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412B1 -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412B1
KR102196412B1 KR1020190031272A KR20190031272A KR102196412B1 KR 102196412 B1 KR102196412 B1 KR 102196412B1 KR 1020190031272 A KR1020190031272 A KR 1020190031272A KR 20190031272 A KR20190031272 A KR 20190031272A KR 102196412 B1 KR102196412 B1 KR 10219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supply
connection pipe
coupler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503A (ko
Inventor
권영세
Original Assignee
권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세 filed Critical 권영세
Priority to KR102019003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4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23J13/025Linings; Jackets; Casings composed of concentric elements, e.g. double wa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2Joints; Connections between duct or stack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7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력과 기밀성이 높은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보일러에 설치되고 제1결합부가 마련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가스보일러로 외부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가스보일러에서 연소 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급배기부 및 상기 배기구와 상기 연결관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연결관과 상기 급배기부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어느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Description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Air Supply Unit for Gas Boiler}
본 발명은 결합력과 기밀성이 높은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설비는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식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며 또, 사용된 물은 관(管)을 통해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실내를 따뜻하게 하거나, 시원하게 하는 일도 배관을 통해 행하여지고 있다. 배관은 사용목적에 따라 크게 건축물에 필요한 제반 설비 배관으로 건축배관 (급수, 급탕, 냉난방, 배수, 배기 등)과 원유수송배관, 공장내 배관, 집진장치배관, 발전소배관 등 산업 목적을 위한 배관을 포함한 공업배관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배관들은 온도, 압력, 관내 이송물체의 성질 등에 따라 배관의 재질이 강관, 합성수지관, 주철관, 콘 크리트관, 동관 등 관종을 달리 선택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목적이 다양하고,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에너지 및 기타 물량을 공급하기 쉽고, 수송도중 물량의 손실이 거의 없으며, 수송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중 가스보일러에 설치되는 배기시스템은, 가스 보일러에서 생성된 연소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기통, 연통 등 일련의 설비들의 집합체를 지칭하며, 이너&아웃 파이프, 엘보, 커텍터, 캡(cap)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 스테인리스로 제작되고 있다.
여기서 배기시스템에서 완전연소 시에 배출되는 연소 폐가스는 이산화탄소, 질소, 및 수증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불완전연소 시에는 무색·무취의 일산화탄소(CO)도 함께 배출되며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로 두통, 운동마비, 의식장애 및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가스보일러는 가정뿐만 아니라 개인 숙박 시설이나 사우나, 헬스클럽 등 상업용 시설에서는 중·대형 보일러를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효율을 위하여 가정용 가스보일러의 병렬연결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병렬 연결시스템에서는 배기가스가 하나의 배기관으로 빠져나가는 만큼 기밀성 유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배기시스템에서는 각 배기관의 연결 부위에 내열 실리콘이나 석고 붕대를 감는 마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실질적인 기밀 유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금속 밴드에 나사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있지만, 금속밴드가 조여지면서 배관을 제대로 조이지 못해서 견고성이 떨어지고, 특히 조이는 과정에서 원형이 찌그러져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금속재의 급배기관은 장시간 사용시 부식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구멍이 발생하여 배기가스 누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곤 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선행특허(공개특허 제10-2018-0037495호)가 개발되었다.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체결부위가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 물로 제작하였다.
내열성의 수지를 사용하였다고는 하지만 금속보다 내열성이 취약하고 특히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이 있으며, 이로 인해 체결부위에서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면 체결부분에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화재발생시 체결부위가 지속적으로 고온에 노출되면 체결부위 또한 연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체결부위가 금이 가거나 파손되는 문제도 발생하여 충격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로 제작하기 때문에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37495호(공개일자 2018년04월12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도 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연결부위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견고하면서도 신속하고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급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에 설치되고 제1결합부가 마련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가스보일러로 외부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가스보일러에서 연소 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급배기부 및 상기 배기구와 상기 연결관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연결관과 상기 급배기부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어느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배기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급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배기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급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고 상기 수나사부와 결합하는 커플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와 상기 연결관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연결관과 상기 급배기부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어느 연결부위를 밀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급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상기 커플러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급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상기 씰링과 밀착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커플러부와 상기 수나사부가 결합하면 상기 이탈방지수단이 상기 씰링을 가압하고 가압된 씰링이 상기 커플러부와 상기 이탈방지수단 및 상기 밀착부에 밀착되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의 끝단에 상기 이탈방지수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커플러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커플러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커플러부와 상기 수나사부가 결합하면 상기 경사면들이 서로 밀착되어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보일러로부터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연결부위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과 동일한 재질의 커플러부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높아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씰링이 외측에 끼워져 있어서 유실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씰링을 가압하여 외측으로 확장함으로써,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암나사와 수나사로 결합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구 없이도 신속하면서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보일러에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에서 씰링이 가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에서 안내부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에서 커플러부에 미끄럼방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2)는, 배기구(3), 연결관(4), 급배기부(5), 결합수단(6) 및 씰링(7)을 포함한다. 여기에, 밀착부(8), 이탈방지수단(9), 안내부(10) 및 미끄럼방지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구(3)는, 가스보일러(1)로부터 발생하는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 대략 연통(煙筒) 재질로 형성되고, 가스보일러(1)의 상단에 배치되되 일단은 가스보일러(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가스보일러(1)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가스보일러(1)에서 연소 된 후 발생하는 연소 가스가 배기구(3)를 통해 배출된다.
연결관(4)은, 배기구(3)와 후술할 급배기부(5)를 연결하는 것으로, 대략 엘보 모양의 연통(煙筒) 재질로 형성되되 일단은 배기구(3)의 타단과 결합하고, 타단은 후술할 급배기부(5)의 후단에 설치된 제2커플러(64)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배기구(3)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는 연결관(4)을 통해 급배기부(5)로 전달되고 급배기부(5)를 통해 배출된다.
급배기부(5)는, 가스보일러(1)로부터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배출하고, 연소에 필요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으로, 급배기관(51) 및 분기관(52)을 포함한다.
급배기관(51)은, 대략 연통(煙筒) 재질로 형성되되 이중 관으로 형성되고, 내측 관의 선단에서는 연소 가스가 배출되면서 외측 관의 선단으로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며, 후단은 연결관(4)의 타단과 연결된다.
분기관(52)은, 가스보일러(1)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대략 연통(煙筒) 재질로 형성되고, 외측 관의 둘레에 외측 관과 연결되되 공급관(12)을 통해 가스보일러(1)의 유입구(11)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급배기관(51)의 외측 관에서 유입된 외부공기는 분기관(52) 및 공급관(12)을 거쳐 유입구(11)를 통해 가스보일러(1)로 공급된다.
결합수단(6)은, 대략 연통(煙筒) 재질로 형성되고, 배기구(3) 및 연결관(4)에 각각 형성되는 수나사부(61)와, 연결관(4) 및 급배기관(51)에 마련되는 커플러부(62)를 포함한다.
수나사부(61)는, 커플러부(62)와 결합하는 것으로, 제1수나사(611) 및 제2수나사(612)를 포함한다.
제1수나사(611)는, 배기구(3)의 타단과 이격되면서 타단부에 배기구(3)와 일체로 형성되고, 후술할 제1커플러(63)의 암나사와 결합한다.
제2수나사(612)는, 연결관(4)의 타단과 이격되면서 타단부에 연결관(4)과 일체로 형성되고, 후술할 제2커플러(64)의 암나사와 결합한다.
여기서, 제1수나사(611) 및 제2수나사(612)는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기구(3) 및 연결관(4)의 외면을 각각 나선모양으로 밴딩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커플러부(62)는, 대략 연통(煙筒) 재질로 형성되고, 연결관(4) 또는 급배기관(51)에 구속되되 수나사부(61)와 결합하는 것으로, 제1커플러(63) 및 제2커플러(64)를 포함한다.
제1커플러(63)는, 연결관(4)의 일단에 구속되고, 배기구(3)의 제1수나사(611)와 결합하는 것으로, 대략 원통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단차져 형성되고, 타단은 제1암나사(631)가 형성된다. 또한, 제1커플러(63)는 단차진 곳에 경사면(I)이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제2커플러(64)는, 급배기관(51)의 후단에 구속되고, 연결관(4)의 제2수나사(612)와 결합하는 것으로, 대략 원통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단차져 형성되고, 타단은 제2암나사(641)가 형성된다. 또한, 제2커플러(64)는 단차진 곳에 경사면(I)이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제1암나사(631) 및 제2암나사(641)는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제1커플러(63) 및 제2커플러(64)의 외면을 각각 나선모양으로 밴딩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밀착부(8)는, 씰링(7)을 압축해서 외측으로 용이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수나사(611) 및 제2수나사(612)와 인접하여 각각 형성된다. 이때, 밀착부(8)는 모따기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씰링(7)은, 배기구(3)와 연결관(4) 사이, 연결관(4)과 급배기관(51) 사이를 밀폐하는 것으로, 배기구(3) 및 연결관(4)에 끼워지되 밀착부(8)에 밀착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이탈방지수단(9)은, 커플러부(6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연결관(4)의 일단 및 급배기관(51)의 후단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이탈방지수단(9)은 커플러부(62)의 경사면(I)에 대응하는 경사면(I)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플러부(62)의 경사면(I)과 이탈방지수단(9)의 경사면(I)이 서로 밀착하여 기밀성이 높아진다.
안내부(10)는, 이탈방지수단(9)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배기구(3)의 타단이 안내부(10)를 통해서 연결관(4)의 일단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연결관(4)의 타단이 안내부(10)를 통해서 급배기관(51)의 후단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배기구(3)와 연결관(4) 사이와, 연결관(4)과 급배기관(51) 사이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 되고, 기밀성이 높아지며, 연결관(4) 및 급배기관(51)의 강성이 향상된다.
미끄럼방지부(11)는, 커플러부(62)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커플러(63) 및 제2커플러(64)의 외면에 대략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미끄럼방지부(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플러부(62)를 회전하면 커플러부(62)를 손쉽게 회전할 수 있고 커플러부(62)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2)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배기구(3)의 타단을 연결관(4)의 일단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1커플러(63)를 회전시켜 제1암나사(631)와 제1수나사(611)를 결합한다.
제1커플러(63)를 계속해서 회전하면, 연결관(4)의 이탈방지수단(9)이 씰링(7)을 가압하고, 씰링(7)은 배기구(3)의 밀착부(8)에 밀착되면서 압축된다.
씰링(7)이 압축되면 외측으로 확장되고, 씰링(7)이 외측으로 계속해서 확장되면 씰링(7)이 배기구(3)의 외면 및 제1커플러(63)의 내면에 밀착된다.
즉, 씰링(7)이 연결관(4)의 이탈방지수단(9), 배기구(3)의 외면, 배기구(3)의 밀착부(8) 및 제1커플러(63)의 내면에 모두 밀착되어 기밀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배기구(3)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배기구(3)와 연결관(4)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씰링(7)은 배기구(3) 및 연결관(4)의 외측에 끼워져 있고 압축을 통해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바 씰링(7)이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커플러(63)를 배기구(3)에 결합하면, 제1커플러(63)의 경사면(I)과 연결관(4)에 형성된 이탈방지수단(9)의 경사면(I)이 서로 밀착하여 제1커플러(63)와 연결관(4) 사이가 밀폐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커플러(63)의 경사면(I)과 연결관(4)에 형성된 이탈방지수단(9)의 경사면(I)의 경사각도가 소정 정도 차이가 있더라도, 제1커플러(63)를 꽉 조이면 제1커플러(63)의 경사면(I)과 연결관(4)에 형성된 이탈방지수단(9)의 경사면(I)이 서로 밀착되면서 기밀성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1커플러(63)와 연결관(4) 사이가 더욱 밀폐된다.
연결관(4)의 타단을 급배기관(51)의 후단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2커플러(64)를 회전시켜 제2암나사(641)와 제2수나사(612)를 결합한다.
제2커플러(64)를 계속해서 회전하면, 급배기관(51)의 이탈방지수단(9)이 씰링(7)을 가압하고, 씰링(7)은 연결관(4)의 밀착부(8)에 밀착되면서 압축된다.
씰링(7)이 압축되면 외측으로 확장되고, 씰링(7)이 외측으로 계속해서 확장되면 씰링(7)이 연결관(4)의 외면 및 제2커플러(64)의 내면에 밀착된다.
즉, 씰링(7)이 급배기관(51)의 이탈방지수단(9), 연결관(4)의 외면, 연결관(4)의 밀착부(8) 및 제2커플러(64)의 내면에 모두 밀착되어 기밀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연결관(4)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연결관(4)과 급배기관(51)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커플러(64)를 연결관(4)에 결합하면, 제2커플러(64)의 경사면(I)과 급배기관(51)에 형성된 이탈방지수단(9)의 경사면(I)이 서로 밀착하여 제2커플러(64)와 급배기관(51) 사이가 밀폐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커플러(64)의 경사면(I)과 급배기관(51)에 형성된 이탈방지수단(9)의 경사면(I)의 경사각도가 소정 정도 차이가 있더라도, 제2커플러(64)를 꽉 조이면 제2커플러(64)의 경사면(I)과 급배기관(51)에 형성된 이탈방지수단(9)의 경사면(I)이 서로 밀착되면서 기밀성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2커플러(64)와 급배기관(51) 사이가 더욱 밀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어서 연소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합용 공구가 필요치 않으며, 신속하면서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각 배관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외력이 가해져도 연결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플러부(62) 결합시 커플러부(62)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가스보일러
11; 유입구
12; 공급관
2;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3; 배기구
4; 연결관
5; 급배기부
51; 급배기관
52; 분기관
6; 결합수단
61; 수나사부
611; 제1수나사
612; 제2수나사
62; 커플러부
63; 제1커플러
631; 제1암나사
64; 제2커플러
641; 제2암나사
7; 씰링
8; 밀착부
9; 이탈방지수단
10; 안내부
11; 미끄럼방지부
I; 경사면

Claims (8)

  1. 가스보일러에 설치되고 제1결합부가 마련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가스보일러로 외부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가스보일러에서 연소 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급배기부;
    상기 배기구와 상기 연결관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연결관과 상기 급배기부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어느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하고, 상기 배기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급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배기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급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며 상기 수나사부와 결합하는 커플러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
    상기 배기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급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상기 커플러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 및
    상기 이탈방지수단의 끝단에 상기 이탈방지수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면을 갖는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상기 배기구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커플러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커플러부와 상기 수나사부가 결합하면 상기 경사면들이 서로 밀착되어 밀폐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이탈방지수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면이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상기 배기구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상기 연결관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연결관과 상기 급배기부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어느 연결부위를 밀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급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씰링과 밀착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부와 상기 수나사부가 결합하면 상기 이탈방지수단이 상기 씰링을 가압하고 가압된 씰링이 상기 커플러부와 상기 이탈방지수단 및 상기 밀착부에 밀착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90031272A 2019-03-19 2019-03-19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KR10219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72A KR102196412B1 (ko) 2019-03-19 2019-03-19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72A KR102196412B1 (ko) 2019-03-19 2019-03-19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03A KR20200111503A (ko) 2020-09-29
KR102196412B1 true KR102196412B1 (ko) 2020-12-30

Family

ID=7266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272A KR102196412B1 (ko) 2019-03-19 2019-03-19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4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016U (ko) * 2007-01-29 2008-08-01 김창호 냉동기기용 배관연결구
KR20170124072A (ko) * 2016-04-29 2017-11-09 김환영 에어컨용 냉매 배관 이음장치
KR101910795B1 (ko) 2016-10-04 2018-10-23 주식회사 빅스코 보일러의 급배기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03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04898A (en) Tube couplers
KR102175152B1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102196412B1 (ko) 가스 보일러용 급배기 장치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712144B1 (ko) 소방용 플렉시블 조인트
ES2173833T3 (es) Union a presion para tubos.
JP2008089132A (ja) 管継手
KR200326738Y1 (ko) 전기난방시스템의 난방파이프
KR100823867B1 (ko) 관연결구조
KR101291777B1 (ko) 파이프 연결장치
CN105909888B (zh) 铝塑复合管耐压防渗漏管路系统
US365068A (en) Coupling for joining pipes
US20140042742A1 (en) Combination of thin-walled pipe and joint,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200254102Y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050046508A (ko) 관 접속구조
KR200458990Y1 (ko) 고온 및 고압 가스관용 관이음 장치
CN214064240U (zh) 一种便于拆卸的保温防腐管道
CN108953808B (zh) 胶水管端头连接装置
CN220727473U (zh) 蒸汽输送管线
CN209458555U (zh) 一种进渣管非金属膨胀节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CN2152131Y (zh) 管道快速联接器
US332906A (en) Wiese
KR20100022176A (ko) 쐐기형 연결부
KR100334584B1 (ko) 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