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448B1 -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448B1
KR101910448B1 KR1020150169011A KR20150169011A KR101910448B1 KR 101910448 B1 KR101910448 B1 KR 101910448B1 KR 1020150169011 A KR1020150169011 A KR 1020150169011A KR 20150169011 A KR20150169011 A KR 20150169011A KR 101910448 B1 KR101910448 B1 KR 10191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input signal
mous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061A (ko
Inventor
이승준
장원식
박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토시스
Priority to KR102015016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4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부와,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 및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와 상기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입력신호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 대한 기술이 발전해오면서, 초기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이 컴퓨터 기술에 관한 가장 중요한 요소였으나, 점점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극대화하기 위한 컴퓨터 주변기기가 컴퓨터 기술에 관한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
특히, 중증 지체장애인과 같이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휠체어에 의지하여 생활하는 사람은 하루종일 집안에만 있어서 사회활동을 거의 할 수 없으나, 최근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터넷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장애인이라도 인터넷을 통하면 다양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되었고, 사이버 공간 내에서는 장애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장애인의 컴퓨터 사용이 많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장애인들이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애의 정도에 맞는 정보통신보조기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특히, 척추손상이나 뇌성마비 등의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의 경우, 손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마우스나 키보드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어 이를 해소해 주기 위한 다양한 기기들이 출시되거나 정부의 지원으로 보급되고 있다.
현재 장애인들의 컴퓨터 사용에 대한 해결방안과 보조기기들은 계속해서 제시 되고 있으나, 그 방법이 완벽하지 않고, 시중에 나와 있는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의 경우 그 가격이 매우 높아 쉽게 접하기 힘들며, 제어 방법 또한 쉽지 않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557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가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은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부와,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 및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와 상기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입력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가 제공됨에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는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가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 보조 장치는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부(110),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120) 및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와 상기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30)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30)로 출력하는 입력신호생성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입력부(110)는 수신되는 스위치신호와 대응되는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입력부(110)는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신호수신부(111)와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서 수신된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신호수신부(111)는 스위치(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1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스위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는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서 수신된 스위치신호를 토대로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는 스위치신호와 대응되는 스위치입력신호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에 저장되는 스위치입력신호는 전자기기(3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데, 스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스위치입력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10)가 한번 눌려 발생되는 제1스위치신호는 전자기기(30)의 키보드를 동작시키는 제1스위치입력신호로 설정하여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고, 스위치(10)가 두번 눌려 발생되는 제2스위치신호는 전자기기(30)의 마우스를 동작시키는 제2스위치입력신호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는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스위치입력신호 중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서 수신되는 스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스위치입력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입력부(110)는 간단한 스위치(10)의 동작을 통하여 스위치입력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므로,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가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120)는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클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120)는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신호수신부(121)와 동작신호수신부(121)에서 수신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클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클릭신호생성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신호수신부(121)는 대체 마우스(20)(예컨대, 헤드 마우스, 조이스틱 마우스 등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자기기(30)에서 사용되는 마우스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마우스포인터의 이동을 신호화한 동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신호생성부(122)는 동작신호수신부(121)에서 수신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클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릭신호생성부(122)는 동작신호에 포함된 마우스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포인터가 소정의 위치에 머무르는 시간을 토대로 클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신호를 분석하여 마우스포인터가 소정의 위치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넘어서 머무는 경우, 그 위치에 해당하는 클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120)는 동작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123)는 동작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마우스포인터의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123)는 동작신호를 필터링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른 동작신호에 포함된 마우스포인터의 불안정한 움직임을 안정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중증 지체장애인이나, 손조작이 어려운 노약자가 전자기기(30)를 사용함에 있어서, 마우스포인터의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스위치입력신호와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30)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3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스위치입력부(110)에서 출력되는 스위치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스위치입력신호를 토대로 키보드입력신호 또는 마우스입력신호 중 하나를 생성하여 전자기기(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스위치입력신호와 대응되는 키보드입력신호 또는 마우스입력신호 중 하나가 생성되어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스위치입력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키보드입력신호 또는 마우스입력신호 중 하나가 생성되어 전자기기(30)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기기(30)의 키보드를 동작시키는 제1스위치입력신호가 입력신호생성부(130)로 수신되는 경우, 키보드를 동작시키는 키보드입력신호가 생성되어 전자기기(30)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자기기(30)의 마우스를 동작시키는 제2스위치입력신호가 입력신호생성부(130)로 수신되는 경우, 마우스를 동작시키는 마우스입력신호가 전자기기(30)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마우스신호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30)를 구동하는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3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마우스클릭신호에 대응되는 마우스입력신호 및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마우스입력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마우스클릭신호 및 동작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마우스입력신호가 생성되어 전자기기(30)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는 가상키보드신호를 수신하는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140)는 전자기기(30)와 연결되어 전자기기(30) 내에 설치된 가상 키보드 프로그램으로부터 가상키보드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신호생성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140)에서 출력되는 가상키보드신호를 전자기기(30)에 의해 HID(Human Interface Device) 키보드신호로 인식되는 HID키보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는 가상키보드신호를 전자기기(30)에 의해 HID(Human Interface Device) 키보드신호로 인식되는 HID키보드신호로 변환하여 전자기기(30)에 입력할 수 있으므로, 가상 키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은행 업무 등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곳에서 사용할 경우, 보안상 문제로 인하여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 또는 '연결하는'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스위치입력부
111 : 스위치신호수신부
112 :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
120 : 마우스신호처리부
121 : 동작신호수신부
122 : 클릭신호생성부
130 : 입력신호생성부
140 :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

Claims (5)

  1. 스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른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부(110);
    동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신호를 처리하여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우스신호처리부(120); 및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와 상기 마우스클릭신호 및 상기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키보드입력신호 및 마우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입력신호생성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마우스신호처리부(12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마우스포인터의 이동을 신호화한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신호수신부(121); 및
    상기 동작신호수신부(121)에서 수신된 상기 동작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마우스포인터의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의 마우스 클릭 기능을 마우스클릭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하되, 상기 마우스포인터가 소정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위치하면,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마우스클릭신호를 생성하는 클릭신호생성부(122);
    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입력부(110)는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스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신호수신부(111) 및
    상기 스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스위치입력신호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스위치신호수신부(111)에 수신되는 상기 스위치신호 대응되는 상기 스위치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
    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출력부(112)는
    각각의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스위치신호 별로 상기 스위치입력신호를 설정하여 저장되는 상기 스위치입력신호의 변경이 가능한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가상 키보드 프로그램으로부터 가상키보드신호를 수신하는 가상키보드신호수신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신호생성부(130)는 상기 가상키보드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의해 HID(Human Interface Device) 키보트 신호로 인식되는 HID키보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KR1020150169011A 2015-11-30 2015-11-30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KR10191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011A KR101910448B1 (ko) 2015-11-30 2015-11-30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011A KR101910448B1 (ko) 2015-11-30 2015-11-30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61A KR20170063061A (ko) 2017-06-08
KR101910448B1 true KR101910448B1 (ko) 2018-10-24

Family

ID=5922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011A KR101910448B1 (ko) 2015-11-30 2015-11-30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873B1 (ko) * 2019-01-18 2020-12-31 대한민국(국립특수교육원장) 장애인의 전자장치 사용을 위한 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0012B2 (ja) * 2003-08-11 2006-08-16 株式会社日立ケーイーシステムズ 障害者用パソコン入力装置
KR20080100651A (ko) * 2007-05-14 2008-11-19 학교법인 영광학원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제어장치
KR20100023548A (ko) * 2008-08-22 2010-03-04 (주)모이텍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
JP5507295B2 (ja) * 2009-06-05 2014-05-28 株式会社ミツトヨ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変換伝送システム
KR101117117B1 (ko) * 2010-01-29 2012-02-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통신기기의 입력 장치
KR102187837B1 (ko) * 2013-05-16 2020-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의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과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61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25982A1 (en) Systems, methods, and interfaces for performing inputs based on neuromuscular control
KR102187837B1 (ko) 컴퓨터의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과 그 시스템
Quinn et al. Active edge: Designing squeeze gestures for the google pixel 2
Ang et al. A user-friendly wearable single-channel EOG-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for cursor control
CN107066778A (zh) 用于老年保健陪伴的Nounou智能监护系统
KR101910448B1 (ko) 장애인용 입력 보조 장치
Chew et al. Low-cost eye gesture communication system for people with motor disabilities
Henzen et al. Adaptable virtual keyboard and mouse for people with special needs
McMurrough et al. A development and evaluation platform for non-tactile power wheelchair controls
KR102483860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촉각태블릿을 활용한 시각장애인 인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Battina et al. Innovative study of an AI voice based smart Device to assist deaf people in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their body language
Beelders et al.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gaze and speech for text input
Cerejo et al. Eye controlled wheelchair Based on arduino circuit
CN110192193A (zh) 隐私保护设备
Vasiljevas Development of a concept-based EMG-based speller
Schipor et al. Engineering Details of a Smartglasses Application for Users with Visual Impairments
CN111832656A (zh) 医用人机交互辅助系统及含该程序的计算机可读存储介质
Ani et al. Preliminary study of recognizing alphabet letter via hand gesture
Kenttälä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and eye-tracking interface in assistive technology for disabled
Umapathi et al. Morse Code to Text Converter using Arduino.
Uma et al. A camera based human computer interaction through virtual keyboard assistant
Rajan et al. Humorse: smartphone based unified home automation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Wang et al. Enhancing independence for people with low vision to use daily panel-interface machines
Sabab et al. EYE POINTER: A real time cost effective computer controlling system using eye and head movement
KR20190030928A (ko) 아이트래킹 및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대체접근 시스템 및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