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410B1 -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410B1
KR102197410B1 KR1020200050232A KR20200050232A KR102197410B1 KR 102197410 B1 KR102197410 B1 KR 102197410B1 KR 1020200050232 A KR1020200050232 A KR 1020200050232A KR 20200050232 A KR20200050232 A KR 20200050232A KR 102197410 B1 KR102197410 B1 KR 10219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umor cells
sample
blood circulation
extra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재
박찬호
Original Assignee
유니젠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젠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젠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51Quantitative ampl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63Stretching or orienting elongated molecules or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5/00Nucleic acid analysis characterised by mode or means of detection
    • C12Q2565/60Detection means characterised by use of a special device
    • C12Q2565/619Detection means characterised by use of a special device being a video camer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료에서 혈중순환 종양세포를 추출하는 추출부; 혈중순환 종양세포에서 유래된 RNA에서 cDNA를 합성하여 생성되는 템플릿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열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수용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부; 및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와 혈액세포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추출부는, 수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수직형의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저면에는 평판형의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추출부는, 상기 수직형의 플레이트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 연통되며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에 연통되며 시료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에 연통되는 추가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은, 높이방향을 따라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필터모듈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필터모듈의 각 단부는, 경사지도록 마련되며,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필터모듈 각 단부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크도록 마련되고,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필터모듈 단부 사이의 하측 이격거리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작도록 마련되고, 상기 추출부는, 시료의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시료가 유동되지 않는 다고 판단하는 경우 추가홀로 기체 또는 순수전해질을 공급하는 공급모듈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필터모듈은, 높이가 너비보다 더 짧도록 마련되며, 상기 필터모듈의 높이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짧도록 마련되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추출부의 정면에 배치되며, 상기 추출부의 내부공간의 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분석함으로써 시료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순환종양세포를 이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
본 발명은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기법은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면서 반응산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법은 전기영동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반응사이클 도중에 증폭산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량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어 핵산 분석 수행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액상생검은 혈액과 같은 인체로부터 유래한 물질로부터 암의 정보를 담고 있는 바이오마커를 분리한 후, 이를 분석함으로써 암 진단에 활용하는 검사를 의미한다. 기존 암을 진단하기 위한 조직검사는 암이 발병한 부위에 내시경이나 바늘 등의 침습 도구를 직접 삽입하여 조직을 채취한 후, 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실시되는데, 액상생검은 상대적으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실시되므로 조직검사에 비해 고통이 적고, 실시가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암 진단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액상생검을 이용하게되면, 암 검사를 보다 자주 시행할 수 있게 되므로, 치료법 결정의 시기를 보다 빨리 판단할 수 있는 바, 암 환자의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액상생검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생체지표로는 혈액순환종양세포(Circulating Tumor Cells, CTCs)가 있다. 혈액순환종양은 모든 암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생체지표이기 때문에 혈액순환 종양세포를 이용하는 경우 다양한 암을 한번에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혈액순환종양세포를 이용해 PCR을 실시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순환종양세포를 이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있는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시료에서 혈중순환 종양세포를 추출하는 추출부; 혈중순환 종양세포에서 유래된 RNA에서 cDNA를 합성하여 생성되는 템플릿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열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수용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부; 및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와 혈액세포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추출부는, 수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수직형의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저면에는 평판형의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추출부는, 상기 수직형의 플레이트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 연통되며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에 연통되며 시료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에 연통되는 추가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은, 높이방향을 따라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필터모듈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필터모듈의 각 단부는, 경사지도록 마련되며,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필터모듈 각 단부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크도록 마련되고,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필터모듈 단부 사이의 하측 이격거리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작도록 마련되고, 상기 추출부는, 시료의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시료가 유동되지 않는 다고 판단하는 경우 추가홀로 기체 또는 순수전해질을 공급하는 공급모듈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필터모듈은, 높이가 너비보다 더 짧도록 마련되며, 상기 필터모듈의 높이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짧도록 마련되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추출부의 정면에 배치되며, 상기 추출부의 내부공간의 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분석함으로써 시료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시료는, 혈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순환종양세포를 이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으로부터 혈중순환 종양세포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합성부와, 수용부와, 가열부와, 제어부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용부와, 가열부와, 제어부를 측단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추출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추출부의 필터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추출부에서 혈중순환 종양세포가 추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추출부의 추가홀에 기체 또는 순수전해질이 공급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합성부와, 수용부와, 가열부와, 제어부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용부와, 가열부와, 제어부를 측단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추출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추출부의 필터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추출부에서 혈중순환 종양세포가 추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의 추출부의 추가홀에 기체 또는 순수전해질이 공급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추출부(110)와, 합성부(120)와, 수용부(130)와, 가열부(140)와, 제어부(150)와, 영상부(160)와, 단말부(170)를 포함한다.
추출부(110)는 시료에서 혈중순환 종양세포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세 유로를 내부에 포함하는 마이크로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료는 혈액으로 마련되는 것이며, 혈중순환 종양세포는 1차 종양으로부터 혈관계 또는 림프계로 흘러 혈액 순환으로 신체 주위로 운반되는 종양세포를 의미한다. 혈중순환 종양세포는 원발암에서 떨어져 나와 혈액을 통해 암의 전이를 일으킨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좁은 폭을 가지는 수직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는데, 플레이트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형성된 내부공간은 높이방향을 따라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마련되며, 내부공간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필터모듈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필터모듈은 소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좌우로 상호 마주하는 필터모듈의 단부는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호 마주하는 단부의 상측 이격거리는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크도록 마련되고, 상호 마주하는 단부의 하측 이격거리는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는 더 작고, 혈액세포 중 백혈구의 크기 보다는 더 크도록 마련된다.
추출부(110)의 상단에는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된다. 유입구는 시료가 유입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추출부(110)의 하단에는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된다. 유출구는 내부공간을 경유한 시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혈중순환 종양세포는 8 ~ 20μm의 직경을 가지는데, 이는 일반적인 혈액세포들 보다 더 큰 수치이며, 혈액 내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백혈구(백혈구는 6 ~ 10 μm의 직경을 가진다.) 보다도 약 30% 정도 더 큰 수치이다. 그러므로, 추출부(110)의 내부공간에서 시료의 유동 방향을 따라 필터모듈을 적절하게 배치하면 시료 내에서 혈중순환 종양세포만을 적절하게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110)를 이용한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추출과정을 다음과 같다. 먼저, 시료가 유입구로 유입되면, 시료는 유압 및 중력에 의해서 내부공간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혈액세포는 좌우로 마주보는 필터모듈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게 되며, 혈액세포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혈중순환 종양세포는 상호 마주하는 필터모듈 단부의 하측 부분에 걸려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혈중순환 종양세포가 시료로 부터 추출된다.
한편, 상호 마주하는 필터모듈 단부의 하측 부분에 복수개의 혈액세포가 한꺼번에 걸리게 되거나, 가로방향 필터모듈 사이에 혈중순환 종양세포 또는 혈액세포가 모두 걸리게 되어 시료의 유동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료에 유동성이 인가되어야 하므로, 추출부(110)에는 내부공간의 하측부분과 연통되는 추가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홀에 기체 또는 순수전해질을 공급하면, 내부공간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유압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필터모듈 사이에 걸려 있는 혈액세포 또는 혈중순환 종양세포에 순간적인 유동이 생기게 되고, 이에 의해서, 혈액세포는 필터모듈 사이로 다시 하강하게 되어 시료가 다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추출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시료의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모듈(미도시)과, 감지모듈(미도시)에 의해 시료가 유동되지 않는 다고 판단하는 경우, 추가홀로 기체 또는 순수전해질을 공급하는 공급모듈(미도시)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감지모듈(미도시)는 추출부(110)의 정면에 마련되어 추출부(110)의 내부공간의 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분석함으로써 시료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는 영상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고,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의 시료 유동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센서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추출부(110)에 따르면, 시료로 부터 혈중순환 종양세포가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있다. 추출부(110)에 의해 추출된 혈중순환 종양세포는 후술하는 합성부(120)로 전달된다.
합성부(120)는 혈중순환 종양세포에서 유래된 RNA에서 cDNA를 합성하여 템플릿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추출부(110)에 공정상 연결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이동장치(미도시), 반응기(121), 교반기(122), 원심분리기(123) 등의 템플릿 합성을 위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RNA 추출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혈중순환 종양세포에 분해시약 첨가한 샘플을 수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클로로폼(chloroform)을 일정 용량 첨가한 후 교반한다. 이후, 샘플을 원심분리하면 혈중순환 종양세포가 RNA 부분과, DNA 부분과, 기타 단백질 부분 등으로 나뉘게 된다. 최상층에 배치된 RNA 부분을 별도로 추출하고, 이소프로파놀(Isoprophanol)을 일정 용량 첨가한 후 실온에서 수분간 반응 시킨다. 이후, 샘플을 원심분리하면, RNA Pellet이 침전되는데, 이를 추출하여 Washing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RNA가 추출된다. 다음으로 cDNA 합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RNA에 역전사 효소와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을 첨가하여 mRNA 사슬을 주형으로 1차 DNA 가닥을 복사한다. 이후, RNA 분해효소 (RNase H)를 처리하여 DNA-RNA 혼성 double strands로부터 mRNA를 제거한다. 이후, DNA중합효소를 처리하여 역전사에 의해 만들어진 DNA 가닥을 주형으로 하여 DNA의 두 번째 가닥을 형성하여 템플릿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합성부(120)에서 형성된 템플릿은 후술하는 증폭부(130)로 전달된다.
수용부(130)은 상술한 합성부(120)에서 합성된 템플릿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템플릿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가열부(140)에 접촉된다. 한편, 수용부(130)는 칩(Chip)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열부(140)는 수용부(130)에 열에너지를 가하여 수용부(130)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가열부(140)에 의해서 수용부(130) 내부에 수용된 템플릿, 즉, cDNA에 열에너지가 인가된다.
가열부(140)는 펠티어 소자 또는 저항열을 이용하는 히터 등으로 마련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를 생성하며,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중합효소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은 DNA를 해리(Denaturation), 어닐링(Annealing) 및 확장(Elongation)의 3단계로 진행된다. 해리단계는 15초 내지 30초간 90℃ 내지 96℃로 가열하여 두 가닥의 DNA를 각각 한가닥의 DNA로 분리하는 단계이며, 어닐링 단계는 30초 내지 60초간 50℃ 내지 65℃로 가열하여 DNA와 프라이머 사이에서 Adenine-Thymine, Guanine-Cytosine의 상보적 결합이 일어나도록 만드는 단계이다. 열처리로 한가닥으로 변성한 DNA와 프라이머를 공존시킨 후 온도를 낮추면 2종류의 프라이머는 각각 상보적인 한가닥 주령 DNA에 결합(annealing)한다. 확장(Extension)단계는 30초 내지 10분간 70℃ 내지 74℃로 가열하여 4종류 기질(dNTP)의 공존하는 상태에서 DNA중합효소 반응을 일으켜서 프라이머를 신장시키는 단계이다. 신장반응에 필요한 시간은 주형DNA의 농도, 증폭단면의 크기, 반응온도에 따라 좌우된다. 상술한 3단계를 거치면 DNA의 수는 두 배로 증가하는데, 통상적으로 25사이클 내지 30사이클을 반복하여야 원하는 농도의 DNA가 획득된다.
그러므로 가열부(140)는 각 단계에 맞추어 온도 및 가열시간이 조절되어야 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부(150)는 가열부(14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양 및 열에너지 인가 시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가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5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와 같은 연산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영상부(160)는 수용부(130)를 촬영하여 실시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형광시약(Interchelator)을 표시할 수 있는 카메라로 마련되며, 후술하는 단말부(17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형광시약 예를 들면 SYBRGreen I, EtBr 등일 수 있다. 형광시약은 수용부(130)에 첨가되는데, 상술한 확장단계에 의해 증폭된 DNA의 이중가닥에 형광시약이 결합하면 형광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영상부(160)는 수용부(130)에 광을 조사한 후 반사되는 광으로 형광이 표시된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가닥 DNA에 형광시약이 결합하면 형광을 나타내는데, 이때, 형광강도를 이용하면, 정량뿐 아니라 증폭 DNA의 융해온도도 확인가능하다.
한편, 영상부(160)는 수용부(130)를 촬영하기 위해서, 수용부(130)와 카메라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반사렌즈 및 편광렌즈 등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부(170)는 영상부(160)로 부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PC와 같은 단말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추출부(110)와, 합성부(120)와, 수용부(130)와, 가열부(140)와, 제어부(150)와, 영상부(160)와, 단말부(17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순환종양세포를 이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110 : 추출부
120 : 합성부
130 : 수용부
140 : 가열부
150 : 제어부
160 : 영상부
170 : 단말부
f : 필터

Claims (2)

  1. 시료에서 혈중순환 종양세포를 추출하는 추출부;
    혈중순환 종양세포에서 유래된 RNA에서 cDNA를 합성하여 생성되는 템플릿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열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수용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부; 및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와 혈액세포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추출부는,
    수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수직형의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저면에는 평판형의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추출부는,
    상기 수직형의 플레이트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 연통되며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에 연통되며 시료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에 연통되는 추가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은,
    높이방향을 따라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필터모듈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필터모듈의 각 단부는,
    경사지도록 마련되며,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필터모듈 각 단부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크도록 마련되고,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필터모듈 단부 사이의 하측 이격거리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작도록 마련되고,
    상기 추출부는,
    시료의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시료가 유동되지 않는 다고 판단하는 경우 추가홀로 기체 또는 순수전해질을 공급하는 공급모듈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필터모듈은,
    높이가 너비보다 더 짧도록 마련되며, 상기 필터모듈의 높이는, 상기 혈중순환 종양세포의 직경 보다 더 짧도록 마련되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추출부의 정면에 배치되며, 상기 추출부의 내부공간의 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분석함으로써 시료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050232A 2020-04-24 2020-04-24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9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32A KR102197410B1 (ko) 2020-04-24 2020-04-24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32A KR102197410B1 (ko) 2020-04-24 2020-04-24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410B1 true KR102197410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232A KR102197410B1 (ko) 2020-04-24 2020-04-24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4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190U (ko) * 2013-04-22 2013-05-29 주식회사 코비 고압의 공기를 이용한 필터형 시료 전처리 시스템
WO2016004155A1 (en) * 2014-07-02 2016-01-07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quantifying nucleic acid amplification
KR20170127637A (ko) * 2016-05-12 2017-11-22 주식회사 에스디티아이엔씨 순환 종양 세포 클러스터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190U (ko) * 2013-04-22 2013-05-29 주식회사 코비 고압의 공기를 이용한 필터형 시료 전처리 시스템
WO2016004155A1 (en) * 2014-07-02 2016-01-07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quantifying nucleic acid amplification
KR20170127637A (ko) * 2016-05-12 2017-11-22 주식회사 에스디티아이엔씨 순환 종양 세포 클러스터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8676B2 (en) Microfluidic cartridge
US11534756B2 (en) Compact device for detection of nanoscale analytes
EP2832845A1 (en) Imaging cell sorter
JP2007101428A (ja) 化学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3103106B (zh) 自动分析核酸的装置
JP7170128B2 (ja) 全自動バイオチップワークステーション及びその検査方法
US20180100185A1 (en) Methods for analyzing dna
US9551665B2 (en) Method for detecting mitochondria gene alterations
CN111742223A (zh) 聚合酶链反应系统
CN113966388A (zh) 聚合酶链式反应系统
CN111781139B (zh) 夹盒组件
JP2015042182A (ja) 核酸検出方法
JP2022516442A (ja) 増幅産物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CN101718698B (zh) Pcr-ce联用微流控芯片激光诱导荧光分析仪
CN201581079U (zh) 聚合酶链式反应-毛细管电泳联用微流控芯片激光诱导荧光分析装置
KR102197410B1 (ko) 핵산증폭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090587A (ko) 휴대용 등온 핵산 증폭장치
KR102177226B1 (ko) Pcr 증폭 장치
KR20220081789A (ko) 분자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분자 진단 장치
WO201610671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ducting chemical reactions
KR102177222B1 (ko) 머신러닝 기반 암진단 예측 시스템
JP2004028775A (ja) 遺伝子検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検出方法
KR102177218B1 (ko) 머신러닝 기반 암진단 예측 장치
JP7290345B2 (ja) 遺伝子解析用前処理キット、核酸分析用チップ、解析システム、生体物質分析用チップ
KR102196493B1 (ko) 암진단을 위한 CTCs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