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873B1 -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873B1
KR102196873B1 KR1020190006941A KR20190006941A KR102196873B1 KR 102196873 B1 KR102196873 B1 KR 102196873B1 KR 1020190006941 A KR1020190006941 A KR 1020190006941A KR 20190006941 A KR20190006941 A KR 20190006941A KR 102196873 B1 KR102196873 B1 KR 10219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ignal
mouse
electronic device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298A (ko
Inventor
김은숙
안수경
강성구
장원식
박윤경
최승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특수교육원장)
주식회사 민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특수교육원장), 주식회사 민토시스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특수교육원장)
Priority to KR102019000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8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처리하는 스위치신호처리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전자장치를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신호저장부와, 상기 입력신호저장부에 상기 스위치신호 별로 상기 입력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입력신호설정부 및 상기 전자장치와 무선 연결되어 상기 입력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함으로써,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치 신호에 전자장치의 키입력 또는 기능을 설정하여 간단히 스위치 동작만으로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 들도,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기기 등의 전자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ASSISTIVE DEVICE FOR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 활동이 자유롭지 않은 장애인이 스위치를 이용하여 컴퓨터, 스마트 장치와 같은 전자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각종 전자 장치의 보급도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의 사용은 디지털 정보에의 접근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다른 형태의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를 야기하고 있는데, 기존의 통상적인 전자 장치들은 신체적인 어려움을 수반하지 않은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접근성이 어려웠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전자 정치는 키보드(또는 키패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척추손상이나 뇌성마비 등의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의 경우, 손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의 키보드(또는 키패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입력장치를 사용할 수 없어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각종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3-00960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가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기기 등의 전자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수의 운동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는 스위치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처리하는 스위치신호처리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전자장치를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신호저장부와, 상기 입력신호저장부에 상기 스위치신호 별로 상기 입력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입력신호설정부 및 상기 전자장치와 무선 연결되어 상기 입력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는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치 신호에 전자장치의 키입력 또는 기능을 설정하여 간단히 스위치 동작만으로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 들도,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기기 등의 전자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휴대시 불편함 또는 사용시 유선 연결 등의 유선 사용으로 인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스위치를 눌러 발생되는 스위치 신호를 제어하여 불수의 운동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100)는 스위치(10)와 마우스(20)가 연결되어 스위치(10)와 마우스(20)의 사용하여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각종 전자장치(3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100)는 스위치(10)의 사용시 생성되는 스위치신호와 마우스(20)의 사용 시 생성되는 마우스신호를 이용하여 전자장치(30)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전자장치(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100)는 스위치신호처리부(110), 입력신호저장부(120), 입력신호설정부(130) 및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신호처리부(110)는 스위치(10)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처리하여 입력신호저장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신호처리부(110)는 스위치(10)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10)의 감도를 설정하는 스위치감도설정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감도설정부(111)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최초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한 후 설정된 시간 이후에 스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시간 간격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100)는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스위치(10)를 여러번 누른다고 하더라도 스위치(10)를 한번만 누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감도설정부(111)의 다른 방식으로 스위치(10)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 수 대비 출력되는 스위치신호의 수가 미리 설정되어 최초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한 후 설정된 수 만큼 스위치신호가 수신되면 하나의 스위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스위치신호 수 대비 출력되는 스위치신호의 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100)는 수신되는 스위치신호 수 대비 출력되는 스위치신호의 수가 10번으로 설정되면 사용자가 스위치(10)를 10번 누른다고 하더라도 스위치(10)를 한번만 누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감도설정부(111)는 스위치(10)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 중 사용자가 인지하여 누르는 타이밍에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기계학습을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신호처리부(110)에는 불수의 운동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고 움직여 스위치(10)를 누르는 경우 발생되어 수신되는 스위치신호와 불수의 운동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인지를 하여 정확한 타이밍에 눌러 발생되어 수신되는 스위치신호가 있다. 이때, 두 가지의 신호 중 사용자가 인지하여 정확한 타이밍에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속하고, 사용자가 인지한 후 스위치신호가 수신되는 시간간격 등의 패턴을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100)는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된 패턴이 설정되면 불수의 운동으로 눌러지는 스위치(10)의 스위치신호는 인식하지 않고, 사용자가 인지하여 누른 스위치(10)의 스위치신호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수의 운동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고 움직여 스위치(10)를 누른다고 하더라도 스위치감도설정부(111)에 의해 출력되는 스위치신호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자장치(30)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저장부(120)는 스위치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전자장치(30)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저장부(120)에는 전자장치(30)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스위치신호처리부(110)로부터 스위치신호가 출력되면 해당 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신호저장부(120)에 컴퓨터의 "Enter"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가 미리 저장되고, 스위치신호처리부(110)로부터 스위치신호가 출력되면 "Enter"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가 출력되어 컴퓨터의 "Enter" 기능이 출력되게 된다.
한편, 상기 입력신호저장부(120)에는 스위치신호 별로 입력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입력신호설정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설정부(130)는 전자장치(10)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를 스위치신호와 매칭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장치(10)가 스마트폰인 경우 다음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입력신호로 스위치신호와 매칭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100)는 복수개의 스위치(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신호설정부(130)를 통해 각각의 스위치(10)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 별로 입력신호가 설정되어 입력신호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설정부(130)를 통해 입력신호에 대한 전자장치(30)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40)는 전자장치(30)와 무선 연결되어 입력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140)의 무선 통신 방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100)는 마우스(20)(예컨대, 마우스, 헤드 마우스, 조이스틱, 볼 마우스 등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자장치(30)에서 사용되는 마우스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에서 수신되는 마우스신호를 처리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150)는 전자장치(30)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마우스포인터의 위치 이동과 클릭 등의 마우스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 마우스신호보정부(151), 자동클릭생성부(152), 자동클릭시간설정부(153) 및 범위설정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신호보정부(151)는 마우스(20)의 움직임에 대한 마우스포인터의 위치 이동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우스신호보정부(151)는 마우스(20) 움직임에 대한 마우스신호 중 마우스포인터의 위치가 미세하게 변경되는 마우스신호를 필터링하여 마우스포인터의 위치 이동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마우스포인터의 위치가 미세하게 변경되는 마우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필터링함으로써, 마우스포인터의 미세한 위치 이동을 방지하여 손떨림이 있는 사용자가 전자장치(30)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 장치 중 마우스(20)의 사용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클릭생성부(152)는 마우스신호를 토대로 마우스(20)가 동일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으면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손 사용이 어려운 사용자가 마우스(20)에 있는 클릭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마우스포인터가 소정의 위치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클릭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자장치(30)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동클릭시간설정부(153)는 자동클릭생성부(152)에서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불편한 정도에 따라 시간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전자장치(30)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설정부(154)는 마우스신호를 토대로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화면 상에서 마우스 위치를 중심으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 사용이 어려운 사용자의 경우 전자장치(3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기능을 실행하는 아이콘에 정확히 마우스포인터를 위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범위설정부(154)를 통해 전자장치(3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마우스 위치를 중심으로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범위 설정함으로써, 전자장치(30)의 기능을 실행하는 아이콘에 정확히 마우스포인터를 위치시키지 않고도 아이콘을 실행하여 전자장치(30)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스위치신호처리부 111 : 스위치감도설정부
120 : 입력신호저장부 130 : 입력신호설정부
140 : 무선통신부 150 : 마우스신호처리부
151 : 마우스신호보정부 152 : 자동클릭생성부
153 : 자동클릭시간설정부 154 : 범위설정부

Claims (7)

  1. 스위치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처리하는 스위치신호처리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전자장치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신호저장부;
    상기 입력신호저장부에 상기 스위치신호 별로 상기 입력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입력신호설정부; 및
    상기 전자장치와 무선 연결되어 상기 입력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신호처리부는
    상기 스위치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상기 스위치의 감도를 설정하는 스위치감도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감도설정부는
    상기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되어 최초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스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위치신호가 출력되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우스에서 수신되는 마우스신호를 처리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는 마우스의 움직임에 대한 마우스포인터의 위치 이동을 보정하는 마우스신호보정부; 및
    상기 마우스신호를 토대로 마우스가 동일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으면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는 자동클릭생성부;
    를 포함하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는
    상기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시간을 설정하는 자동클릭시간설정부; 및
    상기 마우스신호를 토대로 상기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화면 상에서 마우스 위치를 중심으로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감도설정부는
    상기 스위치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 수 대비 출력되는 스위치신호의 수가 미리 설정되어 최초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설정된 수 만큼 스위치신호가 수신되면 하나의 스위치신호가 출력되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감도설정부는
    상기 스위치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 중 사용자가 인지하여 누르는 타이밍에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기계학습을 통해 미리 설정되는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KR1020190006941A 2019-01-18 2019-01-18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KR10219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941A KR102196873B1 (ko) 2019-01-18 2019-01-18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941A KR102196873B1 (ko) 2019-01-18 2019-01-18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298A KR20200090298A (ko) 2020-07-29
KR102196873B1 true KR102196873B1 (ko) 2020-12-31

Family

ID=7189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941A KR102196873B1 (ko) 2019-01-18 2019-01-18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87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3863B (zh) * 2010-09-30 2015-07-08 华为终端有限公司 用户触摸操作模式自适应的方法和装置
KR101335247B1 (ko) 2012-02-21 2013-11-29 주식회사 팬택 원격의 싱크 장치를 표시하는 방법, 이를 위한 소스 장치 및 시스템
KR102325339B1 (ko) * 2014-12-24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10448B1 (ko) * 2015-11-30 2018-10-24 주식회사 민토시스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최진우 등, 한국정보과학회, 2018.08.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298A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887B2 (en) User interface control of responsive devices
US11474604B2 (en) User interface control of responsive devices
EP3037946B1 (en) Remote controll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2330655B1 (ko) 자동 제스처 및 손가락 인식을 위한 정맥 스캐닝 디바이스
US9727182B2 (en) Wearable haptic and touch communication device
US10121335B2 (en) Wearable haptic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US9965036B2 (en) Haptic guides for a touch-sensitive display
US20230113991A1 (en) Biopotential-Based Gesture Interpretation With Machine Labeling
KR100525470B1 (ko) 입력키가 손가락의 이동반경 내에 위치되어 있는입력장치와 이를 사용한 명령 입력방법
US20170364197A1 (en) Touch operating methods, touch operati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P1756700B1 (de) Verfahren, system und vorrichtung zur körpergesteuerten übertragung von selektierbaren datenelementen an ein endgerät
KR101497829B1 (ko) 모션 입력을 이용하는 손목시계형 장치
KR102196873B1 (ko)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WO2017134732A1 (ja)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およ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KR20160039589A (ko) 손가락 센싱 방식을 이용한 무선 공간 제어 장치
CN103974107A (zh) 电视机眼动控制方法、装置及电视机
US202003415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WO2016121034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91039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US20170199578A1 (en) Gesture control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mobile or wearable device
CN10453655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176422B (zh) 智能穿戴设备及其操作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013117A1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0313335Y1 (ko) 입력키가 손가락의 이동반경 내에 위치되어 있는 입력장치
KR20190069773A (ko) 밴드형 컨트롤러 장치, 이를 포함하는 vr 구현 시스템 및 그 제스처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