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71B1 -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 - Google Patents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6571B1 KR102196571B1 KR1020190166955A KR20190166955A KR102196571B1 KR 102196571 B1 KR102196571 B1 KR 102196571B1 KR 1020190166955 A KR1020190166955 A KR 1020190166955A KR 20190166955 A KR20190166955 A KR 20190166955A KR 102196571 B1 KR102196571 B1 KR 102196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hook
- fishing
- waist
- bend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635206 Conger conger Species 0.000 title abstract 7
- 241000252099 Conger myriaster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101100460844 Mus musculus Nr2f6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167880 Hirundinida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0252073 Anguilliformes Species 0.000 abstract 3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4894 snout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70295 Serpent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3 coast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붕장어 주낙에 사용되는 낚싯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줄이 결속되는 바늘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늘허리와, 상기 바늘허리의 하단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자 형태로 선회 또는 굴곡 형성되는 허리굽이와, 상기 허리굽이의 전방측 상단부를 날카롭게 형성시킨 바늘팁과, 상기 바늘팁의 내측에 형성되는 미늘로서 낚싯바늘을 구성하되, 상기 바늘허리의 수직으로 뻗은 중앙측과 허리굽이의 사이에 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만큼 " )"자 형태로 돌출되는 후방굴곡부를 추가로 형성시키고, 상기 허리굽이는 후방굴곡부의 하단측과 연이어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바늘팁은 기존의 낚싯바늘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함에 따라, 수산자원관리법에 의하여 포획이 금지된 체장 35cm 미만의 어린 붕장어가 낚싯바늘을 한번에 쉽게 삼키지 못하도록 하고, 어린 붕장어가 미끼를 먹는 과정에서 낚싯바늘을 삼키더라도 그 즉시 이물감을 느껴 낚싯바늘을 뱉어낼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낚싯바늘을 뱉어내는 도중에 바늘팁의 끝단부가 주둥이 내측에 꽃히지 않고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어린 붕장어가 무분별하게 남획되는 현상 및 어획된 붕장어 중에서 어린 붕장어를 선별하여 낚싯바늘로부터 빼내는 선상에서의 번거러운 작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싯줄이 결속되는 바늘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늘허리와, 상기 바늘허리의 하단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자 형태로 선회 또는 굴곡 형성되는 허리굽이와, 상기 허리굽이의 전방측 상단부를 날카롭게 형성시킨 바늘팁과, 상기 바늘팁의 내측에 형성되는 미늘로서 낚싯바늘을 구성하되, 상기 바늘허리의 수직으로 뻗은 중앙측과 허리굽이의 사이에 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만큼 " )"자 형태로 돌출되는 후방굴곡부를 추가로 형성시키고, 상기 허리굽이는 후방굴곡부의 하단측과 연이어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바늘팁은 기존의 낚싯바늘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함에 따라, 35cm 미만의 체장을 가지는 어린 붕장어가 낚싯바늘에 쉽게 걸리지 않도록 한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바늘(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이 결속되는 바늘귀(2)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바늘허리(3)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늘허리(3)의 하단측으로부터 전방측(도면상 좌측)을 향하여 바늘몸통을 제공하는 허리굽이(4)가 "∪"자 형태로 선회(도 1) 또는 굴곡(도 2) 형성된 "J"자형의 갈고리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허리굽이(4)의 전방측 상단부는 대상어종이 미끼를 삼킬 경우 대상어종의 주둥이 내측에 낚싯바늘(1)이 강하게 꽃힐 수 있도록 날카로운(뾰족한) 바늘팁(5)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팁(5)의 내측(도면상 우측)에는 대상어종의 주둥이에 박힌 낚싯바늘(1)이 쉽게 빠져 나오지 않도록 가시처럼 작은 갈고리를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시킨 미늘(6)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낚싯바늘(1)은 대상어종이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삼킬 경우, 낚싯바늘(1)이 별다른 저항없이 대상어종의 주둥이 내부로 쉽게 빨려 들어가 강하게 꽂힐 수 있도록 바늘허리(3) 자체가 거의 직선형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상기 바늘팁(5)은 허리굽이(4)의 하단으로부터 바늘귀(2)의 상단에 이르는 낚싯바늘(1) 전체 높이의 1/2 미만에 해당하는 높이에서 도 1에서와 같이 거의 수직 방향을 이루거나, 도 2에서와 같이 바늘허리(3)에 해당하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들어가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른 한편으로, 최근에 들어서는 연안해역의 어자원 보호를 위한 수산자원관리법의 제정에 따라 무분별한 남획이 이루어지는 여러 어종에 대하여 산란철을 전,후로 한 금어기(禁漁期)를 지정함으로서 해당 시기에 특정 어종의 어획을 금지하고 있는 한편, 다양한 어종에 대한 포획금지 체장(體長: 어체의 길이)을 함께 적용시킴으로서 금어기를 제외한 기간에도 해당 체장 미만의 어린 물고기는 포획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상어종의 어획만을 목표로 제작된 낚싯바늘(1)로 말미암아 붕장어 주낙에 종사하는 어민들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포획금지 체장인 35cm 미만의 어린 붕장어가 대량으로 어획되고 있으며, 어민들의 입장에서도 이러한 어린 붕장어는 상품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주낙에 걸려 올라온 어린 붕장어를 전량 방생 처리하고 있는 바, 이러한 방생작업 자체가 조업에 상당한 차질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다시 말해서, 붕장어의 경우 다른 어종에 비하여 주둥이가 매우 작고 체장이 상대적으로 길며 체표면이 상당히 미끄럽기 때문에, 어체에 손상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어린 붕장어의 주둥이에 걸린 낚싯바늘(1)을 빼내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므로, 실질적인 조업과는 상관없이 어린 붕장어의 방생작업 자체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어린 붕장어의 어획 자체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낚싯바늘(1)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낚싯줄이 결속되는 바늘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늘허리와, 상기 바늘허리의 하단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자 형태로 선회 또는 굴곡 형성되는 허리굽이와, 상기 허리굽이의 전방측 상단부를 날카롭게 형성시킨 바늘팁과, 상기 바늘팁의 내측에 형성되는 미늘로서 낚싯바늘을 구성하되, 상기 바늘허리의 수직으로 뻗은 중앙측과 허리굽이의 사이에 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만큼 " )"자 형태로 돌출되는 후방굴곡부를 추가로 형성시키고, 상기 허리굽이는 후방굴곡부의 하단측과 연이어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바늘팁은 기존의 낚싯바늘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함에 따라, 수산자원관리법에 의하여 포획이 금지된 체장 35cm 미만의 어린 붕장어가 낚싯바늘을 한번에 쉽게 삼키지 못하도록 하고, 어린 붕장어가 미끼를 먹는 과정에서 낚싯바늘을 삼키더라도 그 즉시 이물감(異物感)을 느껴 낚싯바늘을 뱉어낼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낚싯바늘을 뱉어내는 도중에 바늘팁의 끝단부가 주둥이 내측에 꽃히지 않고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을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낚싯줄이 결속되는 바늘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바늘허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늘허리의 하단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바늘몸통을 제공하는 허리굽이가 "∪"자 형태로 선회 또는 굴곡 형성되며, 상기 허리굽이의 전방측 상단부는 날카로운 바늘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늘팁의 내측에는 미늘이 형성된 낚싯바늘에 있어서, 상기 바늘허리의 수직으로 뻗은 중앙측과 허리굽이의 사이에는 바늘팁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는 후방측을 향하여 바늘허리로부터 소정의 폭만큼 " )"자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폭은 바늘팁의 끝단부에서 바늘허리에 이르는 몸통폭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몸통폭의 1/10 내지 1/3 범위내로 돌출되는 후방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굴곡부가 형성되는 높이는 허리굽이의 하단으로부터 바늘귀의 상단에 이르는 전체 높이의 1/3 내지 2/3 범위내로 되고, 상기 허리굽이는 후방굴곡부의 하단측과 연이어져 형성되며, 하단으로부터 바늘팁의 끝단부에 이르는 높이는 허리굽이의 하단으로부터 바늘귀의 상단에 이르는 전체 높이의 1/2 내지 3/5 범위내로 되고, 상기 바늘팁은 허리굽이로부터 바늘허리와 반대 방향이 되는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각도가 10~30도의 범위내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붕장어가 미끼와 낚싯바늘을 한꺼번에 삼키고자 할 경우, 낚싯줄이 연결된 바늘귀를 중심으로 하여 낚싯바늘이 붕장어의 주둥이 방향으로 꺽어지는 과정에서 바늘허리의 후방굴곡부에 의하여 기존의 낚싯바늘보다 비교적 요동이 큰 꺽어짐이 유발됨으로서, 포획금지 체장보다 큰 붕장어 성체의 경우는 이러한 꺽어짐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이물감없이 미끼를 낚싯바늘과 함께 삼키거나 빨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어린 붕장어의 경우는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을 쉽게 삼키거나 빨아들이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어린 붕장어가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을 삼키지 못할 경우 미끼를 조금씩 씹어 자르는 행동을 보이고, 미끼를 자르기 위해 몸통을 강하게 회전시키기도 하는 바, 이러한 행동패턴에 의하여 뱀처럼 조금씩 미끼를 몸속으로 밀어 넣으면서 낚싯바늘을 최종적으로 삼키려 하는 시점에 앞서 설명되어진 낚싯바늘의 요동과 꺽어짐에 의하여 어린 붕장어가 이물감을 쉽게 느껴 낚싯바늘을 즉시 뱉어내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바늘팁의 높이를 기존의 낚싯바늘보다 높게 함으로서 어린 붕장어가 느끼는 이물감이나 바늘 삼킴의 곤란성을 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바늘팁 자체가 기존의 낚싯바늘과는 달리 전방측 방향, 다시 말해서 붕장어가 낚싯바늘을 미끼와 함께 물고 당기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획금지 체장보다 큰 붕장어 성체의 경우는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을 통째로 삼키는 과정에서 제물걸림(챔질없이도 대상어종이 낚싯 바늘에 걸리는 것)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면, 어린 붕장어의 경우는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을 완전히 삼키지 못함에 따라 바늘팁이 주둥이 내측에 강하게 꽃히지 않는 동시에, 낚싯바늘을 뱉어내는 시점에서도 낚싯바늘이 주둥이로부터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어린 붕장어가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을 한번에 쉽게 삼키지 못하도록 하고, 미끼를 먹는 과정에서 낚싯바늘을 삼키더라도 그 즉시 이물감을 느껴 낚싯바늘을 뱉어낼 수 있도록 하며, 낚싯바늘을 뱉어내는 도중에 바늘팁의 끝단부가 주둥이 내측에 꽃히지 않고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방안을 통하여, 어린 붕장어의 무분별한 남획을 방지하고 상품성이 우수한 붕장어만을 선택적으로 어획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어린 붕장어를 선별하여 낚싯바늘로부터 빼내는 선상에서의 번거러운 작업 역시 최소화시킴으로서, 조업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 및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낚싯바늘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을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을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1)의 경우에도 낚싯줄이 결속되는 바늘귀(2)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늘허리(3)와, 상기 바늘허리(3)의 하단측으로부터 전방측(도면상 좌측)을 향하여 "∪"자 형태로 선회 또는 굴곡 형성되는 허리굽이(4)와, 상기 허리굽이(4)의 전방측 상단부를 날카롭게(뾰족하게) 형성시킨 바늘팁(5)과, 상기 바늘팁(5)의 내측에 형성되는 미늘(6)을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바늘허리(3)의 수직으로 뻗은 중앙측과 허리굽이(4)의 사이에 걸쳐 바늘팁(5)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는 후방측(도면상 우측)을 향하여 바늘허리(3)로부터 소정의 폭만큼 " )"자 형태로 돌출되는 후방굴곡부(7)를 형성시킨 것이며, 상기 허리굽이(4)는 후방굴곡부(7)의 하단측과 동일한 곡률(曲律)을 이루면서 부드럽게 연이어져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바늘허리(3)와 허리굽이(4)의 사이에 후방굴곡부(7)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붕장어가 미끼와 낚싯바늘(1)을 한꺼번에 삼키고자 할 경우, 낚싯줄이 연결된 바늘귀(2)를 중심으로 하여 낚싯바늘(1)이 붕장어의 주둥이 방향으로 꺽어지는 과정에서 바늘허리(3)의 후방굴곡부(7)에 의하여 일자형 바늘허리(3)만을 가지는 기존의 낚싯바늘(1)(도 1 및 도 2의 것)보다 비교적 요동이 큰 꺽어짐이 유발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낚싯바늘(1)의 구조적인 개선방안을 통하여, 주둥이가 작은 어린 붕장어의 경우는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쉽게 삼키거나 빨아들이지 못하도록 하는 반면, 포획금지 체장보다 큰 붕장어 성체의 경우는 앞서 설명되어진 요동과 꺽어짐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이물감없이 미끼를 낚싯바늘(1)과 함께 쉽게 삼키거나 빨아들일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어린 붕장어가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삼키지 못할 경우 미끼를 조금씩 씹어 자르는 행동을 보이고, 미끼를 자르기 위해 몸통을 강하게 회전시키기도 하는 바, 이러한 행동패턴에 의하여 뱀처럼 조금씩 미끼를 몸속으로 밀어 넣으면서 낚싯바늘(1)을 최종적으로 삼키려 하는 시점에 앞서 설명되어진 낚싯바늘(1)의 요동과 꺽어짐에 의하여 어린 붕장어가 이물감을 쉽게 느껴 낚싯바늘(1)을 즉시 뱉어내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낚싯바늘(1)의 기능을 보다 더 확실하게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방굴곡부(7)의 돌출폭(d2)은 바늘팁(5)의 끝단부에서 바늘허리(3)에 이르는 몸통폭(d1)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몸통폭(d1)의 1/10 내지 1/3 범위내가 되도록 하고, 상기 후방굴곡부(7)가 형성되는 높이(h1)는 허리굽이(4)의 하단으로부터 바늘귀(2)의 상단에 이르는 전체 높이(h)의 1/3 내지 2/3 범위내가 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후방굴곡부(7)의 돌출폭(d2)이 낚싯바늘(1) 몸통폭(d1)의 1/10 미만이 되는 한편, 후방굴곡부(7)의 높이(h1)가 낚싯바늘(1) 전체 높이(h)의 1/3 미만이 되면, 붕장어가 낚싯바늘(1)을 미끼와 함께 삼키거나 흡입할 시 바늘귀(2)를 중심으로 하여 붕장어의 주둥이측으로 낚싯바늘(1)이 비교적 부드럽게 꺽여지기 때문에, 어린 붕장어도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삼키거나 흡입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후방굴곡부(7)의 돌출폭(d2)이 낚싯바늘(1) 몸통폭(d1)의 1/3을 초과하는 한편, 후방굴곡부(7)의 높이(h1)가 낚싯바늘(1) 전체 높이(h)의 2/3를 초과하게 되면, 붕장어가 낚싯바늘(1)을 미끼와 함께 삼키거나 흡입할 시 바늘귀(2)를 중심으로 하는 낚싯바늘(1)의 요동이나 꺽어짐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포획금지 체장보다 큰 붕장어 성체의 경우에도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쉽게 삼키거나 흡입하기가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낚싯줄을 바늘귀(2)에 결속시키는 작업이나 낚싯바늘(1)의 제조작업을 다소 까다롭게 하는 요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후방굴곡부(7)가 제공하는 기능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완할 수 있도록, 허리굽이(4)의 하단으로부터 바늘팁(5)의 끝단부에 이르는 높이(h2)를 허리굽이(4)의 하단으로부터 바늘귀(2)의 상단에 이르는 낚싯바늘(1) 전체 높이(h)의 1/2 내지 3/5 범위내가 되도록 하였는 바, 이는 기존의 낚싯바늘(1)보다 바늘팁(5)의 높이(h2)를 약 10~30% 정도 높임으로서 어린 붕장어가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삼키거나 흡입할 시 추가적인 저항이 유도되도록 한 것이며, 그 수치한정의 이유는 앞서 설명되어진 후방굴곡부(7)의 내용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특정 어종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되는 동종의 낚싯바늘(1)은 그 크기별로 호수(號數)가 정해져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1)의 경우는 상기 바늘팁(5)의 끝단부에서 허리굽이(4)를 거쳐 후방굴곡부(7)에 이르기까지의 전체폭(d)을 낚싯바늘(1) 호수 산정의 기준으로 하여 이를 기존의 붕장어 낚싯바늘(1) 호수에 맞추어 사용하면 무방하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치수예를 들자면, d: 16±0.5mm, d1: 13±0.5mm, d2: 3±0.5mm, h: 30±0.5mm, h1: 17±0.5mm, h2: 20±0.5mm로서, 이는 기존 붕장어 낚싯바늘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10호 정도에 해당하는 치수이다.
본 발명의 제 2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바늘팁(5)을 허리굽이(4)로부터 바늘허리(3)와 반대 방향이 되는 전방측, 다시 말해서 붕장어가 낚싯바늘(1)을 미끼와 함께 물고 당기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것이며, 이러한 구조적인 개선방안을 통하여 어린 붕장어가 미끼를 잘라 먹는 도중에 낚싯바늘(1)의 바늘팁(5)이 어린 붕장어의 주둥이 내측에 강하게 꽃히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린 붕장어는 작은 주둥이 크기로 말미암아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완전히 삼키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낚싯바늘(1)의 바늘팁(5)이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하면, 어린 붕장어가 낚싯바늘(1)에 걸린 미끼를 주둥이측으로 당기면서 잘라먹는 특성상 주둥이의 내측에 바늘팁(5)이 강하게 꽃히지 않는다는 것이며, 어린 붕장어가 이물감을 느껴 낚싯바늘(1)을 뱉어내는 시점에서도 낚싯바늘(1)이 주둥이로부터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포획금지 체장보다 큰 붕장어 성체의 경우는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통째로 삼킬 수 있으므로, 바늘팁(5)이 전방측으로 소폭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목구멍까지 깊숙이 삼킴에 따라 제물걸림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 해당 기능이 보다 더 확실하게 발현되도록 상기 바늘팁(5)의 경사각도(θ)는 10~30도의 범위내가 되도록 하며, 해당 수치 한정이유 또한 앞서 설명되어진 후방굴곡부(7)의 내용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1)은 어린 붕장어가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1)을 한번에 쉽게 삼키지 못하도록 하고, 미끼를 먹는 과정에서 낚싯바늘(1)을 삼키더라도 그 즉시 이물감을 느껴 낚싯바늘(1)을 뱉어낼 수 있도록 하며, 낚싯바늘(1)을 뱉어내는 도중에 바늘팁(5)의 끝단부가 주둥이 내측에 꽃히지 않고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방안을 통하여, 어린 붕장어의 무분별한 남획을 방지하고 상품성이 우수한 붕장어만을 선택적으로 어획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어린 붕장어를 선별하여 낚싯바늘(1)로부터 빼내는 선상에서의 번거러운 작업 역시 최소화시킴으로서, 조업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 및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3 및 도 4에서는 바늘허리(3)의 상단부를 납작하게 압착시킨 형태의 바늘귀(2)를 대표적인 적용례로 하였으나, 이외에도 고리 형태와 같은 다양한 바늘귀(2)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낚싯바늘(1)은 붕장어 주낙에 적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지만, 포획금지 체장 미만의 어린 물고기가 불필요하게 남획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이라면 다른 어종의 낚싯바늘 용도로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1 : 낚싯바늘 2 : 바늘귀 3 : 바늘허리
4 : 허리굽이 5 : 바늘팁 6 : 미늘
7 : 후방굴곡부
4 : 허리굽이 5 : 바늘팁 6 : 미늘
7 : 후방굴곡부
Claims (7)
- 낚싯줄이 결속되는 바늘귀(2)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바늘허리(3)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늘허리(3)의 하단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바늘몸통을 제공하는 허리굽이(4)가 "∪"자 형태로 선회 또는 굴곡 형성되며, 상기 허리굽이(4)의 전방측 상단부는 날카로운 바늘팁(5)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늘팁(5)의 내측에는 미늘(6)이 형성된 낚싯바늘(1)에 있어서,
상기 바늘허리(3)의 수직으로 뻗은 중앙측과 허리굽이(4)의 사이에는 바늘팁(5)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는 후방측을 향하여 바늘허리(3)로부터 소정의 폭만큼 " )"자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폭(d2)은 바늘팁(5)의 끝단부에서 바늘허리(3)에 이르는 몸통폭(d1)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몸통폭(d1)의 1/10 내지 1/3 범위내로 돌출되는 후방굴곡부(7)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굴곡부(7)가 형성되는 높이(h1)는 허리굽이(4)의 하단으로부터 바늘귀(2)의 상단에 이르는 전체 높이(h)의 1/3 내지 2/3 범위내로 되고,
상기 허리굽이(4)는 후방굴곡부(7)의 하단측과 연이어져 형성되며, 하단으로부터 바늘팁(5)의 끝단부에 이르는 높이(h2)는 허리굽이(4)의 하단으로부터 바늘귀(2)의 상단에 이르는 전체 높이(h)의 1/2 내지 3/5 범위내로 되고,
상기 바늘팁(5)은 허리굽이(4)로부터 바늘허리(3)와 반대 방향이 되는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각도(θ)가 10~30도의 범위내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팁(5)의 끝단부에서 허리굽이(4)를 거쳐 후방굴곡부(7)에 이르기까지의 전체폭(d)이 낚싯바늘(1) 호수 산정의 기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6955A KR102196571B1 (ko) | 2019-12-13 | 2019-12-13 |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6955A KR102196571B1 (ko) | 2019-12-13 | 2019-12-13 |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6571B1 true KR102196571B1 (ko) | 2020-12-30 |
Family
ID=7408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6955A KR102196571B1 (ko) | 2019-12-13 | 2019-12-13 |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657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57977U (ja) * | 1983-09-29 | 1985-04-23 | 有限会社藤原辰次商店 | つり針 |
JPH0722664U (ja) * | 1992-04-23 | 1995-04-25 | 昭紀 風岡 | 友釣り用掛けばり |
KR200162512Y1 (ko) * | 1997-12-31 | 1999-12-15 | 김원근 | 회전 낚시바늘용 연결구의 구조 |
JP3100515U (ja) * | 2003-04-12 | 2004-05-20 | 舘 勝弘 | スプリング付き釣り針 |
-
2019
- 2019-12-13 KR KR1020190166955A patent/KR1021965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57977U (ja) * | 1983-09-29 | 1985-04-23 | 有限会社藤原辰次商店 | つり針 |
JPH0722664U (ja) * | 1992-04-23 | 1995-04-25 | 昭紀 風岡 | 友釣り用掛けばり |
KR200162512Y1 (ko) * | 1997-12-31 | 1999-12-15 | 김원근 | 회전 낚시바늘용 연결구의 구조 |
JP3100515U (ja) * | 2003-04-12 | 2004-05-20 | 舘 勝弘 | スプリング付き釣り針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https://blog.naver.com/mpyff/221195175793(2018.01.28.) 1부.*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34381A (en) | Fishhook and worm lure combination | |
US4887378A (en) | Fishing lure | |
US4164826A (en) | Salmon jig | |
US20060191187A1 (en) | Weighted shank fish hooks | |
US4850132A (en) | Fishing rig | |
US4570373A (en) | Barbless fishhook | |
US10492478B1 (en) |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 |
US5237772A (en) | Double barbed fishhook improvement | |
US5379544A (en) | Weedless lure | |
US20090119972A1 (en) | Design fishing hook for bait and lure | |
US3165858A (en) | Method of making a fishing lure | |
US4477994A (en) | Artificial fishing lures | |
US5884428A (en) | Fishing hook apparatus for catch and release fishing | |
KR102196571B1 (ko) | 붕장어 전용 낚싯바늘 | |
US7673414B1 (en) | Fishing loop method of fishing | |
US5297356A (en) | Bevelled fishhook | |
US3435553A (en) | Live bait holders | |
JP2019134684A (ja) | ルアー | |
JP3208886U (ja) | テンヤ | |
KR102327396B1 (ko) | 갯장어 전용 낚싯바늘 | |
US3849928A (en) | Anti-snag fish lure | |
TW497954B (en) | Fishhook | |
US4848024A (en) | Method of bait mounting | |
US6289628B1 (en) | Fishhook | |
US20210084880A1 (en) | Gated fishing hoo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