 부팅 파일을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0)의 시스템을 부팅하고,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인 경우, 상기 캡쳐된 이미지(2110)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0)의 컨트롤러는,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던 컨텐트를 이어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2210)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 및 시스템 부팅 파일을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0)의 시스템을 부팅하고,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인 경우, 상기 캡쳐된 이미지(2210)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2220)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2220)는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이미지이고,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홈 이미지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이미지는 기 설정된 주기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0)의 컨트롤러는,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던 컨텐트를 이어서 실행하지 않고,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2220)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3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2310)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 및 시스템 부팅 파일을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300)의 컨트롤러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300)의 시스템을 부팅하고,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인 경우, 상기 캡쳐된 이미지(2310)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2320)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2320)는 특정 컨텐트의 이미지일 수 있고, 상기 특정 컨텐트는 사용자 액세스 빈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300)의 컨트롤러는,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 되던 컨텐트를 이어서 실행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액세스 빈도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컨텐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셀프 리프레시 모드 지속 시간을 변경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 설정 또는 패턴 분석에 따라 셀프 리프레시 모드 적용 시간 및 할당 메모리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241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용량을 20%로 하면서, 10분 이하의 시간에 상기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242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용량을 20%로 하면서, 10분을 초과하면서 10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만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지속될 수 있다. 반면, 제3 케이스(243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용량을 40%로 하면서, 10분 이하의 시간에 상기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케이스(244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용량을 20%로 하되, 셀프 리프레시 모드는 종료하지 않고 계속해서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제5 케이스(245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용량은 100%까지 할당할 수 있지만, 셀프 리프레시 모드는 10분 이하의 시간 내에 종료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6 케이스(246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용량을 100%로 할당하고, 셀프 리프레시 모드는 종료하지 않고 계속해서 지속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할 데이터 용량이 다르고,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사용하는 주기 및 사용 패턴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도 24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적용할 컨텐트 개수를 변경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이용하여 빠른 부팅 프로세스를 수행함과 동시에, 부팅 완료 후 빠르게 실행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는,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액세스 빈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251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용량을 20%로 하면서, 한 개의 컨텐트에 대해서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252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용량을 20%로 하면서, 2 개의 컨텐트에 대해서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반면, 제3 케이스(253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용량을 40%로 하면서, 한 개의 컨텐트에 대해서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케이스(254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용량을 20%로 하되, 모든 컨텐트에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5 케이스(255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용량은 100%까지 할당할 수 있지만, 한 개의 컨텐트에 대해서만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6 케이스(2560)의 경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의 용량을 100%로 할당하고, 모든 컨텐트에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적용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개수 및 메모리 블록에 저장할 데이터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도 25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우선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파워 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610),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부팅 파일 및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는 단계(S2620),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630), 상기 셀프 리프레쉬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는 단계(S2640) 및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2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등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60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10 : 메모리
620 : 수신부
630 : 디스플레이 모듈
640 : 컨트롤러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모리;
    IR(Infrared ray) 신호 및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컨텐트(Content)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고,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Self-refresh) 모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부팅(Booting) 파일 및 기 설정된 스냅샷(Snapshot) 이미지를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Memory block)에 저장하고, 파워 온(Power on)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부팅 파일을 추출하여 시스템을 부팅하고,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셀프 리프레시 모드는,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를 상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 하는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 및
    기 설정된 기간 내에 가장 많이 실행된 특정 컨텐트를 실행하는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셀프 리프레시 메모리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 될 때 별도의 전원을 공급 받아 활성화 되는 메모리 블록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 계정 로그인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된 경우,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 및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 중 상기 사용자 계정에 설정된 어느 하나를 리드(read)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되지 않은 경우,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 및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드 설정 화면을 통해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 및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경우, 상기 선택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제1 셀프 리프레시 모드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는, 상기 파워 오프 신호가 수신될 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제2 셀프 리프레시 모드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는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이미지이고,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홈(Home)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이미지는 기 설정된 주기로 업데이트(Updat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셀프 리프레시 모드가 제3 셀프 리프레시 모드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는 상기 특정 컨텐트의 이미지이고,
    사용자 액세스 빈도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컨텐트는 기 설정된 기간 내에 가장 많이 실행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 설정된 스냅샷 이미지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한 후, 우선 순위를 갖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데이터를 우선 순위에 따라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40048102A 2014-04-22 2014-04-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7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102A KR102197965B1 (ko) 2014-04-22 2014-04-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102A KR102197965B1 (ko) 2014-04-22 2014-04-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911A KR20150121911A (ko) 2015-10-30
KR102197965B1 true KR102197965B1 (ko) 2021-01-04

Family

ID=5443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102A KR102197965B1 (ko) 2014-04-22 2014-04-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9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7508A1 (en) * 2003-09-12 2005-03-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art up method for a television apparatus
US20110055538A1 (en) * 2009-08-25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booting video image reproducing apparatus
KR101058967B1 (ko) * 2009-05-29 201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부트-업 제어 방법
US20120320280A1 (en) * 2011-06-20 2012-12-20 Bby Solutions, Inc. Television with energy saving and quick start mo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7508A1 (en) * 2003-09-12 2005-03-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art up method for a television apparatus
KR101058967B1 (ko) * 2009-05-29 201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부트-업 제어 방법
US20110055538A1 (en) * 2009-08-25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booting video image reproducing apparatus
US20120320280A1 (en) * 2011-06-20 2012-12-20 Bby Solutions, Inc. Television with energy saving and quick start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911A (ko) 201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47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11954044B (zh) 通道切换方法和显示设备
US11106307B2 (en) Method for low power driving of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KR1022198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22035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1896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897296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upgrading the same
CN103051782B (zh) 一种移动终端投影调整方法及装置
KR20190074776A (ko)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15019238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EP2465257B1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CN105323618B (zh) 机顶盒操作方法、装置及机顶盒
KR102440157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45544B1 (ko)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106162336B (zh) 智能电视以及智能电视的开机方法
WO20121374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2256074B (zh) 系统模块化设计的电脑电视一体机
KR10219796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9958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164985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CN105635820A (zh) 智能设备启动方法及装置
JP201419265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起動方法
US9685138B2 (en) Brightness controlling method with brightness synchronizing functionality and all-in-one computer implementing the same
US20130010194A1 (en) Television-integrated computer and boot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240098336A1 (en) Method for fast starting up television display function and televi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