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408B1 -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 Google Patents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408B1
KR102196408B1 KR1020200117138A KR20200117138A KR102196408B1 KR 102196408 B1 KR102196408 B1 KR 102196408B1 KR 1020200117138 A KR1020200117138 A KR 1020200117138A KR 20200117138 A KR20200117138 A KR 20200117138A KR 102196408 B1 KR102196408 B1 KR 102196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power supply
power
drone body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도
Original Assignee
노브랜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브랜드(주) filed Critical 노브랜드(주)
Priority to KR1020200117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F3/02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ircraft during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 B64C2201/042
    • B64C2201/066
    • B64C2201/2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공중에 부유하도록 된 촬영드론으로서, 공중을 부유하게 되고 카메라가 마련되어 촬영하도록 된 드론본체와, 상기 드론본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케이블을 통해 상기 드론본체의 충전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로 이루어져, 공중에 부유하여 이동하는 드론에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체공이 가능하게 되고 끊임없는 촬영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GPS장치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따라 드론이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부유중인 드론본체가 간편하게 도킹할 수 있도록 도킹장치가 마련되어, 보관성 및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 Filming drone with wired power supply structure }
본 발명은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에 부유하여 이동하는 드론에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체공이 가능하게 되고 끊임없는 촬영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GPS장치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따라 드론이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부유중인 드론본체가 간편하게 도킹할 수 있도록 도킹장치가 마련되어, 보관성 및 사용성이 향상되는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에 의해 다수 개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늘을 비행하는 비행유닛의 일종이다.
이때, 드론을 비행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다수 개의 프로펠러가 매우 빠르게 회전되어야 하므로 배터리 소모량이 매우 많아지고, 이에 따라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배터리를 드론에 장착시키는 경우, 제한된 시간에만 드론을 비행시킬 수 있으므로, 드론을 장시간 비행시키기 위해서는 일회용 배터리 사용량이 매우 많아져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교체 비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드론에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때에는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충전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전력을 이용하는 드론은 3.8V~24V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배터리의 용량의 한계로 인해 비행시간이 30분 이하로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0-17327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공중에 부유하여 이동하는 드론에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체공이 가능하게 되고 끊임없는 촬영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GPS장치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따라 드론이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부유중인 드론본체가 간편하게 도킹할 수 있도록 도킹장치가 마련되어, 보관성 및 사용성이 향상되는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공중에 부유하도록 된 촬영드론으로서, 공중을 부유하게 되고 카메라가 마련되어 촬영하도록 된 드론본체와, 상기 드론본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케이블을 통해 상기 드론본체의 충전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드론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배터리와, 상기 공급배터리가 수납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된 수납가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에는 상기 드론본체에 상기 전력공급부의 위치를 전달하도록 GPS장치가 더 마련되고, 상기 드론본체에는 상기 GPS장치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력공급부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수신장치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상기 드론본체가 도킹될 수 있도록 도킹장치가 더 마련되며, 상기 도킹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모자부재와, 상기 모자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도킹패널과, 상기 모자부재와 상기 수납가방과 연결되는 연결로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케이블에는 상기 드론본체가 부유하여 이동중 상기 드론본체와 연결되는 전력케이블이 다른 드론과 충돌하거나, 이동되는 대상물의 걸림되거나 충돌되어 연결된 드론본체에서 분리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사형식별알림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반사형식별알림수단은 상기 드론본체에 연결되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단부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안내관과, 상기 전력케이블에 고정된 상기 고정안내관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베어링과, 상기 고정안내관에 체결된 상기 링베어링를 감싸면서 끼움되어 회전되는 회전안내관과, 상기 링베어링에 체결된 상기 회전안내관의 외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풍압날개들과, 상기 회전안내관에 형성되는 상기 풍압날개의 하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식별반사띠와, 상기 풍압날개에 고정되는 식별반사띠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무게추로 이루어져, 상기 드론본체가 부유하여 이동시 바람에 의해 상기 회전안내관과 상기 식별반사띠가 회전되어, 외부에서 상기 식별반사띠 및 상기 전력케이블을 식별하록 함으로써, 부유중인 다른 드론이나 이동되는 대상물과 상기 전력케이블이 충돌되는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은 공중에 부유하여 이동하는 드론에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체공이 가능하게 되고 끊임없는 촬영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GPS장치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따라 드론이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부유중인 드론본체가 간편하게 도킹할 수 있도록 도킹장치가 마련되어, 보관성 및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촬영드론이라 명명함)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공중에 부유하도록 된 촬영드론(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촬영드론(10)은 드론본체(20)와 전력케이블(30)과 전력공급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론본체(20)는 공중을 부유하게 되고 카메라가 마련되어 촬영하도록 된다.
상기 드론본체(20)에는 충전배터리(21)가 내장되고, 상기 충전배터리(21)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부유모터가 상기 드론본체(20)에 설치되며, 부유모터의 회전축에는 부유날개가 체결되어, 상기 부유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부유모터는 상기 드론본체(20)에 다수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충전배터리(21)는 상기 부유모터 및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론본체(20)에는 상기 충전배터리(21)에서 상기 부유모터 및 상기 카메라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제어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리모컨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부유모터들 또는 각각의 부유모터의 회전속도 및 작동을 제어함으로서, 드론본체(20)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륙 및 착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 및 드론본체(20)의 구조 및 작동구성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내용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력케이블(30)은 상기 드론본체(20)에 일단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력케이블(30)은 일단이 상기 드론본체(20)에 내장되는 상기 충전배터리(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상기 충전배터리(21)에 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력케이블(30)은 코일형태로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꼬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케이블(30)에는 통신케이블이 부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수신장치(22)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달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공급부(40)는 상기 전력케이블(3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케이블(30)을 통해 부유중인 상기 드론본체(20)의 충전배터리(21)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력공급부(40)는 상기 전력케이블(30)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드론본체(20)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배터리(41)와, 상기 공급배터리(41)가 수납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된 수납가방(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가방(42)은 한쌍의 어깨끈이 마련되어, 사용자어 어깨에 메고다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배터리(41)는 충전식배터리이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10)은 드론본체(20)를 부유시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부유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되고, 부유중 촬영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공급배터리(41)가 수납된 수납가방(42)을 메고 이동하면서 부유중인 드론본체(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지속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력공급부(40)에는 상기 드론본체(20)에 상기 전력공급부(40)의 위치를 전달하도록 GPS장치(43)가 더 마련되고, 상기 드론본체(20)에는 상기 GPS장치(43)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력공급부(40)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수신장치(22)가 더 마련된다. 상기 수신장치(22)는 상기 드론본체(20)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GPS장치(43)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수신장치(22)가 상기 드론본체(20)의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별도의 리모콘 조작없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드론본체(20)가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상기 전력공급부(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력공급부(40)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상기 드론본체(20)가 도킹될 수 있도록 도킹장치(44)가 더 마련된다.
상기 도킹장치(44)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모자부재(441)와, 상기 모자부재(441)의 상부에 형성되는 도킹패널(442)과, 상기 모자부재(441)와 상기 수납가방(42)과 연결되는 연결로프(4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로프(443)는 상기 모자부재(441)와 상기 수납가방(42)에 묶음 또는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로프(443)에 의해 상기 수납가방(42)에 연결하여 이동시키게 되고, 드론본체(20)를 착륙시켜 도킹시 모자부재(441)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프(443)를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샤프트구조로 형성시키고, 상기 모자부재(441)와 상기 수납가방(42)에 부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드론본체(20)가 도킹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머리에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킹장치(44)에 의해 드론본체(20)를 착륙시 모자부재(441)의 도킹패널(442)에 배치시킬 수 있어, 휴대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킹패널(442)에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드론본체(20)의 다리부분이 상기 안착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킹패널(442)의 안착홈에는 자성체를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드론본체(20)의 다리부분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결합패널을 부착하여, 자력에 의해 드론본체(20)의 다리부분이 상기 자성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중 드론본체(20)가 상기 도킹패널(442)에서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가방(42)에는 코드릴장치(45)가 더 마련되어, 상기 전력케이블(30)이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또한, 전력공급부(40)의 수납가방(42)에는 도킹송신장치가 더 마련되어, 상기 도킹송장신장치에서 상기 드론본체(20)의 수신장치(22)로 도킹신호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부유중인 상기 드론본체(20)가 상기 모자부재(441)에 형성된 도킹패널(442)에 도킹(착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력케이블(30)에는 상기 드론본체(20)가 부유하여 이동중 상기 드론본체(20)와 연결되는 전력케이블(30)이 다른 드론과 충돌하거나, 이동되는 대상물의 걸림되거나 충돌되어 연결된 드론본체(20)에서 분리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사형식별알림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반사형식별알림수단(70)은 상기 드론본체(20)에 연결되는 상기 전력케이블(30)의 상단부에 끼움되어 접착 고정되는 고정안내관(51)과, 상기 전력케이블(30)에 고정된 상기 고정안내관(51)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링베어링(52)과, 상기 고정안내관(51)에 체결된 상기 링베어링(52)를 감싸면서 끼움되어 회전되는 회전안내관(53)과, 상기 링베어링(52)에 체결된 상기 회전안내관의 외면에 일단이 용접 또는 접착 연결되어 고정되는 풍압날개(54)들과, 상기 회전안내관에 형성되는 상기 풍압날개(54)의 하부에 상단부가 접착 연결되어 고정되는 식별반사띠(55)와, 상기 풍압날개(54)에 고정되는 식별반사띠(55)의 하단부에 접착 연결되거나 묶음 고정되는 금속재로 형성된 무게추(5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반사형식별알림수단(70)은 상기 드론본체(20)가 부유하여 이동시 바람에 의한 풍압에 의해 상기 풍압날개(54)들을 가압되면서 상기 회전안내관(53)과 상기 식별반사띠(55)가 회전되어, 외부에서 상기 식별반사띠(55) 및 상기 전력케이블(30)을 식별하록 함으로써, 부유중인 다른 드론이나 이동되는 대상물과 상기 전력케이블(30)이 충돌되는 방지하도록 된다.
이때, 상기 식별반사띠(55)의 표면에는 빛에 의해 반사되도록 반사도료가 도포되며, 다르게는 반사분말이 부착되어 외부의 빛을 반사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56)에 의해 상기 식별반사띠(55)들이 상호 꼬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56)들을 상호 연결와이어로 부착하여 연결하거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연결샤프트로 부착하여 연결하여 상기 식별반사띠(55)들이 바람이나 회전중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별반사띠(55)들을 감싸면서 부착하여 상호 연결하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고정링을 부착하여, 회전이나 바람에 의해 상기 식별반사띠(55)들이 상호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촬영드론
20 : 드론본체
21 : 충전배터리
22 : 수신장치
30 : 전력케이블
40 : 전력공급부
41 : 공급배터리
42 : 수납가방
43 : GPS장치
44 : 도킹장치
441 : 모자부재
442 : 도킹패널
443 : 연결로프
45 : 코드릴장치
50 : 반사형식별알림수단
51 : 고정안내관
52 : 링베어링
53 : 회전안내관
54 : 풍압날개
55 : 식별반사띠
56 : 무게추

Claims (5)

  1.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공중에 부유하도록 된 촬영드론으로서,
    공중을 부유하게 되고 카메라가 마련되어 촬영하도록 된 드론본체;
    상기 드론본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 및
    상기 전력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케이블을 통해 상기 드론본체의 충전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케이블에는 상기 드론본체가 부유하여 이동중 상기 드론본체와 연결되는 전력케이블이 다른 드론과 충돌하거나, 이동되는 대상물의 걸림되거나 충돌되어 연결된 드론본체에서 분리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사형식별알림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반사형식별알림수단은,
    상기 드론본체에 연결되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단부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안내관과,
    상기 전력케이블에 고정된 상기 고정안내관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베어링과,
    상기 고정안내관에 체결된 상기 링베어링를 감싸면서 끼움되어 회전되는 회전안내관과,
    상기 링베어링에 체결된 상기 회전안내관의 외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풍압날개들과,
    상기 회전안내관에 형성되는 상기 풍압날개의 하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식별반사띠와,
    상기 풍압날개에 고정되는 식별반사띠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무게추로 이루어져,
    상기 드론본체가 부유하여 이동시 바람에 의해 상기 회전안내관과 상기 식별반사띠가 회전되어, 외부에서 상기 식별반사띠 및 상기 전력케이블을 식별하록 함으로써, 부유중인 다른 드론이나 이동되는 대상물과 상기 전력케이블이 충돌되는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드론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배터리와,
    상기 공급배터리가 수납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된 수납가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에는 상기 드론본체에 상기 전력공급부의 위치를 전달하도록 GPS장치가 더 마련되고,
    상기 드론본체에는 상기 GPS장치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력공급부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수신장치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상기 드론본체가 도킹될 수 있도록 도킹장치가 더 마련되며,
    상기 도킹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모자부재와,
    상기 모자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도킹패널과,
    상기 모자부재와 상기 수납가방과 연결되는 연결로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5. 삭제
KR1020200117138A 2020-09-11 2020-09-11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KR102196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138A KR102196408B1 (ko) 2020-09-11 2020-09-11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138A KR102196408B1 (ko) 2020-09-11 2020-09-11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408B1 true KR102196408B1 (ko) 2020-12-30

Family

ID=7408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138A KR102196408B1 (ko) 2020-09-11 2020-09-11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4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309B1 (ko) * 2015-07-10 2016-08-04 (주)엔정보기술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배낭형 재난 관측 장치
KR101732713B1 (ko) 2015-12-24 2017-05-08 양준혁 드론 충전 시스템
US20190359351A1 (en) * 2015-01-18 2019-11-28 Foundation Production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200104199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새론다이내믹스 유선형 드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59351A1 (en) * 2015-01-18 2019-11-28 Foundation Production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1645309B1 (ko) * 2015-07-10 2016-08-04 (주)엔정보기술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배낭형 재난 관측 장치
KR101732713B1 (ko) 2015-12-24 2017-05-08 양준혁 드론 충전 시스템
KR20200104199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새론다이내믹스 유선형 드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7395B2 (en) Persistent aerial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US20200369492A1 (en) Suspended load stability systems and methods
EP3688885B1 (en) Persistent aerial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CN106560396B (zh) 无人驾驶飞行器的空中发射和/或回收以及相关的系统和方法
US11926415B2 (en) Long line loi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350291B1 (ko) 유선연결 수직 이착륙 무인항공기 시스템
US11772814B2 (en) System including a drone, a wire, and a docking station, enabling autonomous landings of the drones in degraded conditions
CN209454976U (zh) 可折叠遥控无人机
KR102196408B1 (ko) 유선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촬영드론
KR102172247B1 (ko) 해상정찰 드론을 위한 충전시스템
KR102172223B1 (ko)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는 해상정찰용 드론 시스템
KR20210073320A (ko) 드론용 도킹 시스템
CN109795710A (zh) 系留无人机同步控制的全自动收放线系统
CN109384102A (zh) 一种无人机空中自动收放拖拽线缆的装置及其操作方法
CN109398744A (zh) 一种系留无人机系统及其控制方法
CA3219996A1 (en) Long line loi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208963338U (zh) 一种具有降落伞安全装置的系留无人机系统
KR102478413B1 (ko) 재난 지휘 차량용 유선 드론 시스템
KR20210059819A (ko) 선외 감시용 드론 운영 선박
CN214397258U (zh) 一种无人机精准降落装置
CN214566151U (zh) 一种用于水环测绘的无人机结构
RU213951U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вёртываем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подъёма груза
KR20230069284A (ko) 태양광 기반 드론 충전스테이션
CN116280117A (zh) 一种用于船舶救援的水面水下机器人系统及其使用方法
CN117163262A (zh) 一种面向高海况救援的精确伞降自主水下航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