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497B1 -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 Google Patents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497B1
KR102196497B1 KR1020190067356A KR20190067356A KR102196497B1 KR 102196497 B1 KR102196497 B1 KR 102196497B1 KR 1020190067356 A KR1020190067356 A KR 1020190067356A KR 20190067356 A KR20190067356 A KR 20190067356A KR 102196497 B1 KR102196497 B1 KR 102196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line
exhaust gas
housing
outle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567A (ko
Inventor
이수규
진성재
서문혁
김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9006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4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specially adapted for marine propulsion, i.e. for receiving simultaneously engine exhaust gases and engine cool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03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characterised by structure, by material or by manufacturing of catalyst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10/00By-passing, at least partially, exhaust from inlet to outlet of apparatus, to atmosphere or to othe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촉매층을 내장한 하우징부 내측 수용공간에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되도록 하여, 협소한 선박 내 공간에서 배연탈질장치의 바이패스라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연결되었을 때,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리액터라인을 통해 하우징부 내측으로 들어가 촉매층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SCR Exhaust Gas Denitration Device With Bypass Line}
본 발명은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촉매층을 내장한 하우징부 내측 수용공간에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되도록 하여, 협소한 선박 내 공간에서 배연탈질장치의 바이패스라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연결되었을 때,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리액터라인을 통해 하우징부 내측으로 들어가 촉매층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Nitrogen Oxides, NOX)은 UN(United Nation, 국제 연합)의 산하기관인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국제 해사기구)로부터 배출규제를 받고 있는 대표적인 대기 오염물질이다.
매년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은 대략 500만 톤으로, 전 세계 배출량의 7%를 차지하고 있으며, 선박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70% 정도가 해안으로부터 400km 이내에서 발생하고 있는바, IMO의 배출통제해역(Emission Control Area, ECA)에서는 질소산화물에 대한 배출이 보다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IMO는 선박건조시기 및 해역 위치에 따라 질소산화물의 규제 내용을 Tier Ⅰ, Ⅱ, Ⅲ로 구분하고 있는데, 2011년부터 건조되는 선박은 모든 해역에서 Tier Ⅱ 기준을 만족해야 하며, 2016년 이후부터 일반해역에서는 Tier Ⅱ, 배출통제해역(ECA)에서는 Tier Ⅲ 기준의 만족이 요구된다.
이러한 질소산화물 저감 방법으로는 연소 방법을 조절하는 전처리 방법과, 배기가스를 처리하여 저감하는 후처리 방법으로 구분이 되며, 후처리 장치로 SCR(Selective Catalyst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과 SNCR(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비촉매 환원)등이 있다.
SCR 배연탈질장치는 200℃~450℃ 사이의 배기가스를 환원제와 함께 촉매층을 통과시켜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변화시켜 제거하는 것인 반면, SNCR 장치는 800℃ 이상의 배기가스에 직접 환원제를 주입하여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기술로, 선박의 배기가스 온도가 300℃~450℃ 사이로 배출되기 때문에,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로 상기 SCR 배연탈질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SCR 배연탈질장치(9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4157호(2013.07.08.)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SCR 배연탈질장치(90)는, 촉매가 내장된 다수의 리액터(911)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부(91)과, 상기 하우징부(91) 내부로 배기가스를 인입시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이 촉매와 선택적 촉매 환원 반응을 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부(91) 밖으로 질소산화물이 저감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리액터라인(93)과, 배출통제해역(ECA)이 아닌 지역에서는 배기가스가 상기 하우징부(91)의 상기 리액터(911)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95)이 구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SCR 배연탈질장치(9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91) 밖으로 상기 바이패스라인(95)을 구성해야 했는바, 배관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선박에는 각종 설비가 빼곡하게 설치되어 공간이 여유롭지 않은데, 이러한 선박 내 공간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큰 부피의 바이패스라인(95)을 설치하려고 할 때에는 그러한 설치 공간을 마련하는 것 조차 어려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이패스라인(95)이 설치될 정도의 공간을 마련했다고 한들, 충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지 않기에,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부(91) 근처에 상기 바이패스라인(95)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자재를 상기 하우징부(91) 근처로 들여오려는 과정에서부터 비교적 긴 배관자재가 선박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배관자재를 옮기거나 그 위치나 방향을 바꾸는 과정에서 주변 설비와의 간섭, 충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종래의 SCR 배연탈질장치(90)는 협소한 선박 내부 공간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91)의 전단에서는 상기 리액터라인(93)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라인(95)이 분기되고, 상기 하우징부(91)의 후단에서는 분기되었던 상기 바이패스라인(95)이 상기 리액터라인(93)과 다시 합쳐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바이패스라인(95)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떨어져 상기 하우징부(91) 내에 있는 리액터(911)로 유입이 되었고, 이 과정에서 상기 리액터(911)에 있는 촉매가 상기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리액터(911)를 통한 배기가스 내 질소산화물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리액터(911)의 수명도 짧아져 잦은 교체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액터라인(93)과 상기 바이패스라인(95)이 만나는 출구단의 배관 벽에 상기 이물질이 누적되면서 출구단의 배관 내부가 점차 막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배압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라인(95)을 통한 배기가스의 배출은 물론, 상기 리액터라인(93)을 통한 배기가스의 배출도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따라서, 관련 업계에서는 협소한 선박 내부 공간을 고려하고,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에 의해 리액터 내의 촉매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면서, 배압 형성을 방지하는, 바이패스라인이 형성된 SCR 배연탈질장치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용신안문헌 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4157호(2013.07.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촉매층을 내장한 하우징부 내측 수용공간에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되도록 하여, 협소한 선박 내 공간에서 배연탈질장치의 바이패스라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패스라인이 하우징부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우징부 주변에 충분한 공간이 없더라도, 배연탈질장치의 바이패스라인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연결되었을 때,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리액터라인을 통해 하우징부 내측으로 들어가 촉매층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액터라인과 바이패스라인이 배기가스 출구를 공유할 경우,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출구단의 배관 벽에 이물질이 누적되면서, 출구단의 배관 내부가 점차 막히게 되어 배압이 형성될 수 있는바, 리액터라인과 바이패스라인의 출구를 분리시켜 배압 발생을 사전에 차단한,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부 내측에 수용공간을 구성하고, 수용공간에 촉매층을 구성해, 하우징부 내측으로 들어온 배기가스가 촉매층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IMO 규제 조건에 맞게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부의 일측과 타측에 리액터라인을 구성함으로써, 하우징부의 일측을 통해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유입된 배기가스가 하우징부 내측에 설치된 촉매층을 통과하도록 하고 촉매층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하우징부의 타측을 통해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패스라인이 하우징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바이패스라인이 하우징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되, 리액터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패스라인의 유동공간과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이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촉매층을 통과시키지 않고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바이패스라인 내부의 배기가스가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액터라인 상에 내부공간을 구성하고, 내부공간을 하우징부의 수용공간과 연통시킴으로써, 리액터라인을 통해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으로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수용공간 상에 형성된 촉매층을 통과하여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부의 일측에 인렛부를 구성하고, 하우징부의 타측에 아웃렛부를 구성하여, 상기 인렛부를 통해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고, 상기 아웃렛부를 통해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출시키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패스라인을 하우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부와, 수용부 전단에 위치하여 하우징부의 외측에 노출되는 유입부와, 수용부 후단에 위치하여 하우징부의 외측에 노출되는 유출부로 구성함으로써, 바이패스라인의 대부분을 하우징부에 수용시키되, 최소한의 부분만 하우징부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패스라인의 유입부를 리액터라인의 인렛부와 연결시켜, 선박의 엔진 등으로부터 발생한 배기가스가 단일한 이송관을 통해 이동하다가, 하우징부의 전단에서 분기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부의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는 바이패스라인의 수용부가 수용공간 상에 설치된 촉매층과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우징부 내부에 있는 촉매층을 피해 바이패스라인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고, 바이패스라인과 촉매층 사이에 빈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질소산화물이 제거되지 않은 배기가스가 하우징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차단한,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액터라인의 인렛부에 제1댐퍼부를 구성하고, 바이패스라인의 유입부에 제2댐퍼부를 구성하여, 배출통제해역에서 제1댐퍼부를 개방하고 제2댐퍼부를 폐쇄함으로써 리액터라인을 통해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통제해역이 아닌 지역에서는 제1댐퍼부를 폐쇄하고 제2댐퍼부를 개방해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액터라인의 아웃렛부에 제3댐퍼부를 구성하고, 바이패스라인의 유출부에 제4댐퍼부를 구성하여, 제1댐퍼부의 개방시 제3댐퍼부가 개방되고, 제2댐퍼부의 개방시 상기 제4댐퍼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4댐퍼부의 개방시 제3댐퍼부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면서 아웃렛부를 통해 하우징부 내측으로 들어가 촉매층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를 차단한,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촉매층을 내장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촉매층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촉매층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리액터라인과,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내측에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유동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공간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에서 상기 리액터라인과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기가스를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리액터라인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인렛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출시키는 아웃렛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노출되는 유입부와, 상기 수용부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노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출부는, 상기 아웃렛부와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입부는, 상기 인렛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입부는, 유입부의 단부가 상기 인렛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의 유동공간과 상기 인렛부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는, 상기 촉매층과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인렛부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댐퍼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댐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1댐퍼부의 개방시 상기 제2댐퍼부가 폐쇄되고, 상기 제1댐퍼부의 폐쇄시 상기 제2댐퍼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아웃렛부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댐퍼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댐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1댐퍼부의 개방시 상기 제3댐퍼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댐퍼부의 개방시 상기 제4댐퍼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3댐퍼부는, 상기 제4댐퍼부가 개방되었을 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촉매층을 내장한 하우징부 내측 수용공간에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되도록 하여, 협소한 선박 내 공간에서 배연탈질장치의 바이패스라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이패스라인이 하우징부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우징부 주변에 충분한 공간이 없더라도, 배연탈질장치의 바이패스라인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연결되었을 때,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리액터라인을 통해 하우징부 내측으로 들어가 촉매층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리액터라인과 바이패스라인이 배기가스 출구를 공유할 경우,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출구단의 배관 벽에 이물질이 누적되면서, 출구단의 배관 내부가 점차 막히게 되어 배압이 형성될 수 있는바, 리액터라인과 바이패스라인의 출구를 분리시켜 배압 발생을 사전에 차단한,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 내측에 수용공간을 구성하고, 수용공간에 촉매층을 구성해, 하우징부 내측으로 들어온 배기가스가 촉매층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IMO 규제 조건에 맞게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일측과 타측에 리액터라인을 구성함으로써, 하우징부의 일측을 통해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유입된 배기가스가 하우징부 내측에 설치된 촉매층을 통과하도록 하고 촉매층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하우징부의 타측을 통해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이패스라인이 하우징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바이패스라인이 하우징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되, 리액터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이패스라인의 유동공간과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이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촉매층을 통과시키지 않고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바이패스라인 내부의 배기가스가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리액터라인 상에 내부공간을 구성하고, 내부공간을 하우징부의 수용공간과 연통시킴으로써, 리액터라인을 통해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으로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수용공간 상에 형성된 촉매층을 통과하여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일측에 인렛부를 구성하고, 하우징부의 타측에 아웃렛부를 구성하여, 상기 인렛부를 통해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고, 상기 아웃렛부를 통해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출시키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이패스라인을 하우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부와, 수용부 전단에 위치하여 하우징부의 외측에 노출되는 유입부와, 수용부 후단에 위치하여 하우징부의 외측에 노출되는 유출부로 구성함으로써, 바이패스라인의 대부분을 하우징부에 수용시키되, 최소한의 부분만 하우징부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바이패스라인의 유입부를 리액터라인의 인렛부와 연결시켜, 선박의 엔진 등으로부터 발생한 배기가스가 단일한 이송관을 통해 이동하다가, 하우징부의 전단에서 분기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는 바이패스라인의 수용부가 수용공간 상에 설치된 촉매층과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우징부 내부에 있는 촉매층을 피해 바이패스라인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고, 바이패스라인과 촉매층 사이에 빈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질소산화물이 제거되지 않은 배기가스가 하우징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차단한,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리액터라인의 인렛부에 제1댐퍼부를 구성하고, 바이패스라인의 유입부에 제2댐퍼부를 구성하여, 배출통제해역에서 제1댐퍼부를 개방하고 제2댐퍼부를 폐쇄함으로써 리액터라인을 통해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통제해역이 아닌 지역에서는 제1댐퍼부를 폐쇄하고 제2댐퍼부를 개방해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리액터라인의 아웃렛부에 제3댐퍼부를 구성하고, 바이패스라인의 유출부에 제4댐퍼부를 구성하여, 제1댐퍼부의 개방시 제3댐퍼부가 개방되고, 제2댐퍼부의 개방시 상기 제4댐퍼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4댐퍼부의 개방시 제3댐퍼부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면서 아웃렛부를 통해 하우징부 내측으로 들어가 촉매층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를 차단한,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SCR 배연탈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저면도.
도 7은 유입부와 인렛부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인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1)는, 촉매층을 내장한 하우징부 내측 수용공간에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되도록 하여, 협소한 선박 내 공간에서 배연탈질장치의 바이패스라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리액터라인의 출구와 바이패스라인의 출구가 연결되었을 때,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리액터라인을 통해 하우징부 내측으로 들어가 촉매층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1)는 하우징부(10)와, 리액터라인(30)과, 바이패스라인(5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10)는, 내측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01)에 촉매층(11)을 내장한 구성을 말한다. 상기 하우징부(10)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101)을 구성하고, 상기 수용공간(101)에 상기 촉매층(11)을 구성해, 상기 하우징부(10) 내측으로 들어온 배기가스가 상기 촉매층(11)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질소산화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형상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부(10)가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하우징부(10)는 내측에 촉매층(11)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부(10) 내측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촉매층(11)을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되어야 하는바, 속이 빈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층(11)은, 선택적 촉매 환원(Selective Catalyst Reduction, SCR) 방식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 상에 유입된 배기가스에서 환원제와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질소산화물(NOX)을 인체에 해가 없는 물(H20)과 질소(N2)로 분해 후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촉매층(11)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상기 수용공간(101) 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액터라인(30)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촉매층(11)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촉매층(11)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하우징부(10)의 타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리액터라인(3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하우징부(10) 내측에 설치된 상기 촉매층(11)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촉매층(11)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하우징부(10)의 타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액터라인(30)은, 상기 수용공간(101)과 연통된 내부공간(301)을 포함하여, 상기 리액터라인(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상기 수용공간(101)으로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기 수용공간(101) 상에 형성된 상기 촉매층(11)을 통과하면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리액터라인(30)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리액터라인(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르게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리액터라인(30)은, 인렛부(31), 아웃렛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인렛부(31)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인렛부(31)는 내측에 내부공간(301)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301)이 상기 하우징부(1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렛부(31)의 내부공간(301)을 통해 들어온 배기가스를 상기 하우징부(10)의 수용공간(101)을 거쳐 후술할 아웃렛부(33)의 내부공간(301)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인렛부(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바이패스라인(50)의 유입부(53)와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기 인렛부(31)와 후술할 유입부(53)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웃렛부(33)는, 상기 하우징부(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출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아웃렛부(33)는 상기 인렛부(31)와 마찬가지로, 내측에 내부공간(301)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301)이 상기 하우징부(1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렛부(31)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수용공간(101)으로 들어와 상기 촉매층(11)을 통과한 배기가스만이 상기 아웃렛부(33)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아웃렛부(33)는 상기 촉매층(11)의 오염을 막기 위해, 후술할 바이패스라인(50)의 유출부(55)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은, 상기 수용공간(101)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0) 주변에 충분한 공간이 없더라도, 배연탈질장치(1)의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의 설치가 용이해 질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은, 내측에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유동공간(501)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공간(501)은, 상기 수용공간(101)과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을 통해 상기 촉매층(11)을 통과시키지 않고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상기 바이패스라인(50) 내부의 배기가스가 상기 하우징부(1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이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지만, 상기 리액터라인(30)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은, 상기 하우징부(10)의 타측에서 상기 리액터라인(30)과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기가스를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유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기 리액터라인(30)의 출구와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의 출구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액터라인(30)의 출구와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의 출구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상기 리액터라인(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 내측으로 들어가 상기 촉매층(11)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액터라인(30)과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이 배기가스 출구를 공유할 경우,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출구단의 배관 벽에 이물질이 누적되면서, 출구단의 배관 내부가 점차 막히게 되어 배압이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리액터라인(30)과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의 출구를 분리시켜 배압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은, 수용부(51), 유입부(53), 유출부(55)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51)는,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으로,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기 수용부(51)를 상기 하우징부(10)에 수용시키되, 최소한의 부분만 상기 하우징부(10) 외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로,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용부(51)는 상기 촉매층(11)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부(10) 내부에 있는 상기 촉매층(11)을 피해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라인(50)과 상기 촉매층(11) 사이에 빈 틈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여 질소산화물이 제거되지 않은 배기가스가 상기 하우징부(10)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차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53)는, 상기 수용부(51)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에 노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유입부(53)는 상기 인렛부(3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부(53)와 상기 인렛부(31)의 연결은 상기 유입부(53)의 일단이 상기 인렛부(31)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53)의 유동공간(501)과 상기 인렛부(31)의 내부공간(301)이 연통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53)와 상기 인렛부(31)가 분리되도록 구성되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된 배관과의 결합을 통해 간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선박의 엔진 등으로부터 발생한 배기가스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전단에서, 상기 하우징부(10) 내부로 들어갈 것인지 또는 상기 바이패스라인(50) 내부로 들어갈 것인지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상기 유출부(55)는, 상기 수용부(51)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에 노출되는 구성을 말한다. 도 8은 도 2의 평면도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유출부(5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렛부(33)와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액터라인(30)의 상기 아웃렛부(33)와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의 상기 유출부(55)가 서로 연결될 경우,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 내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리액터라인(30)의 상기 아웃렛부(33)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 내측 수용공간(101)으로 들어가 상기 수용공간(101) 상에 위치한 상기 촉매층(11)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9에서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댐퍼부가 추가된 특징이 있는바, 중복 서술을 피하고자, 이하에서는 새롭게 추가된 댐퍼부에 대해서만 서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인렛부(31)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댐퍼부(311)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53)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댐퍼부(53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댐퍼부(3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렛부(31) 상에, 상기 제2댐퍼부(5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5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댐퍼부(311)의 개방시 상기 제2댐퍼부(531)가 폐쇄되고, 상기 제1댐퍼부(311)의 폐쇄시 상기 제2댐퍼부(531)가 개방되는바, 배출통제해역(ECA)에서는 상기 제1댐퍼부(311)를 개방하고 상기 제2댐퍼부(531)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리액터라인(30)을 통해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통제해역(ECA)이 아닌 지역에서는 상기 제1댐퍼부(311)를 폐쇄하고 상기 제2댐퍼부(531)를 개방해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웃렛부(33)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댐퍼부(331)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55)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댐퍼부(55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댐퍼부(3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렛부(33)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4댐퍼부(55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부(5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할한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해 상기 제1댐퍼부(311)의 개방시 상기 제3댐퍼부(331)가 개방되고, 상기 제2댐퍼부(531)의 개방시 상기 제4댐퍼부(551)가 개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댐퍼부(331)는, 상기 제4댐퍼부(551)가 개방되었을 때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을 통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면서 상기 리액터라인(30)의 상기 아웃렛부(33)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0) 내측으로 들어가 상기 촉매층(11)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10을 참고하면, 선박에 엔진 등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는 단일 이송관을 통해 SCR 배연탈질장치(1)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부(10)의 전단에서 상기 이송관이 분기되는바, 선박이 배출통제해역(ECA)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리액터라인(30) 쪽으로 배기가스를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부(10)를 통과해 배출되도록 하고, 선박이 배출통제해역(ECA) 내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바이패스라인(50) 쪽으로 배기가스를 이동시켜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을 통해 촉매층(11) 통과 없이, 배기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장치의 효율적 운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액터라인(30)의 출구와,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의 출구는 각각 분리 형성되는바, 상기 리액터라인(30)의 출구와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의 출구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바이패스라인(50)을 통해 이동한 배기가스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상기 리액터라인(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 내측으로 들어가 상기 촉매층(11)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10: 하우징부
101: 수용공간
11: 촉매층
30: 리액터라인
301: 내부공간
31: 인렛부
311: 제1댐퍼부
33: 아웃렛부
331: 제3댐퍼부
50: 바이패스라인
501: 유동공간
51: 수용부
53: 유입부
531: 제2댐퍼부
55: 유출부
551: 제4댐퍼부

Claims (13)

  1.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촉매층을 내장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촉매층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촉매층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리액터라인과,
    내측에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을 지나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으로 상기 하우징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을 통과하되 상기 유동공간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에서 상기 리액터라인과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 형성된 상태로 배기가스를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라인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인렛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기가스를 유출시키는 아웃렛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노출되는 유입부와, 상기 수용부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노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아웃렛부와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인렛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유입부의 단부가 상기 인렛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의 유동공간과 상기 인렛부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촉매층과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부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댐퍼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댐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1댐퍼부의 개방시 상기 제2댐퍼부가 폐쇄되고, 상기 제1댐퍼부의 폐쇄시 상기 제2댐퍼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부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댐퍼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댐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1댐퍼부의 개방시 상기 제3댐퍼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댐퍼부의 개방시 상기 제4댐퍼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댐퍼부는, 상기 제4댐퍼부가 개방되었을 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KR1020190067356A 2019-06-07 2019-06-07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KR102196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56A KR102196497B1 (ko) 2019-06-07 2019-06-07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56A KR102196497B1 (ko) 2019-06-07 2019-06-07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67A KR20200140567A (ko) 2020-12-16
KR102196497B1 true KR102196497B1 (ko) 2020-12-30

Family

ID=7404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356A KR102196497B1 (ko) 2019-06-07 2019-06-07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4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1752B2 (ja) * 1993-10-05 1999-02-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フィルタ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126A (ja) * 1992-07-30 1994-02-22 Isuzu Motors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KR200480137Y1 (ko) 2011-12-28 2016-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육상 플랜트용 슬라이딩 타입의 scr 시스템
SE537084C2 (sv) * 2012-01-27 2014-12-30 D E C Marine Ab Ett avgasreningssystem och en anordning däri
JP6625075B2 (ja) * 2017-01-27 2019-12-25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1752B2 (ja) * 1993-10-05 1999-02-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フィルタ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67A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521B1 (ko)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이것을 구비한 선박
KR20160109996A (ko) Scr 시스템
KR102010198B1 (ko)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
WO2015141469A1 (ja) 船舶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6560093B2 (ja) 船舶の排気ガス浄化装置
KR101608720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JP6232257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JP2011241705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US4218422A (en) Converter structure
KR102373610B1 (ko) 연소 엔진에 의해 작동되는 차량용, 특히 선박용 배기 가스 후처리 시스템
CN101259371B (zh) 洗涤塔
KR102196497B1 (ko) 바이패스라인을 가지는 scr 배연탈질장치
KR102011647B1 (ko) 선박용 scr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98231B1 (ko)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JP6151657B2 (ja) 船舶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150007764A (ko)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 시스템
KR102214866B1 (ko) Lp scr 시스템
KR102075201B1 (ko)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저감용 선박 배기가스 처리시스템
KR102183060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076915B1 (ko) 재생 기능을 갖는 유동층 촉매 반응 시스템
KR20180028132A (ko) 여러 대의 scr 시스템을 연계한 선박 엔진의 배기계
TWI760308B (zh) 用於輔助柴油引擎的排放控制系統與其使用方法
KR20170112655A (ko) Lp scr 시스템
KR200480137Y1 (ko) 선박 또는 육상 플랜트용 슬라이딩 타입의 scr 시스템
KR102075268B1 (ko) 배기가스의 유해물질 연속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