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803B1 -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803B1
KR102197803B1 KR1020180098566A KR20180098566A KR102197803B1 KR 102197803 B1 KR102197803 B1 KR 102197803B1 KR 1020180098566 A KR1020180098566 A KR 1020180098566A KR 20180098566 A KR20180098566 A KR 20180098566A KR 102197803 B1 KR102197803 B1 KR 10219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upport
flow path
main body
cervical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671A (ko
Inventor
문경환
Original Assignee
문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환 filed Critical 문경환
Priority to KR102018009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8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16Inflatable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 아래쪽의 가슴에 배치되고 목을 숙이지 않게 턱을 지지하도록 턱받이(2)가 형성된 전방지지부(1)와, 상기 전방지지부(1)의 양측에 고정수단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목뒤쪽을 지지하도록 된 후방지지부(3)를 구비하는 경추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3)는 에어펌프에 연결되는 에어공급관(41)과 연통되어 공기가 주입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목의 뒷덜미에 배치되어 목을 뒤쪽에서 지지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양측에 제공되어 전방지지부(1)의 양측에 제공된 벨크로부재(1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31)는 고주파 융착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대향배치되는 2매의 시트(33,34)들과, 상기 시트(33)의 전면과 시트(34)의 배면측에 각각 내피(35)와 외피(36)가 함께 고주파 융착되어 적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융착된 내피(35)의 전면에는 탄성시트(37)가 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후방지지부(3)의 본체(31)를 시트(33,34)들과, 내피(35)와 외피(36)를 함께 고주파 융착으로 형성하여 제조를 단순화하여 비용 절감효과와 함께, 유로부분(39)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하로 연장된 기둥 형태로 되게 하여 턱받이(2)에 턱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 뒤쪽에서 머리를 미는 작용으로 경추가 신장되면서 목의 뒤쪽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경추 교정 및 보호 효과가 향상된다.

Description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A DEVICE FOR CERVICAL THERAPY AND A METHOD FOR MAKING IT}
본 발명은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북목 또는 일자목과 같이 비정상적인 형태로 된 경추를 정상적인 C자형의 만곡도를 갖게 하기 위하여 경추를 인장시킴과 함께 바른 자세가 유지되게 하여 일자목을 치료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추는 척추에서 흉추 윗부분으로 머리를 지지하는 일곱마디의 경추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추골은 흉추상부에서 앞쪽으로 약간 휘어지게 만곡되어 있는 것이 정상적이다.
그러나, 책상앞에 오래 앉아 일하는 직장인 또는 수험생이나 장거리 운전 등 운전을 장시간하는 직업으로 힘든 운전 기사들이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하는 경우와 같이 목을 숙인 자세를 오래 유지되는 경우와 같이 경추에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되는 잘못된 자세 및 생활습관 그리고 운동부족, 외상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경추골이 정상위치에서 변위되어 부정렬되고 경추골들 사이의 추간연골을 압박하여 통증과 함께 신경계통으로 연결된 다른 신체부분까지 파생되는 나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목을 지지하는 근육이 경직되어 어께 통증과 두통이 수반되고 이를 방치하게 되면 일상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울 정도로 악화된다.
이와 같은 경추의 부정렬을 교정하기 위하여 목보호대를 착용하거나 기구를 사용하여 경추를 인장하는 물리치료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목보호대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068738호(등록일자 2011년09월22일)에는 환자 목의 일측면 형상에 맞게 반원형을 갖추고, 전면 상부에 만곡 형성된 제1라운딩부 내측에 제1턱 보호패드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일정 곡률로 형성된 제1전면 확장부 내측에 제1확장 보호패드가 형성되어, 복수의 밸크로에 의해 환자의 목 일측면으로부터 제2측면 부재와 상호 측면 결합되는 제1측면 부재와; 환자 목의 타측면 형상에 맞게 반원형을 갖추고, 전면 상부에 만곡 형성된 제2라운딩부 내측에 제2턱 보호패드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일정 곡률로 형성된 제2전면 확장부 내측에 제2확장 보호패드가 형성되어, 복수의 밸크로에 의해 환자의 목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측면 부재와 상호 측면 결합되는 제2측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목보호대는 측면부재들의 후면에 제공된 에어패드로 목 양측을 지지하면서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여 단순히 목의 경추를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데 한정되고, 경추의 부정렬을 C자형의 정상 상태로 교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경추 치료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810호(공개일자 2015년09월16일)에는 목의 전방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단이 턱의 하부를 접촉지지하는 전방승강지지부와; 목의 후방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의 양단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승강지지부는 하강된 초기상태로부터 상부로 상승하며 턱을 가압하여 목을 강제적으로 뒤로 이동시키는 가압상태 간을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방지지부는, 목의 후방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후방접촉지지판과; 상기 후방접촉지지판의 판면에 목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방 승강지지부의 상승에 의해 목이 뒤로 이동될 때 목의 뒷면을 접촉하며 가압하는 가압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경추 교정장치는 복잡한 구조로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와 함께, 경추를 인장시키기 위해 전방승강지지부에 에어를 공급하여 머리를 뒤로 젖히게 하는데, 이러한 전방승강지지부의 구성으로 목근육이 단련된다고 보기 어렵고,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함부로 사용하는 경우 과도한 젖힘 동작으로 인한 경추 손상을 가중시키거나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68738호(등록일자 2011년09월22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810호(공개일자 2015년09월16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목보호대나 교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환자의 턱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후방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지지부가 공기 주입에 의한 에어쿠션 기능으로 경추를 조절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경추를 상하 방향으로 인장시켜 경추가 C자형의 정상 형태를 갖도록 개선된 구조의 경추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 뒤쪽에 조절가능한 에어쿠션을 제공함과 함께 경추를 C자형으로 교정하여 일자목을 치료하기 위한 경추 치료기의 후방 지지부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도록 개선된 경추 치료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추 치료기는, 목 아래쪽의 가슴에 배치되고 목을 숙이지 않게 턱을 지지하도록 턱받이가 형성된 전방지지부와, 상기 전방지지부의 양측에 고정수단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목뒤쪽을 지지하도록 된 후방지지부를 구비하는 경추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는 에어펌프에 연결되는 에어공급관과 연통되어 공기가 주입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목의 뒷덜미에 배치되어 목을 뒤쪽에서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제공되어 전방지지부의 양측에 제공된 벨크로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고주파 융착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대향배치되는 2매의 시트들과, 상기 하나의 시트의 전면과 다른 시트의 배면측에 각각 내피와 외피가 함께 고주파 융착되어 적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융착된 내피의 전면에는 탄성시트가 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들과 내피와 외피들은 고주파로 융착되어 일체화하되, 본체에 공기가 주입되는 유로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고주파 융착하며, 고주파 융착되지 않는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상하로 연장되고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로부분들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부분의 일측 단부에는 에어공급관의 단부가 연통되게 배치되어 본체 함께 고주파 융착된다.
상기 탄성시트는 스판소재로서 상기 시트들과 내외피들이 융착된 상태에서 내피의 전면에서 중앙이 리벳으로 고정되고, 본체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각각 내측으로 당겨 탄성시트와 복수개소에 리벳으로 고정되어 본체의 상측부와 하측부가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공급관을 통해 후방지지부의 본체의 시트들 사이에서 상하로 연장된 유로부분에 주입되는 공기로 본체는 상하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된 유로부분에 대응된 부분이 직선의 기둥 형태로 되면서 앞쪽의 전방지지부의 턱받이에 턱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 뒤쪽에서 머리를 밀어 경추를 신장시키면서 목의 뒷부분을 지지하도록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경추 치료기 제조방법은, 사출성형에 의해 전방지지부(1)를 형성하고, 양측 단부에 벨크로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전방지지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지지부를 복수의 시트들을 융착하여 형성하며 상기 벨크로부재에 결합되는 벨크로부재를 부착하여 제조하는 경추 치료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는 시트들과, 상기 시트들 각각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내피와 외피들을 적층한 상태로 고주파로 융착하여 일체화하여 형성하며,
상기 융착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연통되는 유로부분에 대응된 영역을 제외한 본체 영역을 고주파로 융착하며, 상기 고주파에 의해 융착되지 않은 영역에 의해 유로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융착시에 에어펌프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에어공급관의 단부를 상기 고주파 융착시에 유로부분의 단부에 배치하여 에어공급관을 본체에 함께 형성한다.
상기 내피의 전면 중앙에 스판소재의 탄성시트를 배치하고 중앙부에 복수개소에 고정한 다음, 상기 본체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상하로 당겨서 상기 탄성시트에 리벳으로 고정하여, 상기 본체의 상하측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추 치료기는 후방지지부(3)의 본체(31)를 고주파 융착가능한 소재로 되고 대향배치되는 2매의 시트(33,34)들과, 내피(35)와 외피(36)를 함께 고주파 융착되어 적층 구조로 형성하여 제조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에어공급관(41)을 통해 공기를 후방지지부(3)의 본체(31)의 시트(33,34)들 사이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유로부분(39)으로 공급하여 상하로 연장된 기둥 형태로, 탄성시트가 내피에 부착된 본체의 상하측부들이 내측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직선 형태로 되면서 앞쪽의 전방지지부(1)의 턱받이(2)에 턱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 뒤쪽에서 머리를 미는 작용으로 경추가 신장되면서 목의 뒤쪽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경추 치료 및 보호 효과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추 치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추 치료기의 전방지지부와 후방지지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후방지지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후방지지부의 적층시트들 사이에 에어가 주입되는 유로가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전면에 스판부재를 아일렛으로 고정시킨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에어 유로가 형성된 적층 시트가 장착된 후방지지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에어가 유로에 주입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팽창되는 후방지지부에 의한 경추 견인작용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경추 치료기에 의한 지지 경추 지지 및 의 사숑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경추 치료기와 그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경추 치료기는 목 아래쪽의 가슴에 배치되고 목을 숙이지 않게 턱을 지지하도록 턱받이(2)가 형성된 전방지지부(1)와, 상기 전방지지부(1)의 양측에 고정수단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에어 유로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에어로 목뒤쪽을 지지하도록 된 후방지지부(3) 및 상기 후방 지지부(3)로의 공기 주입을 위해 후방지지부에 연결된 에어공급관(41)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공급관(41)에는 도면에 미도시된 에어펌프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를 에어공급관(41)을 통해 후방지지부(3)로 공급하여 지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1)는 연성 또는 경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턱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목을 숙이지 못하게 턱받이(2)가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되며, 양측에는 벨크로부재(11)가 고정되고 통기용 및 필요시 목에 삽입관을 삽입할 수 있게 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3)는 에어공급관(41)과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목의 뒷덜미에 배치되어 목을 뒤쪽에서 지지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양측에 제공된 벨크로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벨크로부재(32)는 전방지지부(1)의 양측에 제공된 벨크로부재(11)에 부착되어 전방지지부(1)와 함께 목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후방지지부(3)의 본체(31)는 도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주파 융착가능한 소재로 된, 예를들어 우레탄 또는 PVC 재질로 대향배치되는 2매의 시트(33,34)들과, 상기 시트(33)의 전면과 시트(34)의 배면측에 각각 내피(35)와 외피(36)가 함께 고주파 융착되어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융착된 내피(35)의 전면에는 탄성시트(37)가 부착고정된다.
상기 시트(33,34)들과 내피(35)와 외피(36)들의 융착시에 유로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38)이 고주파로 융착되어 일체화되는 한편, 고주파 융착되지 않은 영역은 유로부분(39)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유로부분(39)의 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관(41)의 단부가 연통되게 배치되어 함께 고주파 융착된다. 상기 유로부분(39)들은 에어 주입시에 상하로 연장되고 서로 연통된 복수개의 기둥 형태들을 이루게 된다.
상기 탄성시트(37)는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33,34)들과 내외피(35,36)들이 융착된 상태에서 내피(35)의 전면에서 중앙이 리벳, 예를들어 아일렛(8)으로 먼저 고정하고 본체의 상측부를 하방으로, 하측부를 상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상측과 하측에 복수개소에 리벳, 예를들어 아일렛(eyelet:8)으로 고정한다.
이로써, 상기 후방지지부(3)의 본체(31)는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와 하측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상태로 된다. 상기 탄성시트(37)는 사용자의 목에 직접 접촉되므로 스판소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후방지지부(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에 제공된 벨크로부재(32)들중에서 일측의 벨크로부재를 전방지지부(1)의 벨크로부재(11)에 고정하고 사용자의 목 둘레에 배치한 다음 타측의 벨크로부재를 전방지지부(1)에 고정하여 착용한다.
이 상태에서 도면에 미도시된 에어펌프를 작동하여 공기를 에어공급관(41)을 통해 후방지지부(3)의 본체(31)의 시트(33,34)들 사이에서 상하로 연장된 유로부분(39)으로 공급함으로써 본체에서 유로부분(39)에 주입된 공기로 본체(31)의 유로부분(39)에 대응된 부분이 상하로 연장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본체의 상하부들이 내측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직선 형태로 되면서 앞쪽의 전방지지부(1)의 턱받이(2)에 턱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 뒤쪽에서 머리를 미는 작용으로 경추를 신장되게 하면서 목의 뒤쪽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경추 변위를 교정하여 치료 및 보호가 이루어진다.
이때, 에어펌프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목이 고정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어서 목의 부상 정도에 따라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게 하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종래의 목보호대는 경추 고정 정도를 조정하기 위해 목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경우에는 목의 측부도 함께 압박을 하게 되어 목의 측부에 있는 동맥을 압박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경추 고정 정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방지지부(3)에 형성되는 유로부분(39)들에 공기 주입량에 의해 목 뒤쪽을 압박하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경추의 고정 정도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부상 또는 변위 정도에 따른 경추 교정치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경추 치료기의 제조는 목 아래쪽의 가슴에 배치되고 목을 숙이지 않게 턱을 지지하도록 턱받이(2)가 형성된 전방지지부(1)를 사출성형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며, 상기 전방지지부(1)의 양측 단부에 제공된 벨크로부재(1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부재(32)가 양측에 제공된 후방지지부(3)의 제조에 대하여 도 3 내지 6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지지부(3)는 시트(33,34)들과, 상기 시트(33,34)들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내피(35)와 외피(36)들을 적층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연통되게 유로부분(39)의 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고주파로 융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유로부분(39)을 형성하여 제조하며, 도 3 내지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관(41)의 단부를 상기 고주파 융착시에 유로부분(39)의 단부에 배치한 상태로 융착하여 에어공급관(41)을 본체에 함께 형성한다.
그런 다음, 탄성시트(37)를 도 5와 같이 내피(35)의 전면 중앙에 배치하고 중앙부에 복수개소에 아일렛(8)으로 먼저 고정한 다음, 도 6과 같이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상하로 당겨 아일렛(8)으로 상기 탄성시트(37)와 함께 고정하여 도 7과 같이 본체(3)의 상하측이 도 7과 같이 내측으로 만곡되는 상태로 되게 하고, 본체(3)의 양측 단부에 벨크로부재(32)를 부착함으로써 후방지지부(3)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3)의 상하측부가 만곡된 상태에서 유로부분으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유로부분이 공기 기둥 형태로 되어 목 뒤쪽을 지지하면서 경추를 상하로 미는 작용으로 경추가 신장되고 턱받이에 턱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경추 교정 치료와 보호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목보호대 또는 경추 치료기에 이용될 수 있다.
1 : 전방지지부 2 : 턱받이
3 : 후방지지부 11, 32 : 벨크로부재
31 : 본체 33,34 : 시트
35 : 내피 36 : 외피
37 : 탄성시트 38 : 영역
39 : 유로부분 41 : 에어공급관

Claims (7)

  1. 목 아래쪽의 가슴에 배치되고 목을 숙이지 않게 턱을 지지하도록 턱받이(2)가 형성된 전방지지부(1)와, 상기 전방지지부(1)의 양측에 고정수단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목뒤쪽을 지지하도록 된 후방지지부(3)를 구비하는 경추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3)는 에어펌프에 연결되는 에어공급관(41)과 연통되어 공기가 주입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목의 뒷덜미에 배치되어 목을 뒤쪽에서 지지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양측에 제공되어 전방지지부(1)의 양측에 제공된 벨크로부재(1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31)는 고주파 융착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대향배치되는 2매의 시트(33,34)들과, 상기 시트(33)의 전면과 시트(34)의 배면측에 각각 내피(35)와 외피(36)가 함께 고주파 융착되어 적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융착된 내피(35)의 전면에는 탄성시트(37)가 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33,34)들과 내피(35)와 외피(36)들은 유로부분(39)들에 대응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고주파로 융착되어 일체화되며, 고주파 융착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하여 상하로 연장되고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로부분(39)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부분(39)의 단부에는 에어공급관(41)의 단부가 연통되게 배치되어 함께 고주파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치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37)는 스판소재로서 상기 시트(33,34)들과 내외피(35,36)들이 융착된 상태에서 내피(35)의 전면에서 중앙이 아일렛(8)으로 먼저 고정되고, 본체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 만곡시켜 상기 탄성시트(37)에 복수개소에 아일렛(eyelet:8)으로 고정되어 본체의 상측부와 하측부가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치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에어공급관(41)을 통해 후방지지부(3)의 본체(31)의 시트(33,34)들 사이에서 상하로 연장된 유로부분(39)에 주입되는 공기로 본체(31)는 상하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된 유로부분(39)에 대응된 부분이 직선의 기둥 형태로 되면서 앞쪽의 전방지지부(1)의 턱받이(2)에 턱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 뒤쪽에서 머리를 밀어 경추를 신장시키면서 목의 뒷부분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치료기.
  5. 사출성형에 의해 전방지지부(1)를 형성하고, 양측 단부에 벨크로부재(11)를 고정하고, 상기 전방지지부(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지지부(3)를 복수의 시트들을 융착하여 형성하며 상기 벨크로부재(11)에 결합되는 벨크로부재(32)를 부착하여 제조하는 경추 치료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3)는 목의 뒷덜미에 배치되어 목을 뒤쪽에서 지지하는 본체(31)를 형성하도록 시트(33,34)들과, 상기 시트들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내피(35)와 외피(36)들을 적층한 상태로 고주파로 융착하여 일체화하여 형성하며,
    상기 시트(33,34)들과 내피(35)와 외피(36)들의 융착시에 유로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38)이 고주파로 융착되어 일체화되는 한편, 고주파 융착되지 않은 영역은 유로부분(39)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융착시에 에어펌프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에어공급관(41)의 단부를 유로부분(39)의 단부에 배치하여 에어공급관(41)을 본체에 함께 형성하며,
    상기 내피(35)의 전면 중앙에 스판소재의 탄성시트(37)를 배치하고 먼저 중앙부에 복수개소에 고정한 다음, 상기 본체(31)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하측과 상측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탄성시트(37)에 고정하여, 본체(3)의 상하측부들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치료기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80098566A 2018-08-23 2018-08-23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19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66A KR102197803B1 (ko) 2018-08-23 2018-08-23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66A KR102197803B1 (ko) 2018-08-23 2018-08-23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71A KR20200022671A (ko) 2020-03-04
KR102197803B1 true KR102197803B1 (ko) 2021-01-04

Family

ID=6978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566A KR102197803B1 (ko) 2018-08-23 2018-08-23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869B1 (ko) 2020-12-31 2023-02-1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경추굽힘근강화훈련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2720A1 (ko) 1999-04-19 2000-10-26 Ik Chun Chang Pressuring stomach band for curing and protecting disk
US20130138025A1 (en) 2011-11-29 2013-05-30 Jui-Peng CHAN Capsular Bag Rehabilitation Device
CN206714864U (zh) 2016-09-29 2017-12-08 马苑 一种充气式颈椎牵引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288A (ko) * 2004-11-12 2006-05-17 장익춘 공기의 주입이나 제거가 가능토록 된 디스크 목벨트
KR101068738B1 (ko) 2009-12-11 2011-09-28 이상호 목 보호대
KR101561135B1 (ko) 2014-03-06 2015-10-16 박태환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2720A1 (ko) 1999-04-19 2000-10-26 Ik Chun Chang Pressuring stomach band for curing and protecting disk
US20130138025A1 (en) 2011-11-29 2013-05-30 Jui-Peng CHAN Capsular Bag Rehabilitation Device
CN206714864U (zh) 2016-09-29 2017-12-08 马苑 一种充气式颈椎牵引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71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787B1 (ko) 골반 및 상체교정장치
JP5129410B2 (ja) 骨盤矯正用座板
CN210138291U (zh) 手套式手关节治疗装置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KR101205285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KR101651778B1 (ko) 어깨 펼침 마사지기
US9504595B2 (en) Inflatable compression wrap for direct support of the spinous process in the lumbar specific spine region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2197803B1 (ko) 경추 치료기 및 그 제조방법
CN105816262B (zh) 一种颈椎牵引器及其方法
KR102098526B1 (ko) 안마의자에 구비되어 거북목 증후군 및 목디스크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안마 장치
KR101937835B1 (ko) 요추천골 견인 장치
WO2022164054A1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KR102183964B1 (ko) 허리 보호 벨트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JP6403275B2 (ja) 頸椎牽引装具及び頸椎牽引装具ユニット
KR101848645B1 (ko) 기능성 경추 이완 장치
CN110772368A (zh) 可调节组配式脊柱侧弯支具
KR102458543B1 (ko) 목 각도조절 견인기
CN211863053U (zh) 一种坐式脊柱用牵引设备
CN208989288U (zh) 旋钮式可调按摩支撑护腰
KR101675979B1 (ko) 목운동 기구
KR20220110372A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